KR200475093Y1 - 배터리 충전 크래들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093Y1
KR200475093Y1 KR2020140003300U KR20140003300U KR200475093Y1 KR 200475093 Y1 KR200475093 Y1 KR 200475093Y1 KR 2020140003300 U KR2020140003300 U KR 2020140003300U KR 20140003300 U KR20140003300 U KR 20140003300U KR 200475093 Y1 KR200475093 Y1 KR 200475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electronic device
unit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141U (ko
Inventor
여종률
Original Assignee
여종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종률 filed Critical 여종률
Priority to KR2020140003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09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1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1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0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충전 크래들을 공개한다. 본 고안의 배터리 충전 크래들은 충전기와 연결되어 충전기로부터 충전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는 충전기 접속부와, 휴대용 전자기기(또는 다른 충전 크래들)와 연결될 수 있는 충전 케이블을 한번에 구비하고, 충전기가 연결되어 충전기로부터 충전 크래들로 충전 전류가 유입되면, 1차적으로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크래들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는 충전기를 충전 크래들에 연결하고,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 크래들에 연결함으로써, 여분의 배터리와 휴대용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충전 크래들은 충전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 케이블에 휴대용 전자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충전 크래들 내부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커버를 분리하고, 배터리를 교체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충전 크래들{Battery charging cradle}
본 고안은 배터리 충전 크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를 충전과 휴대용 정보기기에 포함된 배터리를 한번에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크래들 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및 타블렛PC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정보 입력 수단으로서 채택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가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더 많은 정보를 한 번에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 면적은 점점 커지는 추세에 있고, 터치스크린의 면적이 커질수록,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력 소모도 증가하므로 사용자들은 항상 보조 배터리를 별도로 휴대하거나, 충전기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다.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 중 가장 많이 보급된 스마트폰의 경우에, 스마트폰의 전원이 부족하면, 사용자는 스마트폰 커버를 열어 보조배터리를 삽입하여 배터리를 교체하고, 집이나 사무실에 돌아와서 충전을 할 때는, 충전기에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스마트폰 내부에 있는 배터리를 충전하고, 스마트폰의 충전이 완료되면 보조 배터리를 충전 크래들에 삽입하고 충전 크래들을 충전기에 연결하여, 2개의 배터리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충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2개의 배터리를 하나씩 충전하는 경우에 충전 시간이 2배나 걸리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특히,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충전기에 연결하여 하나의 배터리를 충전한 후,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가 두 개의 배터리를 모두 충전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보조 배터리의 충전에 이용되는 충전 크래들의 일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06-0105869 호에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충전 크래들은 단순히 보조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기능 이외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이러한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해소시켜주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조 배터리와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다른 크래들을 한번에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은, 충전 케이블에 의해서 연결된 전자기기로 출력되는 충전 전류를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측정부; 충전기와 연결되는 충전기 접속부와 상기 충전 케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자기기로 제공되는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칭부; 충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충전 전류를 이용하여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 상기 충전기 접속부와 상기 충전회로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 2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충전회로부로 제공되는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칭부; 및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전류가 유입되는지 여부 및 상기 측정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 1 제어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배터리를 순차적으로 충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전류가 유입되면, 상기 제 1 스위칭부를 온(ON)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칭부를 오프(OFF)시켜,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전자기기로 먼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신호를 조사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출력되는 충전 전류가 감소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면, 상기 제 1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 2 스위칭부를 온시켜 상기 충전전류를 상기 충전회로부로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의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변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3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변환부로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 3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전류가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제 3 스위칭부를 온(ON)시켜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상기 변환부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으로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은, 충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충전 전류를 변환하여 배터리로 출력하는 충전회로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충전 전류를 입력받아 승압하고, 충전 케이블에 의해서 연결된 전자기기로 출력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전자기기의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변환부로 충전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전자기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전자기기의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회로부로부터 입력되는 충전전류를 이용하여 충전된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기로부터 상기 충전회로부로 충전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배터리는 내부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변환부로 충전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전자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렛 PC, 노트북 컴퓨터, 및 충전 크래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배터리 충전 크래들은 충전기와 연결되어 충전기로부터 충전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는 충전기 접속부와, 휴대용 전자기기(또는 다른 충전 크래들)와 연결될 수 있는 충전 케이블을 한번에 구비하고, 충전기가 연결되어 충전기로부터 충전 크래들로 충전 전류가 유입되면, 1차적으로 충전 케이블을 통해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크래들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는 충전기를 충전 크래들에 연결하고,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 크래들에 연결함으로써, 여분의 배터리와 휴대용 전자기기를 한번에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충전 크래들은 충전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 케이블에 휴대용 전자기기가 연결된 경우에, 충전 크래들 내부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커버를 분리하고, 배터리를 교체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이 충전기와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충전 크래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200)이 충전기(100)와 휴대용 전자기기(300)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충전 크래들(200)은 내부에 배터리(260)를 수용하고, 하우징(290) 내부에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며, 하우징(290)의 일 측면에는 충전기(100)의 접속 단자가 삽입될 수 있는 충전기 접속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90)의 일 측면에는 충전 크래들(200)과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연결하여 충전 크래들(20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 전류를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전달하는 충전 케이블(27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300)는 스마트폰, 태블렛 PC, 노트북 컴퓨터, 및 다른 충전 크래들(20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본 고안의 충전 크래들(200)에 충전기(100)를 연결하고, 충전 케이블(270)에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연결하여, 충전기(100)로 충전 크래들(200)에 수용된 배터리(260)와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함께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00)가 충전 크래들(200)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 크래들(200)과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연결하면, 충전 크래들(200)에 수용된 배터리(260)의 충전 전력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2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2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200)의 구성과 동작을 살펴본다.
