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157A - 냄비 - Google Patents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157A
KR20170103157A KR1020160025552A KR20160025552A KR20170103157A KR 20170103157 A KR20170103157 A KR 20170103157A KR 1020160025552 A KR1020160025552 A KR 1020160025552A KR 20160025552 A KR20160025552 A KR 20160025552A KR 20170103157 A KR20170103157 A KR 20170103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present
ascender
cooking
outer bot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옥
Original Assignee
신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옥 filed Critical 신경옥
Priority to KR102016002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3157A/ko
Publication of KR2017010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바닥(61) 및 외측운도(62)를 지니면서 외측바닥(61)의 중심으로부터 솟아올라 화력의 통로가 되는 오름통(63)을 지닌 외측냄비(60)와, 내측바닥(71) 및 내측운두(72)를 지니면서 외측냄비(60)의 오름통(63)에 안착되는 내측냄비(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서로 다른 조리속도를 지닌 음식물을 각각의 조리시간에 맞추어 유연하게 요리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방에서의 편리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냄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냄비{POT}
본 발명은 냄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조리속도를 지닌 음식물을 적절한 시간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요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열에너지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는 주방에서 음식물을 끓이거나 익혀서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구이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실용신안등록 제0361833호)에 따른 조리면을 이중으로 구비한 냄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조리면을 이중으로 구비한 냄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반원 형상의 조리구(21)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이 한 쌍의 조리구(21) 상단의 연결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조리용기(20)와, 조리용기(20)의 상부 개방된 부위를 개폐하는 원형의 뚜껑(30)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조리면을 이중으로 구비한 냄비는 한 쌍의 조리구(21)에 각각 담겨진 음식물을 동일한 시간과 동일한 가스불로 항상 한꺼번에 열을 가해줄 수밖에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 문제점을 안고 있다.
예를 들어, 한쪽의 조리구(21)에 떡국을 끓이고 다른 한쪽의 조리구(21)에 김치찌개를 끓이고자 할 때, 각각의 음식물의 성질에 따른 끓이는 시간과 끓이고자 하는 가스불의 열량이 각각 다름에도 불구하고 항상 동시에에 열을 가해줄 수밖에 없어 각 음식물에 대한 조리상태를 알맞게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일단 조리를 완성한 서로 다른 음식물을 보관한 후 나중에 다시 데워 먹고자 할 경우 한 쌍의 조리구(21)에 담겨진 두 가지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에 끓일 수밖에 없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1833호(조리면을 이중으로 구비한 냄비)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조리속도를 지닌 음식물을 적절한 시간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요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열에너지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냄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조리를 유연하게 실현케 할 수 있는 냄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낭비를 현저히 줄이면서 에너지 활용을 극대화시켜 가스비의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냄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냄비에서 끓여지는 음식물이 내측냄비로 튀어 들어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냄비의 탈부착시 외측냄비의 음식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한 냄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염이 오름통을 통해 상승할 때 계면접촉면적을 넓혀 외측냄비를 더욱 빠르게 달굴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거니와 화염이 내측냄비를 향하여 더 오래도록 머물게 하여 화염의 접촉시간의 극대화로 열에너지 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냄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구마나 감자 등의 구이를 가능케 할 수 있으면서 수명 보장까지 가능케 하는 냄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냄비는,
외측바닥 및 외측운두를 지니면서 상기 외측바닥의 중심으로부터 솟아올라 화력의 통로가 되는 오름통을 지닌 외측냄비와,
내측바닥 및 내측운두를 지니면서 상기 오름통에 안착되는 내측냄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조리속도를 지닌 음식물을 적절한 시간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요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열에너지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을 유연하게 조리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에너지 낭비를 현저히 줄이면서 에너지 활용을 극대화시켜 가스비의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측냄비에서 끓여지는 음식물이 내측냄비로 튀어 들어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냄비의 탈부착시 외측냄비의 음식물로부터 더욱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염이 오름통을 통해 상승할 때 계면접촉면적을 넓혀 외측냄비를 더욱 빠르게 달굴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거니와 화염이 내측냄비를 향하여 더 오래도록 머물게 하여 화염의 접촉시간의 극대화로 열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오름통에 화염이 모두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시 및 보관시의 편리함을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구마나 감자 등의 구이를 실현케 하면서 수명 보장까지 보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조리면을 이중으로 구비한 냄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냄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본 발명의 냄비에 씌워지는 뚜껑은 생략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냄비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바닥(61) 및 외측운도(62)를 지니면서 외측바닥(61)의 중심으로부터 솟아올라 화력의 통로가 되는 오름통(63)을 지닌 외측냄비(60)와, 내측바닥(71) 및 내측운두(72)를 지니면서 외측냄비(60)의 오름통(63)에 안착되는 내측냄비(70)를 포함한다.
