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330A -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330A
KR20170101330A KR1020160022946A KR20160022946A KR20170101330A KR 20170101330 A KR20170101330 A KR 20170101330A KR 1020160022946 A KR1020160022946 A KR 1020160022946A KR 20160022946 A KR20160022946 A KR 20160022946A KR 20170101330 A KR20170101330 A KR 20170101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enebrino
molitor
memory
meal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일
장명진
김용수
김영기
임종수
박선규
안용준
Original Assignee
안용준
영월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준, 영월군 filed Critical 안용준
Priority to KR1020160022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1330A/ko
Publication of KR20170101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A61K36/068Cordyce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물질은 천연물 유래의 신규 기억력 증진제로 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Memory Enhancing Composition Containing Tenebrino molitor ex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병(AD; Alzheimer's disease)은 신경세포(neuron) 상실과,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로부터 유래된 39~43 아미노산 펩티드인 아밀로이드 β단백질(amyloid-beta;Aβ)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세포외 노인성 반(senile plaque)을 특징으로 한다.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연구 결과 Aβ 또는 Aβ 펩티드 단편은 독성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어 Aβ가 AD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Butterfield et al.,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32:1050~1060, 2002; ButterfIeld et al.,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43:658~677, 2007). 배양시, Aβ는 신경세포 사멸을 직접적으로 유도하며 신경세포를 흥분 독성 및 산화성 손상에 취약하게 한다. NMDA(N-methyl-D-aspartate receptor)수용체는 Aβ결합의 선택적 기질이나 Aβ-유발되는 글루타메이트 흥분 독성의 매개자로 작용한다. NMDA수용체는 특히 Ca2+에 고도로 투과성인 리간드-게이트/볼티지-감수성 양이온 채널이다. [Ca2+]i의 광범위한 상승은 직접적으로 세포 기능부전, 과잉흥분 또는 사멸에 이르게 한다. 따라서 Aβ의 신경 독성 효과가 비-경쟁적 NMDA수용체 길항제인(5R.10S)-(+)-5-메틸-10,11-디하이드로-5H-디벤조[a,d]사이클로헵텐-5,10-이민 말레이트(MK-801)[5R.10S)-(+)-5-methyl-10,11-dihydro-5Hdibenzo(a,b)cyclohepten-5,10-imine maleate]에 의해 감소된다는 보고에 의해 증명되는 바와 같이, Aβ노출에 의한 NMDA수용체를 통한 Ca2+ 유입은 Aβ-유도된 신경 독성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형성 또한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몇몇 증거가 신경세포 항상성을 방해하는 광범위한 분자적 형상을 통해 신경퇴화를 촉발하거나 용이하게 함으로써, Aβ-매개 된 신경병에서 활성 인자로서 산화성 스트레스의 관여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NMDA 수용체 길항제와 신경세포 채널의 직접적 차단제의 임상적 유익성은, 그들이 확인할만한 효능을 결여하고 있거나 심각한 부작용을 가지므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대부분의 퇴행성 뇌질환들은 치매, 특히 인지 장애와 기억장애(기억력 감퇴)를 수반한다. 따라서, 치매를 비롯한 퇴행성 뇌질환의 바람직한 치료제는 뇌세포의 파괴와 노화를 지연시켜 뇌세포를 보호하고, 인지기능을 회복시켜야 한다. 지금까지 개발된 약제로는 활성산소에 의한 뇌세포의 파괴를 억제하는 비타민 E와 셀레질린(selegiline)과 같은 항산화제, 타크린(Tacrine), 아리셉트(Aricept) 및 엑셀론(Exelon)과 같은 아세틸콜린 분해 효소 억제제(acetylcholinesterase-inhibiting drugs) 등이 있다.
화학합성 화합물인 타크린(tacrine), 도네페질(donepezil),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갈란타민(galantamine)과 같은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AChE) 저해제들은 알쯔하이머 병에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구토, 설사, 현기증과 같은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Terry, A.V. Jr., and Buccafusco, J.J., J. Pharmacol. Exp. Ther. 306: 821~827, 2003; Cummings, J.L., Mackell, J. and Kaufer, D., Alzheimers Dement. 4: 49~60, 2008).
