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364A - 셀-탈피 대규모 mimo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셀-탈피 대규모 mimo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364A
KR20220050364A KR1020200133959A KR20200133959A KR20220050364A KR 20220050364 A KR20220050364 A KR 20220050364A KR 1020200133959 A KR1020200133959 A KR 1020200133959A KR 20200133959 A KR20200133959 A KR 20200133959A KR 20220050364 A KR20220050364 A KR 20220050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cale antenna
terminals
antenna transmission
transmiss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현
홍승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33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0364A/ko
Priority to US17/461,633 priority patent/US11764839B2/en
Publication of KR20220050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7/061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phase diversity (e.g. phase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imultaneous multiple data streams, e.g. cooperative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cFmMIMO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단말들 각각에게 상태 보고를 요청하고, 상기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 중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에 대해 기본 전송 모드로부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 전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과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AN에게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 간의 채널 품질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적용할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상기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게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탈피 대규모 MIMO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Cell-free massive MIMO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빔포밍(hybrid beamforming)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셀-탈피 대규모 MIMO(cell-free massive MIMO, cFmMIMO)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 이후의 진화된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종래 주 관심사였던 높은 전송 속도뿐 아니라, 보다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 요구사항들을 만족해야 한다. ITU-R에서는 5G 이동통신의 공식 명칭인 IMT-2020을 위한 핵심 성능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 KPI)들과 요구사항들을 정의하였는데, 이는 높은 전송 속도(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짧은 전송 지연시간(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및 대규모 단말 연결성(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으로 요약된다. 3GPP에서는 IMT-2020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기반의 5G 표준 규격을 개발하고 있다. 3GPP의 정의에 따르면, 상기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이라 함은 기존 3GPP 무선 접속 기술과 역방향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갖지 않는 무선 접속 기술로써, 이러한 무선 접속 기술을 채택한 LTE 이후의 새로운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본 명세서에서는 NR(new radio)이라 부르기로 한다.
NR이 종래 3GPP 시스템인 WCDMA나 LTE와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전송 용량 증대를 위해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을 활용한다는 점이다. 3GPP에서는 1GHz 이하 대역부터 100GHz 대역까지를 NR 후보 대역으로 고려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대역에서는 전파의 회절 특성과 반사 특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경로 손실 및 반사 손실과 같은 전파 손실이 저주파 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NR 시스템이 고주파 대역에서 동작하게 될 경우에는 기존 저주파 대역에 비해 셀 커버리지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주파 대역에서는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한 빔포밍을 통해 셀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빔포밍을 구현하는 방식에 있어 아날로그 빔포밍은 아날로그 소자인 위상 천이기만으로 신호를 조향함으로써 안테나 별로 RF 체인이 요구되지 않아 비용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해상도 구현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디지털 빔포밍은 디지털 신호 처리를 통해 자유로이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조절하여 신호를 조향함으로써 정확도가 높지만, 안테나 별 RF 체인을 요구하기 때문에 비용 및 복잡도 문제가 있다. 따라서, 두 가지 빔포밍 방법을 함께 사용하여 장점을 적절하게 얻을 수 있는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술은 향후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폭발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바일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한 대용량 모바일 네트워크 구조로써 셀을 소형화하고 밀집도를 증가시킨 초고밀집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UDN)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ITU 및 3GPP에서는 고밀집 도심 환경을 5G 시스템 평가 시나리오에 고려하고 있으며, 명시적이지는 않지만 RAN 규격에서 UDN 환경을 고려한 기술 요소를 곳곳에 반영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UDN은 셀을 소형화하고 밀집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기지국 등의 전송 노드를 단말에 가능한한 근접하게 위치시켜 링크 품질 개선을 통해 높은 전송률이 가능한 반면에, 셀 간 거리가 짧아져 단말은 기존 시스템 대비 많은 셀에 근접 위치하게 되어 심각한 셀 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셀의 밀집도를 증가시켜도 어느 한계 이상의 시스템 성능 향상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간섭 관리 및 협력 전송은 UDN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이슈라고 할 수 있다.