충전 크래들(200)은 하우징(290) 내부에 접속부(210), 제어부(220), 제 1 스위칭부(231), 제 2 스위칭부(232), 제 3 스위칭부(233), 전류측정부(240), 변환부(250), 충전회로부(280), 및 배터리(260)를 포함하고, 하우징(290) 외부로 충전 케이블(270)이 인출되어 있다.
접속부(210)는 충전기(100)의 접속 단자와 연결되어, 충전기(100)로부터 유입되는 충전 전류를 제 1 스위칭부(231) 및 제 2 스위칭부(232)로 전달한다.
제 1 스위칭부(231)는 제어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제 1 제어신호에 따라서 온 또는 오프되어 접속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충전 전류가 충전 케이블(270)을 통해서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제 1 스위칭부(231)가 온되면 접속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충전 전류를 충전 케이블(270)로 출력하고, 오프되면 충전 전류가 충전 케이블(270)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 2 스위칭부(232)는 제어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제 2 제어신호에 따라서 온 또는 오프되어 접속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충전 전류가 충전회로부(280)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제 2 스위칭부(232)가 온되면 접속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충전 전류를 충전회로부(280)로 출력하여 하우징(290)에 수용된 배터리(260)를 충전시키고, 오프되면 충전 전류가 충전회로부(280)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 3 스위칭부(233)는 제어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제 3 제어신호에 따라서 온 또는 오프되어 배터리(260)의 충전 전력이 변환부(250)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제 3 스위칭부(233)가 온되면 배터리(260)에 충전된 전력이 변환부(250)로 출력되어 전자기기(300)를 충전시키고, 오프되면 배터리(260)의 충전 전력이 변환부(250)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 1 스위칭부(231) 내지 제 3 스위칭부(233)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스위칭 소자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충전회로부(280)는 제 2 스위칭부(232)를 통해서 충전기(100)로부터 유입되는 충전 전류를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260)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충전 전류로 변환하여 배터리(260)를 충전시킨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 충전기(100)로부터 유입되는 충전 전류는 5V/1A 이고, 충전회로부(280)는 유입되는 충전 전류를 4.2V/1A로 변환하여 배터리(260)를 충전시킨다.
배터리(260)는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300)에 이용될 수 있는 배터리(260)로서, 하우징(290)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충전되거나, 충전이 완료되면 하우징(290)으로부터 분리되어 휴대용 전자기기(300)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변환부(250)는 배터리(26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승압시켜 충전 케이블(270)을 통해서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전송한다. 하우징(290)에 수용된 배터리(260)의 전원 및 휴대용 전자기기(300)에 포함된 배터리(260)의 전원은 약 3V~4.2V 이다. 따라서, 하우징(290)에 수용된 배터리(260)의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배터리(260)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전압을 승압시켜야 한다. 따라서, 변환부(250)는 배터리(260)로부터 입력되는 약 3V~4.2V의 전압을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충전할 수 있는 전압인 약 5V로 승압하여 충전 케이블(270)을 통해서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출력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 변환부(250)는 DC/DC 컨버터로 구현된다.
전류 측정부(240)는 충전 케이블(270)을 통해서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전달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제어부(220)로 출력한다. 휴대용 전자기기(300)에 충전이 수행되면, 충전기(100)로부터 입력된 약 5V/1A의 전류가 그대로 충전 케이블(270)을 통해서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출력되어 충전이 수행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가 점점 감소하여 약 100mA 까지 감소한다. 따라서, 전류 측정부(240)는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사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300)가 얼마나 충전되었는지를 제어부(220)로 알려준다.
제어부(220)는 충전기(100)로부터 충전 전류가 유입되는지 여부 및 전류 측정부(240)로부터 입력된 측정 신호에 따라서 제 1 제어신호 내지 제 3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휴대용 전자기기(300)와 배터리(260)를 순차적으로 충전시키고, 충전기(1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300)가 연결되면 하우징(290)에 수용된 배터리(260)의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충전시킨다.
