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953A - 조 클러치 - Google Patents

조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953A
KR20170099953A KR1020177019891A KR20177019891A KR20170099953A KR 20170099953 A KR20170099953 A KR 20170099953A KR 1020177019891 A KR1020177019891 A KR 1020177019891A KR 20177019891 A KR20177019891 A KR 20177019891A KR 20170099953 A KR20170099953 A KR 20170099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sensor
clutch
bolt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775B1 (ko
Inventor
하겐 되퍼트
올리버 바이어
페터 티슬러
하랄트 슈티어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09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1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interengaging clut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2011/006Locking or detent means, i.e. means to keep the clutch in engaged cond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18Sensors; Details or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분(12) 및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을 갖는 조 클러치(10)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조 클러치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분(12) 및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은 슬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은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분(12)과의 형상 결합식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압력 매체에 의해 작동 가능한 피스톤(22)을 이용하여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피스톤(22)은 반경 방향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을 지지하는 실린더 하우징(20)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고, 피스톤(22)은 피스톤 볼트(26)를 통해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과 연결되며, 압력 매체(40)가 공급 채널(38)을 통해 실린더 하우징(20)의 실린더 챔버(60)에 공급될 수 있고, 피스톤(22)은 축방향 일 단부에서 동축으로 배향된 센서 볼트(48)와 고정 연결되며, 센서 볼트(48)는 센서 섹션(52)에서 피스톤으로부터 먼 그의 자유 축방향 단부(78)의 영역에서 위치 센서(70)를 위한 송신기 요소로서 형성된다.

Description

조 클러치{JAW CLUTCH}
본 발명은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분과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을 갖는 조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형상 결합식으로 작용하는 조 클러치는 예를 들어 자동화된 시프팅 변속기에 사용된다. 가급적 빠르고 안락한 시프팅 과정이 가능하도록, 시프팅 과정 중에 각각의 조 클러치의 맞물림 상태가 변속기 제어부에 전달된다. 이를 위해,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조 클러치의 부분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여 그에 관한 정보를 변속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위치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DE 10 2012 202 496 A1에는, 형상 결합식 시프팅 부재 및 마찰 결합식 시프팅 부재를 통해 서로 힘 결합식으로 연결 가능하며 다시 분리 가능한 구동 측 및 출력 측을 갖는 커플링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관련 엑추에이터 장치는 형상 결합식 시프팅 부재와 마찰 결합식 시프팅 부재의 연속 작동을 위해 압력 매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피스톤-실린더 유닛을 포함한다. 실린더에는, 리드(reed) 접점으로서 형성된 센서가 제공되며, 이를 이용하여 피스톤의 축방향 최종 위치가 검출될 수 있으며, 이로써 동시에, 조 클러치의 현재의 시프팅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에 의해 공급된 위치 데이터는 예를 들어 변속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특히 시프팅 과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그곳에서 계속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공지된 실시예의 단점은, 센서에 의해 단지 피스톤의 축방향 최종 위치만이 검출됨으로써, 변속기 제어부에는 단지, 클러치가 개방 또는 폐쇄되었는지에 관한 디지털 정보만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에 의해, 작동 피스톤의 명확하지 않은 위치 결정시에 변속기 제어부의 비교적 긴 반응 시간이 형성된다.
또한, DE 10 2009 056 088 A1에는 차동 기어 어셈블리 및 이러한 차동 기어 어셈블리를 갖는 구동 어셈블리가 공지되어 있다. 차동 기어 어셈블리는 특히, 구동 휠과 차동 기어 사이에 배치된 시프팅 클러치를 포함한다. 시프팅 클러치의 결합된 상태에서, 토크는 구동 휠로부터 차동 기어로 전달되는 반면, 시프팅 클러치의 해제된 상태에서 토크 전달이 제외된다. 또한, 차동 기어 어셈블리는 시프팅 클러치의 작동을 위한 엑추에이터 및 시프팅 클러치의 3개 이상의 시프팅 위치의 결정을 위한 센서를 포함하며, 센서는 일 실시예에서 디스크 형태의 송신기 요소와 함께 작동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단점은, 센서 및 송신기 요소가 시프팅 클러치 외부에 또는 차동 기어 어셈블리의 외부에 장착됨으로써, 측정 정확도에 바람직하지 못하게 영향을 미치는 외부 영향에 노출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본 발명의 과제는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조 클러치 부분의 각각의 현재의 조정 트래블의 충분히 정확하며 무단계의 검출이 가능하며, 동시에, 저렴하게 제조되며 공간 절약적으로 형성되는 조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조 클러치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에서 규정된다.
설정된 과제의 해결을 위해,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분 및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을 갖는 조 클러치가 제안되며, 이러한 조 클러치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분 및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은 슬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은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분과의 형상 결합식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압력 매체에 의해 작동 가능한 피스톤을 이용하여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피스톤은 반경 방향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을 지지하는 실린더 하우징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고, 피스톤은 피스톤 볼트를 통해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과 연결되며, 압력 매체가 공급 채널을 통해 실린더 하우징의 실린더 챔버에 공급될 수 있고, 피스톤은 축방향 일 단부에서 동축으로 배향된 센서 볼트와 고정 연결되며, 센서 볼트는 센서 섹션에서 피스톤으로부터 먼 그의 자유 축방향 단부의 영역에서 위치 센서를 위한 송신기 요소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조 클러치에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의 위치가 전체 클러치 경로 상에서 측정 기술적으로 정밀하게 검출될 수 있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의 최종 위치뿐만 아니라, 중간 위치도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의 인식은 예를 들어 자동화된 시프팅 변속기의 변속기 제어부가 변속단 변경시에 정밀하게 제어된 시프팅 과정을 실행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는, 특히, 두 개의 클러치 부분의 결정된 작동 상황에서 발생하는 톱니 대 톱니 위치의 해상도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형상 결합식으로 서로 결합 가능한 클러치 부분들 간의 또는 상응하게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부품들 간의 축방향 거리 또는 간격을 나타내는 클러치 경로가 각각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의 측정될 위치에 할당되며, 이러한 거리는 조 클러치의 완전히 결합된 그리고 완전히 해제된 상태 사이 또는 그 반대로의 전환을 위해 지나온 거리이다.
