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174A -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174A
KR20170102174A KR1020177021294A KR20177021294A KR20170102174A KR 20170102174 A KR20170102174 A KR 20170102174A KR 1020177021294 A KR1020177021294 A KR 1020177021294A KR 20177021294 A KR20177021294 A KR 20177021294A KR 20170102174 A KR20170102174 A KR 20170102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information
message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5166B1 (ko
Inventor
쥔런 창
위춘 우
수란 펑
천슝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02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04W76/02
    • H04W76/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단말이 제공되며, 단말은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있어서,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제1 기지국의 핸드오버들이 감소될 수 있음으로써,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빈번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감소시키고,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페이징 부하를 감소시키며, 서비스 설정 및 전송에서의 종단간 지연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예측에 따르면, 2014년 말에는,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수가 처음으로 사람들의 수를 초과할 것이고, 2018년 말에는, 세계에서 1인당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수가 1.4에 도달할 것이다. 2018년의 모바일 서비스들의 데이터 트래픽은 어쩌면 2013년의 약 10배에 도달할 것이다.
모바일 인터넷 응용 분야에서, 증강 현실, 가상 현실, 또는 실시간 대화형 게임들과 같은 다양한 장래의 응용들은 사용자 경험을 보다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킬 것이다. 이것은 전송 네트워크의 전송률(rate)에 더 높은 요구사항을 부과한다. 다른 한편으로, 모바일 교육, 모바일 헬스(mobile health), 및 무인 자동차의 등장은 장래의 무선 통신의 지연 및 신뢰성에 보다 큰 과제를 부과할 것이다. 무선 통신의 새로운 응용들이 계속하여 등장하고 점점 더 중요하게 됨에 따라, 전송 네트워크도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효과적인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들의 개발 요구사항들을 보다 잘 충족시키기 위해, 5세대 이동 통신 기술(5-Generation, 줄여서 5G) 네트워크는 현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관심을 끄는 연구 주제가 되고 있다. 5G는 2020년 이후를 지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따라서, 5G 설계 요구사항들과 관련하여, 2020년 이후의 모바일 서비스들의 개발 요구사항들을 지원하기 위해 보다 도전적인 목표가 정의될 필요가 있다. 현재, 5G 서비스 요구사항들 및 목표 설계와 관련하여, 데이터 트래픽 목표는 현재 데이터 트래픽의 1000배에 따라 설계된다. 지원될 수 있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수와 관련하여, 도전적인 목표는 단말 디바이스들의 현재 수의 100배를 지원하는 것이다. 그에 부가하여, 단말의 전형적인 데이터 전송률도 100배의 목표에 접근해야만 한다. 이러한 고성능 도전에 부가하여, 일부 특별 서비스들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의 지연과 비교하여 제로 지연(zero delay) 또는 매우 낮은 지연이 추가로 요구된다.
요컨대, 5G의 성능은 4세대 이동 통신 기술(4-Generation, 줄여서 4G)의 성능보다 훨씬 더 높다. 5G는 0.1 Gbps 내지 1 Gbps의 사용자 인지 전송률을 지원하고, 제곱킬로미터당 백만개의 연결의 밀도, 밀리초 단위의 종단간 지연, 제곱킬로미터당 수십 Tbps의 트래픽 밀도, 시간당 500 km 초과의 이동성, 및 수십 Gbps의 피크 전송률을 갖는다. 그에 부가하여, 5G-시대 네트워크의 배치 및 운영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스펙트럼 효율이 4G에 비해 5배 내지 15배만큼 향상되며, 에너지 효율 및 비용 효율이 100배 초과만큼 향상된다.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설계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스몰셀들 또는 스몰셀 기지국들이 보다 조밀하게 배치되어, 소위 초밀집 네트워크(Ultra Dense Network, 줄여서 UDN)를 형성한다.
UDN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전송률을 제공하기 위해, 많은 수의 스몰셀 기지국들이 배치된다. 보다 많은 스몰셀 기지국들이 네트워크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줄여서 UE)가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셀 변경들이 빈번히 일어난다. 그렇지만, 각각의 셀 변경 프로세스는 UE와 진화된 NodeB(eUTRAN NodeB, 줄여서 eNB) 사이의, UE와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MME 및 S-GW 등) 사이의, 그리고 eNB와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시그널링 상호작용 프로세스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셀 변경 프로세스들의 증가에 따라, 관련된 시그널링의 양도 증가한다. 특히, 지능형 단말이 보다 많은 서비스들을 지원할 때, 다양한 신규 서비스들의 도입 및 사용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들의 빈번한 서비스 설정 및 해제(release) 프로세스들이 또한 야기되고, 각각의 서비스 설정 및 해제 프로세스는 또한 시그널링을 증가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많은 수의 머신 타입 디바이스들의 도입, 예를 들어, 지능형 자동차들 및 다른 머신 타입 디바이스들의 수의 증가로 인해, 네트워크는 많은 수의 작은 데이터 패킷들을 빈번히 전송할 필요가 있다. 작은 데이터 패킷을 매번마다 전송하기 위해, 서비스 설정 및 해제 프로세스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또한 시그널링 부하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작은 데이터 패킷이 전송될 때마다 많은 양의 자원들이 소비된다.
원래 방송 및 텔레비전 서비스들을 위해 사용되는 일부 초고주파(Ultra High Frequency, 줄여서 UHF) 대역 (예를 들어, 700 MHz 주파수 대역)은 이동 통신 사업자에게 할당되고, 넓은 커버리지를 특징으로 하는 프리미엄 스펙트럼 자원들은 이동 통신에 혁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일부 UHF 주파수 대역들 또는 다른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들이 모바일 서비스에 할당될 때, 어떻게 이 스펙트럼 자원들을 적절히 사용하고 스펙트럼 자원들의 특징들을 최대로 활용할지가 또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종래의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줄여서 LTE) 기술에서,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마다, eNB는 먼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줄여서 RRC) 연결을 설정하고, 이어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줄여서 MME) 및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줄여서 S-GW)에의 비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줄여서 NAS) 연결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네트워크가 서비스를 UE로 전송할 필요가 있을 때, 먼저 MME는 페이징 통지를 페이징 영역(paging area) 또는 추적 영역(tracking area)에 있는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이어서 페이징 영역 또는 추적 영역에 있는 기지국은 페이징 메시지를 UE로 송신한다. 전술한 스몰셀 네트워크에서 그리고 특히 밀집 배치의 시나리오에서, 매크로 네트워크는 많은 수의 스몰셀들을 커버한다. UE가 중간 또는 높은 이동 속도로 이동할 때, 서빙 셀들이 빈번하게 변하고, 모든 셀 변경 프로세스는 셀 측정, 셀 측정 결과 보고, 및 셀 핸드오버 명령에 관련되어 있다. 그에 부가하여, 셀 핸드오버 프로세스는 eNB와, MME 또는 S-GW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요소 사이의 시그널링 상호작용 프로세스들에 추가로 관련되어 있다.
다양한 장래의 서비스들을 설정 및 해제하는 프로세스들에서, UE는 네트워크 연결들을 빈번히 설정 및 해제하고, UE는 매번마다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데 긴 시간을 소비한다. 셀 네트워크가 보다 조밀하게 배치될 때, 셀 변경들이 보다 빈번히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셀 변경들에 관련된 시그널링이 급격히 증가한다.
그에 부가하여, 많은 수의 스몰셀 기지국들이 네트워크에 배치될 때, 페이징 영역에 있는 기지국들의 수가 매우 크다. 종래의 페이징 메커니즘을 따르는 것, 즉 페이징 영역에 있는 모든 기지국들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은 또한 페이징 시그널링을 급격히 증가시키고, 따라서 페이징 부하의 증가로 인해 스몰셀 기지국들의 비용이 또한 증가한다. 그에 부가하여, 종래의 LTE 기술에서의 지연이 길다. 예를 들어, UE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마다, 80ms + 2T_S1이 걸린다. T_S1은 일반적으로 20 ms부터 100 ms까지의 범위에 있으며, 따라서 UE의 지연은 대략 100 ms 내지 180 ms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빈번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고, 본 단말은: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set up)하고, 상시 연결 모드(always connected mode)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 상시 연결 모드는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처리 모듈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처리 모듈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이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제1 기지국을 통해 제어 시그널링 전송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또는
송신 모듈이 제1 기지국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또는
송신 모듈이 제1 기지국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전송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처리 모듈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되기 전에, 처리 모듈은:
액세스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connected mode)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처리 모듈이 액세스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처리 모듈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시스템 정보로부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또는
처리 모듈이, 미리 설정된 구성 정보로부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3 또는 제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처리 모듈은,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이면,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내지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내지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처리 모듈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처리 모듈이 제1 표시 메시지(indication message)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 제1 표시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수락하라고 요청할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 연결 구성 정보는 단말을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지를 포함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표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또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내지 제8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처리 모듈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처리 모듈이 현재 임의의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제1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를 유지하며,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또는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bearer)를 설정하라고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1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처리 모듈이,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제1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처리 모듈이,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계속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1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1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불연속 수신 주기(discontinuous reception period)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처리 모듈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계속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처리 모듈이, 불연속 수신 주기의 활성 시간(active time) 내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6 또는 제9 또는 제1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1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스케줄링 정보의 지시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통지 정보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데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1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1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전용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 -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임 - 를 추가로 포함하고;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1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처리 모듈이,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처리 모듈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통지 정보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데 사용됨 -,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1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1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지시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임 -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13 또는 제1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1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지시 정보가 수신되면,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1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1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12 또는 제1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1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12 또는 제1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1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16 또는 제1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2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 정보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고유 식별자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 고유 식별자 정보는 단말에 대응하고, 고유 식별자 정보는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자원의 조합임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16 내지 제19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으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단말이 연결을 설정한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처리 모듈은: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상시 연결 모드에서 계속하여 동작하고,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전용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23 실시가능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4 실시가능 구현에서, 처리 모듈은: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또는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2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송신 모듈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2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다.
제1 양태의 제25 실시가능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8 실시가능 구현에서, 처리 모듈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이웃하는 기지국을 측정하고, 제1 문턱값보다 더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면,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28 실시가능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29 실시가능 구현에서, 처리 모듈은: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neighboring base station measurement report)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또는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또는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이웃하는 기지국이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제1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29 실시가능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0 실시가능 구현에서, 제1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표시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30 실시가능 구현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1 실시가능 구현에서,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 -, 응답 메시지에 따라,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다는 것을 알게 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디폴트 구성 정보(default 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도록 - 디폴트 구성 정보는 단말이 각각의 제2 기지국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구성 정보임 - 추가로 구성되고;
송신 모듈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송신 모듈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3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디폴트 구성 정보는 서비스 유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또는 베어러 유형과 연관된다.
제1 양태의 제3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3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및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재구성 메시지에 따라, 단말에 대응하는 디폴트 구성 정보를 수정하며, 수정된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frequency layer)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도록 - 기지국들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3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3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38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3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미만이면,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제2 문턱값 미만이면,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2 문턱값 또는 제3 문턱값 초과이면,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36 내지 제39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ing)를 수행할지에 관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에 따라,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할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4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도록 - 기지국들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고;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4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미만이면,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수신 모듈이,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제2 문턱값 미만이면,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수신 모듈이,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이와 동시에,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2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2 문턱값 초과이면,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수신 모듈이,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보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3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4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이,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수신 모듈이,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1 기지국에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4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이,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수신 모듈이,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 및/또는 마스터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마스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4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이,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보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수신 모듈이,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보조 제2 기지국 및/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보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4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획득된 제1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3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생략(skip)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43 내지 제47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획득된 제2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고,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제2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4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은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현재 수행하는 상기 제1 기지국이며,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4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처리 모듈은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제1 양태의 제4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4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된다.
제1 양태의 제4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과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거나,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타깃 제1 기지국 둘 다와 연결 관계들을 갖는다.
제1 양태의 제49 내지 제53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수신 모듈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 제1 기지국들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은 타깃 제1 기지국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5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의 측정 결과들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고;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5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이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지를 결정하도록,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의 측정 결과들을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5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도록 - 제2 기지국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4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은 핸드오버 명령이 수신되기 전에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며;
송신 모듈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58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핸드오버 완료 표시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제2 기지국을 통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 제1 기지국들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함 -;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고 -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 및 후보 제2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후보 제2 기지국들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제2 기지국들임 -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6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타깃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고;
송신 모듈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6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후에, 송신 모듈은: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또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을 통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 제1 기지국들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함 -;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고 -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며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6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가 수신되기 전에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며;
송신 모듈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6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베어러 재구성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송신 모듈은 베어러 재구성 정보에 따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송신 모듈은:
제1 기지국과 제1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양태의 제6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이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고 -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보안 알고리즘 정보는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포함함 -;
제2 기지국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security index)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제2 기지국은 보안 인덱스에 일대일로 대응한다.
제1 양태의 제6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고;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중간 키에 따라,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68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6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이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제1 보안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그리고/또는 제2 보안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제6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7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보안 메커니즘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은 서로 연관되고;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 및 동적 카운트(dynamic count)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고;
중간 키 및 동적 카운트에 따라 연관된 중간 키를 획득하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연관된 중간 키에 따라,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제1 기지국으로서 사용되며, 기지국은: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 상시 연결 모드는 단말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및
제1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고 -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는 것은:
제1 기지국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이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송신 모듈이 제어 시그널링만을 단말로 송신하도록;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만을 단말로 송신하도록; 또는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만을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되기 전에, 송신 모듈은:
전용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전용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제1 표시 메시지는 단말이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라고 요청하는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단말을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지를 결정하도록; 또는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에 따라,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결정하도록,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후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연결 설정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연결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전용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전용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표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또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내지 제4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어떤 서비스 요청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으면, 송신 모듈이 단말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가 수신되면,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단말에 대한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2 태양의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어떤 서비스 요청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을 때, 송신 모듈은:
단말이, 단말에 대한 불연속 수신 주기의 활성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불연속 수신 주기를 구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고 - 스케줄링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제2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도록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통지 메시지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전용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다.
제2 양태의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송신 모듈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고 - 스케줄링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제2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고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통지 메시지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함 -, 베어러를 사용하여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1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지시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지시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임 -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8 또는 제1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1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기지국은 수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수신 모듈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임 -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1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1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지를 결정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제2 기지국이 존재하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9 내지 제12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1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조합을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조합을 단말에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1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처리 모듈은:
제1 기지국이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제1 기지국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1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함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1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1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단말의 위치 정보,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 또는 단말에 의해 보고되는 측정 보고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1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기지국은 수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수신 모듈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를 수신하도록 -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음 -;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음 -;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단말의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1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1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으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1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1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송신 모듈은, 단말이, 응답 메시지 -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 - 에 따라,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다는 것을 알게 되도록,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디폴트 구성 정보를 단말 및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송신하도록 - 디폴트 구성 정보는 서비스 유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또는 베어러 유형과 연관되고, 디폴트 구성 정보는 단말이 각각의 제2 기지국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구성 정보임 -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2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디폴트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측정 구성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측정 구성 정보는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기지국은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2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제2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제2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2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2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결과들을 수신하도록 - 측정 결과들은 제1 측정 결과 및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고, 제1 측정 결과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의해 획득되며, 제2 측정 결과는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의해 획득됨 -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를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2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단말과 제1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제2 기지국이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2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3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이 제2 기지국이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고;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보안 인덱스는 제2 기지국에 일대일로 대응한다.
제2 양태의 제3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3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기지국은 수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수신 모듈은: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2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3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보안 메커니즘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은 서로 연관되고, 송신 모듈이 제2 기지국이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고유 카운트 및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고;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보안 인덱스는 제2 기지국에 일대일로 대응한다.
제2 양태의 제3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양태의 제3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수신 모듈은: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동적 카운트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지국을 제공하고, 여기서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서 사용되며, 기지국은: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 상시 연결 모드는 단말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및
제1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고 -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3 양태를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단말이 지시 정보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도록,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3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송신 모듈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는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이웃하는 각각의 기지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의해 획득됨 -;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송신 모듈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현재 가지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3 태양의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에서, 송신 모듈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7 실시가능 구현에서,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 또는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이다.
