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4052A -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4052A
KR20170104052A KR1020160025882A KR20160025882A KR20170104052A KR 20170104052 A KR20170104052 A KR 20170104052A KR 1020160025882 A KR1020160025882 A KR 1020160025882A KR 20160025882 A KR20160025882 A KR 20160025882A KR 20170104052 A KR20170104052 A KR 20170104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dditio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훈
심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2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4052A/ko
Publication of KR20170104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2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2Chanc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관리 서버에 등록할 부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입력된 부가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 식별 정보 전송을 위한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Beacon service by using mobile terminal ID}
본 발명은 비콘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동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 제공자가 비콘(beacon)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정보 제공자가 이용할 식별 정보를 가진 별도의 비콘 장치가 요구되므로, 비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제공자는 각 정보 제공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한 개이 상의 비콘을 곳곳에 설치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지게 된다. 또한, 정보 제공자 입장에서는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정보를 등록 및 수정을 해야 하므로,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정보를 비콘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의 이동 단말기를 비콘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관리 서버에 등록할 부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입력된 부가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 식별 정보 전송을 위한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관리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비콘 부가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식별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식별 정보에 부가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로부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를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 부가 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서 실행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관리 서버에 등록된 부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요청을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서 실행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관리 서버에 색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색인 정보에 상응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와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수시된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비콘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따른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부가 정보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를 이용한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 인증을 위한 비콘 부가 정보 제공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예약 관리를 위한 비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프 제공을 위한 비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 인증을 위한 비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콘 서비스 시스템은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의 이동 단말(110), 부가 정보를 관리하는 비콘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관리 서버(120) 및 부가 정보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을 포함한다.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제공하고자 하는 부가 정보 및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전송하여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등록할 부가 정보를 정보 제공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자가 식당을 운영하는 점주인 경우, 정보 제공자는 자신이 운영하는 식당의 이름, 연락처, 영업 시간, 메뉴 정보, 위치 정보 등을 부가 정보로써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이동 단말의 MAC Address, IMEI값, WiFi MAC Address 등을 의미한다. 또한, 보안 강화를 위해, 식별 정보는 이동 단말의 IMEI값과 기타 WiFi MAC Address 등이 결합되거나 보안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암호화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는 부가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색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복수의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각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이 특정 부가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기 구축된 고객 데이터베이스와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이 특정 부가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특정 부가 혜택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특정 부가 혜택을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복수의 정보 이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30)을 선별하여, 정보 이용자가 생일인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에 부가 혜택인 생일 쿠폰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이 송신하는 신호는 불루투스 모듈 등 무선 송신 장치의 신호의 세기를 의미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 소유자의 개인 정보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자는 부가 정보를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매장 정보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에,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실시간으로 변동된 사항을 유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전송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부가 정보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자는 정보 제공자 단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실행 정보 등에 따라 별개 부가 정보가 제공되도록, 부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른 별개 부가 정보 제공은 한 매장 내에서 현재 정보 제공자 단말의 위치, 복수의 매장 중에서 현재 정보 제공자 단말의 위치 등에 따라 각각 해당 위치에 따른 부가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정보 제공자 단말의 시간 정보에 따른 별개 부가 정보 제공은 정보 제공자가 설정한 시간 마다 각각 별개의 부가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실행 정보에 따른 별개 부가 정보 제공은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종류 마다 별개의 부가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자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실행 정보, 정보 이용자의 패턴 정보 등에 따라 별개의 부가 정보가 제공되도록 부가 정보를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에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이용자의 패턴 정보는 정보 이용자의 시간, 장소에 따른 구매 내용,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10)의 이용 내용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정보 이용자가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등록된 부가 정보를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특정 이벤트 발생시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비콘 송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블루투스 모듈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는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이 정보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지역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자는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이 매장 내에 위치하면,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하는 것으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이벤트를 설정한다. 이후,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자신의 위치 정보가 매장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이 정보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지역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자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이 매장 내에 위치하면,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하는 것으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이벤트를 설정한다. 이후,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매장 내에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이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는 현재 시간이 정보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자가 자신이 운영하는 매장 등 사업장의 영업 시간 내에는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이후,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현재 시간이 영업 시간 내로 확인되면,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는 정보 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자가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을 흔들거나 특정 패턴 등의 입력되면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하는 것으로, 이벤트를 설정한다. 