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489A - Pucch 송신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pucch 반복 - Google Patents

Pucch 송신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pucch 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489A
KR20230058489A KR1020237010972A KR20237010972A KR20230058489A KR 20230058489 A KR20230058489 A KR 20230058489A KR 1020237010972 A KR1020237010972 A KR 1020237010972A KR 20237010972 A KR20237010972 A KR 20237010972A KR 20230058489 A KR20230058489 A KR 20230058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cch
repetitions
transmitting
slot
iter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슈 장
하이통 순
후아닝 니우
홍 허
웨이 젱
다웨이 장
춘수안 예
오게네코메 오테리
시겐 예
웨이동 양
춘하이 야오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5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장비(UE)는 하나 이상의 슬롯들에 걸쳐 있는 반복 패턴에 따라 PUCCH의 반복된 사본들을 송신함으로써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송신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슬롯-내 모드에서, 주파수 홉핑을 이용하거나 주파수 홉핑 없이, 각각의 구성된 슬롯 내에서 하나 초과의 카피가 송신될 수 있다. 연속적인 사본들의 송신 사이의 시간적 갭 뿐만 아니라 사본들의 수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반복 패턴은 슬롯 경계들에 의해 중단될 수 있거나 중단되지 않을 수 있다. 슬롯-간 모드에서, 구성된 슬롯마다 하나의 카피가 송신된다. 상이한 카피들은 공간적 일관성 패턴에 따라 상이한 방향들로 송신될 수 있다. UE는 각각 상이한 타이밍 어드밴스들 및/또는 송신 전력 레벨들을 사용하여 상이한 송신-수신 지점(TRP)들로의 PUCCH들의 반복된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PUCCH 송신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PUCCH 반복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다수의 반복들을 송신하여, PUCCH 송신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들에 관한 것이다.
송신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는 송신을 다수회 반복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는 반복된 송신들을 축적하고(수신 디바이스가 송신들이 발생할 때를 안다고 가정함), 따라서 송신 페이로드의 성공적인 디코딩의 증가된 가능성을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일 세트에서,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슬롯들을 통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을 위해 사용될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복들 중 2개 이상은 하나 이상의 슬롯들 중 제1 슬롯에서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슬롯들 중 제2 슬롯은 반복들 중 2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서,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시간은 일정하고, 슬롯 경계들에서 중단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서,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시간은 슬롯들 각각 내에서 일정하고, 복수의 반복들의 반복들 중 어느 것도 슬롯 경계에 걸쳐 있지(straddle) 않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모드는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구성 메시지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RC 구성 메시지는 또한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시간 오프셋을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주파수 홉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상기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에서 송신 전력이 변화될 때,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네트워크에(예를 들어,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상기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복수의 반복들 중 일 반복 내에서 송신 전력이 변화될 때,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상기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에서 듀플렉싱 방향이 변화될 때,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상기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UE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AC 메시지는 UE에 의해 송신될 PUCCH의 반복들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또한, UE가 반복들을 송신할 서빙 셀의 셀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또한, UE가 반복들을 송신할 대역폭 부분의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또한,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PUCCH 리소스에 대한 PUCCH 리소스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상기 수의 반복들로 하나 초과의 PUCCH 리소스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상기 수의 반복들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들 내의 모든 PUCCH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상기 수의 반복들로 복수의 대역폭 부분들 내의 모든 PUCCH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UCCH의 N개의 반복들은 M개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M개의 세그먼트들 각각은 N개의 반복들 중 대응하는 K개의 반복들을 포함한다. M개의 세그먼트들의 상이한 세그먼트들은 상이한 빔들 또는 프리코딩들과 연관될 수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해, 세그먼트 내의 K개의 반복들은 연관된 빔 또는 프리코딩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 및 K는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gNB 또는 eNB와 같은 기지국)로부터 수신된 구성 정보에 의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상기 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M의 바람직한 값 및 K의 바람직한 값을 네트워크에(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바람직한 값들을 사용하여 M 및 K의 값들을 선택하고, 상기 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선택된 값들의 표시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UE는 N개의 반복들을 송신할 때, 선택된 값을 사용하도록 자신을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슬롯-간(inter-slot) 반복 모드 및 짧은 PUCCH 포맷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의 포맷이 긴 포맷일 때, UE는 슬롯-내(intra-slot) 반복 모드 또는 슬롯-간 반복 모드에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의 포맷이 긴 포맷일 때, UE는 슬롯-간 반복 모드에만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의 포맷이 긴 포맷일 때, UE는 PUCCH 내의 심볼들의 수가 임계치 값 미만이면, 슬롯-간 반복 모드에 따라 또는 슬롯-내 반복 모드에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의 포맷이 짧은 포맷일 때, UE는 슬롯-내 반복 모드 또는 슬롯-간 반복 모드에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의 포맷이 짧은 포맷일 때, UE는 슬롯-내 반복 모드에만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제1) PUCCH의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한 이후,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슬롯들에서 제2 PUCCH의 제2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PUCCH의 제1 복수의 반복들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고, 제2 PUCCH의 제2 복수의 반복들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 및 제2 세트를 표시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제1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제2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다음의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본 발명의 요지에 대한 더 양호한 이해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을 예시한다.
도 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기지국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의 블록도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6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600)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700)의 일 예를 예시한다. 기지국(700)은 도 6의 사용자 장비(600)와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송신과 연관된 다수의 특징부들을 예시한다.
도 9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PUCCH 반복에 대한 2개의 슬롯-내 모드들 및 슬롯-간 모드를 예시한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PUCCH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반복 오프셋을 예시한다.
도 11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PUCCH 반복의 슬롯-내 모드에서의 주파수 홉핑을 예시한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PUCCH 반복들의 수의 동적 구성을 위한 매체 액세스 제어-제어 요소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PUCCH 반복들의 송신에서의 공간적 일관성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PUCCH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도 15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PUCCH 반복들을 수신하기 위해 기지국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대안의 형태들을 허용하지만,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예시로서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도면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고, 반대로, 그 의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주제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수정물들, 등가물들, 및 대안물들을 커버하고자 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약어들
하기의 두문자어들이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다.
3GPP: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5G NR: 5세대 새로운 무선방식(5th Generation New Radio)
BW: 대역폭(Bandwidth)
BWP: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CQI: 채널 품질 표시자(Channel Quality Indictor)
DCI: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L: 다운링크(Downlink)
eNB(또는 eNodeB): 이벌브드 Node B, 즉 3GPP LTE의 기지국
gNB(또는 gNodeB): 차세대 NodeB, 즉 5G NR의 기지국
GSM: 모바일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HARQ: 하이브리드 ARQ(Hybrid ARQ)
LTE: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A: LTE-어드밴스드(LTE-Advanced)
MAC: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CE: MAC 제어 요소(MAC Control Element)
NR: 새로운 무선방식(New Radio)
NR-DC: NR 이중 연결(NR Dual Connectivity)
NW: 네트워크(Network)
RAT: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LC: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F: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RLM: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
RNTI: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RC: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M: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S: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SR: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SB: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U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L: 업링크(Uplink)
UMTS: 범용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용어들
다음은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된 용어들의 해설이다:
메모리 매체 - 다양한 유형들의 메모리 디바이스들 또는 저장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용어 "메모리 매체"는, 설치 매체, 예를 들어, CD-ROM, 플로피 디스크, 또는 테이프 디바이스; DRAM, DDR RAM, SRAM, EDO RAM, 램버스(Rambus) RAM 등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자기 매체들, 예를 들어, 하드 드라이브, 또는 광 저장소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유사한 유형들의 메모리 요소들 등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메모리 매체는 또한 다른 유형들의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메모리 매체는 프로그램들이 실행되는 제1 컴퓨터 시스템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는 상이한 제2 컴퓨터 시스템에 위치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제2 컴퓨터 시스템은 실행을 위해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제1 컴퓨터에 제공할 수 있다. 용어 "메모리 매체"는 상이한 위치들,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상이한 컴퓨터 시스템들에 상주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메모리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들로서 구현됨)을 저장할 수 있다.
