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552A -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무화 유닛 및 무화 유닛 패키지 - Google Patents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무화 유닛 및 무화 유닛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552A
KR20170102552A KR1020177022669A KR20177022669A KR20170102552A KR 20170102552 A KR20170102552 A KR 20170102552A KR 1020177022669 A KR1020177022669 A KR 1020177022669A KR 20177022669 A KR20177022669 A KR 20177022669A KR 20170102552 A KR20170102552 A KR 20170102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heating
heating element
resistance
resistance value
pow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072B1 (ko
Inventor
히로후미 마츠모토
아키히코 스즈키
타쿠마 나카노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8788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10255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7/00Smokers' requisi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44Heating of fl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14Devices wherein the heating current flows through particular resi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Apparatus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은,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공정 A와, 상기 공정 A에서 측정된 저항값,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으로서 상기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를 정보원에 기록하는 공정 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무화 유닛 및 무화 유닛 패키지{METHOD OF MANUFACTURING ATOMIZING UNIT, NON-COMBUSTION TYPE FLAVOR INHALER, ATOMIZING UNIT, AND ATOMIZING UNIT PACKAGE}
본 발명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源)을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를 가지는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무화 유닛 및 무화 유닛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미를 흡인하기 위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霧化)하는 무화부와, 무화부보다 흡구(吸口)측에 설치되는 향미원(香味源)을 가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여기서, 무화부는,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을 빨아올리는 윅과, 윅에 권회(卷回)되는 저항 발열체를 가진다. 윅에 권회되는 저항 발열체의 온도 편차를 억제하기 위해, 저항 발열체에 전력을 공급한 때의 저항 발열체의 온도를 서모그래피에 의해 측정함과 아울러,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조정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일본 특표 2010-506594호 공보 특허문헌 2: 국제공개 제2014/115143호 팸플릿
제1 특징은,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으로서,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電熱)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공정 A와, 상기 공정 A에서 측정된 저항값,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으로서 상기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를 정보원(情報源)에 기록하는 공정 B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상기 에어로졸원을 빨아올리는 에어로졸 흡인부에 상기 저항 발열체를 접촉시키고,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전극을 상기 저항 발열체에 접속한 후에, 상기 저항값을 측정하는 공정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특징은, 제1 특징 또는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상기 저항 발열체를 포함하는 무화 유닛을 어셈블리한 후에, 상기 저항값을 측정하는 공정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정보원은, 상기 저항 발열체를 포함하는 무화 유닛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은, 상기 무화 유닛을 갖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액세스 가능한 외부 기억 매체에,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을 저장하는 공정 C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B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원에 기록하는 공정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사용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기 저항값을 측정하는 공정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상기 저항값을 상온에서 측정하는 공정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특징은, 제6 특징 또는 제7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의 온도 계수 α가 0.8×10-3[℃-1] 이하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특징은, 제6 특징 또는 제7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의 온도 계수 α가 0.4×10-3[℃-1] 이하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특징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로서,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와,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가지는 정보원과, 상기 정보원이 갖는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으로서 상기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특징은, 제10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체 및 상기 정보원을 갖는 무화 유닛과, 상기 제어부를 갖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 특징은, 제11 특징에 있어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을 저장하는 외부 기억 매체에 액세스하는 외부 액세스부를 가지며, 상기 정보원은,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로서 갖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액세스부가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취득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 특징은, 제1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정보원은, 상기 저항값을 상기 특정 정보로서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정보원으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 특징은, 제11 특징 내지 제1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온도 계수 α가 0.8×10-3[℃-1] 이하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5 특징은, 제11 특징 내지 제1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온도 계수 α가 0.4×10-3[℃-1] 이하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 특징은, 무화 유닛으로서,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와,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갖는 정보원을 구비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으로서 상기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 특징은, 무화 유닛 패키지로서,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를 가지는 무화 유닛과,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갖는 정보원을 구비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으로서 상기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인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무화부(111R)(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도 5는, 변경 예 1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변경 예 2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 패키지(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도 7은, 변경 예 2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하에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 형태의 개요]
상술한 특허문헌 2의 목적은, 저항 발열체에 허용된 상한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저항 발열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용문헌 2에서는, 저항 발열체에 전력을 공급한 때의 저항 발열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서모그래피를 이용할 필요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서모그래피는 고가이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에어로졸원을 빨아올린 상태의 윅을 저항 발열체와 접촉시키고, 또, 저항 발열체의 온도를 사용 온도(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를 사용할 때의 저항 발열체의 온도)까지 승온하기 위해 저항 발열체로의 통전(通電)을 몇 초간에 걸쳐 행할 필요가 있다는 제약이 있다.
첫째로,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은,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공정 A와, 상기 공정 A에서 측정된 저항값,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으로서 상기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를 정보원에 기록하는 공정 B를 구비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로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을 이용한다. 즉, 서모그래피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서모그래피를 이용하는 제약을 신경 쓰지 않고,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다.
