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10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109A
KR20140008109A KR1020120075215A KR20120075215A KR20140008109A KR 20140008109 A KR20140008109 A KR 20140008109A KR 1020120075215 A KR1020120075215 A KR 1020120075215A KR 20120075215 A KR20120075215 A KR 20120075215A KR 20140008109 A KR20140008109 A KR 20140008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ed mode
handover
base station
m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122B1 (ko
Inventor
임한나
정상수
조성연
손중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122B1/ko
Priority to US14/413,317 priority patent/US9445342B2/en
Priority to PCT/KR2013/006135 priority patent/WO2014010937A1/ko
Publication of KR20140008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109A/ko
Priority to US15/260,945 priority patent/US982645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UE in long connected mode) 핸드오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기지국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은 단말이 긴 연결 모드(long connected mode)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일반 연결 모드(normal connected mode)에 비해 채널 측정 보고 트리거 기준이 완화된 채널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ILING HANDOVER FOR USER EQUIPMENT IN LONG CONNECTED M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UE in long connected mode) 핸드오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원의 부족 현상 및 사용자들의 고속 서비스 요구로 인해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개발 중인 하나의 시스템으로써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A(Long Term Evolution - Advanced)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A는 최대 1 Gbps정도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시 무선 자원(radio resource)을 할당받을 수 있는 연결 상태(connected mode)에 있고,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된 이후에는 무선 자원 연결이 해제(release)된 아이들 상태로 (idle mode) 변경된다. 아이들 상태의 단말이 다시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해서는 무선 자원을 할당받기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그런데 최근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자주 사용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 경우, 단말은 킵 얼라이브 (keep-alive message), 상태 천이 (state transition) 등과 같은 작은 데이터(small data)를 빈번하게 발생시킨다.
이러한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무선 자원 (radio resource) 및 코어 네트워크 자원 (core network resource) 할당 및 해제(release)를 위해 시그널링을 빈번하게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네트워크에 시그널링 부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기반이 되는 코어망(EPC, Evolved Packet Core)의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EPS를 구성하는 엔터티(entity)중 본 발명에 관련된 엔터티만을 도식한 것이다. 이러한 EPS에는 추가적인 엔터티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지 않은 추가 기능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UE (100, User equipment)는 단말을 나타내며, eNB(102)는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엔터티로 단말(100)과 무선 채널을 통해 연결된다.
MME는 (108, 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동성 관리 엔티티로 아이들 모드(idle mode)의 단말(100)을 관리하며 단말의 로밍(Roaming) 및 인증(Authentication)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MME(108)는 단말(100)에서 발생하는 베어러 시그널을 처리한다.
HSS는 (110, Home Subscriber Server) 각 단말에 대한 가입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100)이 네트워크에 접속 시 MME(108)에게 단말(100) 관련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MME(108)가 단말(100)을 제어하는 데 사용하도록 한다.
SGW(Serving Gateway, 104) 는 단말의 user bearer을 관리하며, 단말에게 데이터가 도착했을 때, 이를 MME에게 알린다. PGW(106)는 서비스 망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단말로부터 서비스망에 전달될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policy등을 가진다.
상기 EPS에서,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eNB 와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설정(establishment)하고, eNB와 MME는 컨텍스트 설정 (context setup) 및 S1 연결(S1 connection)을 맺는다.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된 후, 일정조건이 만족하면, MME또는 eNB는 eNB 컨텍스트 릴리즈 (context release), 즉 S1 연결(connection)을 해제한다. 또한, eNB는 단말 RRC 연결 해제 (RRC connection release) 수행하여, 단말을 아이들(idle) 상태로 천이시킨다.
그런데 단말이 작은 데이터 (small data)를 빈번하게 송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연결(connected) 상태와 아이들(idle) 상태를 반복하게 되고, 이로 인해 네트워크는 S1 connection, data radio bearer establishment 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부하를 겪게 된다.
