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104A - 구강용 제제 - Google Patents

구강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104A
KR20170106104A KR1020160029820A KR20160029820A KR20170106104A KR 20170106104 A KR20170106104 A KR 20170106104A KR 1020160029820 A KR1020160029820 A KR 1020160029820A KR 20160029820 A KR20160029820 A KR 20160029820A KR 20170106104 A KR20170106104 A KR 20170106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eeth
polymer
vitami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372B1 (ko
Inventor
김지영
안재현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2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37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US16/069,325 priority patent/US10925830B2/en
Priority to EP17738649.7A priority patent/EP3403644B1/en
Priority to CN201780006327.1A priority patent/CN108472251B/zh
Priority to CN202210026652.7A priority patent/CN114306214A/zh
Priority to PCT/KR2017/000409 priority patent/WO2017123020A2/ko
Priority to JP2018536506A priority patent/JP6882303B2/ja
Priority to AU2017206470A priority patent/AU2017206470B2/en
Priority to CN202210026648.0A priority patent/CN114344249A/zh
Priority to TW106101310A priority patent/TWI776797B/zh
Publication of KR20170106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104A/ko
Priority to KR1020190146530A priority patent/KR102305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372B1/ko
Priority to US17/148,043 priority patent/US11872310B2/en
Priority to JP2021077632A priority patent/JP7254854B2/ja
Priority to JP2023053873A priority patent/JP2023073411A/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6Fluorin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에 있어서, 유효성분, 상전이 고분자, 및 수불용성이면서 에탄올에 용해되는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제는 용제로 에탄올을 포함하며, 액상으로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에 도포되고, 구강 내 액에 의해 상전이되어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에 부착성을 갖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치아의 틈새나 치아의 굴곡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부위에 높은 밀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높은 밀착력을 갖는 본 발명의 제제는 구강 내 타겟 부위에 밀착되는 시간을 증가시켜 목적으로 하는 효과 달성이 유리하다.

Description

구강용 제제{Oral formulation}
본 발명은 구강 내 약물 전달을 위한 제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내 치아 틈새와 같이, 접근이 곤란한 부위에 약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타겟 부위에 충분히 머무르면서 약물 전달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구강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구강 유효 성분을 구강 내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유효성분과의 접촉시간 및 전달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치약과 같은 페이스트 제형은 점도가 충분하지 않고 용해도가 높아 타겟 부위에 충분한 접촉시간을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구강 내 약물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마우스 트레이는 이물감이 심하고 형태 특성상 국부적 약물 전달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패치 형태 또는 스트립 형태는 얇아서 충분한 유효성분 전달이 어렵고, 유연성이 떨어져, 치아틈새, 잇몸과 치아 경계 부위 등의 밀착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치아틈새, 잇몸과 치아 경계 부위 등의 밀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3859호는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나, 사용 시 치아 표면에 도포할 때 흐름성이 강하여 별도의 지지층을 구비하여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WO 2003/037276는 초기 점도가 낮아 spray형태로 구강 내 도포하는 제제를 개시하고 있는데, 일반 보관 온도(특히 여름)와 구강 내 온도차이가 적고, 매우 얇게 발리지 않으면 빠른 상전이가 일어나지 않아 제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US 5,989,569은 strip의 표면에 약물을 도포하여 압력에 의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strip의 표면에 약물을 도포하여 그대로 치아에 부착하므로 약효성분이 일시적으로 방출되는 효과가 있고, 치아 주변 잇몸 등에 강한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Strip과 도포하는 약물의 물성, 특히 유연성이 달라서, 치아 틈새의 밀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사용이 편리하면서 구강 내로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제제를 개발하고자 오랜 