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711A -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711A
KR20170105711A KR1020160028619A KR20160028619A KR20170105711A KR 20170105711 A KR20170105711 A KR 20170105711A KR 1020160028619 A KR1020160028619 A KR 1020160028619A KR 20160028619 A KR20160028619 A KR 20160028619A KR 20170105711 A KR20170105711 A KR 20170105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friction members
pressing
frictio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479B1 (ko
Inventor
김수철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8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47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52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Clutches in which three or more axially moveable members are fixed alternately to the shafts to be coupled and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16D13/54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Clutches in which three or more axially moveable members are fixed alternately to the shafts to be coupled and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effective force between the actuating sleeve or equivalent member and the pressur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43Clutch type
    • F16D2500/1045Friction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전달부, 상기 제1전달부에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된 복수개의 제1마찰부재,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전달부, 상기 제1마찰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전달부에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된 복수개의 제2마찰부재,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1가압부재 및 제2가압부재를 갖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결합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Clutch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구동력을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클러치장치가 설치된다. 클러치장치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장치에 구비되어 변속단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100)는 제1전달부(110)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1마찰부재(120), 제2전달부(130)에 결합된 복수개의 제2마찰부재(140), 및 상기 제1마찰부재(120)들과 제2마찰부재(140)들을 가압하기 위한 피스톤(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마찰부재(120)들은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1전달부(110)에 결합된다. 상기 제1마찰부재(120)들은 상기 제1전달부(110)에서 상기 제2전달부(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전달부(110)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전달부(110)에 결합된다.
상기 제2마찰부재(140)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2전달부(130)에 결합된다. 상기 제2마찰부재(140)들은 상기 제2전달부(130)에서 상기 제1전달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전달부(130)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전달부(130)에 결합된다. 상기 제2마찰부재(140)들 및 상기 제1마찰부재(120)들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 두 개의 제2마찰부재(140) 사이에 하나의 제1마찰부재(120)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150)은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피스톤(150)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마찰부재(120)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140)들은 상기 피스톤(15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서로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달부(110) 및 상기 제2전달부(130)는 상호 간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 피스톤(150)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마찰부재(120)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140)들은 상기 피스톤(150)에 의한 가압력이 소멸됨에 따라 서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달부(110) 및 상기 제2전달부(130)는 상호 간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마찰부재(120)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140)들은 상기 피스톤(150)에 의해 반복적으로 접촉 및 이격되도록 작동함에 따라 마찰에 의해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마모 발생으로 인해, 상기 제1마찰부재(120)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140)들은 각각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150)은 기설정된 거리를 왕복 이동하도록 구현되므로, 마모된 제1마찰부재(120)들 및 제2마찰부재(140)들이 충분히 접촉되도록 가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100)는 상기 제1마찰부재(120)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140)들이 마모로 인해 구동력에 대한 전달 성능이 저하됨에 따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100)는 마모된 제1마찰부재(120)들 및 제2마찰부재(140)들에 대한 잦은 교체 작업이 요구되므로,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운영비용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교체 작업에 걸리는 작업시간으로 인해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마찰부재들에 대한 마모로 인해 구동력에 대한 전달 성능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찰부재들에 대한 교체로 인해 운영비용이 상승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고, 마찰부재들에 대한 교체 작업으로 인해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이 저하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전달부; 상기 제1전달부에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된 복수개의 제1마찰부재;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전달부; 상기 제1마찰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전달부에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된 복수개의 제2마찰부재; 상기 제1마찰부재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들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제1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결합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마찰부재들 및 제2마찰부재들에 발생한 마모를 보상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제1마찰부재들 및 제2마찰부재들에 대한 마모 발생으로 인해 구동력에 대한 전달 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마찰부재들 및 제2마찰부재들에 대한 교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작업으로 인한 유휴기를 줄임으로써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에 있어서 가압부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에 있어서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에 있어서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에 있어서 제1가압부재 및 조절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1)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미도시)에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1)는 제1전달부(2), 제2전달부(3), 제1마찰부재(4), 제2마찰부재(5), 가압부(6), 및 조절부(7)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전달부(2)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전달부(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부(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달부(2)는 상기 변속장치가 갖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부(2)는 상기 변속장치가 수행하는 변속단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부(2)는 복수개의 기어치(Gear Tooth)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2전달부(3)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전달부(3)는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달부(3)는 상기 변속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달부(3)는 상기 변속장치가 갖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달부(3)는 상기 변속장치가 수행하는 변속단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달부(3)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마찰부재(4)는 상기 제1전달부(2) 및 상기 제2전달부(3)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마찰부재(4)는 상기 제1전달부(2)에서 상기 제2전달부(3)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전달부(2)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전달부(2)에 결합된다. 