상술된 조 클러치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피스톤이 그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으로 포트(pot) 형태의 피스톤 리세스를 포함하며, 피스톤 리세스 내에는 센서 볼트의 고정 섹션이 배치되며, 피스톤은 피스톤 리세스의 영역 내에 반경 방향 횡방향 보어를 포함하며, 센서 볼트의 고정 섹션은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그리고 종방향 중심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반경 방향 횡방향 보어를 포함하며, 피스톤, 센서 볼트 및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은, 피스톤 볼트가 상기 반경 방향 횡방향 보어 내로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과 연결됨으로써, 피스톤 볼트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피스톤 볼트가 전체적으로 3개의 구성 부품을 고정 연결하지만, 서로 해제될 수 있기 때문에, 조 클러치의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해진다.
피스톤 리세스와 센서 볼트의 할당된 고정 섹션 사이의 경우에 따른 유격은, 최대 반경 방향 오프셋에서도 피스톤 내에서 센서 볼트의 끼임(jam) 또는 틸팅이 확실하게 배제되도록 치수화된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센서 볼트 및 피스톤이 단일 구성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른 개선예에 따르면, 센서 볼트의 센서 섹션 및 위치 센서는, 피스톤으로부터 먼 센서 볼트의 축방향 단부의 각각의 축방향 위치와, 이로써 간접적으로, 피스톤의 축방향 위치 그리고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의 축방향 위치가 무단계로 측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배치된다. 따라서, 위치 센서의 구조 및 센서 볼트의 센서 섹션은 서로 동조되어, 조정 트래블의 최종 위치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놓인 위치가 양호한 정확도로 결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선택 또는 구성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센서와 센서 볼트의 센서 섹션 간의 간격이 센서 볼트의 각각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되도록, 센서 볼트의 센서 섹션이 기하학적으로 실린더 외피면과는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센서 볼트의 센서 섹션이 종단면에서 전반적으로 V-홈 형태의 환형 리세스로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리세스가 단지 일 측에서 램프(ramp)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센서 섹션에서의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의 최대 조정 트래블과 적어도 동일하게 긴 구간에 걸쳐 연장된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피스톤의 고정 섹션은 밀폐 요소에 의해 피스톤 리세스에 대해 밀폐된다. 이에 의해, 실린더 챔버가 압력 밀폐식으로 유지되며, 다른 변속기 영역으로의 압력 매체의 방출이 방지된다. 밀폐 요소로서 바람직하게는 O-링이 사용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린더 하우징이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와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이와 단일편으로 형성되며, 센서 볼트의 원통형 베어링 섹션이 상기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의 안내 보어 내에서 종방향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조 클러치의 작동 장치 내에서 센서 볼트의 신뢰성 있는 지지 및 안내가 형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의 안내 보어의 견부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슬리브가 안내 보어 내로 삽입되며, 센서 볼트의 베어링 섹션이 슬리브 내에 수용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슬리브가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 내에 신뢰성 있게 고정되며, 또한, 센서 볼트의 지지부 내에서 자유로운 축방향 운동성이 보장된다. 예를 들어, 슬리브는 마찰이 적은 플라스틱, 예를 들어 고무 형태의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센서 볼트의 베어링 섹션은, 센서 볼트의 매립이 방지되도록 모든 축방향 위치에서 슬리브의 축방향 단부를 오버랩한다.
이에 대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센서 볼트의 베어링 섹션은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 보어 내에 수용되며, 베어링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찰이 적은 재료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별도의 구성 부품으로서의 슬리브가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조 비용 및 조립 비용의 최소화가 형성된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센서 볼트의 베어링 섹션과 고정 섹션은 축소된 직경을 갖는 원통형 연결 섹션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센서 볼트의 움직이는 질량은 직경 축소가 없는 변형예에 비해 감소되며, 이로써, 동일한 조정력에 의해 달성 가능한 조 클러치의 조정 가속이 전체적으로 증가된다. 또한, 재료 절감이 형성되며, 이는 특히 제조 비용의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센서 볼트의 고정 섹션 및 베어링 섹션이 대략 동일하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공급 채널이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스톤 및 센서 볼트의 공동의 종방향 중심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서 연장되며, 접선으로 안내 보어 내로 합류된다. 압력 매체의 접선 안내로 인해, 먼저, 압력 매체 유동에 의해 야기되고 센서 볼트에 작용하는 반경 방향 힘이 감소된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피스톤 방향으로의 압력 매체의 유동이 센서 볼트에서 지나쳐서, 센서 볼트가 주목할 만한 반경 방향 힘에 노출되지 않도록, 충돌 윤곽 또는 안내 플레이트가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가 변속기 하우징 벽과 압력 밀폐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제공된다.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나사에 의해 수행된다. 이에 의해, 변속기 하우징 벽에 대한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의 압력 밀폐식 고정이 달성된다.