둘째로,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는,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와,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갖는 정보원과, 상기 정보원이 갖는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으로서 상기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로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를 이용한다. 즉, 서모그래피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서모그래피를 이용하는 제약을 신경 쓰지 않고,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이하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끽미(香喫味) 성분을 흡인하기 위한 기구로, 비흡구단(非吸口端)에서부터 흡구단으로 향하는 방향인 소정 방향(A)을 따라서 뻗은 형상을 가진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간단히 향미 흡인기(100)이라고 칭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는, 흡인기 본체(110)와, 카트리지(130)를 가진다.
흡인기 본체(110)는, 향미 흡인기(100)의 본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카트리지(130)를 접속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흡인기 본체(110)는, 통체(110X)를 갖고 있으며, 카트리지(130)는, 통체(110X)의 흡구단에 접속된다. 흡인기 본체(110)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 유닛(111)과, 전장(電裝) 유닛(112)을 가진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무화 유닛(111)은, 통체(110X)의 일부를 구성하는 통체(111X)를 가진다. 무화 유닛(11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저버(111P)와, 윅(111Q)과, 무화부(111R)를 가진다. 리저버(111P), 윅(111Q) 및 무화부(111R)는, 통체(111X)에 수용된다. 리저버(111P)는, 에어로졸원을 보유한다. 예를 들면, 리저버(111P)는, 수지(樹脂) 웹 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공질체(孔質體)이다. 윅(111Q)은, 리저버(111P)에 보유되는 에어로졸원을 빨아올리는 에어로졸 흡인부의 일 예이다. 예를 들면, 윅(111Q)은 유리 섬유에 의해 구성된다. 무화부(111R)는, 윅(111Q)에 의해 빨려 올라온 에어로졸원을 무화한다. 무화부(111R)는, 예를 들면, 윅(111Q)에 소정 피치로 권회되는 저항 발열체(예를 들면, 전열선)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무화부(111R)는,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의 일 예이다. 저항 발열체의 온도에 대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변화량은, R(T)=R0[1+α(T-T0)]로 표현된다. 단, R(T)는, 온도 T에 있어서의 저항값, R0는, 온도 T0에 있어서의 저항값, α는, 온도 계수이다. 온도 계수 α는, 온도 T에 의해 변화하지만,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제조·사용 조건 하에 있어서는, 정수로 근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온도 계수 α는, 측정 온도와 사용 온도 사이에 있어서의 저항값의 변화가 소정 범위에 들어가는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온도는, 향미 흡인기(100)의 제조에 있어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을 측정할 때의 저항 발열체의 온도이다. 측정 온도는, 저항 발열체의 사용 온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측정 온도는, 상온(20℃±15℃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온도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사용할 때의 저항 발열체의 온도로, 100℃∼400℃ 범위이다. 측정 온도가 20℃이고 사용 온도가 250℃인 조건에서 소정 범위를 20%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온도 계수 α는, 예를 들면, 0.8×10-3[℃-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온도가 20℃이고 사용 온도가 250℃인 조건에서 소정 범위를 10%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온도 계수 α는, 예를 들면, 0.4×10-3[℃-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로졸원은,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체이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웹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공질체에 의해 보유된다. 공질체는, 비담배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담배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 등을 함유하는 향미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 등을 함유하는 향미원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 이외의 성분을 함유하는 향미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에어로졸원은, 니코틴 성분 이외의 성분을 함유하는 향미원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전장 유닛(112)은, 통체(110X)의 일부를 구성하는 통체(112X)를 가진다. 향미 흡인기(100)를 구동하는 전원, 향미 흡인기(100)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가진다. 전원이나 제어 회로는, 통체(112X)에 수용된다. 전원은,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이다. 제어 회로는, 예를 들면, CPU 및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 회로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3을 참조).
제1 실시 형태에서, 전장 유닛(112)은, 통기공(112A)을 가진다. 통기공(112A)으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화 유닛(111)(무화부(111R))에 안내된다.
카트리지(130)는, 향미 흡인기(100)를 구성하는 흡인기 본체(11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다. 카트리지(130)는, 흡구로부터 흡입되는 기체(이하, 공기)의 유로(流路) 상에서 무화 유닛(111)보다 흡구측에 설치된다. 바꿔 말하면, 카트리지(130)는, 반드시 물리공간적으로 무화 유닛(111)보다 흡구측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무화 유닛(111)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을 흡구측으로 안내하는 에어로졸 유로 상에서 무화 유닛(111)보다 흡구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서, 「흡구측」은, 에어로졸 흐름의 「하류」와 같은 뜻으로 생각해도 되고, 「비흡구측」은, 에어로졸 흐름의 「상류」와 같은 뜻으로 생각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130)는, 카트리지 본체(131)와, 향미원(132)과, 메쉬(133A)와, 필터(133B)를 가진다.
카트리지 본체(131)는, 소정 방향(A)을 따라서 뻗은 통 모양 형상을 가진다. 카트리지 본체(131)는, 향미원(132)을 수용한다.