제3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8 실시가능 구현에서, 송신 모듈이,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송신 모듈이,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핸드오버 지시는 타깃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3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9 실시가능 구현에서, 송신 모듈이,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송신 모듈이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핸드오버 지시는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3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10 실시가능 구현에서, 송신 모듈이,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하도록, 송신 모듈이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핸드오버 지시는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3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11 실시가능 구현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제2 기지국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기지국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다.
제3 양태를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1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는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는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에 따라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이고,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 또는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에 포함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의 확인응답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양태의 제1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1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송신 모듈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타깃 제1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따라,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을 획득하도록 -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는 제2 기지국임 - 추가로 구성된다.
제3 양태의 제12 또는 제1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양태의 제1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송신 모듈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이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에 따라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 상시 연결 모드는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단말에 의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단말에 의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에 의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는:
단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기지국을 통해 제어 시그널링 전송만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제1 기지국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만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제1 기지국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전송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에 의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액세스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에 의해, 액세스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시스템 정보로부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미리 설정된 구성 정보로부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3 또는 제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이면,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내지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제1 표시 메시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제1 표시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수락하라고 요청할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및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연결 구성 정보는 단말을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지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표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또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내지 제7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 또는 제4 양태의 제1 내지 제7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는:
현재 임의의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제1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며,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또는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1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제1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는: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계속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1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불연속 수신 주기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계속 수신하는 단계는:
불연속 수신 주기의 활성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8 또는 제10 또는 제1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1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스케줄링 정보의 지시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통지 정보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데 사용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1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전용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고;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1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통지 정보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데 사용됨 -,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1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지시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임 -; 및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3 또는 제1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1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지시 정보가 수신되면,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1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2 또는 제1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1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2 또는 제1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1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6 또는 제18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2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2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2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 정보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고유 식별자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 - 고유 식별자 정보는 단말에 대응하고, 고유 식별자 정보는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자원의 조합임 - 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6 또는 제18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2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으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단말이 연결을 설정한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2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단말이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상시 연결 모드에서 계속하여 동작하고,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전용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2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2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 또는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단말에 의해,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2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에 의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2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2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2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2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다.
제4 양태의 제2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2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이웃하는 기지국을 측정하고, 제1 문턱값보다 더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면,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28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2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또는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함 -; 또는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이웃하는 기지국이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제1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29 실시가능 구현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30 실시가능 구현에서, 제1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표시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30 실시가능 구현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31 실시가능 구현에서,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 -, 응답 메시지에 따라,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다는 것을 알게 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3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디폴트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디폴트 구성 정보는 단말이 각각의 제2 기지국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구성 정보임 - 를 추가로 포함하고;
단말에 의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에 의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3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3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디폴트 구성 정보는 서비스 유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또는 베어러 유형과 연관된다.
제4 양태의 제3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3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3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3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에 의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에 의해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및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재구성 메시지에 따라, 단말에 대응하는 디폴트 구성 정보를 수정하며, 수정된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3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는 단계 - 기지국들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3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3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3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3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38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3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미만이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는 단계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제2 문턱값 미만이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는 단계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2 문턱값 또는 제3 문턱값 초과이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는 단계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36 내지 제39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4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에 따라,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4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4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4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는 단계 - 기지국들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4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4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미만이면,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는 단계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제2 문턱값 미만이면,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는 단계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이와 동시에,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2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2 문턱값 초과이면,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는 단계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보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3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4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4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1 기지국에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4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4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 및/또는 마스터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마스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4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4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보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보조 제2 기지국 및/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보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4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4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획득된 제1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3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생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46 또는 제4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4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획득된 제2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고,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제2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4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은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현재 수행하는 제1 기지국이며,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4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5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단말은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제4 양태의 제4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5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4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5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된다.
제4 양태의 제4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5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과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거나,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타깃 제1 기지국 둘 다와 연결 관계들을 갖는다.
제4 양태의 제49 내지 제53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5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 제1 기지국들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은 타깃 제1 기지국을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5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5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의 측정 결과들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5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5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이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지를 결정하도록,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의 측정 결과들을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5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5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 제2 기지국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됨 - 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4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5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은 핸드오버 명령이 수신되기 전에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며;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한다.
제1 양태의 제58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 양태의 제5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핸드오버 완료 표시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제2 기지국을 통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6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 제1 기지국들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함 -;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및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 및 후보 제2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후보 제2 기지국들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제2 기지국들임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6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6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타깃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포함함 -;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6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6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이후에, 본 방법은: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을 통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6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 제1 기지국들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함 -;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6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6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가 수신되기 전에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며;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한다.
제4 양태의 제6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6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베어러 재구성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단말은 베어러 재구성 정보에 따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으로 스위칭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6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에 의해,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제1 기지국과 제1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6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6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단계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보안 알고리즘 정보는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포함함 -; 및
제2 기지국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2 기지국은 보안 인덱스에 일대일로 대응한다.
제4 양태의 제6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6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는 단계;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중간 키에 따라,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68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6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보안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또는 제2 보안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6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양태의 제7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보안 메커니즘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은 서로 연관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 및 동적 카운트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는 단계;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중간 키 및 동적 카운트에 따라 연관된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연관된 중간 키에 따라,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 상시 연결 모드는 단말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제1 기지국에 의해, 제1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양태를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는:
제1 기지국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 시그널링만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제1 기지국에 의해, 하향링크 데이터만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제1 기지국에 의해,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만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양태를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전용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전용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제1 표시 메시지는 단말이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라고 요청하는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단말을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에 따라,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결정하도록,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후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연결 설정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연결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전용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전용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표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또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제1 내지 제4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어떤 서비스 요청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가 수신되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단말에 대한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어떤 서비스 요청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을 때, 본 방법은:
단말이, 단말에 대한 불연속 수신 주기의 활성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불연속 수신 주기를 구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스케줄링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및
제2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통지 메시지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전용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다.
제5 양태의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스케줄링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및
제2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고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통지 메시지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함 -, 베어러를 사용하여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1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지시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지시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임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8 또는 제1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1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임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1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1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제2 기지국이 존재하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9 내지 제12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1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조합을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제1 기지국에 의해,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조합을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를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1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이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를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1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함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1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1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단말의 위치 정보,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 또는 단말에 의해 보고되는 측정 보고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양태를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1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음 -;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음 -;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단말의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1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1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으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1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1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본 방법은: 단말이, 응답 메시지 -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 - 에 따라,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다는 것을 알게 되도록,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를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2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디폴트 구성 정보를 단말 및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 디폴트 구성 정보는 서비스 유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또는 베어러 유형과 연관되고, 디폴트 구성 정보는 단말이 각각의 제2 기지국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구성 정보임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2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2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디폴트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를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2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측정 구성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측정 구성 정보는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기지국은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2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2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2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2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24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2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2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2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5 양태를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27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 -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27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28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결과들을 수신하는 단계 - 측정 결과들은 제1 측정 결과 및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고, 제1 측정 결과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의해 획득되며, 제2 측정 결과는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의해 획득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를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29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과 제1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제2 기지국이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2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30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기지국이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는 단계;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보안 인덱스는 제2 기지국에 일대일로 대응한다.
제5 양태의 제30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3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5 양태의 제29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3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보안 메커니즘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은 서로 연관되고, 제2 기지국이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는 단계;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고유 카운트 및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보안 인덱스는 제2 기지국에 일대일로 대응한다.
제5 양태의 제3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양태의 제3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동적 카운트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본 방법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 상시 연결 모드는 단말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1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6 양태를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6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단말이 지시 정보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도록,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6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는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이웃하는 각각의 기지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의해 획득됨 -; 및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6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6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현재 가지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6 양태의 제5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6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7 실시가능 구현에서, 본 방법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 또는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인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6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8 실시가능 구현에서,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지시는 타깃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제6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9 실시가능 구현에서,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지시는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제6 양태의 제6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10 실시가능 구현에서,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지시는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제6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11 실시가능 구현에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제2 기지국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기지국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다.
제6 양태를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1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는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는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에 따라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이고,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 또는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에 포함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의 확인응답을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6 양태의 제12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1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타깃 제1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따라,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을 획득하는 단계 -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는 제2 기지국임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6 양태의 제12 또는 제13 실시가능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양태의 제14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본 방법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이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에 따라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여기서 단말은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며 - 상시 연결 모드는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단말은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제1 기지국은:
서비스 설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공개 보안 메시지의 생성,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베어러 설정, 수정 및 해제의 관리; 또는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스케줄링 및 전송 중 임의의 것 또는 그 조합을 위해 사용된다.
제7 양태를 참조하여, 제7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내지 제70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단말을 포함한다.
제7 양태를 참조하여, 제7 양태의 제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은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내지 제33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제1 기지국을 포함한다.
제7 양태를 참조하여, 제7 양태의 제3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시스템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제1 기지국에 연결되며, 통신 시스템과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선택을 위해 구성되거나;
통신 시스템과 2G 또는 3G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의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여기서 단말은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며 - 상시 연결 모드는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단말은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제1 기지국은:
서비스 설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공개 보안 메시지의 생성,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베어러 설정, 수정 및 해제의 관리; 또는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통신 시스템과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선택; 또는
통신 시스템과 2G 또는 3G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의 서빙 GPRS 지원 노드의 선택 중 임의의 것 또는 그 조합을 위해 사용된다.
제8 양태를 참조하여, 제8 양태의 제1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단말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제1 내지 제70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단말을 포함한다.
제8 양태를 참조하여, 제8 양태의 제2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제1 기지국은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제1 내지 제33 실시가능 구현 방식들 중 임의의 것에 따른 제1 기지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 기지국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상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고 단말과의 하향링크 동기화를 유지하도록, 단말은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 따라서,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제1 기지국의 핸드오버들이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빈번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이 감소되고,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페이징 부하가 감소되며, 서비스 설정 및 전송에서의 종단간 지연(end-to-end delay)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또는 종래 기술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들 또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 도면들을 간략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이 첨부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여전히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 1의 개략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 2의 개략 구조도.
도 3은 A-eNB와 MME 사이의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 1의 개략도.
도 4는 A-eNB와 MME 사이의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 2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실시예 1의 개략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실시예 1의 개략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시그널링 플로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시그널링 플로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시그널링 플로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시그널링 플로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시그널링 플로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시그널링 플로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시그널링 플로차트.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시그널링 플로차트.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시그널링 플로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의 시그널링 플로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시그널링 플로차트.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실시예 1의 플로차트.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실시예 2의 플로차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들, 기술적 해결책들, 및 장점들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확하고 철저하게 기술한다. 기술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부가 아닌 일부라는 것은 분명하다.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진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주된 발상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줄여서 UE)가 네트워크에 진입한 후에 상시 연결 상태에 있다는 것, 즉 UE가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는 것이다. 3GPP에서, 연결 상태는 연결(connected) 상태 또는 활성(active) 상태이다. 본원에서 "상시"가 절대적인 의미에서의 영속성이 아니라 상대적인 의미에서의 영속성, 즉, 어떤 시간 범위에서 상시 연결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시간 범위는 UE의 현재 전원 켜기부터 전원 끄기 또는 다음 전원 켜기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시간 범위에서, UE가 연결 상태에 있다 -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상시"는 절대적인 의미에서의 영속성이 아니다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간 범위에서 상시 연결 상태에 있기 위해, 시간 범위가 수 분, 수십 분, 또는 수 시간과 같은 상이한 시간 길이들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UE가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는 것은 UE가 어떤 시간 범위에서 유휴 상태에 진입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3GPP에서, 유휴 상태는 유휴(idle) 상태이다. 즉, UE는 시간 범위 내에서 더 이상 유휴 상태에 진입하지 않는다.
UE가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지는 UE 자체에 의해 결정될 수 있거나,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측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환언하면, UE가 영원히 유휴 상태에 진입하지 않거나 오랜 시간 동안 유휴 상태에 진입하지 않는지는 UE 자체에 의해 결정될 수 있거나,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측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상시 연결 모드"는 시간 범위에서 상시 연결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UE가 시간 범위에서 유휴 상태에 진입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UE가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지원하고 보장하기 위해, 슈퍼 기지국(super base station)이 기존 네트워크에 추가로 배치될 필요가 있다. 슈퍼 기지국은 저주파 자원들, 예를 들어, 이동 통신에서 사용하기 위한 UHF 스펙트럼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들, 또는 저주파수들의 다른 스펙트럼 자원들을 사용한다. 저주파 자원들은 강력한 투과력(penetration)과 넓은 커버리지의 특징들을 갖는다. 슈퍼 기지국에 배치되는 저주파수 스펙트럼의 커버리지 반경은 수십 킬로미터 또는 다른 더 큰 반경 범위들일 수 있다. 수퍼 기지국은 앵커 기지국(Anchor eUTRAN NodeB, 줄여서 A-eNB)으로 정의되거나, 엔진 기지국(engine base station)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몇 개의 기지국들(eUTRAN NodeB, 줄여서 eNB)이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eNB들은 마스터 기지국(Macro eNB, 줄여서 M-eNB)과 보조 기지국(Small eNB, 줄여서 S-eNB)으로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UE가 A-eNB의 커버리지 내에서 이동할 때, UE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eNB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고, A-eNB는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전송 및 UE에 대한 일부 하향링크 특정 서비스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기능(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줄여서 MBMS)을 제공하는 일을 주로 맡고 있다.
슈퍼 기지국을 도입하고 UHF 스펙트럼 자원들 또는 저주파 대역들의 다른 스펙트럼 자원들을 슈퍼 기지국에 배치함에 따라, UE가 오랜 시간 동안 수퍼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UE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수퍼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소위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슈퍼 기지국이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다는 것과 슈퍼 기지국이 UE가 슈퍼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다는 것을 확실히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UE는 수퍼 기지국과 적어도 하향링크 동기화를 유지한다. 그렇지만, UE는 또한 수퍼 기지국과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 타이밍 동기화를 유지하지 않을 수 있지만, 필요 시에 요구사항에 따라 동기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UE가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고 큰 커버리지 반경을 갖는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는 네트워크는 상시 연결 네트워크(Always Connected Network, 줄여서 ACN), 또는 상시 연결 시스템(Always Connected System, 줄여서 ACS), 또는 상시 활성 네트워크(Always Active Network, 줄여서 ACN), 또는 상시 활성 시스템(Always Active System, 줄여서 ACS), 또는 상시 연결 상태 네트워크(Always Connected-State Network, 줄여서 ACSN), 또는 상시 연결 시스템(Always Connected State System, 줄여서 ACSS), 또는 상시 활성 상태 네트워크(Always Active State Network, 줄여서 AASN), 또는 상시 활성 상태 시스템(Always Active State System, 줄여서 AASS)라고 지칭된다.
그에 부가하여,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것은 올웨이즈 온(Always ON)이라고도 지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는 그에 대응하여 올웨이즈 온 네트워크(Always On Network, 줄여서 AON) 또는 올웨이즈 온 시스템(Always On System, 줄여서 AOS)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UE의 관점에서, 빈번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피하고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는 UE 중심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구현 솔루션에 대해서는, 후속하는 실시예들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 및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UE 중심 네트워크(UE centric network), 즉 UE 중심 네트워크(UE Central Network)(줄여서, UCN) 또는 UE 중심 시스템(UE Central System)(줄여서, UCS)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실시예들에서의 네트워크는 AON이라고 지칭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 1의 개략 구조도이다. 현재 LTE 네트워크에 도입된 A-eNB를 갖는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AON 네트워크는 UE, eNB, A-eNB, 진화된 이동성 관리 엔티티(eUTRAN Mobility Management Entity, 줄여서 E-MME), 및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줄여서 S-GW)를 포함한다. UE는 AON/A-eNB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A-eNB는 SC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E-MME에 연결된다. A-eNB는 S-X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S-GW에 연결된다. E-MME는 S-Y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S-GW에 연결된다. 본원에서, S-GW는 독립적인 디바이스 엔티티일 수 있거나, 공용 엔티티(public entity) 내에 A-eNB와 함께 통합될 수 있다. eNB의 기능들은 현재 LTE 네트워크에서의 eNB의 기능들과 부합한 채로 있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A-eNB는 하기의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1) 무선 자원 관리;
(2) 사용자 평면 데이터 IP 헤더 압축 및 암호화;
(3) E-MME의 선택;
(4)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S-GW로 라우팅하는 것;
(5)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스케줄링 및 전송; 그리고
(6) 이동성 측정 구성 및 측정 보고 구성.