기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기존의 상전이를 이용한 구강 내 유효성분 전달 시스템은, 처방 내 에탄올과 폴리올, 그리고 구강 내 침이 만나서 상전이가 일어나는데, 빠른 상전이를 위해서는 두껍게 바를 수 없기 때문에 겔 타입이나 스프레이 타입으로 가능한 얇게 원하는 타겟에 도포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러한 상전이 특성은, 치아 틈새 및 치아/잇몸의 경계 부위 등에 잘 스며들어서 약물 전달이 가능한 것은 장점이지만, 너무 얇은 두께는 충분한 양의 약물 전달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 원하는 부위에 부착이 용이하고, 충분한 접촉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구강 부착용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치아 및 치아 주변 부위에 바르는 동안에는 액상으로 치아 틈새 및 치아/잇몸 사이에 잘 스며들고, 충분한 밀착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초기 부착 시에는 치아표면과 치아와 잇몸 경계뿐만 아니라, 치아와 치아 틈새 사이까지 우수하게 밀착할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제거가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구강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제는 유효성분, 상전이 고분자, 및 수불용성이면서 에탄올에 용해되는 고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액상으로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에 도포되고, 도포 후 구강 내 타액과 접촉하여 상전이되어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에 부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용제로 에탄올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제제는 물에는 전혀 용해되지 않거나 물에는 일정한 조건(예를 들면 물과 에탄올의 일정한 비율(예를 들어, 에탄올과 물의 혼합물에서 에탄올의 함량이 80% 이상) 또는 일정한 pH조건에서만)에서만 용해되면서, 에탄올에는 용해되는 고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제는 상기 수불용성이면서 에탄올에 용해되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불용성이면서 에탄올에 용해되는 고분자는 35 내지 38℃의 온도, pH 7 조건에서 물에 용해되지 않고, 에탄올에서는 용해되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에 도포 시에는 우수한 발림성을 제공하고 구강 내에서 일정 시간 경과한 후에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에 부착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제제 내에 포함된 성분들이 타액과 접촉하여 상전이를 유도함과 동시에, 수불용성이면서 에탄올에 용해되는 고분자를 함께 사용하여 타겟 부위에 많은 양을 로딩(loading)하여 두껍게 도포되더라도 제제가 빠르게 굳어지고 구강 내 타겟 부위에 충분한 시간동안 부착성을 가질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제제는 다습한 구강 내에서 제제의 용해도 변화가 일어나서 즉, 제제의 용매인 에탄올에는 용해되어 있다가 구강 내 다량의 pH 7 이하의 물(침)과 접촉하면서 용해도가 떨어져서 구강 내 타겟 부위에 충분한 시간동안 머물러 있을 수 있어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구강 내 도포 직후엔 흐름성이 우수한 액상 형태이며, 치아 틈새 및 치아/잇몸 경계부위에 잘 스며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도포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타액과 반응하여 제제가 점차 굳어지게 되고 겔(gel)화되어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겔(gel)화”는 졸(sol)이 겔로 변하는 현상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계(系)의 뚜렷한 탄성 증가 또는 점성도 상승을 수반하는 현상들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타액과 접촉하여 액상이 점차 굳어지는 현상을 포함하며, 겔화로 탄성도나 점도가 어느 정도 증가되는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상전이 고분자는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glyceryl monooleate),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이트(glyceryl monolinoleate), 글리세릴 모노아라키도네이트(glyceryl monoarachidonate),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모노글리세라이드(monoglycerides)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 및/또는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상전이 고분자는 수분과 접촉하여 상전이를 유도하는 본 발명의 목적상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전이 고분자는 제제 총 중량 대비 중량 대비 5 내지 8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소량의 물 또는 타액과 접촉시 상전이의 특징이 있어 본 발명의 목적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제는 에탄올에만 녹고 물에는 거의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를 함께 사용하고, 상기 에탄올에만 용해되는 고분자들도 물과 접촉 시 soluble phase에서 insoluble phase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상기 에탄올에만 용해되는 고분자들도 다른 의미의 상전이가 일어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함량범위로 제제 내에 상전이 고분자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수불용성이면서 에탄올에 용해되는 고분자는, 에탄올에는 용해되지만 a) 물에는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 또는 b) 통상적으로 물에 용해되지 않지만 구강 내 pH(pH 7)보다 높은 pH와 같은 특정 조건에서 물에 용해되는 고분자 예를 들면 산성 조건인 위(stomach), 중성 조건인 제형 내에서는 녹지 않지만, 염기성 조건인 장(intestine)에서만 녹는 통상적인 enteric coating polymer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 통상적으로 물에 용해되지 않지만 일반적인 구강 pH 보다 높은 조건과 같은 특정 조건에서 물에 용해되는 고분자는 에탄올에 용해되고, pH 7 이하의 물에는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온도와 수분의 함량에 따라 상전이가 되는 특징이 있고, 상이 변함에 따라 구조적인 형태 및 물성을 달리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모노글리세라이드가 상전이가 나타나게 되면 유동성이 있는 구조에서 유동성이 없고 부착성을 갖는 고형구조로 된다. 