상기 제1마찰부재(4) 및 상기 제1전달부(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마찰부재(4)는 상기 제1전달부(2)에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마찰부재(4)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마찰부재(4)들은 상기 제2마찰부재(5)의 두께에 비해 긴 거리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2마찰부재(5)는 상기 제1전달부(2) 및 상기 제2전달부(3)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마찰부재(5)는 상기 제2전달부(3)에서 상기 제1전달부(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전달부(3)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전달부(3)에 결합된다. 상기 제2마찰부재(5) 및 상기 제2전달부(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마찰부재(5)는 상기 제2전달부(3)에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은 상기 제1마찰부재(4)의 두께에 비해 긴 거리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마찰부재(5) 및 상기 제1마찰부재(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제2마찰부재(5) 사이에 하나의 제1마찰부재(120)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마찰부재(5) 및 상기 제1마찰부재(4)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重疊)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가압부(6)는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압부(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부(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6)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은 서로 접촉됨으로써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전달부(2) 및 상기 제2전달부(3)는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호 간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 가압부(6)는 상기 제1마찰부재(4)들 중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최외곽에 배치된 제1마찰부재(4)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6)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은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달부(2) 및 상기 제2전달부(3)는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은 서로 이격됨에 따라, 상호 간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상기 가압부(6)는 작동홈(20)에 수용된 작동유체에 의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작동홈(20)은 상기 본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작동유체는 오일(Oil)일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작동유체가 통과하기 위한 유로(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11)는 상기 작동홈(20)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6)는 상기 작동홈(20) 및 상기 제1마찰부재(4)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6) 및 상기 본체(10)의 사이에는 작동유체가 상기 가압부(6) 및 상기 제1마찰부재(4)의 사이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씰링부재(10a)가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체가 상기 유로(11)를 통해 상기 작동홈(20)에 공급되면, 상기 가압부(6)는 상기 작동홈(20)에 수용된 작동유체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체가 상기 유로(11)를 통해 상기 작동홈(20)으로부터 배출되면, 상기 가압부(6)는 상기 작동홈(20)으로부터 작동유체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6)는 제1가압부재(61) 및 제2가압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접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작동홈(20)에 수용된 작동유체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이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작동홈(20)에 수용된 작동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62)는 상기 제1가압부재(61)에 대해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마모로 인해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가 감소되면,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작동홈(20)에 수용된 작동유체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비해 더 긴 거리를 이동하여서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62)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3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제2가압부재(62)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토퍼(30)에 지지되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제2가압부재(62)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62)가 상기 스토퍼(30)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더라도,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분리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마모 발생 정도에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더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62)는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작동홈(20)에 수용된 작동유체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62)는 상기 작동홈(20)에 수용된 작동유체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62) 및 상기 스토퍼(30)의 사이에는 탄성부(8)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는 일측이 상기 제1가압부재(62)에 지지되록, 타측이 상기 스토퍼(30)에 지지된다. 상기 제2가압부재(62)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8)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의해 가압되어서 압축됨으로써 복원력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8)는 상기 작동홈(20)으로부터 작동유체가 배출되면, 복원력으로 상기 제2가압부재(62)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가압부재(62)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2가압부재(62)가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는 스프링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조절부(7)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한 상기 제1가압부재(61)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절부(7)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가압부재(62)는 상기 조절부(7)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621,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홈(621)는 상기 제1가압부재(61)를 향하는 제2가압부재(62)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7)는 상기 결합홈(6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가압부재(61)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1)는 상기 조절부(7)를 이용하여 상기 제1가압부재(61) 및 상기 제2가압부재(62)가 함께 이동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1)는 상기 조절부(7)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마모 발생으로 인해 구동력에 대한 전달 성능이 저하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1)는 상기 조절부(7)를 이용하여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교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으므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조절부(7)는 탄성적으로 압축 및 복원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가 감소되면,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조절부(7)를 탄성적으로 압축시키면서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61)에 대한 위치 변경이 완료되면, 상기 조절부(7)는 탄성력으로 복원되어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가압부재(61)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부(7)는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반면,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절부(7)는 고무, 우레탄, 