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141A -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141A
KR20170107141A KR1020160030513A KR20160030513A KR20170107141A KR 20170107141 A KR20170107141 A KR 20170107141A KR 1020160030513 A KR1020160030513 A KR 1020160030513A KR 20160030513 A KR20160030513 A KR 20160030513A KR 20170107141 A KR20170107141 A KR 20170107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film
display device
folded
folding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020B1 (ko
Inventor
최원우
권승욱
윤승호
이상봉
황채룡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0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020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구간 및 제 2 구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위치하는 강점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폴딩 축을 축으로 상기 강점 필름이 바깥 면에 오도록 접힐 수 있고, 상기 폴딩 축은 상기 제1 구간을 지나고 상기 제2 구간은 지나지 않으며, 상기 강점 필름은 상기 제2 구간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1 구간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PROTECTION FILM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가요성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 전계 발광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 발광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상에 편광 필름, 터치 스크린 패널(TSP; touch screen panel) 등의 층들이 적층된다. 표시 장치의 최외곽부에는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산소 침투를 막기 위하여, 투명 윈도우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 및 편광 필름, 터치 스크린 패널 등의 층들을 봉지(encapsulation)하게 된다.
특히, 폴더블 표시 장치의 경우, 가요성 표시 패널을 이용하며, 각 층들을 감압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등으로 부착시키는데, 표시 장치를 폴딩할 때 층간 점착력이 가장 약한 층이 떨어져서 버클링(buckling), 박리와 같은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실시예들은 보호 필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제공 및 이를 통해 가요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구간 및 제 2 구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위치하는 강점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폴딩 축을 축으로 상기 강점 필름이 바깥 면에 오도록 접힐 수 있고, 상기 폴딩 축은 상기 제1 구간을 지나고 상기 제2 구간은 지나지 않으며, 상기 강점 필름은 상기 제2 구간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1 구간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구부러지는 부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구부러지지 않고 편평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많이 접힐수록 폭이 넓을 수 있다.
상기 강점 필름은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ES; polyethylene sulfide) 및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에 의해 구분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약점 필름 일면에 상기 제2 구간에는 대응하여 위치하여 상기 제1 구간에 대응하여는 공간을 갖도록 강점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공간에 액상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정 필름 및 상기 액상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약점 필름과 마주보도록 이형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점착제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부 보호 필름 형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보호 필름 형성 단계를 거쳐 형성된 하부 보호 필름에서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여 마더 글라스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약점 필름과 함께 상기 액상 점착제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점착력은 상기 액상 점착제층에 비하여 상기 약점 필름이 클 수 있으며, 상기 약점 필름에 비하여 상기 강점 필름이 클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폴딩 축을 축으로 상기 강점 필름이 바깥 면에 오도록 접힐 수 있으며.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폴딩 축을 포함하여 상기 폴딩 축의 주변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구부러지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구부러지지 않고 편평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하부 보호 필름은 상기 마더 글라스에 패널 단위로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은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에 의해 구분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약점 필름, 상기 약점 필름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구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강점 필름, 상기 강점 필름 사이의 상기 제1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액상 점착제층 및 상기 액상 점착제층 및 상기 강점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약점 필름과 마주보는 이형 필름을 포함하며, 점착력은 상기 액상 점착제층에 비하여 상기 약점 필름이 크며, 상기 약점 필름에 비하여 상기 강점 필름이 크다.