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934A - 접합 후 화소가 풀 커버된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접합 후 화소가 풀 커버된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934A
KR20170101934A KR1020177018763A KR20177018763A KR20170101934A KR 20170101934 A KR20170101934 A KR 20170101934A KR 1020177018763 A KR1020177018763 A KR 1020177018763A KR 20177018763 A KR20177018763 A KR 20177018763A KR 20170101934 A KR20170101934 A KR 20170101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far
video wall
ze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795B1 (ko
Inventor
워이캉 딩
저민 하
Original Assignee
워이캉 딩
저민 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이캉 딩, 저민 하 filed Critical 워이캉 딩
Publication of KR2017010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에 관련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개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접합 후의 비디오 월은 "전체적 제로-멀리온" 디스플레이이고, 비디오 월의 임의의 디스플레이 구역 내에 "화소가 풀 커버"되는 것을 실현하여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이 없을 뿐 아니라 또한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이 없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된다. 본 발명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 즉 "접합 전 멀리온이 있고", "접합 후 제로 멀리온"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멀리온이 있는 접합 스크린"이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 주변은 화소가 없는 "테두리"가 에워싸고 있고, 이런 "테두리"가 얼마나 "좁"던지, 비디오 월로 접합되어 영상 이미지를 리플레이 할 경우 여기는 화소가 없고,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지 하지 않으며 그것을 분할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런 "테두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타고나게"되는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이고; "접합 전 제로-멀리온"이란, 개별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고, 디스플레이 화소는 이미 그 외경 경계 상에 설치되고, 그 외부 경계 내의 임의의 구역 내에 모두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것이 비디오 월로 접합될 경우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이 불가피하게 되고 즉 "접합전 제로-멀리온 스크린"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비디오 월 시스템이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을 이루고, 디스플레이 시 비디오 월 제로-멀리온인 것이다.

Description

접합 후 화소가 풀 커버된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FULLY ZERO-MULLION VIDEO WALL SYSTEM PROVIDING FULL PIXEL COVERAGE WHEN JOINED}
본 발명은 비디오 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에 관련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개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합되어 된 것으로, 접합 후의 비디오 월은 "전체적 제로-멀리온"이다. 즉 비디오 월의 임의의 표시 영역 내에 "화소가 풀 피복(커버)"되는 것을 실현하고,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이 없으면서 또한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이 없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된다; 본 발명에서 구성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이다. 즉 "접합 전 멀리온이 있고", "접합 후 전체적 제로-멀리온"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오늘, 디스플레이 기술은 이미 우리의 업무, 생활, 오락 등 각종 영역, 예를 들어 휴대폰, iPad, 컴퓨터, TV 및 휴식, 오락 기재; 교통 수단, 쇼핑센터, 공공 장소에서의 지시, 고지 시스템; 사무, 모니터링, 각종 설비에 유입되었다
다른 디스플레이 기술로 말미암아 구성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종류는 매우 많으며, 그 예로는 빔 프로젝터, 플라즈마, LED, 액정, OLED, 및 QLED(양자점)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있다.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은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며,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발전은 디지털 고화질(1920X1080)의 영상의 표준을 확립하였다; 동시에 4K초고화질(3820X2160)을 실현시켰다. 디지털 고화질 기술에서 OLED, QLED(양자점)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뛰어난 신제품으로 그것의 출시는 새로운 세대에 디스플레이 기술의 큰 발전을 이끌 것이다.
디지털 고화질, 초고화질은 현재 주요하게 액정 스크린, OLED, QLED(양자점)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체현된다(본문에서 가리키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액정 스크린, OLED스크린, QLED 양자점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며, 본 발명 방법을 직접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활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QLED는 나노 수준의 양자 발광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과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주로 TV, 개인 컴퓨터에 사용되었으며, 개별 사용에 국한되어 있었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액정 스크린은 개별 사용의 한계를 뛰어 넘어, 개별 액정 스크린을 접합하여 비디오 월로 응용하게 되었으며, 액정 스크린의 응용 영역도 이로 인하여 신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사람들이 더욱 큰 크기, 예를 들어 수백 인치(몇 미터 높이, 몇십 미터 길이)의 디지털 고화질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수요가 있을 경우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120인치보다 큰 액정 스크린은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는 원재료, 생산 설비, 공장, 양품 비율, 운수 및 기타 리스크가 가격을 급격하게 상승시키기에 이런 원가의 증가는 그 면적의 크기에 아울러 급수 형식에 따라 상승되어 합리적인 경제성을 잃어버리게 되어 시장에서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지 않게 된다.
현 세기 초, "액정 접합 스크린"이 나타났는데 일반 TV와 다른 점은 그것의 "테두리"가 매우 "좁다"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몇 밀리미터 정도면 여러 대의 "액정 접합 스크린"을 사용하여 개별 면적보다 훨씬 큰 비디오 월을 만들어 내 시장의 수요를 충족시키게 된다.
"액정 접합 스크린"은 "테두리"가 매우 "좁다"는 것 이외에, 또 다른 특징은 "액정 접합 스크린"은 접합하여 만들어 낸 비디오 월의 가격이 그것의 면적의 크기와 정비례 관계에 있으며, 즉 단위 면적 가격은 일반적으로 불변하다는 것이다. 이는 우수한 경제성을 구비하여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고, 각 영역에 응용된다는 말이다.
디지털 고화질, 초고화질의 액정, OLED, QLED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모두 "디스플레이 면 영역" 내의 화소에 영상 신호를 전송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 면 영역" 주변에 전송 신호를 전송할 "전송 가장자리"를 남겨둬야 한다. 이런 "가장자리"가 아무리 "좁다"고 해도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는 없다. 동시에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은 구조로 지지될 필요가 있으므로 "구조적인 테두리"를 또 남기게 된다. "전송 가장자리"와 "구조적 테두리"는 통상적으로 완전하게 중첩되지 않으며, 또한 모두 화소가 없어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다. 본문에서 "전송 가장자리"와 "구조적인 테두리"를 겹친 후 화소가 없고,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 "변"을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이라고 부르는데, 즉 전송 신호와 구조적인 고정으로 인하여 "타고나게" 된 것으로 비디오 월에 "접합 멀리온"의 "테두리"가 생겨나게 된다. 설령 접합에 사용되지 않더라도 이런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 "테두리"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면에서도 실제로 존재한다. 본문은 이런 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멀리온이 있는 접합 스크린" 또는 "밀리언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라고 부르며, 이런 류의 "접합 멀리온"을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이라고 부른다.
다른 한편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이 비디오 월의 화소 위치를 차지하므로 각 개별체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영상 이미지를 입력할 경우, 먼저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이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고 "가정"해야 하며, 그런 다음 다시 이런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에 입력할 영상 신호를 "자른" 것이다; 즉 먼저 비디오 윌에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이 없고 "완전"하게 영상 이미지를 리플레이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그런 다음 이런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에 화소가 없으므로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으니 "분실" 되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원래의 영상 이미지가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에 "밀려나게" 되어, 영상 이미지의 "분열"과 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도1에 도시된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01)과 같이, 그것은 "디스플레이 면 영역"(102), 화소가 없는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103a, 103b, 103c와 103d)로 구성되고,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1)의 외경 경계는 104에 나타난 것과 같다.
만약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1)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도2의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면 결과는 도3에 도시된 것과 같다. 상기 영상 이미지는 전체 "디스플레이 면 영역"(102)에 가득하게 되며, 영상 신호의 "분실"이 없다. 그러나 만약 상기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01)을 접합하게 되면, 원래의 영상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외경 경계(104) 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면 영역"(102)과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103a, 103b, 103c와 103d)에 확대되어 충만하게 되고, 또한 "디스플레이 면 영역"(102) 자체에만 충만 되는 것이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에서 108, 109, 110, 111, 112, 113, 114 위치 상의 영상 이미지는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103a, 103b, 103c, 103d)과 중첩되며, 신호를 입력할 때 "잘라내어" 비디오 윌 상의 원래의 영상 이미지가 "분열"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런 것은 화소가 없고, 영상 이미지를 나타내지 않는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103a, 103b, 103c, 103d)는 비디오 월에 "블랙 멀리온"를 형성하게 되는데 바로 통상적으로 말하는 "멀리온이 있는 접합"이다.