바이톤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7)는 조절본체(71, 도 5에 도시됨) 및 조절부재(72,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본체(71)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절부재(71)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조절부(7)가 상기 제1가압부재(6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조절본체(71)는 상기 결합홈(6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본체(71)는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본체(71)는 볼트 체결을 통해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부재(72)는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제1가압부재(61)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절부재(72)는 상기 조절본체(71)에서 상기 제1가압부재(6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절본체(7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절본체(71)는 상기 조절본체(72)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가압부재(6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본체(72)의 외면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72)는 상기 조절본체(71)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72)는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가압부재(6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72)는 차단면(721, 도 7에 도시됨) 및 조절면(722,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면(721)은 상기 조절부재(72)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면(面)이다. 상기 차단면(721)은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제1가압부재(6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면(721) 및 상기 조절본체(71)의 외면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 721a)(도 7에 도시됨)은 직각(直角) 또는 둔각(鈍角)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72)는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차단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1)는 상기 차단면(721)을 이용하여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면(722)은 상기 조절부재(72)에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조절면(722)은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상기 제1가압부재(6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면(722) 및 상기 조절본체(71)의 외면 사이의 끼인각(722a, 도 7에 도시됨)은 예각(銳角)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72)는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면(722) 및 상기 차단면(721) 사이의 끼인각(722b)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재(72)는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반면,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절부재(72)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7)는 상기 조절부재(72)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72)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조절부(7)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조절부재(72)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73,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걸림홈(73)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조절부재(72)들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돌출부재(6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가압부재(61)에서 상기 제2가압부재(6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가압부재(6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611)는 제1걸림홈(73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홈(73a)은 상기 걸림홈(73)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홈(73a)의 양측에 위치한 조절부재(72)들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반면,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611)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면은 상기 조절부재(72)의 조절면(722)에 지지되고, 상기 돌출부재(611)에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면은 상기 조절부재(72)의 차단면(721)에 지지되기 때문이다.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웃한 걸림홈(73)에 삽입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걸림홈(73a)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한 제2걸림홈(73b, 도 7에 도시됨)에 삽입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홈(73b)은 상기 걸림홈(73)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제1걸림홈(73a)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발생한 마모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2걸림홈(73b)에 삽입되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홈(73b)의 양측에 위치한 조절부재(72)들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해 감소된 두께를 합한 감소두께가 기설정된 기준두께를 초과하면, 상기 제1걸림홈(73a)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한 제2걸림홈(73b)에 삽입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감소두께는 상기 제1마찰부재(4)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마모에 의해 감소된 두께,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마모에 의해 감소된 두께를 합한 것이다. 상기 기준두께는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이 마모로 인해 두께가 감소되더라도, 상기 가압부(6)가 충분한 가압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가압하여 접촉시킬 수 있는 두께값이다. 상기 기준두께는 상기 조절부재(72)들 간의 간격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조절부재(72)들 간의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기준두께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감소두께가 상기 기준두께 이하이면,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걸림홈(73a)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작동홈(20)에 수용된 작동유체에 의해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감소두께가 상기 기준두께를 초과하면, 상기 제1걸림홈(73a)에 삽입된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걸림홈(73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작동홈(20)에 수용된 작동유체에 의해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걸림홈(73a)에 삽입된 돌출부재(611)는 상기 감소두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걸림홈(73b)을 통과하여 상기 제2걸림홈(73b)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제3걸림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재(611)가 상기 제2걸림홈(73b)에 삽입되면, 상기 조절부재(72)들 중에서 상기 제2걸림홈(73b)에 대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조절부재(72)는, 상기 제2걸림홈(73b)에 삽입된 돌출부재(6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절부재(72)들 중에서 상기 제2걸림홈(73b)에 대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 조절부재(72)의 차단면(721)이, 상기 제2걸림홈(73b)에 삽입된 돌출부재(61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가압부재(61)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부재(7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가압부재(61)의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제1가압부재(61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향면은 상기 제1가압부재(61)에서 상기 제2가압부재(62)를 향하도록 배치된 면이다. 