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47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470A
KR20170100470A KR1020170107565A KR20170107565A KR20170100470A KR 20170100470 A KR20170100470 A KR 20170100470A KR 1020170107565 A KR1020170107565 A KR 1020170107565A KR 20170107565 A KR20170107565 A KR 20170107565A KR 20170100470 A KR20170100470 A KR 20170100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oor
display unit
dissipa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679B1 (ko
Inventor
구건표
서용범
신춘엽
유우열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2334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26991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67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장고가 개시된다. 개시된 냉장고는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내부에 형성된 방열유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유로의 일단은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구멍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방열유로의 타단은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구멍을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유닛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에 저온의 냉기를 공급하여 음식물을 저온에서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로서, 결빙온도 이하로 유지시키는 냉동실과, 결빙온도를 약간 웃도는 온도를 유지하는 냉장실을 구비한다.
냉장고는 저장실과 도어의 형태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으며, 저장실이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상측에 냉동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TMF(Top Mounted Freezer)형 냉장고와,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형 냉장고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저장실이 수직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고 일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며 타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는 SBS(Side by Side)형 냉장고가 있으며, 저장실이 수평격벽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고 상측에 냉장실이 형성되며 하측에 냉동실이 형성되되 상측의 냉장실은 한 쌍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FDR(French Door Refrigerator)형 냉장고가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도어에는 냉장고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거나 냉장고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디스플레이유닛이 마련되기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유닛은 작동시 열이 발생되며, 이러한 열은 디스플레이유닛의 작동 성능을 저하 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로 방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방열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유닛에서 발생한 열을 냉장고의 도어로 전도시키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방열 효율이 만족스럽지 못하였으며, 도어와 접촉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러한 열이 전달될 수 있었다. 또한, 송풍기를 사용하여 열을 방출시키는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소음이 발생하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내부에 형성된 방열유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유로의 일단은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구멍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방열유로의 타단은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구멍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멍 및 상기 제2 구멍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방열유로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구멍을 포함하는 차단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실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를 구비하며,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과 상기 단열재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유닛의 일부는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유로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메인유로 및 상기 메인유로로 전달된 열을 상기 제1 구멍 및 상기 제2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서브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메인유로를 형성하는 방열커버 및 상기 서브유로를 형성하는 방열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열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열덕트는 상기 방열커버로부터 외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도어의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도어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기 위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실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를 구비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유닛; 및 상기 도어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방열유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후면을 덮는 방열커버 및 상기 방열커버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방열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열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과 상기 단열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방열덕트는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열유로는 상기 방열커버에 형성되는 메인유로 및 상기 방열덕트에 형성되는 서브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덕트는 상기 방열커버로부터 외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열유로의 일단은 상기 도어의 상면에 형성된 제1 구멍을 통해 외부와 연통하고, 상기 방열유로의 타단은 상기 도어의 하면에 형성된 제2 구멍을 통해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열유로의 외부와 연통된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상기 방열유로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차단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실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를 구비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도어의 내부에 형성된 방열유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메인유로를 형성하는 방열커버와, 상기 메인유로로 전달된 열을 상기 도어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각각 배출하는 2개의 서브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2개의 방열덕트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냉장고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유닛에서 발생한 열을 대류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므로 별도의 송풍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방열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유닛의 방열효율이 개선되어 디스플레이유닛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송풍기가 소비하던 전력 또한 절약할 수 있어, 전체적인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유닛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를 상측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를 하측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도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도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1)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아울러, "터치"는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중 하나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터치는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중 하나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에 의한 호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는 싱글 터치뿐만 아니라 멀티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저장실(미도시)과,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0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을 형성한다. 이러한 본체(10)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과, 내상과 외상의 사이에 발포되어 저장실을 단열시키는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실은 수평 격벽(11)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과 하측의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서는 이러한 냉장실과 냉동실이 한 쌍의 도어(100)에 의해 개폐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냉동실이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10)는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하고, 팽창시키고, 증발시키는 냉각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도어(100)는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해 좌우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도어(100) 중 어느 하나의 도어(100a)에는 도어(100a)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정수, 탄산수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2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도어(100)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유닛(11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서는 디스펜서(20)가 왼쪽 도어(100a)에 마련되고, 디스플레이유닛(110)은 오른쪽 도어(100)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반대로 디스펜서(20)가 오른쪽 도어(100)에 마련되고, 디스플레이유닛(110)은 왼쪽 도어(100a)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펜서(20)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한 쌍의 도어(100, 100a)에는 케이스(101, 101a)의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저장실을 개방하기 용이하도록 각각 손잡이(102, 102a)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유닛(110)이 마련된 도어(1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어(100)는 디스플레이유닛(110)과 방열유닛(120)을 포함하며, 상면(103) 및 하면(104)에는 방열유닛(12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제1 구멍(103a) 및 제2 구멍(104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멍(103a) 및 제2 구멍(104a)에 대해서는 방열유닛(120)과 함께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도어(100)는 저장실 측에 내측커버(105)가 마련된다. 이러한 내측커버(105)에는 음료수나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도어선반(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도어(100)는 케이스(101)와 내측커버(105)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발포되는 단열재(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재(106)는 저장실 내부가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저장실의 냉기 유출을 방지한다. 아울러, 단열재(106)는 외부의 열이 저장실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플레이유닛(110)은 상단이 상술한 손잡이(102)의 상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되고, 하단이 디스펜서(20)의 하단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유닛(110)을 사용함에 있어 안정감을 받을 수 있다.