그러므로, 빈번한 small data 전송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상태 천이를 최소로 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단말을 connected mode로 길게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시 말하면, 단말이 데이터 송수신을 하지 않는 동안에도, small data 발생시 시그널링 부하없이 처리하기 위해 네트워크는 단말을 connected mode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을 connected mode로 길게 유지하면, 단말을 핸드오버 시켜야 하는 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의 연결 상태가 길게 유지되는 경우, 시그널링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long connected mode로 유지되는 단말에게 발생하는 핸드오버 시그널링 부하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가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은, 단말의 핸드오버 횟수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방법과, 핸드오버를 해야하는 경우 단말을 핸드오버 시키지 않고 idle모드로 천이시키는 방법과, 핸드오버시 발생되는 시그날링 또한 컨택스트를 최소로 유지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로 유지될 때, 핸드오버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핸드오버에 따르는 시그널링 부하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기반이 되는 코어망(EPC, Evolved Packet Core)의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단말의 S1 핸드오버 과정에 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르는 핸드오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small data는 킵 어라이브(keep-alive) 또는 상태 천이(state transition)메시지 등 저속(low data rate)이거나 지연이 허용(delay tolerant)되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데이터를 의미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long connected mode란, 단말이 ongoing data 없이 연결모드(connected mode)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현된다. 그리고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long connected mode 단말의 핸드오버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1) 네트워크가 단말의 측정 설정(measurement configuration) 등을 기존 connected mode와 다르게 조정하거나, 단말이 보낸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를 기존 connected mode처리기준과 다르게 설정하여, 네트워크가 단말의 핸드오버 횟수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방법과 2)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네트워크가 단말을 유휴 모드(idle mode)로 천이시키는 방법과 3)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포워딩 관련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최소한의 컨텍스트(context) 이동만을 수행하는 light 핸드오버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단말이long connected mode임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eNB가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임을 아는 방법은 a) MME로부터 특정 변수 또는 가입정보의 일부로 해당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임을 전달받는 방법 그리고/또는b) eNB내에 단말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해 파악하는 방법이 있다.
<제 1 실시예 >
네트워크가 단말의 measurement configuration등을 기존 connected mode와 다르게 조정하거나, 단말이 보낸 measurement report를 기존 connected mode처리기준과 다르게 설정하여, 네트워크가 단말의 핸드오버 횟수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방법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eNB는 long connected mode단말의 measurement configuration값을 별도로 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eNB는 Attach, Service Request 등의 과정에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 message) 를 통해 long connected mode 의 단말에게 별도의 채널 측정 구성(measurement configuration)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이 measurement report를 보내는 간격을 기존 connected mode보다 길거나, 단말이 measurement report를 보내는 threshold값을 기존 connected mode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값은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내의 MeasConfig IE 내에 새로운 변수값 또는 기존변수의 값을 변경한 형태로 포함된다.
나아가, eNB는 long connected mode로 유지되는 단말을 위한 measurement report 처리 기준을 별도로 운용할 수 있다. eNB 는 단말로부터 measurement report 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 기준에 따라 단말을 핸드오버 시킬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measurement report 처리 기준에 따르면, 기지국이 long connected mode 단말을 핸드오버 시키는 기준은 기존 connected mode에 비해 loose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long connected mode 단말이 핸드 오버하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connected mode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경우eNB는 앞서 설명한 long connected mode를 위한 measurement report 처리 기준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이 방법을 적용하면, 단말은 기존 connected mode보다 낮은 signal strength 상황에도 해당 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셀의 coverage 가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는 eNB는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조정하여 long connected mode 단말의 핸드오버 횟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Long connected mode 단말을 위한, measurement report 처리기준과 measurement configuration 값은 사업자가 미리 설정한 값일 수도 있고, eNB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는 값이다. 또한, 네트워크 내의 모든 eNB에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각 eNB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Long connected mode단말 전체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도 있고, 또는 단말마다 다르게 설정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 단말의 핸드오버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이 도면과 같은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 기존 connected mode 단말은 eNB 로부터의 handover command메시지에 따라, Cell 1로부터 Cell 3을 거쳐 Cell 2로 핸드오버 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는 long connected mode 단말은 상기 이동 중에도 핸드오버 없이 Cell1에 연결된다. Long connected mode 단말은 low data rate 그리고/또는 delay tolerant small data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ongoing 데이터가 없는 상태이므로, eNB2 또는 eNB3로부터의 interference 등으로 인한 송수신 장애를 감수할 수 있다.
만약 임의의 위치의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단말을 위한 설정에 따라, 단말을 cell1에 연결할 수 있는 최소 기준을 벗어난 경우 (예: signaling strength가 threshold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 eNB는 단말을 cell2로 핸드오버 시킨다.
<제 2 실시예 >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네트워크가 단말을 idle mode로 천이시키는 방법
제 2실시예는ongoing data 가 없는 long connected mode 단말이 핸드오버를 할 상황이 되면, 단말을 idle 모드로 천이시키는 방법이다.
eNB는 long connected mode 단말이 보낸 measurement report를 분석한다. 만약 단말을 핸드오버 시켜야 하는 기준에 부합하면, eNB는 단말을 핸드오버 시키지 않고, S1 release 과정을 triggering 해 단말을 idle mode로 천이시킨다. 상기 핸드오버 기준은 1)에서 언급한 long connected 단말을 위한 설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 단말의 핸드오버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이 도면과 같은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 기존 connected mode 단말은 eNB1 으로부터 handover command메시지에 따라, Cell 1로부터 cell 2로 핸드오버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long connected mode 단말의 경우, eNB1은 단말이 보낸 measurement report를 보고 단말을 핸드오버 시켜야 하는 조건에 부합하면, 단말을 cell2로 핸드오버 시키지 않고, S1 release과정을 트리거링한다. 즉, eNB1은 단말에게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보낸다.