위치 센서의 구체적인 배치과 관련하여, 위치 센서가 변속기 하우징 벽의 영역 내에 그리고 센서 볼트의 센서 섹션의 반경 방향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되며, 위치 센서의 종방향 중심축은 센서 볼트와 피스톤의 공동의 종방향 중심축에 대해 30°내지 90°의 설정각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변속기 하우징 벽 내로 위치 센서의 통합을 위해 필요한 설치 공간이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센서가 변속기 하우징 벽 내의 함몰부 내로 삽입된다.
다른 개선예에 따르면, 변속기 하우징 벽 내에서 센서 볼트 및 피스톤의 공동의 종방향 중심축에 대해 중심 설정되어, 안내 보어에 연결된 포트 형태의 추가 챔버가 형성되는 것이 제공되며, 피스톤으로부터 먼 센서 볼트의 축방향 단부가 추가 챔버의 벽에 대해 간격을 가지며 부분적으로 상기 추가 챔버 내로 돌출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압력 매체가 낮은 작동 온도에서도 조 클러치의 해제를 위해, 즉, 추가 챔버 방향으로 센서 볼트의 축방향 변위시에, 신뢰성 있게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로부터 방출됨으로써, 항상 문제없는 클러치 기능이 형성된다.
다른 구성에 따르면, 센서 볼트의 자유 축방향 단부는 평탄부를 포함하며, 그리고/또는 센서 볼트의 고정 섹션은 센서 볼트의 피스톤 측 단부에서 안내 경사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특히 센서 볼트의 조립이 단순화된다.
마지막으로,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 내의 공급 채널이 변속기 하우징 벽 내의 주변 접속 채널과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주변 접속 채널을 통해, 조 클러치에는 압력 매체가 외부로부터, 특히 자동 변속기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유압 오일을 압력 매체로서 이용함으로써,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이 기체 형태의 압력 매체의 이용에 비해 현저히 높은 힘으로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이용 조건하에서 조 클러치의 신뢰성 있는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더 양호한 이해를 위해, 명세서에는 실시예의 도면이 첨부된다. 도면에서 동일하게 구성된 부품들은 각각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1은 개방 상태에서 조 클러치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폐쇄 상태에서 조 클러치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조 클러치의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의 축방향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조 클러치(10)는 고정된 클러치 부분(12) 및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을 포함한다. 두 개의 클러치 부분(12, 14)은 각각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고정된 클러치 부분(12)은 축방향 내측 치형부(16)를 포함하며,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은 축방향 외측 치형부(18)를 포함하며, 그 톱니들은 각각의 다른 치형부의 톱니 갭 내로 맞물린다. 두 개의 클러치 부분(12, 14)이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됨으로써, 직경이 더 작은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은 고정된 클러치 부분(12) 내로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두 개의 클러치 부분(12, 14)들 사이에서 토크 전달을 가능케 하는 형상 결합식 연결이 형성된다.
또한, 조 클러치(10)의 작동을 위해, 조 클러치는, 포트 형태의 피스톤(22)이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동축으로 변위 가능하게 그 안에 수용되는 대략 중공 원통형 실린더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은 반경 방향으로 실린더 하우징(20) 상에 배치되며, 실린더 하우징 상에서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동축으로 변위될 수 있다. 피스톤(22) 및 실린더 하우징(20)은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의 변위를 위한 압력 매체 작동식 엑추에이터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피스톤(22)은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피스톤 볼트(26)에 의해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과 연결된다.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의 축방향 변위 능력 및 피스톤 볼트(26)를 이용하여 상기 부분과 피스톤(22)의 연결을 가능케 하기 위해, 실린더 하우징(20)에는 두 개의 긴 구멍(28, 30)이 형성되는데, 이는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서로 반대로 실린더 하우징(20) 내에 형성된다. 실린더 하우징(20)에는 외측 치형부(31)가 그리고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에는,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의 회전 고정 및 안내를 위해 낮은 맞물림 깊이의 내측 치형부(33)가 형성되며, 회전 고정은 추가로 실린더 하우징(20) 내의 두 개의 긴 구멍(28, 30)을 통해, 그리고 긴 구멍을 통해 안내되는 피스톤 볼트(26)에 의해 보장된다.
피스톤으로부터 먼 실린더 하우징(20)의 중공 원통형 단부 섹션(32)의 영역 내에서 실린더 하우징에는,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인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가 배치된다.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 내에서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중심 설정되어, 관통 안내 보어(36)가 연장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약 22.5°의 설정각으로,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기울어서 연장되는, 압력 매체(40)용 공급 채널(38)이 상기 안내 보어 내로 합류된다. 사용된 압력 매체(40)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점성의 유압 오일이다.
안내 보어(36) 내에는, 중공 원통형 슬리브(44)가 축방향으로 그에 지지되는 원형 견부(42)가 형성된다. 센서 볼트(48)의 원통형 베어링 섹션(46)이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평행으로 변위 가능하게 슬리브(44) 내에 수용된다. 센서 볼트(48)의 각각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슬리브(44)는 과도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평 베어링으로서 항상 그 종방향 섹션(46)을 둘러싼다.
슬리브(44)는 바람직하게는 마찰이 적은 플라스틱으로, 예를 들어 고무 유형의 엘라스토머 등으로 제조되는 반면, 센서 볼트(48) 및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는 강(steel)으로 제조된다.
