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779A - 볼 베어링 케이지 - Google Patents

볼 베어링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779A
KR20170106779A KR1020160030329A KR20160030329A KR20170106779A KR 20170106779 A KR20170106779 A KR 20170106779A KR 1020160030329 A KR1020160030329 A KR 1020160030329A KR 20160030329 A KR20160030329 A KR 20160030329A KR 20170106779 A KR20170106779 A KR 20170106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ball rolling
cage
ball
divid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6197B1 (ko
Inventor
현준수
이운주
정진호
박상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Priority to KR1020160030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19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12Ball cages formed of interconnected segments, e.g.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2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3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3843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formed as one-piece cages, i.e. monoblock cages
    • F16C33/3856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formed as one-piece cages, i.e. monoblock cages made from plastic, e.g. injection moulded window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02Shaping by casting
    • F16C2220/04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베어링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격벽과,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링 형상의 볼 베어링 케이지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은 설정된 구분선을 기준으로 반경 외측에 형성된 상부 격벽; 및 상기 구분선을 기준으로 반경 내측에 형성되는 하부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격벽에는 볼 전동체를 지지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안착 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케이지를 금형으로부터 분리할 때 안착 날개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볼 베어링 케이지{CAGE FOR BALL BEARING}
본 발명은 볼 베어링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 금형에 의하여 제작할 때, 그 파손이 최소화되는 볼 베어링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회전하는 요소와 회전하지 않는 요소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요소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한편, 회전하고 있는 회전 요소의 축을 지지하는 기계 요소이다.
이러한 베어링은 축과 접촉하는 상태에 따라 미끄럼 베어링과 구름 베어링으로 대분되는 한편, 하중이 걸리는 방향에 따라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과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으로 분류될 수 있다.
구름 베어링은 회전하는 축을 볼 또는 롤러와 같은 전동체로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베어링으로, 축의 일부에 직접 접촉하는 미끄럼 베어링에 비하여 마찰 저항이 작은 장점이 있다. 구름 베어링은 전동체의 형상에 따라 볼 베어링(Ball bearing), 테이퍼 롤러 베어링(Tapered roller bearing), 그리고 니들 베어링(Needle bearing) 등으로 분류되며, 위와 같은 구조상의 이점으로 인해 그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구름 베어링의 일종인 볼 베어링은 전동체의 형상이 대체적으로 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는 축과의 접촉 면적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축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볼 베어링은 그 구조에 따라 깊은 홈 볼 베어링과, 내륜과 외륜에 일정한 접촉각을 가진 궤도면이 형성되어 그 사이에 전동체가 설치되는 구조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구동축을 지지하는 앵귤러 볼 베어링 등으로 분류된다.
위 깊은 홈 볼 베어링은 구름 베어링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원통 형상의 내륜과, 내륜으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외륜과, 내륜과 외륜에 형성된 원호의 홈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전동체, 그리고 위 복수 개의 전동체를 원주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케이지를 포함한다.
위 케이지는 대체적으로 링의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전동체를 수용하는 안착 날개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이 안착 날개는 전동체가 축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둔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300)는 금형(350)에 의하여 사출 제작된다. 즉, 금형(350) 내측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케이지(300)의 형상으로 경화시키고, 케이지(300)로부터 금형(350)을 분리시키는 것이다. 금형(350)에는 그 단면이 대체적으로 원형인 돌기부(360)가 전동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360)의 외주면을 따라 용융 수지가 채워지게 되어 안착 날개(3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안착 날개(310)는 둔각의 중심각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되어, 그 내측으로 수용되는 전동체의 이동을 제한한다.
그런데, 위 안착 날개(310)는 금형(350)의 돌기부(36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 금형(350)을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탈형하는 공정 단계에서 안착 날개(310)는 돌기부(360)를 간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응력이 집중되는 안착 날개(310)의 측부에서 균열이 생기거나 재료가 파손될 수 있다.