그러나, 모노글리세라이드가 빠르게 상전이하기 위해서는 두껍게 바를 수 없기 때문에 스프레이 타입으로 가능한 얇게 원하는 타겟에 도포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모노글리세라이드를 이용한 상전이 제제는 너무 얇은 두께로 충분한 양의 약물 전달에는 부적합하였고, 일부 구취제거제와 같이 충분한 부착시간을 통한 약물 전달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제제에서 일부만 사용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충분한 부착시간을 확보하면서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상기 물에는 용해되지 않고 에탄올에 용해되는 고분자는, 에틸 셀룰로오즈(ethyl cellulose), 피브이엠/엠에이코폴리머부틸에스터(Buthyl ester of PVM/MA copolymer),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비닐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polyvinyl acetate phthalate), 쉘락(shellac), 로진(rosin),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예를 들어, EUDRAGIT® L100, L100-55),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 셀룰로오즈(ethyl cellulose), 피브이엠/엠에이코폴리머부틸에스터(Buthyl ester of PVM/MA copolymer),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예를 들어 구강 내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치아 미백 성분, 불소 이온 공급원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성분, 치석 생성 억제 성분, 항염증 성분, 항균 성분, 기타 비타민, 미네랄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린이 개선 및 증상완화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불화주석(stannous fluoride), 불화인듐(indium fluoride), 불화아민(amine fluoride), 및 일불화인산나트륨(sodium monofluoro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불소 이온 공급원;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을 포함하는 재광화제(reminerlaization agent); 치아 미백 성분으로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과붕산염(perborate), 과탄산염(percarbonate), 퍼옥시산(peroxyacids), 과황산염(persulfates), 아염소산칼슘(calcium chlorite), 아염소산바륨(barium chlorite), 아염소산마그네슘(magnesium chlorite), 아염소산리튬(lithium chlorite), 아염소산나트륨(sodium chlori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미백 효과 향상을 위해 축합인산염을 과산화물과 함께 사용가능한데, 사용 가능한 축합인산염으로는, 피로인산나트륨 (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pyrophosphate),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산성 메타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metaphosphate), 산성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polyphosphate)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상기 과산화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축합인산염들은 치석제거나 치석형성억제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킬레이팅제로서 치아의 stain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금속을 제거해 줌에 의해 미백 효과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트리클로산(triclosa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알렉시딘(alexidine), 헥세티딘(hexetidine), 산귀나린(sanguinarine),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살리실아닐리드(salicylanilide), 브롬화도미펜(domiphen bromide), 염화세틸피리디늄(cetylpyridinium chloride, CPC), 염화테트라데실피리디늄(tetradecylpyridinium chloride, TPC)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미생물제; 아스피린(aspirin), 케토롤락(ketorolac), 플루비프로펜(flurbiprofen), 피록시캄(piroxicam), 메클로페남산(meclofenam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또는 티아민(thiamine), 리보플라빈(riboflavin), 니코틴산(nicotinic acid),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피리독신(pyridoxine), 바이오틴(biotin), 엽산(folic acid), 비타민 B12(vitamin B12), 리포산(lipoic acid),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비타민 A(vitamin A), 비타민 D(vitamin D), 비타민 E(vitamin E), 비타민 K(vitamin K)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치주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약물로는, 옥수수 불검화 정량 추출물, 후박 추출물, 몰약, 라타니아, 카모밀레, 폴리크레졸렌, 센텔라 정량 추출물 육두구 추출물, 덱스판테놀(dexpanthenol),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아세틸 살리실릭산(acetyl salicylic acid) 등을 단독 또는 일정비의 혼합물로 포함할 수 있다. 