센서 볼트(48)는 피스톤(22)에 대면한 단부에 고정 섹션(50) 및 그 축방향 자유 단부(78)의 영역 내에 센서 섹션(52)을 포함한다. 고정 섹션(50)과 베어링 섹션(46)은 축소된 직경을 갖는 연결 섹션(54)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센서 볼트(48) 자체의 베어링 섹션(46)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찰이 적은 재료로 코팅되는 경우, 슬리브(44) 및 견부(42)는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 내의 안내 보어(36) 내에서 생략될 수 있다.
센서 볼트(48)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고정 섹션(50)은 피스톤(22)의 포트 형태의 피스톤 리세스(56) 내에 수용되며, 피스톤 볼트(26)에 의해 피스톤(22)과, 그리고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과 동시에 연결된다. 피스톤 리세스(56)와 센서 볼트(48)의 고정 섹션(50) 사이에는 밀폐 요소(58)가 배치되는데, 이 밀폐 요소는 피스톤 홈 내로 삽입된 O-링으로 형성된다.
피스톤 측 밀폐 요소(58)을 통해, 실린더 하우징(20)의 실린더 챔버(60)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예를 들어 자동화된 시프팅 변속기(62)의 인접한 영역 사이의 밀폐가 수행된다. 또한, 밀폐 요소(58)가 그의 유압 밀폐 작용으로 인해 피스톤(22) 및 피스톤으로부터 먼 센서 볼트(48)의 단부(78)에 두 개의 압력면(64, 65)을 형성한다. 피스톤(22)의 압력면(64)은 환형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하는 반면, 피스톤으로부터 먼 센서 볼트(48)의 단부(78)의 압력면(65)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동력과 관련하여 압력 매체에 의해 피스톤(22) 및 센서 볼트(48)의 가압시에 유압 작용하는 전체면이 두 개의 압력면(64, 65)의 합으로부터 형성됨으로써, 피스톤(22)에 의해 생성 가능한 조 클러치(10)의 작동력이 센서 볼트(48)의 존재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피스톤 리세스(56)와 센서 볼트(48)의 고정 섹션(50) 사이의 반경 방향 유격은, 최대 반경 방향 오프셋에서도 끼임이 배제되도록 치수화된다. 또한, 피스톤 볼트(26)와 센서 볼트(48)의 고정 섹션(50) 사이에는, 최대 반경 방향 오프셋의 경우에도 끼임이 신뢰성 있게 배제될 정도의 유격이 형성된다.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 내에서 각도(α)로 경사진 공급 채널(38)이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횡으로 연장되는 접속 채널(66)과 변속기 하우징 벽(68)의 영역 내에서 유동 연결된다. 접속 채널(66)을 통해, 주변 압력 매체원으로부터 작동에 필요한 압력 매체(40)가 조 클러치(10)의 상기 피스톤-실린더 어셈블리로의 공급이 수행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 내로의 압력 매체 공급은 경사진 공급 채널(38)의 제거하에도 축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와 변속기 하우징 벽(68) 사이의 금속성 밀폐가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밀폐는 조 클러치(10)의 전체 작동 온도 범위를 초과하여 효과적이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변속기 하우징 벽(68)과,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의 특히 상이한 열 팽창 계수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가 통상, 강 합금으로 제조되는 반면, 변속기 하우징 벽(68)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센서 볼트(48)의 센서 섹션(52)의 상부에는 원통형 위치 센서(70)가 배치된다. 위치 센서(70)의 종방향 중심축(71)은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한 설정각(β)으로 연장되며, 설정각(β)에 대해 여기서 단지 예시적으로 90°의 값이 선택된다. 특히 좁아진 설치 공간 비율을 더 양호하게 고려할 수 있기 위해, 30° 내지 90°의 설정각(β)으로 센서(70)의 경사진 설치 위치가 가능하다.
여기서 단지 완전함의 이유로,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가 내측 볼트(72)를 이용하여 변속기 하우징 벽(68)과 나사 결합된다.
위치 센서(70)는 센서 섹션(52)에 대면한 면 상에, 반부 실린더의 표면 기하학적 형상에 거의 상응하는 표면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센서 섹션(52)의 횡단면 기하학적 형상에 대한 위치 센서(70)의 최적의 매칭이 형성된다. 종방향 중심축(24)을 따르는 센서 볼트(48)의 센서 섹션(52)의 횡단면 기하학적 형상은 각각 상이한 직경의 원형면에 상응한다.
