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194A -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 - Google Patents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194A
KR20170107194A KR1020160030808A KR20160030808A KR20170107194A KR 20170107194 A KR20170107194 A KR 20170107194A KR 1020160030808 A KR1020160030808 A KR 1020160030808A KR 20160030808 A KR20160030808 A KR 20160030808A KR 20170107194 A KR20170107194 A KR 20170107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door
cooling
temperature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기
한경수
임진구
백만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브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브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브원
Priority to KR102016003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7194A/ko
Publication of KR20170107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11/006
    • F24F11/001
    • F24F11/0012
    • F24F11/0015
    • F24F2011/0023
    • F24F2011/0058
    • F24F2011/0064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기 냉방을 쾌적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외 온도 및 습도, 기상청 예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최적 외기 냉방 추천 방식을 제공하고 계절별 쾌적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외기 냉방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을 쾌적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은 계절을 입력하는 단계와, 실내외 온도 및 습도를 입력하는 단계와, 급기 풍량, 급기 온도 및 현재 환기 댐퍼율을 입력하는 단계와, 기상청 예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계절별 실내 쾌적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외기 도입 최적 조건을 산출하는 단계와,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Outdoor Air Cooling maintaining Methods}
본 발명은 외기 냉방을 쾌적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외 온도 및 습도, 기상청 예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최적 외기 냉방 추천 방식을 제공하고 계절별 쾌적상태를 표시하는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외기 냉방은 외기를 직접 실내로 끌어들여 냉방을 하는 방식으로, 1년 동안 냉방을 할 경우 가을부터 봄 이전까지는 외기 온도가 낮기 때문에 냉동기를 운전하지 않아도 외기만으로 냉방 운전이 가능하다.
종래의 외기 냉방은 관리자가 임의로 작동을 제어하거나, 희망온도를 설정하여 일정 시간 냉방운전을 작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때문에, 갑작스런 기온 변화에 대처할 수 없어 실내 쾌적성이 저하되거나,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특허인 한국등록특허 제10-1275551호(2013. 06. 11. 등록)는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로부터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다수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 조건을 재설정하는 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수신된 기상정보에 따라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어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을 뿐, 실내 쾌적상태를 표시하거나 기상청 예보에 따른 외기 냉방 운전 방식을 제공하는 구성은 개시하고 있지 않아 아직까지 본 기술 분야에 해당하는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은 발명되지 않고 있다.
KR 101275551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실내외 온도 및 습도, 기상청 예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최적 외기 냉방 추천 방식을 제공하고 계절별 쾌적상태를 표시하여 외기 냉방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을 쾌적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은 외기 냉방 관리 장치에서 외기 냉방을 쾌적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계절을 입력하는 단계와, 실내외 온도 및 습도를 입력하는 단계와, 급기 풍량, 급기 온도 및 현재 환기 댐퍼율을 입력하는 단계와, 기상청 예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계절, 실내외 온도 및 습도에 기반하여 계절별 실내 쾌적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외 온도 및 습도, 급기 풍량, 급기 온도에 기반하여 외기 도입 최적 조건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상청 예보, 상기 실내외 온도 및 습도, 급기 풍량, 급기 온도에 기반하여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상청 예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기상청 예보를 3시간 단위의 3일치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상청 예보가 황사 발생 또는 미세 먼지 농도 높음 등의 상태일 경우 외기 냉방을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내외 온도 및 습도에 기반하여 계절별 실내 쾌적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는 실내 온도와 습도가 계절별 쾌적 상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쾌적상태로 표시하고, 범위를 벗어나 있을 경우 불쾌적 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을 쾌적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에서 외기 도입 최적 조건을 산출하는 단계는 외기 도입 시의 환기 댐퍼율 및 외기 댐퍼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외기 도입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와, 외기 냉방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을 쾌적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에서 외기 도입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 외기 온도에 따라 외기 도입 가능 조건 또는 외기 도입 불가능 조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을 쾌적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에서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하는 단계는 입력된 기상청 예보를 기준으로 3일치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3일치 냉방 추천 방식에 따라 외기 냉방 운전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에 의하면, 실내외 온도 및 습도, 기상청 예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최적 외기 냉방 추천 방식을 제공하고 계절별 쾌적상태를 표시하여 외기 냉방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도입 최적 조건을 산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에서 해당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에서 실내 쾌적상태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에서 외기 냉방 판단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에서 냉방 추천 방식을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관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관리 장치는 입력부(10), 제어부(20), 표시부(30), 환기댐퍼(40) 및 외기댐퍼(50)를 포함한다.
