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917A - 압축성 튜브용 강성 쉘 - Google Patents

압축성 튜브용 강성 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917A
KR20170101917A KR1020177017505A KR20177017505A KR20170101917A KR 20170101917 A KR20170101917 A KR 20170101917A KR 1020177017505 A KR1020177017505 A KR 1020177017505A KR 20177017505 A KR20177017505 A KR 20177017505A KR 20170101917 A KR20170101917 A KR 20170101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tube
wall
rigi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린 쿠르틴
Original Assignee
카린 쿠르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린 쿠르틴 filed Critical 카린 쿠르틴
Publication of KR20170101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56Holders for collapsibl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Tub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튜브(12)를 위한 강성 쉘(10)에 관한 것으로, 그 강성 쉘(10)은 길이방향 주 배향을 갖는 한편, 상부벽(26), 및 이 길이방향 상부벽(26)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그에 대향하는 하부벽(28), 및 상부벽(26)을 하부벽(28)에 연결하는 2개의 측벽(30)으로 이루어진 바디(20); 및 바디(20)의 길이방향 전방 단부에 위치하고 중앙 오리피스(32)를 포함한 강성 헤드(22)를 포함하고, 쉘(10)은 강성 재료의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각 측벽의 길이방향 후방 단부는 해당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축성 튜브용 강성 쉘{RIGID SHELL FOR A COMPRESSIBLE TUBE}
본 발명은 액체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수용하는 튜브를 덮도록 구성된 강성 쉘(rigid shell)에 관한 것이다.
그 튜브는 가요성을 가지며 제품이 분배됨에 따라 점점 압축된다. 따라서, 그 강성 쉘은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외형을 유지하고 예기치 않은 압축으로부터 튜브를 보호한다.
크림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다양한 형태에는 눌려짐으로써 그 내용을 배출시키도록 된 가요성 튜브 형태의 용기가 포함된다.
그 벽의 탄성 또는 탄성의 결여에 의존하여, 튜브는 그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된 후에 초기 형상으로 되돌아오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공기가 튜브 내로 빨아들여져 배출된 제품의 부피를 보상한다.
몇몇 튜브에는 공기가 그 튜브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분배 오리피스를 자동적으로 폐쇄하는 역류 방지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튜브는 또한 제품이 배출됨에 따라 점점 찌부러지게 변형된다.
이러한 튜브 변형은 튜브의 전체적 외형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분배 단부 피스가 예를 들면 그 단부 피스 상의 클립 온(clip-on) 타입의 캡에 의해 여전히 폐쇄되어 있는 동안의 튜브의 변형은 튜브 내에 높은 압력을 생성한다. 그러면, 제품은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분배 단부 피스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고, 이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특허 문헌 US-1.889.885에서는 치약 등의 제품을 위한 분배 튜브를 보호하기 위한 강성 쉘을 개시하고 있다.
그 쉘은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 제품이 배치된다.
그 두 플레이트는 분배 튜브를 부분적으로 둘러싸, 그 튜브를 그에 가해질 수 있는 하중의 대부분으로부터 보호한다.
하지만, 그 쉘은 분배 튜브를 완전히 둘러싸진 않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쉽게 보일 수 있고 미적으로도 좋지 못하다.
게다가, 그 문헌에 개시된 쉘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기 자유로운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튜브는 그 2개의 부품 사이에 조립된다. 사용자는 2개의 부품 및 그 부착 수단을 조작하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게다가, 튜브는 단지 그 분배 단부 피스가 위치한 단부에서만 쉘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는 쉘에서의 튜브의 안정성을 감소시키고 그 튜브를 외부 힘에 대해 노출시킨다.
본 발명은 가요성 튜브를 위한 강성 쉘을 개시하며, 이 쉘은, 길이방향 주 배향을 갖는 한편, 상부벽, 및 이 길이방향 상부벽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그에 대향하는 하부벽, 및 상부벽을 하부벽에 연결하는 2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바디, 및 이 바디의 길이방향 전방 단부에 위치하고 중앙 오리피스를 갖는 강성 헤드를 포함하는 강성 쉘로서, 강성 재료의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쉘이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가요성 튜브의 조립 중에 더 이상 상이한 부품들을 조작해야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측벽의 길이방향 후방 단부는 해당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보스는 길이방향 전방으로 개방된 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벽은 그 하부벽의 후방 단부의 에지에서 개방된 길이방향 개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개구는 하부벽의 전방 단부 에지 뒤에 위치한 전방 에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벽과 하부벽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대략 편평하다.