이후,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미리 설정된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것이 확인되면,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식별 정보 외에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 및/또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은 사용자가 설정한 식별 정보 송신 스케줄에 따라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식별 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식별 정보 송신 시간을 5분 간격으로 설정한 경우, 정보 제공자 이동 다말(110)은 5분 간격으로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식별 정보 및 부가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부가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식별 정보에 부가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복수의 식별 정보에 하나의 부가 정보를 맵핑, 하나의 식별 정보에 복수의 부가 정보를 맵핑 또는 복수의 식별 정보에 복수의 부가 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매장 내에서 점주 및 직원들의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들을 매장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부가 정보에 맵핑하여 저장함으로써,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이 점주 또는 직원의 이동 단말 중 어느 하나로 매장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여러 정보 제고자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 및 부가 정보를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정보를 기준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부가 정보의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동일 카테고리에 속하는 부가 정보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를 같은 그룹으로 묶어서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식당, 편의점, 커피숍, 일식, 양식, 중식 등의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식별 정보 및 부가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로부터 복수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신호 세기 및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 세기를 기준(예, 신호가 강한 순서)으로, 해당 식별 정보에 따른 부가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모델 마다 신호의 세기와 거리의 비례 관계를 저장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과 각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를 기준(예, 거리가 짧은 순서)으로 해당 식별 정보에 따른 부가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부가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서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software development kit)와 같은 플랫폼 형태로 부가 정보를 저장하고,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1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요청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로부터 수신되면,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를 조회하여,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10)로부터 식별 정보 외에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10)의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요청이 있으면,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 중 이동 단말의 실행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만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에 매장의 위치, 메뉴, 할인 정보, 쿠폰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고,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10)에서 매장의 할인 정보를 얻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고 가정할 때,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10)은 매장의 할인 정보를 얻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됨을 포함하는 실행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전송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검색하고,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된 부가 정보 중에서 매장 할인 정보를 검색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검색된 매장 할인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색인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로부터 색인 정보가 수신되면, 색인 정보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부가 정보에 맵핑된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검색된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한다. 이 때, 서비스 관리 서버(120)는 해당 맛집의 위치 등의 부가 정보 일부나 전부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식별 정보를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수신된 식별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정보 이용자가 매장의 정보를 얻기 위해, 식당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다.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부가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식별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전송하여 부가 정보를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비콘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블루투스 모듈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3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식별 정보 외에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위치 정보, 정보 이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 요청을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이용자가 특정 지역에 위치한 매장에서는 신 메뉴를 항상 구매하는 생활 패턴을 가지고 있으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해당 매장의 신 메뉴 정보를 얻기 위해, 식별 정보 외에 생활 패턴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 요청을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복수의 식별 정보 중에서 부가 정보 조회에 이용될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복수의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각각 상이한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정보를 부가 정보 조회를 위한 식별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부가 정보 조회를 위한 식별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각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과의 거리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모델과 각 모델에 따른 RSSI 강도 및 RSSI 강도에 비례하는 거리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10)은 각 이동 단말의 모델에 RSSI 강도 및 RSSI 강도에 비례하는 거리 값이 맵핑된 거리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복수의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각각 상이한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 조회를 위한 식별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복수의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 각각으로부터 상이한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식별 정보를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을 정보 이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을 인증하기 위해,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색인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정보 요청을 전송한다. 이후,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인증 정보 요청에 해당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을 인증할 수 있다. 이후,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인증 결과를 정보 이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부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부가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정보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부가 정보가 수신되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20)의 실행 정보에 맞게 부가 정보를 정보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서비스 관리 서버(120)로부터 전송된 부가 정보가 범용성 있는 플랫폼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정보 이용자의 필요에 맞게 부가 정보를 변환하여 정보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따른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은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부가 정보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자가 제공하고 하는 부가 정보를 정보 제공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자가 식당을 운영하는 점주인 경우, 정보 제공자는 자신이 운영하는 식당의 이름, 연락처, 영업 시간, 메뉴 정보 등을 부가 정보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자는 정보 제공자 단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실행 정보 등에 따라 별개 부가 정보가 제공되도록, 부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자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실행 정보, 정보 이용자의 패턴 정보 등에 따라 별개의 부가 정보가 제공되도록 부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부가 정보 및 식별 정보가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자가 입력한 부가 정보 및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가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전송된다.