캐리어 매체 -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메모리 매체뿐만 아니라, 버스, 네트워크와 같은 물리적 송신 매체, 및/또는 전기, 전자기, 또는 디지털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전달하는 다른 물리적 송신 매체.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 - 프로그래밍가능 상호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프로그래밍가능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을 포함함. 예들은 FPGA(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PLD(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들, FPOA(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객체 어레이(Field Programmable Object Array))들, 및 CPLD(복합(Complex) PLD)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래밍가능 기능 블록들은 그 범위가 미립형(fine grained)(조합 로직 또는 룩업 테이블들)으로부터 조립형(coarse grained)(산술 로직 유닛들 또는 프로세서 코어들)에까지 이를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는 또한 "재구성가능 로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 -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PC), 메인프레임 컴퓨터 시스템, 워크스테이션, 네트워크 어플라이언스, 인터넷 어플라이언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개인 통신 디바이스, 스마트폰, 텔레비전 시스템, 그리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컴퓨팅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들 중 임의의 것. 일반적으로, 용어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 매체로부터의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를 포함하는 것으로 폭넓게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UE)(또는 "UE 디바이스") - 모바일 또는 휴대용이고 무선 통신들을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컴퓨터 시스템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 UE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모바일 텔레폰들 또는 스마트 폰들(예를 들어, 아이폰(iPhone)™, 안드로이드(Android)™ 기반 폰들), 휴대용 게이밍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닌텐도(Nintendo) DS™,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layStation Portable)™, 겜보이 어드밴스(Gameboy Advance)™, 아이폰™),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랩톱들, PDA들, 휴대용 인터넷 디바이스들, 음악 플레이어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핸드헬드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UE" 또는 "UE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되고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퓨팅,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또는 디바이스들의 조합)를 포함하도록 폭넓게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 - 용어 "기지국"은 그의 일반적 의미의 전체 범위를 포함하며, 적어도, 고정 위치에 설치되어 무선 전화 시스템 또는 무선 시스템의 일부로서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요소(Processing Element) - 다양한 요소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요소들의 조합들을 지칭함. 프로세싱 요소들은,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와 같은 회로들, 개별 프로세서 코어들의 부분들 또는 회로들, 전체 프로세서 코어들, 개별 프로세서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및/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시스템들의 보다 큰 부분들을 포함한다.
자동으로 - 사용자 입력이 액션 또는 동작을 직접 특정하거나 수행하지 않으면서, 액션 또는 동작이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회로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들, ASIC들 등)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지칭함. 따라서, 용어 "자동으로"는 사용자가 동작을 직접적으로 수행시키는 입력을 제공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거나 특정되는 동작과 대비된다. 자동 절차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입력에 의해 개시될 수 있지만, "자동으로" 수행되는 후속 액션들은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지 않는데, 즉, 사용자가 수행할 각각의 액션을 특정하는 "수동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각각의 필드를 선택하고 정보를 특정하는 입력을 제공함으로써(예를 들어, 정보를 타이핑하는 것, 체크 박스를 선택하는 것, 무선통신장치 선택 등에 의해) 전자 양식을 기입하는 것은,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자 액션들에 응답하여 그 양식을 업데이트해야 하는 경우라 해도, 그 양식을 수동으로 기입하는 것이다. 양식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기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은 양식의 필드들을 분석하고, 필드들에 대한 응답을 특정하는 어떠한 사용자 입력 없이도 그 양식에 기입한다.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양식의 자동 기입을 호출할 수 있지만, 양식의 실제 기입에 참여하지는 않는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필드들에 대한 응답들을 수동으로 특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것들은 자동으로 완성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취한 액션들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수행되고 있는 동작들의 다양한 예들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 통신 시스템
도 1 및 도 2는 예시적인(및 단순화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예시한다. 도 1 및 도 2의 시스템들이 단지 소정의 가능한 시스템들의 예들일 뿐이며, 다양한 실시예들이 원하는 대로 임의의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들(106A, 106B 등 내지 106N)과 송신 매체를 통해 통신하는 기지국(102A)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102A)에 부가하여, 기지국(102B)은 또한 UE 디바이스들(106A, 106B 등 내지 106N)과 송신 매체를 통해 (예를 들어, 동시에 또는 동시적으로) 통신한다.
기지국들(102A, 102B)은 송수신기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들 또는 셀 사이트들일 수 있으며, 사용자 디바이스들(106A 내지 106N)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102)은 또한,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의 코어 네트워크일 수 있는 코어 네트워크(100)와 통신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예를 들어, 기지국(102A)은 코어 네트워크(100A)에 커플링될 수 있는 반면, 기지국(102B)은 코어 네트워크(100B)에 커플링될 수 있음). 각각의 코어 네트워크(100)는 인터넷,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는 (외부 네트워크(108)와 같은)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02A)은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 그리고/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네트워크(100A)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도 2의 시스템에서, 기지국(102B)은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 그리고/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네트워크(100B)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기지국들(102A, 102B) 및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GSM, UMTS(WCDMA), LTE, LTE-A(LTE-Advanced), 3GPP2 CDMA2000(예를 들어 1xRTT, 1xEV-DO, HRPD, eHRPD), Wi-Fi, WiMAX 등과 같이 무선 통신 기술들 또는 원격통신 표준들로 또한 지칭되는 다양한 무선 액세스 기술(RAT)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송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2A) 및 코어 네트워크(100A)는 제1 셀룰러 통신 표준(예를 들어, LTE)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반면, 기지국(102B) 및 코어 네트워크(100B)는 제2(예를 들어, 상이한) 셀룰러 통신 표준(예를 들어, GSM, UMTS, 및/또는 하나 이상의 CDMA2000 셀룰러 통신 표준들)에 따라 동작한다. 2개의 네트워크들은 동일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예를 들어,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 또는 "캐리어")에 의해,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2개의 네트워크들은 (예를 들어, 2개의 네트워크들이 상이한 셀룰러 통신 표준들에 따라 동작하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거나, 어느 정도 커플링된 방식 또는 밀접하게 커플링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구성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들이 2개의 상이한 셀룰러 통신 기술들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다수의 셀룰러 통신 기술들을 구현하는 다른 네트워크 구성들이 또한 가능함을 유의한다. 일 예로서, 기지국들(102A, 102B)은 상이한 셀룰러 통신 표준들에 따라 동작하지만 동일한 코어 네트워크에 커플링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이한 셀룰러 통신 기술들(예를 들어, LTE 및 CDMA 1xRTT, GSM, 및 UMTS, 또는 셀룰러 통신 기술들의 임의의 다른 조합)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다중-모드 기지국들은, 상이한 셀룰러 통신 기술들을 또한 지원하는 코어 네트워크에 커플링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네트워크 배치 시나리오들 중 임의의 것이 또한 가능하다.
추가의 가능성으로서, 기지국(102A) 및 기지국(102B)이 동일한 무선 통신 기술(또는 무선 통신 기술들의 중첩 세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102A) 및 코어 네트워크(100A)는, 상이한(예를 들어, 경쟁)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기지국(102B) 및 코어 네트워크(100B)와 독립적으로 하나의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유사한 그리고 가능하게는 호환가능한 셀룰러 통신 기술들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UE 디바이스들(106A 내지 106N)은, 가능하게는 상이한 캐리어들의 네트워크들과 통신하기 위해 별개의 가입자 아이덴티티들을 이용함으로써 기지국들(102A, 102B)과 독립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UE(106)는 다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LTE와 같은) 3GPP 셀룰러 통신 표준 또는 (셀룰러 통신 표준들의 CDMA2000 계열의 셀룰러 통신 표준과 같은) 3GPP2 셀룰러 통신 표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UE(106)는 (GSM, UMTS, LTE, 또는 LTE-A 중 2개 이상과 같은) 상이한 3GPP 셀룰러 통신 표준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UE(106)는 제1 셀룰러 통신 표준(예를 들어, LTE)에 따라 기지국(102A)(및/또는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셀룰러 통신 표준(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CDMA2000 셀룰러 통신 표준들, UMTS, GSM 등)에 따라 기지국(102B)(및/또는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셀룰러 통신 표준들에 따라 동작하는 기지국들(102A, 102B) 및 다른 기지국들은 셀들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하나 이상의 셀룰러 통신 표준들을 통해 넓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UE들(106A 내지 106N) 및 유사한 디바이스들에게 계속적인 또는 거의 계속적인 중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UE(106)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WLAN, 블루투스, 하나 이상의 GNSS(glob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s, 예를 들어, GPS 또는 GLONASS), 하나 및/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팅 표준들(예를 들어, ATSC-M/H 또는 DVB-H) 등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개 초과의 무선 통신 표준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표준들의 다른 조합들이 또한 가능하다.
도 3은 기지국(102)(예를 들어, 기지국들(102A 또는 102B) 중 하나)과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106)(예를 들어, 디바이스들(106A 내지 106N) 중 하나)를 예시한다. UE(106)는 모바일 폰,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터 또는 태블릿,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사실상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갖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UE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그러한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UE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부분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FPGA(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UE(106)는 다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GSM, UMTS(W-CDMA, TD-SCDMA 등), CDMA2000(1xRTT, 1xEV-DO, HRPD, eHRPD 등), LTE, LTE-A, WLAN 또는 GNSS 중 2개 이상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표준들의 다른 조합들이 또한 가능하다.
UE(106)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106) 내에서, 수신 및/또는 송신 체인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은 다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E(106)는 단일 공유 무선통신장치를 사용하여 GSM 또는 LTE 중 어느 하나(또는 둘 모두)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유 무선통신장치는 무선 통신들을 수행하기 위해, 단일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MIMO 또는 빔형성을 위한)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MIMO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에 대한 두문자어이다.