따라서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접합하여 만들어낸 비디오 월은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경우,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의 원래의 영상 이미지 분실과 원래의 영상 이미지 "분열" 양자 중에서 하나를 택하는 수 밖에 없다. 동시에 어느 것을 선택하더라도 화소가 없고, 영상 이미지가 없는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103)이 모두 비디오 월에 나타나게 된다.
현재 이런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해결하는 방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크게 두 개류로 귀납할 수 있다:
1. 피동식(광학) 방법: 이런 방법은 (접합 후) 접합 엣지 상에 별도로 "광학 프리즘"을 한 겹 더 겹치게 한다. 사람들이 "디스플레이 면 영역"에 "수직"되게 비디오 월을 볼 경우,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103)은 "광학 프리즘"에 의해 축소된다(좁아지지만 여전히 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사람들이 "디스플레이 면 영역"에 "수직"이 아니게 볼 경우,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103)은 확대(넓게 되고, 원래의 "멀리온 접합"보다 더 넓어지게 됨)되는 단점이 있다. 관건은: "광학 프리즘"이 어떻게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103)을 "좁아지게" 하거나 "넓어지게" 하는지 막론하고 모두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103)에 "분실"된 영상 이미지 (108~114)를 회복시키거나 영상 이미지 분열을 막을 수 없다.
2. 주동식 (전자)방법:직접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 (103a, 103b, 103c, 103d)에 직접 화소를 "커버"하는 것으로 화소가 없고,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103)으로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115a、115b、115c、115d로 구성시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실"된 영상 이미지(108~114)를 "회복"하여 디스플레이 한 것이다. 본문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접합 전 멀리온이 없는 화면"이라고 부른다.
이런 "접합 전 멀리온이 없는 화면" 의 최대 특징은 개별 디스플레이 화면 외경 내에서의 임의의 구역에 모두 원래의 영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에 대응되게 화소가 있어 원래의 영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외경 내의 임의의 구역에서 완전하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분명한 것은 주동식(전자) 방법이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 문제를 매우 잘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런 "접합 전 멀리온이 없는 화면"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비디오 월로 "접합"되었을 경우에 봉착하게 되는 "접합 간격" 문제를 해결 할 수 없는데 그것은 개별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대상으로 "제로-멀리온" 문제를 해결하였기 때문이고 "접합 전 멀리온이 없는 화면" 사이의 디스플레이 경계는 "접합"을 통하여 "제로-멀리온 교합"을 실현하여 쉽게 보이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사실 이것이 실현된 것이 아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간격"은: 몇 개의 개별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비디오 월로 접합되는 경우, 개별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의 경계(104)는 완벽하게 "밀착 접합 교합"될 수 없어 생기는 "멀리온 접합"은 도6에서의 105 그림자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런 "멀리온 접합" 또는 접합 월의 크기가 너무 커(적게는 열 몇 대, 많게는 몇 십 대 심지어 수백 대의 개별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접합) 생긴 간격, 또는 온도 변화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미리 남겨 둔 간격이고, 개별 디스플레이 스크린 외경 경계의 오차로 인하여 생긴 간격을 가리킨다. 이런 "접합 간격"은 확연하게 화소가 없으며,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없으며, 통상적으로 "블랙 멀리온" 형식으로 표현된다 본문에서 이런 "접합 간격"을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이라고 부르며,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과 구별되도록 한다.
이런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은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이용하여 비디오 월을 접합한 경우 문제의 성질은 아직 별로 심각하지 않으며, 최대 원래의 화소가 없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이 조금 넓어졌을 뿐(때로는 설치 수요를 위해,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에 특별히 이를 위한 공간을 남겨둔다)이고,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러나 이런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은 "접합 전 제로-멀리온 스크린"을 접합하여 만들어 낸 비디오 월에서, 오히려 그 주변에 모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어 "튀어 나오게" 되어 "제로-멀리온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최초의 바램과 도무지 맞지 않는 새로운 "블랙 멀리온"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기게 된다; 그 디스플레이 효과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무결"하기 어렵다 "접합 전 제로-멀리온 스크린" 자체는 이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 구역이 없지만,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105)이 존재함으로 인해 "접합 전 제로 멀리온 화면"을 기존의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돌려 보내어 성공을 눈앞에 두고 실패하는 격이다. 다만 이런 접합 멀리온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원래 갖고 있는"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이 아니고 접합 시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에 의해 생긴 것이다. 따라서 이런 "접합 전 제로-멀리온 스크린"은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에 대해 더욱 속수무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비디오 월에 접합 멀리온이 나타나는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고, 상기 방법은 개별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한계를 돌파하였고, 비디오 월을 대상으로 "화소가 풀 커버"된 "제로 멀리온"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축한다.
매트릭스 배열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비디오 월을 포함하는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에 있어서,
모든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접합 멀리온은 모두 화소를 가진 디스플레이 바에 의해 커버되고, 즉 "화소가 풀 커버"되고, 디스플레이 바는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을 커버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바는 "합병" 처리한 "합체" 디스플레이 영역이며, 즉 설령 두 개의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두 개의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과 하나의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의 성질, 위치, 부속 스크린체가 다르더라도 그것을 분할 처리 및 분할 디스플레이 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사이는 단지 유일한 하나의 "합체" 디스플레이 바를 통해 효과적으로 이어지게 하여 한 폭의 오리지널 영상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바의 형상은 "십자"형 외에 "직각"형을 나타낼 수 있으며, 매트릭스 배열을 나타내는 복수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접합 멀리온으로 구성된 그리드 라인이 커버되고, "직각" 디스플레이 바와 "십자"형 디스플레이 바는 동일하게 "합병"처리하여 "합체" 디스플레이 하는 구역이고, 동시에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과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커버에 사용된다.
"직각 디스플레이 바"와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은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역을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역과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은 바이어스 되거나, 또는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스크린체와 바이어스 되고; 디스플레이 바는 스크린체 경계 내부에서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 양 직각 변의 "테두리"를 커버하고, 그 스크린체 경계 외부 양변은 돌출되어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을 뛰어 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테두리"를 커버하고, 자체 "직각 디스플레이 바" 대각선 상의 "테두리"를 남겨두어 다른 한 조의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가 커버하기를 대기하고,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집성시킨다.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역은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이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갖지 않는 그 두 변의 시작 디스플레이를 시작 라인으로 하고, 영상 이미지를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역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갖는 경계를 향해 "단일 방향"으로 확대하여 충만하게 한다.
구성된 "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단면은 "T"형 구조이며, 그것은 화소를 "커버하는""T" 형을 나타내는 유연성 회로를 포함하고, 화소 격자의 중간 부분에서 아래로 연신된다.
구성된 "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내측, 외측 2층 강판에서, 외측 상부 만곡구는 외부로 향하고, 내측 상부 만곡구는 내부로 향하고; "후크 풋"과 "후크 풋"을 통하여 각각 "유지층"과 서로 연결되어 "T" 단면을 구성하고, 그 외측 강판은 스크린체 "경계 바깥"으로 회전 후 "유지층"의 "후크 풋"에서 빠져나올 수 있으며, 유연성 회로 및 그 화소 격자를 내릴 수 있고; "후크 풋"에 걸리어 스크린체 "경계 안쪽"으로 회전하고 내측 강판과 긴밀히 고정될 때, "유지층"을 "잠금"할 수 있어 "유지층"이 그것에 상대적으로 상하, 내외 편이가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 또한 그것의 수평 구간에 상대적으로 편이가 발생하지 않게 하여 안정적인 "T"형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집성시킨다.