센서 섹션(52)은 예시적으로 종단면에서 볼 때 환형의 V-형 리세스(74)를 포함한다. 이로써, 위치 센서(70)를 이용하여, 리세스(74)와 위치 센서(70) 사이의 수직 간격(76)이 검출될 수 있다. 센서 볼트(48) 및 그에 의해 센서 섹션(52)이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동축으로 변위될 경우, 변위 경로에 대해 각각 비례적으로 간격(76)도 명확하게 평가 가능한 방식으로 변경된다. 이로부터, 적절한 평가 전자 장치에 의해, 센서 볼트(48)의 축방향 변위 경로 및 피스톤(22)과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의 축방향 위치가 높은 정밀도로 무단계로 검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의 정확한 축방향 위치가 변속기 제어부에 항상 보고됨으로써, 자동 변속기(62) 내의 시프팅 과정 또는 변속단 변경이 최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센서 볼트(48)의 명확한 결정이 주어지는 경우, 리세스(74)의 V-형 형상과는 달리, 리세스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센서 볼트(48)의 자유 축방향 단부(78)는, 조립시에 그 종방향 중심축(24)을 중심으로 센서 볼트(48)의 회전을 쉽게하기 위해, 공구용 결합면으로서 양측에 형성된 평탄부(80)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조 클러치(10)의 조립시에, 특히 피스톤 볼트(26)의 삽입을 위한 센서 볼트(48)의 고정 섹션(50) 내의 횡방향 보어(82)의 배향이 센서 볼트(48)의 횡방향 보어(82)를 통해, 그리고 피스톤(22) 내의 횡방향 보어(83)를 통해 간단해진다. 조립된 상태에서, 센서 볼트(48)가 피스톤 볼트(26) 또는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과의 연결을 통해 종방향 중심축(24)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센서 볼트(48)의 고정 섹션(50)은, 조 클러치(10)의 조립 시에 피스톤(22)의 포트 형태의 피스톤 리세스(56) 내로 센서 볼트(48)의 고정 섹션(50)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피스톤 리세스(56)에 대면한 단부(84)에 사면 형태의 환형 안내 경사부(86)를 포함한다. 동일한 목적으로, 피스톤(22)의 개방 단부(88)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동일하게, 경사진 안내 경사부(90)가 형성된다.
또한, 공동의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중심 설정되어 배치된 동적 압력 감소를 위한 포트 형태의 추가 챔버(92)가 변속기 하우징 벽(68) 내에 형성되며, 이러한 추가 챔버(92)는 안내 보어(36)의 축방향 연장을 나타낸다. 또한, 추가 챔버(92)는 유동 기술적으로 접속 채널(66)과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액체 압력 매체(40)가 저온에서도 충분히 빠르게 실린더 챔버(60) 내로 또는 그로부터 그리고 추가 챔버(92) 내로 흐름으로써, 문제없는 클러치 기능이 제공된다.
간격(76)의 측정 정확도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베어링 섹션(46)과 슬리브(44) 사이에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반경 방향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리고 동시에, 가능한 지그재그 운동 시에 센서 볼트(48)의 레버 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센서 볼트(48)의 베어링 섹션(46)과 협동하여 평 베어링을 형성하는 슬리브(44)가 축방향으로 가급적 위치 센서(70)에 가까이 배치된다.
위치 센서(70)가 바람직하게는 무접촉식으로 작용하는 홀 센서로서 구성되며, 여기서는 O-링 등의 형태의 추가의 밀폐 요소(94)가 변속기 하우징 벽(68)에 대해 밀폐된다.
도 1에 도시된 작동 위치 내에 조 클러치(10)가 결합 해제된 상태로 위치함으로써,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의 외측 치형부(18)와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분(12)의 내측 치형부(16) 사이에는 형상 결합식 연결이 형성되지 않으며, 따라서, 두 개의 클러치 부분(12, 14)들 사이에는 토크 전달이 수행될 수 없다. 조 클러치(10)가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결합된, 즉, 폐쇄된 상태로 시프팅되도록, 압력 매체(40)가 접속 채널(66)로부터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공급 채널(38)을 통해 실린더 하우징(20)의 실린더 챔버(60) 내로 그리고 안내 보어(36) 및 포트 형태의 추가 챔버(92) 내로 유동한다. 이 경우에, 압력 매체(40)가 상기 챔버들 내로 압축되거나 이미 그 안에 위치하는 압력 매체(40)가 과압에 의해 가압된다.
피스톤(22)에서 그리고 피스톤으로부터 먼 센서 피스톤(48)의 축방향 단부(78)에서 두 개의 압력면(64, 65) 상으로 압력 매체(40)의 압력 작용으로 인해, 피스톤(22)이 실린더 하우징(20) 내에서 도 1에 따른 제1 화살표(96) 방향으로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평행으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축방향 조정 운동 시에, 피스톤(22)이 피스톤 볼트(26)를 이용하여 동시에, 축방향 변위 가능한 클러치 부분(14) 및 센서 볼트(48)를 함께 연동시킨다. 그 결과,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은 고정된 클러치 부분(12) 방향으로 변위되며, 센서 볼트(48)의 센서 섹션(52)의 리세스(74)는 위치 센서(70) 하부로 통과 이동함으로써, 센서 볼트(48)의 각각의 현재의 축방향 위치의 고정밀 결정이 가능하며, 그에 수반되어,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의 축방향 위치의 결정이 가능하다.