시린이 증상 개선 및 완화 성분으로는, 염화아연, 인산칼륨, 이인산칼륨, 염화칼슘, 옥살산, 옥살산 칼륨, 옥살산철(ferric oxalate), 비타민 E 등을 단독 또는 2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이 구강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으며, 분산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진 경우도 본 발명의 혼합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은 물에는 잘 용해되지 않고, 에탄올에만 용해되는 유효성분이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유효성분은 물에 잘 녹지 않고 물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유효성분들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제는 통상적으로 흘러내리는 용액이나 겔의 점성과 유사한 점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Brookfield Viscometer로 상온에서 RV6 spindle로 speed 20으로 측정시 10,000이하, 바람직하게는 5,000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000의 점성(cPs)을 가질 수 있다.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타액과 만나기 전에는 상기 점도 범위를 가지다가, 치아 또는 구강 내에 도포된 후 치아 또는 구강 내 조직에 부착성을 갖는 겔 또는 고체로 상변이가 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상변이는 바람직하게 구강 내 온도 조건, 바람직하게 36 내지 38℃의 온도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점성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Brookfield 점도계를 사용하여, RV6스핀들, 상온 또는 구강 온도 조건에서 점도를 측정한 결과로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점성은 점도를 갖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점성과 점도는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단위는 cPs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본 발명의 수불용성이면서 에탄올에 용해되는 고분자 및 본 발명의 상전이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일 실시예에서,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glyceryl monooleate),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이트(glyceryl monolinoleate), 글리세릴 모노아라키도네이트(glyceryl monoarachidonate),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고분자; 및 에틸 셀룰로오즈, 피브이엠/엠에이코폴리머부틸에스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쉘락, 로진,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고분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아 주변부'는 일반적으로 잇몸으로 표현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치아 주변부의 점막 부위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치아 주변부는 제제의 구조상 치아에 제제가 도포될 때 치아와 함께 구강 내 전달을 위한 유효성분이 함께 전달될 수 있는 부위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를 '치아'와 혼용하여 기재하였으며, '치아'로만 기재되어 있더라도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제'는 유효성분의 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치료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가공하여 만들어진 제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아에 도포된다'는 의미는 본 발명의 제제를 치아 또는 주변부의 일부에라도 접촉하게 되는 경우라면 도포라는 의미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구강 내로 약효 성분을 전달할 수 있는 약물 전달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새로운 형태의 약물 전달 시스템,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강 내로 약효 성분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제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에서 제거하는 시점에 brush-off로 제거해줄 수 있다. 통상적인 칫솔질과 같은 외부 자극이나 압력에 의해 본 발명의 제제는 탈락될 수 있다. brush-off를 위한 도구는 예를 들어 칫솔, 스펀지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제는 치아의 틈새나 치아의 굴곡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부위에 높은 밀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치아 틈새에도 우수하게 밀착될 수 있어 약물 전달 효율이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상전이 물질을 포함하는 구강제제는 부착부위와 충분한 contact time을 확보할 수 없을 정도로 얇은 두께로 도포되어야 하였으나, 본 발명은 두껍게 발려도 다습한 구강 내에서 제제의 용해도가 빠르게 전환되어(soluble -> insoluble) 이루어져 충분한 contact time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포 후 약물 도달부위와 본 발명의 제제의 접촉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목적으로 하는 효능을 달성하는데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는 중량%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강용 제제의 제조]
아래의 조성을 갖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구강용 제제를 제조하거나 구입하였다.