"유지층"은 투 컬러 구조이고, 그 실체는 "유백"색의 균일한 광, 투광 재질이며, 그 꼭대기 부분 및 양측 표면은 "블랙" 또는 "블랙"에 근접하며; 상기 블랙층은 매우 얇아 화소가 발광하지 않을 때 "유지층"이 "블랙"을 나타내고, 화소가 발광할 경우 화소의 밝기를 전부 가리지 않아 화소 격자가 이미지 영상을 충분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돌기"가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을 "치합"한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충분히 커버하도록 확보하기 위하여, 정확한 포지셔닝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고, 스크린체 백부 구조에 상하, 좌우의 각 2쌍의 "도킹 플랫폼"과 각 2쌍의 "잠금 플랫폼"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 "가로 스크린"과 "세로 스크린" 설치 시의 "포지셔닝"과 "잠금"에 사용되고, "도킹 플랫폼" 내에 정밀 "가이드 슬리브"가 설치되어 있어 세로 열 스크린 사이의 "포지셔닝"과 "연결"로 하고, "가이드 기둥"이 "가이드 슬리블"를 관통하고 "잠금 슬리브"에 의해 "가이드 슬리브", "가이드 로드"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세로열을 관통하는 "관통축"으로 연결하고; 설치 시, 테이퍼 형식의 헤드부를 갖는 "가이드 기둥"이 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가이드 슬리브"에서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가이드 슬리브"를 관통 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돌기"는 또 다른 스크린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전, 후 정확하게 "치합"되는 동시에 접합 시 상기 "돌기"는 훼손되지 않는다.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전 유지보수, 전 장착"을 구성할 때: 비디오 월의 세로 열은 "전체 열" 또는 "전체 열 분단"으로 "관통축"에 수직되게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세로 열 "돌기"가 수직 방향에서 "전체열" 또는 "전체열 분단"으로 서로 인접한 세로 열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벗어나는 방식으로 스크린체 전, 후에 설치, 유지보수 공간을 확보하게 되고, 비디오 월의 "전체 열" 또는 "전체 열 분단"이 수평면 내에서 "관통축"에 수직되게 회전하는 강도(intensity)와 강도(stiffness)를 보장하기 위하여, "전체 프레임" 구조를 스크린체 뒤에 설치하고, 스크린체 백부 커버 플레이트는 "전단 복판(ventral plate)"의 "전단 구조"이고; "관통축"과 "잠금 스크린 플랫폼"은 비디오 월 세로 열을 "세로열"전단으로 구성하여 비디오 월이 "전체 열" 또는 "전체 열 분단"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매트릭스 배열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비디오 월을 포함하는 "전제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의 핵심 체계에 있어서,
모든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접합 멀리온은 모두 "디스플레이 바"에 의해 커버되고,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두 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두 개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바"(17)의 폭(7)은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간격"(도 6에서 105와 같음), 및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두 개의 "테두리" 총 3개의 "접합 멀리온"의 총 합보다 크거나 같다. "디스플레이 바"(17) 상에 화소가 "이식"되어 있고, 이 3개의 "접합 멀리온"을 "합병 처리", "합체 디스플레이"한다. 즉 설령 이 3개의 "접합 멀리온"의 성질, 위치, 부속 스크린체가 다르더라도 그것을 분할 처리 및 분할 디스플레이 하지 않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그중 3개의 "접합 멀리온"은 3a, 도 6의 105와 3b; 또는 3c, 도 6의 105와 3d). 이렇게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2) 사이는 단지 유일한 하나의 "합체""디스플레이 바"(17)를 통해 효과적으로 "일체로 융합되어" 한 폭의 오리지널 영상 이미지를 구성하고, 실질적으로 종래 기술의 각각 제작, 서로 다른 스크린체 분할 소속되고, 스킵 접합 디스플레이 되고, "엣지 스트립"과 "엣지 스트립" 사이의 영상 이미지는 "융합"되기 어려운 것, "스크린 간 간격"(도 6의 105)을 극복할 수 없는 한계를 실질적으로 돌파하였다.
비디오 월의 "접합 멀리온" 상에 "디스플레이 바"(17)를 "커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바"는 상술한 "십자"형 외에 "직각"형을 나타낼 수 있으며, 즉 모든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접합 멀리온"은 복수의 매트릭스 배열을 나타내는 "직각 디스플레이 바"(17)에 의해 "커버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직각 디스플레이 바"(17)의 양변의 폭(도 11의 7)은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간격"(도 6에서 105와 같음), 및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두 개의 "테두리" 총 3개의 "접합 멀리온"의 총 합보다 크거나 같고, "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양 변의 길이는 서로 인접한 스크린의 다른 한 "직각 디스플레이 바"에 마침 서로 접한다. 그 특징은, "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양변의 내측은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두 개 직각변의 "테두리"(3a, 3d)를 커버하고, 외측 양 변은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외부 경계(4)보다 "돌출"되어, 두 개의 "돌기"를 형성하고,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도 6의 105)을 "뛰어넘어"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6)의 "테두리"(3b, 3c)를 커버하고, 자체 "직각 디스플레이 바" 대각선 상의 "테두리"(3b, 3c)가 남겨두어 다른 한 조의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6)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17)가 "커버"하기를 대기하고, "직각 디스플레이 바"(17)를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1) 상에 집성시키고 접합 후의 비디오 월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렇게, "직각 디스플레이 바"(17)와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2)은 "새로운"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성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 특징은, 이 새로운 디스플레이 영역과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원래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2)은 "어긋"나거나 또는 "바이어스" 된 것이고, 도 6의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105)이 포함되고; 새로운 디스플레이 영역은 원래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2)이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갖지 않는 그 두 변(3b, 3c)의 시작 디스플레이를 시작 라인으로 하고, 영상 이미지를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역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17)를 갖는 경계를 "단일 방향"으로 확대하여 충만하게 하는 것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고, 이는 "멀리온이 있는 접합 스크린" 또는 "접합 전 제로-멀리온"이 중심에서 주변으로 확대되어 충만(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음)하게 되는 경우와 현저하게 다르다.
"디스플레이 바"상에 "이식"된 화소는 LED격자, OLED, QLED 스트립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응한 디스플레이 전자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디스플레이 바"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3mm로 조절할 수 있고, 이 한 쌍의 몇 미터 또는 몇 십미터 폭의 비디오 월로 말하자면, 1~3미터 밖에서 바라보면, "디스플레이 바"(17)와 "디스플레이 면 영역"(2)의 높이 차이는 1/1000이고, 양호한 "제로-멀리온" 디스플레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서술의 편의를 위하여, 본 문에서 "디스플레이 바""커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왼쪽 윗 코너에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방법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임의의 한 코너를 "커버"하는 원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은 "멀리온이 있는 접합 스크린" 및 그 "스크린 접합 멀리온"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원래의 영상 이미의 예이다;
도 3은 원래의 영상 이미지가 개별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된 개략도이다;
도 4는 원래의 영상 이미지가 접합용 "멀리온이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원래의 영상 이미지가 "접합 전 제로-멀리온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합 시 나타난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원래 영상 이미지가 "스크린 접합 멀리온"과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이 구비된 비디오 월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이 구비된 "접합 전 제로-멀리온 스크린"으로 접합된 비디오 월 개략도이다;
도 9는 원래 영상 이미지가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이 구비된 "접합 전 제로-멀리온 스크린" 비디오 월 상에 리플레이 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비디오 월 상에 디스플레이 바가 접합 멀리온을 "전체적 커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바가 "커버" 한 비디오 월 상의 원래의 영상 이미지가 리플레이된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가 비디오 월을 "전체적으로 커버"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가 비디오 월이 디스플레이 하는 원래 영상 이미지를 "전체적으로 커버"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가 원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결합된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와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면 영역이 구성한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역 디스플레이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새로운 디스플레이 영역과 원래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이 바이어스 된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 접합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뒷면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접합 뒷면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멀리온이 있는 접합 스크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T"형 "화소 커버"중 화소 격자와 유연성 회로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T"형 "화소 커버" 중 "유지층"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T"형 "화소 커버"중 내부, 외부 강판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이 "유지층" 상에 외부 강판을 "걸림" "빠지게 하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화소 커버"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집성되는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 등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접합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과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합 후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도킹 플랫폼"과 "전체 프레임"의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가이드 슬리브", "가이드 기둥"이 상, 하 접합 스크린을 통과하는 뒷면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가이드 기둥"이 "가이드 슬리브"를 통과하는 개략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가이드 기둥"이 상, 하 접합 스크린을 관통하는 뒷면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접합 시, 전, 후 "치합" 포지셔닝 크기 조절 개략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돌기"와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치합" 개략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과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합 후의 개략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관통 축"의 개략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전체 프레임", "전단" 및 그것이 좌측 "관통축"을 에워싸고 회전하는 개략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세로 열 "전단"의 개략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세로 열 회전 개략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돌기"와 서로 인접한 스크린이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 "이탈"되는 개략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이 세로 열 배면이 유지 공간을 얻은 개략도이다;
매트릭스 배열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비디오 월을 포함하는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에 있어서, 그 특징은,
모든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접합 멀리온은 모두 화소를 가진 디스플레이 바에 의해 커버되고, 즉 "화소가 풀 커버"되고, 디스플레이 바는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을 커버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바는 "합병" 처리한 "합체" 디스플레이 영역이며, 즉 설령 두 개의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두 개의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과 하나의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의 성질, 위치, 부속 스크린체가 다르더라도 그것을 분할 처리 및 분할 디스플레이 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사이는 단지 유일한 하나의 "합체" 디스플레이 바를 통해 효과적으로 이어지게 하여 한 폭의 오리지널 영상 이미지를 구성한다.
