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902A -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902A
KR20170104902A KR1020160027949A KR20160027949A KR20170104902A KR 20170104902 A KR20170104902 A KR 20170104902A KR 1020160027949 A KR1020160027949 A KR 1020160027949A KR 20160027949 A KR20160027949 A KR 20160027949A KR 20170104902 A KR20170104902 A KR 20170104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injection mold
cooling water
cooling lin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318B1 (ko
Inventor
강한근
Original Assignee
강은영
강한근
강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은영, 강한근, 강은혜 filed Critical 강은영
Priority to KR1020160027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31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4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07Tempering units for temperature control of moulds or cores, e.g. comprising heat exchangers, controlled valves, temperature-controlled circuits for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12Construction of heating or cooling fluid flow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31Heat transfer elements, e.g. heat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사출금형을 냉각하기 위해 상기 사출금형 내부로 물이 유통되도록 형성되는 냉각라인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수단;과, 상기 사출금형의 냉각라인으로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냉각라인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냉각라인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냉각수 공급수단을 통해 사출금형의 냉각라인에 냉각수를 간편히 공급하고, 사출금형의 사용이 완료되면 냉각수 공급수단을 대신하여 건조수단을 통해 냉각라인에 뜨거운 공기를 주입하여 냉각라인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를 강제로 배출함과 동시에, 냉각라인 내부 표면에 묻은 수분을 증발 건조시켜 물로 인한 냉각라인의 부식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종래에 사출금형의 냉각라인에 녹이 형성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트롤박스를 통해 냉각수 공급장치와 건조장치의 작동을 간편히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Injection mold cooling water supply line and drying equipment}
본 발명은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 공급수단을 통해 사출금형의 냉각라인에 냉각수를 간편히 공급하고, 사출금형의 사용이 완료되면 냉각수 공급수단을 대신하여 건조수단을 통해 냉각라인에 뜨거운 공기를 주입하여 냉각라인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를 강제로 배출함과 동시에, 냉각라인 내부 표면에 묻은 수분을 증발 건조시켜 물로 인한 냉각라인의 부식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종래에 사출금형의 냉각라인에 녹이 형성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금형은 내부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고 일정시간의 냉각기간을 거쳐 용융 수지를 고형화하여 제품을 생산하는데, 이러한 사출금형에는 주입된 용융 수지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고형화되도록 냉각수를 금형 내부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사출금형에는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는 냉각라인이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의 사출금형은 금형의 사용이 완료되더라도 냉각라인에 물이 고여있는 구조로 인해 냉각라인 내부에 녹이 쉽게 발생되며, 상기와 같이 냉각라인 내부에 녹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사출금형의 냉각효율이 크게 저하되어 사출 성형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사출금형 내부의 냉각라인에 녹이 발생되므로 금형의 사용수명이 단축되어 사출금형의 빈번한 교체로 인한 금전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각수 공급수단을 통해 사출금형의 냉각라인에 냉각수를 간편히 공급하고, 사출금형의 사용이 완료되면 냉각수 공급수단을 대신하여 건조수단을 통해 냉각라인에 뜨거운 공기를 주입하여 냉각라인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를 강제로 배출함과 동시에, 냉각라인 내부 표면에 묻은 수분을 증발 건조시켜 물로 인한 냉각라인의 부식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종래에 사출금형의 냉각라인에 녹이 형성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컨트롤박스를 통해 냉각수 공급장치와 건조장치의 작동을 간편히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는 사출금형을 냉각하기 위해 상기 사출금형 내부로 물이 유통되도록 형성되는 냉각라인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수단;과, 상기 사출금형의 냉각라인으로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냉각라인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냉각라인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일단은 개방되어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파이프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통을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와, 일단은 상기 공급파이프 상에 상기 공급파이프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연결호스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파이프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를 상기 연결호스로 공급 유무를 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2개폐밸브와, 상기 제2개폐밸브와 상기 냉각라인의 유입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수단은 일단은 상기 공급파이프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와 연결파이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파이프로 유통되는 공기를 상기 공급파이프로 공급 유무를 결정하는 제3개폐밸브와, 상기 연결파이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파이프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통을 결정하되, 상기 연결파이프로 유통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스피드 컨트롤러와, 상기 연결파이프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파이프 내부로 유통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히터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타단과 