도어(1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유닛(110)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며, 디스플레이(111), 프레임(112) 및 글라스(11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1)는 프레임(112)에 의해 고정되며, 화상을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11)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유닛(110)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전장품들(114)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11)의 후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장품들(114)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11)를 터치함에 따라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필름(114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1)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터치에 의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1)의 후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장품들(114)은 디스플레이유닛(110)을 구동하기 위한 메인보드(114b)일 수 있다.
프레임(112)은 디스플레이(111)를 고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11)는 프레임(112)에 끼워진 채로 도어(100)에 장착된다. 이러한 프레임(112)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유닛(110)을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전장품들(114)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2)의 후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장품들(114)은 냉장고(1)가 외부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114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114c)에 의해 냉장고(1)는 통신모듈을 구비한 전자장치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통해 냉장고(1)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냉장고(1)를 통해 통신모듈을 구비한 가전제품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112)의 후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장품들(114)은 디스플레이(111)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냉장고(1)의 주변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114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냉장고(1)를 사용하지 않아 도어(100)에 인접한 곳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센서(114d)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111)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냉장고(1)를 사용하기 위해 도어(100)에 인접한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 센서(114d)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센서(114d)는 광센서를 활용한 근접센서일 수 있다.
글라스(113)는 디스플레이(111)와 프레임(112)을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11)와 프레임(112)의 전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글라스(113)는 고강도 글라스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방열유닛(120)은 디스플레이유닛(110)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유닛(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방열커버(121), 제1 방열덕트(122) 및 제2 방열덕트(123)를 포함한다.
방열커버(121)는 디스플레이유닛(110)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유닛(110)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받는 메인유로(131)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방열커버(121)는 디스플레이유닛(110)의 후면을 덮어 디스플레이유닛(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모두 전달받기 위해 디스플레이유닛(11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열커버(121)는 디스플레이유닛(110)과 단열재(105)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유닛(110)에서 발생한 열은 저장실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고 외부로 배출되며, 저장실은 저온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방열커버(121)의 상면에는 제1 방열덕트(122)가 연결되는 방열커버의 제1 연결구멍(121a)이 마련된다. 이러한 방열커버의 제1 연결구멍(121a)은 디스플레이유닛(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열을 제1 방열덕트(122)를 통해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열커버(121)의 하면에는 제2 방열덕트(123)가 연결되는 방열커버의 제2 연결구멍(121b)이 마련된다. 이러한 방열커버의 제2 연결구멍(121b)은 상술한 방열커버의 제1 연결구멍(121a)과 마찬가지로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방열덕트(122)는 방열커버(121)의 상면에 연결되어, 방열커버(121)로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서브유로(132)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방열덕트(122)는 디스플레이유닛(110)에서 발생한 열이 도어(100)의 전, 후, 좌, 우측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단열재(105)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유닛(110)에서 발생한 열은 제1 방열덕트(122)를 통해 도어(100)의 상측으로만 배출될 수 있으며, 저장실 측으로는 침투할 수 없어 저장실의 저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 도어(100)의 전방 또는 좌, 우측으로 전달될 수 없어 사용자가 도어(100)에 인접하게 있는 경우 이러한 열에 의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방열덕트(122)의 방열커버(121)와 인접한 일단부에는 방열커버(121)의 제1 연결구멍(121a)과 연결되는 제1 방열덕트(122)의 연결구멍(122a)이 마련되고,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는 도어(100)의 상면(103)에 형성된 제1 구멍(103a)과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제1 방열덕트(122)의 배출구(122b)가 마련된다.