특히, 고속 회전을 요하는 박형의 볼 베어링을 제작할 경우 케이지(300)의 폭이 작기 때문에, 위와 같은 안착 날개(310)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 날개(310)의 파손은 케이지(300)의 기능을 저하시켜 전동체가 회전 축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전체 볼 베어링의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그 제작 단계에서 금형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는 안착 날개를 구비한 볼 베이링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 베어링 케이지는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격벽과,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설정된 구분선을 기준으로 반경 외측에 형성된 상부 격벽; 및 상기 구분선을 기준으로 반경 내측에 형성되는 하부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격벽에는 볼 전동체를 지지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안착 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는 마주보는 상기 상부 격벽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마주보는 상기 상부 격벽의 각각의 측면과, 상기 지지다리의 전면과, 그리고 상기 안착 날개의 내측면은 상기 볼 전동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볼 전동체의 중심을 향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격벽은 반경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격벽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볼 전동체을 지지하도록 그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모서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격벽의 양 측면은 상기 볼 전동체와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격벽의 양 측면은 금형 사출 공정이 용이하도록 직사각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마주보는 상기 하부 격벽의 원주 방향 사이에는 상기 볼 전동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안착 날개는 축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분선은 상기 볼 전동체의 중심보다 반경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분선은 상기 볼 전동체의 중심을 지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깊은 홈 볼 베어링은 원통 형상의 내륜;상기 내륜으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이격된 외륜;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에 형성된 원호의 홈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볼 전동체; 그리고 상기 볼 전동체를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볼 베어링 케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볼 베어링 케이지는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격벽;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설정된 구분선을 기준으로 반경 외측에 형성된 상부 격벽; 및 상기 구분선을 기준으로 반경 내측에 형성되는 하부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격벽에는 볼 전동체를 지지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안착 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볼 베어링 케이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금형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지를 금형으로부터 분리할 때 안착 날개에서 발생되는 균열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륜과 외륜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체들은 안정적으로 케이지 내측에 수용되는 한편, 케이지가 그 파손에 의해 볼 베어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에 전동체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내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에 전동체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외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의 사출 공정을 보여주는 내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의 사출 공정을 보여주는 외측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케이지의 사출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의 좌측은 '일측', '일단', '일단부'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며, 도면의 우측은 '타측', '타단', '타단부'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10)는 대체적으로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위 케이지(10)의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서 케이지(10)가 놓인 평면에 수직한 방향은 "축 방향"으로 정의하고, 케이지(10)의 반경 외측에 가까운 부분은 "상측" 그리고 케이지(10)의 반경 내측에 가까운 부분은 "하측"으로 정의한다.
케이지(10)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기둥 형상의 복수 개의 격벽(20)과, 위 이웃하는 격벽(2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다리(30)를 포함한다.
위 복수 개의 격벽(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가상선인 구분선(P)을 기준으로 반경 외측에 형성되는 상부 격벽(21)과, 상부 격벽(21)의 반경 내측에 형성되는 하부 격벽(23)을 포함한다. 상부 격벽(21)은 반경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 방향 폭이 넓어지게 되는 상광하협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격벽(23)은 직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 상부 격벽(21)의 양 측면(121)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 격벽(23)의 양 측면(123)은 직사각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격벽(20)의 구조로 인하여, 전동체가 하부 격벽(23)의 양 측면(123) 사이로 삽입되고, 삽입된 전동체는 위 상부 격벽(21)의 사이에 고정되어 반경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하부 격벽(23)의 양 측면(123)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출 성형 시 용이하게 금형의 탈형이 가능하다.
마주보는 하부 격벽(23)의 원주방향 양 측부에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안착 날개(50)가 형성된다. 하부 격벽(23)에 형성된 한 쌍의 안착 날개(50) 중의 하나와 이웃하는 다른 하부 격벽(23)의 안착 날개(50) 중의 하나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위 안착 날개(50)는 하부 격벽(23)의 측부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더 돌출된 형상으로, 그 내측면(51)이 구형의 전동체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만곡되게 형성된다.
내측면(51)은 하부 격벽(23)의 양측면(123)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위 안착 날개(50)는 축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 날개(50)가 시작되는 부분의 폭(d1)은 안착 날개(50)의 단부의 폭(d2)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 날개(50)의 사출 공정에서, 금형을 제거하게 될 때, 위 금형과 안착 날개(50)의 간섭에 의하여 안착 날개(50)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지지다리(30)는 이웃 하는 상부 격벽(21)의 사이를 연결하며, 그 전면(31)은 반경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지지다리(30)는 상부 격벽(21)의 사이에만 형성됨으로써, 케이지(10)의 원가 절감 및 전체 중량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격벽(23)의 사이에는 빈 공간(S)이 형성된다. 이 빈 공간(S)으로 인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는 전동체에 발생하는 열이 쉽게 발산될 수 있다.