컴프레샤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컴프레샤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연결파이프로 공급하는 공급호스와,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연결파이프로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과 건조수단을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를 더 포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파이프 하부에 상기 공급파이프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드레인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에 의하면, 냉각수 공급수단을 통해 사출금형의 냉각라인에 냉각수를 간편히 공급하고, 사출금형의 사용이 완료되면 냉각수 공급수단을 대신하여 건조수단을 통해 냉각라인에 뜨거운 공기를 주입하여 냉각라인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를 강제로 배출함과 동시에, 냉각라인 내부 표면에 묻은 수분을 증발 건조시켜 물로 인한 냉각라인의 부식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종래에 사출금형의 냉각라인에 녹이 형성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트롤박스를 통해 냉각수 공급장치와 건조장치의 작동을 간편히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의 A-A 단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100)는 냉각수 공급수단(10)과, 건조수단(2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10)은 사출금형(1)을 냉각하기 위해 상기 사출금형(1) 내부로 물이 유통되도록 형성되는 냉각라인(2)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일단은 개방되어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공급파이프(11)와, 상기 공급파이프(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파이프(11)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통을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12)와, 일단은 상기 공급파이프(11) 상에 상기 공급파이프(11)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연결호스(14)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파이프(11)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를 상기 연결호스(14)로 공급 유무를 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2개폐밸브(13)와, 상기 제2개폐밸브(13)와 상기 냉각라인(2)의 유입구(2a)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호스(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10)을 통해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파이프(11)의 일단과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기기(미도시)와 연결한 후, 상기 공급파이프(11) 상에 형성되는 제2개폐밸브(13)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호스(14)를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 유입구(2a)와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2개폐밸브(13)는 다수 개로 구성하는데, 그 이유는 사출금형(1)의 크기가 커서 다수의 냉각라인(2)을 갖는 경우에 다수의 상기 제2개폐밸브(13)와 각각 연결되는 상기 연결호스(14)를 각각의 냉각라인(2)에 연결하여 용이한 냉각수 공급을 유도하기 위해서며, 또한 다수의 사출금형(1)에 냉각수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에 각각의 사출금형(1) 냉각라인(2)에 각각 상기 연결호스(14)를 연결하여 다수의 사출금형(1)에 용이하고 편리한 냉각수 공급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호스(14)의 연결이 완료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파이프(11)에 형성되는 상기 제1개폐밸브(12)와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과 연결되는 상기 연결호스(14)의 제2개폐밸브(13)를 각각 개방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공급파이프(11)와 연결호스(14)를 통해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으로 공급되게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수단(20)은 상기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으로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냉각라인(2)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냉각라인(1) 내부를 건조시키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공급파이프(11)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파이프(21)와, 상기 공급파이프(11)와 연결파이프(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파이프(21)로 유통되는 공기를 상기 공급파이프(11)로의 공급 유무를 결정하는 제3개폐밸브(22)와, 상기 연결파이프(2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파이프(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통을 결정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파이프(21)로 유통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스피드 컨트롤러(23)와, 상기 연결파이프(21)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파이프(21) 내부로 유통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히터(24)와, 상기 연결파이프(21)의 타단과 컴프레샤(26)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컴프레샤(26)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연결파이프(21)로 공급하는 공급호스(25)와, 상기 공급호스(25)를 통해 상기 연결파이프(21)로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샤(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사출금형(1)의 사용이 완료되어 상기 건조수단(20)을 통해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 건조가 요구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수단(10)의 제1개폐밸브(12)를 차단하여 외부의 물이 상기 공급파이프(1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수단(20)의 제3개폐밸브(22)를 개방시켜 상기 컴프레샤(26)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연결파이프(21)로 유입되어 상기 공급파이프(11)와 연결호스(14)를 통해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으로 유통시켜 냉각라인(2)에 유입된 냉각수를 강제 배출시킨다.
이때,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파이프(21)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연결파이프(21)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히터(24)와 열교환되어 데워진 상태로 상기 공급파이프(11) 및 연결호스(14)로 공급되므로, 상기 냉각라인(2) 내부로 유입된 뜨거운 공기는 냉각라인(2)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킨 후에 냉각라인(2) 내부 표면에 묻어 잔류하는 물을 용이하게 증발시켜 냉각라인(2) 내부를 신속하게 건조시킨다.