바람직하게는, 상부벽과 하부벽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쉘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다.
바람직하게는, 상부벽과 하부벽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사다리꼴 형상을 하며, 그 사다리꼴의 평행한 변들이 상부벽 또는 하부벽의 길이방향 전방 및 후방 단부의 에지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조립체를 개시하며, 이 조립체는 본 발명에 따른 강성 쉘 및 이 쉘 내의 가요성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변형 가능 재료로 이루어진 바디, 분배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 및 폐쇄된 후방 단부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튜브는 쉘의 전방 단부에서 튜브의 전단 단부의 탄성적 맞물림에 의해 쉘 내에서 제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쉘의 바디의 형상은 튜브의 바디의 형상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에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쉘의 개략적 상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쉘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쉘의 후방 단부의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쉘의 전방 단부의 도면이며,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쉘의 상면 또는 저면의 상이한 형상을 도시하며,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쉘의 전방 단부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하며,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쉘의 후방 단부의 상이한 형상을 도시하며,
도 8은 클립 피팅에 의한 고정 수단을 도시하는 바디와 튜브의 전방 단부의 확대 상세도이며,
도 9는 튜브의 분배 오피스가 이동 가능 커버에 의해 폐쇄되는, 도 8에 도시한 도면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는 가요성 튜브(12)를 수용하는 쉘(10)을 도시한다.
가요성 튜브(12)는 예를 들면 화장용 크림 등의 페이스트 또는 액체 제품을 수용한다.
튜브(12)는 변형 가능 재료로 이루어진 바디(14), 분배 오리피스를 포함한 전방 단부(16) 및 폐쇄된 후방 단부(18)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4)는 튜브(12)의 후방 단부(18)를 형성하는 직선형 에지를 형성하도록 접음으로써 후방 단부가 폐쇄된 관형 실린더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은 그러한 가요성 튜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튜브(12)의 형상 및/또는 치수는 도면에 도시한 것과는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튜브(12)의 바디는 절두 원추형 또는 볼록한 형상을 할 수 있다.
튜브(12)의 전방 단부(16)의 형상은 튜브(12)의 바디(14)를 이루는 실린더의 메인 섹션의 형상과 유사하다. 이 경우, 튜브의 전방 단부(16)의 형상은 도 4에서 특히 잘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형이다.
본 발명은 그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튜브의 전방 단부(16)는 예를 들면 장타원형(oblong) 또는 타원형일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쉘(10)은 튜브(1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쉘(10)은 튜브(12)의 바디(14)가 끼워지는 체적을 획정하는 바디(20), 튜브(12)의 전방 단부(16)와 협동하는 전방 단부(22), 및 튜브(12)의 후방 단부(18)와 협동하는 후방 단부(24)를 포함한다.
쉘(10)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기타 재료의 성형에 의해 제조된 단일 피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쉘(10)의 바디(20), 전방 단부(22) 및 후방 단부(24)는 동일 부품의 일부분이다.
쉘(10)의 전방 단부(22)는 튜브(12)의 전방 단부(16)의 형상과 관련된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그에 상보적이다.
이 경우, 튜브(12)의 전방 단부(16)는 원뿔 형상을 가지며, 쉘(10)의 전방 단부(22)도 원뿔 형상을 갖는다.
쉘은 튜브(12)의 분배 단부 피스(34)가 통과할 수 있는 중앙 오리피스(32)를 포함한다.
바디(20)는 튜브(12)의 바디(14)를 둘러싼다. 그 바디(20)는 상면(26)과 하면(28)을 포함하며, 상면(26)과 하면(28)은 측벽(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바디(20)의 그러한 4개의 벽(26, 28, 30)은 튜브(12)의 바디(14)에 둘러지게 분포된다.