UDN 환경에서는 기존 셀룰러 시스템에서 제안되어왔던 간섭 관리 및 협력 전송 기법의 단순 확장 적용으로 간섭 문제가 충분히 해결될 수 없기 때문에 UDN 구조에 보다 적합한 기술들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새로운 간섭 관리 및 협력 전송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cell-free massive MIMO, cFmMIMO) 전송 기술을 UDN 환경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액세스 노드(access node, AN)들을 제어하여 기본 전송 모드와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를 상호 전환하면서 동작하도록 하는 중앙 제어기(centralized processor, CP)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동작 방법이 적용되는 CP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CP와 상기 AN들이 포함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cFmMIMO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CP의 동작 방법으로서, 복수의 단말들 각각에게 상태 보고를 요청하고, 상기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 중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에 대해 기본 전송 모드로부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 전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과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AN에게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 간의 채널 품질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적용할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상기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게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전송 모드는 단일 AN이 단일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룰러(cellular) 전송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참여한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반 협력 전송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을 위해 수행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은 상기 CP에게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 단말(들) 및/또는 나쁜 채널 상태를 가진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CP가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에 가상 셀 ID(virtual cell ID)를 상위 계층 파라미터로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 간의 채널 품질들은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이 전송하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의해서 측정되며, 상기 SRS의 시퀀스는 상기 가상 셀 ID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채널 품질들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의 지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수행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은 2 단계(2-stage)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통해 전송되거나, 하나의 joint DCI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C-RAN(cloud radio access network)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cFmMIMO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CP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복수의 단말들 각각에게 상태 보고를 요청하고, 상기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 중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에 대해 기본 전송 모드로부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 전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과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노드(access node, AN)에게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 간의 채널 품질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적용할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상기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게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전송 모드는 단일 AN이 단일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룰러(cellular) 전송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참여한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반 협력 전송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을 위해 수행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은 상기 CP에게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 단말(들) 및/또는 나쁜 채널 상태를 가진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CP가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에 가상 셀 ID(virtual cell ID)를 상위 계층 파라미터로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 간의 채널 품질들은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이 전송하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의해서 측정되며, 상기 SRS의 시퀀스는 상기 가상 셀 ID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의 지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수행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은 2 단계(2-stage)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통해 전송되거나, 하나의 joint DCI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cFmMIMO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중앙 제어기(centralized processor, CP); 상기 CP에 연결된 복수의 액세스 노드(access node, AN)들; 및 복수의 단말들을 포함하고, 상기 CP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에게 상태 보고를 요청하여 상기 상태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 중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에 대해 기본 전송 모드로부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 전환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과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AN에게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 간의 채널 품질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적용할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상기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게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은 상기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게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본 전송 모드는 단일 AN이 단일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룰러(cellular) 전송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참여한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반 협력 전송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을 위해 수행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의 지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수행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은 2 단계(2-stage)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통해 전송되거나, 하나의 joint DCI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면 단말들의 상태에 따라서 기본 전송 모드와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가 상호 전환되면서 단말들에게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인 LTE/NR 시스템에도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이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전송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태가 설정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연산을 위한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절차에서 아날로그 빔의 결정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절차에서 디지털 프리코더의 설계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 단계 DCI로 구성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제어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joint DCI로 구성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제어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 전환 조건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 전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 전환과 채널 정보 보고의 주기성/비주기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사용하는 대규모 안테나 무선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LTE 혹은 5G NR 기반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 및 협력 전송을 위한 절차로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태 필요성 판단,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태 설정, 빔 관리, 채널 정보 획득, 및 데이터 전송의 과정을 포괄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NR 기반의 이동 통신 시스템 및 UDN 환경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리 신호 및 채널은 그 목적이나 특징이 LTE/NR의 특정 물리 신호 및 채널과 유사한 경우 편의상 동일한 이름을 재사용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사용될 하향링크 채널 정보 획득용 신호를 LTE/NR에서 해당 신호를 지칭하는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라는 명칭으로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고려되는 UDN 환경과 무선 전송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전술된 바와 같이, UDN은 폭발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바일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셀을 소형화하고 밀집도를 증가시킨 네트워크 환경이다. 고도로 밀집시킨 셀들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기지국의 기능 분할과 중앙집중식 신호 처리 및 무선 자원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C-RAN)) 구조를 기본적인 UDN 무선 전송 구조로 고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 중앙 기지국 또는 중앙 제어기(centralized processor, CP)는 베이스 노드(base bode, BN)들이 중앙집중화 되어 하나의 사이트에 풀(pool) 형태를 이루고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CP는 높은 컴퓨팅 파워를 가진 범용 프로세서들 상에서 기존 셀 기지국의 완전한 기능을 모뎀 기능 분할(function splitting)을 통해 후술될 접속 노드(access node, AN)들과 수행할 수 있다. CP에서는 중앙 집중식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를 통해 UDN의 셀 간 간섭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빅데이터 처리도 가능하다.
용량 제한 패킷 기반 프론트홀(fronthaul, C1, C2, C3, ??)는 기존의 용량 제한 직교 프론트홀을 개선한 패킷 기반의 통계적 다중화가 가능한 프론트홀이다. 프론트홀은 CP에서부터 고밀도로 분산된 AN들로 대용량 트래픽을 비용 및 에너지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액세스 노드(access node, AN1, AN2, AN3, ??, ANM)들은 각각 1개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로 구성되며, 프론트홀 용량 부담을 줄이기 위한 모뎀 기능의 동적 분할을 지원할 수 있다. UDN에서는 고밀도로 분산 배치된 AN들 간의 협력 전송을 통해 간섭을 최소화하는 기능이 지원되며, 필요에 따라 동적인ON/OFF를 통해 에너지 효율적 네트워크 운영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고려하는 UDN 환경에서는, 광대역 사용이 가능하여 최근 5G에서도 각광받고 있는 밀리미터파 통신을 고려하여 밀리미터파 간섭 채널을 모델링하고 있으며, TDD 동작이 고려된다. TDD 동작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채널 가역성(channel reciprocity)을 가정할 수 있다.