디스플레이 바의 형상은 "십자"형 외에 "직각"형을 나타낼 수 있으며, 매트릭스 배열을 나타내는 복수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접합 멀리온으로 구성된 그리드 라인이 커버되고, "직각" 디스플레이 바와 "십자"형 디스플레이 바는 동일하게 "합병"처리하여 "합체" 디스플레이하는 구역이고, 동시에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과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커버에 사용된다.
"직각 디스플레이 바"와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은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역을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역과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은 바이어스되거나, 또는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스크린체와 바이어스되고; 디스플레이 바는 스크린체 경계 내부에서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 양 직각 변의 "테두리"를 커버하고, 그 스크린체 경계 외부 양변은 돌출되어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을 뛰어 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테두리"를 커버하고, 자체 "직각 디스플레이 바" 대각선 상의 "테두리"를 남겨두어 다른 한 조의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가 커버하기를 대기하고,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집성시킨다.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역은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이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갖지 않는 그 두 변의 시작 디스플레이를 시작 라인으로 하고, 영상 이미지를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역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갖는 경계를 향해 "단일 방향"으로 확대하여 충만하게 한다. 구성된 "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단면은 "T"형 구조이며, 그것은 화소를 "커버하는" "T" 형을 나타내는 유연성 회로를 포함하고, 화소 격자의 중간 부분에서 아래로 연신된다.
구성된 "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내측, 외측 2층 강판에서, 외측 상부 만곡구는 외부로 향하고, 내측 상부 만곡구는 내부로 향하고; "후크 풋"과 "후크 풋"을 통하여 각각 "유지층"과 서로 연결되어 "T" 단면을 구성하고, 그 외측 강판은 스크린체 "경계 바깥"으로 회전 후 "유지층"의 "후크 풋"에서 빠져나올 수 있으며, 유연성 회로 및 그 화소 격자를 내릴 수 있고; "후크 풋"에 걸리어 스크린체 "경계 안쪽"으로 회전하고 내측 강판과 긴밀히 고정될 때, "유지층"을 "잠금"할 수 있어 "유지층"이 그것에 상대적으로 상하, 내외 편이가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 또한 그것의 수평 구간에 상대적으로 편이가 발생하지 않게 하여 안정적인 "T"형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집성시킨다.
"유지층"은 투 컬러 구조이고, 그 실체는 "유백"색의 균일한 광, 투광 재질이며, 그 꼭대기 부분 및 양측 표면은 "블랙" 또는 "블랙"에 근접하며; 상기 블랙층은 매우 얇아 화소가 발광하지 않을 때 "유지층"이 "블랙"을 나타내어, 화소가 발광할 경우 화소의 밝기를 전부 가리지 않아 화소 격자가 이미지 영상을 충분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돌기"가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을 "치합"한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충분히 커버하도록 확보하기 위하여, 정확한 포지셔닝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고, 스크린체 백부 구조에 상하, 좌우의 각 2쌍의 "도킹 플랫폼"과 각 2쌍의 "잠금 플랫폼"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 "가로 스크린"과 "세로 스크린" 설치 시의 "포지셔닝"과 "잠금"에 사용되고, "도킹 플랫폼" 내에 정밀 "가이드 슬리브"가 설치되어 있어 세로열 스크린 사이의 "포지셔닝"과 "연결"로 하고, "가이드 기둥"이 "가이드 슬리블"를 관통하고 "잠금 슬리브"에 의해 "가이드 슬리브", "가이드 로드"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세로열을 관통하는 "관통축"으로 연결하고; 설치 시, 테이퍼 형식의 헤드부를 갖는 "가이드 기둥"이 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가이드 슬리브"에서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가이드 슬리브"를 관통 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돌기"는 또 다른 스크린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전, 후 정확하게 "치합"되는 동시에 접합 시 상기 "돌기"는 훼손되지 않는다.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전 유지보수, 전 장착"을 구성할 때: 비디오 월의 세로 열은 "전체 열" 또는 "전체 열 분단"으로 "관통축"에 수직되게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세로 열 "돌기"가 수직 방향에서 "전체열" 또는 "전체열 분단"으로 서로 인접한 세로 열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벗어나는 방식으로 스크린체 전, 후에 설치, 유지보수 공간을 확보하게 되고, 비디오 월의 "전체 열" 또는 "전체 열 분단"이 수평면 내에서 "관통축"에 수직되게 회전하는 강도(intensity)와 강도(stiffness)를 보장하기 위하여, "전체 프레임" 구조를 스크린체 뒤에 설치하고, 스크린체 백부 커버 플레이트는 "전단 복판(ventral plate)"의 "전단 구조"이고; "관통축"과 "잠금 스크린 플랫폼"은 비디오 월 세로 열을 "세로열"전단으로 구성하여 비디오 월이 "전체 열" 또는 "전체 열 분단"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할 때, 도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직각 디스플레이 바"(17)를 구성하여, "직각 디스플레이 바" (17) 양변의 내측(15a, 15d)은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1) 두 직각 변의 "테두리"(3a, 3d)(중첩으로 인해 표기되지 않음)를 "커버하고", 외측 두 변(16a, 16d)은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스크린체 외부 경계(4)에 돌출되어 두 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도 6중의 105)을 뛰어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6)의 "테두리"(3b, 3c)를 "커버"하는 데 사용되고, 자체 "직각 디스플레이 바" 대각선 상의 "테두리"(3b, 3c)는 불변하도록 남겨두어, 또 다른 한 조의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6)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17)가 "커버"하기를 기다리고, "직각 디스플레이 바"(17)를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1)에 집성시킨다. 15a에 16a(동일하게 15d에 16d를 추가)의 폭을 더하면 3a와 같거나 크고, 도6 중 105와 3b의 폭 총합과 같고, (그 중 15a와 16a, 동일하게 15d와 16d는 모두"십자"형 또는 "직각"형 "디스플레이 바"(17)의 "합체"이나 분할할 수 없는 구성 부분이고, 본문에서 간단하게 묘사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크린체 외부 경계(4)를 사용하여 그것들을 구분한다), 이로써 본 발명 방법으로 구성한 비디오 월은 그 디스플레이 면 영역 내에,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3a, 3b, 3c, 3d)가 없을 뿐 아니라,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도6 중의 105)의 "화소가 풀 커버"된 디스플레이 시스템도 없다.(도 16에서 화소가 "커버"되지 않은 두 개의 서로 인접한 가장자리(3b, 3c)를 제외하고, 이 두 가장자리는 비디오 월의 최 외측으로 "밀려 옮겨지게" 되는데, 이는 비디오 월의 디스플레이 구역 바깥에 있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단면이 "T"형인 "직각 디스플레이 바" (17)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좌측 상부 코너에 결합하는 데 사용하고, 그 스크린체 내측 15a, 15d는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 3a, 3d를 완전히 "커버하고", 그 외측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크린체 외부 경계(4)에 "돌출"된 "돌기"(16a, 16d)가 (a)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6)의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3b, 3c)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고, 또한 (b)나타날 수 있는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도6의 105)의 폭의 합, 즉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 도 6 중 105처럼 "화소가 풀 커버"된다는 것이고, 이런 방식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합 후 제로-멀리온"인 것을 추가한다. (그 중: 15d, 16d, 3c는 단면이 도에 수직되므로 표기되지 않음; 17과 3a, 3b 상하 사이에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공백을 남겨두었으며, 구체적으로 실시할 경우, 그것들은 함께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접합 후 제로-멀리온"(배면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스크린체 외부 경계이며, 16a, 16d는"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돌기"이며, 도18 중의 18, 19는 "직각 디스플레이 바"(17)의 "짧은 입구"인데, 이 "짧은 입구"의 위치는 바로 또 다른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에 마침 치합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도6 중 105)은 꼭 "돌기"(16a, 16d)의 뒷면에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크린체 외부 경계(4)의 위치에 근접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정면에서 보이지 않으며, 도1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이 "화소가 풀 커버"되는 목표를 실현하여 근본적으로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할 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형적인 단면 1처럼, 그 중 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이며, 20은 영상 신호 "전송 가장자리"이고, 신호 전송, 화소의 디스플레이 조절에 사용되고, 21은 "구조 테두리"로 디스플레이 패널(2)이 디스플레이 스크린(1) 상에 있도록 유지하고, 화소 회로(23) 보호에 사용되고, 22는 고정 부재이며, 23은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디스플레이 전자 회로이다. 