바디(20)의 각각의 벽의 형상은 바디(20)가 튜브(12)의 바디(14)를 가능한 한 많이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도 1 내지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튜브(12)의 바디(14)와 쉘(10)의 바디(20)의 벽(26, 28, 30) 사이에는 틈새가 존재한다. 하나의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12)의 바디(14)는 튜브(12)가 완전히 채워져 있을 때에 틈새가 없도록 쉘(10)의 바디(20) 내에 꼭 들어맞게 된다.
쉘(10)을 형성하는 재료는 비교적 강성의 재료이며, 특히 튜브(12)의 바디(14)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큰 강성을 갖는다.
따라서, 튜브(12)가 쉘(10) 내에 있는 경우, 그 튜브는 예기치 않게 제품을 배출시킬 수 있는 외부 압력으로부터 보호된다.
그 재료는 튜브(12)의 바디(14)의 벽 상의 처방란(inscription)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투명할 수 있다.
반면, 그 재료는 또한 튜브(12)의 바디(14)의 벽 상의 처방란을 가리도록 불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도 있다.
처방란은 또한 쉘을 형성하는 재료와는 관계없이 쉘(10)의 바디(20)의 벽(26, 28, 30) 상에 배치되어, 튜브(12) 상의 처방란을 대체 또는 보완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쉘(10)의 바디(20)는 튜브(12)의 바디(14)를 완전히 둘러싸, 그 바디를 외부의 하중으로부터 보호한다.
수용된 제품의 소정량을 배출시키도록 튜브(12)의 바디(14)를 사용자가 압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쉘(10)의 하부 벽(28)은 개구(36)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튜브(12)의 바디(14)를 누르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그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36)는 쉘(10)의 길이방향 주 방향을 따라, 개구(36)가 개방되는 하부 벽(28)의 후방 단부(28a)에서 시작하여, 대략 하부 벽(28)의 전방 단부(28b)까지 연장한다.
따라서, 그 개구의 전방 에지(38)는 하부 벽(28)이 쉘(10)의 전방 단부(22)에 연결되는 하부 벽의 전방 단부(28b) 뒤에 위치한다.
이 경우, 개구(36)의 형상은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다시 말해, 개구는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진 2개의 길이방향 에지(40)와 전방 에지(38)를 포함한다. 그 개구(36)는 또한 후방 단부에서 개방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개구(36)의 형상은 상이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전방 에지(38)가 원호형으로서 형성된 장타원형일 수 있거나, 개구(36)는 그 후방 단부가 폐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후방 단부는 하부 벽(28)의 후방 단부(28a)의 앞에서 그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개구(36)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그의 손가락과 쉘의 상부벽(26) 사이에서 튜브(12)의 바디(14)를 누름으로써 튜브 내에 수용된 제품에 압력을 생성할 수 있어, 그 제품의 일부가 단부 피스(3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개구(36)의 치수 및 형상은 튜브(12) 내부에 수용된 제품 전부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튜브(12)의 전체 바디를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쉘(10)은 후방 단부(24)에서 개방되어, 튜브(12)가 그 후방 단부(24)를 통과해 길이방향 주 방향의 병진 운동을 따라 바디(20)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쉘(10)의 후방 단부(24)는 또한 쉘(10) 내의 튜브(12)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이 경우, 그 유지 수단은 2개의 보스(42)로 이루어지며, 이들 보스 각각은 측벽(30)의 내면의 길이방향 후방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각 보스(42)는 관련 내면(30i)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여 멈춤 요소를 형성하며, 튜브(12)가 쉘(10) 내에 제위치에 있을 때에 튜브(12)의 후방 단부(18)가 그 멈춤 요소에 맞대어져 길이방향 후방에 대해 멈춰진다.
쉘(10) 내에 튜브(12)의 설치는 쉘(10)의 후방 단부의 개구를 통해 쉘(10) 내로 튜브(12)를 점진적으로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튜브(12)는, 삽입이 보스(42)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튜브가 보스(42)와의 접촉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최종 위치로부터 미리 이동되어 있다. 이러한 변위는 튜브(12)를 그 길이방향 주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또는 튜브를 보스(42)로부터 오프셋되게 최종 위치로부터 약간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쉘(10)의 바디(20)의 치수는 튜브(12)가 쉘(10)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해진다. 튜브(12)의 치수 및 전체적 형상에 따라, 튜브(12)는 소정의 기능적 틈새를 갖고 쉘(10) 내에 끼워질 수 있다.