1 Gbps 체감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1, UE2, UE3, ??, UEK)는 다수의 분산된 AN들을 통한 협력 전송을 통해 위치와 상관없이 일관된 사용자 QoE(quality of experience)를 제공받는 단말이다. UE는 광대역 주파수 대역폭을 통해 1 Gbps 이상의 전송 속도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하나의 기지국이 BN(들)과 AN(들)로 기능 분할된 형태이므로 AN은 기지국(gNB), RRH(remote radio head), 또는 일부 L1(layer 1) 기능을 포함한 RRH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CP와 UE에 근접하게 분산 배치된 다수의 AN들은 용량 제한 패킷 기반 프론트홀로 연결되며, AN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CP 및 프론트홀의 구성과 기능이 달라지기는 하나 최종적으로 AN의 안테나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주어진 UDN 무선 전송 구조에서 UE의 위치와 상관없이 일관된 사용자 QoE를 제공하기 위한 간섭 제어 및 협력 전송 방법으로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cFmMIMO) 전송 방법이 제안된다. 제안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제안되는 방법의 수행되기 이전의 디폴트(default) 동작 모드인 '기본 전송 모드'와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들은 아래와 같다.
기본 전송 모드
UDN을 구성하는 각 AN이 하나의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또는 셀처럼 동작하는 모드(즉, 셀룰러 전송 모드)이다. 이 경우, 전체 네트워크는 LTE 혹은 5G NR과 같은 셀룰러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전송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UE(211, 212, 213)는 각각 하나의 AN(201, 202, 203)과 연결(association)되어 데이터를 해당 AN으로부터 수신하게 되며, 데이터 전송 시 서로 가장 높은 신호 품질을 가지는 송수신 아날로그 빔 페어(pair)가 결정되며 채널 정보에 의해 최적의 디지털 프리코더가 설계된다. LTE나 NR의 동작에 따르면 간섭이 크지 않거나 채널 상태가 좋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큰 문제없이 동작하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cFmMIMO) 전송이 설정된 AN들과 UE들은 전체 데이터를 협력 전송하며, 이는 마치 하나의 셀에서 모든 AN들이 단일 기지국의 분산 안테나들처럼 동작하여 셀 내의 모든 UE들에게 서비스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여러 UE들 중 임의의 한 UE(310)에 대해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이 설정된 AN들과의 통신이 도시되어 있다. 설정된 모든 AN들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UE(310)를 중심으로 대규모 안테나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마치 셀 경계가 없는 것처럼 UE가 체감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이라 명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된 기본 전송 모드로부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 전환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가 제안된다. 이하의 설명들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과정에 필요한 초기 접속(initial access), 제어 채널 전송,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절차나 시그널링은 이미 수행되었음을 가정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미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의 UE를 가정하며, 이는 초기 접속 절차가 이미 이루어진 상태를 가정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UE는 임의의 어떤 방식을 통해 네트워크와 동기를 맞추었고 시스템 정보를 이미 획득하였다고 가정하고 이후의 전송 과정에 대해 단계 별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CP(410), AN(420), 및 UE(430)의 동작이 설명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4에서는 1개의 AN(420)과 1개의 UE(430)의 동작들이 설명되지만 실제 UDN 환경에서는 훨씬 더 많은 수의 AN들과 UE들이 존재할 수 있다.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절차는 크게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태 설정 과정,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연산 과정, 및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은 일반적인 통신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이 기존의 LTE/NR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 구성 방법과 다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고자 한다.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 설정
도 4를 참조하면, 초기 접속(S401)이 이루어진 UE들에 대해 네트워크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상태를 보고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S411), UE(430)는 자신의 상태(예컨대, 측정된 채널 상태)를 AN(420)를 거쳐 CP(410)에게 보고할 수 있다(S412). 보고된 내용에 따라 CP(410)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을 결정할 수 있고(S420), AN(420)과 UE(430)에게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를 위한 설정을 각각 지시할 수 있다(S431, S432). 이때, 상기 단계(S431)은 상기 CP(410)와 상기 AN(420) 간의 프론트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단계(S432)는 상기 AN(420)으로부터 상기 UE(430)으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단계(S432)는 PDCCH를 통해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432)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CP(410)가 AN(420) 또는 UE(430)에게 전송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를 위한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자는 CP(410)에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절차(SRS 전송 및 채널 품질 측정 보고) 수행에 대한 지시를 내포되어 있다.