그 중 20과 21이 "중첩"된 폭은 바로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3a)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직각 디스플레이 바"(17)를 구성할 때, 본 발명의 특징은, 그 유연성 회로는 "T"형을 나타내고, 그중 25는 "이식"된 화소(이런 화소는 LED격자, OLED, QLED 바 모양으로 구성)이고, 26은 이런 화소를 구동하는 유연성 회로이고, 그것의 특징은 화소 격자의 측변으로부터가 아닌 화소 격자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연신된다. "직각 디스플레이 바"(17)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에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그 꼭대기 부분에 "유지층"(27)이 배치되어 있다. 동시에 "유지층"(27)의 좌측(내측)에 한 줄의 일정한 간격으로 된 "후크 풋"(31)이 설치되고, 그 우측(외측)에 한 줄로 된 일정한 간격의 "후크 풋"(32)이 설치되어 있다("후크 풋"이라고 칭하는 이유는 그것이 "오목 홈"이 아니기 때문임).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유지층"(27)은 투 컬러 구조이며, 그 실체는 "유백"색의 균일한 광, 투광 재질로 27a와 (균일한 광과 투광의 비율은 실제 디스플레이 효과에 따라 조절할 수 있음)과 같으며, 그 꼭대기 부분 및 양측 표면은 "블랙" 또는 "블랙"에 근접하며, 27b와 같다. 이 블랙 층은 매우 얇아서 그것은 화소가 발광하지 않을 경우 "유지층"(27)이 "블랙"을 나타내며, 화소가 발광할 경우 화소의 밝기를 전부 가리지 않아 화소 격자가 충분이 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렇게 상기 "유지층"의 실체(27a)는 화소를 "점 디스플레이"에서 "면 디스플레이"로 전환하는 동시에 그 표면의 블랙층(27b)이 영상 이미지 콘트라스트를 향상시켜 영상 이미지 중의 "블랙" 원소를 충분히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단색 구조"(실체와 표면이 동일하게 블랙) 재질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욱 치밀하고 실제와 같이 표현되고; 동시에 상기 블랙 층(27b)은 매우 얇으므로 단색 구조와 비교하였을 때 표면 색깔이 더욱 검을 수 있으며, 콘트라스트가 더욱 높을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디스플레이 바"(17)를 디스플레이 스크린(1) 상에 집성시키기 위하여, 그 내, 외 양측에 두 층의 충분히 얇은 코너형 "" 강판(33, 34)을 배치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두 층의 코너형 "" 강판의 상부 만곡구 내측은 내부로 향하고, 외측은 외부로 향하고; 그것의 수직변이 서로 근접할 때, 그 상부면 내, 외 만곡구는 "T"형을 이룬다. 내측 강판(33)은 내부로 향한 만곡구 상에 관통홀이 있어 "유지층"(27) 내측의 라인의 "스티치"(31)가 만곡구를 통과하는 관통홀에 일일이 대응되어 그것의 열간 압착과 함께 연결시키고; 외측 강판(34) 만곡구 상에도 관통홀이 있고, "유지층"(27)의 외측 열의 "후크 풋"(32)에 일일이 대응되고; 외측 강판(34)은 "유지층"(27) 외측 열의 "후크 풋"(32)을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경계 외부" 방향을 향해 한 각도로 회전 후, 외측 강판(34)은 "유지층"(27)의 "후크 풋"(32)에서 빠져나올 수 있고, 도 24의 3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반대로, 외측 강판(34)이 "유지층"(27) 외측 열의 "후크 풋"(32)에 걸려 디스플레이 스크린 "경계 내" 방향을 향해 한 각도로 회전하고, 내측 강판(33)과 근접하고, 긴밀하게 고정 될 때, "유지층"(27)은 그 상부면 내측 강판(33), 외측 강판(34)에 의해 견고하게 "잠금"된다. 즉 "유지층"(27)은 그 하부면의 강판에 상대적으로 상하, 내외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또한 그 하부면의 강판 수평 구간에 상대적으로 편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T"형 구조를 구성한다.
외측 강판(34)은 "유지층"(27)과 견고한 "T"형 구조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 외 양측 강판(33, 34) 사이에 "화소 및 유연성 회로"(25, 26)를 장입 또는 추출에 가능성을 제공하였고, 이는 제조 장착 및 사용 유지를 위해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구성한 "T"형 "직각 디스플레이 바"(17)는 잠금 부재(22)에 의해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 상에 고정되어, 직각 디스플레이 바(17) 내측(15a, 15d)이 원래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두 개의 서로 인접한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3a, 3d, 표기되지 않음), 화소 격자(25)를 연결하는 유연성 회로(26)를 제어 전자 회로(28) 상에 연결시킨다(일반적으로 그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크린체 뒷면에 장착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 자체의 서로 인접한 두 변에서 "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내측(15a, 15d)을 "커버"하는 것을 제외하고, 두 개의 "돌기"(16a, 16d, 표기되지 않음)를 구성하였고, 그것은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6)의 테두리(3b, 3c)를 대기하여, 상기 "돌기"(16a, 16d)의 뒷면에서 그것과 비디오 월을 접합하여 "화소 풀 커버"를 구성한다.
(주: 15d, 16d, 3c의 단면은 예시된 도면과 수직되나 표기되지 않음)
접합 후의 경우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고, 그중 5는 비디오 월의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이고, 그것은 "돌기"(16a, 16d) 배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외부 경계(4)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5)(즉 도 6의 105)가 "화소 풀 커버"의 목표를 실현한다.
도 25,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6a, 16d)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은 "바이어스" 스크린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01)에서 "디스플레이 면 영역"(102)의 가로 방향 폭, 세로 방향 높이는 각각, HD0,VD0이고, 서로 인접한 스크린 양변을 접합한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103a~103d) 및 그것이 발생 가능한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105)의 총 폭(107)은 가로 방향, 세로 방향에서 각각 GH, GV이면,
새로운 "디스플레이 면 영역"의 외경 크기:
가로 방향: HD1 = HD0 + GH
세로 방향: VD1 = VD0 + GV
디스플레이 중심 편이
가로 방향: GH / 2
세로 방향: GV / 2
(그중, D는 "디스플레이 면 영역"이고; 0, 1은 각각 원래 디스플레이 스크린,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이다.) 그 특징은, "직각 디스플레이 바"(17)와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2)은 "새로운"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성하고 이 새로운 디스플레이 영역과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원래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2)은 "어긋"나거나 또는 "바이어스" 된 것이고; 새로운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미지 영상 디스플레이는 원래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2)이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갖지 않는 그 두 변(3b, 3c)의 시작 디스플레이를 시작 라인으로 하고, 영상 이미지를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역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17)를 갖는 경계를 "단일 방향"으로 확대하여 충만시키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을 사용하여 접합 시, 도 27에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돌기"(16a, 16d)와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6)의 양 변(3b, 3c)가 정확하게 치합되어 "화전 풀 커버"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도달하기 위하여, 접합 시 한 세트의 포지셔닝 시스템이 필요하다.
상기 포지셔닝 시스템은 "스탠드 타입", "서스펜션 타입"과 "월 흡입 타입" 접합 방식에서 모두 정확한 포지셔닝을 하는 목적을 이룬다.
"스탠드 타입" 접합 방식은, 비디오 월은 그 베이스 지지를 통해 자체적으로 설 수 있고, 지면과 4m 높이에서 주변의 지지가 필요하지 않고, 그것의 특징은 비디오 월 주변에 일반적으로 조작 공간이 있어 장착과 유지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서스펜션 타입" 접합 방식은, 비디오 월이 지면에서 떨어져 위로부터 아래로 서스펜션 되는 것을 가리킨다.