하지만, 쉘(10)의 바디의 치수는 또한 튜브(12)와 쉘(20)의 면들 사이에 틈새의 존재로 인해 튜브(12)가 쉘(10)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정해진다.
도 8 및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튜브(12)는 쉘(10)의 전방 단부(22) 내에서 튜브(12)의 전방 단부(16)의 탄성적 맞물림에 의해 쉘 내에서 제위치에 유지된다.
그러한 탄성적 맞물림은 바람직하게는 튜브(12)의 단부 피스(34)가 전방 단부(22)의 중앙 오피리스(32)를 완전히 통과한 후에 그 중앙 오리피스(34) 내에 맞물리는 단부 피스(34)의 기부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12)의 단부 피스(34)는, 단부 피스(34)를 폐쇄하도록 캡(도시 생략)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외나사(46)를 포함하며, 그 나사(46) 아래에 위치하는 단부 피스(34)의 기부는 그 나사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칼라(48)를 포함한다. 중앙 오리피스(32)의 직경은 단부 피스(34)의 나사(46)의 직경보단 크고 칼라(48)의 외경보다는 작다.
칼라(48)는 또한 단부 피스가 중앙 오리피스를 통해 삽입되는 경우 그 중앙 오리피스(32)에서 쉘(10)의 전방 단부(22)의 탄성적 변형을 용이하게 하도록 형성된 원뿔형 전방면(50)을 포함한다.
그 칼라(48)는 또한 단부 피스(34)가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 중앙 오리피스(34)의 에지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원추형 후방면(52)을 포함한다.
전방면(50)의 벌어짐 각도는 후방면(52)의 벌어짐 각도보다 훨씬 작아, 후방면의 지지가 단부 피스(34)를 중앙 오리피스(32) 내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다.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단부 피스는 단부 피스(34)로 선회하여 그를 폐쇄하는 커버(54)를 포함한다.
단부 피스(34)의 외벽은 매끈하며,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원추형 전방면(50) 및 중앙 오리피스(34)의 에지와 접촉하여 지지되는 원추형 후방면을 포함하는 칼라(48)만을 포함한다.
이들 두 원추형 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오리피스(32)의 에지와 협동한다.
본 발명은 탄성적 맞물림 수단에 의한 그러한 유지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지 수단은 쉘에서의 다른 위치에, 예를 들면, 쉘(10)의 전방 단부(22)의 후방 에지에 배치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쉘(10) 내의 튜브의 길이방향 유지를 위해 탄성적 맞물림에 의한 유지 수단을 보완하기 위해, 각 보스(42)는 길이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개방된 홈(44)을 포함한다.
보스(42)의 2개의 홈(44)은 튜브(12)의 편평한 후방 단부(18)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보스(42)의 홈(44)은 튜브(12)의 후방 단부(18)를 위한 길이방향 유지를 제공하는 동시에, 튜브(12)의 후방 단부(18)의 상향 또는 하향 수직 변위에 대한 유지도 제공한다.
도 5는 상부벽(26)과 하부벽(28)의 형상을 형성하는 상이한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벽들의 형상 및 치수는 동일하며, 쉘(10) 내에 위치할 튜브(12)의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그 2개의 벽(26, 28)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하나의 변형예에 따르면, 2개의 벽(26, 28)은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그 평행한 변 또는 베이스들이 벽(26, 28)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그 사다리꼴의 큰 변은 각 벽(26, 28)의 전방 단부 또는 후방 단부에 위치한다.
게다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벽(26, 28) 중 하나 및/또는 둘 모두는 대략 편평하다.
하나의 변형예에 따르면, 2개의 벽(26, 28) 중 하나 및/또는 둘 모두는 상당히 만곡되어 쉘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쉘(10)의 전방 단부(22)는 회전 원뿔(cone of revolution) 형태인데, 다시 말해 쉘의 주축선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단면이 원형이다.