압력 매체에 의해 작동된 피스톤(22)의 이러한 축방향 조정 운동은, 도 2에 도시된 조 클러치(10)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는데, 이 위치에서는,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의 외측 치형부(18)와 고정된 클러치 부분(12)의 내측 치형부(16) 간의 형상 결합식 연결이 형성되며, 두 개의 클러치 부분(12, 14)들 간의 토크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무압 실린더 챔버(60) 및 무압 추가 챔버(92)에서 조 클러치(10)의 개방을 위해 피스톤(22)의 자동 복귀 조정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축방향 조정 운동이 여기에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된 압력 스프링(98)의 힘작용에 대항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센서 피스톤으로부터 먼 피스톤(22)의 축방향 외측면(100)이 무압 실린더 챔버(60)에서 그리고 무압 추가 챔버(92)에서, 조 클러치(10)의 개방을 위해 피스톤(22)의 복귀 조정 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압력 매체(4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센서 볼트(48)의 센서 섹션(52) 내의 환형 V-형 리세스(74)는 축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두 개의 환형 섹션(102, 104)을 포함하며, 제1 섹션(102)은 규정에 따라 음의 기울기를, 그리고 제2 섹션(104)는 양의 기울기를 포함한다. 센서 섹션(52)의 리세스(74)의 반대로 경사진 섹션(102, 104)들은 점차 좁아지는 단부의 영역 내에서 서로 맞닿은 두 개의 절두 원추대에 상응하는 표면 기하학적 형상을 형성한다. 리세스(74)의 이러한 특수 표면 기하학적 형상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센서 볼트(48)의 축방향 위치로부터 도 2에 도시된 센서 볼트(48)의 조정 운동이 달성될 때까지, 상기 간격(76)이 센서 볼트(48)의 축방향 조정 운동으로 인해 먼저 증가되며, 동시에 두 개의 섹션(102, 104)들 사이의 전환을 표시하는 리세스(74)의 환형 기부(106)를 통과한 후에 간격(76)은 다시 축소된다. 이에 의해, 센서 볼트(48) 및 이와 연결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의 축방향 위치의 명확한 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센서 볼트(48)의 종방향 섹션 내의 단순한 삼각형 리세스에 비해, 이전에 설명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최대 축방향 측정 경로에 대한 V-형 리세스(74)에서 센서 볼트(48)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더 낮은 깊이가 요구되는 장점이 형성되는데, 이는, 센서 볼트(48)의 감소된 재료 약화를 유도한다.
도 2는 도 1의 조 클러치의 종단면도를 도시하나, 조 클러치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 있다. 도 2에 도시된 시프팅 상태에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은, 도 1의 그의 축방향 위치로부터, 축방향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의 외측 치형부(18)가 축방향으로 정지된 클러치 부분(12)의 내측 치형부(16)와 완전히 결합되는 경우,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분(12) 방향으로 운동한다. 이에 의해, 두 개의 클러치 부분(12, 14)들 간의 형상 결합식 연결이 형성되고 토크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실린더 하우징(20)의 실린더 챔버(60)는 추가 챔버(92)를 포함하여 접속 채널(66) 및 공급 채널(38)로부터 시작하여 여전히 과압하에 있는 압력 매체(40)로 완전히 충전됨으로써, 피스톤(22)이 압력 스프링(98)의 힘 작용에 대해 표시된 위치를 취하고, 이러한 위치에서는 조 클러치(10)가 폐쇄 상태에 위치하고 그 다음 먼저 그 위치에 머무른다.
조 클러치(10)의 완전히 결합된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 또는 피스톤(22)은, 여기서 예시적으로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과, 실린더 하우징(20)을 슬리브 형태로 둘러싸는 변속기(62)의 구성 부품(112) 사이를 나타내는 축방향 클러치 경로(110)를 지나온다. 상기 구성 부품(112)은, 실린더 하우징(20)의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외측 치형부가 그 안으로 회전 고정되고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삽입되는 축방향 내측 치형부(116)를 식별 가능하게 포함한다. 조 클러치(10)의 도시된 결합 위치 내에서, 양의 기울기를 포함하는, 센서 볼트(48)의 센서 섹션(52)의 리세스(74)의 제2 섹션(104)이 반경 방향으로 위치 센서(70) 하부에 위치하며, 위치 센서의 측정 기술적인 검출 영역 내에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조 클러치(10)의 완전히 결합된 위치로부터, 실린더 챔버(60) 및 추가 챔버(92)가 무압력이 되고 그리고/또는 압력 매체(4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챔버로부터 공급 채널(38) 및 접속 채널(66)을 통해 방출될 경우, 피스톤(22)은 압력 스프링(98) 또는 다른 작동 메커니즘으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완전히 디커플링되거나 결합 해제된 조 클러치(10)의 상태가 다시 달성될 때까지 제2 화살표(114) 방향으로 다시 변위된다.