임의로, A-eNB는 또한 하기의 기능들 중 임의의 것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7) 서비스 설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이 기능은 LTE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 메시지의 기능, 즉 서비스가 설정될 필요가 있을 때 통지를 UE로 송신하는 것과 유사함);
(8) 공개 보안 메시지의 생성, 스케줄링, 및 전송;
(9) EPS 베어러 설정, 수정, 및 해제의 관리;
(10)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또는
(11)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스케줄링 및 전송.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E-MME의 기능들은 하기의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의 전송 및 보안;
(2)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 줄여서 PDN GW) 및 S-GW의 선택;
(3) 로밍 제어; 그리고
(4) 인증 제어.
임의로, E-MME는 또한 하기의 기능들 중 임의의 것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5) AON과 LTE 간의 핸드오버 동안 MME의 선택; 또는
(6) AON과 2G 또는 3G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줄여서 SGSN)의 선택.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 2의 개략 구조도이다. 그에 부가하여, 현재 LTE 네트워크에 도입된 A-eNB를 갖는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과는 달리,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AON 네트워크는 UE, eNB, A-eNB, 및 S-GW를 포함한다. UE는 AON/A-eNB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A-eNB는 S-X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S-GW에 연결된다. 본원에서, S-GW는 독립적인 디바이스 엔티티일 수 있거나, 공용 엔티티 내에 A-eNB와 함께 통합될 수 있다. eNB의 기능들은 현재 LTE 네트워크에서의 eNB의 기능들과 부합한 채로 있다.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A-eNB는 하기의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무선 자원 관리; 및
(2) 사용자 평면 데이터 IP 헤더 압축 및 암호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E-MME의 기능들은 하기의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사용자 평면 데이터를 S-GW로 라우팅하는 것;
(2)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스케줄링 및 전송; 그리고
(3) 이동성 측정 구성 및 측정 보고 구성.
임의로, E-MME는 또한 하기의 기능들 중 임의의 것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4) 서비스 설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본원에서 서비스 설정 메시지의 기능은 LTE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 메시지의 기능, 즉 서비스가 설정될 필요가 있을 때 통지를 UE로 송신하는 것과 유사함);
(5) 공개 보안 메시지의 생성, 스케줄링, 및 전송;
(6) EPS 베어러 설정, 수정, 및 해제의 관리;
(7)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의 전송 및 보안;
(8)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9) PDN GW 및 S-GW의 선택;
(10) 로밍 제어;
(11) 인증 제어;
(12)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스케줄링 및 전송;
(13) AON과 LTE 간의 핸드오버 동안 MME의 선택; 또는
(14) AON과 2G 또는 3G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 SGSN의 선택.
도 3은 A-eNB와 MME 사이의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 1의 개략도이다. 도 4는 A-eNB와 MME 사이의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 2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UE, A-eNB, 및 MME 사이의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그렇지만,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UE와 A-eNB 사이의 프로토콜 스택 아키텍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NAS 계층의 기능이 RRC 계층에서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지연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전체적인 절차는 AON 네트워크에서의 UE의 작업 프로세스에 따라 제공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eNB는 또한 등가적인 구현을 위해 등가적으로 셀로 대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eNB는 기지국을 나타내고,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eNB들"이라는 서술은 또한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셀들로 대체되어 표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기의 실시예들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설명을 위해 eNB가 사용되는 곳에서, 설명을 위해 eNB가 셀로 대체된 후에, 각각의 실시예는 정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실시예 1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단말은 처리 모듈(11), 수신 모듈(12), 및 송신 모듈(13)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11)은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시 연결 모드는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수신 모듈(1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 모듈(13)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시 연결 모드에 관한 설명 및 서술을 위해, 전술한 설명 및 서술이 참조될 수 있다. 단말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는 것이 제1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다는 것과, 제1 기지국이 단말이 제1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다는 것을 명확히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전술한 설명 및 서술에서 구체적으로는 A-eNB일 수 있다. 단말의 수신 모듈(1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단말은, 제1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기지국을 알게 될 수 있다. 제1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서,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몇 개의 기지국들(eNB)이 존재할 수 있고,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이 제2 기지국일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단말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 또는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기지국이 상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고 단말과의 하향링크 동기화를 유지하도록, 단말은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 따라서,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제1 기지국의 핸드오버들이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빈번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이 감소되고,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페이징 부하가 감소된다. 그에 부가하여, 단말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서비스 설정 및 전송에서의 종단간 지연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도 5에 도시된 단말의 구조에 기초하여, 처리 모듈(11)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처리 모듈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은 서비스 전송의 시간보다 적어도 더 긴 시간, 예를 들어, 호(call)의 시간보다 더 긴 시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한다는 것은 모든 서비스 전송의 완료 이후에 종래의 유휴 모드(idle mode)에 진입하지 않고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여전히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실제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지 않으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여전히 유지하는 것, 또는 디폴트 베어러만이 설정되고 실제 데이터 전송이 없으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여전히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은 수 분, 수십 분, 또는 수 시간과 같은 상이한 시간 길이들일 수 있다. 이것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게다가, 단말의 송신 모듈(13)이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제1 기지국을 통해 제어 시그널링 전송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또는 송신 모듈이 제1 기지국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또는 송신 모듈이 제1 기지국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전송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처리 모듈(11)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되기 전에, 처리 모듈(11)은: 액세스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처리 모듈(11)이 액세스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처리 모듈(11)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시스템 정보로부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또는 처리 모듈(11)이, 미리 설정된 구성 정보로부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일 수 있다.
처리 모듈(11)은,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이면,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수신 모듈(1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임의로, 처리 모듈(11)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처리 모듈이 제1 표시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 제1 표시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수락하라고 요청할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 연결 구성 정보는 단말을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지를 포함함 - 구성된다는 것일 수 있다.
제1 표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또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일 수 있다.
임의로, 처리 모듈(11)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처리 모듈이 현재 임의의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제1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며,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또는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일 수 있다.
처리 모듈(11)이,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제1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처리 모듈(11)이,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계속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불연속 수신 주기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처리 모듈(11)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계속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수신 모듈이, 불연속 수신 주기의 활성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12)이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후에, 수신 모듈(12)은: 스케줄링 정보의 지시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통지 정보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데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전용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고; 수신 모듈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처리 모듈(11)이,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처리 모듈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통지 정보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데 사용됨 -,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일 수 있다.
수신 모듈(1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지시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임 - 추가로 구성된다.
게다가, 수신 모듈(1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지시 정보가 수신되면,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그에 대응하여, 송신 모듈(13)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단말의 수신 모듈(12)이 수신된 제2 지시 정보 - 제2 지시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에 담겨 있을 수 있거나 별도의 메시지일 수 있음 - 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전술한 서술과는 달리, 단말은 제2 전용 시그널링에서 통지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거나,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만을 수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송신 모듈(13)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 정보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고유 식별자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 고유 식별자 정보는 단말에 대응하고, 고유 식별자 정보는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자원의 조합임 - 구성된다는 것일 수 있다.
송신 모듈(13)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으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단말이 연결을 설정한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로, 처리 모듈(11)은: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상시 연결 모드에서 계속하여 동작하고,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전용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로, 처리 모듈(11)은: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또는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전술한 단계는 단말에 의한 초기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프로세스이다. 단말이 초기 액세스를 수행한 후에, 단말은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초기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그 후에,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제2 기지국을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단말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 상에서 그리고 다른 제2 기지국들 상에서 제때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의 수신 모듈(1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로, 수신 모듈(12)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송신 모듈(13)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다.
임의로, 처리 모듈(11)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이웃하는 기지국을 측정하고, 제1 문턱값보다 더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면,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처리 모듈은: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또는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또는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이웃하는 기지국이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제1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로, 제1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표시를 추가로 포함한다.
수신 모듈(1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 -, 응답 메시지에 따라,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다는 것을 알게 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단말이 기지국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관련된 구성이 추가로 완료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수신 모듈(1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디폴트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 디폴트 구성 정보는 단말이 각각의 제2 기지국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구성 정보임 - 추가로 구성되고; 송신 모듈(13)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송신 모듈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로, 디폴트 구성 정보는 서비스 유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또는 베어러 유형과 연관된다.
수신 모듈(1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13)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및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재구성 메시지에 따라, 단말에 대응하는 디폴트 구성 정보를 수정하며, 수정된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일 수 있다.
이동 중에, 단말은 선택될 수 있는 잠재적인 제1 기지국들 또는 제2 기지국들을 결정하기 위해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들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실제 네트워크에서,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과 보조 제2 기지국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는 크고, 보조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는 작다. 단말의 측정 효율을 개선시키고 단말의 전력 소비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수신 모듈(1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도록 - 기지국들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미만이면,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제2 문턱값 미만이면, 수신 모듈(12)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2 문턱값 또는 제3 문턱값 초과이면, 수신 모듈(12)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2)은: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에 따라,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할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12)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도록 - 기지국들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게다가,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미만이면,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수신 모듈이,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제2 문턱값 미만이면,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수신 모듈이,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이와 동시에,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2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2 문턱값 초과이면, 수신 모듈이,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수신 모듈이,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보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3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2)이,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수신 모듈이,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1 기지국에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2)이,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수신 모듈이,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 및/또는 마스터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마스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송신 모듈(13)은: 획득된 제1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3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생략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13)은: 획득된 제2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고,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제2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게다가, 많은 수의 제1 기지국들이 네트워크에 존재한다. 단말의 이동 중에, 한편으로, 단말이 제1 기지국들을 측정할 필요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 단말이 보다 적절한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단말이 또한 측정 결과에 따라 핸드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제1 기지국들 사이에서의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수신 모듈(12)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은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현재 수행하는 제1 기지국이며,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추가로 구성된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처리 모듈은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송신 모듈(13)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과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거나,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타깃 제1 기지국 둘 다와 연결 관계들을 갖는다.
수신 모듈(12)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수신 모듈(12)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 제1 기지국들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은 타깃 제1 기지국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수신 모듈(12)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의 측정 결과들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고;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13)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이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지를 결정하도록,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의 측정 결과들을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13)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도록 - 제2 기지국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 -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은 핸드오버 명령이 수신되기 전에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임 - 를 추가로 포함하고; 송신 모듈(13)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13)은: 핸드오버 완료 표시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제2 기지국을 통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로, 제1 기지국들 사이에서의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것의 다른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이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송신 모듈(13)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 제1 기지국들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함 -;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고 -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 및 후보 제2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후보 제2 기지국들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제2 기지국들임 - 추가로 구성된다.
수신 모듈(12)은: 타깃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고; 송신 모듈(13)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후에, 송신 모듈(13)은: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또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을 통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로, 제1 기지국들 사이에서의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것의 또 다른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이 실시예에서의 단말의 송신 모듈(13)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 제1 기지국들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함 -;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고 -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며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가 수신되기 전에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며; 송신 모듈(13)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베어러 재구성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송신 모듈(13)은 베어러 재구성 정보에 따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과 각각의 기지국 사이의 통신 동안 데이터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대해 보안 키를 생성하기 위한 새로운 메커니즘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단말이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이 실시예는: 단말이 제1 기지국과 제1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의 송신 모듈(13)은 제1 기지국과 제1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13)이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고 -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보안 알고리즘 정보는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포함함 -; 제2 기지국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2 기지국은 보안 인덱스에 일대일로 대응한다.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고;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중간 키에 따라,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송신 모듈(13)이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제1 보안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그리고/또는 제2 보안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보안 메커니즘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은 서로 연관되고; 송신 모듈(13)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 및 동적 카운트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고; 중간 키 및 동적 카운트에 따라 연관된 중간 키를 획득하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연관된 중간 키에 따라,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단말은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빈번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페이징 부하를 제거하며, 서비스 설정 및 전송에서의 종단간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실시예 1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기지국은 제1 기지국으로서 사용되며, 처리 모듈(21) 및 송신 모듈(22)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모듈(21)은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시 연결 모드는 단말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송신 모듈(22)은 제1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고 -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기지국은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며, 제1 기지국은 상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며 단말과의 하향링크 동기화를 유지한다. 따라서,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제1 기지국의 핸드오버들이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빈번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이 감소되고,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페이징 부하가 감소된다. 그에 부가하여,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고, 여기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서비스 설정 및 전송에서의 종단간 지연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도 6에 도시된 기지국의 구조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는 것은: 제1 기지국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송신 모듈(22)이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송신 모듈이 제어 시그널링만을 단말로 송신하도록;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만을 단말로 송신하도록; 또는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만을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되기 전에, 송신 모듈은: 전용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전용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제1 표시 메시지는 단말이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라고 요청하는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단말을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지를 결정하도록; 또는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에 따라,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결정하도록,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후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연결 설정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연결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전용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전용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추가로 구성된다.
제1 표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또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송신 모듈(22)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어떤 서비스 요청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으면, 송신 모듈이 단말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가 수신되면,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단말에 대한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어떤 서비스 요청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을 때, 송신 모듈(22)은: 단말이, 단말에 대한 불연속 수신 주기의 활성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불연속 수신 주기를 구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은: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고 - 스케줄링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제2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도록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통지 메시지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전용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다.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송신 모듈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고 - 스케줄링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제2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고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통지 메시지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함 -, 베어러를 사용하여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송신 모듈(22)은: 지시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지시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임 - 추가로 구성된다.
게다가, 제1 기지국은 수신 모듈(2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수신 모듈(23)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임 -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지를 결정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제2 기지국이 존재하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은: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조합을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조합을 단말에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처리 모듈(21)은: 제1 기지국이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제1 기지국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은: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함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단말의 위치 정보,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 또는 단말에 의해 보고되는 측정 보고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게다가, 기지국은 수신 모듈(23)을 추가로 포함하며, 수신 모듈(23)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를 수신하도록 -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음 -;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음 -;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단말의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은: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으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2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송신 모듈(22)은, 단말이, 응답 메시지 -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 - 에 따라,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다는 것을 알게 되도록,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은: 디폴트 구성 정보를 단말 및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송신하도록 - 디폴트 구성 정보는 서비스 유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QoS), 또는 베어러 유형과 연관되고, 디폴트 구성 정보는 단말이 각각의 제2 기지국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구성 정보임 -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은: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디폴트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은: 측정 구성 정보 - 측정 구성 정보는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기지국은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추가로 포함한다.
송신 모듈(22)은: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모듈(22)은: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수신 모듈(23)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결과들을 수신하도록 - 측정 결과들은 제1 측정 결과 및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고, 제1 측정 결과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의해 획득되며, 제2 측정 결과는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의해 획득됨 -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은: 단말과 제1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제2 기지국이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이 제2 기지국이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고;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보안 인덱스는 제2 기지국에 일대일로 대응한다.
기지국은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23)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보안 메커니즘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은 서로 연관되고, 송신 모듈(22)이 제2 기지국이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고유 카운트 및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고;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보안 인덱스는 제2 기지국에 일대일로 대응한다.
수신 모듈(23)은: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동적 카운트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임의로, 도 6에 도시된 기지국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서 사용될 때, 송신 모듈(22)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단말이 지시 정보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도록,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송신 모듈(22)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는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이웃하는 각각의 기지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의해 획득됨 -;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송신 모듈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은: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현재 가지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 또는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이다.
송신 모듈(22)이,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송신 모듈이,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핸드오버 지시는 타깃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송신 모듈(22)이,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송신 모듈이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핸드오버 지시는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송신 모듈(22)이,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하도록, 송신 모듈이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핸드오버 지시는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한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제2 기지국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기지국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다.