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이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구부러지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이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구부러지지 않고 편평한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이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이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이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이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호 필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요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구부리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부린 형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부린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부렸다 다시 핀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부린 형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구부리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부린 형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표시 장치(10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의 제1 면에 위치하는 상부 보호 필름(5) 및 표시 패널(100)의 제2 면에 위치하는 강점 필름(2)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0)는 폴딩 축(도 1 및 2의 점선 라인 참조, 이라 편의상 F라 칭한다)을 축으로 하여 접힐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표시 장치(1000)를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3분하는 두 개의 지점에서 두 개의 폴딩 축(F)을 축으로 하여 접힐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보호 필름(5)이 위치하는 면이 안쪽으로 가고 강점 필름(2)이 위치한 면이 바깥 면이 되도록 접힌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표시 장치(1000)가 표시 장치(1000)를 3분하는 두 개의 폴딩 축(F)을 축으로 하여 접힐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 장치(1000)는 한 개 이상의 폴딩 축(F)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폴딩 축(F)의 위치는 본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폴딩 축(F)을 축으로 하여 반복적으로 접었다 피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 구간(A)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접혀 구부러지는 부분이고, 제2 구간(B)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접히지 않고 편평한 부분이다. 폴딩 축(F)은 제1 구간(A)을 지난다. 도 3과 같이, 제1 구간(A)은 표시 장치(1000)가 접히는 부분을 따라 표시 장치(1000)를 가로질러 뻗어있다. 제1 구간(A)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는 부분일 수 있으며, 제2 구간(B)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또는, 제1 구간(A)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제2 구간(B)에 비해 곡률이 큰 부분일 수 있다. 제2 구간(B)은 제1 구간(A)보다 폭이 클 수 있다. 제1 구간(A)의 폭은 표시 장치(1000)가 접히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 구간(A)의 폭은 폴딩 축(F)을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이며, 두 개의 제1 구간(A)의 폭이 같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구간(A)의 폭이 폴딩 축(F)을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이 아닐 수 있으며, 두 개의 제1 구간(A)의 폭도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구간(A) 및 제2 구간(B)은 표시 장치(1000)가 접히는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강점 필름(2)은 표시 패널(100) 제2 면에 위치하며, 표시 패널(100)과 강점 필름(2) 사이에는 점착제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강점 필름(2)은 제2 구간(B)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강점 필름(2)은 제1 구간(A)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즉, 강점 필름(2)은 표시 장치(1000)가 접히는 부분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강점 필름(2)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접히지 않고 편평한 부분인 제2 구간(B)과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구부러지는 부분인 제1 구간(A)과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위치하지 않는다. 즉, 강점 필름(2)은 표시 장치(1000)가 접히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1 구간(A)에 의해 복수의 영역(2a, 2b, 2c)으로 구분된다. 강점 필름(2)은 표시 장치(1000)를 가로 질러 뻗어있는 제1 구간(A)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영역(2a, 2b, 2c), 즉, 제1 영역(2a), 제2 영역(2b) 및 제3 영역(2c)을 포함한다. 강점 필름(2)은 폴딩 축(F)을 중심으로 좌우로 같은 폭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2a) 및 제2 영역(2b)은 폴딩 축(F)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인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영역(2b) 및 제3 영역(2c)도 폴딩 축(F)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폴딩 축(F)은 강점 필름(2)을 지나지 않는다. 강점 필름(2)은 표시 장치(1000)가 접히는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강점 필름(2)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지 않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곡률을 갖는 부분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강점 필름(2)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제2 구간(B)에 비해 곡률이 큰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강점 필름(2)은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olyethylene Sulfide, PES),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강점 필름(2)은 25 마이크로미터(㎛)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강점 필름(2)은 10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강점 필름(2)은 표시 패널(100)의 외부와의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여 표시 패널(100)의 물리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은 TFT 기판(110), 박막 봉지층(210) 및 TFT 기판(110)과 박막 봉지층(210)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300)을 포함할 수 있다.
TFT 기판(110)은 투명한 기판으로 고분자 필름과 같은 가요성(flexible) 기판일 수 있고,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선,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구동 전압선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신호선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선으로 부터 받은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으로부터 받은 데이터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에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소자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출력 전류를 흘린다.
