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090A - 전기 접점 - Google Patents

전기 접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090A
KR20170107090A KR1020177024541A KR20177024541A KR20170107090A KR 20170107090 A KR20170107090 A KR 20170107090A KR 1020177024541 A KR1020177024541 A KR 1020177024541A KR 20177024541 A KR20177024541 A KR 20177024541A KR 20170107090 A KR20170107090 A KR 20170107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solder tail
retaining feature
cantilev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767B1 (ko
Inventor
에메릭 수디
Original Assignee
암페놀 에프씨아이 아시아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 에프씨아이 아시아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암페놀 에프씨아이 아시아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10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onsisting of at least two resilient arms contacting the same counterpart

Abstract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각각의 접점은 그 사이에 정합 전기 커넥터의 수형 접점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대향하는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을 포함한다. 각각의 접점은 접점을 하우징의 접점 수납 영역 내에 배치하는데 도움이 되는 보유 특징부, 및 제1 표면 실장형 땜납 테일을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접점
예시적인 비제한적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전기 접점, 보다 구체적으로는 암형 전기 단자에 관한 것이다.
대향하는 접촉 아암을 가지며 그리고 접점 수납 영역 내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전기 접점이 공지되어 있다.
이하의 요약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요약은 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예시적인 실시예에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되며, 각각의 접점은 그 사이에 정합 전기 커넥터의 수형 접점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대향하는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 접점을 하우징의 접점 수납 영역 내에 배치하는데 도움이 되는 보유 특징부, 및 제1 표면 실장형 땜납 테일(solder tail)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예시적인 방법은, 지지 스트립(carry strip)에 부착된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편평한 금속 부재를 스탬핑하는 단계로서, 전기 접점은 그 사이에 정합 전기 커넥터의 수형 접점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대향하는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 접점을 하우징의 접점 수납 영역 내에 배치하는데 도움이 되는 보유 특징부, 및 제1 표면 실장형 땜납 테일이 형성되도록 스탬핑되는, 단계; 및 전기 접점이 롤 상에 부착된 상태에서 지지 스트립을 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된 양태 및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어 있다.
도 1은 전기 커넥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예의 개략적인 부분 상면도이다.
도 3은 절결 섹션이 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전기 접점들 중 하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기 접점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브리징부를 도시하는 도 5와 유사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땜납 테일을 위한 가능 위치를 도시하는 도 6과 유사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브리징부가 없는 전기 접점을 도시하고 그리고 및 땜납 테일을 위한 가능 위치를 도시하는 도 7과 유사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전기 접점의 후방 측면도이다.
도 10은 대안적인 형상의 보유 특징부의 도 9와 유사한 후방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전기 접점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편평한 블랭크의 평면도이며, 구성가능한 땜납 테일 위치를 위한 제거가능한 땜납 테일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종래의 접점의 폭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접점의 폭을 도시한다.
도 14는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접점의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대안적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17은 모래시계 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는 보유 특징부를 도시한다.
도 18a 내지 도 29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특징부를 갖는 전기 접점의 다양한 대안적인 디자인 형상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의 하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특징부는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특징부는 많은 대안적인 형태의 실시예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임의의 적절한 크기, 형상 또는 유형의 요소나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커넥터(10)는 일반적으로 하우징(12) 및 복수의 전기 접점 또는 단자(14)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또한 참조하면, 하우징(12)은 바람직하게는 성형된 플라스틱 또는 중합체 재료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은 복수의 접점 수납 영역(16)을 갖는다. 이 예에서, 접점 수납 영역(16)은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 2개의 평행한 열로 배열된다. 하우징의 상단 측부는 (도시 안 된) 정합 커넥터가 상단 측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정합 커넥터의 수형 핀 또는 접점은 접점(14)과 전기 접촉되도록 상단 측부를 통해 접점 수납 영역(16) 내로 연장된다.