따라서, 이와 같은 화학합성 항산화제들의 부작용을 줄여줄 대안으로 많은 천연 항산화제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ajani, M. 2004. Biotechnology of Medicinal Plants: Vitalizer and Ttherapeutic. Enfield, New Hampshire). 식물체 유래 항산화활성 물질들은 jateorrhizine과 groenlandicine 같은 알칼로이드계(Jung, H.A. et al., Biol. Pharm. Bull. 32: 1433~1438, 2009), 터피노이드계 및 비타민 E, 유제놀(eugenol) 같은 페닐프로마노이드계(Owena, R.W et al.,, Food Chem. Toxicol. 41:703~717, 2003), epigallocatechin, catechin, gallocatechin 등의 탄닌류 (Sasaki, N., et al., Chem. Biol. Interact. 145: 101~116, 2003)가 잘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519852호는 백하수오, 건지황, 원지 및 석창포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 또는 인지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였고, 한국등록특허 제1394650호는 강황, 상황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기억손상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다.
한편,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는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야행성 곤충으로 국내에서 실내에서 대량 사육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 대표적인 산업곤충들 중 하나이다. 이미 중국, 네덜란드, 동남아시아 등 국외에서는 거저리 유충을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어 식용소재로서 가치가 높은 자원이다. 특히 갈색거저리 유충은 간암을 포함하는 간질환을 치료할 목적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에서 전통적으로 이용되어 왔다(Pemberton RW., J Ethnopharmacol 65: 207~216, 1999). 갈색거저리 유충은 칼슘이나 마그네슘 같은 미네랄과 올레익산과 같은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실험용 마우스에 매일 3g/kg을 1개월간 섭취시켜도 유의할만한 특이 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이 밝혀졌다(Han SR et al., Toxicol Res 30: 121~130, 2014).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곤충의 식용화를 위해 갈색거저리 애벌레에 대한 제조 공정 확립, 영양 성분 분석, 독성 시험 등 과학적인 안전성 입증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2014년 7월 15일 갈색거저리 애벌레를 새로운 식품 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한시적 인정을 받았다(농진청보도자료, 2014.07.18. 충, 우리 식탁 먹거리로 오른다; 갈색거저리 애벌레 한시적 식품 원료로 인정돼).
최근에 곤충산업에 관한 연구 및 산업화 관련 정책들이 추진되면서 곤충을 식품 원료로서 상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5-0050712호는 갈색거저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을 개시하였고, 한국공개특허 제2014-0060426호는 갈색거저리 유충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였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4-0065489호는 β-세크레타제(β-secretase, BACE 1)의 활성을 저해능을 갖는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기억력 증진효과를 갖는 물질에 대한 연구를 해오던 중, 동충하초를 먹이로 하여 사육시킨 갈색거저리의 추출물이 기억력 증진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기억력 증진능이 우수한 활성물질, 이들의 분리 방법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기억력 증진능을 갖는 활성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기억력 증진능을 갖는 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기억력 증진능을 갖는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물질은 천연물 유래의 신규 기억력 증진제로 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색거저리 에탄올 추출물의 스코폴라민 유도 마우스에 대한 모리스 수중미로 이동거리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색거저리 에탄올 추출물의 스코폴라민 유도 마우스에 대한 모리스 수중미로 탈출 지연시간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갈색거저리 에탄올 추출물의 스코폴라민 유도 마우스에 대한 모리스 수중미로에서의 속도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는 부작용 위험이 낮으면서,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 유래의 기억력 증진용 활성물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이 기억력 증진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대상으로 