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5230A -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5230A
KR20170105230A KR1020160028165A KR20160028165A KR20170105230A KR 20170105230 A KR20170105230 A KR 20170105230A KR 1020160028165 A KR1020160028165 A KR 1020160028165A KR 20160028165 A KR20160028165 A KR 20160028165A KR 20170105230 A KR20170105230 A KR 20170105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nformation
server
management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범진
Original Assignee
최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범진 filed Critical 최범진
Priority to KR1020160028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5230A/ko
Publication of KR2017010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01R31/368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그룹 또는 개인이 휴대하거나 사용하는 다양한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면서 각각의 배터리의 교환 주기와 같은 각각의 배터리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무선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배터리 그룹(BG1, BG2, BG3)이 등록되는 등록 서버(11); 등록 서버(11)에 등록되는 각각의 배터리를 종류 또는 규격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분류 서버(12); 분류 서버(12)에 배터리 수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명 데이터베이스(16); 분류 서버(12)로부터 전송된 배터리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교환 주기를 결정하는 확인 데이터베이스(13); 확인 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서버(11)에 등록된 배터리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서버(14); 및 다양한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15)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14)는 배터리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배터리 그룹(BG1, BG2, BG3)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A System for Managing a Battery}
본 발명은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그룹 또는 개인이 휴대하거나 사용하는 다양한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면서 각각의 배터리의 교환 주기와 같은 각각의 배터리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서 배터리는 다양한 전자기기, 산업용 장치 또는 활동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필수품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축전지 형태의 이차 전지는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열화로 인하여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배터리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다수 개의 배터리가 하나의 전력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배터리의 수명이 서로 다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배터리 교환 주기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의 경우에도 배터리 교환이 요구될 수 있고, 만약 배터리 교환 주기에 비하여 빠르게 배터리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 배터리 자체 불량일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의 교환 주기가 확인되면서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 배터리 자체의 불량으로 인한 것인지 배터리의 내구성으로 인한 것인지 확인될 필요가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137110호는 전기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충전된 배터리의 교환을 위한 하우징, N개의 충전 팩, 컨버터, 연결단자, N개의 접속 단자, N개의 탈부착 커버 및 보호 커버로 구성되고,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실장되어 각각의 분리 가능한 N개의 충전 팩,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의 한 단에서 인출된 음극 단자와 상기 컨버터의 다른 단에서 인출된 양극 단자로 구성되어 상기 직류 전압을 전달하는 연결 단자,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힌지에 의해 개방이 가능한 직사각형 판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N개의 접속 단자를 하단에 형성되는 투명 재질의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팩 교환 방식의 배터리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등록번호 제10-1528079호는 전력 저장 전용인 대용량 배터리; 상기 이동 수단의 배터리와 호환 가능한 교환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배터리; 및 계통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이 상기 복수의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계통의 부하 전력, 상기 부하전력이 소비되는 시간대, 상기 계통의 전력 공급 및 수급 여부에 따른 계통이 운영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이 상기 계통에 공급되도록 상기 복수의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배터리의 교환 방식에 대하여 개시하지만 교환이 되어야하는 배터리의 교환 시기 또는 그와 관련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137110호((주)크로텍, 2010년12월30일 공개) 전기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팩 교환 방식의 배터리 장치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1528079호(두산중공업 주식회사, 2015년06월10일 공고)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및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의 운영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각각의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배터리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무선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배터리 그룹이 등록되는 등록 서버; 등록 서버에 등록되는 각각의 배터리를 종류 또는 규격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분류 서버; 분류 서버에 배터리 수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명 데이터베이스; 분류 서버로부터 전송된 배터리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교환 주기를 결정하는 확인 데이터베이스; 확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서버에 등록된 배터리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서버; 및 다양한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배터리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배터리 그룹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정보는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되고,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으로 배터리 교환 시기를 알려주는 알림 데이터가 전송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은 배터리 탐지 유닛, 배터리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정보 생성 유닛 및 알림 데이터가 저장되는 알림 데이터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터리 정보 생성 유닛으로 전송된 정보에 따라 등록된 배터리의 정보를 변경시키는 정보 변경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은 사회관계 망 서버에 와 연결되어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 열람 또는 갱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은 개인 또는 사업체가 사용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가 효율적으로 관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전자기기에 대한 배터리의 선택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에서 배터리 애플리케이션과 관리 서버 사의 상호 데이터 교환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에서 배터리는 관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배터리 그룹(BG1, BG2, BG3)이 등록되는 등록 서버(11); 등록 서버(11)에 등록되는 각각의 배터리를 종류 또는 규격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분류 서버(12); 분류 서버(12)에 배터리 수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명 데이터베이스(16); 분류 서버(12)로부터 전송된 배터리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교환 주기를 결정하는 확인 데이터베이스(13); 확인 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서버(11)에 등록된 배터리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서버(14); 및 다양한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15)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14)는 배터리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배터리 그룹(BG1, BG2, BG3)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은 개인이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배터리,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배터리, 장치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 또는 에너지 저장 장치를 위한 배터리에 적용될 수 있다. 개인의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다수 개의 배터리는 하나의 배터리 그룹(예를 들어 BG1)으로 등록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또는 드론과 같이 하나의 장치에 사용되는 다수 개의 배터리가 하나의 배터리 그룹(예를 들어 BG2)으로 등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련을 가지는 다수 개의 배터리가 하나의 배터리 그룹(BG1, BG2, BG3)으로 등록될 수 있다. 각각의 배터리 그룹(BG1, BG2, BG3)은 서로 관련성을 가지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하나의 배터리 그룹(BG1, BG2, BG3)에 속하는 다수 개의 배터리는 그룹 멤버로 등록될 수 있다.