위 하부 격벽(23)에 형성된 안착 날개(50)와 지지다리(30)의 전면(31)은 전동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볼 포켓(60)을 정의한다. 전동체가 볼 포켓(60)에 장착되는 상태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4를 참고로 더욱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볼 전동체(70)가 케이지(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케이지(10)의 반경 내측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볼 전동체(70)가 케이지(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케이지(10)의 반경 외측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볼 전동체(70)는 케이지(10)의 반경 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볼 포켓(60)에 안착되며, 볼 전동체(70)의 반경 내측 부분은 하부 격벽(23)에 형성된 안착 날개(5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 때, 볼 전동체(70)는 곡면이 형성된 안착 날개(50)의 내측면(51)에는 접촉하지만, 하부 격벽(23)의 양 측면(123)에는 접촉하지 않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볼 전동체(70)의 반경 외측 부분은 그 후방이 지지다리(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부 격벽(21)의 양측 단부에는 모서리(27)이 형성되어 있는데, 볼 전동체(70)는 이 모서리(27)에 접촉하게 되어,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의 사출 공정을 보여주는 내측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의 사출 공정을 보여주는 외측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케이지(10)를 사출 성형할 때, 반경 내측 부분과 반경 외측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10)는 금형(80)에 의하여 사출 제작된다. 즉, 금형(80)의 내측으로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케이지(10)의 형상으로 경화시키고, 응고되어 형성된 케이지(10)로부터 금형(80)을 다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안착 날개는 격벽(20)의 반경 방향 폭과 동일한 너비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격벽(20)들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다리도 격벽(20)의 반경 방향 두께와 동일한 너비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케이지(10)는 중량이 증대되고, 볼 전동체(7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위 안착 날개의 폭이 격벽(20)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케이지(10)를 사출 성형하는 공정에서, 금형(80)을 케이지(10)로부터 분리할 때, 안착 날개의 측부와 금형(80)이 서로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안착 날개에 균열 또는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격벽(20)은 구분선(P)을 기준으로 상부 격벽(21)과 하부 격벽(23)으로 분리되고, 안착 날개(50)는 구분선(P)를 기준으로 반경 내측에 형성된 하부 격벽(23)의 양 측부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위 구분선(P)은 안착 날개(50)의 반경 방향 연장 길이(폭)에 대한 기준선으로 볼 수 있다. 즉, 위 구분선(P)을 따라, 안착 날개(50)의 폭이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위 금형(80)을 안착 날개(50)로부터 분리할 때, 금형(80)에 간섭하는 안착 날개(50)의 접촉 면적이 작게 되어, 응력이 작게 걸리게 된다. 따라서, 케이지(10)의 사출 성형 시, 안착 날개(50)의 파손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 때, 위 구분선(P)은 볼 전동체(70)의 중심(O)을 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만일, 구분선(P)이 볼 전동체(70)의 중심(O)보다 반경 외측을 지나도록 설정하게 된다면, 케이지(10)의 사출 성형 공정에서 위 안착 날개(50)가 차지하는 폭이 커지게 되므로 파손될 염려가 있다. 반면, 구분선(P)이 볼 전동체(70)의 중심(O)보다 반경 내측으로 설정된다면, 안착 날개(50)의 폭이 작아지게 되어 볼 전동체(70)를 제대로 지지할 수 없게 되는 한편, 그 강성을 유지할 수 없게된다. 따라서, 위 구분선(P)은 안착 날개(50)의 강성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최적의 폭을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를 위해, 위 구분선(P)은 볼 전동체(70)의 중심(O)을 지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 구분선(P)은 안착 날개(50)의 강성을 유지하는 한도에서 위 중심(O)보다 반경 내측 또는 외측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격벽(23)의 양 측면(123)은 직사각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출 시 금형(80)을 간섭하지 않게 되고, 보다 유리한 사출 성형이 가능하게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격벽(21)의 사이에는 지지다리(30)로 연결하되, 하부 격벽(21)의 사이에는 빈 공간(S)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지(10)의 원가 및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방열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위 안착 날개(50)의 본질적인 기능은 볼 전동체(70)를 지지하는 것인데, 위와 같이, 안착 날개(50)를 하부 격벽(23)에만 형성하더라도, 상부 격벽(21)의 원주 방향 사이에 형성된 지지다리(30)의 전면(31)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볼 전동체(7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케이지(10)는 깊은 홈 볼 베어링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원통 형상의 내륜과, 내륜으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외륜과, 그리고 내륜과 외륜에 형성된 원호의 홈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볼 전동체(70)를 포함하는 깊은 홈 볼 베어링에서, 위 볼 전동체(70)를 원주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위 케이지(10)를 설치할 수 있다. 사출 공정에서 내구성이 향상된 케이지(10)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깊은 홈 볼 베어링의 구동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크기 및 무게에 있어 최적의 구조로 볼 전동체(70)를 지지하는 케이지(10)가 적용되어, 깊은 홈 볼 베어링의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지(10)는 깊은 홈 볼 베어링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베어링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15)

  1.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격벽과,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링 형상의 볼 베어링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설정된 구분선을 기준으로 반경 외측에 형성된 상부 격벽; 및
    상기 구분선을 기준으로 반경 내측에 형성되는 하부 격벽;
    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격벽에는 볼 전동체를 지지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안착 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마주보는 상기 상부 격벽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 케이지.