여기서,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23)는 상기 연결파이프(21)로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제3개폐밸브(22)와 함께 개방되는데,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23)는 내부로 유통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출금형(1)의 크기 및 사용되는 사출금형(1)의 개수를 고려하여 유통되는 공기의 양을 적합하게 제어하여 장치의 효율적인 사용을 유도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파이프(11) 하부에 상기 공급파이프(11)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드레인밸브(40);를 더 형성하여,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수단(20)을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드레인밸브(40)를 개방하여 상기 공급파이프(11) 및 연결호스(14) 상에 수용된 냉각수를 외부로 간편히 배출한 후, 상기 건조수단(1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공압으로 냉각라인(2)에 수용된 냉각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밸브(40)를 개방하여 냉각수를 배출한 후에 상기 드레인밸브(40)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건조수단(20)을 작동시킴은 물론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수단(10)의 개폐밸브(12,13)나 상기 건조수단(20)의 제3개폐밸브(22)와 스피드 컨트롤러(23)와 히터(24)를 수동으로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으나,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위해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10)과 건조수단(20)을 작동을 컨트롤박스(30);를 통해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컨트롤박스(30)를 통해 개폐밸브(12,13,22) 개폐,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23)의 작동시간 및 공기 유통량, 히터(24)의 온도를 적합하게 제어하여 장치의 편리한 사용을 유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100)는 냉각수 공급수단(10)을 통해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에 냉각수를 간편히 공급하고, 사출금형(1)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10)을 대신하여 상기 건조수단(20)을 통해 냉각라인(2)에 뜨거운 공기를 주입하여 냉각라인(2) 내부에 수용된 냉각수를 강제로 배출함과 동시에, 냉각라인(2) 내부 표면에 묻어 잔류하는 수분을 증발 건조시켜 물로 인한 냉각라인(2)의 부식을 안정적으로 방지하여 종래에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에 녹이 형성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30)를 통해 상기 냉각수 공급장치(10)와 건조장치(20)의 작동을 간편히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10)의 공급파이프(11)의 일단과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기기(미도시)와 연결한 후, 상기 공급파이프(11) 상에 형성되는 제2개폐밸브(13)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호스(14)를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 유입구(2a)와 연결한다.
그런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파이프(11)에 형성되는 제1개폐밸브(12)와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과 연결되는 상기 연결호스(14)의 제2개폐밸브(13)를 각각 개방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공급파이프(11)와 연결호스(14)를 통해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으로 공급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수단(10)의 개폐밸브(12,13)는 컨트롤박스(30)의 제어를 통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사출금형(1)의 사용이 완료되어 건조수단(20)을 통해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 건조하기 위해서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수단(10)의 제1개폐밸브(12)를 차단하여 외부의 물이 상기 공급파이프(1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 상태에서 드레인밸브(40)를 개방하여 상기 공급파이프(11) 및 연결호스(14) 상에 수용된 냉각수를 외부로 간편히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밸브(40)를 통한 냉각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드레인밸브(40)를 간편히 폐쇄한다.
그런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수단(20)의 제3개폐밸브(22)를 개방시켜 컴프레샤(26)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연결파이프(21)로 유입되어 상기 공급파이프(11)와 연결호스(14)를 통해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으로 유통시켜 냉각라인(2)에 유입된 냉각수를 강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파이프(21)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연결파이프(21)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히터(24)와 열교환되어 데워진 상태로 상기 공급파이프(11) 및 연결호스(14)로 공급되므로, 상기 냉각라인(2) 내부로 유입된 뜨거운 공기는 냉각라인(2)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킨 후에 냉각라인(2) 내부 표면에 묻어 잔류하는 물을 용이하게 증발시켜 냉각라인(2) 내부를 신속하게 건조시킨다.