외측냄비(60)의 외측바닥(61) 중심에 오름통(63)을 부여할 경우 화력이 외측바닥(61)에 가해지면서도 오름통(63)을 향해 모아질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오름통(63)으로 모아진 화력으로 내측냄비(70)를 달굴 수 있게 된다.
이때, 외측냄비(60)는 외측바닥(61)뿐만 아니라 오름통(63)으로까지 화력이 미치어 훨씬 더 빠르게 가열될 수 있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 내측냄비(70)에 비교적 빨리 조리되는 라면을 끓이고 외측냄비(60)에 상대적으로 늦게 조리되는 김치찌개를 끓일 경우, 먼저 라면을 조리한 내측냄비(70)는 서둘러 분리케 할 수 있고, 늦게 끓여지는 김치찌개는 계속적으로 외측냄비(60)를 통해 가열될 수 있도록 하여, 가스레인지의 단일의 화구에 두 가지 조리속도를 지닌 음식물을 각각의 조리시간에 맞추어 유연하게 요리케 함으로써 주방에서의 편리함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내측냄비(70)를 활용하여 밥을 짓기 위하여 오름통(63)을 통해 빠르게 달군 후 다시 약한 불로 뜸을 들이고자 할 때 외측냄비(60)로부터 탈거시켜 가스레인지의 다른 화구에서 약하게 불을 지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조리를 자유자재로 실현케 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내측운두(72)는 오름통(63)의 상단에 걸쳐지는 날개(72a)를 가질 수 있고, 이 날개(72a)는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냄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같이 외측냄비(60)의 외측바닥(61)은 외측으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외저중고(外低中高)의 경사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가스레인지의 화력이 외측바닥(61)에 닿은 후 모두 외저중고의 경사를 따라 오름통(63)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낭비를 현저히 줄이고, 나아가 오름통(63)은 외측바닥(61)의 중심으로부터 하광상협(下廣上狹)의 내경으로 솟아오르도록 하여 화염의 포집으로써 내측냄비(70)로의 열량이 집중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외측운도(62)의 높이보다 오름통(63)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더 크게 하여 외측냄비(60)에서 끓여지는 음식물이 내측냄비(70)로 튀어 들어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측냄비(70)의 탈부착시 외측냄비(60)의 음식물로부터 더욱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오름통(63)의 내주연에 둘쭉날쭉 형성된 돌출턱(63a)을 더 구비시켜 화염이 오름통(63)을 통해 상승할 때 접촉면적을 넓혀 외측냄비(60)를 더욱 빠르게 달굴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거니와 돌출턱(63a)에 저항받은 화염이 내측냄비(70)를 향하여 더 오래도록 머물게 함으로써 화염의 접촉시간의 극대화로 에너지 효율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내측냄비(70)의 비사용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름통(63)의 상단에 씌워지는 캡(80)을 더 포함하여 외측냄비(60) 단독의 사용시 외측바닥(61)뿐만 아니라 캡(80)에 의해 막혀진 오름통(63)에 화염이 모두 집중되도록 하여 훨씬 더 빠른 조리를 가능케 한다.