등록 서버(11)에 등록되는 배터리는 하나의 배터리 그룹(BG1, BG2, BG3)에 속하게 되고, 등록 서버(11)는 그룹 단위로 각각의 배터리를 관리한다. 배터리 그룹(BG1, BG2, BG3)은 임의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를 서로 다른 전자기기에 사용하는 개인은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수 개의 배터리를 서로 다른 배터리 그룹(BG1, BG2, BG3)으로 등록할 수 있다. 하나의 배터리가 등록되면 등록 서버(11)는 배터리 그룹(BG1, BG2, BG3)을 새로이 생성하거나 이미 생성된 배터리 그룹(BG1, BG2, BG3)에 등록되는 배터리를 편입시킬 수 있다. 이후 분류 서버(12)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배터리 정보 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종류 또는 규격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분류 서버(12)는 배터리 수명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배터리의 종류 또는 제조일자에 따른 수명을 참조하여 배터리 수명을 결정하여 확인 데이터베이스(13)로 전송할 수 있다. 확인 데이터베이스(13)는 분류 서버(12)로부터 전송된 배터리 정보 및 수명에 기초하여 배터리 잔여 수명을 결정하면서 교환 주기를 결정하여 관리 서버(14)로 전송할 수 있고, 관리 서버(14)는 등록 서버(11)로부터 전송된 등록 배터리를 확인하여 개인 배터리 데이터베이스(17)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종류 또는 규격에 따른 다양한 배터리 관련 정보가 저장된 정보 데이터베이스(15)가 준비될 수 있다. 정보 데이터베이스(15)는 관련 전자기기에 적합한 배터리 정보, 전자기기의 사용에 따른 충전 시간, 새로운 배터리 정보 또는 배터리에 적합한 사용법과 같은 다양한 배터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회원 또는 일반인은 정보 데이터베이스(15)에 접속하여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4)는 등록 서버(11)에 등록된 각각의 배터리 그룹(BG1, BG2, BG3)에 등록된 배터리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4)는 주기적으로 배터리의 사용 연한, 교환 주기 또는 등록 배터리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 서버(14)에 대한 접속은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관리 서버(14)는 개인의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등록 배터리에 대한 정보의 획득이 가능한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의 관리는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배터리(B11 내지 B1N)가 장착된 전자기기에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전자기기에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이 설치되고, 서로 다른 배터리(B11 내지 B1N)에 대한 정보가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에 입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에 의하여 탐지된 배터리 정보가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된 배터리 등록 유닛(111)과 비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비교 유닛(112)은 탐지된 배터리 정보를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배터리 정보와 비교 또는 탐지하거나 입력된 배터리가 전자기기에 적합한 배터리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 정보는 분류 서버(12)로 전송될 수 있고, 분류 서버(12)는 교환 주기 유닛(22)으로 탐지되거나 등록된 배터리에 대한 수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분류 서버(12)는 교환 주기에 대한 정보를 알림 데이터 생성 유닛(23)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알림 데이터 생성 유닛(23)은 배터리에 대한 정보 및 획득된 교환 정보에 기초하여 교환 날짜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알림 주기 데이터를 생성하여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에 알림 주기 데이터가 저장되고 정해진 시각에 애플리케이션에 배터리 교환과 관련된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은 위에서 설명된 관리 서버 또는 등록 서버(11)에 의하여 전자기기로 제공될 수 있고, 전자기기에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이 설치되면 무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 방식으로 관리 서버 또는 등록 서버(11)에 접속할 수 있고, 이후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을 통하여 관리 서버 또는 등록 서버(11)와 사용자는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은 배터리의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을 통하여 다양한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에서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과 관리 서버 사의 상호 데이터 교환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은 전자기기에 배치된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탐지하는 배터리 탐지 유닛(211), 배터리 탐지 유닛(211)에서 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유닛(212) 및 위에서 설명된 알림 주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알림 데이터 유닛(213)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탐지 유닛(211)은 배터리의 종류 또는 제조 일자와 같은 배터리의 정보를 탐지하는 한편 배터리의 충전 횟수에 대한 정보를 탐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 탐지는 전자기기의 종류 또는 배터리와 관련된 전자기기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탐지될 수 있다. 배터리 탐지에 대한 결과는 정보 생성 유닛(212)에 저장되어 배터리 등록 유닛(111)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정보 변경 유닛(33)에 의하여 등록된 배터리에 대한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변경된 정보에 따라 알림 데이터 생성 유닛(23)으로 전송되어 알림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다. 