Figure pat00001
비교예4: 파로돈탁스
비교예5: 메디안 인텐시브 미백 겔 (폴리비닐 피롤리돈, 에탄올, 물 등)
비교예 6: P&G Sensi Stop
상기 표 1의 실시예와 비교예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에탄올 용매를 50도 부근으로 온도를 높이고 고분자의 분산과 용해를 돕기 위해 mechanical stirrer로 일정한 rpm으로 회전하면서 고분자들을 녹여주고 특히 다량으로 들어있고 용해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고분자(예를 들면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를 먼저 녹여주고 다른 고분자도 녹여주고 다른 성분들 및 유효성분을 넣어서 균일한 용액 또는 겔을 만들어준다.
<용해속도 및 잔존량 평가>
1. 별도의 물리력이 없이 고온 다습한 구강 조건안에서의 용해도 평가
고온 다습한 구강 내에서 유지시간을 평가하기 위하여, hydroxyapatite table(직경 1cm)으로 만든 인조 치아를 실리콘 몰딩으로 고정시킨 것 위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5를 각각 0.5g씩 loading 시키고 온도 37 ℃, 습도 95% 항온 항습기에 넣어두었을 때 완전히 용해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6은 패치 형태로 별도 용해 실험은 진행하지 않았다.
2. 흐르는 타액과 같은 물리력이 작용하게 한 인공 타액에서의 용해도 평가
hydroxyapatite table(직경 1cm)으로 만든 인조 치아를 실리콘 몰딩으로 고정시킨 것 위에, 실시예 1~3및 비교예 1~5를 각각 1g씩 loading 시키고, 타액에 의한 유지 시간을 평가하기 위해 인공 타액을 1ml/min의 속도로 위에서 아래로 흘려 보냈을 경우 완전히 용해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별도의 물리력이 없이 고온 다습한 조건 안에서의 용해도 평가 결과와 흐르는 타액과 같은 물리력이 작용하게 한 인공 타액에서의 용해도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완전 용해(붕해) 시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37 ℃, 95% 조건 방치 >30분 > 30분 >30분 <6분 <5분 <5분 3분 2분
인공타액1ml/min 흐르는 조건 > 30분 > 30분 > 30분 15분 10분 15분 2분 1분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3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완전 용해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비교예의 경우 실험결과 쉽게 용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 평가>
1. 임상적 시린이 또는 잇몸 통증 개선 설문평가
1) 실험대상 및 사용법: 실시예 1과 3, 비교예 1, 및 3-5는 하루1번 10분동안 시린이 또는 잇몸 통증 부위에 바르거나 부착해 준 후 제거하도록 하였다.
2) 각군당 시린이 또는 잇몸 통증을 느끼는 15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1주일간 사용 후 5점 리커드 척도로 설문평가를 실시하였음.
3) 척도기준
5점: 제품을 적용한 시린이 또는 잇몸 통증 부위 모두에서 통증 개선효과가 한달 지속되었다.
4점: 제품을 적용한 시린이 또는 잇몸 통증 부위 모두에서 통증 개선효과를 확실히 느꼈다.
3점: 제품을 적용한 시린이 또는 잇몸 통증 부위 한 곳 이상에서 통증 개선효과를 확실히 느꼈다.
2점: 사용하기 전보다 찬 음식에 대해 시린이가 덜 민감해지거나 또는 잇몸 통증이 줄어든 것을 느꼈다.
1점: 시린이나 잇몸 통증 개선효과를 느끼지 못했다.
2. 사람을 대상으로 한 미백 효과 체감 설문 평가
1) 실험대상 및 사용법: 실시예 2, 비교예 2 및 비교예 5는 하루 1번 30분 이상 윗니의 가운데 6개 치아 부위에 도포 후 제거하도록 하였다.
2) 각군당 평소에 치아가 누렇다고 생각되어 치아 미백의 필요를 느끼는 15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1주일간 사용 후 부착하지 않은 아랫니와 비교시 체감 미백효과를 5점 리커드 척도로 설문평가를 실시하였음.
3) 척도기준
5점: 사용하기 전보다 부착하지 않은 아랫니에 비해 5일 이내에 확실한 미백효과를 체감했다.