입력부(10)는 계절, 실내외 온도 및 습도, 급기 풍량, 급기 온도, 현재 환기 댐퍼율 및 기상청 예보를 제어부(20)에 입력한다.
제어부(20)는 입력된 계절, 실내외 온도 및 습도, 급기 풍량, 급기 온도, 현재 환기 댐퍼율 정보를 토대로 실내 쾌적상태 여부, 외기 도입 최적조건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입력된 기상청 예보를 토대로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입력된 기상청 예보가 황사 발생 또는 미세먼지 농도 높음 등의 상태일 경우 외기 냉방을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입력된 기상청 예보를 기준으로 3일치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하고, 산출된 3일치 냉방 추천 방식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환기댐퍼(40) 및 외기댐퍼(50)의 댐퍼율을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30)는 제어부(20)에서 산출한 실내 쾌적상태 여부에 따라 쾌적상태 또는 불쾌적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0)는 제어부(20)에서 산출한 외기 도입 최적 조건에 따라 외기 도입 가능 조건 또는 외기 도입 불가능 조건을 표시한다.
환기댐퍼(40)는 실내공기의 외부 배출량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환기댐퍼(40)의 개도율에 의해 실내로 다시 들어오는 실내공기량이 결정된다.
외기댐퍼(50)는 실외공기의 내부 유입량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실외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때 외기댐퍼(50)의 개도율에 의해 실내로 들어는 실외공기량이 결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은 먼저, 입력부(10)에서 계절을 입력한다(S10).
계절은 봄, 여름, 가을 및 겨울 중에서 현재에 해당하는 계절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3, 4, 5월은 봄, 6, 7, 8월은 여름, 9, 10, 11월은 가을, 12, 1, 2월은 겨울로 설정되어 입력부(10)에서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음, 입력부(10)에서 실내외 온도 및 습도를 입력한다(S20).
실내외 온도 및 습도는 자동 온도계에 입력된 현재 실내외 온도 및 습도가 입력부(10)에서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다음, 입력부(10)에서 급기 풍량, 급기 온도 및 현재 환기 댐퍼율을 입력한다(S30).
급기 풍량은 외기댐퍼(50)를 통해 들어오는 공기의 양이다.
급기 온도는 외기댐퍼(50)를 통해 들어오는 공기의 온도이다.
현재 환기 댐퍼율은 외부로 배출할 실내공기 중에서 다시 실내로 들어오는 공기의 양에 비례하는 환기댐퍼의 개도율이다.
이와 같은 급기 풍량, 급기 온도 및 현재 환기 댐퍼율은 현재 공조기 스펙(Spec)에 해당한다.
다음, 입력부(10)에서 기상청 예보를 입력한다(S40).
기상청 예보는 3시간 단위로 이루어진 3일치 예보일 수 있으며, 예보가 황사 발생 또는 미세 먼지 높음 등의 상태일 경우에 외기 냉방을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계절별 쾌적상태를 표시한다(S50).
계절별 쾌적상태를 표시하는 단계(S50)는 실내 온도와 습도가 계절별 쾌적상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쾌적상태로 표시하고, 범위를 벗어나 있을 경우 불쾌적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 외기 도입 최적 조건을 산출한다(S60).
외기 도입 최적 조건을 산출하는 단계(S60)는 외기 도입 최적 환기 댐퍼율 및 외기 댐퍼율을 산출하는 단계(S62)와, 외기 도입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S64)와, 외기 냉방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S6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기 도입 최적 조건을 산출하는 단계(S60)는 후술할 도 3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한다(S70).