셀룰러 시스템의 가장 큰 단점은 각 셀 별로 경계 영역이 존재하여, 굉장히 열악한 통신 품질을 가지는 UE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UDN과 같이 고밀집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며 여기에 셀 간 간섭이 증가하는 문제까지 더해져 통신 품질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고려하고 있는 밀리미터파 통신 환경에서는 전파 특성으로 인해 사람이나 사물이 통신 경로에 존재할 때 blockage가 발생하거나 아날로그 빔을 사용하는 시스템 특성상 UE의 이동에 따른 아날로그 빔 불일치 같은 문제도 발생하여 순간적으로 통신 품질이 열화되기도 한다. 따라서, 여러가지 상황에 따른 UE의 상태 보고는 매우 중요한 이슈이며, UE가 셀 경계에 있거나 상기 언급한 이유로 통신 링크가 단절되는 경우가 발생할 때 UE는 이를 CP로 보고할 수 있고 보고된 정보에 따라 CP에서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이 필요함을 인지할 수 있다. UE가 CP로 채널 상태를 보고하고 이에 근거하여 CP에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이 필요함을 판단하는 방법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방법 1) UE에서 CP로 지시자를 보내고 해당 지시자를 기초로CP가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채널 상태(채널 품질)을 측정한 UE가 채널 상태가 너무 좋지 않아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이 필요하다고 스스로 판단되는 경우,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채널 상태 보고시에 1 비트 정보를 CP에게 알려줄 수 있고, CP는 해당 지시자를 보고한 UE들을 대상으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방법 2) UE에서 AN 또는 CP로 채널 상태 정보(CSI)를 보고하면, AN 또는 CP가 해당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로부터 특정 지시가 없더라도, 특정 임계값(threshold) 이하의 CQI가 보고되거나 보내야하는 데이터 양에 비해 채널 품질이 좋지 않을 때, AN/CP에서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UE가 CP로 지시자를 전송하거나 CSI 보고를 전송하면, CP는 전체 네트워크 내 모든 UE들이 보고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CP는 아래와 같이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CP는 UE의 보고를 기반으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할 UE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즉, CP는 지시자를 전송한 UE(들)과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UE(들)을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관점에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이 필요한 UE들로 식별하고, 통신 시점에 따라 스케줄링 하듯이 적절한 비율에 따라 UE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즉, UE 그룹은 지시자를 전송한 UE들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UE들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UE의 그룹의 일부는 지시자를 전송한 UE(들)로 구성되고, UE 그룹의 나머지 일부는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UE(들)로 구성될 수 있다. CP는 설정된 UE 그룹을 구성하는 UE들에 연결(association)되어 있는 AN들과, 네트워크의 트래픽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 UE들에 대한 전송에 추가로 참여 가능 AN들을 포함하는 AN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태가 설정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UE 그룹을 구성하는 UE들의 수가 K, AN 그룹을 구성하는 AN들의 수가 M이다. 이 때, M과 K는 기대 성능에 따라 결정되지만 기본적으로 M≫K여야 한다. UDN은 AN들의 수가 UE들의 수보다 굉장히 많은 환경이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을 잘 만족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 상태에서, CP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가 설정된 AN들과 UE에게 가상 셀 식별자(virtual cell ID)를 상위 계층 파라미터(higher layer parameter)로서 설정할 수 있다. 가상 셀 식별자는 기존에 존재하는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 PCI)로 구분되는 기본적인 셀과 별도의 영역처럼 해당 AN들과 UE들을 동작하게 만들며, 후술될 빔 관리 및 채널 획득에 사용되는 CSI-RS/SRS 자원을 기존 셀에서 사용하는 CSI-RS/SRS 자원과 구분해줄 수 있다(즉, 기존 자원에서 재사용되지 않은 독립적인 시퀀스가 CSI-RS/SRS 자원으로 사용됨을 의미한다).
한편, 가상 셀 ID는 기존의 LTE/NR 시스템에서도 부여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구분 짓기 위하여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가상 셀 ID가 추가로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위 계층 파라미터로서 가상 셀 ID가 설정되고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지시하는 지시자가 설정되면, AN과 UE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가 설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연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태가 설정된 AN들과 UE들은 (1)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수행하고, (2) 최적의 아날로그 빔을 결정하고, (3) 디지털 프리코더 설계 및 전력 할당량을 계산해야 한다. 상기 절차의 수행 과정을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1)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 절차는 필수적이다.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 절차는 일반적으로 하향링크/상향링크 모두에서 정의가 가능하며, CSI-RS/SRS의 전송 및 측정을 통해서 빔 관리 및 채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이 때 필요한 CSI-RS/SRS 자원 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UE에게 설정될 수 있다. 자원 정보를 설정하기에 앞서 각 UE들이 가지고 있는 빔의 수, 동시에 최대 사용 가능한 빔의 수 및 안테나 포트(antenna port)들의 수 등을 UE 캐퍼빌리티(capability)로 보고 받으며, AN이 가지고 있는 빔의 수 등 AN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CP에서 빔 관리에 필요한 자원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상향링크 혹은 하향링크로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 절차가 정의되면 RRC로 설정된 자원 중 MAC-CE 혹은 DCI로 사용할 자원 정보를 활성화하고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한다.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단일 AN과 UE 사이에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이 필요한 기존 셀룰러 시스템과 달리 통신에 참여하는 모든 AN들과 UE들 간의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이 필요하다. 따라서, 아주 많은 수의 AN들로 인해 기존 셀룰러 시스템에서 선호하는 하향링크 프로세스보다는 상향링크 프로세스가 유리하며 선호된다.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자원 정보를 활성화하기 위해, 앞서 설명된 단계(S432)의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태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포함된 DCI에 범용 자원 중 활성화하는 자원 정보를 가리키는 지시자가 포함될 수 있다. 활성화되는 자원 정보(예컨대, SRS 자원, SRS 포트)를 해석하면 UE는 빔 관리에서 사용해야할 아날로그 빔 정보(동시에 사용할 빔의 수, 빔 관리 시 빔 전송 시간 등)를 파악할 수 있다. 자원 정보 설정시에 AN에서 가지고 있는 아날로그 빔의 수 등의 정보가 반영되어야 한다.