유기 발광 소자(300)는 예를 들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로서,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와 공통 전압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300)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류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소자(300)는 적색, 녹색,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빛을 고유하게 내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이들 색의 공간적인 합으로 원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박막 봉지층(210)은 TFT 기판(110)과 대향하며, 외부로부터 산소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기 발광 소자(300)을 보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00)의 제1 면에는 상부 보호 필름(5)이 위치한다. 상부 보호 필름(5)은 박막 봉지층(2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보호 필름(5)은 편광 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일 수 있다. 편광 필름은 편광 필름이 갖는 편광축과 동일한 축방향의 빛은 통과시키고 다른 빛은 흡수한다. 즉, 편광 필름을 통과한 빛은 선편광된다. 편광 필름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편광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부 보호 필름(5)은 약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약점 필름은 강점 필름(2)보다 점착력이 약할 수 있다.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외에 액정 표시 패널 등일 수 있으며,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패널은 TFT기판,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 상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TFT기판은 제어 단자가 게이트선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가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가 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패널은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은 화소 전극과 공통 전압을 인가 받은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하여 액정 분자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부린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부렸다 다시 핀 단면도이다.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1)는 표시 패널(101)의 제2 면 전면에 위치하는 강점 필름(22)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001)는 강점 필름(22), TFT 기판(111), 유기 발광 소자(301), 박막 봉지층(211), 상부 보호 필름(55)이 차례로 위치한다. 강점 필름(22)과 TFT 기판(111) 사이에는 점착제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1)는 폴딩 축(F)을 축으로 하여 접힐 수 있다. 제1 구간(A)은 표시 장치(1001)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접혀 구부러지는 부분이며, 제2 구간(B)은 표시 장치(1001)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접히지 않고 편평한 부분이다. 도 4의 표시 장치(1001)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폴딩 축(F)을 중심으로 접으면 도 5와 같은 형태가 된다.
표시 장치(1001)가 폴딩 축(F)을 축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접힐 때, 강점 필름(22)이 접히는 부분에서 누르는 힘과 양 쪽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도 4 및 도 5을 보면, 외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예시로써 강점 필름(22) 위에 점을 표시하였다. 폴딩 축(F) 위에 위치하는 강점 필름(22)의 점에는 화살표 방향과 같은 힘이 작용한다. 표시 장치(1001)가 접히면서 표시 패널(101)에 의해 강점 필름(22)이 폴딩 축(F)을 중심으로 눌려 강점 필름(22)위 점에는 누르는 힘이 작용한다. 또한, 표시 장치(1001)가 접히면서 표시 장치(1001)가 폴딩 축(F)을 기준으로 양 옆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강점 필름(22)의 점에는 폴딩 축(F)을 중심으로 양 쪽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도 5의 표시 장치(1001)를 다시 피면 도 6과 같은 형태가 된다. 강점 필름(22)에 누르는 힘과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상태로 유지되었다가 외력이 없어지는 경우, 누르는 힘과 당기는 힘에 의해 강점 필름(22)이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강점 필름(22)이 외력을 받는 동안 늘어나서 외력이 없어진 후에는 원래보다 얇아지고 점착상태가 해소되어 떨어지게 된다. 그 결과 강점 필름(22)은 도 6과 같이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강점 필름(22)과 TFT 기판(111)사이의 점착제층(미도시) 역시, 누르는 힘에 의해 양쪽으로 빠져나가려 하게 되고, 외력이 없어진 후 원래 보다 얇아지고 점착력이 약해져 강점 필름(22)이 떨어지는데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이 작용하여 문제가 될 수 있는 제1 구간(A)에서는 강점 필름(2)이 제거되어 있다. 강점 필름(2)은 표시 장치(1000)가 접히는 부분인 제1 구간(A)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외력에 의한 강점 필름(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0)가 접히는 부분인 제1 구간(A)에서 강점 필름(2)이 제거됨으로써, 표시 장치(1000)의 전체 두께가 얇아진다. 따라서, 보호 필름의 두께로 인해 표시 장치(1000)를 더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구부릴 수 있다.
제1 구간(A)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는 부분일 수 있으며, 제2 구간(B)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또는, 제1 구간(A)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제2 구간(B)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력을 더 많이 받는 부분일 수 있다. 즉, 강점 필름(2)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는 부분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7과 같이 약점 필름(1)을 준비한다. 약점 필름(1)은 아크릴(Acryl) 계열에 치환기가 붙은 약점착 필름일 수 있으며, 점착력은 1 gf/inch 이상에서 5 gf/inch 이하일 수 있다.
약점 필름(1) 일면에 강점 필름(2)를 부착한다. 강점 필름(2)은 추후 완성될 표시 장치의 접히는 부분을 고려하여 접히는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부착하지 않는다. 즉, 추후 완성될 표시 장치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접히지 않고 편평한 부분인 제2 구간(B)과 대응하는 곳에만 강점 필름(2)을 부착하고, 구부러지는 부분인 제1 구간(A)과 대응하는 곳에서는 강점 필름(2)을 부착하지 않고 공간을 만든다.