도 4 및 도 5를 또한 참조하면, 이 예의 접점(14)은 직각 땜납 테일을 갖는 암형 접점이다. 직각 땜납 테일로 인해, 커넥터(10)은 예컨대 솔더링 등에 의해 (도시 안 된) 다른 부재 상에 표면 실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형상으로 굽힘되기 전의 판금으로 이루어진 스탬핑된 블랭크(14')를 도시한다. 접점(14)은 주 섹션(15), 땜납 테일(18), 장착 섹션 또는 보유 특징부(20), 및 2개의 대향하는 접촉 아암(22, 24)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예시적 실시예에서, 2개보다 많거나 작은 접촉 아암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아암은 대향하지 않을 수도 있다. 땜납 테일(18), 장착 섹션(20) 및 2개의 접촉 아암(22, 24)은 일반적인 캔틸레버 형태로 주 섹션(15)으로부터 연장된다. 땜납 테일(18)은 일반적으로 제1 접촉 아암(22)과 정렬되며 그리고 장착 섹션(20)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주 섹션(15)의 대향하는 단부는 장착부(26, 28)를 또한 포함한다. 장착 섹션(20)과 장착부(26, 28)는 접점(14)이 하우징(12)의 접점 수납 영역(16) 중 하나에 삽입되는 것을 가능케 하며, 그리고 접점을 하우징(12)에 고정식으로 부착시킨다.
2개의 접촉 아암(22, 24)은 이들 사이에 정합 접점 수납 영역이 형성되도록 내향으로 굽힘된다. 아암(22, 24)은 이들 사이에 정합 접점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영역(30)을 갖는다. 땜납 테일(18)은 굽힘부(32)에서 주 섹션(15)으로부터 약 180도로 굽힘된 후에, 직각의 땜납 테일을 형성하기 위해 굽힘부(34)에서 약 90도로 굽힘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그 최종 형상에서, 땜납 테일(18), 장착 섹션(20) 및 2개의 접촉 아암(22, 24)은 모두 주 섹션(15)으로부터 멀어지는 대체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땜납 테일(18)은 제1 접촉 아암(22)과 동일한 측에 존재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땜납 테일(18)은 하우징의 측방향 측부에서 하우징(12)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된다. 접점의 형상 때문에, 제1 접촉 아암(22)은 제2 접촉 아암(24)보다 하우징(12)의 각각의 측방향 측부에 더 가까이 위치된다. 이로 인해, 도 2 및 도 4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접촉 영역(30) 사이에) 삽입된 수형 접점에 인가되는 힘은 하우징으로부터의 땜납 테일의 측방향 연장부와 일렬이 된다; 수직이 아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의 특징부는 단자 하단 입구(하우징의 하단부를 통한 하우징 내로의 단자 입구)를 포함하며 그리고 접촉 아암의 동/서 배향이 아닌 북/남 접촉 배향을 갖는다. 단자 하단 입구는 접점(14)이 도 3에 화살표(36)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하단을 통해 하우징(12)에 삽입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하단 입구는 "동-서" 접촉 지점이 표면 실장형(SMT) 땜납 테일(18)에 제공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땜납 테일(18)과 일렬인 접촉 아암의 북/남 접촉 배향을 제공함으로써, 접점의 그런 배향은 접점의 구획(platting)과 관련된 중요한 비용 절감을 가능케 할 수도 있다.
도 6을 또한 참조하면, 접점의 대안적인 디자인이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접점은 추가적인 브리지부(38)를 포함한다. 이 브리지부(38)는 도 5와 유사한 접점을 제공하도록 임의로 제거될 수도 있다. 브리지 영역(38)은 낮은 프로파일 디자인의 생성을 위해 공구로 제거될 수도 있다. 영역(40)은 도 5에 도시된 낮은 프로파일의 보유 특징부 또는 도 6에 도시된 높은 프로파일 버전의 생성을 위해 공구로 변경될 수도 있다. 여러 버전의 커넥터 제품이 관련 제품군을 위한 여러 다양한 유형의 접점으로부터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런 범용 브리지 단자는, 일부분(들)이 제거됨으로써 또는 제거되지 않음으로서, (단지 하나의 공구와 여러 버전들에 의해) 다음 사항이 달성될 수도 있다:
● 높은 또는 낮은 프로파일 버전
● 브리지 전체에 걸쳐 여러 종류의 땜납 테일을 생성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
이런 해결책은 비용을 절감하고(공구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도 7 및 도 8은 하나 이상의 땜납 테일(18')의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가능 위치를 도시하는 대안적인 디자인을 도시한다.