이 경우, AN과 UE에서 사용하는 빔은 원래 구현 이슈이기에 스스로 정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CP에서 AN과 UE에서 사용할 빔을 지정하거나 별도로 설계 및 지시가 가능하다. CP로부터 AN에 대한 지정, 설계 및 지시는 프론트홀 인터페이스에 기능을 추가 정의하는 것에 의해 가능할 수 있으며, CP로부터 UE에 대한 지정은 DCI에 TCI(transmission control indicator)를 포함시킬 수 있다. UE 빔에 대한 별도 설계 및 지시는 어려울 수 있으며, 여기서 지정은 기존의 초기 접속 절차나 제어 정보를 수신할 때 사용했던 빔에 대해 가능하다.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DCI는 기존의 빔 관리를 위한 DCI와 다르게 TCI 정보가 정의되어 CP에서 지정한 빔을 빔 관리에 이용하는 반면에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DCI에서는 오히려 별도의 TCI 정보를 설정하지 않는다는 점이 기존의 셀룰러 시스템의 운영과 차이점라 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연산을 위한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UE(430)에서 정해진 아날로그 빔으로 기준 신호(예컨대, SRS)를 송신하고(도 4의 S441), 각 AN들은 동시에 수신빔 스위핑(sweeping)을 수행하면서 빔 품질을 측정하여 프론트홀을 통해 CP(410)로 보고할 수 있다(도 4의 S442). 빔 품질 정보는 아날로그 빔이 사용된 기준신호의 수신 전력인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로 표현될 수 있다. 하나의 UE의 전송 빔에 대해 모든 AN들의 모든 빔들에 의한 빔 측정이 완료되면, 빔 측정 결과가 CP로 보고된다(S442). 모든 UE들에 대한 빔 품질 정보가 CP에서 집성되면 전체 네트워크의 채널 정보도 산출될 수 있다. CP는 이를 이용하여 각 AN에서 사용할 아날로그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CP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각 AN에서 사용할 디지털 프리코더도 설계할 수 있다. 다만, 하이브리드 빔포밍의 경우 각 AN에서 사용할 디지털 프리코더는 각 AN에서 설계할 수도 있다.
(2) 아날로그 빔 선택
CP는 AN으로부터 보고되는 빔 별 RSRP 정보에 기초하여 각 AN이 사용할 아날로그 빔을 결정할 수 있다(S45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절차에서 아날로그 빔의 결정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아날로그 빔을 결정하는 방법은 후술될 알고리즘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AN들로부터 CP로 AN의 인덱스, AN의 빔 인덱스, UE의 인덱스, 및 그에 해당되는 RSRP 값이 입력되면, CP로부터 각 AN이 사용할 빔 인덱스를 출력하는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을 선택하는 알고리즘 예시
(시스템 가정)
- M개의 AN들이 각각 B개의 후보 아날로그 빔들 중 L개의 아날로그 빔을 선택하며, K개의 UE들이 존재하고(K>L), AN의 하나의 아날로그 빔과 하나의 UE가 연결되며, m번째 AN의 b번째 아날로그 빔이 k번째 UE와 연결됨이 (m, b, k)로 표현되고, 서로 다른 UE가 하나의 AN에 연결될 경우 각각 AN의 서로 다른 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파라미터 설명)
- S는 선택한 AN과 AN의 아날로그 빔 및 UE (m, b, k)의 집합을 표현하며, A는 사용 가능한 아날로그 빔 (m, b)의 집합을 표현하며, RSRPm,b,k: m번째 AN의 b번째 아날로그 빔에 의한 k번째 UE의 RSRP 값을 표현한다.
(알고리즘 설명)
시스템에서 AN의 수(M), AN의 후보 아날로그 빔 수(B), 각 AN이 선택해야하는 아날로그 빔 수(L), UE의 수(K)가 주어져 있고, CP에서 RSRP 값들이 수신되면 알고리즘은 매 loop마다 RSRP 합 값이 최소인 UE를 찾고(Step 3) 해당 UE의 RSRP 합 값이 최대가 되는 AN과 아날로그 빔을 찾을 수 있다(Step 4). 이 때 찾은 AN과 아날로그 빔 및 UE 조합을 저장하고(Step 5), 선택 가능한 아날로그 빔 조합에서 해당 AN과 아날로그 빔 조합은 배제한다(Step 6). 각 AN마다 찾아진 아날로그 빔의 수가 L개가 될 때까지 아날로그 빔들이 결정되며, 어떤 AN의 아날로그 빔의 수가 L개가 되면 그 AN은 다음 loop에서 아날로그 빔을 찾는 대상에서 제외한다(Step 7-10). 네트워크에서 모두 M X L개의 아날로그 빔을 찾을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모든 AN에 대해서 사용할 아날로그 빔을 결정한다.