다음으로 도 8과 같이 액상 점착제층(3)을 강점 필름(2)의 공간에 형성한다. 점착제층(3)은 잉크젯(Inkjet)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입기(50)를 강점 필름(2)의 공간 부분에 맞게 정렬하고, 액상 점착제를 주입기(50)를 통해 공간에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젯(Inkjet) 공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밖에 슬릿 코팅(Slit Coating)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점착력은 점착제층(3)에 비하여 약점 필름(1)이 크며, 약점 필름(1)에 비하여 강점 필름(2)이 크다.
다음, 도 9와 같이 강점 필름(2) 및 점착제층(3)를 사이에 두고 약점 필름(1)과 마주보도록 이형 필름(4)을 부착한다. 이형 필름(4)은 점착제층(3) 및 강점 필름(2)의 오염 및 외부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지로서, 하부 보호 필름(10)이 표시 패널(100)의 아래에 부착되기 전에 제거되어 점착제층(3) 및 강점 필름(2)이 TFT기판(110) 아래에 용이하게 부착되게 한다. 이형 필름(4)의 내측면에 실리콘을 0.1㎛ 내지 2㎛의 두께로 그라비아(Gravure)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하여 이형 필름(4)의 탈거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형 필름(4) 부착 후 UV 또는 열을 이용하여 도포된 점착제층(3)을 경화시킨다.
다음으로, 도 10과 같이 약점 필름(1), TFT기판(110), 유기 발광 소자(300), 박막 봉지층(210) 및 상부 보호 필름(5) 차례대로 적층한 마더 글라스(M)를 준비한다. 마더 글라스(M)는 복수의 패널(P) 단위를 포함한다. 약점 필름(1)은 아크릴(Acryl) 계열에 치환기가 붙은 약점착 필름일 수 있으며, 점착력은 1 gf/inch 이상에서 5 gf/inch 이하일 수 있다.
다음, 도 11과 같이 하나의 패널(P) 단위로 약점 필름(1)을 제거하고, 도 9의 하부 보호 필름(10)에서 이형 필름(4)를 탈거한 후 도 11의 약점 필름(1)을 제거한 자리에 부착한다. 이때, 이형 필름(4)를 탈거한 하부 보호 필름의 폴딩 축(F)과 도 11의 패널(P)의 폴딩 축(F) 거의 일치하도록 도 12와 같이 부착한다. TFT기판(110) 하부에 강점 필름(2) 및 점착제층(3)이 오고, 그 하부에 약점 필름(1)이 오도록 부착한다. 약점 필름(1) 제거와 하부 보호 필름(10)의 부착을 패널(P)단위로 하는 이유는 패널(P)과 하부 보호 필름(10)의 폴딩 축(F)의 얼라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패널(P) 단위가 아닌 마더 글라스(M)단위로 공정을 진행하여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3과 같이 강점 필름(2) 하부의 약점 필름(1)을 제거 한다. 점착제층(3)의 점착력은 약점 필름(1)보다 약하므로, 약점 필름(1)을 제거할 때 같이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이 강점 필름(2)의 공간 사이에 위치하다 제거되는 경우 공정 중에 강점 필름(2)의 공간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약점 필름(1)과 강점 필름(2) 사이에 있던 점착제층(3)이 함께 제거된 모습이다. 약점 필름(1)과 점착제층(3)을 제거 후 마더 글라스(M)를 패널(P)단위로 자르면 도 1과 같은 표시 장치(1000)가 완성된다.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의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용 하부 보호 필름(10)은 약점 필름(1), 강점 필름(2), 점착제층(3) 및 이형 필름(4)을 포함한다.
약점 필름(1)은 아크릴(Acryl) 계열에 치환기가 붙은 약점착 필름일 수 있으며, 점착력은 1 gf/inch 이상에서 5 gf/inch 이하일 수 있다.