  3. 제2항에 있어서,
    마주보는 상기 상부 격벽의 각각의 측면과, 상기 지지다리의 전면과, 그리고 상기 안착 날개의 내측면은 상기 볼 전동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볼 전동체의 중심을 향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 케이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격벽은 반경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방향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 케이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격벽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볼 전동체을 지지하도록 그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모서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 케이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의 양 측면은 상기 볼 전동체와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 케이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의 양 측면은 금형 사출 공정이 용이하도록 직사각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 케이지.
  8. 제7항에 있어서,
    마주보는 상기 하부 격벽의 원주 방향 사이에는 상기 볼 전동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 케이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날개는 축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 케이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선은 상기 볼 전동체의 중심보다 반경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 케이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선은 상기 볼 전동체의 중심을 지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 케이지.
  12. 원통 형상의 내륜;
    상기 내륜으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이격된 외륜;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에 형성된 원호의 홈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볼 전동체; 그리고
    상기 볼 전동체를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볼 베어링 케이지;
    를 포함하고,
    상기 볼 베어링 케이지는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격벽;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
    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설정된 구분선을 기준으로 반경 외측에 형성된 상부 격벽; 및
    상기 구분선을 기준으로 반경 내측에 형성되는 하부 격벽;
    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격벽에는 볼 전동체를 지지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안착 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은 홈 볼 베어링.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마주보는 상기 상부 격벽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은 홈 볼 베어링.
  14. 제13항에 있어서,
    마주보는 상기 상부 격벽의 각각의 측면과, 상기 지지다리의 전면과, 그리고 상기 안착 날개의 내측면은 상기 볼 전동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볼 전동체의 중심을 향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은 홈 볼 베어링.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볼 베어링 케이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금형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

KR1020160030329A 2016-03-14 2016-03-14 볼 베어링 케이지 KR101826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329A KR101826197B1 (ko) 2016-03-14 2016-03-14 볼 베어링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329A KR101826197B1 (ko) 2016-03-14 2016-03-14 볼 베어링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779A true KR20170106779A (ko) 2017-09-22
KR101826197B1 KR101826197B1 (ko) 2018-02-06

Family

ID=6003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329A KR101826197B1 (ko) 2016-03-14 2016-03-14 볼 베어링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930B1 (ko) * 2022-04-11 2022-10-24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베어링 리테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2424A (ja) * 2012-01-10 2013-07-22 Jtekt Corp 樹脂製保持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930B1 (ko) * 2022-04-11 2022-10-24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베어링 리테이너
WO2023200188A1 (ko) * 2022-04-11 2023-10-19 위아코퍼레이션 주식회사 베어링 리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197B1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1761B2 (en) Split cage for rolling bearing and rolling bearing using the split cage
US8770853B2 (en) Split cage for rolling bearing
US7524116B2 (en) Cage for tapered ball bearings
US8641291B2 (en) Comb-shaped resin retainer and roller bearing
US7674045B2 (en) Cage for inclined ball bearings
US11035409B2 (en) Bearing unit with retaining cage
US10001170B2 (en) Rolling bearing
JP2015048874A (ja) 玉軸受用保持器
KR20180041185A (ko) 원추 롤러 베어링 및 원추 롤러 베어링의 제조 방법
KR20200139683A (ko) 볼 베어링 케이지 및 볼 베어링
KR101826197B1 (ko) 볼 베어링 케이지
JP5123554B2 (ja) ベアリングボールケージ
KR102045291B1 (ko) 원심력에 대한 개선된 변형 저항을 가지는 볼 베어링용 케이지
KR101826198B1 (ko) 볼 베어링 케이지
US10907686B2 (en) Flexible cage for rolling bearing
JP7069577B2 (ja) 深溝玉軸受用冠型樹脂保持器
JP2014040916A (ja) 転がり軸受用ケージ、転がり軸受及び自動車用電気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
US20180328197A1 (en) Stator
JP2011127713A (ja) 玉軸受用保持器およびこれを備える玉軸受
JP2998626B2 (ja) アンギュラ型玉軸受用合成樹脂製保持器
JP2016180430A (ja) 保持器及び玉軸受
JP2020133741A (ja) 傾斜型冠形保持器及びアンギュラ玉軸受
US11193538B2 (en) Bearing cage assembly including stiffening ring
WO2023277098A1 (ja) 円錐ころ軸受
WO2024047920A1 (ja) 冠型保持器及び玉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