도 6에 도시한 하나의 변형예에 따르면, 쉘(10)의 전방 단부(22)의 단면은 장타원형이며, 그 단면의 가장 큰 치수의 방향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쉘(10)의 후방 단부(24)는 장타원형이며, 그 큰 치수는 튜브(12)의 후방 단부(18)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쉘(10)의 후방 단부(24)의 장타원형 형상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쉘(10)의 전방 단부(22)의 임의의 형상 및 임의의 사이즈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예에 따르면, 쉘(10)의 후방 단부(24)의 큰 치수는 원형 형상을 갖는 쉘(10)의 전방 단부(2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다.
제2 예에 따르면, 쉘(10)의 후방 단부(24)의 큰 치수는 원형 형상을 갖는 쉘(10)의 전방 단부(22)의 직경보다 작다.
제3 예에 따르면, 쉘(10)의 전방 단부(22)도 역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타원형이며, 그 큰 치수는 쉘(10)의 후방 단부(24)의 큰 치수보다 크다.

Claims (9)

  1. 가요성 튜브(12)를 위한 강성 쉘(10)로서:
    길이방향 주 배향을 갖는 한편, 상부벽(26), 및 이 길이방향 상부벽(26)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져 그에 대향하는 하부벽(28), 및 상기 상부벽(26)을 상기 하부벽(28)에 연결하는 2개의 측벽(30)으로 이루어진 바디(20); 및
    상기 바디(20)의 길이방향 전방 단부에 위치하가고 중앙 오리피스(32)를 포함한 강성 헤드(22)
    를 포함하고, 상기 쉘(10)은 강성 재료의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가요성 튜브용 강성 쉘(10)에 있어서,
    각 측벽(30)의 길이방향 후방 단부는 해당 측벽(30)의 내면(30i)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보스(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튜브용 강성 쉘.
  2. 제1항에 있어서, 각 보스(42)는 길이방향 전방으로 개방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튜브용 강성 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벽(28)은 그 하부벽(28)의 후방 단부(28a)의 에지에서 개방된 길이방향 개구(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튜브용 강성 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36)는 상기 하부벽(28)의 전방 단부 에지(28b) 뒤에 위치한 전방 에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튜브용 강성 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26)과 하부벽(28)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대략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튜브용 강성 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26)과 하부벽(28)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상기 쉘(1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튜브용 강성 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26)과 하부벽(28)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사다리꼴 형상을 하며, 그 사다리꼴의 평행한 변들이 상부벽(26) 또는 하부벽(28)의 길이방향 전방 및 후방 단부의 에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튜브용 강성 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성 쉘(10) 및 이 쉘(10) 내의 가요성 튜브(12)를 포함하는 조립체로서, 상기 튜브(12)는 변형 가능 재료로 이루어진 바디(14), 분배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16) 및 폐쇄된 후방 단부(18)를 포함하는 것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튜브(12)는 상기 쉘(10)의 전방 단부(22)에서 상기 튜브(12)의 전단 단부(16)의 탄성적 맞물림에 의해 상기 쉘(10) 내에서 제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쉘(10)의 바디(20)의 형상은 상기 튜브(12)의 바디(14)의 형상과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KR1020177017505A 2014-12-31 2015-12-28 압축성 튜브용 강성 쉘 KR201701019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63501A FR3031089B1 (fr) 2014-12-31 2014-12-31 Enveloppe rigide pour tube compressible
FR1463501 2014-12-31
PCT/EP2015/081276 WO2016107839A1 (fr) 2014-12-31 2015-12-28 Enveloppe rigide pour tube compressi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917A true KR20170101917A (ko) 2017-09-06

Family

ID=5262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505A KR20170101917A (ko) 2014-12-31 2015-12-28 압축성 튜브용 강성 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227164B2 (ko)
EP (1) EP3240733B1 (ko)
JP (1) JP2018500252A (ko)
KR (1) KR20170101917A (ko)
CN (2) CN107108079A (ko)
AU (1) AU2015373448B2 (ko)
BR (1) BR112017013766A2 (ko)
CA (1) CA2972139A1 (ko)
ES (1) ES2726925T3 (ko)
FR (1) FR3031089B1 (ko)
IL (1) IL253165B (ko)