약점 필름(1) 일면에는 강점 필름(2)이 위치한다. 강점 필름(2)은 추후 하부 보호 필름(10)을 부착할 표시 장치가 접히는 부분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강점 필름(2)은 제2 구간(B)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1 구간(A)에서는 위치하지 않는다. 즉, 강점 필름(2)은 추후 하부 보호 필름(10)을 부착할 표시 장치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접히지 않고 편평한 부분인 제2 구간(B)과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고, 구부러지는 부분인 제1 구간(A)과 대응하는 곳에서는 위치하지 않는다. 강점 필름(2)은 추후 표시 장치가 접히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1 구간(A)에 의해 복수의 영역(2a, 2b, 2c)으로 구분된다. 강점 필름(2)은 폴딩 축(F)을 중심으로 좌우로 같은 폭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2a) 및 제2 영역(2b)은 폴딩 축(F)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인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영역(2b) 및 제3 영역(2c)도 폴딩 축(F)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폴딩 축(F)은 강점 필름(2)을 지나지 않는다. 강점 필름(2)은 표시 장치(1000)가 접히는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층(3)이 강점 필름(2)의 공간에 위치한다. 점착력은 점착제층(3)에 비하여 약점 필름(1)이 크며, 약점 필름(1)에 비하여 강점 필름(2)이 크다.
강점 필름(2) 및 점착제층(3)을 사이에 두고 약점 필름(1)과 마주보도록 이형 필름(4)이 위치한다. 이형 필름(4)의 내측 면에는 실리콘이 0.1㎛ 내지 2㎛의 두께로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부 보호 필름(10)은 표시 장치에 부착되어 표시 장치의 외부와의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고 표시 장치의 물리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구부린 형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표시 장치(1000)는 폴딩 축(F)을 축으로 하여 접힐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표시 장치(1000)를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2분하는 두 개의 지점에서 두 개의 폴딩 축(F)을 축으로 하여 접힐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를 도 12의 폴딩 축(F)을 기준으로 접으면 도 16과 같은 형태가 된다.
제1 구간(A')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접혀 구부러지는 부분이며, 도 16과 같이 표시 장치(1000)가 접히는 부분을 따라 표시 장치(1000)를 가로질러 뻗어있다. 제2 구간(B)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접히지 않고 편평한 부분이다. 제1 구간(A)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는 부분일 수 있으며, 제2 구간(B)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또는, 제1 구간(A)은 표시 장치(1000)가 폴딩 축(F)을 축으로 접힐 때 제2 구간(B)에 비해 곡률이 큰 부분일 수 있다. 제1 구간(A)의 폭은 표시 장치(1000)가 접히는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0)가 더 많이 접힐수록 제1 구간(A)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가 더 많이 접힐수록 표시 패널(100)이 표시 패널(100) 하부의 필름을 누르는 힘이 더 커지고 힘을 받는 영역이 더 넓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가 더 많이 접힐수록 제1 구간(A)의 폭을 더 넓게 형성하여 필름의 탈락 및 변형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보다 표시 장치(1000)가 더 많이 접히는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할 경우, 도 3의 실시예에서 제1 구간의 폭이 더 넓다.