도 3을 참조하여, 제어부(220)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20)는 충전기(100)로부터 충전 전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조사한다(S310).
충전기(100)로부터 충전 전류가 유입되면, 제어부(220)는 먼저 제 1 제어신호를 제 1 스위칭부(231)로 출력하여, 제 1 스위칭부(231)를 ON 시키고, 제 2 스위칭부(232) 및 제 3 스위칭부(233)는 OFF 시킨다(S320). 제 1 스위칭부(231)만 ON 되면 충전기(100)로부터 입력된 충전 전류는 모두 제 1 스위칭부(231) 및 충전 케이블(270)을 통해서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출력되어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충전시킨다.
전류 측정부(240)는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입력되는 전류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전류 측정신호를 제어부(220)로 출력하고, 제어부(220)는 전류 측정값을 조사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0)가 충전중인지 여부를 조사한다(S330). 충전이 진행중인 경우에는 제 S330 단계를 계속 반복하고, 전류 측정값이 사전에 정의된 레벨 아래로 떨어져서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후술하는 제 S340 단계로 진행한다.
이 때, 휴대용 전자기기(30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S310 단계 내지 제 S330 단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고, 제 S330 단계에서 처음으로 전류 측정값을 조사할 때, 측정 전류값이 0에 가까운 값으로 측정되므로, 바로 제 S340 단계가 수행된다.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휴대용 전자기기(30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220)는 제 2 제어신호를 제 2 스위칭부(232)로 출력하여 제 2 스위칭부(232)를 ON 시키고, 제 1 스위칭부(231) 및 제 3 스위칭부(233)를 OFF시켜 충전기(100)로부터 유입된 충전 전류를 충전회로부(280)로 제공하여 배터리(260)를 충전하고(S340), 배터리(260)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과정은 종료된다(S350).
한편, 상술한 제 S310 단계에서 충전기(100)로부터 충전 전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220)는 제 3 제어신호를 제 3 스위칭부(233)로 출력하여, 제 3 스위칭부(233)를 ON 시키고, 제 1 스위칭부(231) 및 제 2 스위칭부(232)는 OFF 시킨다(S360).
제 3 스위칭부(233)가 ON되면, 제 3 스위칭부(233)를 통해서 배터리(260)의 전원이 변환부(250)로 입력되어, 전압이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승압 변환된다(S370).
변환부(250)에서 승압된 배터리(260) 전원은 충전 케이블(270)을 통해서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출력되어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충전시킨다(S380).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을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충전 크래들은 충전회로부(282), 배터리(262), 및 변환부(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충전회로부(282)는 충전기(100)로부터 입력되는 충전 전류를 배터리(262)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충전 전류로 변환하여 배터리(262)로 출력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 충전회로부(282)는 충전기(100)로부터 5V/1A의 충전 전류를 입력받아 4.2V/1.2A의 충전전류로 변환하여 배터리(262)로 출력한다.
충전 크래들에 휴대용 전자기기(30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배터리(262)로 출력된 충전 전류는 배터리(262)를 충전시다. 그러나, 충전 크래들에 휴대용 전자기기(300)가 연결된 경우에, 배터리(262)로 출력된 충전 전류는 배터리(262)를 통해서 변환부(252)로 출력된다. 이 때, 배터리(262)를 통해서 변환부(252)로 출력되는 전류는 3V~4.2V/1A의 크기를 갖는다.
변환부(252)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DC/DC 컨버터로 구현될 수 있고, 배터리(262)로부터 입력되는 충전 전류를 승압하여 충전 케이블(270)을 통해서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출력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충전시킨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 변환부(252)는 배터리(262)로부터 입력된 충전 전류를 5V/0.7A의 충전 전류로 변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출력하였다.
휴대용 전자기기(300)의 충전이 완료되면, 배터리(262)에서 변환부(252)로 입력되는 충전 전류의 크기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서, 충전 회로부(282)에서 출력된 충전 전류는 배터리(262)를 충전시킨다.