도 3은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의 개략적인 축방향 배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압력 매체 유동으로 인해 센서 볼트에 대한 반경 방향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급 채널(38)이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 내에서 센서 볼트(48)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접선으로 연장되는 것이 도시된다. 또한, 도 3에서 센서 볼트(48)의 센서 섹션(52)에 대한 위치 센서(70)의 위치를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대안적으로, 미도시된 적절한 안내 윤곽 또는 동일하게 미도시된 압력 매체 플랜지(34)에서의 충돌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10: 조 클러치
12: 고정된 클러치 부분
14: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
16: 고정된 클러치 부분에서의 내측 치형부
18: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에서의 외측 치형부
20: 실린더 하우징
22: 포트 형태의 피스톤
24: 공동의 종방향 중심축
26: 피스톤 볼트
28: 실린더 하우징 내의 제1 긴 구멍
30: 실린더 하우징 내의 제2 긴 구멍
31: 실린더 하우징에서의 외측 축방향 치형부
32: 실린더 하우징의 중공 원통형 단부 섹션
33: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에서의 내측 축방향 치형부
34: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
36: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 내의 안내 보어
38: 공급 채널
40: 압력 매체
42: 안내 보어 내의 견부
44: 슬리브
46: 센서 볼트에서의 베어링 섹션
48: 센서 볼트
50: 센서 볼트에서의 고정 섹션
52: 센서 볼트에서의 센서 섹션
54: 센서 볼트에서의 연결 섹션
56: 피스톤 리세스
58: 피스톤에서의 밀폐 요소, O-링
60: 실린더 챔버
62: 자동 변속기 또는 자동화 변속기
64: 피스톤에서의 압력 작용면
65: 센서 볼트에서의 압력 작용면
66: 접속 채널
68: 변속기 하우징 벽
70: 위치 센서
71: 위치 센서의 종방향 중심축
72: 나사 볼트
74: 센서 볼트의 센서 섹션에서의 리세스
76: 센서 섹션과 센서 사이의 간격
78: 센서 볼트의 자유 축방향 단부
80: 센서 볼트의 자유 단부에서의 평탄부
82: 센서 볼트의 고정 섹션 내의 횡방향 보어
83: 피스톤 내의 횡방향 보어
84: 센서 볼트의 피스톤 측 단부
86: 센서 볼트의 피스톤 측 단부에서의 안내 경사부
88: 피스톤의 개방 단부
90: 피스톤의 개방 단부에서의 안내 경사부
92: 추가 챔버
94: 위치 센서에서의 밀폐 요소, O-링
96: 제1 화살표
98: 압력 스프링
100: 피스톤의 외측면
102: 센서 볼트에서의 V-형 리세스의 제1 섹션
104: 센서 볼트에서의 V-형 리세스의 제2 섹션
106: 센서 볼트에서의 V-형 리세스의 기부
110: 클러치 경로
112: 변속기의 구성 부품
114: 제2 화살표
116: 구성 부품(112)의 내측 축방향 치형부
α: 공급 채널(38)의 설정각
β: 위치 센서의 설정각

Claims (17)

  1.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분(12) 및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을 갖는 조 클러치(10)이며, 이러한 조 클러치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분(12) 및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은 슬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은 축방향으로 고정된 클러치 부분(12)과의 형상 결합식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압력 매체에 의해 작동 가능한 피스톤(22)을 이용하여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피스톤(22)은 반경 방향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을 지지하는 실린더 하우징(20) 내에서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고, 피스톤(22)은 피스톤 볼트(26)를 통해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과 연결되며, 압력 매체(40)가 공급 채널(38)을 통해 실린더 하우징(20)의 실린더 챔버(60)에 공급될 수 있고, 피스톤(22)은 축방향 일 단부에서 동축으로 배향된 센서 볼트(48)와 고정 연결되며, 센서 볼트(48)는 센서 섹션(52)에서 피스톤으로부터 먼 그의 자유 축방향 단부(78)의 영역에서 위치 센서(70)를 위한 송신기 요소로서 형성되는, 조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피스톤(22)은 그 종방향 중심축(24)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으로 포트 형태의 피스톤 리세스(56)를 포함하며, 피스톤 리세스(56) 내에는 센서 볼트(48)의 고정 섹션(50)이 배치되며, 피스톤(22)은 피스톤 리세스(56)의 영역 내에 반경 방향 횡방향 보어(83)를 포함하고, 센서 볼트(48)의 고정 섹션(50)은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그리고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된 반경 방향 횡방향 보어(82)를 포함하며, 피스톤(22), 센서 볼트(48) 및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은, 피스톤 볼트(26)가 상기 반경 방향 횡방향 보어(82, 83) 내로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과 연결됨으로써, 피스톤 볼트(26)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서 볼트(48)의 센서 섹션(52) 및 위치 센서(70)는, 피스톤으로부터 먼 센서 볼트(48)의 축방향 단부(78)의 각각의 축방향 위치와, 이로써 간접적으로, 피스톤(22)의 축방향 위치 그리고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클러치 부분(14)의 축방향 위치가 무단계로 측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70)와 센서 볼트(48)의 센서 섹션(52) 간의 간격(76)이 센서 볼트(48)의 각각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되도록, 센서 볼트(48)의 센서 섹션(52)은 기하학적으로 실린더 외피면과는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5. 제4항에 있어서, 센서 볼트(48)의 센서 섹션(52)은 종단면에서 V-홈 형태의 환형 리세스(74)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스톤(22)의 고정 섹션(50)은 밀폐 요소(58)에 의해 피스톤 리세스(56)에 대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 하우징(20)은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와 고정 연결되거나 또는 이와 단일편으로 형성되며, 센서 볼트(48)의 원통형 베어링 섹션(46)이 상기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의 안내 보어(36) 내에서 종방향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8. 제7항에 있어서,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의 안내 보어(36)의 견부(42)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슬리브(44)가 안내 보어(36) 내로 삽입되며, 센서 볼트(48)의 베어링 섹션(46)은 슬리브(44)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9. 제7항에 있어서, 센서 볼트(48)의 베어링 섹션(46)은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안내 보어(36) 내에 수용되며, 베어링 섹션(4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찰이 적은 재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볼트(48)의 베어링 섹션(46)과 고정 섹션(50)은 축소된 직경을 갖는 윈통형 연결 섹션(54)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 채널(38)은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스톤(22) 및 센서 볼트(48)의 공동의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각도(α)로 경사져서 연장되며, 접선으로 안내 보어(36) 내로 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는 변속기 하우징 벽(68)과 압력 밀폐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센서(70)는 변속기 하우징 벽(68)의 영역 내에 그리고 센서 볼트(48)의 센서 섹션(52)의 반경 방향 상부에 배치되며, 위치 센서(70)의 종방향 중심축(71)은 센서 볼트(48)와 피스톤(22)의 공동의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30°내지 90°의 설정각(β)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속기 하우징 벽(68) 내에서 센서 볼트(48) 및 피스톤(22)의 공동의 종방향 중심축(24)에 대해 중심 설정되어 안내 보어(36)에 연결된 포트 형태의 추가 챔버(92)가 형성되며, 상기 추가 챔버 내로 센서 볼트(48)의 센서 섹션(52)이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볼트(48)의 자유 축방향 단부(78)는 평탄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볼트(48)의 고정 섹션(50)은 센서 볼트의 피스톤 측 단부(84)에서 안내 경사부(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매체 공급 플랜지(34) 내의 공급 채널(38)은 변속기 하우징 벽(68) 내의 주변 접속 채널(66)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 클러치.