이때, 캡(80)은 오름통(63)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사용시 및 보관시의 편리함을 보장케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내측냄비(70)의 비사용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름통(63)의 하단을 커버링하는 마개(90)를 더 구비시켜, 오름통(63)이 마개(90)에 의하여 하나의 용기가 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필요없는 구이요리, 즉 고구마나 감자 등의 구이를 가능케 할 수 있으며[외측냄비(60) 또는 내측냄비(70) 속에서 직접 고구마나 감자 등을 구울 경우 코팅층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마개(90)로 막혀진 오름통(63)을 활용할 경우 수명의 연장도 보장케 할 수 있다, 이때 마개(90)는 오름통(63)의 상단에 걸쳐지면서 하단을 커버링하는 그릇형태도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마개(90)는 오름통(63)의 하단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구이요리의 편리함을 더욱 완벽하게 보장케 한다.
그리고, 마개(90)는 파지부(91)를 가지도록 하여 오름통(63)의 하단에 나사 조임 및 나사 풀림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주방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쓰여지는 주방기구 도는 조리구기 등의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60 : 외측냄비 61 : 외측바닥
62 : 외측운두 63 : 오름통
63a : 돌출턱 80 : 캡
70 : 내측냄비 71 : 내측바닥
72 : 내측운두 72a : 날개
90 : 마개 91 : 파지부

Claims (12)

  1. 외측바닥(61) 및 외측운도(62)를 지니면서 상기 외측바닥(61)의 중심으로부터 솟아올라 화력의 통로가 되는 오름통(63)을 지닌 외측냄비(60)와,
    내측바닥(71) 및 내측운두(72)를 지니면서 상기 오름통(63)에 안착되는 내측냄비(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운두(72)는 상기 오름통(63)의 상단에 걸쳐지는 날개(72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72a)는 손잡이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바닥(61)은 외측으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외저중고의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름통(63)은 상기 외측바닥(61)의 중심으로부터 하광상협(下廣上狹)의 내경으로 솟아오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운도(62)의 높이보다 상기 오름통(63)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름통(63)의 내주연에 둘쭉날쭉 형성된 돌출턱(63a)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냄비(70)의 비사용시 상기 오름통(63)의 상단에 씌워지는 캡(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80)은 상기 오름통(63)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냄비(70)의 비사용시 상기 오름통(63)의 하단을 커버링하는 마개(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90)는 상기 오름통(63)의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90)는 파지부(9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KR1020160025552A 2016-03-03 2016-03-03 냄비 KR20170103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552A KR20170103157A (ko) 2016-03-03 2016-03-03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552A KR20170103157A (ko) 2016-03-03 2016-03-03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157A true KR20170103157A (ko) 2017-09-13

Family

ID=5996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552A KR20170103157A (ko) 2016-03-03 2016-03-03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31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6977B1 (en) Multifunctional cookware
US10039406B2 (en) Steam cooker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JP3194420U (ja) 多機能調理器
KR20110001116U (ko)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KR20170103157A (ko) 냄비
CN204797639U (zh) 一种多功能油炸锅
KR200394229Y1 (ko) 조리용기의 뚜껑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CN207745009U (zh) 方形煎锅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KR200380651Y1 (ko) 조리용기 뚜껑
KR20150004092U (ko) 조리용 용기 뚜껑
KR200288000Y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마늘 구이 용기가 구비된 고기 구이판
CN204889587U (zh) 多功能锅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KR101138925B1 (ko) 다기능 조리용 뚜껑
KR101166531B1 (ko) 연료 절약형 조리용기
CN201076347Y (zh) 蒸笼结构及利用该蒸笼结构的烹调器皿
KR101061798B1 (ko) 주방용기
CN208524604U (zh) 锅具
TWM514280U (zh) 蒸煮用容器架
JP3203119U (ja) 蒸しプレート及び蒸しプレートを有する多機能調理器具
KR200307333Y1 (ko) 양면요리판이 구비된 전기쿠커
CN206534506U (zh) 烹调器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