"월 흡입 타입" 접합 방식은, 벽체를 주요 지지 구조로 하여 비디오 월을 직접 설치하고, 그것의 특징은 비디오 월 뒤에 일반적으로 사람이 진입하여 설치하고 유지하는 공간이 없고, 일반적으로 전(단) 장착, 전(단) 유지("전 장착", "전 유지")로 칭한다.
본 발명의 "스탠드 타입" 접합에서의 포지셔닝 시스템:
1) 스크린과 스크린 측면 접합 크기 조절은 "도킹 플랫폼" 포지셔닝 방식을 사용한다;
2) 스크린과 스크린 전후 접합 크기 조절은 "가이드 기둥 가이드 슬리브" 포지셔닝 방식을 사용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측면 외부 경계(4), "직각 디스플레이 바"(17) 및 그 "돌기"(16)는 한 "전체 프레임"구조(37) 상에 장착 고정되고, 35는 측면 접합 크기 조절 "도킹 플랫폼"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4개 코너 뒷면에 배치되고, 상하 2쌍이고 각각 "가로 스크린" 또는 "세로 스크린" 접합 시의 측면 접합 크기 조절에 사용되고; 36은 상하, 좌우 "도킹 플랫폼"의 "포지셔닝 홀"을 관통하고, 그 내부에 정밀 연마 "가이드 슬리브"(38)를 배치할 수 있고,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다. 헤드부에 테이퍼 형상이 있는 접합 "가이드 기둥"(39)은 "가이드 슬리브"(38)를 관통하여 상, 하 두 개의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과 관통 연결되고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수평 방향에 한 쌍의 상하 접합 크기 조절용 "잠금 플랫폼"(40)이 설치되어 있고, 수직 방향에 한 쌍의 상하 접합 크기 조절용 "잠금 플랫폼)(40)이 설치되어 있다. 상, 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합 후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2에서, 각 스크린체 "전체 프레임"구조(27) 상에 "가이드 슬리브"(38) 중심에서 "직각 디스플레이 바"(17) 간의 거리(41)의 일치성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접합 비디오 월의 전, 후 평탄도, 및 "돌기"(16a, 16d)와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 양 변(3b, 3c)이 "밀착"되는 정확도를 결정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 기둥"(39)와 "가이드 슬리브"(38)의 결합으로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의 전, 후 접합 평탄도를 조절하여 "직각 디스플레이 바"(17)의 "돌기"(16a, 16d)와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의 두 개의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3b, 3c) 전, 후의 정확한 치합을 확보한다; 동시에 "도킹 플랫폼"(35)을 사용하여 접합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의 상하, 좌우 접합 크기를 조절하여, "직각 디스플레이 바"(17)의 "돌기"(16a, 16d)가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 두 개의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3b, 3c)를 마침 완전하게 커버하는 것을 확보하여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5)의 "화소 풀 커버" 목표를 실현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 시, 후에 올라간 스크린체(6)는 먼저 스크린체(1)의 "도킹 플랫폼"(35) 상에 놓고, 이때, 상, 하 두 개의 스크린 전, 후 사이에 "밀착"되지 않고, 거리가 있으며 "가이드 슬리브"(38)도 상, 하 완전히 맞춘 것이 아니고 다소 뒤로 편이하고, 도 33의 42에 도시된 바와 같다; 테이퍼가 있는 접합 "가이드 기둥"(39)은 점차 상, 하 접합 스크린의 "가이드 슬리브"(38)를 통과 시, 도 33에서 상부면 디스플레이 스크린(6)은 그에 따라 점차 앞을 향해 이동하고 그것과 도 33의 아래 디스플레이 스크린(1)의 "돌기"(16)와 정확하게 치합(좌, 우 접합 스크린이 치합과 동일하다)하는 것을 보장하고, 동시에 "돌기"(16)가 장착과정에 위에 있는 디스플레이 스크린(6)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합 후, 도 34 중의 회전 "잠금 슬리브"(43)로 접합 "가이드 기둥"(39)의 상단과 "도킹 플랫폼"(35) "가이드 슬리브"(38)의 하단을 긴밀하게 잠그어 접합 "가이드 기둥"(39)과 "잠금 슬리브"(43), 및 "가이드 슬리브"(38)를 이 열의 접합 스크린을 관통하는 "관통축"(45)으로 연결하되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렇게 상기 방법으로, "스탠드형""접합 후 제-멀리온 스크린"은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어 "돌기"(16a, 16d)와 서로 인접합 접합 스크린이 화소가 "커버"되지 않은 두 개의 변(3b, 3c)이 정확하게 치합되게 보장하고, 15a, 15d는 3a, 3d를 완전하게 커버할 수 있어 비디오 월이 "화소가 풀 커버"된 "제로 멀리온"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되게 한다.
본 발명의 "월 타입" 접합에서의 포지셔닝 시스템:
"월 타입" 접합의 특징은 비디오 월 정면, 상하, 좌우 접합 시 일반적으로 모두 가까이에 조작 공간이 있으나, 그 뒷부분은 비디오 월을 지지하는 벽체이고,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배면에서 장착과 유지를 실시할 수 없다.
일반적인 방법은 평행 기구를 설치하여 모 스크린이 비디오 월에서 "튀어나오게" 할 수 있고, "튀어나온" 뒷면의 공간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내리거나 또는 직접 수리한다. 또한 개별체 스크린 상에서 좌, 우 양측 따라 "지지점"을 설치하여 개별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각각 위로 "턴 오버" 되어 장착과 유지를 실현하게 한다.
이런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뒷면에 진입할 수 없는 문제를 아주 잘 해결하였으나, 그것은 모두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남겨 "튀어나옴"과 "턴오버"의 목적을 실현하고, 본 발명의 실현하고자 하는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이 없는 목표와 모순된다.
본 발명의 "돌기"(16a, 16d)는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두 개의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3c, 3d)을 마침 커버한다. 즉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돌기"(16a, 16d)는 직접 정면으로부터 두 개의 서로 인접한 스크린의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3c, 3d) 을 "누르고", 이는 새로운 "월 타입" 장착 방법으로 "전 장착", "전 유지"의 필요를 완성할 필요가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뒷면에 상하 각 한 쌍의 2개 "도킹 플랫폼"(35)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가로 스크린" 접합에 사용되고(그것에 대응되게 2개의 "도킹 플랫폼"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접합 "가이드 기둥"(39)은 "가이드 슬리브"(38)를 통해 이런 "도킹 플랫폼"(35)과 결합되어 연결된다. 상기 "도킹 플랫폼"(35)은 스크린체 뒷면의 "전체 프레임" 구조(37) 상에 고정되고, 동시에 스크린체 뒷면 커버 플레이트(44)가 "전체 프레임"(37) 상에 긴밀히 고정될 경우, "전체 프레임"(37)은 "전단 프레임"이 되고,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것은 일정한 크기의 전단 응력(46)을 감당할 수 있고, 상기 전단 응력(46)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의해 부담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이로 인해 손상되지 않는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기둥"(39), "잠금 슬리브"(43) 및 "가이드 슬리브"(38)로 구성된 "관통축"(45)은 세로 방향에서 스크린체 뒷면 양측을 관통한다. 그중 (뒤에서 보면) 우측의 "관통축"(45) 지지점(47)이 원래의 지지가 릴리스되는 경우, 스크린체는 수평면 내에서 좌측의 "관통축"(45)을 에워싸고(뒤에서 보면) 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 하가 접합되고, "잠금 플랫폼"(40)이 상, 하가 잠금 부재로 잠금된 후, 상, 하 두 개 스크린의 "전체 프레임"(37)은 상하 스크린체를 포함하는 새로운 "전단 프레임"을 이루고, 동일하게 수평면 내에서 좌측 "관통축"(45)을 에워싸고(뒤에서 보면) 한 각도를 회전한다. 다른 점은 상, 하 두 개 접합 스크린으로 구성된 이 "세로 열"은 함께 긴밀하게 고정되어 하나의 전체로 함께 회전하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일하게 이런 방식으로 접합 비디오 월의 전체 "세로 열"이 (뒤에서 보면) 좌측의 "관통축"(45)이 수평면 내에서 한 각도로 회전한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행x2열의 접합 월에서, 제2열 "전체열"스크린 지지점(47)이 원래의 지지를 릴리스한 후, (앞에서 보면) 우측의 "관통축"(45) 한 각도로 회전한다. 이때, 수직 방향 상의 "돌기"(16d)와 서로 인접한 스크린이 화소가 "커버"되지 않은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3c)는 원래의 "치합" 위치에서 이탈하고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직 "관통축"(45)을 에워싸고 회전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측면 접합 크기 조절용 "도킹 플랫폼"(35)의 "포지셔닝 홀"(36)이 중심 선에 근접한 위치에 경사면(48)이 있고, 접합 "세로 열"은 회전 시, "도킹 플랫폼"(35)은 서로 인접한 스크린 상의 "도킹 플랫폼"을 순조롭게 슬라이딩하여 돌아 나오게 된다.(주: 수직 스크린 접합과 동일함)
상기 "세로열" 충분하게 큰 각도를 회전하고, 47 상에 새로운 지지 고정을 제공할 경우, 스크린체 배후는 충분한 장착, 유지 공간을 얻게 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스탠드식" 장착처럼 하나 하나씩 위에서 아래로 해체될 수 있고, 위로부터 아래로 장착 가능하며,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비디오 월은 "전체 열" 또는 "전체 열 분단" 방식으로 "가이드 기둥"(39), "잠금 슬리브"(43) 및 "가이드 슬리브"(38)에 의해 구성된 "관통축"(45)은 한 각도로 회전하여 "돌기"(16d)는 세로 방향에서 "전체 열" 또는 "전체 열 분단"으로 서로 인접한 스크린이 화소가 "커버"되지 않은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3c)을 이탈하여 장착되고, 공간을 유지한다; 상기 "전체 열"은 "잠금 플랫폼"(40)으로 상하 스크린을 잠그고, 스크린 체 백부 커버 플레이트(44)는 "전단 응력 복판"이고, "전체 프레임"(37)과 긴밀 고정된 후 형성된 세로 열 "전단 프레임"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회전 가운데 한 측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확보한다.