한편, 제 1실시예에서 제안한 long connected mode단말을 위한 설정을 제 2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를 따르는long connected mode 단말은 기존 connected mode 단말의 경우 핸드오버를 해야 하는 상황에도 핸드오버를 하지 않고 현재 셀에 연결되어 있다.
만약, 임의의 위치의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단말을 위한 설정에 따라, 단말을 현재 셀에 연결할 수 있는 최소 기준을 벗어난 경우 (예: signaling strength가 threshold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 eNB는 단말의 S1 을 release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적용하면 단말은 일반 connected mode 보다 idle모드로 천이되는 횟수가 작다.
<제 3 실시예 >
핸드오버 과정 중 데이터 포워딩 관련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최소한의 context 이동만을 수행하는 light 핸드오버 방법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Ongoing data가 없는 long connected mode 단말이 핸드오버를 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기존 핸드오버 절차 중에서 데이터 포워딩 관련 과정을 수행하지 않도록 동작한다. 이를 통해, 핸드오버로 인해 발생하는 시그널링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기존 connected mode단말의 S1 핸드오버 과정이다. 간단히 설명하면, eNB는 단말의 핸드오버를 결정하여 이를 source MME에게 알리고, source MME는 target MME에게 data forwarding 을 위한 요청을 전달한다. source MME와 target MME는 source SGW와 target SGW와 데이터 포워딩 과정을 수행한다. 즉, 핸드오버 수행시 데이터 포워딩 관련 부하가 많은 부분을 차지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발명에 따라, 단말을 S1 핸드오버 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Source eNB는 단말을 핸드오버 시키는 결정을 한다. Source eNB는 앞서 설명한 대로,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인지, ongoing data가 없는지를 이미 알고 있다. (단계 501)
2. Source eNB는 source MME에게 HO required 메시지를 전달한다.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인지 여부를 알아내는 방법에 따라 HO required 메시지는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계 502)
3. Source MME는 target MME에게 데이터 포워딩 관련 과정수행이 필요없음을 Forward Relocaton Request메시지를 통해 알린다. 상기 정보는 Forward Relocaton Request메시지 내에 새로운 parameter로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 parameter 값을 변경함으로써 알릴 수도 있다. 도4에 표시된 Forward Relocation is not required는 상기 기술한 두 방법을 모두 일컫는다. (단계 503)
4. Target MME는 필요시 해당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임을 저장한다.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라는 정보는 MME가 관리하는 단말관련 context에서 data bearer관련 parameter가 생략되어도 에러로 판단하지 않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target MME는 data bearer관련 parameter를 생략하고 target eNB에게 HO request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단계 530)
5. target MME는 target eNB에게 long connected 단말이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HO request메시지를 보낸다. 상기 정보는 HO request메시지 내에 새로운 parameter로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 parameter 값을 변경함으로써 알릴 수도 있다. 도4에 표시된 long connected는 상기 기술한 두 방법을 모두 일컫는다. (단계 505)
6. Target eNB는 필요시 해당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임을 저장한다.(단계 540)
7. 이후 과정은 표준 과정을 따른다.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target eNB는 해당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임을 source eNB로부터 target eNB에게 전달되는 transparent container 로부터 알 수 있다. Source eNB가 해당 단말이 long connected mode임을 transparent container에 포함하여 전달하며, 이 contraner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source MME, target MME를 거쳐 target eNB에 전달된다.