단계 S230에서, 식별 정보 송신을 위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은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정보 제공자의 실행 명령, 정보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240에서, 비콘 서비스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이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도록, 식별자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하는 비콘 서비스 기능이 실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부가 정보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비콘 부가 정보 관리 방법이 서비스 관리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식별 정보 및 부가 정보가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정보 제공자가 입력한 부가 정보가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전송된다.
단계 S320에서, 식별 정보 및 부가 정보가 등록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에 정보 제공자가 입력한 부가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식별 정보에 하나의 부가 정보가 맵핑되거나 하나의 식별 정보에 복수의 부가 정보가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내에서 점주 및 직원들의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들이 매장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부가 정보에 맵핑되어 저장됨으로써,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이 점주 또는 직원의 이동 단말 중 어느 하나로 매장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가 정보가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서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software development kit)와 같은 플랫폼 형태로 부가 정보가 저장하고,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부가 정보 요청이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로부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요청이 수신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가 정보 요청에는 식별 정보외에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위치 정보, 정보 이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이용자가 특정 지역에 위치한 매장에서는 신 메뉴를 항상 구매하는 생활 패턴을 가지고 있으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은 해당 매장의 신 메뉴 정보를 얻기 위해, 식별 정보 외에 생활 패턴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 요청을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에 매장의 위치, 메뉴, 할인 정보, 쿠폰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고,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10)에서 매장의 할인 정보를 얻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고 가정할 때,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10)은 매장의 할인 정보를 얻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됨을 포함하는 실행 정보(부가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전송한다.
단계 S340에서, 부가 정보가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를 조회하여,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10)로부터 식별 정보외에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의 실행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요청이 있으면, 식별 정보에 매핍된 부가 정보 중 이동 단말의 실행 정보에 해당하는 내용만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1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은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또한, 반드시 도 4에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이하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부가 정보가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관리 서버에 등록된 부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서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정보 이용자의 패턴 정보 등을 기반으로 부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이용자가 매장에 매장 내에 있는 경우, 해당 매장의 부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정보 제공자 단말의 식별 정보가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부가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조회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제공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각 식별 정보의 송신 거리, 신호의 세기 등을 이용하여, 부가 정보 조회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부가 정보 요청이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매장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매장 점주인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가 부가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가 정보 요청에는 식별 정보외에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110)의 위치 정보, 정보 이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13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부가 정보가 수신된다. 구체적으로, 부가 정보 요청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가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다. 수신된 부가 정보를 기반으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 인증을 위한 비콘 부가 정보 제공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대방 인증을 위한 비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대방 인증 서비스는 택배 기사의 이동 단말(510), 택배 업체의 서비스 관리 서버(120) 및 택배 수령인의 이동 단말(520)을 포함한다.
택배 기사의 이동 단말(510)은 택배 기사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와 택배 배달 정보를 택배 업체의 서비스 관리 서버(520)에 전송한다. 택배 업체의 서비스 관리 서버(520)는 수신된 식별 정보와 택배 배달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한다. 택배 기사가 택 배 수령인의 집에 도착하면(식별 정보 전송을 위한 이벤트가 택배 수령인의 집으로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택배 기사의 이동 단말(510)은 식별 정보를 택배 수령인의 이동 단말(530)에 전송한다. 택배 수령인의 이동 단말(530)은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대방 인증을 위한 부가 정보 요청을 택배 업체의 서비스 관리 서버(120)에 전송한다. 택배 업체의 서비스 관리 서버(520)는 수신한 부가 정보 요청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해당 하는 배달 정보를 조회하여 택배 수령인의 이동 단말(530)에 전송한다. 택배 수령인의 이동 단말(530)은 수신된 택배 배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택배 수령인이 상대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예약 관리를 위한 비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매장 예약 관리를 위한 비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정보 제공자 단말인 매장 점주(또는 종업원) 단말(610), 부가 정보 관리 서버인 매장 예약 정보 관리 서버(620) 및 정보 이용자 단말인 고객 단말(630)을 포함한다.