본 발명의 "서스펜션 타입" 접합 중의 포지셔닝 시스템:
"서스펜션 타입" 장착 방법은 "스탠드 타입" 방식을 통해 먼저 지면에 장착하여 월로 만들고,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는 "잠금 스크린 대"(40)에 의해 상하, 좌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일체로 연결하므로 비디오 월은 쉽게 "서스펜션"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 제기한 장착 방법은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 해결 방안의 가능성의 보장 조건이 되고 본 발명의 구성 부분이다.

Claims (9)

  1. 매트릭스 배열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비디오 월을 포함하는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에 있어서,
    모든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접합 멀리온은 모두 화소를 가진 디스플레이 바에 의해 커버되고, 즉 "화소가 풀 커버"되고, 디스플레이 바는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을 커버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바는 "합병" 처리한 "합체" 디스플레이 영역이며, 즉 설령 두 개의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두 개의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과 하나의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의 성질, 위치, 부속 스크린체가 다르더라도 그것을 분할 처리 및 분할 디스플레이 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사이는 단지 유일한 하나의 "합체" 디스플레이 바를 통해 효과적으로 이어지게 하여 한 폭의 오리지널 영상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바의 형상은 "십자"형 외에 "직각"형을 나타낼 수 있으며, 매트릭스 배열을 나타내는 복수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에 의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사이의 접합 멀리온으로 구성된 그리드 라인이 커버되고, "직각" 디스플레이 바와 "십자"형 디스플레이 바는 동일하게 "합병"처리하여 "합체" 디스플레이하는 구역이고, 동시에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과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커버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직각 디스플레이 바"와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은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역을 구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역과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은 바이어스 되거나, 또는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스크린체와 바이어스 되고; 디스플레이 바는 스크린체 경계 내부에서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 양 직각 변의 "테두리"를 커버하고, 그 스크린체 경계 외부 양변은 돌출되어 "스크린 간 접합 멀리온"을 뛰어 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테두리"를 커버하고, 자체 "직각 디스플레이 바" 대각선 상의 "테두리"를 남겨두어 다른 한 조의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가 커버하기를 대기하고,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자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집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역은 원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면 영역이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갖지 않는 그 두 변의 시작 디스플레이를 시작 라인으로 하고, 영상 이미지를 새로운 디스플레이 구역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갖는 경계를 향해 "단일 방향"으로 확대하여 충만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구성된 "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단면은 "T"형 구조이며, 그것은 화소를 "커버하는" "T" 형을 나타내는 유연성 회로를 포함하고, 화소 격자의 중간 부분에서 아래로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구성된 "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내측, 외측 2층 강판에서, 외측 상부 만곡구는 외부로 향하고, 내측 상부 만곡구는 내부로 향하고; "후크 풋"과 "후크 풋"을 통하여 각각 "유지층"과 서로 연결되어 "T" 단면을 구성하고, 그 외측 강판은 스크린체 "경계 바깥"으로 회전 후 "유지층"의 "후크 풋"에서 빠져나올 수 있으며, 유연성 회로 및 그 화소 격자를 내릴 수 있고; "후크 풋"에 걸리어 스크린체 "경계 안쪽"으로 회전하고 내측 강판과 긴밀히 고정될 때, "유지층"을 "잠금"할 수 있어 "유지층"이 그것에 상대적으로 상하, 내외 편이가 발생하지 않게 하며 또한 그것의 수평 구간에 상대적으로 편이가 발생하지 않게 하여 안정적인 "T"형 "직각 디스플레이 바"를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집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층"은 투 컬러 구조이고, 그 실체는 "유백"색의 균일한 광, 투광 재질이며, 그 꼭대기 부분 및 양측 표면은 "블랙" 또는 "블랙"에 근접하며; 블랙층은 매우 얇아 화소가 발광하지 않을 경우 "유지층"이 "블랙"을 나타내고, 화소가 발광할 경우 화소의 밝기를 전부 가리지 않아 화소 격자가 이미지 영상을 충분히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돌기"가 서로 인접한 접합 스크린을 "치합"한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충분히 커버하도록 확보하기 위하여, 정확한 포지셔닝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고, 스크린체 백부 구조에 상하, 좌우의 각 2쌍의 "도킹 플랫폼"과 각 2쌍의 "잠금 플랫폼"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 "가로 스크린"과 "세로 스크린" 설치 시의 "포지셔닝"과 "잠금"에 사용되고,
    "도킹 플랫폼" 내에 정밀 "가이드 슬리브"가 설치되어 있어 세로열 스크린 사이의 "포지셔닝"과 "연결"로 하고, "가이드 기둥"이 "가이드 슬리블"를 관통하고 "잠금 슬리브"에 의해 "가이드 슬리브", "가이드 로드"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세로열을 관통하는 "관통축"으로 연결하고; 설치 시, 테이퍼 형식의 헤드부를 갖는 "가이드 기둥"이 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가이드 슬리브"에서 서로 인접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가이드 슬리브"를 관통 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돌기"는 또 다른 스크린의 "직각 디스플레이 바"의 전, 후 정확하게 "치합"되는 동시에 접합 시 상기 "돌기"는 훼손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접합 후 제로-멀리온 스크린"의 "전 유지보수, 전 장착"을 구성할 때: 비디오 월의 세로 열은 "전체 열" 또는 "전체 열 분단"으로 "관통축"에 수직되게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세로 열 "돌기"가 수직 방향에서 "전체열" 또는 "전체열 분단"으로 서로 인접한 세로 열 "스크린 면 접합 멀리온"을 벗어나는 방식으로 스크린체 전, 후에 설치, 유지보수 공간을 확보하게 되고, 비디오 월의 "전체 열" 또는 "전체 열 분단"이 수평면 내에서 "관통축"에 수직되게 회전하는 강도(intensity)와 강도(stiffness)를 보장하기 위하여, "전체 프레임" 구조를 스크린체 뒤에 설치하고, 스크린체 백부 커버 플레이트는 "전단 복판(ventral plate)"의 "전단 구조"이고; "관통축"과 "잠금 스크린 플랫폼"은 비디오 월 세로 열을 "세로열"전단으로 구성하여 비디오 월이 "전체 열" 또는 "전체 열 분단"으로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KR1020177018763A 2015-01-14 2016-02-25 접합 후 화소가 풀 커버된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KR101911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19462.2A CN105845036A (zh) 2015-01-14 2015-01-14 一种拼接后“像素全覆盖”的“全无缝”显示幕墙系统
PCT/CN2016/074504 WO2016112873A1 (zh) 2015-01-14 2016-02-25 一种拼接后像素全覆盖的全无缝显示幕墙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934A true KR20170101934A (ko) 2017-09-06
KR101911795B1 KR101911795B1 (ko) 2018-10-25

Family

ID=5640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763A KR101911795B1 (ko) 2015-01-14 2016-02-25 접합 후 화소가 풀 커버된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249119A1 (ko)
EP (1) EP3246901A4 (ko)
JP (1) JP2018522255A (ko)
KR (1) KR101911795B1 (ko)
CN (1) CN105845036A (ko)
AU (1) AU2016207115A1 (ko)
WO (1) WO2016112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930B1 (ko) * 2016-07-07 202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71657A (ko) * 2016-12-20 2018-06-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
CN106648514A (zh) * 2016-12-28 2017-05-10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拼接墙系统中显示单元物理位置的自动获取方法及系统
CN106527010A (zh) * 2016-12-30 2017-03-22 合肥威迪变色玻璃有限公司 一种电致变色智能显示幕墙及显示系统
KR102628093B1 (ko) * 2017-01-31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134227B (zh) * 2017-07-17 2023-08-01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