즉, 상기와 같은 사출금형(1) 냉각라인(2)의 간편한 건조를 통해 냉각라인(2) 내부가 물로 인해 녹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간편히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사출금형 2. 냉각라인
2a. 유입구
10. 냉각수 공급수단 11. 공급파이프
12. 제1개폐밸브 13. 제2개폐밸브
14. 연결호스 20. 건조수단
21. 연결파이프 22. 제3개폐밸브
23. 스피드 컨트롤러 24. 히터
25. 공급호스 26. 컴프레샤
30. 컨트롤박스 40. 드레인밸브
100.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Claims (5)

  1. 사출금형(1)을 냉각하기 위해 상기 사출금형(1) 내부로 물이 유통되도록 형성되는 냉각라인(2)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수단(10); 및
    상기 사출금형(1)의 냉각라인(2)으로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냉각라인(2)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상기 냉각라인(1)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10)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되, 일단은 개방되어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는 공급파이프(11)와,
    상기 공급파이프(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파이프(11)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통을 결정하는 제1개폐밸브(12)와,
    일단은 상기 공급파이프(11) 상에 상기 공급파이프(11)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타단은 연결호스(14)와 연결되어, 상기 공급파이프(11)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를 상기 연결호스(14)로 공급 유무를 결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2개폐밸브(13)와,
    상기 제2개폐밸브(13)와 상기 냉각라인(2)의 유입구(2a)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호스(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20)은,
    일단은 상기 공급파이프(11)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파이프(21)와,
    상기 공급파이프(11)와 연결파이프(2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연결파이프(21)로 유통되는 공기를 상기 공급파이프(11)로의 공급 유무를 결정하는 제3개폐밸브(22)와,
    상기 연결파이프(2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파이프(21)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통을 결정하는 동시에, 상기 연결파이프(21)로 유통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스피드 컨트롤러(23)와,
    상기 연결파이프(21)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파이프(21) 내부로 유통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히터(24)와,
    상기 연결파이프(21)의 타단과 컴프레샤(26)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컴프레샤(26)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연결파이프(21)로 공급하는 공급호스(25)와,
    상기 공급호스(25)를 통해 상기 연결파이프(21)로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샤(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수단(10)과 건조수단(20)을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30);를 더 포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파이프(11) 하부에 상기 공급파이프(11)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드레인밸브(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KR1020160027949A 2016-03-08 2016-03-08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KR101789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949A KR101789318B1 (ko) 2016-03-08 2016-03-08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949A KR101789318B1 (ko) 2016-03-08 2016-03-08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902A true KR20170104902A (ko) 2017-09-18
KR101789318B1 KR101789318B1 (ko) 2017-11-15

Family

ID=6003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949A KR101789318B1 (ko) 2016-03-08 2016-03-08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3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8888A (zh) * 2018-07-09 2018-11-06 杨美玲 一种快速散热的汽车注塑模具
CN110435102A (zh) * 2019-08-15 2019-11-12 厦门灏斯菲尔科技有限公司 可快速排出残留水的连接器
CN111590841A (zh) * 2020-03-24 2020-08-28 新昌县南明街道益华机械厂 一种带有吹水装置的注塑模具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73B1 (ko) 2018-12-06 2021-07-08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사출금형의 냉각방법
KR101977326B1 (ko) 2019-03-04 2019-08-28 아진산업(주) 금형 냉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299B1 (ko) * 2013-04-16 2014-10-22 에치씨티 주식회사 사출금형의 냉각수로 세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8888A (zh) * 2018-07-09 2018-11-06 杨美玲 一种快速散热的汽车注塑模具
CN110435102A (zh) * 2019-08-15 2019-11-12 厦门灏斯菲尔科技有限公司 可快速排出残留水的连接器
CN110435102B (zh) * 2019-08-15 2021-05-04 厦门灏斯菲尔科技有限公司 可快速排出残留水的连接器
CN111590841A (zh) * 2020-03-24 2020-08-28 新昌县南明街道益华机械厂 一种带有吹水装置的注塑模具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318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318B1 (ko)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냉각수 공급 및 건조장치
KR101897813B1 (ko) 사출금형 냉각라인의 에어 공급기
JP5991678B2 (ja) 金型冷却システム及び金型冷却方法
US20180017312A1 (en) Refrigerator
JP5167074B2 (ja) 加熱冷却切替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金型加熱冷却システム
KR102266107B1 (ko) 대수층 막힘에 대한 대응이 가능한 지열 교환 시스템
JP2010002156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
JP6257467B2 (ja) 金型温度調節装置及び金型温度調節方法
JP2018004158A (ja) 熱媒循環装置
KR100697228B1 (ko) 금형의 온도제어 시스템
JP2005241225A (ja) ミストサウナ機能付き浴室暖房乾燥機
JP2002079559A (ja) 金型温度制御装置
JP5942086B2 (ja) 貯湯式給湯機
KR20080101974A (ko) 금형의 냉각장치
JP5551949B2 (ja) ミスト噴霧装置
KR100763388B1 (ko) 온수제공장치
JP2010121840A (ja) 温水暖房装置
JP5926168B2 (ja) 浴室暖房乾燥機
KR101671670B1 (ko) 드레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JPS62158533A (ja) 金型の通水孔を乾燥させる方法
KR100894475B1 (ko) 온수 공급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JP2010266144A (ja) 気化冷却装置
CN214926829U (zh) 一种注塑模具温度控制装置
CN216100254U (zh) 一种模温机
JP6966903B2 (ja) 冷却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