매장 점주 단말(610)은 매장의 공석 여부 등의 부가 정보 및 식별 정보를 매장 예약 정보 관리 서버(620)에 등록한다. 매장의 공석 여부는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으므로, 매장 점주 단말(610)은 매장의 공석 여부를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매장 예약 정보 관리 서버(62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매장 점주 단말(610)은 식별 정보를 고객 단말(630)에 전송한다. 고객 단말(630)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 예약 정보 관리 서버(620)에 매장의 공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매장 예약이 입력되면 예약 요청을 매장 예약 정보 관리 서버(620)에 전송한다. 매장 예약 정보 관리 서버(620)은 고객 단말(630)로부터 예약 요청이 수신되면, 매장 점주 단말(610)에 예약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매장 내 공석이 생기면, 매장 점주 단말(610)은 고객 호출을 매장 예약 정보 관리 서버(620)에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탬프 제공을 위한 비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탬프 제공을 위한 비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정보 제공자 단말인 매장 점주 단말(710), 부가 정보 관리 서버인 매장 스탬프 관리 서버(720) 및 정보 이용자 단말인 고객 단말(730)을 포함한다.
매장 점주 단말(710)은 매장을 방문할 때 마다 고객에게 제공될 스탬프 정보 및 식별 정보를 매장 스탬프 관리 서버(720)에 등록하고, 식별 정보를 고객 단말(730)에 전송한다. 고객 단말(720)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매장 스탬프 관리 서버(720)에 스탬프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스탬프를 요청한다. 매장 스탬프 관리 서버(720)는 고객 단말(730)로부터 스탬프 요청이 수신되면, 이를 매장 점주 단말(710)에 전송한다. 매장 점주 단말(710)은 스탬프 요청한 고객 단말의 매장 이용 내역을 확인하여, 매장 스탬프 관리 서버(720)에 전송한다. 매장 스탬프 관리 서버(720)는 스탬프 확인이 매장 점주 단말(710)로부터 수신되면, 해당 고객 단말(730)에 스탬프를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 인증을 위한 비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830)은 정보 이용자가 이용하기 원하는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820)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관리 서버(810)에 요청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810)는 정보 이용자가 원하는 부가 정보에 맵핑된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830)에 전송한다.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은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와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정보 제공자가 이용하기 원하는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인지 인증한다. 이때,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식별 정보는 단말의 IMEI값과 기타 WiFi MAC Address 등이 결합된 인증정보 Key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이용자가 특정 맛집을 찾고자 하는 경우, 정보 이용자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830)을 통해 서비스 관리 서버(810)에 맛집에 관한 최소한의 정보(예, 운영자 이름)를 전송하여, 해당 맛집을 운영하는 정보 제공자의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820)의 식별 정보를 요청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810)는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830)로부터 수신한 최소한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부가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검색한다. 서비스 관리 서버(810)는 검색된 식별 정보 및 해당 맛집의 위치 등을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830)에 전송한다. 정보 이용자는 해당 맛집에 도착 후,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830)을 이용하여 해당 맛집 운영자의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820)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830)은 서비스 관리 서버(81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와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82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해당 맛집이 맞는지 인증한다.
또한,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예시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비콘 부가 정보 제공 방법은 매장에서 제공하는 메뉴, 빈자석 유무, 대기 번호, 할인 정보 등을 부가 정보로 활용하는 방안, 대중 교통 이용자 간의 목적지를 부가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대중 교통 이용자의 효율적인 좌석 이용에 활용하는 방안, 자신의 이상형 정보를 부가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이성간의 만남에 활용하는 방안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
120 : 서비스 관리 서버
130 :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

Claims (21)

  1.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관리 서버에 등록할 부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입력된 부가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
    식별 정보 전송을 위한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부가 혜택을 제공 받을 자격을 가진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혜택을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식별 정보 전송 스케줄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발생이 확인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 전송 스케줄에 따라 주기적 또는 비 주기적으로 상기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에 설정된 위치, 시간 및 실행 명령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인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에 등록할 부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위치, 시간 및 실행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따라 별개의 부가 정보가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제공될 수 있도록 부가 정보를 입력 받는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에 이미 등록된 부가 정보를 수정 또는 변경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입력된 부가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이미 등록된 부가 정보를 수정 또는 변경하기 부가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이미 등록된 부가 정보를 수정 또는 변경하여 등록하는 비콘 서비스 실행 방법.