이후 변경된 알림 데이터가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의 알림 데이터 유닛(213)으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횟수가 예상되는 횟수에 비하여 많아지면 알림 주기가 짧아질 수 있다.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에 의하여 탐지된 배터리 또는 정보가 입력되는 배터리에 대하여 그룹 생성 유닛(31)에 의하여 배터리 그룹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설정 유닛(32)에 의하여 접속이 설정되어 배터리가 등록될 수 있다. 접속 설정 유닛(32)은 배터리와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한 연관 관계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에 대한 정보가 접속 설정 유닛(32)에 의하여 해당 전자기기에 설치된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해당 배터리가 교체되면 접속 설정 유닛(32)에 의하여 배터리와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에 대한 연결이 다시 설정될 수 있다.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은 클라우드 서버, 포털 서버 또는 다른 사회 관계망 서버와 같은 SNS 서버(35)와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은 이와 같은 SNS 서버(35)에 사용되고 있는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관련이 있는 배터리 전체에 대하여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정보를 갱신하거나 제3와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이 설치되고, 배터리 정보가 다양한 SNS 서버(35)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모든 배터리에 대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정리 및 열람이 되면서 사용 배터리에 대한 정보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으로 등록된 배터리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전송되거나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등록된 배터리 또는 전자기기에 적합한 배터리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은 배터리와 관련된 다양한 유닛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에서 배터리는 관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의 관리 방법은 배터리와 관련된 전자기기에 배터리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P51); 배터리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리 서버에 관리가 필요한 배터리가 등록되는 단계(P52); 상기 관리 서버에 배터리 관리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어 등록된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P53); 등록된 배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교환 주기와 관련된 알림 데이터가 생성되어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는 단계(P54); 외부 서버 또는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배터리 정보가 탐지되어 전송되는 단계(P55);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알림 데이터에서 교환 주기에 대한 알림이 발생되는 단계(P57); 및 등록된 배터리에 대한 알림 정보 또는 관련 정보가 배터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P5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방법은 관리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P51). 전자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또는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리 서버에 접속될 수 있다. 관리가 되어야 하는 다수 개의 배터리는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리 서버에 등록될 수 있고(P52), 배터리는 등록되면서 하나의 배터리 그룹에 소속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그룹은 배터리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P53). 관리 서버는 알림 데이터를 생성하여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P54). 등록된 배터리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외부 서버 또는 배터리 관련 서버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배터리에 관한 정보가 탐지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알림 데이터가 갱신될 수 있다.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알림 데이터에서 정해진 시각이 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P56). 만약 알림 시각이 되지 않았다면(NO), 배터리에 대한 정보가 계속하여 탐지될 수 있다(P55), 이에 비하여 알림 시간이 되었다면(YES),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알림이 발생되고, 알림은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P57). 이후 배터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은 개인 또는 사업체가 사용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가 효율적으로 관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전자기기에 대한 배터리 선택이 용이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등록 서버 12: 분류 서버
13: 확인 데이터베이스 14: 관리 서버
15: 정보 데이터베이스 16: 수명 데이터베이스
17: 개인 배터리 데이터베이스 21: 배터리 애플리케이션
22: 교환 주기 유닛 23: 알림 데이터 생성 유닛
31: 그룹 생성 유닛 32: 접속 설정 유닛
33: 정보 변경 유닛 35: SNS 서버
111: 배터리 등록 유닛 112: 배터리 비교 유닛
211: 배터리 탐지 유닛 212: 배터리 정보 생성 유닛
213: 알림 데이터 유닛 B11 내지 B1N: 배터리
BG1, BG2, BG3: 배터리 그룹

Claims (5)

  1. 각각의 배터리 그룹(BG1, BG2, BG3)이 등록되는 등록 서버(11);
    등록 서버(11)에 등록되는 각각의 배터리를 종류 또는 규격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는 분류 서버(12);
    분류 서버(12)에 배터리 수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명 데이터베이스(16);