아울러, 충전기(100)가 연결되지 않아 충전 전류가 충전 회로부(282)로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 케이블(270)에 의해서 휴대용 전자기기(300)가 변환부(252)에 연결된 경우, 변환부(252)는 배터리(262)에 충전된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승압시켜 충전 전류를 휴대용 전자기기(300)로 출력하여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충전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충전 전류를 충전회로부(282)에서 강압시키고, 변환부(252)에서 다시 승압시켜 휴대용 전자기기(300)를 충전하므로, 전압 변환 과정에서 효율이 떨어져 제 1 실시예에 비해서 충전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요구되는 소자의 수가 현저히 적고,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매우 간단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설명된 충전 전류의 전압 레벨과 전류 레벨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기재되었을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전압 레벨 및 전류 레벨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충전기 200 충전 크래들
210 접속부 220 제어부
231 제 1 스위칭부 232 제 2 스위칭부
233 제 3 스위칭부 240 전류측정부
250,252 변환부 260,262 배터리
270 충전 케이블 280,282 충전 회로부
290 하우징 300 휴대용 전자기기

Claims (1)

  1. 충전 케이블에 의해서 연결된 전자기기로 출력되는 충전 전류를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측정부;
    충전기와 연결되는 충전기 접속부와 상기 충전 케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전자기기로 제공되는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제 1 스위칭부;
    충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충전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충전 크래들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회로부;
    상기 충전기 접속부와 상기 충전회로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 2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충전회로부로 제공되는 충전전류를 제어하는 제 2 스위칭부; 및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전류가 유입되는지 여부 및 상기 측정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 1 제어신호 및 상기 제 2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배터리를 순차적으로 충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전류가 유입되면, 상기 제 1 스위칭부를 온(ON)시키고, 상기 제 2 스위칭부를 오프(OFF)시켜,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전자기기로 먼저 제공하고, 상기 측정 신호를 조사하여, 상기 전자기기로 출력되는 충전 전류가 감소되어 상기 전자기기의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면, 상기 제 1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상기 전자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제 2 스위칭부를 온시켜 상기 충전전류를 상기 충전회로부로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며,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의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변환부;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변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 3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변환부로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 3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기로부터 충전 전류가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제 3 스위칭부를 온(ON)시켜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상기 변환부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으로 상기 전자기기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크래들.
KR2020140003300U 2014-04-24 2014-04-24 배터리 충전 크래들 KR200475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300U KR200475093Y1 (ko) 2014-04-24 2014-04-24 배터리 충전 크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300U KR200475093Y1 (ko) 2014-04-24 2014-04-24 배터리 충전 크래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895 Division 2013-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141U KR20140005141U (ko) 2014-09-30
KR200475093Y1 true KR200475093Y1 (ko) 2014-11-11

Family

ID=5228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300U KR200475093Y1 (ko) 2014-04-24 2014-04-24 배터리 충전 크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0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5074B (zh) * 2014-12-23 2021-07-06 英特尔公司 用于提供可选充电电压的装置和方法
KR101720078B1 (ko) * 2016-08-04 2017-03-27 주식회사 청정스마트 스마트 케이블제어모듈·다채널 충전용 보조배터리팩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충전케이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6872A (ja) * 1997-10-29 1999-05-21 Nec Saitama Ltd 充電器
KR20020015493A (ko) * 2000-08-22 2002-02-28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용 에이씨 어댑터
KR20030072027A (ko) * 2002-03-05 2003-09-13 주식회사 레인콤 충전 및 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20120026046A (ko) * 2009-04-30 2012-03-1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효율 엔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6872A (ja) * 1997-10-29 1999-05-21 Nec Saitama Ltd 充電器
KR20020015493A (ko) * 2000-08-22 2002-02-28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용 에이씨 어댑터
KR20030072027A (ko) * 2002-03-05 2003-09-13 주식회사 레인콤 충전 및 방전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20120026046A (ko) * 2009-04-30 2012-03-1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애플리케이션 효율 엔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141U (ko) 201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3319B1 (en) Hub
CN108365469B (zh) 具有复合式电源的集线器
US9979214B2 (en) Adaptive buck converter and charging cable using the same
US105740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US10250059B2 (en) Charging circuit for battery-powered device
JPWO2016121434A1 (ja) 給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回路、受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回路、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充電アダプタ、異常検出方法
US8519564B2 (en) Multi-output power supply
JP2018011442A (ja) 受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回路、電子機器、給電システムの動作方法
US9419472B2 (en) Mobile device solar powered charging apparatus, method, and system
CN105518967A (zh) 改变电流限制的装置和方法
JP2018110476A (ja) モバイル機器及び制御回路
CN105634143B (zh) 无线供电与受电装置与其操作方法
US20100084917A1 (en) Power adaptor
KR200475093Y1 (ko) 배터리 충전 크래들
US20120091812A1 (en) Power switching device
JP2007060778A (ja) 充電装置
KR20130006884U (ko) 보조 배터리가 내장된 충전 겸용 데이터 케이블
CN105375538A (zh) 快速充电装置
US10170923B2 (en) Adaptive buck converter with monitor circuit and charging cable using the same
KR101750483B1 (ko) 어댑터가 내장되어 있고 충전 편의성이 향상된 디바이스
KR20170098461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외부 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
US2009010881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hargeable circuit
KR20130062888A (ko) 멀티 시리즈 셀 배터리들을 포함한 이용에 적합한 전력 관리 시스템
CN201430529Y (zh) 便携式万能适配器
KR20070109552A (ko) 휴대용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