송신 모듈(22)은: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는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는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에 따라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이고,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 또는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에 포함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의 확인응답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송신 모듈(22)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타깃 제1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따라,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을 획득하도록 -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는 제2 기지국임 -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듈(22)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이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에 따라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의 제1 기지국은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빈번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페이징 부하를 제거하며, 서비스 설정 및 전송에서의 종단간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단말과 도 6에 도시된 기지국 간의 상호작용 프로세스를 상세히 서술하기 위해 몇 개의 특정 실시예들을 사용한다. 이하의 몇 개의 실시예들에서, 단말이 UE이고 기지국이 A-eNB인 일 예가 설명을 위해 구체적으로 사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시그널링 플로차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주로 UE의 초기 액세스에서의 상호작용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201. UE는 초기에 전원이 켜지고,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A-eNB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는, UE는 먼저 셀들을 검색하고,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AON 네트워크 주파수 계층에서 A-eNB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주파수 계층이 AON 주파수 계층인지는 UE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거나, 주파수 계층이 AON 주파수 계층인지는 AeNB에 의해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에 표시되어 있을 수 있고, 여기서 AON 주파수 계층에 대응하는, 단말의 연결 모드는 상시 연결 모드(AON 모드)이다.
S202. UE는 동작을 위해 AON 모드가 선택되어 있다는 것을 A-eNB에 보고한다.
구체적으로는, A-eNB를 선택한 후에, UE는 AeNB와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동기화를 달성하기 위해 A-eNB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한다. 성공적인 액세스 후에, UE의 컨텍스트 정보가 생성되고 A-eNB 상에서 초기 보안이 활성화된다.
AeNB에 액세스하기 위한 관련된 메시지에서,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시지 3에서, 또는 AeNB에 액세스한 후에, UE는 AON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수락하라고 요청하는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AeNB에 액세스하기 위한 관련된 메시지에서, AeNB는 UE가 AON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AON 모드는 UE가 AeNB와의 연결 상태를 상시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 상태를 상시 유지한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AON 모드에서 동작할지는 하기의 원칙을 준수할 수 있다. UE의 현재 서비스, 예를 들어, VoIP 서비스가 강한 서비스 연속성을 요구하면, UE는 종래의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예를 들어, 종래의 모드에 따라 마스터 기지국(Macro eNB, 줄여서 MeNB) 상에서 우선적으로 동작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MeNB가 선택된 eNB들에 존재함). 그렇지만, UE의 서비스가 지연에 민감하지 않거나 UE의 서비스가 버스트 서비스(burst service)이면, UE는 AON 모드에서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전술한 원칙 이외에, 다른 원칙들이 또한 준수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것이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S203. A-eNB는 UE를 AON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한다.
UE가 A-eNB에 액세스하고 A-eNB가 UE에 대한 구성을 완료한 후에, UE가 서비스를 현재 개시하면, UE는 UE에 대한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A-eNB에 요청하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대안적으로, UE가 일시적으로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갖지 않으면, UE는 A-eNB와만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실제 서비스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UE가 일시적으로 어떤 데이터 서비스 요구사항도 갖지 않을 때, UE는 A-eNB로부터 어떤 정보를 수신하기만,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거나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만 하면 된다. 그렇지만,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UE는, A-eNB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A-eNB가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는 어떤 검색 공간들만을 리스닝할 수 있다.
임의로, A-eNB는 또한 UE에 대한 긴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줄여서 DRX) 주기를 구성할 수 있다. UE는 긴 DRX 주기의 활성 시간 내에서 A-eNB의 전용 시그널링, 응급 호출, 또는 다른 메시지들을 리스닝한다.
S204. A-eNB는 현재 일시적으로 어떤 서비스도 갖지 않는 UE에 대해 새로운 서비스의 설정이 개시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S205. A-eNB는,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설정하라고 UE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A-eNB는 먼저 스케줄링 정보를 UE로 송신한다. UE가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한 후에, UE는, 스케줄링 정보의 지시에 따라, A-eNB에 의해 송신되는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여기서 전용 시그널링은, 새로운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기 위해, 새로운 베어러가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UE에 통지한다. 현재 LTE 시스템과는 달리, A-eNB가 새로운 서비스 또는 새로운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UE에 통지할 때, A-eNB는 통지를 위한 브로드 캐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새로운 서비스 또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UE에 통지하기 위해 페이징 메시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S206. UE는, 설정될 필요가 있는 서비스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eNB들이 선택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UE가 새로운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A-eNB에 의해 송신되는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UE는, 서비스의 특징에 따라, UE가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하거나 A-eNB를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가 새로운 서비스를 설정하기 위한 A-eNB에 의해 송신되는 전용 시그널링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다른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UE는, 전용 시그널링의 지시에 따라, UE가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하거나 A-eNB를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A-eNB에 의해 UE로 송신되는 전술한 전용 시그널링에서, A-eNB가, UE의 서비스의 특징에 기초하여, UE가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하거나 A-eNB를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고, 전용 시그널링에서, UE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할 필요가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A-eNB는 전술한 지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해 다른 별개의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이 본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S207. UE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eNB들을 A-eNB에 보고한다.
구체적으로는, UE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eNB들이 선택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할 때, A-eNB가, UE에 의해 보고되는 선택에 기초하여, 선택된 eNB들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UE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eNB들에 관한 정보를 A-eNB에 통지한다.
S208. A-eNB는 각각의 eNB가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A-eNB가 UE에 의해 송신되는 선택된 eNB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후에, A-eNB는 각각의 eNB가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지를 결정한다.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는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UE의 식별자 정보, UE의 능력 정보, 구성 정보, 및 다른 정보와 같은 일련의 정보를 포함한다.
S209.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eNB들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A-eNB가 UE에 의해 송신되는 선택된 eNB들에 관한 정보 내의 하나 이상의 eNB들이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결정하면,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eNB들로 송신한다. 임의로, A-eNB는 또한 UE에 대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들을 제공하라고, 즉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을 수행하라고 UE에 의해 선택된 eNB들에 통지할 수 있다.
UE가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한 후에, 하나 이상의 eNB들 내의 eNB가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것으로 결정되면, UE는,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라고, 즉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을 수행하라고 eNB에 지시하기 위해,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는 eNB로 송신하거나, eNB에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버스트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양이 작으면, UE는 선택된 eNB에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직접 개시하고, 이어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내에 제공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지연을 감소시키고 액세스를 가속화시키기 위해, 고유 랜덤 액세스 자원의 할당이 도입될 수 있다. 즉, A-eNB는, 동작하기 위해 AON 모드를 선택하는 UE에, 자원을 요청하기 위한 고유 프리앰블을 할당하거나, 자원을 요청하기 위한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조합을 할당한다. UE가 액세스할 필요가 있는 임의의 eNB와의 데이터 전송을 UE가 수행할 때, UE는 할당된 고유 랜덤 액세스 자원을 사용하여 자원을 요청한다. 이어서, eNB는, 고유 랜덤 액세스 자원에 따라, 자원을 요청하는 UE를 결정하고, 데이터 전송을 위해 UE에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A-eNB는 eNB들을 위해 UE 컨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eNB들이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다고 결정되면, UE는 eNB들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이어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관련된 메시지에서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eNB들로 송신하고(파선으로 도시된 단계), UE에 연결된 A-eNB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eNB들은 UE에 대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고, A-eNB로부터 UE의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UE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A-eNB로 송신할 수 있다. eNB들이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수신한 후에, eNB들은 UE 컨텍스트를 획득하는 것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A-eNB로, 송신할 수 있다.
UE가 선택된 하나 이상의 eNB들에 액세스한 후에, UE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해 eNB들을 사용하기 시작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UE는 선택된 eNB들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UE 측에서, 상이한 eNB들로부터의 데이터를 정렬(sort)한다. 이어서, UE는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상태에 관한 계층-2(L2) 상태 보고를 A-eNB에 피드백함으로써, A-eNB는, L2 상태 보고에 따라, 성공적으로 완전히 전송되지 않은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게 된다. 그렇지만, 계층-1(L1) 상태 보고는 대응하는 수신측 eNB에 피드백된다.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해, UE는 관련된 상향링크 데이터 패킷들을 선택된 eNB들로 송신한다. UE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임의의 eNB는 정렬 처리를 위해 UE의 모든 데이터를 A-eNB로 포워딩하고, A-eNB는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예를 들어, S-GW 또는 PDN-GW로 송신한다.
게다가, UE가 서비스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거나 현재 서비스를 해제한 후에, UE가 AON 모드에서 동작한다고 이전에 결정되었으면, UE가 UE와 A-eNB 사이의 모든 구성 정보를 계속하여 저장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임의로, UE는 상향링크 타이밍을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거나, 상향링크 타이밍을 유지하기 위한 TAT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상향링크 동기화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거나; UE는 상향링크 신호(예를 들어, SRS 신호)를 불연속적으로 송신함으로써 상향링크 타이밍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시그널링 플로차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주로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하는 것에서의 상호작용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301. A-eNB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UE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UE가 A-eNB 및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는 eNB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UE가 이동할 때,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A-eNB는, UE의 도움을 받아,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eNB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거나, A-eNB 자체가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는 eNB들을 결정하기 위해 UE의 이동을 추적하고,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A-eNB는, UE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A-eNB가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을 때,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의 업데이트된 리스트를 UE에 통지하기 위해, 전용 시그널링을 UE로 송신한다.
S302. UE는 계속하여 리스트 내의 eNB들을 측정하고 다른 eNB들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UE가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의 업데이트된 리스트를 획득한 후에, UE는 계속하여 리스트 내의 eNB들을 측정하고 다른 eNB들을 측정한다.
S303. UE는 보고 메시지를 A-eNB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UE가 하나 이상의 측정된 eNB들의 신호 품질이 문턱값보다 더 높거나, 예를 들어, 통신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조건보다 더 높다는 것을 발견할 때, eNB가 리스트에 없으면, UE는, eNB들이 어쩌면 서비스들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지만, eNB들이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A-eNB에 통지하기 위해, eNB들에 관한 정보를 A-eNB에 보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UE는 eNB들이 UE의 컨텍스트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거나, eNB들이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만을 나타낼 수 있지만, A-eNB 자체가 어느 eNB들이 UE의 컨텍스트를 갖지 않는지를 결정한다.
S304.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eNB들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UE에 의해 송신되는 보고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A-eNB는 어쩌면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지만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eNB들에 관한 정보를 알게 되고, 이어서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eNB들로 송신한다. A-eNB가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eNB들로 송신한 후에,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의 리스트 업데이트 정보를, UE로, 송신할 수 있다. 임의적인 방식으로,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eNB들에게 보고하는, UE에 의해 송신되는 표시 메시지에 대해, eNB들이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성공적으로 획득했다는 것을 UE에 알려주기 위해, 대응하는 UE 보고 응답 또는 확인응답 정보(도면에서 파선으로 도시됨)가 UE로 송신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시그널링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예는 주로 UE의 구성 정보를 관리하는 것에서의 상호작용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적용 시나리오는 구체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한 후에, UE가 먼저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이어서 eNB들이 L1, L2, 및 L3의 각각의 계층의 파라미터들과 UE에 대한 관련된 베어러들 및 셀들의 구성 정보를 구성한 후에, UE가 대응하는 구성들을 사용하여 eNB들과 실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에, UE는 또한 동기화를 위해 eNB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eNB의 커버리지가 작을 때, UE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향링크 타이밍 어드밴스(uplink timing advance) 0을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UE의 고속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관련된 구성들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401. A-eNB는 디폴트 구성 정보를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로 송신하고, 이와 동시에, 디폴트 구성 정보를 UE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A-eNB는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디폴트 구성 정보를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로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디폴트 구성 정보는 UE가 eNB들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구성 정보를 지칭하고, 디폴트 구성 정보는 L1, L2, 및 L3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다른 구성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상이한 서비스들, 상이한 QoS 레벨들, 또는 상이한 베어러들에 대해, A-eNB는 상이한 디폴트 구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공되는 디폴트 구성 정보가 QoS와 연관될 수 있다.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때 eNB들에 대한 디폴트 구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별도의 시그널링이 eNB들에 대한 디폴트 구성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UE가 초기에 A-eNB에 액세스한 후에, A-eNB는 UE가 다른 eNB들과의 통신을 수행할 때 사용될 수 있는 디폴트 구성 정보를 UE에 제공할 수 있다.
S402. 초기에 eNB를 선택하고 그에 액세스한 후에, UE는 선택된 eNB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디폴트 구성 정보를 사용한다.
S403. eNB들은 재구성 메시지를 UE로 송신하고, 디폴트 구성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으로는, UE가 선택된 eNB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디폴트 구성 정보를 사용한 후에, eNB들은 UE에 대한 특정 구성 파라미터들을 추가로 수정하고, 대응하는 구성 정보를 수정하기 위해, 재구성 메시지를 UE로 송신할 수 있다.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UE는 재구성을 완료하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구성 파라미터들을 사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시그널링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예는 주로 UE의 구성 정보를 관리하는 것에서의 상호작용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적용 시나리오는 구체적으로는: UE의 이동 중에, UE는, 어쩌면 이동 중에 선택될 수 있는 eNB들 또는 A-eNB를 결정하기 위해, 이웃하는 A-eNB들 및 이웃하는 eNB들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실제 네트워크에서, eNB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macro eNB, 줄여서 MeNB)과 보조 제2 기지국(small eNB, 줄여서 SeNB)으로 추가로 분류될 수 있고, 여기서 MeNB는 큰 커버리지를 갖고 SeNB가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다. UE의 측정 효율을 개선시키고 UE의 전력 소비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AON 네트워크에서의 측정이 3개의 계층들을 개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A-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이 측정되고, M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이 측정되며, S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이 측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A-eNB는, 조건에 따라, 전술한 주파수 계층에 대한 측정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를 결정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501. A-eNB는 측정 구성 정보를 UE로 송신한다.
측정 구성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A-eNB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A-eNB 및 MeNB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A-eNB, MeNB, 및 SeNB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로, 측정 구성 정보는: A-eNB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A-eNB 및 MeNB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A-eNB, MeNB, 및 SeNB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S502. UE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에 대한 측정을 완료한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구성 정보가 A-eNB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A-eNB 및 MeNB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A-eNB, MeNB, 및 SeNB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면, UE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A-eNB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할지, 또는 A-eNB 및 MeNB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할지, 또는 A-eNB, MeNB, 및 SeNB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측정 구성 정보가 A-eNB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A-eNB 및 MeNB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A-eNB, MeNB, 및 SeNB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면, 그에 대응하여, A-eNB는,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 요구사항과 측정 구성 정보에서의 문턱값 사이의 크기 관계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미만이면, A-eNB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A-eNB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제2 문턱값 미만이면, A-eNB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A-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 및 M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3 문턱값 초과이면, A-eNB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A-eNB, MeNB, 및 S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한다.
S503. A-eNB는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를, UE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A-eNB에 의해 UE로 송신되는 측정 보고를 위한 구성 파라미터들은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 또는 측정 보고를 위한 문턱값, 또는 다른 트리거 조건들, 또는 다른 파라미터들과 같은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보고를 위한 구성 파라미터들은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는 구체적으로는: A-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M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S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504. UE는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에 따라 측정 결과를 A-eNB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시 메시지가 A-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메시지이면, UE는 A-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의 측정 결과를 A-eNB로 송신하고; 지시 메시지가 M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이면, UE는 M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의 측정 결과를 A-eNB로 송신하며; 지시 메시지가 S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지시 정보이면, UE는 S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의 측정 결과를 A-eNB로 송신하고; 지시 메시지가 A-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 및 M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이면, UE는 A-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의 측정 결과 및 M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의 측정 결과를 A-eNB로 송신하며; 지시 메시지가 A-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 M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 및 S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이면, UE는 A-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의 측정 결과, M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의 측정 결과, 및 SeNB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의 측정 결과를 A-eNB로 송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시그널링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예는 UE의 측정 구성 정보를 관리하는 것에서의 상호작용 프로세스의 또 다른 실시가능 구현 방식이다. 이 실시예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 간의 차이점은 UE 자체가, 조건에 따라, 전술한 주파수 계층에 대한 측정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를 결정한다는 것에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601. A-eNB는 측정 구성 정보를 UE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UE가 A-eNB에 액세스한 후에, A-eNB는 UE에 대한 각각의 계층의 측정 파라미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 즉, UE에 대한 A-eNB의 주파수 계층, MeNB의 주파수 계층, 및 SeNB의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들을 개별적으로 구성함 -. 특정 측정 구성 파라미터들은 목표 측정 빈도수, 측정 기간, 및 측정량, 예를 들어,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줄여서 RSRP),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ing Quality, 줄여서 RSRQ), 및 수신 신호 강도 지시자(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줄여서 RSSI)를 포함할 수 있다.