  7. 서비스 관리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비콘 부가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식별 정보 및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식별 정보에 부가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로부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를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콘 부가 정보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에 부가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서 부가 정보를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콘 부가 정보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요청은,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및 정보 이용자의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 중에서 상기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및 정보 이용자의 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부가 정보를 조회하는 비콘 부가 정보 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에 부가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복수의 식별 정보를 하나의 부가 정보에 맵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부가 정보 관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요청은 복수의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 및 각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신호 세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과 상기 각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를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계산된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과 상기 각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 간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각 식별 정보에 맵핑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비콘 부가 정보 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로부터 색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색인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콘 부가 정보 관리 방법.
  13.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서 실행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관리 서버에 등록된 부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요청을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에 등록된 부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및 정보 이용자의 패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요청은,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및 정보 이용자의 패턴 정보를 더 포함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수신된 부가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반영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부가 정보 요청에 이용될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
  18. 제17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색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부가 정보 요청에 이용될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식별 정보를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정보 이용자로부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 받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
  19. 제17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신호 세기를 더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부가 정보 요청에 이용될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상기 부가 정보 요청을 위한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
  20. 제17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신호 세기를 더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부가 정보 요청에 이용될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과 상기 복수의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를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결정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
  21. 정보 이용자 이동 단말에서 실행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관리 서버에 색인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색인 정보에 상응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와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로부터 수시된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정보 제공자 이동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콘 부가 정보 이용 방법.
KR1020160025882A 2016-03-03 2016-03-03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104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882A KR20170104052A (ko) 2016-03-03 2016-03-03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882A KR20170104052A (ko) 2016-03-03 2016-03-03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052A true KR20170104052A (ko) 2017-09-14

Family

ID=5992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882A KR20170104052A (ko) 2016-03-03 2016-03-03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40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444A (ko) * 2018-03-12 2019-09-20 장유호 유저 위치 기반 화장품 방문 판매 시스템
KR20220070819A (ko) * 2020-11-23 2022-05-31 차성혜 실내위치인식기술 기반 마케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444A (ko) * 2018-03-12 2019-09-20 장유호 유저 위치 기반 화장품 방문 판매 시스템
KR20220070819A (ko) * 2020-11-23 2022-05-31 차성혜 실내위치인식기술 기반 마케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29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tracking using wireless beacons
FI112433B (fi) Sijaintiin sidotut palvelut
JP6957897B2 (ja) システム
KR100936688B1 (ko) 이동 계산 및 통신 방법
Steinfield The development of location based services in mobile commerce
KR101002009B1 (ko) 쿠폰 관리 단말 및 쿠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2373B1 (ko) 개인별 poi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이동통신 단말
JP6885103B2 (ja) 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60020081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장치간 연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5060262A (ja) 決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98887A (ko) 위치 기반 음식 배달 공유 플랫폼 및 시스템
KR20140109566A (ko) 콜 배차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콜 배차 제공 방법
KR20170104052A (ko)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30976A (ko)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주차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CN101785020A (zh) 确定广告转化
KR20170013833A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6877A (ko) 비콘을 이용한 이동 점포 운영 방법
JP2012174056A (ja) 電子クーポン利用システム、サービスプラットフォーム、店舗サーバ及び電子クーポン使用可否判定方法
KR20150145938A (ko) 개인이 소지한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한 대리운전 또는 카풀서비스 또는 카 쉐어링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양자 간의 서비스 연결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20160040918A (ko) 비콘을 이용하는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단말 및 정보 제공 방법
KR20170131086A (ko) 배송 관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773976B1 (ko) 위치 인식 기반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KR101731954B1 (ko) 통신 모듈 임대의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1685948B1 (ko) 위치 기반 도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71921B1 (ko)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스마트 커머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