도 4 - UE의 블록도의 예
도 4는 UE(106)의 블록도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106)는 다양한 목적들을 위한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SOC(300)는 UE(106)에 대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들)(302), 및 그래픽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신호들을 디스플레이(345)에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회로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302)는 또한, 프로세서(들)(302)로부터 어드레스들을 수신하고 이들 어드레스들을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306), 판독 전용 메모리(ROM)(350), NAND 플래시 메모리(310)) 내의 위치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유닛(memory management unit, MMU)(340)에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 회로부(304), 무선통신장치(330), 커넥터 I/F(connector I/F)(320), 및/또는 디스플레이(345)와 같은 다른 회로들 또는 디바이스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MMU(340)는 메모리 보호 및 페이지 테이블 변환 또는 셋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MU(340)는 프로세서(들)(302)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SOC(300)는 UE(106)의 다양한 다른 회로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6)는 다양한 유형들의 메모리(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310)를 포함함),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 도크(dock), 충전 스테이션 등에 커플링되기 위한) 커넥터 인터페이스(320), 디스플레이(345), 및 무선통신장치(3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330)는 하나 이상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RF 체인은 송신 체인, 수신 체인,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장치(330)는 2개의 기지국들(또는 2개의 셀들)과의 이중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2개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표준들, 예를 들어 GSM, UMTS, LTE, LTE-A, WCDMA, CDMA2000, 블루투스, Wi-Fi, GPS 등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3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서브시스템(335)에 커플링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 서브시스템(335)은 이중 연결 또는 MIMO 또는 빔포밍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서브시스템(335)은, 전형적으로 대기인 무선 전파 매체를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또는 디바이스들로/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들)(302)는 업링크 베이스밴드 신호(baseband signal)들을 생성하고 그리고/또는 다운링크 베이스밴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302)는 하나 이상의 무선 원격통신 표준들, 예를 들어 GSM, UMTS, LTE, LTE-A, WCDMA, CDMA2000, 블루투스, Wi-Fi, GPS 등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데이터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106)는 또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은 다양한 요소들 중 임의의 것, 예컨대 디스플레이(345)(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음), 키보드(이는 별개의 키보드일 수 있거나 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음), 마우스, 마이크로폰 및/또는 스피커들,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 하나 이상의 센서들, 하나 이상의 버튼들, 슬라이더들, 및/또는 다이얼들, 및/또는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고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해석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요소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UE(106)는 또한, 하나 이상의 가입자 식별 모듈(SIM)들(3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SIM들 각각은 임베디드 SIM(embedded SIM, eSIM)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SIM은 디바이스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UE(106)는 임베디드 범용 집적 회로 카드(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eUICC), 예를 들어, UE(106)에 구축되고 제거가능하지 않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eUICC는 하나 이상의 eSIM들이 eUICC 상에 구현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eSIM은, 예를 들어 UE(106) 내의 (프로세서(302)와 같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메모리(306) 또는 플래시(310)와 같은) 메모리 매체 상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로서 UE(106) 소프트웨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SIM(360)은 범용 집적 회로 카드(UICC)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SIM들(360) 중 하나 이상은 제거가능 SIM 카드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UE 디바이스(106)의 프로세서(302)는, 예를 들어, 메모리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302)는 FPGA(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ASIC(주문형 집적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성되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 기지국의 예
도 5는 기지국(102)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5의 기지국이 가능한 기지국의 일 예일 뿐임을 유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2)은 기지국(102)에 대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들)(4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404)는 또한, 프로세서(들)(404)로부터 어드레스들을 수신하고 이들 어드레스들을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460) 및 판독 전용 메모리(ROM)(450)) 내의 위치들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유닛(MMU)(440)에, 또는 다른 회로들 또는 디바이스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기지국(102)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포트(47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의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포트(470)는, 전화 네트워크에 커플링되고 전화 네트워크로의 (UE 디바이스들(106)과 같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포트(470)(또는 부가적인 네트워크 포트)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 예를 들어,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의 코어 네트워크에 커플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UE 디바이스들(106)과 같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이동성 관련 서비스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네트워크 포트(470)는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화 네트워크에 커플링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코어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셀룰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서비스되는 다른 UE 디바이스들 사이에) 전화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102)은 하나 이상의 RF 체인들을 갖는 무선통신장치(4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RF 체인은 송신 체인, 수신 체인,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2)은 섹터 또는 셀당 적어도 하나의 RF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4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서브시스템(434)에 커플링된다. 예를 들어, MIMO 또는 빔포밍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안테나들이 필요할 것이다. 안테나 서브시스템(434)은 무선 전파 매체(전형적으로 대기)를 통해 UE들로/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들)(404)는 다운링크 베이스밴드 신호들을 생성하고 그리고/또는 업링크 베이스밴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30)는 GSM, LTE, WCDMA, CDMA2000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무선 원격통신 표준들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102)의 프로세서(들)(404)는, 예를 들어 메모리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들)(404)는 FPGA(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 또는 ASIC(주문형 집적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UE 디바이스(60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서브시스템(605); 및 무선 서브시스템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프로세싱 요소(610)를 포함할 수 있다. (UE 디바이스(600)는 또한,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UE 특징부들의 임의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서브시스템(605)은, 예를 들어 위에서 다양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RF 체인은 무선 전파 채널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무선 전파 채널 상으로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RF 체인은 송신 체인 및/또는 수신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서브시스템(605)은 신호 송신 및 수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각각의 RF 체인(또는 RF 체인들 중 일부)은 원하는 주파수로 동조가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RF 체인이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이한 주파수들로 수신 또는 송신하게 허용한다.
프로세싱 요소(610)는 무선 서브시스템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위에서 다양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요소는 프로세서(들)(302)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 요소는 무선 서브시스템에서 각각의 RF 체인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요소는, (a) 무선 서브시스템에 의해 송신될 베이스밴드 신호들을 생성하고 그리고/또는 (b) 무선 서브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연결 동작 모드에서, 프로세싱 요소는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제1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제1 RF 체인에게 지시할 수 있고,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제2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제2 RF 체인에게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F 체인은 LTE eNB와 통신할 수 있고, 제2 RF 체인은 5G 새로운 무선방식(NR)의 gNB와 통신할 수 있다. LTE eNB와의 링크는 LTE 브랜치(LTE branch)로 지칭될 수 있다. gNB와의 링크는 NR 브랜치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요소는 LTE 브랜치에 대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위한 제1 서브회로 및 NR 브랜치에 대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위한 제2 서브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요소(610)는 아래의 섹션들에서 다양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의 무선 기지국(7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기지국은 무선 전파 채널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서브시스템(705); 및 무선 서브시스템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프로세싱 요소(7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기지국은 또한 위에서 설명된 기지국 특징부들, 예를 들어 도 5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특징부들의 임의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서브시스템(710)은 하나 이상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RF 체인은 원하는 주파수로 동조가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RF 체인이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이한 주파수들로 수신 또는 송신하게 허용한다. 무선 서브시스템(71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예를 들어, 안테나의 어레이, 또는 복수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안테나 서브시스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무선 서브시스템은 무선파 전파 매체로/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안테나 서브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싱 요소(710)는 위에서 다양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요소(710)는 프로세서(들)(404)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요소는, (a) 무선 서브시스템에 의해 송신될 베이스밴드 신호들을 생성하고 그리고/또는 (b) 무선 서브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요소(71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지국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UCCH 송신의 신뢰성의 향상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 대한 시스템 설계는 다음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시스템 설계는, 예를 들어 상이한 유형들의 UE들, 또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들을 수용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PUCCH 포맷들을 허용할 수 있다. 둘째, 슬롯 집성이 PUCCH의 송신을 위해 허용될 수 있다. 셋째, PUCCH를 송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빔은 UE에 대한 동적 시그널링을 통해, 예를 들어 매체 액세스 제어-제어 요소(MAC-CE)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넷째, MAC-CE는 특정 PUCCH 리소스에 대한 특정 빔을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PUCCH 포맷들 각각은 PUCCH가 송신될 심볼들의 수에 대한 대응하는 제약 및 PUCCH에서 반송될 페이로드 비트들의 수에 대한 대응하는 제약을 가질 수 있다. 포맷들은 지속기간에 관해 2개의 카테고리: 짧은 및 긴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포맷들에서, 포맷 0 및 포맷 2는 그들이 1개 또는 2개의 심볼들을 통해 송신되므로 짧은 포맷들이고; 나머지 포맷들은 그들이 4개 이상의 심볼들을 통해 송신되므로 긴 포맷들이다.