강점 필름(2)은 표시 패널(100) 아래에 부착되어 있으며, 강점 필름(2)은 제2 구간(B)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제1 구간(A)에서는 위치하지 않는다. 강점 필름(2)은 표시 장치(1000)가 접히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1 구간(A)에 의해 복수의 영역(2a, 2b)으로 구분된다. 강점 필름(2) 역시 표시 장치(1000)가 더 많이 접힐수록 강점 필름(2)의 복수의 영역(2a, 2b) 간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0)가 더 많이 접힐수록 표시 패널(100)이 표시 패널(100) 하부의 필름을 누르는 힘이 더 커지고 힘을 받는 영역이 더 넓어지므로 강점 필름(2)의 공간의 폭을 더 넓게 형성하여 필름의 탈락 및 변형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제1 구간
B: 제2 구간
F: 폴딩 축
1: 약점 필름
2: 강점 필름
3: 점착제층
4: 이형 필름
5: 상부 보호 필름
100: 표시 패널
1000: 표시 장치

Claims (17)

  1. 제1 구간 및 제 2 구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에 위치하는 강점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폴딩 축을 축으로 상기 강점 필름이 바깥 면에 오도록 접힐 수 있고,
    상기 폴딩 축은 상기 제1 구간을 지나고 상기 제2 구간은 지나지 않으며,
    상기 강점 필름은 상기 제2 구간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1 구간에는 위치하지 않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구부러지는 부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구부러지지 않고 편평한 부분인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는 부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지 않는 부분인 표시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는 부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지 않는 부분인 표시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많이 접힐수록 폭이 넓은 표시 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강점 필름은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ES; polyethylene sulfide) 및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에 의해 구분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약점 필름 일면에 상기 제2 구간에는 대응하여 위치하여 상기 제1 구간에 대응하여는 공간을 갖도록 강점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공간에 액상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감정 필름 및 상기 액상 점착제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약점 필름과 마주보도록 이형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점착제층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부 보호 필름 형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보호 필름 형성 단계를 거쳐 형성된 하부 보호 필름에서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여 마더 글라스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약점 필름과 함께 상기 액상 점착제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서,
    점착력은 상기 액상 점착제층에 비하여 상기 약점 필름이 크며, 상기 약점 필름에 비하여 상기 강점 필름이 큰,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폴딩 축을 축으로 상기 강점 필름이 바깥 면에 오도록 접힐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폴딩 축을 포함하여 상기 폴딩 축의 주변에 설정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구부러지는 부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구부러지지 않고 편평한 부분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는 부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지 않는 부분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는 부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지 않는 부분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서,
    상기 하부 보호 필름은 상기 마더 글라스에 패널 단위로 부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에 의해 구분되는 제2 구간을 포함하는 약점 필름,
    상기 약점 필름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구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강점 필름,
    상기 강점 필름 사이의 상기 제1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액상 점착제층 및
    상기 액상 점착제층 및 상기 강점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약점 필름과 마주보는 이형 필름을 포함하며,
    점착력은 상기 액상 점착제층에 비하여 상기 약점 필름이 크며, 상기 약점 필름에 비하여 상기 강점 필름이 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이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구부러지는 부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이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구부러지지 않고 편평한 부분인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16. 제14항에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이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는 부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이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곡률을 갖지 않는 부분인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17. 제14항에서,
    상기 제1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이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는 부분이며,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이 상기 폴딩 축을 축으로 접힐 때 외력을 받지 않는 부분인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KR1020160030513A 2016-03-14 2016-03-14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71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513A KR102471020B1 (ko) 2016-03-14 2016-03-14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513A KR102471020B1 (ko) 2016-03-14 2016-03-14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141A true KR20170107141A (ko) 2017-09-25
KR102471020B1 KR102471020B1 (ko) 2022-11-25

Family

ID=6003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513A KR102471020B1 (ko) 2016-03-14 2016-03-14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0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6859A (ja) * 2007-07-31 2009-02-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ディスプレイ用フレキシブル長尺フィルム
KR20130076402A (ko) * 2011-12-28 2013-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17819A (ko) * 2013-08-07 2015-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043647A (ko) * 2013-10-14 2015-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94989A (ko) * 2014-02-12 2015-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6859A (ja) * 2007-07-31 2009-02-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ディスプレイ用フレキシブル長尺フィルム
KR20130076402A (ko) * 2011-12-28 2013-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17819A (ko) * 2013-08-07 2015-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043647A (ko) * 2013-10-14 2015-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94989A (ko) * 2014-02-12 2015-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020B1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7061B1 (ko) 표시 장치
US20230032440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JP6826881B2 (ja) 保護部材、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537441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6085454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US10008670B2 (en) Laminate, method of peeling lamin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device
KR10187079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JP6522304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33053A (ko) 가요성 표시 장치
TW201448314A (zh) 具有改良之彎曲特性的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20150061791A (ko)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EP3229067A1 (en) Array substrate, repairing patch,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repairing array substrate
KR102654505B1 (ko) 윈도우 기판,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343653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1108044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26155A (ko)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794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TWI816799B (zh)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20150103268A1 (en)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ouch panel
KR1012262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8574055B (zh) 显示装置的制造方法、挠性膜
KR102471020B1 (ko) 표시 장치용 보호 필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6314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WO2012102186A1 (ja) タッチパネル及び該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KR20150111545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