향미원(132)은, 흡구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서 무화 유닛(111)보다 흡구측에 설치된다. 향미원(132)은, 에어로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에 향끽미 성분을 부여한다. 바꿔 말하면, 향미원(132)에 의해 에어로졸에 부여되는 향미는, 흡구로 운반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향미원(132)은, 무화 유닛(111)으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에 향끽미 성분을 부여하는 원료편(原料片)에 의해 구성된다. 원료편의 크기는 0.2㎜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원료편의 크기는, 0.2㎜ 이상 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크기가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으로부터 향끽미 성분이 방출되기 쉽다. 따라서, 원하는 양의 향끽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부여하는 데에 있어서, 원료편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으로서는, 살담배, 담배원료를 입상(粒狀)으로 성형한 성형체를 이용할 수 있다. 단, 향미원(132)은, 담배원료를 시트 모양으로 성형한 성형체여도 된다. 또한,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은, 담배 외의 식물(예를 들면, 민트, 허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향미원(132)에는, 멘톨 등의 향료가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은, 예를 들면, JIS Z 8801에 준거한 스테인리스 체를 이용하여, JIS Z 8815에 준거하는 체 분리에 의해 얻어진다. 예를 들면, 0.71㎜의 눈 크기를 갖는 스테인리스 체를 이용하여, 건조식 또 기계식 진탕법에 의해 20분간에 걸쳐 원료편을 체 분리에 의해, 0.71㎜의 눈 크기를 갖는 스테인리스 체를 통과하는 원료편을 얻는다. 이어서, 0.212㎜의 눈 크기를 갖는 스테인리스 체를 이용하여, 건조식 또 기계식 진탕법에 의해 20분간에 걸쳐 원료편을 체 분리에 의해, 0.212㎜의 눈 크기를 갖는 스테인리스 체를 통과하는 원료편을 제거한다. 즉,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은, 상한을 규정하는 스테인리스 체(눈 크기=0.71㎜)를 통과하고, 하한을 규정하는 스테인리스 체(눈 크기=0.212㎜)를 통과하지 않는 원료편이다. 따라서, 실시 형태에서는,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크기의 하한은, 하한을 규정하는 스테인리스 체의 눈 크기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의 크기의 상한은, 상한을 규정하는 스테인리스 체의 눈 크기에 의해 정의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향미원(132)은, 알칼리성의 pH를 갖는 담배원이다. 담배원의 pH는, 7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8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담배원으로부터 발생하는 향끽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의해 효율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하는 양의 향끽미 성분을 에어로졸에 부여하는 데에 있어서, 담배원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담배원의 pH는,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향미 흡인기(100)(예를 들면, 카트리지(130) 또는 흡인기 본체(110))에 대한 손상(부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향미원(132)으로부터 발생하는 향끽미 성분은 에어로졸에 의해 반송되고 있으며, 향미원(132) 자체를 가열할 필요는 없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메쉬(133A)는, 향미원(132)에 대해 비흡구측에서 카트리지 본체(131)의 개구(開口)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필터(133B)는, 향미원(132)에 대해 흡구측에서 카트리지 본체(131)의 개구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메쉬(133A)는,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조밀도를 가진다. 메쉬(133A)의 조밀도는, 예를 들면, 0.077㎜ 이상 0.198㎜ 이하의 눈 크기를 가진다. 필터(133B)는, 통기성을 갖는 물질에 의해 구성된다. 필터(133B)는,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33B)는, 향미원(132)을 구성하는 원료편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조밀도를 가진다.
(블록 구성)
이하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무화 유닛(111)은, 무화부(111R)(저항 발열체)에 더해, 메모리(111M)를 가진다. 상술한 전장 유닛(112)에 마련되는 제어 회로(50)는, 제어부(51)를 가진다. 제어 회로(50)는,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제어 유닛의 일 예이다.
메모리(111M)는, 무화부(111R)(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갖는 정보원의 일 예이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 정보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무화부(111R)(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으로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이다.
여기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저항값의 실측값이어도 되고, 저항값의 추정값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저항 발열체의 양단에 측정 장치의 단자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으로서 실측값을 이용할 수 있다. 혹은, 향미 흡인기(100)에 설치되는 전원과 접속하기 위한 전극이 저항 발열체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항 발열체에 접속된 전극에 측정 장치의 단자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저항 발열체 이외의 부분(전극 등)의 저항값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저항 발열체 이외의 부분(전극 등)의 저항값을 고려한 추정값을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의 크기는, 저항 발열체에 대해 연속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저항 발열체에 대해 인가되는 전압의 값 및 전원 출력의 공급을 계속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한편으로, 전원 출력의 크기는, 저항 발열체에 대해 단속(斷續)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펄스 제어)에 있어서는, 저항 발열체에 대해 인가되는 전압의 값, 듀티 비(즉, 펄스 폭 및 펄스 간격) 및 전원 출력의 공급을 계속하는 시간에 의해 정의된다.