PUCCH 슬롯 집성이 이용될 때, PUCCH는 다수의 슬롯들을 통해 반복적으로 송신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슬롯은 PUCCH의 하나의 반복만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슬롯은 PUCCH의 하나 초과의 반복을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nrofSlots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시그널링에 의해, 예를 들어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nrofSlots는 PUCCH-Config 내의 PUCCH-FormatConfig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PUCCH의 각각의 반복에 빔을 적용할 수 있다. 상이한 빔들이 상이한 반복들에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MAC CE를 UE에 전송함으로써, UE에 의해 사용되는 PUCCH 빔을 변화시킬 수 있다. (UE로의)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은 PUCCH-Config 내의 PUCCH-SpatialRelationInfo의 목록, 예를 들어 PUCCH 송신을 위해 사용될 빔들 또는 프리코더들의 목록을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UE는 안테나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업링크 신호는 빔포밍 또는 프리코딩된 송신을 달성하기 위해 어레이의 상이한 안테나들을 통해 상이한 가중치들로 송신될 수 있다. 신호에 적용된 가중치들의 벡터는 빔 방향을 결정한다.) UE는 목록을 저장한다. MAC CE는 목록에서 빔들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MAC CE는 목록에서 빔들 중 하나 초과를 선택하거나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CE는 특정 PUCCH 리소스에 대한 특정 빔을 선택하거나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빔만이 PUCCH 리소스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나 초과의 빔이 PUCCH 리소스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는 다중-TRP 동작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TRP는 "송신 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에 대한 두문자어이다. TRP는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한 노드이다. 본 맥락에서, 다중-TRP 동작은, UE가 매크로 셀들, 소형 셀들, 피코 셀들, 펨토 셀들, 원격 무선 헤드들, 중계 노드 등과 같은 복수의 노드들과의 통신을 위해 구성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UE는 2개의 기지국들과 병렬로(예를 들어, 2개의 gNB들 또는 2개의 eNB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셀들을 호스팅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중-TRP 동작을 위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신뢰성은 하나 이상의 향상 메커니즘들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다수의 슬롯들에 걸친) PDSCH 집성은 UE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고, 기지국과 같은 TRP에 의해 송신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해 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다수의 빔들이 다수의 송신 기회들과 동일한 PDSCH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 송신의 신뢰성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향상 메커니즘들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TRP 동작의 맥락에서, 향상 메커니즘들이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향상 메커니즘들은, 원하는 경우, 단일 TRP 동작의 맥락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기지국과 같은 TRP)는 PUCCH 반복의 표시를 UE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UE는 PUCCH의 반복된 송신들을 수행하도록 자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 설계는 기존의 PUCCH 포맷들, 예를 들어 3GPP 5G NR 표준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PUCCH 포맷들에 관련된 문제들을 고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 설계는 PUCCH 공간적 관계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 설계는 PUCCH 전력 제어를 향상시킬 수 있다.
긴 포맷 및 짧은 포맷 둘 모두가 동일한 수의 페이로드 비트들을 반송한다고 가정하면, 긴 포맷 PUCCH의 N개의 반복들이 짧은 포맷 PUCCH의 N개의 반복보다 더 양호한 커버리지(또는 TRP에서의 더 높은 확률의 성공적인 PUCCH 디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될 수 있다.
PUCCH 송신들을 위해 슬롯 집성을 수행할 때, 특히 다중-TRP 동작의 맥락에서, 레이턴시가 문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별개의 PUCCH를
Figure pct00001
개의 TRP들 각각에 송신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UE가 슬롯당 하나의 PUCCH 반복만을 송신하도록 제약되고, PUCCH 마다 nrofSlots개의 슬롯들로 구성되면, UE는 다음의 수
Figure pct00002
의 슬롯들을 요구하여,
Figure pct00003
개의 개개의 TRP들로의
Figure pct00004
개의 PUCCH들의 송신들을 완료할 수 있으며, 이는 PUCCH 송신들의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송신들을 가정한다. 따라서, TRP로의 PUCCH 송신들의 레이턴시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감소를 달성하는 하나의 메커니즘은 각각의 구성된 슬롯 내에서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의 송신을 허용하는 것이다.
PUCCH 반복의 표시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 반복이 스케줄링될 때, UE는 상이한 PUCCH 반복 모드들에서 동작하도록 허용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요소(예를 들어, 기지국과 같은 TRP)는 PUCCH 반복 모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를 UE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PUCCH 반복 모드들은,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슬롯-내 모드들 및 하나 이상의 슬롯-간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하나 이상의 슬롯들에 걸쳐 있는 패턴에 따라 PUCCH를 반복적으로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또는 구성)될 수 있다. 슬롯-간 모드에서, PUCCH의 하나의 반복만이 구성된 슬롯들 각각에서 송신된다. 슬롯-내 모드에서, PUCCH의 하나 초과의 반복이 각각의 슬롯 구성된 슬롯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슬롯-내 반복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의 연속적인 반복들이 연이어, 즉 하나의 반복의 종료와 다음 반복의 시작 사이에 지연 없이 발생할 수 있다. 슬롯-내 반복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구성된 오프셋(또는 갭)은 PUCCH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제1 슬롯-내 모드(모드 1)에서, 반복 패턴은 슬롯 경계들에서 중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패턴의 반복은 슬롯 경계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또는 더 일반적으로, 반복 패턴에서의 반복들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개개의 슬롯 경계들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제2 슬롯-내 모드(모드 2)에서, 반복 패턴은 슬롯 경계들에서 중단된다. 패턴의 반복들 중 어느 것도 슬롯 경계에 걸쳐 있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반복 패턴은 구성된 슬롯들 각각에서 서브패턴을 반복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서브패턴의 각각의 반복은 대응하는 슬롯 내에서 발생한다. 서브패턴은 PUCCH의 2개 이상의 반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간 반복 모드에서, PUCCH의 반복들은 하나의 반복이 nrofSlots개의 연속하는 슬롯들 각각에서 발생하도록 송신될 수 있다. 각각의 슬롯 내에서, 동일한 시간 도메인 할당이 개개의 PUCCH 반복의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 반복 모드는 네트워크로부터(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UE로 송신되는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UCCH 반복 모드는 PUCCH-Config의 일부로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PUCCH 반복 모드의 시그널링을 수용하기 위해, 본 특허 개시내용은 기존의 3GPP 5G NR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PUCCH-Config의 수정을 고려한다.) PUCCH-Config는 PUCCH-FormatConfig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들을 포함하는 계층적 데이터 구조이다. 각각의 PUCCH-FormatConfig는 대응하는 PUCCH 포맷의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PUCCH-FormatConfig의 각각의 인스턴스는 PUCCH 포맷에 대한 하나 이상의 개개의 PUCCH 리소스들을 구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PUCCH-리소스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리소스"는 시간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리소스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 반복 모드는 임의의 PUCCH-FormatConfig의 일부가 아니라 PUCCH Config의 일부로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따라서, PUCCH 반복 모드는 모든 PUCCH 포맷들의 모든 PUCCH 리소스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 반복 모드는 임의의 PUCCH-리소스 요소의 일부가 아니라 PUCCH-FormatConfig의 일부로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따라서, PUCCH 반복 모드는 PUCCH-FormatConfig에 의해 표시된 PUCCH 포맷에 대해 구성된 모든 PUCCH 리소스들에 적용될 수 있다. 상이한 PUCCH 포맷들이 상이한 반복 모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PUCCH 반복 모드는 PUCCH-리소스 요소의 일부로서 시그널링될 수 있고, 따라서, 대응하는 PUCCH 리소스에 적용될 수 있지만, 동일한 PUCCH 포맷에 속하는 다른 PUCCH 리소스들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이한 PUCCH 리소스들이 상이한 PUCCH 반복 모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음의 정보 요소(IE)는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 UE에 송신되고, PUCCH 반복 모드를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UE는 PUCCH의 반복들을 송신할 때, 구성된 PUCCH 반복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TRP(예를 들어, 기지국)는 어느 PUCCH 리소스들이 송신된 PUCCH 반복들을 포함하는지를 알고, 따라서, 이들 반복들을 캡처 및 축적할 수 있다. 반복들의 축적은 TRP가 PUCCH 수신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SNR)의 증가, 및 그에 의한, PUCCH를 디코딩하는 신뢰성의 개선을 경험하게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 요소는 슬롯-내 반복 모드들 중 하나를 표시하는 intraSlotRepetition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2개의 슬롯-내 반복 모드들이 존재하는 컨텍스트에서, intraSlotRepetition 필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intraSlotRepetition ENUMERATED {mode1, mode2}.
표기 "X ENUMERATED {Y1, Y2, Y3, …, YL}"는 X가 세트 {Y1, Y2, Y3, …, YL}로부터 선택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 요소는 또한, 슬롯-내 반복 모드에서 PUCCH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오프셋(또는 갭)의 값을 표시하는 intraslotRepetitionOffse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값은 형태 {0, 1, 2, …, OffsetMAX}의 범위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05
또는
Figure pct00006
, 또는
Figure pct00007
이고, n SPS 는 슬롯당 심볼들의 수이다. 예를 들어, 슬롯당 심볼들의 수가 14인 컨텍스트에서, intraslotRepetitionOffset 필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으며:
intraslotRepetitionOffset INTEGER (0..OffsetMAX),
여기서, OffsetMAX
Figure pct00008
13이다.
도 10은 슬롯-내 반복 오프셋의 일 예를 예시한다. 도 10은 하나의 슬롯 내에서 발생하는 반복 패턴을 예시하지만, 슬롯-내 모드에서의 반복 패턴은,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되면 하나 초과의 슬롯을 커버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슬롯-내 모드 1에서, 반복 패턴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오프셋은 슬롯 경계들에 관계없이 존중(respect)될 수 있다. 슬롯-내 모드 2에서,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오프셋은 각각의 슬롯 내에서 존중될 수 있지만, 슬롯 경계들에서는 방해받을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슬롯-내 모드 2에서, PUCCH 반복들은 슬롯 경계들에 걸쳐 있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 요소는 슬롯-간 반복 모드가 인에이블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interSlotRepetition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interSlotRepetition ENUMERATED {enabled}.