스코폴라민으로 기억을 손상시킨 마우스의 모리스 수중미로 테스트를 수행하였고,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의 에탄올 추출물이 기억력 증진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은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를 마쇄시킨 후, 유기용매 또는 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 에테르, 벤젠, 톨루엔 등의 무극성 용매;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의 중간극성 용매를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은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 또는 물에 마쇄된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를 침지, 중탕, 증류시켜 추출하거나 초임계 추출 또는 마이크로파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여과 및 농축과정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기억력 증진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을 분획할 경우, 기억력 증진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분획물을 분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을 각각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순차분획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획득하고, 획득한 분획물을 가지고 기억력 증진능 활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분획물들이 보다 우수한 기억력 증진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분획물은 유기용매의 극성에 따라 용해되는 화합물들을 분리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먼저 추출한 연 뿌리 및 연 잎 추출물에 각각 순차적으로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분획하여 헥산 분획물, 클로로포름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분획물을 획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기억력 증진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분획물을 대상으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면 기억력 증진능 활성 본체를 분리 및 동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중압용 크로마토그래피(MPLC), 박막크로마토그래피(TLC) 및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수행하여 기억력 증진능 활성 본체를 분리하고, 전자충격 질량분석(EI-MS), 핵자기공명(NMR) 및 DEPT(Distortionless Enhancement by Polarization Transfer)을 수행하여 기억력 증진능 활성 본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기억력 증진능을 갖는 활성물질 및 이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은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물질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이 음료 조성물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갈색거저리 추출
1-1: 갈색거저리 사육
갈색거저리는 통상의 실험실 조건 즉, 온도 25±1℃, 상대습도 50±5%의 서울대학교 농생대 곤충사육실에서 사육하였다. 먹이는 밀기울에 동충하초, 복합비타민과 콩가루를 혼합하여 급이하였고, 4-5일에 1회 배추 잎을 제공하였다.
1-2: 갈색거저리 추출
실시예 1-1에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 유충을 체로 분리하여 건조기(50℃)에서 3일 동안 건조시키고 마쇄기로 마쇄하여 에탄올 90 L에 48시간 간격으로 실온에서 3회 침지하여 여과(Whatman no.2, Maidstone, UK))한 후, 여과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농축시켜 갈색거저리 유충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갈색거저리 유충 에탄올 추출물의 스코폴라민(scopolamine)유도 마우스의 기억력 증진력 확인
기억력 증진효과 검정용으로 사용한 시험 동물은 ICR계 암컷 마우스(25~30g)로 폴리아크릴 케이지(38×23×10cm) 당 10마리로 12:12 광주기로 충분한 먹이와 물을 제공하면서 관리하였다. 시험동물의 관리는 시험동물윤리기준(NIH publication No. 85-23, 1985년 개정) 및 경희대학교 동물실험윤리가이드라인을 준수하였다. 마우스들은 각각 10개체씩 6개 그룹[대조군, 스코폴라민(scopolamine) 그룹, 갈색거저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 그룹(60 mg/kg과 100mg/kg), 아스코빅산 처리 그룹(10 mg/kg), 타크린 처리 그룹(10mg/kg)]으로 구분하여 매일 모리스 수중 미로 검사 1시간 전에 처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기억 손상은 추출물, 타크린 또는 아스코빅산 처리 30분 후 스코폴라민(1 mg/kg, i.p)으로 유도하였다. 대조군은 0.9% 식염수 만을 각 개체 체중에 따라 0.02 mL/g으로 처리하였다. 처리 평균간 비교(P=0.05)는 본페로니법을 이용하였다.