이때, 제1 방열덕트(122)는 방열커버(121)에 인접한 제1 방열덕트(122)의 연결구멍(122a)으로부터 제1 방열덕트(122)의 배출구(122b)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단열재(105)가 차지하는 공간은 증가될 수 있으며, 저장실 내부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열덕트(122)의 배출구(122b)와 연결되는 도어(100)의 제1 구멍(103a)에는 크기가 큰 이물질이 방열유닛(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1 차단유닛(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차단유닛(141)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141a)와, 외부공기가 방열유닛(120)으로 유입되거나 방열유닛(12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통과구멍(141b)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1 차단유닛(141)은 도어(100)의 상면(10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방열유닛(120)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방열덕트(123)는 방열커버(121)의 하면에 연결되어, 방열커버(121)로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서브유로(133)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방열덕트(123)는 디스플레이유닛(110)에서 발생한 열이 도어(100)의 전, 후, 좌, 우측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단열재(105)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유닛(110)에서 발생한 열은 제2 방열덕트(123)를 통해 도어(100)의 하측으로만 배출될 수 있으며, 저장실 측으로는 침투할 수 없어 저장실의 저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 도어(100)의 전방 또는 좌, 우측으로 전달될 수 없어 사용자가 도어(100)에 인접하게 있는 경우 이러한 열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방열덕트(123)의 방열커버(121)와 인접한 일단부에는 방열커버(121)의 제1 연결구멍(121a)과 연결되는 제2 방열덕트(123)의 연결구멍(123a)이 마련되고,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에는 도어(100)의 하면(104)에 형성된 제2 구멍(104a)과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제2 방열덕트(123)의 배출구(123b)가 마련된다.
*이때, 제2 방열덕트(123)는 상술한 제1 방열덕트(122)와 유사하게, 방열커버(121)에 인접한 제2 방열덕트(123)의 연결구멍(123a)으로부터 제2 방열덕트(123)의 배출구(123b)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단열재(105)가 차지하는 공간은 증가될 수 있으며, 저장실 내부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방열덕트(123)의 배출구(123b)와 연결되는 도어(100)의 제2 구멍(104a)에는 크기가 큰 이물질이 방열유닛(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2 차단유닛(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차단유닛(142)은 상술한 제1 차단유닛(141)과 유사하게,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142a)와, 외부공기가 방열유닛(120)으로 유입되거나 방열유닛(12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통과구멍(142b)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2 차단유닛(142)은 도어(100)의 하면(104)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방열유닛(120)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유닛(110)에서 발생한 열은 제1 방열덕트(122) 및 제2 방열덕트(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저온의 외부공기가 방열유닛(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고온의 공기는 상승하고, 저온의 공기는 하강하는 공기의 대류현상을 고려하면, 디스플레이유닛(11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고온이 된 공기는 대부분 제1 방열덕트(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것이고, 저온의 외부공기는 대부분 제2 방열덕트(123)를 통해 방열유닛(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와 같이 방열유닛(120)의 양단을 도어(10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구멍과 연통시키는 경우, 대류현상에 의해 방열효율은 증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냉장고(1)의 사용을 위해 냉장고(1)의 도어(100)에 인접한 부분으로 이동한다. 이때, 도어(100)에 마련된 센서(114d)는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도어(100)에 인접하게 이동한 사실을 감지하고,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유닛(110)을 활성화시킨다.
디스플레이유닛(110)이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유닛(110)을 통해 냉장고(1)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나아가, 통신모듈(114c)을 통해 날씨정보 및 뉴스정보와 같은 외부 정보들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111)가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1)를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은 냉장고(1) 자체를 제어하는 명령일 수도 있고, 통신모듈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명령일 수도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이렇게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유닛(110)이 사용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유닛(110)에서는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열은 방열유닛(120)의 방열커버(121)가 형성하는 메인유로(131)로 전달된다. 메인유로(131)로 전달된 열은 방열유닛(120)의 내부의 공기를 고온으로 만든다. 이렇게 고온이 된 공기는 대부분 제1 방열덕트(122)가 형성하는 제1 서브유로(132)를 통과한 후 도어(100)의 상면(103)에 형성된 제1 구멍(103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나머지는 제2 방열덕트(123)가 형성하는 제2 서브유로(133)를 통과한 후 도어(100)의 하면(104)에 형성된 제2 구멍(104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방열유닛(120)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방열유닛(120)의 내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고온이 된 방열유닛(120)의 내부의 공기들은 대부분 도어(100)의 상면(103)에 형성된 제1 구멍(103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대적으로 저온인 외부의 공기들은 대부분 도어(100)의 하면(104)에 형성된 제2 구멍(104a)을 통해 방열유닛(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외부공기의 나머지 일부는 도어(100)의 상면(103)에 형성된 제1 구멍(103a)을 통해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유닛(110)이 구동됨에 따라 발생한 열은 공기의 대류현상에 따라 메인유로(131), 제1 및 제2 서브유로(132, 133)를 통해 순환하는 내부공기 및 외부공기에 의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대류를 이용하여 외부공기와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디스플레이유닛(110)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별도의 송풍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방열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방열효율이 개선되어 냉장고(1)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도어
110; 디스플레이유닛
120; 방열유닛
121; 방열커버
122; 제1 방열덕트
123; 제2 방열덕트
131; 메인유로
132; 제1 서브유로
133; 제2 서브유로
141; 제1 차단유닛
142; 제2 차단유닛

Claims (10)

  1.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단열재를 갖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유닛;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방열커버;
    상기 방열커버와 상기 도어의 상면(top surface)에 형성된 제1 개구를 연결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방열덕트; 및
    상기 방열커버와 상기 도어의 저면(bottom surface)에 형성된 제2 개구를 연결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방열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열덕트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전방 및 후방이 커버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방열덕트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전방 및 후방이 커버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방열유로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구멍을 포함하는 차단유닛이 마련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메인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방열덕트는 상기 메인유로로 전달된 열을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제1 서브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방열덕트는 외부공기가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메인유로로 공급되는 제2 서브유로를 형성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덕트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좌측 및 우측이 커버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방열덕트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좌측 및 우측이 커버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열덕트는 외부공기가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방열커버로 유입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방열덕트는 상기 방열커버의 공기가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는 냉장고.