UE는 슬롯-간 반복 모드를 디스에이블된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다. (기지국과 같은) TRP는 interSlotRepetition 필드를 UE에 전송함으로써 슬롯-간 반복 모드를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 슬롯-내 반복이 구성될 때, 슬롯-내 주파수 홉핑이 구성될 수 있다. 슬롯-내 주파수 홉핑은 구성된(또는 미리 정의된) 주파수 홉핑 패턴에 따라 PUCCH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수반한다. UE는 주파수 홉핑 패턴에 의해 정의된 개개의 주파수들에서 PUCCH의 반복들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도 11은 하나의 슬롯 내에서 PUCCH의 4개의 반복들을 포함하는 반복 패턴에 대한 주파수 홉핑을 예시한다. 수평 축은 시간이고, 수직 축은 주파수이다.
PUCCH 슬롯-내 주파수 홉핑은, 예를 들어 UE로의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구성된 PUCCH 반복 모드에 대한 RRC 시그널링의 위의 논의와 유사하게, PUCCH 슬롯-내 주파수 홉핑은 3개의 장소들 중 하나에서: (a) 임의의 특정 PUCCH-FormatConfig에서가 아니라, PUCCH-Config에서; (b) 임의의 특정 PUCCH-리소스 요소에서가 아니라, PUCCH-FormatConfig에서; 또는 (c) PUCCH-리소스 요소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옵션 (a)는 모든 PUCCH 포맷들의 모든 PUCCH 리소스들에 대한 주파수 홉핑을 구성할 것이다. 옵션 (b)는 PUCCH-FormatConfig에 대응하는 PUCCH 포맷의 모든 PUCCH 리소스들에 대한 주파수 홉핑을 구성할 것이다. 옵션 (c)는 PUCCH 포맷의 다른 PUCCH 리소스들이 아니라, PUCCH-리소스 요소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에 대한 주파수 홉핑을 구성할 것이다.
다음의 정보 요소(IE)는 PUCCH 슬롯-내 주파수 홉핑을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intraslotFrequencyHopping ENUMERATED {enabled}.
UE는 슬롯-내 주파수 홉핑을 디스에이블된 상태로 초기화할 수 있다. 슬롯-내 주파수 홉핑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기지국과 같은 TRP)는 인에이블된 상태와 동일하게 intraslotFrequencyHopping IE를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 반복들의 수는 MAC-CE를 사용하여 변화(예를 들어,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기지국과 같은 TRP)는 PUCCH 반복 패턴에서 PUCCH 반복들의 수를 변화시키기 위해 MAC-CE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2는 그러한 MAC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구조를 예시한다. 그러나, 광범위하게 다양한 다른 구조들이 이용될 수 있다. MAC-CE는 서빙 셀 ID, 대역폭 부분(BWP)의 표시, PUCCH 리소스 ID, 및 반복 횟수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반복 횟수는 반복 패턴에서의 PUCCH 반복들의 수이다.) MAC-CE는 또한 하나 이상의 예약된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R은 예약된 비트를 나타낸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서빙 셀 ID는 길이가 5 비트들일 수 있고, BWP 표시는 길이가 2 비트들일 수 있고, PUCCH 리소스 ID는 길이가 7 비트들일 수 있고, 반복 횟수는 길이가 8 비트들일 수 있다. 그러나, MAC-CE의 위에서 언급된 필드들 각각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채널 상태들, 간섭 환경, 또는 네트워크 구성에 의존하여 다양한 상이한 값들 중 임의의 값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CE 포맷은 동일한 수의 PUCCH 반복들 또는 상이한 수들의 PUCCH 반복들로 복수의 PUCCH 리소스들을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PUCCH 반복을 위해 사용될 (또는 잠재적으로 사용될) PUCCH 리소스들의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목록이 구성되고, 목록 내의 PUCCH 리소스들 중 하나가 MAC-CE에서(예를 들어, MAC-CE의 PUCCH 리소스 ID 필드에서) 표시될 때, UE는 UE가 이러한 PUCCH 리소스들 중 임의의 PUCCH 리소스 상에서 PUCCH 반복들을 송신할 때 동일한 수의 PUCCH 반복들을 사용하도록 목록의 모든 PUCCH 리소스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CE 포맷은 동일한 수의 PUCCH 반복들로 컴포넌트 캐리어(CC)들의 목록 내의 모든 PUCCH들을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UE에 의한 사용(또는 잠재적 사용)을 위한 컴포넌트 캐리어들의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컴포넌트 캐리어가 구성되고, 목록 내의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하나가 MAC-CE에서(예를 들어, MAC-CE의 서빙 셀 ID 필드에서) 표시될 때, UE는 UE가 이러한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임의의 컴포넌트 캐리어 상에서 PUCCH 반복들을 송신할 때 동일한 수의 PUCCH 반복들을 사용하도록 목록의 모든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CE 포맷은 동일한 수의 PUCCH 반복들로 BWP들의 목록의 모든 BWP들 내의 모든 PUCCH들을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UE에 의한 사용(또는 잠재적 사용)을 위한 BWP들의 목록을 구성할 수 있다. 목록이 구성되고, 목록 내의 BWP들 중 하나가 MAC-CE(예를 들어, MAC-CE의 BWP 표시 필드)에서 표시될 때, UE는 UE가 이러한 BWP들 중 임의의 BWP 상에서 PUCCH 반복들을 송신할 때 동일한 수의 PUCCH 반복들을 사용하도록 목록의 모든 BWP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 슬롯 집성은 짧은 PUCCH 포맷들(예를 들어, 도 8의 PUCCH 포맷들 0 및 2) 뿐만 아니라 긴 PUCCH 포맷들에 대해 허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음의 제약들 중 하나가 슬롯-내 PUCCH 반복 및/또는 슬롯-간 PUCCH 반복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긴 PUCCH 포맷들(예를 들어, 도 8의 포맷들 1, 3 및 4)에 대해, 3개의 대안들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대안에서, 네트워크는 슬롯-내 및 슬롯-간 PUCCH 반복 둘 모두를 사용하도록 허용된다. (상이한 UE들은 상이한 반복 모드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UE는 슬롯-내 반복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다른 UE는 슬롯-간 반복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UE는, 예를 들어 상이한 긴 PUCCH 포맷들에 대해, 슬롯-내 반복 및 슬롯-간 반복 둘 모두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대안에서, 네트워크는 슬롯-간 반복만을 사용하도록 허용된다. 제3 대안에서, 네트워크는 적어도 슬롯-간 반복을 사용하도록 허용되며; 긴 포맷의 PUCCH 내의 심볼들의 수가 X 미만이면, 네트워크는 또한 슬롯-내 반복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짧은 PUCCH 포맷들(예를 들어, 포맷들 0 및 2)에 대해, 2개의 대안들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대안에서, 네트워크는 슬롯-내 및 슬롯-간 PUCCH 반복 둘 모두를 사용하도록 허용된다. 제2 대안에서, 네트워크는 슬롯-내 반복만을 사용하도록 허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 반복이 구성될 때, 기지국(예를 들어, gNB 또는 eNB)은 UE가 더 양호한 신뢰성을 달성하기 위해 프리코딩 사이클링 또는 빔 사이클링을 수행하게 허용하도록 PUCCH 공간적 일관성 패턴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총 수 N개의 PUCCH 반복들은 M개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세그먼트들은 K개의 PUCCH 반복들을 포함하며, N = M*K이다. 세그먼트의 K개의 PUCCH 반복들은 시간 도메인에서 연이어(즉, 반복들 사이의 제로 오프셋으로) 발생할 필요가 없다. 세그먼트 내의 PUCCH 반복들은 동일한 빔(또는 프리코딩)을 사용할 수 있다. (세그먼트 내에서 동일한 빔/프리코딩을 사용하는 이러한 속성은 공간적 일관성의 형태이다.) 그러나, 상이한 세그먼트 내의 PUCCH 반복들은 상이한 빔(또는 상이한 프리코딩)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이한 세그먼트들은 각각 상이한 빔들(또는 상이한 프리코딩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2개의 PUCCH 반복들을 각각 갖는 2개의 세그먼트를 갖는 일 예를 예시하며, M=2, K=2이다. 제1 및 제2 PUCCH 반복들은 빔(B1)을 사용한다. 제3 및 제4 PUCCH 반복들은 B1과 상이한 빔(B2)을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NW)는,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MAC-CE 시그널링, 또는 DCI 시그널링을 통해 (M, K) 파라미터 쌍을 UE에 시그널링함으로써 반복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DCI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두문자어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예를 들어, gNB)이 UE가 (더 양호한 신뢰성을 달성하기 위해) 프리코딩/빔 사이클링을 수행하게 허용하기 위해 PUCCH 공간적 일관성 패턴들을 구성하도록 허용될 때, UE는 바람직한 (M, K) 구성을 gNB에게 표시할 수 있다. 기지국(또는 네트워크 요소)은 바람직한 (M, K) 구성을 고려하여 PUCCH 공간적 일관성 패턴을 선택하고, 선택된 패턴을 UE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개의 PUCCH 반복들 사이에서 총 송신 전력이 변화될 때 또는 PUCCH 반복 내에서 총 송신 전력이 변화할 때, UE는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지국(예를 들어, gNB 또는 eNB)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전력 제어 정보는 각각의 슬롯의 시작부에서(또는 특정 슬롯들의 시작부에서) (기지국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고, 따라서, UE의 송신 전력 레벨은 슬롯 경계들에서 변화될 수 있다. UE의 송신기는 송신 전력이 변화되는 슬롯 경계에 걸쳐 위상 연속성을 유지할 수 없을 수 있다. 그러한 위상 불연속성은, 예를 들어 PUCCH의 2개의 반복들이 슬롯 경계에 의해 분리되었을 때 또는 PUCCH 반복이 슬롯-내 모드 1에서 슬롯 경계에 걸쳐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가 2개의 PUCCH 반복들 사이에서 듀플렉싱 방향의 변화를 경험할 때, UE는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지국(예를 들어, gNB 또는 eNB)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플렉싱 방향은 업링크로부터 다운링크로, 그리고 이어서, 업링크로 다시 변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정의에 의해 업링크 송신들인 2개의 연속적인 PUCCH 반복들은 다운링크 송신의 기간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UE의 송신기는 다운링크 송신의 그러한 개재 기간들에 걸쳐 위상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을 수 있거나 유지할 수 없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 반복이 구성될 때, 복수의 TRP들(예를 들어, 기지국들)의 각각의 TRP는 PUCCH 반복 기회들의 대응하는 그룹에 맵핑되도록 논리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TRP에 대해, UE는 PUCCH 반복 기회들의 대응하는 그룹을 사용하여 대응하는 PUCCH를 TRP에 송신할 수 있다. 