제어부(51)는, 메모리(111M)가 가진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이 도 4에 나타내는 특성을 가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종축(縱軸)이 저항값(Ω)을 나타내고 있으며, 횡축이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온은, 20℃±15℃ 범위이다. 사용 온도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를 사용할 때의 저항 발열체의 온도로, 100℃∼400℃ 범위이다. 사용 온도는, 에어로졸원의 조성에 따라 적당히 정해진다. 저항값의 기울기는, 저항 발열체의 온도에 대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변화량(즉, 온도 계수 α)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 A(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온도가 같다면, 기준 샘플(저항 발열체)의 저항값보다 높다. 샘플 B(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온도가 같다면, 기준 샘플(저항 발열체)의 저항값보다 낮다. 무화부(111R)(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저항 발열체의 길이, 저항 발열체의 굵기 등에 의존하기 때문에, 무화부(111R)(저항 발열체)마다 편차를 가지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원하는 온도를 얻기 위해 기준 샘플(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이 기준 출력인 경우에, 제어부(51)는, 기준 출력보다 크게 하도록 샘플 A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한다. 한편으로, 제어부(51)는, 기준 출력보다 작게 하도록 샘플 B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무화부(111R)(저항 발열체)마다의 저항값의 편차를 억제하면서, 원하는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 메모리(111M)가 가지는 특정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이면 된다.
상세하게는, 특정 정보가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인 경우에는, 제어부(51)는,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과 저항값의 대응 관계를 미리 파악하고 있으면, 메모리(111M)로부터 판독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정보가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인 경우에는, 제어부(51)는, 메모리(111M)로부터 판독된 조정 완료 전원 출력에 기초하여,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1)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메모리(111M)로부터 판독된 저항값을 이용하여,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제어부(51)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메모리(111M)로부터 판독된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을 이용하여,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저항 발열체의 사용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상온에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저항 발열체의 온도가 사용 온도가 될 때까지 저항 발열체에 대한 통전을 행할 필요가 없고, 무화 유닛(111)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온도 계수 α가 0.8×10-3[℃-1] 이하(바람직하게는, 0.4×10-3[℃-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으로서 저항 발열체의 사용 온도보다 낮은 온도(예를 들면, 상온)에서 측정된 값을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사용했다고 해도, 사용 온도에 있어서의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대한 저항값의 차이가 작다. 따라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편차에 따른 저항 발열체의 온도 편차를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작용 및 효과)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저항 발열체(무화부(111R))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로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을 이용한다. 즉, 서모그래피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서모그래피를 이용하는 제약을 신경 쓰지 않고,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 정보를 갖는 정보원(메모리(111M))이 무화 유닛(111)에 마련된다. 따라서, 무화 유닛(111)이 교환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도, 무화 유닛(111)에 마련되는 메모리(111M)로부터 특정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편차에 따른 저항 발열체의 온도 편차를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변경 예 1]
이하에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1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상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메모리(111M)가 가지는 특정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이다. 이에 대해, 변경 예 1에서는, 메모리(111M)가 가지는 특정 정보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이다.
(블록 구성)
이하에서, 변경 예 1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변경 예 1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에서는, 도 3과 마찬가지인 구성에 대해 마찬가지인 부호를 붙이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도 5에서, 통신 단말(200)은, 서버(300)와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단말이다. 통신 단말(200)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이다. 서버(300)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을 저장하는 외부 기억 매체의 일 예이다. 또한, 메모리(111M)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를 특정 정보로서 가진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50)는, 외부 액세스부(52)를 가진다. 외부 액세스부(52)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서버(300)에 액세스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5에서는, 외부 액세스부(52)가 통신 단말(200)을 통해 서버(300)에 액세스하는 기능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 액세스부(52)는, 예를 들면, 통신 단말(200)과 유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모듈(예를 들면, USB 포트)이어도 되고, 통신 단말(200)과 무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모듈(예를 들면, Bluetooth 모듈)이어도 된다.
단, 외부 액세스부(52)는, 서버(300)와 직접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외부 액세스부(52)는, 무선 LAN 모듈이어도 된다.
외부 액세스부(52)는, 메모리(111M)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함과 아울러, 판독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 정보와 대응 지워진 정보(즉,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를 서버(300)로부터 취득한다.
제어부(51)는, 외부 액세스부(52)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300)로부터 취득하는 정보(즉,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에 기초하여,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한다.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제어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작용 및 효과)
변경 예 1에서는, 무화부(111R)(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로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를 이용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서모그래피를 이용하는 제약을 신경 쓰지 않고,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변경 예 2]
이하에서, 제1 실시 형태의 변경 예 2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변경 예 1에 대한 상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변경 예 1에서는,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가진 정보원이 무화 유닛(111)에 설치되는 메모리(111M)이다. 이에 대해, 변경 예 2에서는, 정보원은, 무화 유닛(111)과는 별개로 마련되는 매체 등이다. 무화 유닛(111) 및 매체는, 무화 유닛 패키지를 구성한다. 또한, 매체는, 변경 예 1과 마찬가지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를 특정 정보로서 가진다. 매체는, 예를 들면, 식별 정보가 표시된 종이 매체(무화 유닛(111)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라벨, 무화 유닛(111)과 동봉되는 설명서, 무화 유닛(111)을 수용하는 상자 등의 용기 등)이다.