S602. UE는, 서비스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기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UE가 어떤 활성 서비스도 갖지 않거나 서비스의 QoS 요구사항이 범위보다 더 낮을 때, UE는 A-eNB의 주파수 계층만을 측정하기로 선택하고; UE의 서비스 트래픽이 범위를 초과하거나 서비스의 QoS 요구사항이 범위보다 더 높을 때, UE는 A-eNB의 주파수 계층 및 MeNB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며; UE의 서비스 트래픽이 문턱값을 초과하거나 서비스의 QoS 요구사항이 문턱값보다 더 높거나 요구된 데이터 전송률(data rate)이 문턱값보다 더 높을 때, UE는 SeNB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S603. UE는 측정 결과를 AeNB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UE는, 하기의 원칙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측정 결과를 보고할지를 결정한다: AeNB의 주파수 계층의 측정 결과는 보고되어야만 한다; MeNB의 주파수 계층의 측정 결과는 조건부로 보고된다 - 즉,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될 때에만 보고됨 -; SeNB의 주파수 계층의 측정 결과는 보고되지 않는다 - 즉, UE는 SeNB의 측정 결과를 보고하지 않고, 측정 결과에 따라 자체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는 SeNB를 결정한다 -.
다른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A-eNB의 주파수 계층, MeNB의 주파수 계층, 및 SeNB의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들이 또한 동시에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 즉 A-eNB가 UE에 대한 구성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들만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구성되지 않은 주파수 계층에 대해, UE는 측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의 주파수 계층의 측정 파라미터들이 구성되지 않으면, UE는 MeNB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시그널링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예의 적용 시나리오는 구체적으로는: UE의 이동 중에, 한편으로는, UE가 A-eNB를 측정할 필요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 보다 적절한 타깃 A-eNB가 선택되도록, UE가 또한 측정 결과에 따라 제때에 핸드오버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되는 핸드오버를 한 원칙으로서 사용하여, 특정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S701. UE는 측정 보고를 현재 서빙 A-eNB로 송신하거나, UE는 타깃 A-eNB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현재 서빙 A-eNB로, 송신한다.
현재 서빙 A-eNB(Serving AeNB, 줄여서 S-AeNB)에 대해, UE에 의해 S-AeNB로 송신되는 측정 보고는 타깃 A-eNB(Target AeNB, 줄여서 T-AeNB)를 비롯한, 이웃하는 A-eNB의 측정 결과를 포함한다.
임의로, UE는 측정된 T-AeNB의 커버리지 내의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eNB들에 관한 정보를 측정 보고 또는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부가할 수 있다.
S702. S-AeNB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T-AeNB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UE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보고 또는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한 후에, S-AeNB는 UE가 T-AeNB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고 결정한다. 이 경우에, S-AeNB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T-AeNB로 송신하고, 여기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UE의 컨텍스트 정보 및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현재 가지고 있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임의로, S-AeNB는 타깃 T-AeNB의 커버리지 내의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eNB들에 관한 정보를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부가할 수 있다.
S703. T-AeNB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T-AeNB는 수락 제어(admission control)를 수행하고, UE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허용할지를 결정한다. UE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T-AeNB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하고, 여기서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는 L1, L2, 및 L3의 구성 파라미터들과 같은 UE에 대해 구성된 정보를 포함한다. 그에 부가하여, T-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eNB들에 관한 정보를,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에, 추가로 부가하고, T-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에, 부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T-AeNB는 T-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다른 별도의 전용 메시지들을 사용할 수 있다.
S704. S-AeNB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UE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T-AeNB에 의해 피드백되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S-AeNB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UE로 송신하고, 여기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T-AeNB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라고 UE에 지시한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T-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705. S-AeNB는 UE에 현재 서빙하는 eNB들에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제공한다.
그에 부가하여, T-AeNB에 의해 피드백되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S-AeNB는 또한 UE에 현재 서빙하는 eNB들에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는 T-AeNB에 관한 정보, 또는 T-AeNB의 제어 하에서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을 중단할지를 eNB에 지시하거나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지를 eNB들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NB들은, 지시 정보에 따라, UE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자원들을 계속하여 스케줄링할지를 결정하거나, eNB들은, T-AeNB에 관한 포함된 정보에 따라, eNB들이 T-AeNB의 제어 하에서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거나, eNB들은, T-AeNB의 제어 하에서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지를 eNB들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T-AeNB의 제어 하에서 UE에 대한 서비스들이 제공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고, 그러한 경우, UE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자원들을 계속하여 스케줄링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UE를 위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중단한다.
S706. UE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T-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한다.
UE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UE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T-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eNB들은 S-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이전에 제공한 eNB들일 수 있으며, UE는 S-AeNB의 제어 하에서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이전에 제공한 eNB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UE는 또한 T-AeNB에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하고, T-AeNB에 액세스할 필요가 있다.
S707. UE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T-AeNB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T-AeNB에의 랜덤 액세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에, UE는, UE가 핸드오버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T-AeNB로 송신한다.
S708. T-AeNB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UE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T-AeNB는, UE가 핸드오버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는 것을 S-AeNB에 통지하기 위해,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대안적으로(도면에서 파선으로 도시됨), T-AeNB에의 랜덤 액세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에, UE는, 현재 서빙 S-AeNB들에서, S-AeNB에 연결된 eNB를 통해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피드백할 수 있고, 이어서 eNB는, UE가 핸드오버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는 것을 S-AeNB에 통지하기 위해,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S709. S-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 및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를 수신한 후에, S-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제하거나, 타이머를 처음으로 시작하고,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UE의 컨텍스트를 해제할 수 있다. 본원에서, UE의 컨텍스트를 해제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타이머를 도입하는 목적은 UE가 언젠가 S-AeNB로 복귀하거나 S-AeNB로 재설정(reestablish)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시그널링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예의 적용 시나리오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적용 시나리오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UE 자체에 의해 제어되는 핸드오버를 한 원칙으로서 사용하여, 핸드오버 프로세스에서, UE는 수행되고 있는 활성 서비스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801. UE 자체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UE는 이웃하는 A-eNB들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UE가 핸드오버될 수 있는 T-AeNB를 선택한다. 적절한 T-AeNB가 선택된 후에, UE 자체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기로 결정하고, T-AeNB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한다.
S802. UE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T-AeNB로 송신한다.
UE는, T-AeNB에 액세스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을 T-AeNB에 보고하며, 여기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UE의 현재 S-AeNB에 관한 정보 및/또는 T-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어쩌면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eNB들에 관한 정보, 즉 후보 eNB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S803. T-AeNB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UE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T-AeNB는 UE가 T-AeNB로 핸드오버될 것임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하거나, UE가 T-AeNB에 성공적으로 액세스한 후에, UE는 UE가 T-AeNB로 핸드오버될 것임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S-AeNB에 송신한다(파선으로 도시됨).
S804. T-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eNB들로 송신하고,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UE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UE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T-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받을 필요가 있는 eNB들을 결정하고,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eNB들로 전송하며, UE가 핸드오버될 수 있다는 것을 통지하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UE로 송신한다.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T-AeNB를 포함한다.
S805. S-AeNB는 UE에 현재 서빙하는 eNB들에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제공한다.
핸드오버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S-AeNB는 UE에 현재 서빙하는 eNB들에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제공하고, 여기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는 T-AeNB에 관한 정보, 또는 T-AeNB의 제어 하에서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을 중단할지를 eNB에 지시하거나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지를 eNB들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806. eNB들은, 지시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UE로 계속하여 송신할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eNB들은, 지시 정보에 따라, UE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자원들을 계속하여 스케줄링할지를 결정하거나, eNB들은, T-AeNB에 관한 포함된 정보에 따라, eNB들이 T-AeNB의 제어 하에서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거나, eNB들은, T-AeNB의 제어 하에서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지를 eNB들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T-AeNB의 제어 하에서 UE에 대한 서비스들이 제공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고, 그러한 경우, UE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자원들을 계속하여 스케줄링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UE를 위한 자원들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중단한다.
S807. UE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UE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하거나, T-AeNB가 UE의 스케줄링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또는 T-AeNB가 UE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를 수신한 후에, T-AeNB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S808. UE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T-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한다.
UE가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UE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T-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eNB들은 S-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이전에 제공한 eNB들일 수 있으며, UE는 S-AeNB의 제어 하에서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이전에 제공한 eNB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S809. S-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 및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해제한다.
핸드오버 완료 표시를 수신한 후에, S-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제하거나, 타이머를 처음으로 시작하고,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UE의 컨텍스트를 해제할 수 있다. 본원에서, UE의 컨텍스트를 해제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타이머를 도입하는 목적은 UE가 언젠가 S-AeNB로 복귀하거나 S-AeNB로 재설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시그널링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예의 적용 시나리오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적용 시나리오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S-AeNB 및 이웃하는 A-eNB는, 협상을 통해, 공동으로 제어되는 eNB들을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901. S-AeNB는 eNB 제어 협상 메시지를 T-AeNB로 송신한다.
S-AeNB 및 이웃하는 AeNB(T-AeNB는 S-AeNB에 이웃하는 AeNB임)는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eNB들을 결정하기 위해 협상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S-AeNB는,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잠재적인 eNB들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eNB 제어 협상 메시지를 이웃하는 A-eNB로 송신한다. S-AeNB는, eNB들의 위치 정보 및 이웃하는 AeNB의 위치 정보 그리고 eNB들과 S-AeNB 및 이웃하는 AeNB 사이의 연결 관계들에 따라,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잠재적인 eNB들을 선택 및 결정할 수 있다.
S902. T-AeNB는 eNB 제어 협상 응답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eNB 제어 협상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이웃하는 A-eNB는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eNB들을 확인응답하고, eNB 제어 협상 응답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하며, 여기서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A-eNB에 의해 결정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eNB들에 관한 정보 또는 eNB 제어 협상 메시지에 포함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eNB들에 관한 정보의 확인응답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계 1 및 단계 2에서 공동으로 제어되는 eNB들을 결정하는 방법에 부가하여, 결정은 또한 (전술한 도면에 예시되지 않은) OAM 구성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 즉, S-AeNB 및 이웃하는 A-eNB 둘 다는, OAM으로부터, S-AeNB 및 이웃하는 A-eNB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 구체적으로는,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잠재적인 eNB들은 eNB들의 위치 정보 및 각각의 A-eNB의 위치 정보 그리고 eNB들과 A-eNB 사이의 연결 관계들에 따라 선택 및 결정될 수 있다.
S903. UE는 측정 보고를 S-AeNB로 송신하거나, UE는 T-AeNB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UE는 이웃하는 A-eNB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S-AeNB로, 송신하거나, UE는 T-AeNB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서빙 AeNB로, 송신한다. 임의로, UE는 측정된 T-AeNB의 커버리지 내의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eNB들에 관한 정보를 측정 보고 또는 요청 메시지에 부가할 수 있다.
S904. S-AeNB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T-AeNB로 송신한다.
UE로부터 측정 보고 또는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한 후에, S-AeNB는 UE가 T-AeNB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고 결정하고, 핸드오버 프로세스에서, S-AeNB 및 T-AeNB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는 eNB들을 선택하고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S-AeNB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T-AeNB로 송신하고, 여기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UE의 컨텍스트 정보 및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선택된 eNB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S905. T-AeNB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T-AeNB는 수락 제어를 수행하고, UE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허용할지를 결정한다. UE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T-AeNB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하고, 여기서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는 L1, L2, 및 L3의 구성 파라미터들과 같은 UE에 대해 구성된 정보를 포함한다.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는 eNB들에 관한 정보 이외에, T-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다른 선택된 eNB들에 관한 정보를,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부가할 수 있다.
S906. S-AeNB는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S-AeNB가 떠맡고 있는 서비스를 전송을 위해 eNB들로 스위칭한다.
S907. S-AeNB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UE로 송신하고,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더 이상 제공할 필요가 없는 eNB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송신한다.
T-AeNB에 의해 피드백되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S-AeNB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UE로 송신하고, 여기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T-AeNB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라고 UE에 지시하고,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핸드오버 프로세스에서 하나 이상의 현재 eNB들과의 데이터 전송을 유지하라고 UE에 지시한다. 대안적으로, S-AeNB는 핸드오버 프로세스에서 하나 이상의 현재 eNB들과의 데이터 전송을 유지하라고 UE에 지시하는 다른 전용 메시지들, 예를 들어, 재구성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S-AeNB는 또한 현재 S-AeNB가 떠맡고 있는 서비스를 전송을 위해 SeNB들로 재구성할 수 있다.
T-AeNB에 의해 피드백되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부가하여, S-AeNB는 또한, S-AeNB가 현재 떠맡고 있는 서비스를 전송을 위해 SeNB들로 재구성하기 위해,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것과 T-AeNB에 의해 피드백되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 사이에서 언제라도 베어러 재구성 메시지를 UE로 송신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T-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T-AeNB에 의해 피드백되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S-AeNB는 또한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eNB들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하고,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eNB들로 송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는 UE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eNB들에 지시한다.
S908. UE는 T-AeNB에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하고, T-AeNB에 액세스한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UE는 계속하여, 핸드오버 명령의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유지하는 다른 표시된 하나 이상의 eNB들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한다. 핸드오버 명령이 S-AeNB가 떠맡고 있는 데이터를 eNB들로 스위칭하라고 지시하면, UE는 원래 S-AeNB를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전술한 eNB들을 통해,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을 유지하고 핸드오버 명령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eNB들에 부가하여, UE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T-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eNB들을 추가로 계속하여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가,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하기 전에, S-AeNB에 의해 송신되는 베어러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면, UE는 S-AeNB를 통해 현재 전송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을 위해 베어러 재구성 메시지에 명시된 SeNB들로 재구성한다.
UE는 T-AeNB에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하고, T-AeNB에 액세스한다.
S909. UE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T-AeNB로 송신한다.
S910. T-AeNB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S911. S-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 및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해제한다.
S909 내지 S911의 특정 구현 프로세스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S707 내지 S709의 특정 구현 프로세스와 동일하며, 본원에서 다시 서술되지 않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시그널링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예의 적용 시나리오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적용 시나리오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UE의 핸드오버 프로세스에서 활성 서비스가 없다고 가정하면,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1001. UE는 측정 보고를 S-AeNB로 송신하거나, T-AeNB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UE는 이웃하는 A-eNB의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S-AeNB로, 송신하거나, UE는 T-AeNB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임의로, UE는 측정된 타겟 T-AeNB의 커버리지 내의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하나 이상의 eNB들에 관한 정보를 측정 보고 또는 요청 메시지에 추가로 부가할 수 있다.
S1002. S-AeNB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T-AeNB로 송신한다.
UE로부터 측정 보고 또는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한 후에, S-AeNB는 UE가 T-AeNB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고 결정한다. 이 경우에, S-AeNB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T-AeNB로 송신하고, 여기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UE가 현재 어떤 활성 서비스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에 부가하여,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UE의 컨텍스트 정보 및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현재 가지고 있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S1003. T-AeNB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T-AeNB는 수락 제어를 수행하고, UE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허용할지를 결정한다. UE가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허용되면, T-AeNB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하고, 여기서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는 A-eNB에 관련되고 UE에 대해 구성된 구성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T-AeNB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eNB들에 대한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는 T-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의 컨텍스트 정보 및 eNB들에 관련된 디폴트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갖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S1004. S-AeNB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UE로 송신한다.
T-AeNB에 의해 피드백되는 핸드오버 요청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S-AeNB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UE로 송신하고, 여기서 핸드오버 명령은 T-AeNB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라고 UE에 지시한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T-AeNB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임의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UE가 T-AeNB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UE는 T-AeNB에의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개시하고, T-AeNB에 액세스한다. 대안적으로, 핸드오버 명령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말라고 UE에 지시하면, UE는 핸드오버 명령에 의해 요구되는 구성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에 T-AeNB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후에, UE가 현재 어떤 활성 서비스도 없다고 결정하면, UE는 T-AeNB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S1005. UE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T-AeNB에의 랜덤 액세스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에(T-AeNB에의 랜덤 액세스가 요구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또는 핸드오버 명령에 의해 요구되는 구성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후에(T-eNB에의 랜덤 액세스가 요구되지 않으면), UE는, UE가 핸드오버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S-AeNB로 송신한다.