각각의 그룹은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대응하는 전력 제어 레벨로 구성될 수 있다. UE는 대응하는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대응하는 전력 제어 레벨을 사용하여 PUCCH를 TRP에 송신한다. (전력 제어 레벨은 송신 전력을 결정하거나 그에 영향을 준다.) TRP들은 UE에 대해 상이한 거리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타이밍 어드밴스들 및 상이한 송신 전력들은 상이한 TRP들로의 PUCCH 반복들의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 반복 기회들의 각각의 그룹에 대해, 다음의 정보 요소(IE)들: 업링크 송신을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TA); 및 PUCCH-PowerControl이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일 세트에서,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1400)은 도 14에 도시된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1400)은 또한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요소들 및 동작들의 임의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UE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회로부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600)의 프로세싱 요소(6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1410에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슬롯들을 통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회로부는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도록 (도 6의) 무선 서브시스템(605)에게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예를 들어 gNB 또는 eNB와 같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복들 중 2개 이상은 하나 이상의 슬롯들 중 제1 슬롯에서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슬롯들 중 제2 슬롯은 반복들 중 2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슬롯-내 모드들 1 및 2와 관련하여, "슬롯-내 반복"에 대한 위의 논의를 참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서, 예를 들어 "슬롯-내 반복 모드 1"과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시간은 일정하고, 슬롯 경계들에서 중단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서, 예를 들어 "슬롯-내 반복 모드 2"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시간은 슬롯들 각각 내에서 일정하고, 복수의 반복들의 반복들 중 어느 것도 슬롯 경계에 걸쳐 있지 않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위에서 다양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모드는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수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구성 메시지에 의해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RC 구성 메시지는 또한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시간 오프셋을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400)은 또한 주파수 홉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에 응답하여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400)은 또한, 상기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에서 송신 전력이 변화될 때,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네트워크에(예를 들어,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UE가 그러한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없다면, 기지국은, UE 송신 페이즈가 송신 전력 변화 및/또는 듀플렉싱 방향 변화로 인해 상이한 부분들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을 때, PUCCH 반복 패턴의 상이한 부분들에 대한 PUCCH 추정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UE가 그러한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면, 기지국은 더 양호한 추정 정확도를 위해 PUCCH 반복 패턴의 상이한 부분들을 사용하여 PUCCH 추정을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400)은 또한, 상기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복수의 반복들 중 일 반복 내에서 송신 전력이 변화될 때,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400)은 또한, 상기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에서 듀플렉싱 방향이 변화될 때,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위에서 다양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방법(1400)은 또한, 상기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UE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AC 메시지는 UE에 의해 송신될 PUCCH의 반복들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또한, UE가 반복들을 송신할 서빙 셀의 셀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또한, UE가 반복들을 송신할 대역폭 부분의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대역폭 부분은 캐리어의 대역폭의 인접한 부분이다. 캐리어 대역폭은 (최대 수의 대역폭 부분들까지) 하나 이상의 구성된 대역폭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또한,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PUCCH 리소스에 대한 PUCCH 리소스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상기 수의 반복들로 하나 초과의 PUCCH 리소스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상기 수의 반복들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들 내의 모든 PUCCH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상기 수의 반복들로 복수의 대역폭 부분들 내의 모든 PUCCH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다양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PUCCH의 N개의 반복들은 M개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M개의 세그먼트들 각각은 N개의 반복들 중 대응하는 K개의 반복들을 포함한다. M개의 세그먼트들의 상이한 세그먼트들은 상이한 빔들 또는 프리코딩들과 연관될 수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해, 세그먼트 내의 K개의 반복들은 연관된 빔 또는 프리코딩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과 관련된 위의 논의를 참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 및 K는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gNB 또는 eNB와 같은 기지국)로부터 수신된 구성 정보에 의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400)은 또한, 상기 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M의 바람직한 값 및 K의 바람직한 값을 네트워크에(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바람직한 값들을 사용하여 M 및 K의 값들을 선택하고, 상기 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선택된 값들의 표시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UE는 N개의 반복들을 송신할 때, 선택된 값을 사용하도록 자신을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슬롯-간 반복 모드 및 짧은 PUCCH 포맷에 따라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1410에서 언급된 PUCCH의 PUCCH 포맷이 긴 포맷일 때, UE는 슬롯-내 반복 모드 또는 슬롯-간 반복 모드에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1410에서 언급된 PUCCH의 PUCCH 포맷이 긴 포맷일 때, UE는 슬롯-간 반복 모드에만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1410에서 언급된 PUCCH의 PUCCH 포맷이 긴 포맷일 때, UE는 PUCCH 내의 심볼들의 수가 임계치 값 미만이면, 슬롯-간 반복 모드에 따라 또는 슬롯-내 반복 모드에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1410에서 언급된 PUCCH의 PUCCH 포맷이 짧은 포맷일 때, UE는 슬롯-내 반복 모드 또는 슬롯-간 반복 모드에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1410에서 언급된 PUCCH의 PUCCH 포맷이 짧은 포맷일 때, UE는 슬롯-내 반복 모드에만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400)은 또한,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한 이후,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슬롯들에서 제2 PUCCH의 제2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410에서 언급된 복수의 반복들은 제2 복수와 구별하기 위해 여기서 제1 복수로 지칭될 수 있고; 1410에서 언급된 PUCCH는 제2 PUCCH와 구별하기 위해 여기서 제1 PUCCH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PUCCH의 제1 복수의 반복들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고, 제2 PUCCH의 제2 복수의 반복들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위에서 다양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방법은 또한,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 및 제2 세트를 표시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제1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제2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일 세트에서, 기지국(BS)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1500)은 도 15에 도시된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1500)은 또한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요소들 및 동작들의 임의의 서브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기지국의 프로세싱 회로부에 의해, 예를 들어 기지국(700)의 프로세싱 요소(7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3GPP LTE의 eNB에 의해 또는 3GPP 5GNR의 gNB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1510에서, 방법(1500)은 사용자 장비(UE)로부터, 하나 이상의 슬롯들을 통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구성 정보를 UE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PUCCH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하나 이상의 슬롯들을 구성할 수 있다.