변경 예 2에서는, 무화 유닛 패키지(40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화 유닛(111)과, 무화 유닛(111)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라벨(111Y)을 가진다. 라벨(111Y)은,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를 특정 정보로서 갖는 정보원의 일 예이다.
(블록 구성)
이하에서, 변경 예 2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변경 예 2에 관계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에서는, 도 5와 마찬가지인 구성에 대해 마찬가지인 부호를 붙이고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 단말(200)은, 식별 정보의 입력 또는 식별 정보의 판독에 의해, 라벨(111Y)이 갖는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통신 단말(200)은, 취득된 식별 정보와 대응 지워진 정보(즉,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를 서버(300)로부터 취득한다.
외부 액세스부(52)는, 통신 단말(200)이 서버(300)로부터 취득하는 정보(즉,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를 통신 단말(200)로부터 취득한다.
제어부(51)는, 외부 액세스부(52)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300)로부터 취득하는 정보(즉,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에 기초하여,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한다.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제어 방법은, 제1 실시 형태 및 변경 예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변경 예 2에서는, 통신 단말(200)이 라벨(111Y)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별 정보의 입력 또는 식별 정보의 판독을 행하는 기능을 제어 회로(50)가 갖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 회로(50)가 라벨(111Y)로부터 식별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작용 및 효과)
변경 예 2에서는,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가진 정보원으로서, 무화 유닛(111)과는 별개로 마련되는 매체를 이용한다. 따라서, 무화 유닛(111)에 메모리(111M)를 탑재하지 않아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서모그래피를 이용하는 제약을 신경 쓰지 않고,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에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무화 유닛(111)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무화 유닛(111)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10에서,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무화부(111R))를 제조한다.
단계 S20에서, 단계 S10 후에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을 측정한다(공정 A).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에어로졸 흡인부(예를 들면, 윅(111Q))에 저항 발열체를 접촉시키고, 전원과 접속하기 위한 전극을 저항 발열체에 접속한 후에 측정되어도 된다. 혹은,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저항 발열체를 포함하는 무화 유닛(111)을 어셈블리한 후에 측정되어도 된다. 무화 유닛(111)의 어셈블리란, 리저버(111P), 윅(111Q) 및 무화부(111R) 등을 하우징 내에 수용하고, 무화 유닛(111)을 조립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에어로졸원을 리저버(111P)에 주입하기 전에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저항값이 허용 범위에 들어가 있지 않아, 무화 유닛(111)의 어셈블리가 불량품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 저항 발열체 이외의 부재를 재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저항 발열체의 사용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상온에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 발열체의 온도가 사용 온도가 될 때까지 저항 발열체에 대한 통전을 행할 필요가 없고, 무화 유닛(111)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온도 계수 α가 0.8×10-3[℃-1] 이하(바람직하게는, 0.4×10-3[℃-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으로서 저항 발열체의 사용 온도보다 낮은 온도(예를 들면, 상온)에서 측정된 값을 온도 변화에 따른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사용했다고 해도, 사용 온도에 있어서의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대한 저항값의 차이가 작다. 따라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편차에 따른 저항 발열체의 온도 편차를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온도 계수 α가 0.8×10-3[℃-1]보다 큰 경우에는, 저항 발열체의 사용 온도보다 낮은 온도(예를 들면, 상온)에 있어서의 저항값과 사용 온도에 있어서의 저항값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사용 온도에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제어의 최적화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단계 S30에서, 단계 S20에서 측정된 저항값, 단계 S20에서 측정된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를 정보원에 기록한다(공정 B).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무화 유닛(111)에서는, 단계 S30은, 무화 유닛(111)에 마련되는 정보원(메모리(111M))에, 단계 S20에서 측정된 저항값, 또는, 단계 S20에서 측정된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을 기록하는 공정이다.
혹은, 변경 예 1에 나타내는 무화 유닛(111)에서는, 단계 S30은, 무화 유닛(111)에 마련되는 정보원(메모리(111M))에,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무화 유닛(111)의 제조 방법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외부 액세스부(52))가 액세스 가능한 외부 기억 매체(예를 들면, 서버(300))에,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을 저장하는 공정(공정 C)을 더 포함한다.
혹은, 변경 예 2에 나타내는 무화 유닛 패키지(400)에서는, 단계 S30은, 무화 유닛 패키지(400)에 포함되는 정보원(라벨(111Y))에, 저항값 또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를 기록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무화 유닛(111)의 제조 방법은,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100)(외부 액세스부(52))가 액세스 가능한 외부 기억 매체(예를 들면, 서버(300))에,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을 저장하는 공정(공정 C)을 더 포함한다.