(3) 디지털 프리코더 설계 및 전력 할당량 계산
아날로그 빔이 결정되고 난 뒤에는 아날로그 빔포밍이 적용된 채널에 대해서 CP는 최적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디지털 프리코더를 설계하고 전력 할당량을 계산해야 한다. 일반적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에서는 잘 알려진 maximum ratio transmission (MRT) 방식이나 zero-forcing (ZF) 방식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Multicell MU-MIMO, C-RAN 시스템 등에서 합 주파수 효율을 최대화하는 방식인 PCA approach 기반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절차에서 디지털 프리코더의 설계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에서 예시된 알고리즘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전처리(preprocessing)가 필요하지만,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과정의 결과로 얻어진 디지털 프리코더와 전력 할당값이 각 AN로 전달된다(도 4의 S461). CP는 각 AN으로 보내는 데이터, 디지털 프리코더에 대한 정보, 및 전력 할당값이 포함된 신호를 프론트홀을 통해서 AN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프리코더 및 전력값의 적용에 추가적으로, AN은 앞선 단계에서 결정된 아날로그 빔을 적용하여 UE(430)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462). 한편, 프론트홀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설명한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 아날로그 빔 선택, 디지털 프리코더 설계 및 전력 할당량 계산 절차가 한꺼번에 CP에서 수행되며, 실제 데이터 전송 절차가 수행될 때에는 CP에서 각 AN으로 각 AN이 사용할 빔 인덱스와 압축된 데이터 신호가 동시에 전달된다고 볼 수 있다.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제어 정보 구성
상기 설명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절차를 수행할 때,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을 지시하는 DCI와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DCI가 필요하다. 이 때,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을 지시하기 위한 DCI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정보로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태 지시자를 포함하며,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에 필요한 SRS 자원 정보, 빔 지시 정보(TCI)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 전송을 지시하기 위한 DCI는 PDSCH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상기 항목들은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특정 정보이며, 이 외에 통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LTE/NR에서 정의하고 있는 DCI의 구성 정보들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 두 DCI를 구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방식 1) 2단계(2-stage) DCI를 구성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 단계 DCI로 구성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제어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데이터 전송에 앞서 수행되는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DCI(제 1 DCI(1st stage DCI))를 먼저 구성하고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 절차가 수행된 이후의 시점에서 PDSCH 스케줄링을 위한 DCI (제 2 DCI(2nd stage DCI))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2 DCI는 제 1 DCI와 연계되어 설정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 단계 DCI로 구성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제어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방식 2) Joint DCI로 구성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joint DCI로 구성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제어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과정에서 빔 관리 및 채널 정보 획득 절차와 데이터 전송 절차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정보가 서로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DCI를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자원 효율적인 절차 수행이 가능하다.
제어 정보의 전송은 기본적으로 해당 UE가 초기 접속하고 상태 보고를 했던 AN을 기준으로 기존에 사용했던 송수신 아날로그 빔을 통해 이루어진다. 다만, 필요에 따라 다른 AN, 다른 아날로그 빔, 또는 다중 AN들로부터의 제어 정보 전송도 고려해볼 수 있다.
LTE/NR은 빔 관리 절차와 채널 정보 획득 절차가 별도로 수행되며 각각의 프로세스가 독립적인 DCI로 제어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빔 관리 절차 및 채널 정보 획득 절차가 동시에 수행되며 하나의 DCI로 같이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데이터 전송까지의 절차를 고려했을 때, 하나의 DCI로 동시에 지시가 가능한 제어 정보의 구성까지도 제안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의 LTE/NR의 제어 정보의 구성으로는 동작이 불가능한 절차라고 할 수 있다.
전송 모드 전환 절차
앞서 기본 전송 모드에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은 설명되었으나, 이후 어떤 AN과 UE들은 기본 전송 모드로 회귀하고 또 다른 AN과 UE들이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 새롭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각 AN과 UE의 전송 모드 전환 절차가 필요하다. 즉,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 모든 데이터를 수신한 UE는 다시 기본 전송 모드로 돌아가야 할 것이고 이에 따라 협력 전송에 참여하는 AN들 또한 달라질 것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전송 모드 전환 조건 및 절차 등이 규정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전송 모드 전환 조건 및 절차가 설명된다. 다만,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내에 다수의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설정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태 설정을 가정하며 다수의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태의 경우에 대해서는 각각의 전송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전송 모드 전환 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태를 설정할 때와 마찬가지로 먼저 CP에서 UE의 전송 모드를 결정하고 그에 맞춰 AN의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 전환 조건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UE의 전송 모드 전환은 데이터 요구량(데이터 트래픽)과 채널 상태 두가지 조건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요구량이 높고 낮거나, 채널 상태가 좋고 나쁨은 모두 특정 데이터 요구량 값 및 채널 상태 값과 비교해서 판단되며, 해당 특정 값들은 통신 환경과 상황에 따라 구현적으로 결정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 전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4와 유사하게, CP(410), AN(420), 및 UE(430)의 동작이 설명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12에서는 1개의 AN(420)과 1개의 UE(430)의 동작들이 설명되지만 실제 UDN 환경에서는 훨씬 더 많은 수의 AN들과 UE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CP(410)는 어떤 시점에서 UE(430)에게 채널 상태 보고를 요청하고(S1211), UE(430)는 AN(420)을 통해 CP(410)에게 CSI를 보고할 수 있다(S1212). 보고 받은 채널 정보와 데이터 요구량 정보를 기반으로 CP(410)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새롭게 수신할 UE, 기본 전송 모드로 회귀될 UE, 그리고 전송 모드를 유지할 UE들을 각각 판단하여 설정할 수 있다(S1220). 또한, 결정 결과에 따라 CP(410)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할 AN과 기본 전송을 수행할 AN들에게 설정을 지시할 수 있다(S1231). UE로의 전송 모드 설정(S1232)은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태 설정과 그 방법이 같다(즉, PDCCH 또는 RRC 시그널링). 기본 전송 모드로 회귀하는 UE들에게는 별도의 지시자를 주지 않음으로써 설정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모드 전환과 채널 정보 보고의 주기성/비주기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송 모드 전환은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반영속적 동작은 비주기적 동작과 유사하므로 생략)으로 동작할 수 있다.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이 UE의 채널 정보 보고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채널 정보 보고와 전송 모드 전환 동작 사이에 시간적 연관성을 가지며, 그 관계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주기적 채널 정보 보고
Figure pat00001
주기적 전송 모드 전환
2) 주기적 채널 정보 보고
Figure pat00002
비주기적 전송 모드 전환
3) 비주기적 채널 정보 보고
Figure pat00003
비주기적 전송 모드 전환
먼저, 경우 1)은 채널 정보 보고가 주기적으로 수행될 때, 그에 따라 전송 모드 전환 또한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으며, 경우 2)는 전송 모드 전환이 비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경우 3)과 같이 DCI에 의해 비주기적인 채널 정보 보고가 수행되면 이에 따라 비주기적인 전송 모드 전환이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주기적인 전송 모드 전환은 주기적인 채널 정보 보고 이후에 전송 모드 전환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송 모드 전환 주기 등을 따로 규정할 필요는 없으며 모드 전환 절차만 있으면 되고, 비주기적인 전송 모드 전환은 특정 시간이나 주기를 정하지 않고 네트워크가 판단 하에 트리거한다. 단, 전송 모드 전환이 채널 정보 보고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비주기적인 채널 정보 보고에 의해 주기적인 전송 모드 전환은 수행될 수 없음을 유의한다.