기지국은, 결과적인 신호를 획득하고, 결과적인 신호를 디코딩하여 PUCCH의 페이로드 비트들을 복원하기 위해 PUCCH의 수신된 반복들(또는 그의 서브세트)을 축적할 수 있다. 반복들 축적은, 디코딩이 PUCCH의 단일 송신에 기초했던 경우보다 페이로드 비트들의 더 높은 확률의 성공적인 디코딩을 기지국이 경험하게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반복들 중 2개 이상은 하나 이상의 슬롯들 중 제1 슬롯에서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슬롯들 중 제2 슬롯은 반복들 중 2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슬롯-내 모드들 1 및 2와 관련하여, "슬롯-내 반복"에 대한 위의 논의를 참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서, 예를 들어 "슬롯-내 반복 모드 1"과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시간은 일정하고, 슬롯 경계들에서 중단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서, 예를 들어 "슬롯-내 반복 모드 2"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시간은 슬롯들 각각 내에서 일정하고, 복수의 반복들의 반복들 중 어느 것도 슬롯 경계에 걸쳐 있지 않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500)은 무선 리소스 제어(RRC) 구성 메시지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RC 구성 메시지는, 예를 들어 위에서 다양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도록 UE에게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RC 구성 메시지는 또한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시간 오프셋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500) 또한, 예를 들어 위에서 다양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 정보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구성 정보는 주파수 홉핑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UE에게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500)은 또한, 상기 복수의 반복들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에서 UE의 송신 전력이 변화될 때,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500)은 또한, 상기 복수의 반복들을 수신하기 전에, 복수의 반복들 중 일 반복 내에서 UE의 송신 전력이 변화될 때,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500)은 또한, 상기 복수의 반복들을 수신하기 전에,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에서 듀플렉싱 방향이 변화될 때,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500) 또한, 예를 들어 위에서 다양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도록 UE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메시지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AC 메시지는 UE에 의해 송신될 PUCCH의 반복들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또한, UE가 반복들을 송신하도록 지시받는 서빙 셀의 셀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또한, UE가 반복들을 송신할 대역폭 부분의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또한,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PUCCH 리소스에 대한 PUCCH 리소스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상기 수의 반복들로 하나 초과의 PUCCH 리소스를 업데이트하도록 UE에게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상기 수의 반복들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들 내의 모든 PUCCH들을 업데이트하도록 UE에게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상기 수의 반복들로 복수의 대역폭 부분들 내의 모든 PUCCH들을 업데이트하도록 UE에게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UCCH의 N개의 반복들은 M개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M개의 세그먼트들 각각은 N개의 반복들 중 대응하는 K개의 반복들을 포함한다. M개의 세그먼트들의 상이한 세그먼트들은 상이한 빔들 또는 프리코딩들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 및 연관된 설명을 참조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개의 세그먼트들 각각에 대해, 기지국은 그 세그먼트의 K개의 반복들에 기초하여 PUCCH를 독립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평균 신호 전력 레벨(또는 신호 대 잡음비)이 가장 큰 세그먼트의 K개의 반복들로부터 PUCCH를 추정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평균 신호 전력 레벨(또는 신호 대 잡음비)에 따라 세그먼트들을 순서화할 수 있고, 평균 신호 전력 레벨(또는 신호 대 잡음비)이 가장 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 각각으로부터 PUCCH를 독립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기지국은 세그먼트들 중 선택된 세그먼트, 예를 들어 PUCCH 반복들의 송신 전에 UE로 시그널링되었던 세그먼트의 K개의 반복들에 기초하여 PUCCH를 추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500) 또한, 상기 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수신하기 전에, 구성 정보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구성 정보는 M 및 K를 UE에게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500)은 또한, 상기 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수신하기 전에, UE로부터 M의 바람직한 값 및 K의 바람직한 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슬롯-간 반복 모드 및 짧은 PUCCH 포맷에 따라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의 포맷이 긴 포맷일 때, 기지국은 슬롯-내 반복 모드 또는 슬롯-간 반복 모드에 따라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도록 UE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의 PUCCH 포맷이 긴 포맷일 때, 기지국은 슬롯-간 반복 모드에만 따라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도록 UE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의 포맷이 긴 포맷일 때, 기지국은, PUCCH 내의 심볼들의 수가 임계치 값 미만이면, 슬롯-간 반복 모드에 따라 또는 슬롯-내 반복 모드에 따라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도록 UE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의 포맷이 짧은 포맷일 때, 기지국은 슬롯-내 반복 모드 또는 슬롯-간 반복 모드에 따라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도록 UE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UCCH의 포맷이 짧은 포맷일 때, 기지국은 슬롯-내 반복 모드에만 따라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도록 UE를 구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1510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슬롯들을 통해 PUCCH의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논의에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복수를 "제1 복수"로 그리고 이러한 PUCCH를 "제1 PUCCH"로 지칭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500)은 또한, 상기 제1 PUCCH의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 및 제2 세트를 표시하는 구성 정보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PUCCH의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수신한 이후, 제2 PUCCH의 제2 복수의 반복들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슬롯들에서 수신될 수 있다.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는 제1 PUCCH의 제1 복수의 반복들의 UE의 송신을 위한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제1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는 제2 PUCCH의 제2 복수의 반복들의 UE의 송신을 위한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제2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일 세트에서, 기지국(BS)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메시지를 UE에 송신함으로써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송신의 반복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장비(UE)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MAC 메시지는 UE에 의해 송신될 PUCCH의 반복들의 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또한, UE가 PUCCH 반복들을 송신할 서빙 셀의 셀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또한, UE가 PUCCH 반복들을 송신할 대역폭 부분의 식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또한, PUCCH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PUCCH 리소스에 대한 PUCCH 리소스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PUCCH의 상기 수의 반복들에 대해 하나 초과의 PUCCH 리소스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PUCCH의 상기 수의 반복들로 컴포넌트 캐리어(CC)들의 목록 내의 모든 PUCCH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메시지는 PUCCH의 상기 수의 반복들로 대역폭 부분들의 목록의 모든 대역폭 부분들 내의 모든 PUCCH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일 세트에서, 사용자 장비(UE)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UCCH의 N개의 반복들은 M개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M개의 세그먼트들 각각은 N개의 반복들 중 대응하는 K개의 반복들을 포함한다. M개의 세그먼트들의 상이한 세그먼트들은 상이한 빔들 또는 프리코딩들과 연관될 수 있다.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해, 세그먼트 내의 K개의 반복들은 동일한 연관된 빔 또는 프리코딩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 및 K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구성 정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상기 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M의 바람직한 값 및 K의 바람직한 값을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일 세트에서, 사용자 장비(UE)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은, 반복 기회들의 제1 그룹에 대해, 제1 그룹의 개개의 반복 기회들에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제1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 - 제1 반복들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됨 -; 및 반복 기회들의 제2 그룹에 대해, 제2 그룹의 개개의 반복 기회들에서 PUCCH의 제2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 - 제2 반복들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됨 - 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은 또한,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 및 제2 세트를 표시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제1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제2 송신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들 중 임의의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은 컴퓨터 구현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 또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ASIC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주문 설계형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은 FPGA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하드웨어 요소들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 매체는 그것이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면,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여금, 방법,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서브세트, 또는 그러한 서브세트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시스템은 프로세서(또는 프로세서들의 세트) 및 메모리 매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메모리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메모리 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방법 실시예(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 실시예들 중 임의의 방법 실시예의 임의의 서브세트, 또는 그러한 서브세트들의 임의의 조합)를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하다. 컴퓨터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들 중 임의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은 (그의 다양한 실현들 중 임의의 실현에서의) 개인용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카드 상의 컴퓨터, 박스 내의 애플리케이션-특정 컴퓨터, 서버 컴퓨터, 클라이언트 컴퓨터, 핸드헬드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UE) 디바이스,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터 등일 수 있다.
기지국(또는 송신-수신 포인트)과 통신하는 사용자 장비(UE)를 동작시키기 위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은, 다운링크에서 UE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메시지/신호 X를 기지국(또는 송신-수신 포인트)에 의해 송신되는 메시지/신호 X로서 그리고 업링크에서 UE에 의해 송신된 각각의 메시지/신호 Y를 기지국(또는 송신-수신 포인트)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신호 Y로서 해석함으로써, 기지국(또는 송신-수신 포인트)을 동작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방법의 기초일 수 있다.
개인 식별가능 정보의 사용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산업 또는 정부 요건들을 충족시키거나 초과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 잘 이해된다. 특히, 개인 식별가능 정보 데이터는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사용의 위험들을 최소화하도록 관리되고 취급되어야 하며, 인가된 사용의 성질이 사용자들에게 명확히 표시되어야 한다.
위의 실시예들이 상당히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일단 위의 개시내용이 충분히 인식되면, 많은 변형들 및 수정들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다. 다음의 청구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을 망라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2)

  1. 사용자 장비(UE)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슬롯들을 통해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들 중 2개 이상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들 중 제1 슬롯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시간은 일정하고, 슬롯 경계들에서 중단되지 않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들은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시간은 상기 슬롯들 각각 내에서 일정하고, 상기 제1 복수의 상기 반복들 중 어느 것도 슬롯 경계에 걸쳐 있지(straddle) 않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모드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무선 리소스 제어(RRC) 구성 메시지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RRC 구성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의 시간 오프셋을 표시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주파수 홉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에서 송신 전력이 변화될 때, 상기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 중 일 반복 내에서 송신 전력이 변화될 때, 상기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의 연속적인 반복들 사이에서 듀플렉싱 방향이 변화될 때, 상기 UE가 위상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의 표시를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UCCH의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상기 UE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MAC 메시지는 상기 UE에 의해 송신될 상기 제1 PUCCH의 상기 반복들의 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AC 메시지는 또한,
    상기 UE가 상기 반복들을 송신할 서빙 셀의 셀 ID;
    상기 UE가 상기 반복들을 송신할 대역폭 부분의 식별;
    상기 반복들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UE에 의해 사용될 PUCCH 리소스에 대한 PUCCH 리소스 I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AC 메시지는 상기 UE에 의해 사용되어,
    상기 수의 반복들로 하나 초과의 PUCCH 리소스를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상기 수의 반복들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들 내의 모든 PUCCH들을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상기 수의 반복들로 복수의 대역폭 부분들 내의 모든 PUCCH들을 업데이트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UCCH의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PUCCH의 상기 N개의 반복들은 M개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되고, 상기 M개의 세그먼트들 각각은 상기 N개의 반복들 중 대응하는 K개의 반복들을 포함하고, 상기 M개의 세그먼트들의 상이한 세그먼트들은 상이한 빔들 또는 프리코딩들과 연관되고,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해, 상기 세그먼트 내의 상기 K개의 반복들은 상기 연관된 빔 또는 프리코딩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UCCH의 N개의 반복들을 송신하기 전에 M의 바람직한 값 및 K의 바람직한 값을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UCCH의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한 이후,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슬롯들에서 제2 PUCCH의 제2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되고,
    상기 제2 복수의 반복들은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 및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표시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는 제1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제1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는 제2 타이밍 어드밴스 및/또는 제2 송신 전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UCCH의 상기 제1 복수의 반복들을 송신하는 단계는 슬롯-간(inter-slot) 반복 모드 및 짧은 PUCCH 포맷에 따라 수행되는,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UCCH의 PUCCH 포맷이 긴 포맷일 때,
    상기 UE는 슬롯-내(intra-slot) 반복 모드 또는 슬롯-간 반복 모드에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UE는 단지 슬롯-간 반복 모드에만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UE는 상기 제1 PUCCH 내의 심볼들의 수가 임계치 값 미만이면, 슬롯-간 반복 모드에 따라 또는 슬롯-내 반복 모드에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한,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UCCH의 PUCCH 포맷이 짧은 포맷일 때,
    상기 UE는 슬롯-내 반복 모드 또는 슬롯-간 반복 모드에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UE는 단지 슬롯-내 반복 모드에만 따라 상기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가능한, 사용자 장비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21.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한 비일시적 메모리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프로세싱 회로부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비일시적 메모리 매체.