  8.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단열재를 구비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유닛; 및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방열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방열유로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유로의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열 교환한 공기가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도어의 상면(top surface)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방열유로의 타단은 외부공기가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방열유로로 유입되도록 상기 도어의 저면(bottom surface)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방열커버;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방열커버를 연결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방열덕트; 및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방열커버를 연결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방열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열덕트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전방 및 후방이 커버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방열덕트는 상기 단열재에 의해 전방 및 후방이 커버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유로의 외부와 연통된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는 상기 방열유로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차단유닛이 구비되는 냉장고.
  10. 저장실이 마련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며, 단열재를 구비하고, 상면(top surface)에 형성된 제1 개구 및 하면(bottom surface)에 형성된 제2 개구를 갖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유닛; 및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과 열 교환하는 메인유로를 형성하는 방열커버;
    상기 메인유로에서 열 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1 개구로 이동하는 제1 서브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방열덕트; 및
    상기 제2 개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메인유로로 이동하는 제2 서브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방열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열덕트는 상기 도어의 전면 및 후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방열덕트는 상기 도어의 전면 및 후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KR1020170107565A 2015-09-01 2017-08-24 냉장고 KR102330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565A KR102330679B1 (ko) 2015-09-01 2017-08-24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341A KR20170026991A (ko) 2015-09-01 2015-09-01 냉장고
KR1020170107565A KR102330679B1 (ko) 2015-09-01 2017-08-24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341A Division KR20170026991A (ko) 2015-09-01 2015-09-0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470A true KR20170100470A (ko) 2017-09-04
KR102330679B1 KR102330679B1 (ko) 2021-11-24

Family

ID=5992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565A KR102330679B1 (ko) 2015-09-01 2017-08-24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6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499A (ko) * 2000-11-21 2002-05-27 구자홍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장치 설치구조
US20040177624A1 (en) * 2003-03-10 2004-09-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499A (ko) * 2000-11-21 2002-05-27 구자홍 냉장고의 디스플레이장치 설치구조
US20040177624A1 (en) * 2003-03-10 2004-09-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679B1 (ko)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6991A (ko) 냉장고
KR101829222B1 (ko) 냉장고
JP6054639B2 (ja) 冷蔵庫
KR100376167B1 (ko) 냉온장고
KR101626651B1 (ko) 냉장고
KR101768724B1 (ko) 냉장고
KR20110098413A (ko) 냉장고
KR101680382B1 (ko) 모듈식 냉장고
JP2020502466A (ja) 風量調整装置
KR20190014051A (ko) 냉장고
KR101821097B1 (ko) 냉장고
KR100828046B1 (ko) 냉장고
KR20170100470A (ko) 냉장고
KR20200005008A (ko) 냉장고
KR101620443B1 (ko) 냉장고
KR20060058350A (ko) 차량용 냉온장고
KR101946580B1 (ko) 냉장고
JP7386011B2 (ja) 冷却貯蔵庫
KR101626668B1 (ko) 냉장고
JP4630849B2 (ja) 冷蔵庫
JP2007040577A (ja) 冷蔵庫
JP5620538B2 (ja) 冷蔵庫
JP5617003B2 (ja) 冷蔵庫
KR20110041209A (ko) 냉온 겸용 쇼케이스
JP2015014452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