이와 같은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하는 단계(S70)는 입력된 기상청 예보를 기준으로 3일치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3일치 냉방 추천 방식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기상청 예보를 기준으로 3일치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하는 단계는 3일치 외기 냉방 가능 여부와, 그에 따른 외기 댐퍼율 및 환기 댐퍼율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산출된 3일치 외기 냉방 가능여부, 외기 댐퍼율 및 환기 댐퍼율에 따라 외기냉방 운전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냉방 추천 방식은 관리자가 이를 참고하여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도입 최적 조건을 산출 산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도입 최적 조건을 산출하는 단계(S60)는 먼저, 외기 도입 최적 환기 댐퍼율 및 외기 댐퍼율을 산출한다(S62).
외기 도입 최적 환기 댐퍼율 및 외기 댐퍼율을 산출하는 단계(S62)는 입력된 실내외 온도 및 습도, 급기 온도를 기준으로 외기를 도입하기 최적의 조건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배출한 실내공기 중에서 다시 실내로 받아들이는 공기의 양인 환기 댐퍼율과 실외공기를 실내로 받아들이는 공기의 양인 외기 댐퍼율 조건을 산출한다.
다음, 외기 도입 가능 여부를 표시한다(S64).
외기 도입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S64)는 외기 온도에 따라 외기 도입 가능 조건 또는 외기 도입 불가능 조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기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외기 도입 불가능 조건이라고 표시하고, 외기 온도가 적당할 경우 외기 도입 가능 조건이라고 표시한다.
다음, 외기 냉방 가능 여부를 표시한다(S66).
외기 냉방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S66)는 외기 도입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64)와 연동하는 것으로 외기 도입 불가능 조건이면 외기냉방운전 불가능 상태를 표시하고, 외기 도입 가능 조건이면 외기냉방운전 가능 상태를 표시한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 각 단계는 동시에 처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에서 해당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은 계절 입력(100), 실내외 온습도 입력(200), 공조기 스펙(Spec) 입력(300), 기상청 예보 입력(400)을 실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에서 실내 쾌적상태 표시(500)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내 쾌적상태 표시(500)는 입력된 계절을 기준으로 현재 실내의 온도와 절대 습도가 계절별 쾌적상태 범위(502) 내에 있을 경우는 쾌적 상태로 표시(504)하고, 계절별 쾌적상태 범위(502)를 벗어나 있는 경우는 불쾌적 상태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가로축이 실내온도이고 세로축이 절대습도인 그래프에서 현재 온도와 습도가 점으로 표시되고, 이러한 점이 계절별 쾌적상태 범위(502)에 위치한 경우 쾌적상태로 표시(504)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에서 외기 냉방 판단(600)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 냉방 판단(600)은 계산 실행(610)을 누르면 환기댐퍼률(%)과 외기댐퍼률(%)에 해당하는 값이 산출될 수 있다.
외기 도입 조건(602)은 외기 온도에 따라 외기 도입 가능 조건 또는 외기 도입 불가능 조건을 표시한다.
환기 도입 최적 환기 댐퍼율(604)은 배출한 실내공기 중에서 다시 실내로 받아들이는 공기의 양을 최적의 조건으로 산출한 것을 나타낸다.
외기 도입 최적 외기 댐퍼율(606)은 실외공기를 실내로 받아들이는 공기의 양을 최적의 조건으로 산출한 것을 나타낸다.