100: 단말
102 : 기지국
104 : SGW (Serving Gateway)
106 : PGW (Packetdata Gateway)
108: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
110: HSS (Home Subscriber Server)

Claims (14)

  1. 기지국이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긴 연결 모드(long connected mode)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일반 연결 모드(normal connected mode)에 비해 채널 측정 보고 트리거 기준이 완화된 채널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된 채널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일반 연결 모드에 비해, 단말이 채널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는 주기를 길게 설정하거나 또는 전송 전력 하한 기준 값을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기지국이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긴 연결 모드(long connected mode)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채널 측정 보고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일반 연결 모드(normal connected mode)에 비해 완화된 기준에 따라 상기 긴 연결 모드 단말의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된 기준은
    상기 일반 연결 모드에 비해, 단말의 핸드 오버를 허용하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기지국이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긴 연결 모드(long connected mode)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채널 측정 보고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일반 연결 모드(normal connected mode)와 동일한 기준에서 상기 단말을 핸드 오버해야 하는 경우,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 네트워크 시스템이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MME가 단말이 긴 연결 모드(long connected mode)에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1 MME가 상기 긴 연결 모드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MME가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타겟인 제 2 MME에게 데이터 포워딩 과정 생략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MME가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타겟인 제 2 기지국에게 상기 단말이 긴 연결 모드에 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이 긴 연결 모드(long connected mode)에 있는지 확인하고, 일반 연결 모드(normal connected mode)에 비해 채널 측정 보고 트리거 기준이 완화된 채널 측정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된 채널 측정 구성 정보는,
    상기 일반 연결 모드에 비해, 단말이 채널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는 주기를 길게 설정하거나 또는 전송 전력 하한 기준 값을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이 긴 연결 모드(long connected mode)에 있는지 확인하고, 채널 측정 보고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일반 연결 모드(normal connected mode)에 비해 완화된 기준에 따라 상기 긴 연결 모드 단말의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완화된 기준은
    상기 일반 연결 모드에 비해, 단말의 핸드 오버를 허용하는 기준 신호의 세기를 낮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이 긴 연결 모드(long connected mode)에 있는지 확인하고, 채널 측정 보고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일반 연결 모드(normal connected mode)와 동일한 기준에서 상기 단말을 핸드 오버해야 하는지 판단하여 RRC 연결 해제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단말의 핸드오버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의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MME에게 전송하는 기지국; 및
    상기 단말이 긴 연결 모드(long connected mode)에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핸드오버 타켓인 제 2 MME에게 데이터 포워딩 과정 생략을 요청하는 제 1 MM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ME로부터 상기 데이터 포워딩 과정 생략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타겟인 제 2 기지국에게 상기 단말이 긴 연결 모드에 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 MM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20075215A 2012-07-10 2012-07-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99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215A KR101999122B1 (ko) 2012-07-10 2012-07-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US14/413,317 US9445342B2 (en) 2012-07-10 2013-07-10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andover of user equipment in long connected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3/006135 WO2014010937A1 (ko) 2012-07-10 2013-07-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260,945 US9826456B2 (en) 2012-07-10 2016-09-09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andover of user equipment in long connected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215A KR101999122B1 (ko) 2012-07-10 2012-07-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109A true KR20140008109A (ko) 2014-01-21
KR101999122B1 KR101999122B1 (ko) 2019-07-11

Family

ID=4991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215A KR101999122B1 (ko) 2012-07-10 2012-07-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445342B2 (ko)
KR (1) KR101999122B1 (ko)
WO (1) WO20140109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275A (ko) * 2014-12-22 2016-07-27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sgw, 단말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수신 방법, sgw 의 수신 방법, 및 단말기의 수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122B1 (ko) * 2012-07-10 2019-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348B1 (ko) * 2006-10-16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80250B1 (ko) * 2009-02-13 201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csg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시 억세스 제어시스템및 방법.
KR101607336B1 (ko) 2009-06-07 201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b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1959269B (zh) * 2009-07-15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和装置
KR101607129B1 (ko) * 2010-01-28 201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660818B1 (ko) * 2010-02-16 201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3044489A1 (zh) * 2011-09-29 2013-04-04 富士通株式会社 一种估计终端移动状态的方法和装置
US9220041B2 (en) * 2011-09-30 2015-12-22 Nokia Technologies Oy Mobility enhancement for fast moving user equipment in a heterogenous network environment
US8594699B1 (en) * 2012-05-01 2013-11-26 Blackberry Limited Determining speed dependent scaling factors
KR101999122B1 (ko) * 2012-07-10 2019-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모드가 길게 유지되는 단말의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2154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275A (ko) * 2014-12-22 2016-07-27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sgw, 단말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수신 방법, sgw 의 수신 방법, 및 단말기의 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0937A1 (ko) 2014-01-16
US20170006519A1 (en) 2017-01-05
US9445342B2 (en) 2016-09-13
KR101999122B1 (ko) 2019-07-11
US20150208315A1 (en) 2015-07-23
US9826456B2 (en) 201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5620A1 (en) Signaling optimization method and device
JP6569779B2 (ja) マスター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6474891B2 (ja) サービス固有のエアインターフェース選択
EP3051876B1 (en) Small cell switching method, enb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1613419B1 (ko) 무선 링크 장애 동안 통화 중단 회피
WO20182014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a group handover
WO2017148399A1 (zh) 应用于超级小区的通信方法和装置
EP2993939B1 (en) Cell handover method and base station for user equipment (ue) handover in carrier aggregation mode
CN105282783B (zh) 一种双连接中功率余量报告的上报方法、装置和系统
WO20141348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KR20120000859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US9668244B2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macro base station, and low-power node
US20160112922A1 (en) Handover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0306520B2 (en) Handover method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device for same
EP3466187A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in a 5g radio access network
CN110087269B (zh) 用户设备接入网络的方法和接入设备
KR20170125292A (ko) 연결 상태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US98264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andover of user equipment in long connected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03193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34703A (ko) 호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69446A (ko) 호 설정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CN111836406A (zh) 一种网络配置方法和装置
KR20170068995A (ko) 트래픽 패킷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