모리스 수중 미로(Harvard Bioscience, Holliston, Massachusetts, USA)(직경 90cm, 높이 45cm의 원형 수조)에 24~25℃의 물을 25cm로 채우고 무독성 먹물을 채웠다. 검은색 지지대(직경:10cm, 높이:23cm)를 수조 4분위 중 한 곳에 수면 2cm 아래에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고정시켰다. 첫 실험일은 60초 동안 실험 마우스들이 탈출용 지지대로 자유로이 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우스가 60초 내에 그 지지대를 찾지 못할 경우에는 10초 동안 그 지지대 위에 놓아두었다. 다음 훈련을 실시하기 전 20초 동안은 수조 밖으로 꺼내 휴식을 주었다. 이 과정은 매일 5회 반복되었다. 이와 같이 실험 마우스를 매일 5번의 60초 훈련시험으로 5일간 훈련시켰다. 훈련 후, 각기 다른 그룹 내 마우스들의 학습기억력을 모리스 수중 미로 검사를 통해 탈출 이동거리, 지연시간 및 속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거리에 있어 스코폴라민 단독 처리 그룹(0.5mg/kg, i.p.)은 식염수를 처리한 무처리구 그룹에 비해 플랫폼으로의 이동 거리가 더 길었지만, 거저리 유충 추출물, 아스코빅산 또는 타크린을 스코폴라민과 함께 처리한 그룹들은 스코폴라민 단독처리 그룹에 비해 더 짧은 이동 거리를 나타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코폴라민 유도 그룹이 식염수를 처리한 무처리구 그룹에 비해 시험기간 5일 동안 미로를 탈출하는데 있어 더 긴 지연시간을 보였다. 하지만 거저리 추출물(100mg/kg)이나 양성대조구인 아스코빅산(10mg/kg)과 타크린(10mg/kg)과 스코폴라민을 함께 처리한 그룹은 스코폴라민을 단독으로 처리한 그룹에 비해 훨씬 더 짧은 지연시간을 보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검정계에서의 속도 측면에서 스코폴라민 단독처리 그룹은 식염수를 처리한 무처리구 그룹에 비해 더 느렸다. 하지만, 거저리 추출물(100mg/kg)이나 양성대조구인 아스코빅산(10mg/kg)과 타크린(10mg/kg)을 스코폴라민과 함께 처리한 그룹들은 스코폴라민 단독처리 그룹에 비해 검정계에서의 속도가 더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의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5.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기억력 증진능을 갖는 활성물질.
  6.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기억력 증진능을 갖는 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7. 동충하초로 사육시킨 갈색거저리(Tenebrino molitor, mealworm)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기억력 증진능을 갖는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KR1020160022946A 2016-02-26 2016-02-26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KR20170101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946A KR20170101330A (ko) 2016-02-26 2016-02-26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946A KR20170101330A (ko) 2016-02-26 2016-02-26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330A true KR20170101330A (ko) 2017-09-06

Family

ID=5992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946A KR20170101330A (ko) 2016-02-26 2016-02-26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13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893B1 (ko) * 2017-11-24 2019-03-2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11779626B2 (en) 2018-01-05 2023-10-10 Cosmax Ns, Inc.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by using goji berries, mulberries and jujub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893B1 (ko) * 2017-11-24 2019-03-2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11779626B2 (en) 2018-01-05 2023-10-10 Cosmax Ns, Inc.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by using goji berries, mulberries and jujub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uanghao et al. Morinda citrifolia (Noni): A comprehensive review on its industrial uses,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clinical trials
Da-Costa-Rocha et al. Hibiscus sabdariffa L.–A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Xiang et al. The bioactivity and applications of pomegranate peel extract: A review
Liu et al. Leaves, seeds and exocarp of Ginkgo biloba L.(Ginkgoaceae): A Comprehensive Review of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pharmacology, resource utilization and toxicity
US10603332B2 (en) Anti-obesity composition
KR20170101330A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KR102371417B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92032B1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468819B1 (ko) 무화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30107947A (ko) 디플로르에토하이드록시카르마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Liang et al. Phytochemistry and health functions of Zanthoxylum bungeanum Maxim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 et Zucc as pharma-foods: A systematic review
Lim Garcinia mangostana
Amir et al. A review on phyto-pharmacological significance of ajwa pits (Phoenix dactylifera L.)
KR20150063905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40041187A (ko) 얼레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71986B1 (ko) 참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514284B1 (ko) 땃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37774A (ko) 항산화 효능이 증가된 정향의 제조방법
KR101153870B1 (ko) 뉴라미니데이즈 억제활성을 가지는 들깨 추출물
KR101719672B1 (ko) 항산화 활성 및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제 억제 활성을 갖는 연 추출물 유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lsamri et al. Pharmacolog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hus coriaria L.(Sumac). Antioxidants 2021, 10, 73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27050B1 (ko) 와사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30107B1 (ko) 아라비노자일란 함유 미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 또는 청각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