도 9는 섹션(20')을 갖는 종래의 접점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도 10은 다른 장착부(20")를 갖춘 접점(14)을 도시한다. 장착부(20")의 폭은 도 9에 도시된 접점에 대해 도 12에 도시된 치수(A)보다 큰 도 13에 도시된 치수(B)를 갖는다.
추가적인 특징부는 굽힘으로부터의 치수 "A"가 아닌 스탬핑 공정으로부터 달성된 치수 "B"를 가지며 그리고 스탬핑과 굽힘의 공차 허용량의 차이로 인해 단자의 공동 내에서의 양호한 위치를 제공할 것이다. 도 12에 영역(44)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접점의 굽힘으로부터의 큰 공차로 인해 간극이 접점과 하우징 사이에 존재한다. 이로 인해, 정합 커넥터의 수형 핀을 위한 하우징(12) 내의 윈도우와 단자의 축 사이의 정렬이 나빠질 수 있다. 이런 문제는 주로 치수(A)가 달성되는 굽힘 공정으로부터의 단자의 큰 공차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조립 기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장착부(20")는 굽힘되지 않는다. 이 장착부는 스탬핑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특징부로 인해, 공정 중에서 굽힘 단계 대신 절단 단계로부터의 기준이 제조와 조립에 이용될 수도 있다. 실질적으로, 절단 공정은 (굽힘 특징부에 대한 0.1㎜가 아닌) 0.02㎜의 총 공차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극의 영역(44')은 영역(44)보다 훨씬 작다. 작은 간극은 절단으로 인한 작은 공차에 기인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에서의 추가적인 특징부는 굽힘으로부터의 치수 "A"가 아닌 스탬핑 공정으로부터 달성된 치수 "B"를 가지며 그리고 공차 허용량의 차이로 인해 단자의 공동 내에서의 양호한 위치를 제공할 것이다.
도 15 내지 도 29는 접점을 위한 몇몇 대안적인 디자인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접점은 그 사이에 정합 전기 커넥터의 수형 접점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대향하는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 접점을 하우징의 접점 수납 영역 내에 배치하는데 도움이 되는 보유 특징부, 및 표면 실장형 땜납 테일을 포함한다.
접촉 아암, 보유 특징부 및 땜납 테일은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의 주 본체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보유 특징부는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의 주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일반적인 캔틸레버형 형상부를 가질 수도 있다. 접점은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의 주 본체의 대향하는 단부 및 보유 특징부에 연결된 브리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보유 특징부는 예컨대 도 5, 도 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의 가장 넓은 부분일 수도 있고 그리고 접촉 아암에 인접한 접점의 대향하는 측부를 지나 연장될 수도 있으며, 보유 특징부는 편평하며 굽힘되지 않는다.
보유 특징부는 예컨대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아암보다 넓을 수도 있다. 보유 특징부는 예컨대 도 4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접촉 아암에 대해 사실상 직각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전기 커넥터는 예컨대 도 7,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땜납 테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1 땜납 테일은 제1 위치에서 접점의 주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그리고 제2 땜납 테일은 제2 위치에서 접점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땜납 테일은 주 본체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제2 땜납 테일은 접촉 아암들 중 하나의 접촉 아암으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제2 땜납 테일은 보유 특징부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전기 커넥터는 주 본체, 접촉 아암들 중 다른 하나의 접촉 아암 또는 보유 특징부의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제3 땜납 테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보유 특징부는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실상 다이아몬드 형상의 윤곽을 가질 수도 있다. 보유 특징부는 예컨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실상 모래시계 형상의 윤곽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8a 내지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방법은, 지지 스트립에 부착된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편평한 금속 부재를 스탬핑하는 단계로서, 전기 접점은 그 사이에 정합 전기 커넥터의 수형 접점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대향하는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 접점을 하우징의 접점 수납 영역 내에 배치하는데 도움이 되는 보유 특징부, 및 제1 표면 실장형 땜납 테일이 형성되도록 스탬핑되는, 단계; 및 전기 접점이 롤 상에 부착된 상태에서 지지 스트립을 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탬핑하는 단계는 접점의 주 본체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아암, 보유 특징부 및 제1 땜납 테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스탬핑하는 단계는 접점의 주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일반적인 캔틸레버형 형상부를 갖는 보유 특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스탬핑하는 단계는 접점의 주 본체의 대향하는 단부 및 보유 특징부에 연결된 브리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스탬핑하는 단계는 접점의 가장 넓은 부분인 보유 특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보유 특징부는 접촉 아암에 인접한 접점의 대향하는 측부를 지나 연장된다.