4점: 사용하기 전보다 부착하지 않은 아랫니에 비해 5일 이내에 확실히 밝아진 것을 느꼈다.
3점: 사용하기 전보다 부착하지 않은 아랫니에 비해 일주일 사용시 확실히 밝아진 것을 느꼈다.
2점: 사용하기 전보다 부착하지 않은 아랫니에 비해 좀 밝아진 것을 느꼈다.
1점: 사용하기 전과 차이를 모르겠다.
3. 평가 결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시린이개선 5 3 3
미백효과 4.5 3 2
치은염개선 4 2 2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조성을 갖는 제제는 약효성분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고, 충분한 부착시간을 확보하여 우수한 효능을 가져올 수 있다.

Claims (8)

  1.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유효성분, 상전이 고분자, 및 수불용성이면서 에탄올에 용해되는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제는 용제로 에탄올을 포함하며,
    상기 제제는 액상으로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에 도포되고, 구강 내 타액에 의해 상전이되어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에 부착성을 갖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전이 고분자는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glyceryl monooleate),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이트(glyceryl monolinoleate), 글리세릴 모노아라키도네이트(glyceryl monoarachidonate),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전이 고분자는 상기 제제의 총 중량 대비 5 내지 8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으로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불화주석(stannous fluoride), 불화인듐(indium fluoride), 불화아민(amine fluoride), 일불화인산나트륨(sodium monofluorophosphate), 피로인산나트륨 (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pyrophosphate),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산성 메타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metaphosphate), 산성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polyphosphate), 트리클로산(triclosa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알렉시딘(alexidine), 헥세티딘(hexetidine), 산귀나린(sanguinarine),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살리실아닐리드(salicylanilide), 브롬화도미펜(domiphen bromide), 염화세틸피리디늄(cetylpyridinium chloride, CPC), 염화테트라데실피리디늄(tetradecylpyridinium chloride, TPC), 아스피린(aspirin), 케토롤락(ketorolac), 플루비프로펜(flurbiprofen), 피록시캄(piroxicam), 메클로페남산(meclofenamic acid), 티아민(thiamine), 리보플라빈(riboflavin), 니코틴산(nicotinic acid),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피리독신(pyridoxine), 바이오틴(biotin), 엽산(folic acid), 비타민 B12(vitamin B12), 리포산(lipoic acid),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비타민 A(vitamin A), 비타민 D(vitamin D), 비타민 E(vitamin E), 비타민 K(vitamin K), 옥수수 불검화 정량 추출물, 후박 추출물, 몰약, 라타니아, 카모밀레, 폴리크레졸렌, 센텔라 정량 추출물, 육두구 추출물, 덱스판테놀(dexpanthenol),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아세틸 살리실릭산(acetyl salicylic acid), 염화아연, 인산칼륨, 이인산칼륨, 염화칼슘, 옥살산, 옥살산 칼륨, 옥살산철(ferric oxalate), 비타민 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불용성이면서 에탄올에 용해되는 고분자는, 에틸 셀룰로오즈, 피브이엠/엠에이코폴리머부틸에스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쉘락, 로진,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6. 수분과 접촉하기 전에는 10,000cPs 이하의 점성을 가지다가,
    치아 또는 구강 내에 도포된 후 치아 또는 구강 내 조직에 부착성을 갖는 겔 또는 고체로 상변이가 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수불용성이면서 에탄올에 용해되는 고분자 및 상전이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글리세릴 모노올레이트(glyceryl monooleate), 글리세릴 모노리놀레이트(glyceryl monolinoleate), 글리세릴 모노아라키도네이트(glyceryl monoarachidonate),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고분자; 및
    에틸 셀룰로오즈, 피브이엠/엠에이코폴리머부틸에스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쉘락, 로진,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고분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KR1020160029820A 2016-01-13 2016-03-11 구강용 제제 KR102048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820A KR102048372B1 (ko) 2016-03-11 2016-03-11 구강용 제제
CN202210026648.0A CN114344249A (zh) 2016-01-13 2017-01-12 口腔用制剂
CN201780006327.1A CN108472251B (zh) 2016-01-13 2017-01-12 口腔用制剂