S1006. S-AeNB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T-AeNB로 송신한다.
S1007. S-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 및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에 관한 정보를 해제한다.
핸드오버 완료 표시를 수신한 후에, S-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해제하거나, 타이머를 처음으로 시작하고,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UE의 컨텍스트를 해제할 수 있다. 본원에서, UE의 컨텍스트를 해제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타이머를 도입하는 목적은 UE가 언젠가 S-AeNB로 복귀하거나 S-AeNB로 재설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0의 시그널링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예는 주로 UE와 A-eNB 및 eNB 간의 통신 동안 데이터 보안의 문제를 해결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eNB 및 A-eNB는 독립적인 보안 메커니즘들을 갖는다. A-eNB는 상이한 eNB들에 대한 상이한 KASME들을 개별적으로 생성한다. 따라서, UE 및 네트워크측 AuC 센터 둘 다는 다수의 상이한 Ki들을 저장할 필요가 있고, 각각의 Ki는 그에 대응하여 UE에 의해 선택된 상이한 eNB에 대해 순차적으로 사용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101. UE는 A-eNB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A-eNB에의 RRC 연결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UE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A-eNB에 액세스하고, A-eNB에의 연결을 설정한다.
S1102. A-eNB는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UE로 송신한다.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 메시지는 보안을 활성화시키라고 UE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S1103. UE는 A-eNB와 연관된 중간 키 A-KeNB를 생성하고, A-KeNB 및 A-eNB의 보안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Kenc_A 및 Kint_A를 생성한다.
A-eNB에 의해 송신되는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을 수신한 후에, UE는, A-eNB와 연관된 K_A, IK_A, 및 CK_A에 따른 계산을 통해, A-eNB에 대응하는 KASME_A를 획득하고, 이어서, KASME_A에 기초한 계산을 통해, A-eNB와 연관된 중간 키 A-KeNB를 추가로 획득하며, A-KeNB 및 A-eNB의 보안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Kenc_A 및 Kint_A를 추가로 생성한다.
S1104.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 각각의 eNB 및 UE와 연관된 보안 인덱스, 그리고 생성된 KeNB_i를 eNB들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A-eNB가 eNB들에 대한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때,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i eNB와 연관된 IK, CK, 및 Ki에 따른 계산을 통해, 제i eNB에 대응하는 루트 키 KASME_i를 획득하고, 이어서, KASME_i에 기초하여 제i eNB에 대한 KeNB_i를 추가로 계산하고, 제i eNB에 대한 KeNB_i를 제공한다. IK와 CK는 공개되어(public) 있을 수 있거나, 각각의 eNB는 IK와 CK의 세트에 대응한다.
S1105. eNB들은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나타낸다.
A-eNB에 의해 송신되는 보안 키 정보에 응답하여, eNB들은 그들의 보안 알고리즘들을 A-eNB에 피드백한다. 대안적으로, eNB들이 초기에 A-eNB와의 연결 관계들을 설정할 때 또는 eNB들이 초기에 전원이 켜질 때, eNB들은 그들의 보안 알고리즘들을 A-eNB에 보고할 수 있다.
S1106.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의 리스트를, UE로, 송신하고, 여기서 리스트는 eNB들의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포함한다.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의 리스트를, UE로, 송신하고, 여기서 리스트는 eNB들의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AeNB는 전용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eNB들의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UE에 통지한다. 그에 부가하여, UE는 선택된 eNB에 먼저 액세스하고, 이어서 eNB에 의해 직접 송신되는 전용 메시지(도면에 예시되지 않음)를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용 메시지는 eNB의 보안 알고리즘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UE는 eNB들의 시스템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eNB들의 보안 알고리즘들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eNB들은 eNB에 의해 사용되는 보안 알고리즘들의 식별자들을, 시스템 정보에서, 브로드캐스팅할 필요가 있다. 대안적으로,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의 보안 알고리즘들의 식별자들을, 브로드캐스트 모드에서 UE에, 통지할 수 있다.
S1107. UE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하기로 결정하고, eNB와 연관된 중간 키 KeNB_i를 생성하며, KeNB_i 및 eNB의 보안 알고리즘에 기초한 계산을 통해, eNB 상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 Kenc_i 및/또는 Kint_i를 획득한다.
UE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하기 전에, UE는 선택된 eNB의 보안 인덱스에 따라 대응하는 보안 키들 Ki, IK, 및 CK를 먼저 결정하고, 이어서, 계산을 통해, 제i eNB에 대응하는 루트 키 KASME_i를 획득하며, KASME_i에 따라 제i eNB에 대한 KeNB_i를 추가로 계산하고, 최종적으로, 계산을 통해 획득된 KeNB_i 및 eNB의 보안 알고리즘에 따른 계산을 통해, eNB 상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 Kenc_i 및/또는 Kint_i를 획득한다.
S1108. UE는 선택된 eNB에 액세스하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대응하는 키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i eNB의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 Kenc_i 및/또는 Kint_i를, 계산을 통해, 획득한 후에, UE는 eNB와의 보안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키들을 사용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시그널링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예는 주로 UE와 A-eNB 및 eNB 간의 통신 동안 데이터 보안의 문제를 해결한다. 이 실시예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 간의 차이점은 eNB들 및 A-eNB가 서로 연관되어 있는 보안 메커니즘들을 갖는다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UE가 eNB를 선택한 후에, UE는 먼저, eNB와 연관된 고유 COUNT(예를 들어, eNB의 고유 ID, 또는 eNB의 주파수 및/또는 PCI일 수 있음) 및 UE와 AeNB 사이의 A-KeNB를 사용하여, KeNB와 연관된 중간 키 KeNB를 생성하고, 이어서, eNB와 연관된, C_V로 표시된 변수 COUNT에 기초하여, UE와 선택된 eNB 사이의 중간 키 KeNB*를 추가로 생성하며, 이어서, KeNB*에 기초하여, eNB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 Kenc 및/또는 Kint를 추가로 생성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S1201. UE는 A-eNB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A-eNB에의 RRC 연결을 설정한다.
UE는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AeNB에 액세스하고, AeNB에의 연결을 설정한다.
S1202. A-eNB는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 메시지를 UE로 송신한다.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 메시지는 보안을 활성화시키라고 UE에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S1203. UE는 A-eNB와 연관된 중간 키 A-KeNB를 생성하고, A-KeNB 및 A-eNB의 보안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Kenc_A 및 Kint_A를 생성한다.
AeNB에 의해 송신되는 보안 모드 활성화 명령을 수신한 후에, UE는, A-eNB와 연관된 K_A, IK_A, 및 CK_A에 따른 계산을 통해, AeNB에 대응하는 KASME_A를 획득하고, 이어서, KASME_A에 기초한 계산을 통해, A-eNB와 연관된 중간 키 A-KeNB를 추가로 획득하며, A-KeNB 및 A-eNB의 보안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암호화 키 및 무결성 보호 키 Kenc_A 및 Kint_A를 추가로 생성한다.
S1204.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eNB들로 송신하고, A-eNB는 UE와 A-eNB 사이의 키 A-KeNB에 기초하여 eNB들에 대한 KeNB들을 생성한다.
eNB에 대한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때, A-eNB는 eNB와 연관된 고유 COUNT에 따라 중간 키 KeNB를 생성하고, eNB에 대한 KeNB를 제공한다.
S1205. eNB들은, COUNT들 및 C_V 값들을 포함한,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나타낸다.
AeNB에 의해 송신되는 KeNB들을 수신한 후에, eNB들은 현재 사용되어야만 하는 그들의 보안 알고리즘들 및 동적 COUNT들, 즉 C_V들을, AeNB에, 피드백한다. C_V의 초기 값은 정수일 수 있고, 키가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을 때마다 C_V의 값에 1이 가산된다.
S1206.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의 리스트를, UE로, 송신하고, 여기서 리스트는 eNB들의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대응하는 eNB들 상에서 사용되어야만 하는 C_V 값들을 포함한다.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의 리스트를, UE로, 송신하고, 여기서 리스트는 eNB들의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대응하는 eNB들 상에서 사용되어야만 하는 C_V 값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는 선택된 eNB에 먼저 액세스하고, 이어서 eNB에 의해 직접 송신되는 전용 메시지(도면에 예시되지 않음)를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용 메시지는 eNB의 보안 알고리즘의 식별자 및/또는 C-V 값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UE는 eNB들의 시스템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eNB들의 보안 알고리즘들의 식별자 정보 및/또는 C-V 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eNB들은 eNB들에 의해 사용되는 보안 알고리즘들의 식별자들 및/또는 C-V 값들을, 시스템 정보에서, 브로드캐스팅할 필요가 있다. 대안적으로, AeNB는 UE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eNB들의 보안 알고리즘들의 식별자들 및/또는 C-V 값들을, 브로드캐스트 모드에서 UE에, 통지할 수 있다.
S1207. UE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하기로 결정하고, eNB와 연관된 중간 키 KeNB_i를 생성하며, KeNB_i 및 eNB의 보안 알고리즘에 기초한 계산을 통해, eNB 상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 Kenc_i 및/또는 Kint_i를 획득한다.
UE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eNB들을 선택하기 전에, UE는, 선택된 eNB에 대응하는 고유 COUNT 및 AeNB의 A-KeNB에 따라, eNB에 대응하는 중간 키 KeNB를 먼저 생성하고, 이어서 eNB에 대응하는 획득된 C_V 값 및 계산을 통해 획득된 KeNB에 따라 KeNB*를 추가로 생성하며, 이어서 eNB 상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 Kenc 및/또는 Kint를 생성한다.
S1208. UE는 선택된 eNB에 액세스하고,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대응하는 키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eNB에 대한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 Kenc 및/또는 Kint를, 계산을 통해, 획득한 후에, UE는 eNB와의 보안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키들을 사용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실시예 1의 플로차트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단말에 의해 수행되고,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801): 단말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며, 여기서 상시 연결 모드는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시 연결 모드에 관한 설명 및 서술을 위해, 전술한 설명 및 서술이 참조될 수 있다. 단말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는 것이 제1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다는 것과, 제1 기지국이 단말이 제1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다는 것을 명확히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A-eNB 일 수 있다.
단계(1802): 단말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여기서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유의할 점은,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몇 개의 기지국들(eNB)이 제1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할 수 있고, 여기서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들이 제2 기지국들일 수 있다는 것이다.
단계(1803):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 또는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단말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단말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한다는 것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은 서비스 전송의 시간보다 적어도 더 긴 시간, 예를 들어, 호의 시간보다 더 긴 시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한다는 것은 모든 서비스 전송의 완료 이후에 종래의 유휴 모드에 진입하지 않고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여전히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실제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지 않으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여전히 유지하는 것, 또는 디폴트 베어러만이 설정되고 실제 데이터 전송이 없으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여전히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은 수 분, 수십 분, 또는 수 시간과 같은 상이한 시간 길이들일 수 있다. 이것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제1 기지국을 통해 제어 시그널링 전송만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제1 기지국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만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제1 기지국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전송만을 수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1 기지국이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상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고 단말과의 하향링크 동기화를 유지하도록, 단말은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 따라서,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제1 기지국의 핸드오버들이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빈번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이 감소되고,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페이징 부하가 감소되며, 서비스 설정 및 전송에서의 종단간 지연이 감소된다. 밀집 네트워크는 다수의 제1 기지국들 및 다수의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단계(101) 이전에,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액세스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이한 액세스 빈도 정보는 상이한 연결 모드들에 대응함 -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단말에 의해, 액세스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시스템 정보로부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미리 설정된 구성 정보로부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게다가,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시 연결 모드이면, 단말은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기지국을 선택한다.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는 특정 구현 방식은: 제1 표시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 - 제1 표시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수락하라고 요청할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및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 - 연결 구성 정보는 단말을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지를 포함하고, 제1 표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또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음 - 일 수 있다.
게다가,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현재 임의의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제1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며,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또는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제1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계속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불연속 수신 주기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계속 수신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불연속 수신 주기의 활성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임의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스케줄링 정보의 지시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통지 정보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데 사용됨 -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제2 전용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고;
본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임의로,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통지 정보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데 사용됨 -,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게다가, 단말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지시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고; 단말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임의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지시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은,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단말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임의로,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임의로, 스케줄링 정보의 지시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통지 메시지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데 사용됨 - 이후에, 본 방법은: 통지 메시지에 따라,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것으로 결정되고 이를 알게 되면,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것으로 결정되고 이를 알게 되면,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한다.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제1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 정보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고유 식별자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 - 고유 식별자 정보는 단말에 대응하고, 고유 식별자 정보는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자원의 조합임 - 일 수 있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고 이를 알게 되면, 단말은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단말이 연결을 설정한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임의로, 단말이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단말은 상시 연결 모드에서 계속하여 동작하고,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전용 구성 정보를 저장한다. 게다가, 단말은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거나;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단말은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전술한 단계는 단말에 의한 초기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의 프로세스이다. 단말이 초기 액세스를 수행한 후에, 단말은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초기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그 후에,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제2 기지국을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단말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 상에서 그리고 다른 제2 기지국들 상에서 제때에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 후에,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다.
게다가,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 후에, 단말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이웃하는 기지국을 측정하고, 제1 문턱값보다 더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면,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한다.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단말은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거나 -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단말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거나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단말은 이웃하는 기지국이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제1 기지국에, 보고한다.
게다가, 제1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표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 -, 응답 메시지에 따라,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다는 것을 알게 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단말이 기지국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관련된 구성이 추가로 완료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디폴트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디폴트 구성 정보는 단말이 각각의 제2 기지국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구성 정보임 - 를 추가로 포함하고; 그에 대응하여,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는 것일 수 있다.
디폴트 구성 정보는 서비스,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또는 베어러와 연관된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대응하여,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단말이,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및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재구성 메시지에 따라, 단말에 대응하는 디폴트 구성 정보를 수정하며, 수정된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는 것일 수 있다.
이동 중에, 단말은 선택될 수 있는 잠재적인 제1 기지국들 또는 제2 기지국들을 결정하기 위해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 및 이웃하는 제2 기지국들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실제 네트워크에서,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으로 분류될 수 있고, 여기서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는 크고, 보조 제2 기지국의 커버리지는 작다. 단말의 측정 효율을 개선시키고 단말의 전력 소비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는 단계 - 기지국들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미만이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는 단계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제2 문턱값 미만이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는 단계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2 문턱값 또는 제3 문턱값 초과이면,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는 단계는: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임의로,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에 따라,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의 측정 효율을 개선시키고 단말의 전력 소비 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는 단계 - 기지국들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게다가,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미만이면,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는 단계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제2 문턱값 미만이면,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는 단계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이와 동시에,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2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2 문턱값 초과이면,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는 단계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보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3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게다가,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1 기지국에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 및/또는 마스터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마스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보조 제2 기지국의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보조 제2 기지국 및/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보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게다가, 단말은 획득된 제1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지만, 제3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지 않는다.
임의로, 단말은 획득된 제2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고,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제2 측정 결과를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많은 수의 제1 기지국들이 네트워크에 존재한다. 단말의 이동 중에, 한편으로, 단말이 제1 기지국을 측정할 필요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 단말이 보다 적절한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단말이 또한 측정 결과에 따라 핸드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제1 기지국들 사이에서의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은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현재 수행하는 제1 기지국이며,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임의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단말은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다.
임의로,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된다. 임의로,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과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거나,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타깃 제1 기지국 둘 다와 연결 관계들을 갖는다.
게다가,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한다.
게다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단말은 추가로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여기서 제1 기지국들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은 타깃 제1 기지국을 포함한다.
게다가, 단말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의 측정 결과들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고; 단말은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며, 여기서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단말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이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지를 결정하도록,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의 측정 결과들을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게다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 제2 기지국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됨 - 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 -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은 핸드오버 명령이 수신되기 전에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임 -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한다.