  22. 사용자 장비로서,
    무선 서브시스템;
    상기 무선 서브시스템에 커플링된 프로세싱 회로부; 및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싱 회로부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UE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사용자 장비.
KR1020237010972A 2020-10-02 2020-10-02 Pucch 송신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pucch 반복 KR202300584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19780 WO2022067846A1 (en) 2020-10-02 2020-10-02 Pucch repetitio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pucch 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489A true KR20230058489A (ko) 2023-05-03

Family

ID=80949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972A KR20230058489A (ko) 2020-10-02 2020-10-02 Pucch 송신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pucch 반복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14328A1 (ko)
EP (1) EP4208950A4 (ko)
JP (1) JP2023545678A (ko)
KR (1) KR20230058489A (ko)
CN (1) CN116325597A (ko)
BR (1) BR112023006020A2 (ko)
WO (1) WO2022067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24755A1 (en) * 2020-10-16 2022-04-21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less sequence-based noncoheren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with repetition
US20220224475A1 (en) * 2021-01-14 2022-07-14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bundling for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petitions
WO2024019321A1 (en) * 2022-07-22 2024-01-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s repeatedly based on timing adv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0370B2 (en) * 2012-01-09 2016-03-29 Qualcomm Incorporated Phase difference signaling in MIMO mode uplink
JP6645807B2 (ja) * 2015-11-06 2020-02-1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通信端末、送信方法及び集積回路
WO2019095271A1 (zh) * 2017-11-17 2019-05-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资源确定方法、装置、网元及系统
CN110474747B (zh) * 2018-05-11 2022-0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和装置、及终端
US11510184B2 (en) * 2018-07-03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petition
CN110691412B (zh) * 2018-07-04 2021-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Pucch冲突的处理方法和终端
US11350416B2 (en) * 2018-07-20 2022-05-31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petition configuration
JP7244521B2 (ja) * 2018-07-30 2023-03-22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US11611412B2 (en) * 2018-07-30 2023-03-21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200092068A1 (en) * 2018-09-19 2020-03-19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ment codebook design for multiple transmission reception points
WO2020065740A1 (ja) * 2018-09-25 2020-04-0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
JP2020072425A (ja) * 2018-11-01 2020-05-0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1382076B2 (en) 2018-12-24 2022-07-05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petition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s
US11627560B2 (en) * 2019-01-07 2023-04-11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WO2020145610A1 (ko) * 2019-01-09 2020-07-16 주식회사 케이티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312315A (zh) * 2019-04-19 2019-10-0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EP4358463A3 (en) * 2019-05-02 2024-05-01 Wilus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hared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supporting same
US20200351891A1 (en) * 2019-05-03 2020-11-05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 configuration
US11832283B2 (en) * 2019-07-25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Details of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repetition with different beams
WO2021034052A1 (en) * 2019-08-16 2021-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KR20210033370A (ko) * 2019-09-18 2021-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협력 통신을 위한 상향링크 반복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503609B2 (en) * 2019-09-27 2022-11-15 Qualcomm Incorporated PUCCH repetition before RRC connection setup
CN114424484A (zh) * 2019-10-03 2022-04-29 夏普株式会社 具有重复的urllc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pucch)
WO2021087856A1 (en) * 2019-11-07 2021-05-14 Zt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repetition mode indicators
CN114762263A (zh) * 2019-11-25 2022-07-1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网络协作通信的默认波束配置方法及装置
WO2021107631A1 (ko) * 2019-11-26 2021-06-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반복 전송 방법 및 장치
EP4085717A4 (en) * 2020-01-19 2022-12-28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AN RF RETUNE COLUMN FOR UPLINK CROSS-BWP FREQUENCY HOPPING
WO2021157277A1 (en) * 2020-02-06 2021-08-12 Sharp Kabushiki Kaisha Signaling and configurations of subslot-based pucch repetition
KR20210101002A (ko) * 2020-02-07 202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협력 통신을 위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10203397A1 (en) * 2020-02-13 2021-07-01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beam uplink transmission
US20230171778A1 (en) * 2020-03-06 2023-06-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sub-slo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repetitions
US11871408B2 (en) * 2020-06-16 2024-01-09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petition across slot types
US11902027B2 (en) * 2020-07-01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chanisms and conditions for supporting repetitions for a PUCCH transmission
WO2022030525A1 (en) * 2020-08-05 2022-02-10 Sharp Kabushiki Kaisha Code rate determination for multiplexing of harq-ack with different priorities on pucch with separate coding
US20230291523A1 (en) * 2020-08-05 2023-09-14 Idac Holdings, Inc.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transmission in wireless systems
JP2023536168A (ja) * 2020-08-06 2023-08-23 富士通株式会社 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の送信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20220069959A1 (en) * 2020-08-26 2022-03-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 carrier aggregation
US20220086825A1 (en) * 2020-09-11 2022-03-17 Qualcomm Incorporated Different orthogonal cover code matrix sizes across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petitions
WO2022061249A1 (en) * 2020-09-20 2022-03-24 Babaei Alireza Enhanced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processes
US11601159B2 (en) * 2020-09-21 2023-03-07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of frequency and beam hopping for single-beam and multi-beam PUCCH
US11902977B2 (en) * 2020-09-21 2024-02-13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PUCCH transmission for repetition or frequency hopping
US20220103234A1 (en) * 2020-09-25 2022-03-3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receive point (trp)-specific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bfrq)
US11800456B2 (en) * 2020-09-28 2023-10-2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determination for control channel repetitions
US20230319828A1 (en) * 2022-03-31 2023-10-05 Qualcomm Incorporated Collision handling between pucch repetitions
US20230319846A1 (en) * 2022-04-04 2023-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indicating dynamic beam switching via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7846A1 (en) 2022-04-07
CN116325597A (zh) 2023-06-23
EP4208950A4 (en) 2023-09-27
EP4208950A1 (en) 2023-07-12
BR112023006020A2 (pt) 2023-05-09
JP2023545678A (ja) 2023-10-31
US20230014328A1 (en)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72321B (zh) 非相干联合传输的下行链路控制
CN112583462A (zh) 用于报告信号质量信息的系统和方法
US119735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st single-DCI and multi-DCI mode switching
WO2022067846A1 (en) Pucch repetitio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pucch transmission
US20220271815A1 (en) Reduction of Overhead Associated with Configuration of Transmission Functions Relating to Sounding Reference Signals
JP2022550047A (ja) アップリンク空間関係インジケーション及び電力制御
US20230396378A1 (en) Multiplexing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for Operation with Multiple Transmission-Reception Points
KR20220163335A (ko) 셀 에지 신뢰성 개선
KR20230056719A (ko) 뉴 라디오 커버리지에 대한 향상된 채널 추정을 위한 기지국 시그널링
CN116097574A (zh) 用于为用户装备(ue)在非对称上行链路(ul)天线面板中进行选择的系统和方法
US20220353859A1 (en) Accumulation of PUCCH Repetition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PUCCH Reception
WO2022205415A1 (en) Timing advance in layer 1/layer 2 inter-cell mobility
US20230232290A1 (en) Rach configuration in l1/l2 mobility
US20220303950A1 (en) Mechanisms for Indicating Beam Directions
JP7416857B2 (ja) ネットワークへの無線リンク障害(rlf)報告のためのメカニズム
US11943722B2 (en) Uplink timing synchronization maintenance in secondary cell group
KR20230043763A (ko) Ue들의 그룹에 대한 공동 대역폭부 전환
CN116097572A (zh) 用于为在用户装备(ue)处选择非对称上行链路(ul)天线面板提供网络指示的系统和方法
KR20230005870A (ko) 초단파 스펙트럼에서의 위상 잡음 감소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