(작용 및 효과)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저항 발열체(무화부(111R))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로서,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또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을 이용한다. 즉, 서모그래피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서모그래피를 이용하는 제약을 신경 쓰지 않고,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제어를 최적화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에어로졸 흡인부(예를 들면, 윅(111Q))에 저항 발열체를 접촉시키고,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전극을 저항 발열체에 접속한 후에 측정된다. 따라서, 출하시의 제품 구성에 가까운 상태로 저항값이 측정되기 때문에,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제어의 최적화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저항 발열체를 포함하는 무화 유닛(111)을 어셈블리한 후에 측정된다. 따라서, 어셈블리 후의 무화 유닛(111)을 보관한 후에,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무화 유닛(111)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은, 저항 발열체를 포함하는 무화 유닛(111)을 어셈블리한 후로서, 에어로졸원을 리저버(111P)에 주입하기 전에, 저항 발열체의 사용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측정된다. 이에 의해, 저항 발열체의 가열에 따른 각 부재(예를 들면, 윅(111Q) 등)에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해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130)는 무화 유닛(111)을 포함하지 않지만,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130)는, 무화 유닛(111)과 함께 하나의 유닛을 구성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무화 유닛(111)은, 흡인기 본체(110)에 대해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제어부(51)는, 무화부(111R)(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펄스 제어에 의해 제어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부(51)는, 무화부(111R)에 의해 무화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바라는 범위에 들어가도록, 전장 유닛(112)에 설치되는 전원(예를 들면, 리튬 전지)의 축전량의 감소 및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1회의 퍼프 동작에서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예를 들면, 저항 발열체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 비)을 증대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은, 전원의 축전량의 감소에 따라 증대하는 전원 출력(예를 들면, 저항 발열체에 인가하는 전압의 듀티 비) 및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에 따라 정해져도 된다. 바라는 범위는, 예를 들면, 0.1㎎/1퍼프 동작 이상, 또, 4.0㎎/1퍼프 동작 이하의 범위이다.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서모그래피를 이용하지 않는 것에 의해 서모그래피를 이용하는 제약을 신경 쓰지 않고,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의 제어를 최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무화 유닛 및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공정 A와,
    상기 공정 A에서 측정된 저항값,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으로서 상기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를 정보원(情報源)에 기록하는 공정 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상기 에어로졸원을 빨아올리는 에어로졸 흡인부에 상기 저항 발열체를 접촉시키고, 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전극을 상기 저항 발열체에 접속한 후에, 상기 저항값을 측정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상기 저항 발열체를 포함하는 무화 유닛을 어셈블리한 후에, 상기 저항값을 측정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원은, 상기 저항 발열체를 포함하는 무화 유닛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 유닛을 갖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가 액세스 가능한 외부 기억 매체에,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을 저장하는 공정 C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B는,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원에 기록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상기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사용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상기 저항값을 측정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는, 상기 저항값을 상온에서 측정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의 온도 계수 α가 0.8×10-3[℃-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의 온도 계수 α가 0.4×10-3[℃-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10.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와,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가지는 정보원과,
    상기 정보원이 갖는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으로서 상기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체 및 상기 정보원을 갖는 무화 유닛과,
    상기 제어부를 갖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을 저장하는 외부 기억 매체에 액세스하는 외부 액세스부를 가지며,
    상기 정보원은,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특정 정보로서 갖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액세스부가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기억 매체로부터 취득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정보원은, 상기 저항값을 상기 특정 정보로서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정보원으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4.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온도 계수 α가 0.8×10-3[℃-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5.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의 온도 계수 α가 0.4×10-3[℃-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16.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와,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갖는 정보원을 구비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으로서 상기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 유닛.
  17. 에어로졸원을 저항 전열로 무화하는 저항 발열체를 가지는 무화 유닛과,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을 특정하기 위한 특정 정보를 갖는 정보원을 구비하며,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저항 발열체의 저항값, 상기 저항 발열체에 대한 전원 출력으로서 상기 저항값에 따라 정해지는 조정 완료 전원 출력, 또는, 상기 저항값 또는 상기 조정 완료 전원 출력과 대응 지워진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 유닛 패키지.