상기 대향면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611)는 경사면(6111, 도 7에 도시됨) 및 지지면(6112,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6111)은 상기 돌출부재(611)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경사면(6111)은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상기 조절부재(7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6111)은 상기 조절부재(72)의 조절면(72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6111) 및 상기 대향면 사이의 끼인각(6111a, 도 7에 도시됨)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6112)은 상기 돌출부재(611)에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지지면(6112)은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조절부재(7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6112)은 상기 조절부재(72)의 차단면(72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6112) 및 상기 대향면 사이의 끼인각(6112a)(도 7에 도시됨)은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차단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1)는 상기 지지면(6112)을 이용하여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6112) 및 상기 경사면(6111) 사이의 끼인각(6111b)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반면,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돌출부재(611)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돌출부재(61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61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재(611)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612,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612)은 상기 조절부재(72)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절부재(72)는 상기 삽입홈(612)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돌출부재(6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2 : 제1전달부
3 : 제2전달부 4 : 제1마찰부재
5 : 제2마찰부재 6 : 가압부
7 : 조절부 8 : 탄성부
10 : 본체 61 : 제1가압부재
62 : 제2가압부재 71 : 조절본체
72 : 조절부재 73 : 걸림홈
611 : 돌출부재 612 : 삽입홈
621 : 결합홈 721 : 차단면
722 : 조절면 6111 : 경사면
6112 : 지지면

Claims (7)

  1.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전달부(2);
    상기 제1전달부(2)에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된 복수개의 제1마찰부재(4);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전달부(3);
    상기 제1마찰부재(4)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전달부(3)에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된 복수개의 제2마찰부재(5);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제1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6); 및
    상기 가압부(6)에 결합되는 조절부(7)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6)는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가압하기 위한 제1가압부재(61), 및 상기 제1가압부재(61)에 대해 분리되어 형성된 제2가압부재(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7)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결합되되,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가압부재(61)가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가압부재(61)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2가압부재(6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재(611)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7)는 상기 제2가압부재(62)에 결합되는 조절본체(71), 상기 조절본체(71)에서 상기 제1가압부재(6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조절본체(71)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조절부재(72), 및 상기 제1축방향을 따라 상기 조절부재(72)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홈(73)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걸림홈(73)들 중에서 제1걸림홈(73a)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홈(73a)의 양측에 위치한 조절부재(72)들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재(61)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에 대한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돌출부재(611)가 제1축방향으로 이웃한 걸림홈(73)에 삽입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6)는 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가압하고,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마찰부재(4)들 및 상기 제2마찰부재(5)들을 서로 이격시키며,
    상기 조절부재(72)들은 각각 상기 제1방향을 향하는 차단면(721) 및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조절면(722)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본체(7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되고,
    상기 조절면(722) 및 상기 차단면(721)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722b)은 예각(銳角)을 이루며,
    상기 차단면(721) 및 상기 조절본체(71)의 외면 사이의 끼인각(721a)은 직각(直角) 또는 둔각(鈍角)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611)는 상기 제1방향을 향하는 경사면(6111) 및 상기 제2방향을 향하는 지지면(6112)을 포함하되, 상기 제2가압부재(62)를 향하는 상기 제1가압부재(61)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6111) 및 상기 지지면(6112) 사이의 끼인각(6111b)은 예각을 이루고,
    상기 경사면(6111) 및 상기 대향면 사이의 끼인각(611a)은 예각을 이루며,
    상기 지지면(6112) 및 상기 대향면 사이의 끼인각(612a)은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KR1020160028619A 2016-03-10 2016-03-10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KR10216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619A KR102161479B1 (ko) 2016-03-10 2016-03-10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619A KR102161479B1 (ko) 2016-03-10 2016-03-10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711A true KR20170105711A (ko) 2017-09-20
KR102161479B1 KR102161479B1 (ko) 2020-10-05

Family

ID=6003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619A KR102161479B1 (ko) 2016-03-10 2016-03-10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4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187A (ja) * 1995-03-08 1996-09-24 Nissin Kogyo Kk 液圧式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KR19980061357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의 부스터
JP2009197913A (ja) * 2008-02-21 2009-09-03 Aisin Aw Co Ltd 摩擦係合装置
KR101495818B1 (ko) * 2011-04-25 2015-03-03 씨스톤 테크놀로지스(주) 마찰요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187A (ja) * 1995-03-08 1996-09-24 Nissin Kogyo Kk 液圧式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KR19980061357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용 클러치 장치의 부스터
JP2009197913A (ja) * 2008-02-21 2009-09-03 Aisin Aw Co Ltd 摩擦係合装置
KR101495818B1 (ko) * 2011-04-25 2015-03-03 씨스톤 테크놀로지스(주) 마찰요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479B1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138B2 (en) Multi-plate clutch system
CN109236887B (zh) 一种离合器
JP2008232303A (ja) 摺動式等速ジョイント
US10088051B2 (en) Sealing arrangement with pressure-activatable pretensioning element
KR20070122392A (ko) 스풀 밸브 장치
EP1378691A2 (en) Sealing device and sliding member
KR20170105711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CN108691919B (zh) 动力传递装置
EP1566567B1 (en) Metallic belt for stepless speed changer
US20160091033A1 (en) Piston-integrated seal
JP2010133511A (ja) 密封装置
US7490991B2 (en) Guide mechanism for cylinder apparatus
JP2009121592A (ja) 流体式自動変速機のクラッチシリンダ
US7832539B2 (en) Multiple disc clutch apparatus
JP4534272B2 (ja) 車両用摩擦クラッチ装置
KR20140118249A (ko) 자동으로 간극이 조절되는 유압식 다판 클러치
KR100854284B1 (ko) 마찰요소
KR20230014428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클러치장치
JP6570466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KR101997070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장치
JP6489496B2 (ja) 密封装置
KR101664136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 브레이크 장치
WO2006021120A1 (en) Brake, particularly for rotating tables
KR102007642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어셈블리
KR20170038260A (ko) 연비저감을 위한 습식 다판 클러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