명시적인 CP가 없는 셀룰러 시스템에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상기 설명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방법과 그 수행 과정에서 CP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다. UDN이 필요한 어떤 환경에서 네트워크를 UDN C-RAN 구조로 특정하여 구현한다면, CP는 구현 가능한 요소이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다. 하지만, LTE/NR과 같은 기존의 3GPP 셀룰러 시스템에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CP를 구현적으로 처리하고 CoMP의 X2 인터페이스처럼 필요한 셀 간 인터페이스 규격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명시적인 CP가 없는 셀룰러 시스템에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다루고자 하며, 이는 크게 하나의 기지국이 CP 역할을 하여 다른 기지국과 협력을 하는 형태와 하나의 기지국 내에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는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참고로, 두가지 구현 형태 모두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수행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 구성은 앞서 설명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제어 정보 구성]를 따를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이 CP 역할을 하여 다른 기지국과 협력을 하는 경우, 여러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는 상위 기지국이 CP 역할을 수행하여 하위에 있는 스몰 셀들에 대해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절차는 앞서 설명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수행 과정과 동일하다. 그러나, 같은 수준의 여러 셀들이 명시적인 CP 없이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른 절차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기지국들 간에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 분산적인 형태로 협력 전송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별도의 구체적인 방법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의 범위 밖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다루지 않기로 한다.
하나의 기지국 내에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하나의 기지국에 연결된 여러 개의 TRP들이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gNB를 CP로 TRP를 AN으로 치환하면 어렵지 않게 앞서 설명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절차들이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기지국간 협력 전송 방법들은 현실적인 조건에서 구현이 어렵고 이론적인 성능 이득 또한 보장되지 않기에, 이 방식은 현재의 LTE/NR 시스템이 점점 하나의 기지국 내의 TRP들에 대해 부담이 적은 협력 전송 방법을 도입하려고 하는 추세와도 부합된다고 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4에서 예시되는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노드(예컨대, CP, AN, 또는 단말)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1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10), 메모리(14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1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14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450), 저장 장치(14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14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4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0)는 메모리(1420) 및 저장 장치(14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420) 및 저장 장치(14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 램,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cell-free massive MIMO, cFmMIMO)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중앙 제어기(centralized processor, CP)의 동작 방법으로,
    복수의 단말들 각각에게 상태 보고를 요청하고, 상기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 중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에 대해 기본 전송 모드로부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 전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과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노드(access node, AN)에게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 간의 채널 품질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적용할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상기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게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전송 모드는 단일 AN이 단일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룰러(cellular) 전송 모드인,
    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참여한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반 협력 전송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을 위해 수행되는 모드인,
    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은 상기 CP에게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 단말(들) 및/또는 나쁜 채널 상태를 가진 단말(들)을 포함하는,
    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CP가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에 가상 셀 ID(virtual cell ID)를 상위 계층 파라미터로서 설정하는,
    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 간의 채널 품질들은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이 전송하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의해서 측정되며, 상기 SRS의 시퀀스는 상기 가상 셀 ID에 의해서 생성되는,
    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들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로 측정되는,
    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의 지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수행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은 2 단계(2-stage)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통해 전송되거나, 하나의 joint DCI로 전송되는,
    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C-RAN(cloud radio access network) 구조를 가지는,
    중앙 제어기의 동작 방법.
  10.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cell-free massive MIMO, cFmMIMO)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중앙 제어기(centralized processor, CP)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가:
    복수의 단말들 각각에게 상태 보고를 요청하고, 상기 상태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 중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에 대해 기본 전송 모드로부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 전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과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노드(access node, AN)에게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 간의 채널 품질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적용할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상기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게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중앙 제어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전송 모드는 단일 AN이 단일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룰러(cellular) 전송 모드인,
    중앙 제어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참여한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반 협력 전송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을 위해 수행되는 모드인,
    중앙 제어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은 상기 CP에게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 단말(들) 및/또는 나쁜 채널 상태를 가진 단말(들)을 포함하는,
    중앙 제어기.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CP가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에 가상 셀 ID(virtual cell ID)를 상위 계층 파라미터로서 설정하는,
    중앙 제어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 간의 채널 품질들은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이 전송하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의해서 측정되며, 상기 SRS의 시퀀스는 상기 가상 셀 ID에 의해서 생성되는,
    중앙 제어기.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의 지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수행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은 2 단계(2-stage)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통해 전송되거나, 하나의 joint DCI로 전송되는,
    중앙 제어기.