냉방 방식 추천은 외기 도입 가능 조건에서 외기냉방운전 가능(608)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에서 냉방 추천 방식(700)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 추천 방식(700)은 계산 실행(708)을 누르면 해당하는 값이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방 추천 방식(700)은 입력된 기상청 예보를 기준으로 3일치 냉방 추천 방식으로 외기 댐퍼율(702), 환기 댐퍼율(704) 및 외기냉방 판단(706)을 산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입력부 20: 제어부
30: 표시부 40: 환기댐퍼
50: 외기댐퍼
100: 계절 입력
200: 실내외 온습도 입력
300: 공조기 Spec 입력
400: 기상청 예보 입력
500: 실내 쾌적상태 표시 502: 계절별 쾌적상태 범위
504: 쾌적상태 표시
600: 외기냉방 판단 602: 외기 도입 조건
604: 환기 도입 최적 환기 댐퍼율
606: 외기 도입 최적 외기 댐퍼율
608: 냉방 방식 추천 610: 계산 실행
700: 냉방 추천 방식 702: 외기 댐퍼율
704: 환기 댐퍼율 706: 외기냉방 판단
708: 계산 실행

Claims (7)

  1. 외기 냉방 관리 장치에서 외기 냉방을 쾌적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계절을 입력하는 단계와,
    실내외 온도 및 습도를 입력하는 단계와,
    급기 풍량, 급기 온도 및 현재 환기 댐퍼율을 입력하는 단계와,
    기상청 예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계절, 실내외 온도 및 습도에 기반하여 계절별 실내 쾌적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외 온도 및 습도, 급기 풍량, 급기 온도에 기반하여 외기 도입 최적 조건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기상청 예보, 상기 실내외 온도 및 습도, 급기 풍량, 급기 온도에 기반하여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청 예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3시간 단위의 3일치 예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청 예보가 황사 발생 또는 미세먼지 농도 높음 등의 상태일 경우 외기 냉방을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절별 실내 쾌적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는
    실내 온도와 습도가 계절별 쾌적상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쾌적상태로 표시하고, 범위를 벗어나 있을 경우 불쾌적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 최적 조건을 산출하는 단계는
    외기 도입 시의 외기 댐퍼율 및 환기기 댐퍼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는
    외기 온도에 따라 외기 도입 가능 조건 또는 외기 도입 불가능 조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하는 단계는
    입력된 기상청 예보를 기준으로 3일치 냉방 추천 방식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3일치 냉방 추천 방식에 따라 외기 냉방 운전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030808A 2016-03-15 2016-03-15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 KR20170107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08A KR20170107194A (ko) 2016-03-15 2016-03-15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08A KR20170107194A (ko) 2016-03-15 2016-03-15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194A true KR20170107194A (ko) 2017-09-25

Family

ID=6003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808A KR20170107194A (ko) 2016-03-15 2016-03-15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71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3839A (zh) * 2020-10-20 2021-0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天气预测的智能运行控制方法、空调器、介质及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5507A (ja) * 2006-07-07 2006-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JP2011163710A (ja) * 2010-02-12 2011-08-25 Ei Engineering:Kk 原単位算出システム及びこれ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並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5507A (ja) * 2006-07-07 2006-10-1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JP2011163710A (ja) * 2010-02-12 2011-08-25 Ei Engineering:Kk 原単位算出システム及びこれ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並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3839A (zh) * 2020-10-20 2021-02-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天气预测的智能运行控制方法、空调器、介质及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64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VAC filter replacement type recommendation
JP6289749B2 (ja) 室内環境モデル作成装置
US8423192B2 (en) Fresh air control device and algorithm for air handling units and terminal boxes
US20190378020A1 (en) Building energy system with energy data stimulation for pre-training predictive building models
CN104676843B (zh) 空调控制方法和装置
US20170146259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control system, hvac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140207289A1 (en) Hvac system configured based on atmospheric data, an interface for receiving the atmospheric data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tup the hvac system based on the atmospheric data
US9658609B2 (en) Device assisted settings adjustment for HVAC controllers
US20200400334A1 (e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KR20170068958A (ko) 공조 시스템에서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937261B2 (ja)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091454B2 (en) Air change rate measurement and control
JP2019086268A (ja) 室内環境調整システム、サーバ、室内環境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85794B2 (ja) 空調システム用の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
KR20170107194A (ko) 외기 냉방 쾌적상태 유지 방법
JP5662685B2 (ja) 環境・熱エネルギー制御システム
JP7145649B2 (ja)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1821735A (zh) 一對多空調之各室內機所在各室空調消耗功率的計算方法及一對多空調系統
JP2018109462A (ja) 空調システム
JP2012167884A (ja) 空調システムおよび温度設定方法
JP2018112352A (ja) 空調システム用の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空調システム
DE10201100115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von Stellgrößen zur Beeinflussung eines Raumklimas
Shen et al. A Study on the Control of Indoor Temperature in Typical Canadian Homes
US20230358430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leveraging future weather
US10557642B2 (en) Dehumidifying Venti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