PL (1) PL3240733T3 (ko)
RU (1) RU2017127070A (ko)
WO (1) WO2016107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2446B1 (fr) 2016-06-10 2018-07-13 Karine Courtin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KR101812083B1 (ko) 2016-11-21 2017-12-26 김종호 액상 세제 용기
US10219793B2 (en) * 2017-08-04 2019-03-05 Ethicon, Inc. Delivery systems for flowable substances stored in squeezable con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9885A (en) 1931-05-25 1932-12-06 Ernest E Cullen Holder for collapsible tubes
US2613853A (en) * 1950-12-18 1952-10-14 Wilmet P Halvorsen Dispenser with slidable pressure plates for collapsible tubes
FR1161905A (fr) * 1956-11-21 1958-09-08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s produits pâteux, liquides..., en tubes ou étuis souples sous enveloppes rigides, et de commande pour expulser ces produits
US4326647A (en) * 1980-05-22 1982-04-27 Pool Dan L Device for dispensing fluent material from a collapsible container
DE4036850A1 (de) * 1990-11-19 1992-05-21 Henkel Kgaa Aufreisshilfe fuer innenbeutelverpackung
US5346108A (en) * 1992-10-26 1994-09-13 Pasinski Arthur M Gaged dispensing apparatus
US5277332A (en) * 1993-02-04 1994-01-11 Isabel Rogers Multiple dispensing container for viscous materials, cups and toothpaste
FR2844773B1 (fr) * 2002-09-24 2005-01-28 Jerome Boumnso Dispositif formant un conditionnement de produits visqueux a vidage integral par pompage manuel
WO2008102066A1 (fr) * 2007-02-19 2008-08-28 Roger Le Faucheur Flacon pour tube de dentifrice
DE102011100363A1 (de) * 2010-11-11 2012-05-16 Daniel Andrei Vollständig entleerbare Tube
JP5212579B1 (ja) * 2011-06-03 2013-06-19 東亞合成株式会社 外装容器及びチューブ容器用スタンド
DE102012004510A1 (de) * 2012-03-06 2013-09-12 Boldt & Co. Vertriebs OHG Haltevorrichtung zum Halten einer Tube
FR3011826B1 (fr) 2013-10-10 2015-12-25 Karine Courtin Dispositif de distribution et de protection de fluide comportant un obturateur a f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72139A1 (fr) 2016-07-07
BR112017013766A2 (pt) 2018-02-27
CN113859745A (zh) 2021-12-31
FR3031089A1 (fr) 2016-07-01
ES2726925T3 (es) 2019-10-10
RU2017127070A (ru) 2019-01-31
WO2016107839A1 (fr) 2016-07-07
IL253165B (en) 2020-09-30
FR3031089B1 (fr) 2017-08-18
AU2015373448B2 (en) 2020-09-10
CN107108079A (zh) 2017-08-29
EP3240733A1 (fr) 2017-11-08
JP2018500252A (ja) 2018-01-11
PL3240733T3 (pl) 2019-08-30
EP3240733B1 (fr) 2019-02-20
US10227164B2 (en) 2019-03-12
IL253165A0 (en) 2017-08-31
AU2015373448A1 (en) 2017-07-13
US20180009575A1 (en)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29065S1 (en) Funnel for bottle cap
USD863963S1 (en) Cap for bottle
USD856159S1 (en) Cosmetics dispenser
USD932920S1 (en) Perfume bottle
USD949023S1 (en) Cosmetic tube with applicator
USD902720S1 (en) Bottle with cap
USD834944S1 (en) Liquid dispenser
USD884841S1 (en) Drain hose
KR20170101917A (ko) 압축성 튜브용 강성 쉘
USD933788S1 (en) Pipe cap for drain pipe outlet
USD881005S1 (en) Cap for liquid discharge dispenser
USD903499S1 (en) Perfume bottle
USD911182S1 (en) Combination perfume bottle with cap
USD953107S1 (en) Cap for a liquid container
USD889994S1 (en) Dispenser
USD899851S1 (en) Effervescent liquid dispenser assembly
USD853037S1 (en) Container for cosmetics
EP3378798B1 (en) Squeeze container
USD833878S1 (en) Combined cosmetics tottle and cap
USD846196S1 (en) Container for cosmetics
USD854348S1 (en) Soap retention device
USD932304S1 (en) Dentifrice dispenser
USD863960S1 (en) Cap for a bottle
USD862159S1 (en) Liquid dispenser
EP3281550B1 (en) Spuit-type container including flocking tip having temporary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