KR1020177022669A 2015-03-10 2015-03-10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무화 유닛 및 무화 유닛 패키지 KR101993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7062 WO2016143079A1 (ja) 2015-03-10 2015-03-10 霧化ユニットの製造方法、非燃焼型香味吸引器、霧化ユニット及び霧化ユニットパッケー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552A true KR20170102552A (ko) 2017-09-11
KR101993072B1 KR101993072B1 (ko) 2019-06-25

Family

ID=56878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669A KR101993072B1 (ko) 2015-03-10 2015-03-10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무화 유닛 및 무화 유닛 패키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993474B2 (ko)
EP (2) EP3260000B1 (ko)
JP (1) JP6457624B2 (ko)
KR (1) KR101993072B1 (ko)
CN (2) CN110522090B (ko)
AU (1) AU2015386187B2 (ko)
EA (1) EA034186B1 (ko)
HK (1) HK1244408A1 (ko)
MY (1) MY193180A (ko)
TW (1) TWI600382B (ko)
WO (1) WO20161430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548A (ko) 2020-09-29 2022-04-05 한국전력공사 부분 방전 발생 탐지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411336B2 (en) * 2014-11-10 2018-05-24 Japan Tobacco Inc. Non-burning type flavor inhaler
EA036912B1 (ru) * 2016-07-27 2021-01-14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Ароматический ингалятор, картридж и ароматизирующий блок
US20180132526A1 (en) * 2016-11-11 2018-05-17 Rai Strategic Holdings, Inc. Real-time temperature control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US20180132529A1 (en) * 2016-11-14 2018-05-17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with integrated wireless connectivity for temperature monitoring
TWI627911B (zh) * 2016-12-30 2018-07-01 日本煙草產業股份有限公司 加熱型香味吸嚐器
TWI689261B (zh) * 2016-12-30 2020-04-01 日本煙草產業股份有限公司 加熱型香味吸嚐器
EP3581039B8 (en) 2017-03-06 2022-07-13 Japan Tobacco Inc. Battery unit, flavor aspirator, method for controlling battery unit, and program
WO2018163262A1 (ja) * 2017-03-06 2018-09-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香味吸引器、バッテリユニット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163263A1 (ja) 2017-03-06 2018-09-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ユニット、香味吸引器、バッテリユニット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167817A1 (ja) * 2017-03-13 2018-09-2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喫煙システム、給電制御方法、プログラム、一次装置、及び二次装置
TW201843553A (zh) * 2017-05-02 2018-12-16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用於氣溶膠產生裝置之加熱器總成
TWI787316B (zh) * 2017-09-08 2022-12-2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氣溶膠產生裝置、非暫態電腦可讀取儲存媒體以及識別消耗材之方法
EP3744193B1 (en) 2018-01-26 2022-06-15 Japan Tobacco Inc. Aerosol generation device
WO2019146061A1 (ja) 2018-01-26 2019-08-0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並びに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00892B1 (ko) 2018-01-26 2023-02-17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것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프로그램
GB201805169D0 (en) * 2018-03-29 2018-05-16 Nicoventures Holdings Ltd A control device for a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TW202007294A (zh) * 2018-07-24 2020-02-16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 個人用汽化裝置之溫度調節
US20220087322A1 (en) 2018-12-20 2022-03-24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provision system
CN210203316U (zh) * 2019-05-07 2020-03-3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烟弹及电子烟
GB2595803B (en) * 2019-10-29 2024-05-01 Lanto Electronic Ltd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electronic-cigarette authenticity, smoking set, electronic cigarette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6594A (ja) 2006-10-18 2010-03-04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タバコを収容する喫煙物品
KR200464889Y1 (ko) * 2012-08-09 2013-02-06 주식회사 엔브라이트 무화 제어 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무화 장치
JP2014115143A (ja) 2012-12-07 2014-06-26 Toshiba Corp 熱中性子吸収材料及びそのコーティング方法
US20140338685A1 (en) * 2013-05-20 2014-11-20 Sis Resources, Ltd. Burning prediction and communications for an electronic cigarette
JP2015503916A (ja) * 2011-12-30 2015-02-0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空気流検出を備え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WO2015022448A1 (en) * 2013-08-14 2015-02-19 Pixan O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vaporizer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8574A (en) 1989-12-01 1995-04-18 Philip Morris Incorporated Flat ceramic heater having discrete heating zones
US5322075A (en) 1992-09-10 1994-06-21 Philip Morris Incorporated Heater for an electric flavor-generating article
CN1106812C (zh) * 1996-06-17 2003-04-30 日本烟业产业株式会社 香味生成物品
JP2002215246A (ja) * 2001-01-19 2002-07-3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ヒータの温度制御方法及び温度制御装置
US7367334B2 (en) * 2003-08-27 2008-05-06 Philip Morris Usa Inc. Fluid vaporizing device having controlled temperature profile heater/capillary tube
US7193187B2 (en) * 2004-02-09 2007-03-20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Feedback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constant resistance operation of electrically heated elements
JP2009063966A (ja) * 2007-09-10 2009-03-2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2213321B1 (en) * 2007-11-29 2014-07-23 Japan Tobacco Inc. Aerosol inhaling system
EP2110033A1 (en) 2008-03-25 2009-10-21 Philip Morris Products S.A. Method for controlling the formation of smoke constituents in an electrical aerosol generating system