임의로, 단말은 핸드오버 완료 표시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제2 기지국을 통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제1 기지국들 사이에서의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것의 다른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 제1 기지국들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함 -;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및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 및 후보 제2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후보 제2 기지국들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제2 기지국들임 -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단말은 타깃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포함함 -; 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한다.
임의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따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이후에, 본 방법은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을 통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들 사이에서의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것의 또 다른 실시가능 구현 방식에서,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 제1 기지국들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함 -;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가 수신되기 전에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며; 단말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한다.
임의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베어러 재구성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단말은 베어러 재구성 정보에 따라 현재 서빙 제1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으로 스위칭한다.
단말과 각각의 기지국 사이의 통신 동안 데이터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대해 보안 키를 생성하기 위한 새로운 메커니즘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단말이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단말에 의해, 제1 기지국과 제1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단계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보안 알고리즘 정보는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포함함 -; 및 제2 기지국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기지국은 보안 인덱스에 일대일로 대응한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는 단계;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중간 키에 따라,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보안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또는 제2 보안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로, 제1 보안 메커니즘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은 서로 연관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 및 동적 카운트를 획득하고,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는 단계; 루트 키를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중간 키 및 동적 카운트에 따라 연관된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연관된 중간 키에 따라,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단말은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며 - 상시 연결 모드는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단말은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단말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제1 기지국 및/또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기 때문에, 이것은 단말이 밀집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빈번한 시그널링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페이징 부하를 제거하며, 서비스 설정 및 전송에서의 종단간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실시예 2의 플로차트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제1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고,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901): 제1 기지국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며, 여기서 상시 연결 모드는 단말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단계(1902): 제1 기지국이 제1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고, 여기서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1903): 제1 기지국이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제1 기지국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는 것은:
제1 기지국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상시 유지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로, 제1 기지국이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제1 기지국이 제어 시그널링만을 단말로 전송한다는 것; 또는 제1 기지국이 하향링크 데이터만을 단말로 전송한다는 것; 또는 제1 기지국이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만을 단말로 전송한다는 것을 포함한다.
제1 기지국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기 전에, 본 방법은: 전용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전용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제1 표시 메시지는 단말이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라고 요청하는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단말을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에 따라,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결정하도록,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후에,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연결 설정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연결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전용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전용 메시지는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표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또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제1 기지국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는 것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어떤 서비스 요청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으면, 단말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또는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가 수신되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단말에 대한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어떤 서비스 요청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을 때, 본 방법은: 단말이, 단말에 대한 불연속 수신 주기의 활성 시간 내에서,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불연속 수신 주기를 구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기지국은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고, 여기서 스케줄링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되며; 제1 기지국은 제2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고, 여기서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통지 메시지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전용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며,여기서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다.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스케줄링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및 제2 전용 시그널링을 단말로 송신하고 -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통지 메시지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단말에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함 -, 베어러를 사용하여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 기지국은 지시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고, 여기서 지시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제3 지시 정보는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다.
제1 기지국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이다.
제1 기지국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지를 결정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제2 기지국이 존재하면, 제1 기지국은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조합을 사용하여,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제1 기지국은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조합을 단말에 할당한다.
제1 기지국이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제1 기지국은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저장한다.
제1 기지국은,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함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한다.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단말의 위치 정보,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 또는 단말에 의해 보고되는 측정 보고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기지국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를 수신하거나 -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음 -;
제1 기지국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음 -;
제1 기지국은 이웃하는 기지국이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단말의 보고를 수신한다.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으면, 제1 기지국은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며, 여기서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1 기지국은, 단말이, 응답 메시지 -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에 따라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 - 에 따라, 이웃하는 기지국이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다는 것을 알게 되도록,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응답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한다.
제1 기지국은 디폴트 구성 정보를 단말 및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송신하고, 여기서 디폴트 구성 정보는 서비스 유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또는 베어러 유형과 연관되고, 디폴트 구성 정보는 단말이 각각의 제2 기지국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구성 정보이다.
제1 기지국은,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디폴트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한다.
제1 기지국은 측정 구성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고, 여기서 측정 구성 정보는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기지국은 제1 기지국 또는 제2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한다.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측정 구성 정보는: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 또는 제1 기지국 및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 또는 제1 기지국,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기지국은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한다.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기지국은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단말로 송신하고, 여기서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기지국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결과들을 수신하고, 여기서 측정 결과들은 제1 측정 결과 및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고, 제1 측정 결과는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의해 획득되며, 제2 측정 결과는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마스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의해 획득된다.
게다가, 제1 기지국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일 때, 전술한 방법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타깃 제1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단말이 지시 정보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도록,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는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이웃하는 각각의 기지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단말에 의해 획득됨 -;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한다.
게다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은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여기서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현재 가지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게다가,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은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임의로,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 또는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이다.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지시는 타깃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지시는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하도록, 핸드오버 지시를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핸드오버 지시는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제2 기지국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기지국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다.
게다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여기서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는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은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는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에 따라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이고, 응답 메시지는 이웃하는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 또는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에 포함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의 확인응답을 포함한다.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본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타깃 제1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따라,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을 획득하는 단계 -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는 제2 기지국임 - 를 추가로 포함한다.
임의로,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에 따라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여기서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 및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기지국의 처리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구현 원리들 및 그의 기술적 효과들은 유사하고, 본원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수신 모듈(23)이 기지국의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거나, 기지국의 송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송신 모듈(22)은 기지국의 송신기에 대응할 수 있거나, 기지국의 송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처리 모듈(21)은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대응할 수 있다. 본원에서,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를 구현하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일 수 있다. 기지국은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명령어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수신 모듈(23) 및 송신 모듈(22)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 내의 명령어 코드를 호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송신 모듈(13)은 사용자 장비의 송신기에 대응할 수 있거나, 사용자 장비의 송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수신 모듈(12)은 사용자 장비의 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거나, 사용자 장비의 송수신기에 대응할 수 있다. 처리 모듈(11)은 사용자 장비의 프로세서에 대응할 수 있다. 본원에서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를 구현하는 CPU, 또는 ASIC, 또는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명령어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송신 모듈(13) 및 수신 모듈(12)을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 내의 명령어 코드를 호출한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기지국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서비스 설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공개 보안 메시지의 생성,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베어러 설정, 수정, 및 해제의 관리; 또는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스케줄링 및 전송의 기능들을 갖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지국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기지국일 수 있다. 제1 기지국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고, 제1 기지국의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장치 실시예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으며, 상세들이 본원에서 다시 서술되지 않는다. 단말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일 수 있다. 단말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고, 단말의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장치 실시예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으며, 상세들이 본원에서 다시 서술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제1 기지국에 연결되며, 통신 시스템과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선택을 위해 구성되거나; 통신 시스템과 2G 또는 3G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의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기지국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서비스 설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공개 보안 메시지의 생성,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베어러 설정, 수정, 및 해제의 관리; 또는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통신 시스템과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선택; 또는 통신 시스템과 2G 또는 3G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의 서빙 GPRS 지원 노드의 선택의 기능들을 갖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지국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기지국일 수 있다. 제1 기지국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고, 제1 기지국의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장치 실시예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으며, 상세들이 본원에서 다시 서술되지 않는다. 단말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단말일 수 있다. 단말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고, 단말의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장치 실시예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으며, 상세들이 본원에서 다시 서술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몇 개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예를 들어, 기술된 장치 실시예는 일 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유닛 분할은 논리적 기능 분할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들 또는 컴포넌트들이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들이 무시될 수 있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들 또는 직접 결합들 또는 통신 연결들이 어떤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간의 간접 결합들 또는 통신 연결들이 전자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
개별적인 부분들로서 기술된 유닛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고, 유닛들로서 표시된 부분들이 물리적 유닛들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거나, 하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거나,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에 분산될 수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의 요구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 유닛들이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유닛들 각각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된다. 통합된 유닛이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에 부가하여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통합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때, 통합된 유닛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술된 방법들의 단계들의 일부를 수행하라고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음)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지시하는 몇 개의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기능 모듈들의 분할이 예시를 위한 일 예로서 보아야 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실제 적용분야에서, 전술한 기능들이 요구사항에 따라 상이한 모듈들에 할당되어 구현될 수 있다 - 즉, 앞서 기술된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하기 위해 장치의 내부 구조가 상이한 기능 모듈들로 분할된다 -. 전술한 장치의 상세한 동작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참조될 수 있고, 상세들이 본원에서 기술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유의할 점은, 전술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기술하려고 의도되어 있다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되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책들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여전히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술된 기술적 해결책들에 대해 수정들을 할 수 있거나 그의 일부 또는 모든 기술적 특징들에 대해 등가의 대체들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Claims (247)

  1. 단말로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set up)하고, 상시 연결 모드(always connected mode)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 상기 상시 연결 모드는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 상기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처리 모듈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 제어 시그널링 전송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또는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전송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되기 전에, 상기 처리 모듈은:
    액세스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connected mode)가 상기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이 액세스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기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로부터, 상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 모드가 상기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 또는
    상기 처리 모듈이, 미리 설정된 구성 정보로부터, 상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 모드가 상기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 모드가 상기 상시 연결 모드이면,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처리 모듈이 제1 표시 메시지(indication message)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 상기 제1 표시 메시지는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수락하라고 요청할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상기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 상기 연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을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지를 포함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또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처리 모듈이 현재 임의의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상기 제1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를 유지하며,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또는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bearer)를 설정하라고 상기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상기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이,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상기 제1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처리 모듈이,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계속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불연속 수신 주기(discontinuous reception period)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계속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활성 시간(active time) 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7항 또는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정보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데 사용됨 -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instruction information)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고;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지시 정보 또는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이,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상기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상기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상기 처리 모듈이 상기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상기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정보는 상기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instruction message)를 수신하도록 -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임 -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7.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19.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0.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 정보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고,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는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자원의 조합임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3.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으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연결을 설정한 상기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상시 연결 모드에서 계속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전용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또는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상기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상기 송신 모듈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되는, 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이웃하는 기지국을 측정하고, 제1 문턱값보다 더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neighboring base station measurement report)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함 -; 또는
    상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함 -; 또는
    상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상기 제1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표시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 -,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다는 것을 알게 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디폴트 구성 정보(default configuration information)를 수신하도록 -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각각의 제2 기지국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구성 정보임 -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는 서비스 유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또는 베어러 유형과 연관되는,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및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재구성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디폴트 구성 정보를 수정하며, 수정된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상기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frequency layer)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도록 - 상기 기지국들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master second base station) 및 보조 제2 기지국(secondary second base station)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상기 제1 문턱값 미만이면,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상기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상기 제2 문턱값 미만이면,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 및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상기 제2 문턱값 또는 상기 제3 문턱값 초과이면,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41. 제37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ing)를 수행할지에 관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할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4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도록 - 상기 기지국들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또는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미만이면,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제2 문턱값 미만이면,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2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2 문턱값 초과이면,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3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 및/또는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마스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보조 제2 기지국 및/또는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보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48.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획득된 제1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3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생략(skip)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49. 제44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획득된 제2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제2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현재 수행하는 상기 제1 기지국이며,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인,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지시하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장치.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은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는, 장치.
  54.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거나,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상기 타깃 제1 기지국 둘 다와 연결 관계들을 갖는, 장치.
  55. 제50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상기 수신 모듈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기지국들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은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을 포함하는,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 및 상기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의 측정 결과들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고;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상기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이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할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의 상기 측정 결과들을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58.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도록 -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59.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 상기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은 상기 핸드오버 명령이 수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임 -;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핸드오버 완료 표시를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제2 기지국을 통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6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 상기 제1 기지국들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함 -;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고 -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 및 후보 제2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제2 기지국들은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제2 기지국들임 -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 모듈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63. 제62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후에, 상기 송신 모듈은: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또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을 통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6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 상기 제1 기지국들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함 -;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고 -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며 -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 상기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은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임 -;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베어러 재구성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베어러 재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상기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상기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과 제1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상기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알고리즘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security index) 및 상기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보안 인덱스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상기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보안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며;
    상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상기 중간 키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 키 및/또는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1 보안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그리고/또는 상기 제2 보안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71.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안 메커니즘과 상기 제2 보안 메커니즘은 서로 연관되어 있고;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상기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보안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 및 동적 카운트(dynamic count)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며;
    상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고;
    상기 중간 키 및 상기 동적 카운트에 따라 연관된 중간 키를 획득하며;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상기 연관된 중간 키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 키 및/또는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72.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제1 기지국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 상기 상시 연결 모드는 상기 단말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및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고 - 상기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기지국.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된다는 것은:
    상기 제1 기지국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한다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
  74. 제72항 또는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송신 모듈이 제어 시그널링만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만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또는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만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
  75.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의 상기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되기 전에, 상기 송신 모듈은:
    전용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 상기 전용 메시지는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표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라고 요청하는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상기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을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지를 결정하도록; 또는
    상기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는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에 따라,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후에,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연결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 상기 연결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전용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 상기 전용 메시지는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또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기지국.
  77. 제72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어떤 서비스 요청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단말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가 수신되면, 상기 송신 모듈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베어러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어떤 서비스 요청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에 대한 불연속 수신 주기의 활성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주기를 구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고 -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인, 기지국.
  81.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고 -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고 -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베어러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임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83. 제80항 또는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수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임 - 구성되는, 기지국.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제2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85. 제81항 내지 제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상기 고유 프리앰블 또는 상기 고유 프리앰블과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상기 조합을 상기 단말에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86.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의 상기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87.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88. 제8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보고되는 측정 보고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
  89.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수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를 수신하도록 -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음 -;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음 -;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상기 단말의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90.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91. 제8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측정 보고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이, 응답 메시지 -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 - 에 따라,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다는 것을 알게 되도록,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92.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디폴트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 및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송신하도록 -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는 서비스 유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QoS), 또는 베어러 유형과 연관되고,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각각의 제2 기지국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구성 정보임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93. 제9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94.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95. 제9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
  96. 제9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추가로 포함하는, 기지국.
  97.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98. 제97항에 있어서,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99.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수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결과들을 수신하도록 - 상기 측정 결과들은 제1 측정 결과 및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 결과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말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제2 측정 결과는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말에 의해 획득됨 - 구성되는, 기지국.
  101.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과 제1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102.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며;
    상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중간 키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인덱스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기지국.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수신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104. 제10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안 메커니즘과 상기 제2 보안 메커니즘은 서로 연관되고,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송신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며;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고유 카운트 및 상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고;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중간 키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인덱스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기지국.
  105.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동적 카운트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106.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처리 모듈 - 상기 상시 연결 모드는 상기 단말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및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고 - 상기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기지국.
  107.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108.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기지국.
  109.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이웃하는 각각의 기지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말에 의해 획득됨 -;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110.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상기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111.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상기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현재 가지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113.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 또는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인, 기지국.
  114.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상기 핸드오버 지시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
  115.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상기 핸드오버 지시는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
  116. 제11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은: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하도록, 상기 송신 모듈이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상기 핸드오버 지시는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 구성된다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
  117.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제2 기지국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인, 기지국.
  118. 제10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는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 상기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에 따라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이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이웃하는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에 포함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의 확인응답을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119. 제1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기 전에, 상기 송신 모듈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획득하도록 - 상기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는 제2 기지국임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120. 제118항 또는 제1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에 따라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 상기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상기 제2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함 - 추가로 구성되는, 기지국.