    분류 서버(12)로부터 전송된 배터리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교환 주기를 결정하는 확인 데이터베이스(13);
    확인 데이터베이스(13)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서버(11)에 등록된 배터리의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서버(14); 및
    다양한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데이터베이스(15)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14)는 배터리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배터리 그룹(BG1, BG2, BG3)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무선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을 통하여 제공되고,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으로 배터리 교환 시기를 알려주는 알림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무선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은 배터리 탐지 유닛(211), 배터리와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는 배터리 정보 생성 유닛(212) 및 알림 데이터가 저장되는 알림 데이터 유닛(213)을 포함하는 원격 네트워크 구조의 무선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배터리 정보 생성 유닛(212)으로 전송된 정보에 따라 등록된 배터리의 정보를 변경시키는 정보 변경 유닛(33)을 더 포함하는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무선 배터리 상태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배터리 애플리케이션(21)은 사회관계 망 서버(SNS)에 와 연결되어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저장, 열람 또는 갱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무선 배터리 상태 시스템.
KR1020160028165A 2016-03-09 2016-03-09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 KR20170105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165A KR20170105230A (ko) 2016-03-09 2016-03-09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165A KR20170105230A (ko) 2016-03-09 2016-03-09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534A Division KR101927020B1 (ko) 2018-01-25 2018-01-25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230A true KR20170105230A (ko) 2017-09-19

Family

ID=60033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165A KR20170105230A (ko) 2016-03-09 2016-03-09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52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986B1 (ko) 2018-02-08 2019-05-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 비행고도와 비행 모드 전환에 따른 배터리팩 충전상태 모니터링장치
CN113379563A (zh) * 2020-02-25 2021-09-1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力供应装置管理系统
KR102436675B1 (ko) * 2021-06-28 2022-08-26 주식회사 테크코드 배터리 건전성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986B1 (ko) 2018-02-08 2019-05-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 비행고도와 비행 모드 전환에 따른 배터리팩 충전상태 모니터링장치
CN113379563A (zh) * 2020-02-25 2021-09-1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电力供应装置管理系统
KR102436675B1 (ko) * 2021-06-28 2022-08-26 주식회사 테크코드 배터리 건전성 예측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2663B2 (en) Wireless monitoring of battery for lifecycle management
WO2019163573A1 (ja) バッテリ管理システム、バッテリ管理方法および端末装置
CN101454959B (zh) 电池充电器槽
US9214822B2 (en) Battery pack manager unit and method for using same to extend the life of a battery pack
EP2924843A2 (en) Battery sharing system
TWI622246B (zh) 電池交換系統以及電池交換方法
JP6445908B2 (ja) 電力配送システム及び電力配送方法
US20190089164A1 (en)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 and method with anti-counterfeiting function of battery pack for electric tool
CN102932450A (zh) 一种获取电动汽车动力电池信息的终端及方法
KR101121095B1 (ko) 원격 배터리 관리 시스템, 서버 및 그 방법
CN105279863A (zh) 一种手机移动电源智能借还系统
CN102375999A (zh) 温室气体排放量或减少量的管理装置以及管理方法
KR20170105230A (ko)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
KR101927020B1 (ko) 원격 네트워크 방식의 배터리 상태 관리 시스템
CN105263739A (zh) 电池和充电装置管理系统、方法以及充电装置
JP2006228490A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充電システムおよび電池パック充放電システム
JP2015027223A (ja) 電池交換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50027466A1 (en) Wireless collection of battery performance metric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2930395A (zh) 一种电动汽车动力电池资产管理方法及系统
WO2022096399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disabling battery packs
JP5557350B2 (ja) 二次電池パック提供方法、そのシステム、装置、サーバ装置及び充電装置
CN109720232B (zh) 一种基于物联网的电动车电池的调配方法和系统
CN110516828A (zh) 监控信息处理系统及方法
CN105720661A (zh) 汽车充电系统及方法
KR20200080361A (ko)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통합 운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