CN107277596A (zh) * 2017-07-29 2017-10-20 安徽博威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同频播放电视墙切换系统
CN108346381A (zh) * 2018-04-04 2018-07-31 深圳市秀狐科技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及其封装方法
US11164509B2 (en) * 2018-04-19 2021-11-02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KR102599722B1 (ko) * 2018-12-28 2023-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표시 장치
CN111385504B (zh) * 2018-12-29 2022-07-29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拼接电视的控制方法
US11714305B2 (en) 2019-01-25 2023-08-01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CN109801590B (zh) * 2019-04-01 2020-10-20 上海灵信视觉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led显示屏的多接收单元自动配置方法、装置及系统
CN110379314B (zh) * 2019-07-23 2020-10-16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缝拼接屏
CN110599946B (zh) * 2019-08-08 2021-11-16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基于tft玻璃基板的高密度led显示箱体及显示屏
CN111445807B (zh) * 2020-04-24 2021-09-03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Led拼接显示面板
KR20220055809A (ko) * 2020-10-27 2022-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3763823B (zh) * 2021-11-10 2022-04-01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拼接显示面板及拼接显示装置
CN114005375A (zh) * 2021-11-15 2022-02-01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混接显示装置
CN113990211B (zh) 2021-11-15 2022-11-01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屏及显示装置
CN114110344A (zh) * 2021-11-30 2022-03-01 南通安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显示应用连接装置
CN114220358B (zh) 2021-12-13 2023-05-30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拼接屏及显示终端
CN114245034B (zh) * 2021-12-13 2023-07-04 惠州华星光电显示有限公司 拼接显示器驱动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5031137B (zh) * 2022-06-01 2023-09-15 深圳市起立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无缝拼接功能的拼接屏及其拼接方法
CN114927066B (zh) * 2022-06-17 2023-04-21 滁州惠科光电科技有限公司 背光模组和显示装置
CN115116347B (zh) * 2022-07-26 2023-10-20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3180B2 (ja) * 1986-01-13 1996-07-03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テックス表示装置
JP2000056713A (ja) * 1998-08-04 2000-02-25 Sharp Corp 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および複合型ディスプレイ、並びに、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CN100396734C (zh) 2002-12-04 2008-06-25 中国化工建设总公司常州涂料化工研究院 钛白废副硫酸亚铁生产氧化铁黄颜料的方法
US7549255B2 (en) * 2005-09-22 2009-06-23 David Kirkwood Modular system for constructing platform and shelving structures
JP2007192977A (ja) * 2006-01-18 2007-08-02 Seiko Epson Corp タイリングディスプレイ
US8104204B1 (en) * 2007-08-29 2012-01-31 Daktronics, Inc. Electronic sign having vertically hinged face panel doors
CN101140720B (zh) * 2007-10-26 2010-06-09 北京同方瑞博数字技术有限公司 高对比度发光二极管显示屏
KR100959157B1 (ko) * 2008-06-24 2010-05-24 (주)코텍 다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멀티스크린 장치
US20140184472A1 (en) * 2009-03-20 2014-07-03 Zhanmin Xia Device for eliminating dead bezel of a display screen
CN201374154Y (zh) * 2009-03-20 2009-12-30 夏展敏 消除显示屏拼接框的装置
CN102010578A (zh) * 2010-07-16 2011-04-13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黑色无卤树脂组合物、使用其制备的覆盖膜及其制作方法
CN102087817B (zh) * 2011-03-14 2013-07-03 深圳蓝普科技有限公司 显示屏显示单元和显示屏
CN202073880U (zh) * 2011-03-18 2011-12-14 北京彩讯科技股份有限公司 超薄led拼接显示单元的快速安装结构
TWM450917U (zh) * 2012-04-05 2013-04-11 Harvatek Corp 電視牆
CN102708761B (zh) * 2012-06-14 2015-02-04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消除背投拼接墙拼缝的装置
CN102819987B (zh) * 2012-08-24 2014-12-17 西藏贝珠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oled无缝拼接显示屏及拼接方法
CN103971598B (zh) * 2013-02-05 2017-04-1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图像补偿装置及其制造方法
US9411552B2 (en) * 2013-07-16 2016-08-09 Google Inc. Bezel pixel layer in multi-panel display
CN203376935U (zh) * 2013-08-13 2014-01-01 江苏清投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屏幕拼接的无缝显示屏
CN103489374A (zh) * 2013-08-13 2014-01-01 江苏清投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屏幕拼接的无缝显示屏
CN104464557B (zh) * 2013-09-24 2019-07-12 夏展敏 一种边缘显示与液晶显示集成的方案
CN104035233B (zh) * 2014-06-13 2017-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屏边框消除装置及显示设备
CN204117528U (zh) * 2014-07-10 2015-01-21 冠捷显示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拼接显示屏幕
CN104361837A (zh) * 2014-11-20 2015-02-18 冠捷显示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拼接显示屏幕及其无缝显示方法
CN204884441U (zh) * 2015-01-14 2015-12-16 丁炜慷 一种拼接后“像素全覆盖”的“全无缝”显示幕墙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49119A1 (en) 2017-08-31
EP3246901A4 (en) 2018-09-05
EP3246901A1 (en) 2017-11-22
KR101911795B1 (ko) 2018-10-25
CN105845036A (zh) 2016-08-10
WO2016112873A1 (zh) 2016-07-21
AU2016207115A1 (en) 2017-08-03
JP2018522255A (ja)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795B1 (ko) 접합 후 화소가 풀 커버된 전체적 제로-멀리온 비디오 월 시스템
US10146077B2 (en) Device for eliminating spliced border/bezel of crystal liquid display screen by means of edge display
US8042698B2 (en) Flat display and flat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4884441U (zh) 一种拼接后“像素全覆盖”的“全无缝”显示幕墙系统
US6056406A (en) Projection system having multiple screens
US20190333424A1 (en) Arc-shaped display screen with double-curved surface
JP2008139836A (ja) 継ぎ目のない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CN212161167U (zh) 一种显示装置及显示屏
CN204360716U (zh) 一种用边缘显示消除液晶显示屏拼接边框的装置
CN111445807A (zh) Led拼接显示面板
JP2010281911A (ja) 電気光学装置
TW201506868A (zh) 可平鋪顯示設備
US20220244605A1 (en) Strip-shaped display structur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20160016062A (ko) 스크린 및 그를 이용한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RU2557070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видеоинформации на составном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м экране
WO2020224145A1 (zh) 组合式显示面板
CN113257141A (zh) 一种舞台表演用led显示屏
Greene et al. 30.3: Seamless Tiling Technology for Large Direct‐View Color AMLCD's
CN112333496B (zh) 一种影院播放系统
KR100654850B1 (ko) 멀티비전용 엘이디 표시장치
CN103248832A (zh) 一种长距离管道输煤综合调度的屏幕拼接显示系统
JP2002341450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用スクリーン
CN219457079U (zh) 一种拼接式显示屏
KR20010072285A (ko) 모듈형 구조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74722B1 (ko) 사운드 투과가 가능한 멀티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