CN202210026652.7A CN114306214A (zh) 2016-01-13 2017-01-12 口腔用制剂
PCT/KR2017/000409 WO2017123020A2 (ko) 2016-01-13 2017-01-12 구강용 제제
JP2018536506A JP6882303B2 (ja) 2016-01-13 2017-01-12 口腔用製剤
US16/069,325 US10925830B2 (en) 2016-01-13 2017-01-12 Preparation for oral cavity
EP17738649.7A EP3403644B1 (en) 2016-01-13 2017-01-12 Preparation for oral cavity
AU2017206470A AU2017206470B2 (en) 2016-01-13 2017-01-12 Preparation for oral cavity
TW106101310A TWI776797B (zh) 2016-01-13 2017-01-13 口腔用製劑
KR1020190146530A KR102305598B1 (ko) 2016-03-11 2019-11-15 구강용 제제
US17/148,043 US11872310B2 (en) 2016-01-13 2021-01-13 Preparation for oral cavity
JP2021077632A JP7254854B2 (ja) 2016-01-13 2021-04-30 口腔用製剤
JP2023053873A JP2023073411A (ja) 2016-01-13 2023-03-29 口腔用製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820A KR102048372B1 (ko) 2016-03-11 2016-03-11 구강용 제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530A Division KR102305598B1 (ko) 2016-03-11 2019-11-15 구강용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104A true KR20170106104A (ko) 2017-09-20
KR102048372B1 KR102048372B1 (ko) 2019-11-25

Family

ID=6003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820A KR102048372B1 (ko) 2016-01-13 2016-03-11 구강용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3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943A (ko) * 2019-02-13 2020-08-21 김대호 구강 세정 및 구강 케어 조성물
KR102195356B1 (ko) * 2019-08-19 2020-12-24 김영용 구강용 인산칼슘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케어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967A (ko) * 2004-09-06 2006-03-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KR20060059403A (ko) * 2004-11-29 2006-06-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KR100662203B1 (ko) * 2005-12-05 2006-12-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KR100814250B1 (ko) * 2006-11-01 2008-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동시 용해 및 겔화 정제형 구강 위생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967A (ko) * 2004-09-06 2006-03-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KR20060059403A (ko) * 2004-11-29 2006-06-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KR100662203B1 (ko) * 2005-12-05 2006-12-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KR100814250B1 (ko) * 2006-11-01 2008-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동시 용해 및 겔화 정제형 구강 위생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943A (ko) * 2019-02-13 2020-08-21 김대호 구강 세정 및 구강 케어 조성물
KR102195356B1 (ko) * 2019-08-19 2020-12-24 김영용 구강용 인산칼슘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케어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372B1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5867B (zh) 提供无定形磷酸钙的口腔护理制剂系统
US11872310B2 (en) Preparation for oral cavity
KR102445889B1 (ko) 경화 연고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제
TWI759273B (zh) 牙齒或牙齒周邊部貼附用製劑
TW201713318A (zh) 通過刷牙可去除的牙齒貼片
KR20080004649A (ko) 안정성이 강화된 상전이 구취제거제
KR100662203B1 (ko)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JP4828025B2 (ja) 歯牙知覚過敏症の治療用の含フッ化第一錫組成物
KR101808802B1 (ko) 경화 연고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제
KR102048372B1 (ko) 구강용 제제
KR102305598B1 (ko) 구강용 제제
KR102025751B1 (ko) 치아 부착용 패치
KR20190117466A (ko) 칫솔질로 제거 가능한 치아 부착용 패치
KR102010417B1 (ko) 구강용 제제
KR102089536B1 (ko) 마우스밴드
KR101964840B1 (ko) 가단성 구강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제
KR102361348B1 (ko)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KR102324872B1 (ko) 가단성 구강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제
KR102361364B1 (ko) 구강용 제제
KR20190048854A (ko) 필름형 치약
CA2544624C (en) Tooth-whitening composition
KR20190108549A (ko) 치아 부착용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