  12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에 의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 상기 상시 연결 모드는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2. 제121항에 있어서, 단말에 의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3. 제121항 또는 제1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 제어 시그널링 전송만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만을 수행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 전송만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4. 제121항에 있어서, 단말에 의해,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액세스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기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5. 제12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액세스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연결 모드가 상기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로부터, 상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 모드가 상기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미리 설정된 구성 정보로부터, 상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 모드가 상기 상시 연결 모드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6. 제124항 또는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연결 모드가 상기 상시 연결 모드이면, 액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액세스 빈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7. 제121항 내지 제1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제1 표시 메시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메시지는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수락하라고 요청할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및
    상기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연결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을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지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128.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또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129. 제121항 내지 제1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0. 제121항 내지 제1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는:
    현재 임의의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상기 제1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또는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상기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상기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1. 제130항에 있어서,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상기 제1 기지국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는:
    현재 어떤 서비스 요구사항도 없으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계속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2.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는 불연속 수신 주기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계속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불연속 수신 주기의 활성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3. 제129항 또는 제131항 또는 제1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의 지시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정보는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데 사용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4.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지시 정보 또는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5. 제130항에 있어서,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상기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상기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현재 서비스 요구사항이 있으면, 상기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상기 제1 기지국에 요청하고,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정보는 상기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데 사용됨 -, 상기 베어러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6. 제13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임 -; 및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지시 정보 또는 상기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7. 제134항 또는 제13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지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8. 제13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9. 제133항 또는 제13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0. 제133항 또는 제13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에,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1. 제137항 또는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스케줄링 요청 메시지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2. 제141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 정보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고, 상기 고유 식별자 정보는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자원의 조합임 - 를 포함하는, 방법.
  143. 제137항 또는 제13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으면, 각각의 제2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연결을 설정한 상기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4.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상시 연결 모드에서 계속하여 동작하고,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전용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5. 제14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 또는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상향링크 동기화 타이머를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6.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7. 제1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8. 제14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및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되는, 방법.
  149. 제14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이웃하는 기지국을 측정하고, 제1 문턱값보다 더 높은 신호 품질을 갖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0. 제14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함 -; 또는
    상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함 -; 또는
    상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가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상기 제1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1. 제1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표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2. 제1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 -, 상기 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다는 것을 알게 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3.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디폴트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각각의 제2 기지국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구성 정보임 -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4. 제153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는 서비스 유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또는 베어러 유형과 연관되는, 방법.
  155. 제15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6. 제15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및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재구성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디폴트 구성 정보를 수정하며, 수정된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상기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7.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는 단계 - 상기 기지국들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8.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9. 제15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0. 제15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상기 제1 문턱값 미만이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상기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상기 제2 문턱값 미만이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 및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상기 제2 문턱값 또는 상기 제3 문턱값 초과이면,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을 완료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1. 제157항 내지 제1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2. 제161항에 있어서,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63.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는 단계 - 상기 기지국들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또는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64. 제16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미만이면,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1 문턱값 초과이지만 제2 문턱값 미만이면,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1 측정 결과를 획득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2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비스의 QoS가 제2 문턱값 초과이면,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관리를 완료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고, 제3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5. 제16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6. 제16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 및/또는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마스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7. 제16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의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보조 제2 기지국 및/또는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이웃하는 보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8. 제16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획득된 제1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을 생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9. 제167항 또는 제16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획득된 제2 측정 결과를 미리 설정된 조건과 비교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상기 제2 측정 결과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0.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현재 수행하는 상기 제1 기지국이며,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1. 제17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지시하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는, 방법.
  172. 제17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3. 제170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은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는, 방법.
  174. 제170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거나,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상기 타깃 제1 기지국 둘 다와 연결 관계들을 갖는, 방법.
  175. 제170항 내지 제1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기지국들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은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을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6. 제17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 및 상기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의 측정 결과들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7. 제17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이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할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의 상기 측정 결과들을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8. 제172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됨 - 를 포함하는, 방법.
  179. 제17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은 상기 핸드오버 명령이 수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며;
    상기 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는, 방법.
  180. 제17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핸드오버 완료 표시를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는 제2 기지국을 통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1.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기지국들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함 -;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및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 및 후보 제2 기지국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 제2 기지국들은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제2 기지국들임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2. 제18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를 포함함 -;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3. 제182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핸드오버 요청 확인응답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핸드오버 완료 표시 메시지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을 통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4.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1 기지국을 측정하고, 각각의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기지국들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이웃하는 제1 기지국들을 포함함 -;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도록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5. 제18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은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단말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며;
    상기 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의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는, 방법.
  186. 제18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베어러 재구성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베어러 재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상기 현재 서빙 제2 기지국으로 스위칭하는, 방법.
  187.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상기 제2 기지국들의 리스트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과 제1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상기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8. 제18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알고리즘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상기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보안 인덱스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방법.
  189. 제18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상기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보안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상기 중간 키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 키 및/또는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0. 제18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안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제2 보안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1. 제18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안 메커니즘과 상기 제2 보안 메커니즘은 서로 연관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 및 상기 보안 알고리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 및/또는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보안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 및 동적 카운트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중간 키 및 상기 동적 카운트에 따라 연관된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보안 알고리즘 정보 및 상기 연관된 중간 키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 키 및/또는 상기 무결성 보호 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2.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 상기 상시 연결 모드는 상기 단말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3. 제192항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4. 제192항 또는 제19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 시그널링만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하향링크 데이터만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하향링크 제어 시그널링만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5. 제192항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전용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전용 메시지는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표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라고 요청하는지에 관한 표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상기 제1 표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을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 -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는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에 따라,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후에,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연결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연결 설정 응답 메시지는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전용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전용 메시지는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지를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담고 있음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6. 제19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 3 또는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방법.
  197. 제192항 내지 제19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어떤 서비스 요청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과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대응하는 베어러를 설정하라고 요청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가 수신되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8. 제19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어떤 서비스 요청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에 대한 불연속 수신 주기의 활성 시간 내에서,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불연속 수신 주기를 구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9. 제19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0. 제19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은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인, 방법.
  201. 제19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수신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고 - 상기 제2 전용 시그널링은 통지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 메시지는 상기 베어러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베어러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2. 제20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2 지시 정보 또는 제3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을 선택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이며,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해서만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지시 정보임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3. 제200항 또는 제20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임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4. 제20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제2 기지국이 존재하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5. 제201항 내지 제2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고유 프리앰블 또는 고유 프리앰블과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조합을 사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자원을 획득하도록,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고유 프리앰블 또는 상기 고유 프리앰블과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상기 조합을 상기 단말에 할당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6. 제19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한 후에,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에의 상기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7. 제19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8. 제20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보고되는 측정 보고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9. 제19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음 -;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지 않음 -;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상기 단말의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0. 제20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으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1. 제20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 측정 보고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응답 메시지 -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 측정 보고에 따라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생성됨 - 에 따라,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획득했다는 것을 알게 되도록,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이웃하는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2. 제19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폴트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 및 각각의 제2 기지국으로 개별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는 서비스 유형,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QoS), 또는 베어러 유형과 연관되고,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는 상기 단말이 각각의 제2 기지국과의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구성 정보임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3. 제2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 및 상기 디폴트 구성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을 통해 초기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업데이트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4. 제19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각각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 또는 상기 제2 기지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지국들은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보조 제2 기지국을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5. 제2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16. 제21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1 문턱값;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만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2 문턱값; 또는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 및 상기 보조 제2 기지국 모두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제3 문턱값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7. 제2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지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8. 제217항에 있어서, 측정 보고를 수행할지에 관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또는 상기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측정 보고에 대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19. 제19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또는 보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주파수 계층의 측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0. 제21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측정 결과들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측정 결과들은 제1 측정 결과 및 제2 측정 결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 결과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측정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말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제2 측정 결과는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주파수 계층의 상기 측정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마스터 제2 기지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말에 의해 획득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1. 제19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과 제1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2. 제2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중간 키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인덱스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방법.
  223. 제22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4. 제2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안 메커니즘과 상기 제2 보안 메커니즘은 서로 연관되고,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단말과 제2 보안 메커니즘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보안 인덱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안 인덱스에 대응하는 보안 키를 획득하고, 상기 보안 키에 따른 계산을 통해 대응하는 루트 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고유 카운트 및 상기 루트 키를 사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중간 키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중간 키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인덱스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방법.
  225. 제22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응하는 동적 카운트 및 보안 알고리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6.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는 단계 - 상기 상시 연결 모드는 상기 단말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1 전용 시그널링을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전용 시그널링은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리스트 정보는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7. 제22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되는 타깃 제1 기지국임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8. 제22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지 않도록,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의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생략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29. 제22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상기 측정 결과는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이웃하는 각각의 기지국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말에 의해 획득됨 -; 및
    각각의 이웃하는 제1 기지국의 상기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30. 제22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31. 제22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현재 가지는 각각의 제2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32. 제23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33. 제23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 또는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에 연결되고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갖는 제2 기지국인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34. 제23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의 제어 하에서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지시는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35. 제23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지시는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36. 제23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제2 기지국이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이 상기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하도록, 상기 핸드오버 지시를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들을 현재 제공하는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핸드오버 지시는 상기 단말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하여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37. 제22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제2 기지국 지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현재 서빙 제2 기지국과의 데이터 전송을 계속 수행하라고 상기 단말에 지시하는 지시 정보인, 방법.
  238. 제22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는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에 따라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이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이웃하는 제1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에 포함되고 공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기지국에 관한 정보의 확인응답을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39. 제238항에 있어서, 제2 기지국 제어 협상 메시지를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2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 및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는 제2 기지국임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40. 제238항 또는 제23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재 서빙 제1 기지국이 상기 단말에 의해 송신되는 제1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제2 기지국 협상 응답 메시지에 따라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타깃 제1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상기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공동 제어 조건을 충족시키는 상기 제2 기지국에 관한 상기 정보를 포함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41. 단말,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며 - 상기 상시 연결 모드는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서비스 설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공개 보안 메시지의 생성,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베어러 설정, 수정 및 해제의 관리; 또는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스케줄링 및 전송 중 임의의 것 또는 그 조합을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242. 제24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243. 제2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제72항 내지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제1 기지국을 포함하는, 시스템.
  244. 제14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동성 관리 엔티티는 상기 제1 기지국에 연결되며, 상기 통신 시스템과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선택을 위해 구성되거나;
    상기 통신 시스템과 2G 또는 3G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의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45. 단말,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연결을 설정하고, 상시 연결 모드에 유지되며 - 상기 상시 연결 모드는 상기 제1 기지국에의 상기 연결을 상시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 -;
    상기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 및/또는 상기 제2 기지국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서비스 설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공개 보안 메시지의 생성,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베어러 설정, 수정 및 해제의 관리; 또는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스케줄링 및 전송; 또는
    상기 통신 시스템과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의 선택; 또는
    상기 통신 시스템과 2G 또는 3G 통신 시스템 간의 핸드오버 동안의 서빙 GPRS 지원 노드의 선택 중 임의의 것 또는 그 조합을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246. 제24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247. 제2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제72항 내지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제1 기지국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77021294A 2014-12-31 2014-12-31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05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96046 WO2016106740A1 (zh) 2014-12-31 2014-12-31 无线通信方法、装置和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174A true KR20170102174A (ko) 2017-09-07
KR102005166B1 KR102005166B1 (ko) 2019-07-29

Family

ID=5628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294A KR102005166B1 (ko) 2014-12-31 2014-12-31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477611B2 (ko)
EP (1) EP3229442B1 (ko)
JP (1) JP6526203B2 (ko)
KR (1) KR102005166B1 (ko)
CN (2) CN111432443A (ko)
WO (1) WO2016106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550A (ko) * 2015-10-23 2018-06-26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거주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28378A (ko) * 2016-07-13 2019-03-1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장치, 접속망 엔티티 및 단말 장비
EP3522641B1 (en) * 2016-09-29 2022-05-11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WO2018073485A1 (en) * 2016-10-21 2018-04-26 Nokia Technologies Oy Improving handover efficiency
WO2018223978A1 (en) * 2017-06-09 2018-1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
CN115515257A (zh) * 2017-06-15 2022-12-23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多连接性模式中的用户设备移动性的技术和装置
CN108966220B (zh) 2017-07-28 2019-07-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密钥推演的方法及网络设备
CN110351786B (zh) * 2018-04-03 2022-06-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配置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JP6486568B1 (ja) * 2018-04-27 2019-03-20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無線遠隔監視システム
US20200107337A1 (en) * 2018-09-28 2020-04-02 Mediatek Inc. Measurement for Layer-1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L1-RSRP)
WO2020121455A1 (ja) * 2018-12-12 2020-06-18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TWI704819B (zh) * 2019-10-05 2020-09-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維持傳輸服務連續性的方法及服務中心
US11363582B2 (en) * 2019-12-20 2022-06-14 Qualcomm Incorporated Key provisioning for broadcast control channel protection in a wireless network
KR20220050364A (ko) 2020-10-16 2022-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탈피 대규모 mimo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5314959A (zh) * 2021-05-08 2022-11-08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电子终端的网络模式设置方法及设备
US20230030498A1 (en) * 2021-07-15 2023-02-02 Apple Inc. Controlling secondary cell group addition and rele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0748A (ko) * 2011-01-10 201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적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셀의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US20140045494A1 (en) * 2012-08-07 2014-02-13 Nokia Siemens Networks Oy Control Mechanism for Autonomous Mobility of Terminal Device
WO2014120078A1 (en) * 2013-01-30 2014-08-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curity activation for dual conne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92555B (zh) * 2003-04-25 2017-01-04 高通股份有限公司 获得信号捕获辅助数据的系统和方法
US20100137001A1 (en) * 2008-12-01 2010-06-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terminal position
KR20140043484A (ko) * 2011-08-01 2014-04-09 인텔 코포레이션 네트워크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3033909A1 (en) * 2011-09-09 2013-03-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re-establishment procedure in a heterogeneous network
CN107105460A (zh) * 2011-09-12 2017-08-29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连接模式移动性的方法和设备
EP2764641B1 (en) * 2011-10-03 2019-12-18 Intel Corporation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mechanisms
EP2807860A4 (en) 2012-01-23 2016-04-13 Intel Corp NETWORK-SUPPORTED USER LINK AND RELEASE PROCESS FOR INTEGRATED HETEROGENIC MULTI-RAT NETWORKS
CN103581839B (zh) * 2012-07-19 2017-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宽带集群业务的实现方法和系统
EP3340680B1 (en) * 2012-08-02 2023-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od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face between base stations
EP2947936B1 (en) * 2013-01-15 2018-02-28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60037405A1 (en) 2013-04-05 2016-0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user equipment managing connection with small cell in heterogeneous cell environment
US9756532B2 (en) 2013-09-20 2017-09-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arrier aggregation sCell selection for LTE-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0748A (ko) * 2011-01-10 201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적 셀 구조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셀의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US20140045494A1 (en) * 2012-08-07 2014-02-13 Nokia Siemens Networks Oy Control Mechanism for Autonomous Mobility of Terminal Device
WO2014120078A1 (en) * 2013-01-30 2014-08-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curity activation for dual conne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32443A (zh) 2020-07-17
US10477611B2 (en) 2019-11-12
EP3229442B1 (en) 2021-03-17
WO2016106740A1 (zh) 2016-07-07
JP6526203B2 (ja) 2019-06-05
KR102005166B1 (ko) 2019-07-29
EP3229442A4 (en) 2017-10-11
US20170311374A1 (en) 2017-10-26
CN106576107A (zh) 2017-04-19
JP2018504834A (ja) 2018-02-15
US20200068645A1 (en) 2020-02-27
CN106576107B (zh) 2020-02-14
EP3229442A1 (en)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166B1 (ko)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3562182B1 (en) Communication path switching method
US112240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user plane path re-establishment and communications system
RU266807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птимизации сигнализации
RU2710665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бильностью,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ES2948665T3 (es) Cambio entre operaciones basadas en red y basadas en relés para llamadas de voz de misión crítica
KR102200982B1 (ko) Ue의 상태 전환 방법 및 장치
CN109151929B (zh) 网络系统的切换处理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
CN110149665A (zh) 一种网元的选择方法及装置
CN109819485B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10720238A (zh) 用于实施群组切换的方法和装置
KR1022327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184249B (zh) 回程链路的信息传输方法及系统、代理设备、接入设备
EP3468270B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coverage enhancement (ce) function
CN108370498B (zh) 传输方案的确定方法、装置和设备
WO2016177175A1 (zh) 一种终端标识分配方法、装置及系统
TW201836390A (zh) 無線電信設備和方法
EP3506677B1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bearer
CN107889180B (zh) 一种异系统小区重选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KR20210109029A (ko) 스케줄링 단말의 확정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CN111901899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2014000810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RU272241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птимизации сигнализ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