EP2316286A1 (en) 2009-10-29 2011-05-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with improved heater
EP2399636A1 (en) 2010-06-23 2011-12-28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improved aerosol generator and liquid storage portion for use with the aerosol generator
EP2460423A1 (en) * 2010-12-03 2012-06-06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having improved heater control
EP2468117A1 (en) 2010-12-24 2012-06-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having means for determining depletion of a liquid substrate
EP2468116A1 (en) 2010-12-24 2012-06-27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having means for handling consumption of a liquid substrate
US20120174914A1 (en) * 2011-01-08 2012-07-12 Nasser Pirshafiey Electronic vapor inhaling device
US9399110B2 (en) 2011-03-09 2016-07-26 Chong Corporation Medicant delivery system
CA2829043C (en) * 2011-04-22 2019-09-03 Chong Corporation Medicant delivery system
KR101113018B1 (ko) * 2011-05-31 2012-02-27 최병수 전열기, 온도 제어 모듈, 및 전열기의 온도 제어 방법
JP5717218B2 (ja) * 2011-08-19 2015-05-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
LT2770859T (lt) * 2011-10-27 2019-01-1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zolį generuojanti sistema su pagerinta aerozolio gamyba
TWI546023B (zh) * 2011-10-27 2016-08-2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具有氣溶膠生產控制之電操作氣溶膠產生系統
US8820330B2 (en) * 2011-10-28 2014-09-02 Evolv, Llc Electronic vaporizer that simulates smoking with power control
AU2012360820B2 (en) 2011-12-30 2017-07-13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consumption monitoring and feedback
EP2609820A1 (en) * 2011-12-30 2013-07-03 Philip Morris Products S.A. Detection of aerosol-forming substrate 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20140334804A1 (en) * 2012-03-26 2014-11-13 Enbright Co., Ltd. Atomization control unit and a portable atomiz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30255702A1 (en) 2012-03-28 2013-10-0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incorporating a conductive substrate
JP6126582B2 (ja) * 2012-03-29 2017-05-10 日本碍子株式会社 情報表示付き通電加熱式ヒーター及びその情報の使用方法
JP5490207B1 (ja) * 2012-11-15 2014-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特性調整方法
RU2638917C2 (ru) * 2013-01-22 2017-12-18 Сис Рисорсез Лтд. Способ считы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для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электронных сигарет
JP2014174404A (ja) * 2013-03-11 2014-09-22 Tdk Taiwan Corp レンズ保持装置
CN105163612B (zh) 2013-03-15 2019-08-06 R·J·雷诺兹烟草公司 由材料的薄片形成加热元件、用于产生雾化器的输入端和方法,用于气雾剂递送装置的套筒以及用于组装用于吸烟物品的套筒的方法
FR3017954B1 (fr) 2014-02-21 2016-12-02 Smokio Cigarette electronique
CN104116138B (zh) * 2014-06-24 2017-10-10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电子烟及其控制方法
CN104305527B (zh) * 2014-10-24 2018-04-06 林光榕 红外感应温控电子烟及其温度控制方法
CN104323428B (zh) * 2014-10-24 2017-10-17 林光榕 温控电子烟及其温度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6594A (ja) 2006-10-18 2010-03-04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タバコを収容する喫煙物品
JP2015503916A (ja) * 2011-12-30 2015-02-0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空気流検出を備え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KR200464889Y1 (ko) * 2012-08-09 2013-02-06 주식회사 엔브라이트 무화 제어 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무화 장치
JP2014115143A (ja) 2012-12-07 2014-06-26 Toshiba Corp 熱中性子吸収材料及びそのコーティング方法
US20140338685A1 (en) * 2013-05-20 2014-11-20 Sis Resources, Ltd. Burning prediction and communications for an electronic cigarette
WO2015022448A1 (en) * 2013-08-14 2015-02-19 Pixan O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vaporiz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548A (ko) 2020-09-29 2022-04-05 한국전력공사 부분 방전 발생 탐지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47717A1 (en) 2017-12-07
JPWO2016143079A1 (ja) 2017-06-15
MY193180A (en) 2022-09-26
CN110522090A (zh) 2019-12-03
US10993474B2 (en) 2021-05-04
CN110522090B (zh) 2022-11-29
EA034186B1 (ru) 2020-01-15
TW201635929A (zh) 2016-10-16
EP4151109A1 (en) 2023-03-22
HK1244408A1 (zh) 2018-08-10
CN107249365B (zh) 2021-05-18
KR101993072B1 (ko) 2019-06-25
WO2016143079A1 (ja) 2016-09-15
AU2015386187A1 (en) 2017-09-28
AU2015386187B2 (en) 2019-04-18
EP3260000B1 (en) 2023-01-04
EP3260000A4 (en) 2018-11-21
JP6457624B2 (ja) 2019-01-23
EP3260000A1 (en) 2017-12-27
EA201791994A1 (ru) 2017-12-29
TWI600382B (zh) 2017-10-01
CN107249365A (zh)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072B1 (ko) 무화 유닛의 제조 방법,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무화 유닛 및 무화 유닛 패키지
JP6450854B2 (ja) 非燃焼型香味吸引器及び霧化ユニット
US11896057B2 (en) Electronic vaporizer with automated thermal profile control
JP6854321B2 (ja) 霧化ユニットの製造方法、霧化ユニット及び非燃焼型香味吸引器
KR20190032438A (ko) 향미 흡인기, 카트리지 및 향미 유닛
JP6978167B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WO2020174629A1 (ja) 香味成分生成制御装置、香味成分生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183697A1 (ja) 情報管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および管理システム
JP2019068828A (ja) 霧化ユニットの製造方法、非燃焼型香味吸引器、霧化ユニット及び霧化ユニットパッケージ
JP6522225B2 (ja) 霧化ユニットの製造方法、非燃焼型香味吸引器、霧化ユニット及び霧化ユニットパッケージ
TWI638609B (zh) 霧化單元的製造方法、霧化單元及非燃燒型香味吸嚐器
TW202033114A (zh) 資訊管理方法、程式、資訊處理裝置、終端裝置及管理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