상술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알아야 한다. 다양한 대안예와 변경예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다. 예컨대, 여러 종속항에 개시된 특징부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들)으로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상이한 실시예로부터의 특징부는 신규한 실시예로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된 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그런 모든 대안예, 변경예 및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21)

  1. 전기 커넥터이며,
    하우징, 및
    하우징에 연결되는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각각의 접점은 그 사이에 정합 전기 커넥터의 수형 접점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 접점을 하우징의 접점 수납 영역 내에 배치하는데 도움이 되는 보유 특징부, 및 제1 표면 실장형 땜납 테일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 보유 특징부 및 제1 땜납 테일은 접점의 주 본체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보유 특징부는 접점의 주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일반적인 캔틸레버형 형상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점은 접점의 주 본체의 대향하는 단부 및 보유 특징부에 연결된 브리징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 특징부는 접점의 가장 넓은 부분이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에 인접한 접점의 대향하는 측부를 지나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 특징부는 편평하며 굽힘되지 않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 특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보다 넓은, 전기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 특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에 대해 사실상 직각으로 배향되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땜납 테일을 더 포함하며,
    제1 땜납 테일은 제1 위치에서 접점의 주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그리고 제2 땜납 테일은 제2 위치에서 접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땜납 테일은 주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제2 땜납 테일은 적어도 하나의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으로부터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12. 제9항에 있어서, 제2 땜납 테일은 보유 특징부로부터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본체, 적어도 하나의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 중 다른 하나의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 또는 보유 특징부의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제3 땜납 테일을 더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 특징부는 사실상 다이아몬드 형상의 윤곽을 갖는, 전기 커넥터.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 특징부는 사실상 모래시계 형상의 윤곽을 갖는, 전기 커넥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 특징부는 전기 접점을 하우징 내에 보유하기 위해 하우징과 결합되는 대향하는 측방향 측부를 가지며, 보유 특징부는 전기 접점의 가장 넓은 부분인, 전기 커넥터.
  17. 방법이며,
    지지 스트립에 부착된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편평한 금속 부재를 스탬핑하는 단계로서, 전기 접점은 그 사이에 정합 전기 커넥터의 수형 접점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 접점을 하우징의 접점 수납 영역 내에 배치하는데 도움이 되는 보유 특징부, 및 제1 표면 실장형 땜납 테일이 형성되도록 스탬핑되는, 단계, 및
    전기 접점이 롤 상에 부착된 상태에서 지지 스트립을 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스탬핑하는 단계는 접점의 주 본체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 보유 특징부 및 제1 땜납 테일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스탬핑하는 단계는 접점의 주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일반적인 캔틸레버형 형상부를 갖는 보유 특징부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탬핑하는 단계는 접점의 주 본체의 대향하는 단부 및 보유 특징부에 연결된 브리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탬핑하는 단계는 접점의 가장 넓은 부분인 보유 특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보유 특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캔틸레버형 접촉 아암에 인접한 접점의 대향하는 측부를 지나 연장되는, 방법.