  17.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cell-free massive MIMO, cFmMIMO)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중앙 제어기(centralized processor, CP);
    상기 CP에 연결된 복수의 액세스 노드(access node, AN)들; 및
    복수의 단말들을 포함하고,
    상기 CP는 상기 복수의 단말들 각각에게 상태 보고를 요청하여 상기 상태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 중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에 대해 기본 전송 모드로부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로 전환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과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한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AN에게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을 지시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 간의 채널 품질들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적용할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결정하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상기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게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은 상기 아날로그 빔 및/또는 디지털 프리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에게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전송 모드는 단일 AN이 단일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룰러(cellular) 전송 모드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참여한 하이브리드 빔포밍 기반 협력 전송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말들을 위해 수행되는 모드인,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 모드의 설정의 지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AN이 수행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은 2 단계(2-stage)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통해 전송되거나, 하나의 joint DCI로 전송되는,
    셀-탈피 대규모 안테나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
KR1020200133959A 2020-10-16 2020-10-16 셀-탈피 대규모 mimo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050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959A KR20220050364A (ko) 2020-10-16 2020-10-16 셀-탈피 대규모 mimo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7/461,633 US11764839B2 (en) 2020-10-16 2021-08-30 Cell-free massive MIMO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959A KR20220050364A (ko) 2020-10-16 2020-10-16 셀-탈피 대규모 mimo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364A true KR20220050364A (ko) 2022-04-25

Family

ID=8118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959A KR20220050364A (ko) 2020-10-16 2020-10-16 셀-탈피 대규모 mimo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64839B2 (ko)
KR (1) KR202200503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1422B2 (en) * 2020-11-05 2022-08-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alibration method for cooperative transmission of cell-free wireless network, and apparatus therefor
WO2024021093A1 (en) * 2022-07-29 2024-02-01 Nokia Shanghai Bell Co., Ltd. Beamforming solution for mimo communication
JP2024039383A (ja) * 2022-09-09 2024-03-22 Kddi株式会社 基地局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47102A (ja) * 2022-09-26 2024-04-05 Kddi株式会社 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及び複数の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を介して無線デバイスと通信する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26276D0 (en) 1993-12-23 1994-02-23 Newbridge Network Corp Frame relay interface
US9893773B2 (en) 2011-09-21 2018-02-13 Provenance Asset Group Llc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large-scale antenna networks
EP2761972A4 (en) 2011-10-01 2015-08-12 Intel Corp REMOTE RADIO UNIT (RRU) AND BASEBAND UNIT (BBU)
KR102109655B1 (ko) 2012-02-23 2020-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 방법
US9768983B2 (en) * 2014-11-12 2017-09-19 Alcatel Lucent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massive MIMO backhaul for repeater small cells
KR102005166B1 (ko) 2014-12-31 2019-07-2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648539B1 (en) 2016-03-03 2017-05-09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Base station selection in ultra dense network handover scenarios
WO2018009577A1 (en) 2016-07-05 2018-01-11 Idac Holdings, Inc. Hybrid beamforming based network mimo in millimeter wave ultra dense network
KR102641746B1 (ko) 2016-10-18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규모 안테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560111A4 (en) 2016-12-21 2020-12-02 Intel Capital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ICES, AND METHODS
KR20180092734A (ko) 2017-02-10 2018-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US11211977B2 (en) * 2017-06-15 2021-12-28 Lg Electronics Inc. Codebook-based uplink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64839B2 (en) 2023-09-19
US20220123795A1 (en)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3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formed reference signals in three dimensional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systems
US20220369321A1 (en) Antenna panel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US11764839B2 (en) Cell-free massive MIMO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EP3780847A1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1030618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arameters of uplink signal, terminal and network device
WO2018202215A1 (zh) 配置上行信号的方法及装置、确定上行信号的方法及装置
CN108282211B (zh) 一种信号传输方法和网络设备以及终端设备
US1143804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overhead
CN109391391B (zh) 一种用于传输参考信号的方法及装置
US2022021690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adio beam determination
CN108282807B (zh) 信道质量信息的测量、选择和上报方法及装置
JP2023071747A (ja) チャネル状態情報送信に用いられる方法及びデバイス
KR20230058489A (ko) Pucch 송신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pucch 반복
JP6625747B2 (ja) 共通セ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マルチアンテナ伝送方法、及び基地局
US20200106583A1 (en) Enhanced Sounding Reference Signal Scheme
US11832251B2 (en) Apparatus for CSI prediction control
WO2022032451A1 (en) Massive terminals grouping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overhead reduction
CN114501569B (zh) 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4046113A1 (zh) 一种无线通信方法及通信装置
WO2023019584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storage media for communication
WO202022019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eam measurement
AU2021418673A1 (en) Beam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8042485A (zh) 层1/层2小区间移动性中目标小区的早期信道状态信息获取
CN117998491A (zh) 一种无线资源管理rrm测量的配置方法及装置
CN115175214A (zh) 波束切换的方法、装置及通信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