KR1020177024541A 2015-02-03 2016-02-03 전기 접점 KR102551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11245P 2015-02-03 2015-02-03
US62/111,245 2015-02-03
PCT/US2016/016258 WO2016126751A1 (en) 2015-02-03 2016-02-03 Electrical conta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090A true KR20170107090A (ko) 2017-09-22
KR102551767B1 KR102551767B1 (ko) 2023-07-06

Family

ID=5656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541A KR102551767B1 (ko) 2015-02-03 2016-02-03 전기 접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55386B2 (ko)
EP (1) EP3254338B1 (ko)
JP (1) JP7123561B2 (ko)
KR (1) KR102551767B1 (ko)
SG (1) SG11201706180RA (ko)
WO (1) WO2016126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4010A1 (en) * 2018-07-11 2020-01-16 Fci Usa Llc Electrical connector with hermaphroditic terminal and housing
CN110444933A (zh) * 2019-08-30 2019-11-12 厦门广泓工贸有限公司 一种贴片电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898A (ja) * 1985-06-28 1987-01-09 Hitachi Ltd 冷間静水圧加圧装置
US5224885A (en) * 1992-05-05 1993-07-06 Elco Corporation Low profile dual beam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7990A (en) * 1988-10-07 1990-03-13 Molex Incorporated Elastically supported dual cantilever beam pin-receiving electrical contact
US5188535A (en) * 1991-11-18 1993-02-23 Molex Incorporated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5263883A (en) * 1992-10-02 1993-11-23 Specialty Electronics, Inc. Miniature disconnect terminal
WO1997045896A1 (en) * 1996-05-30 1997-12-04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JP3614768B2 (ja) * 2000-10-20 2005-01-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バッテリコネクタ
US6890221B2 (en) 2003-01-27 2005-05-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ower connector with male and female contacts
US7442089B2 (en) * 2005-07-07 2008-10-28 Molex Incorporated Edge card connector assembly with high-speed terminals
US7527529B2 (en) * 2006-10-18 2009-05-0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icrophone connector
JP5119005B2 (ja) * 2008-03-04 2013-01-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
WO2010049758A1 (en) 2008-10-27 2010-05-06 Fci Connector with floating terminals
US7938649B2 (en) * 2009-07-13 2011-05-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s
US7950966B1 (en) * 2009-12-17 2011-05-3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Audio jack connector
EP2572405B1 (en) * 2010-05-18 2016-02-17 Harting Electronics GmbH Contact spring for plug connector socket
JP2013080623A (ja) 2011-10-04 2013-05-02 Jst Mfg Co Ltd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RU2632154C1 (ru) 2011-11-08 2017-10-02 Электроникс Энд Телекоммьюникейшнз Рисерч Инститьют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вмест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писка кандидатов
JP5806607B2 (ja) 2011-12-08 2015-11-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2405487U (zh) * 2011-12-14 2012-08-29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US8882533B2 (en) * 2012-05-25 2014-1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
JP5522217B2 (ja) 2012-08-21 2014-06-1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4130710A (ja) * 2012-12-28 2014-07-10 Iriso Electronics Co Ltd コネクタ
CN105406235A (zh) * 2014-09-01 2016-03-16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插座连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898A (ja) * 1985-06-28 1987-01-09 Hitachi Ltd 冷間静水圧加圧装置
US5224885A (en) * 1992-05-05 1993-07-06 Elco Corporation Low profile dual beam cont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4338A4 (en) 2018-10-03
KR102551767B1 (ko) 2023-07-06
SG11201706180RA (en) 2017-08-30
US20180013224A1 (en) 2018-01-11
US10355386B2 (en) 2019-07-16
JP2018503963A (ja) 2018-02-08
EP3254338B1 (en) 2021-10-20
EP3254338A1 (en) 2017-12-13
WO2016126751A1 (en) 2016-08-11
JP7123561B2 (ja)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6804B2 (ja) コネクタ
US9466907B2 (en) Connector
KR101364231B1 (ko) 커넥터
US9601854B2 (en) Female terminal
US834287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a sidewall portion with a sloped guide surface with cut out
JP6227103B2 (ja) コネクタ
US20190312372A1 (en) Connector and pin receiving contact for such a connector
US20050118890A1 (en) Electrical connector
US10276983B2 (en) Conn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2477277A1 (en) Joint connector, busba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6820290B2 (ja) 接続端子及び端子接続構造
KR102425767B1 (ko)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및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
KR102551767B1 (ko) 전기 접점
JP6845438B2 (ja) コネクタ端子、コネクタ端子を備え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端子の製造方法
JP6069541B2 (ja) コネクタ
JP4873747B2 (ja) 固定金具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095182B2 (ja)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4353932B2 (ja) グランド板付電気コネクタ
KR102274642B1 (ko) 전기 커넥터 및 단자
JP4076314B2 (ja) 固定金具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TW201310779A (zh) 接觸面積幾何放大之電氣接點
JP4911543B2 (ja) 固定金具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342633B2 (ja) 固定金具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4100280B2 (ja) 端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