KR1020177019891A 2014-12-19 2015-11-19 조 클러치 KR102480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26611.4A DE102014226611A1 (de) 2014-12-19 2014-12-19 Klauenkupplung
DE102014226611.4 2014-12-19
PCT/EP2015/077029 WO2016096311A1 (de) 2014-12-19 2015-11-19 Klauenkupp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953A true KR20170099953A (ko) 2017-09-01
KR102480775B1 KR102480775B1 (ko) 2022-12-27

Family

ID=5460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891A KR102480775B1 (ko) 2014-12-19 2015-11-19 조 클러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02146B2 (ko)
EP (1) EP3234395B1 (ko)
JP (1) JP6675402B2 (ko)
KR (1) KR102480775B1 (ko)
CN (1) CN107110240B (ko)
DE (1) DE102014226611A1 (ko)
WO (1) WO2016096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4901A1 (de) * 2016-12-14 2018-06-14 Zf Friedrichshafen Ag Klauenschaltelement
DE102017011528A1 (de) * 2017-12-13 2019-06-13 Wabco Gmbh Kupplungsaktuator zum Betätigen einer Fahrzeugkupplung
DE102019104890A1 (de) * 2019-02-26 2020-08-27 Kendrion (Villingen) Gmbh Elektromagnetische Bremse oder Kuppl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7330A (en) * 1995-11-28 1997-09-16 Case Corporation Quick-connect mechanism for releasably retaining a power take-off shaft within an output shaft hub
KR20120028898A (ko) * 2009-06-04 2012-03-23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하나 이상의 도그 클러치를 구비한 장치
DE102011077748A1 (de) * 2011-06-17 2012-12-20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ungsvorrichtung für außerhalb eines Zahnräderwechselgetriebes
DE102011082818A1 (de) * 2011-09-16 2013-03-21 Zf Friedrichshafen Ag Schaltanordnung eines Getrieb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6643A (en) * 1986-03-07 1988-04-12 Eaton Corporation Blocked jaw clutch assembly
US6000294A (en) * 1997-11-15 1999-12-14 Eat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luid assisted shifting of mechanical transmissions
SE513390C2 (sv) * 1997-12-15 2000-09-04 Volvo Lastvagnar Ab Fordonsväxellåda
SE519741C2 (sv) * 2000-09-11 2003-04-01 Volvo Constr Equip Components Anordning för positionering av ett kopplingsorgan
GB2368102B (en) * 2000-10-19 2005-03-09 Gen Motors Corp Transmission decoupling device
JP2008256007A (ja) * 2007-04-02 2008-10-23 Toyota Central R&D Labs Inc ドグク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
DE102009026707B4 (de) * 2009-06-04 2022-01-27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mit zumindest einer Klauenkupplung
DE102009056088B4 (de) 2009-11-30 2011-10-06 Gkn Driveline International Gmbh Differentialanordnung und Antriebsanordnung mit einer Differentialanordnung
DE102009054459A1 (de) * 2009-12-10 2011-06-16 Zf Friedrichshafen Ag Formschlüssige Schalteinrichtung, insbesondere Klauenschalteinrichtung
DE102012202496A1 (de) 2012-02-17 2013-08-22 Zf Friedrichshafen Ag Koppeleinrichtung
DE102012210298A1 (de) * 2012-06-19 2013-12-19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ungsvorrichtung für zwei Wellen mit einem Anschlagsdämpfer
DE102014015093B4 (de) * 2014-10-10 2022-01-20 Audi Ag Klauenkupplung mit Sensor zur Erkennung eines Schließzustan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7330A (en) * 1995-11-28 1997-09-16 Case Corporation Quick-connect mechanism for releasably retaining a power take-off shaft within an output shaft hub
KR20120028898A (ko) * 2009-06-04 2012-03-23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하나 이상의 도그 클러치를 구비한 장치
DE102011077748A1 (de) * 2011-06-17 2012-12-20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ungsvorrichtung für außerhalb eines Zahnräderwechselgetriebes
DE102011082818A1 (de) * 2011-09-16 2013-03-21 Zf Friedrichshafen Ag Schaltanordnung eines Getrieb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1442A (ja) 2018-01-18
WO2016096311A1 (de) 2016-06-23
EP3234395B1 (de) 2018-12-26
JP6675402B2 (ja) 2020-04-01
CN107110240B (zh) 2019-03-29
CN107110240A (zh) 2017-08-29
KR102480775B1 (ko) 2022-12-27
DE102014226611A1 (de) 2016-06-23
US20170328419A1 (en) 2017-11-16
EP3234395A1 (de) 2017-10-25
US10302146B2 (en)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2735B1 (en) Pneumatic clutch actuator
US9797417B2 (en) Master brake cylinder arrangement with actuation detection for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KR20170099953A (ko) 조 클러치
US7549354B2 (en) Shift fork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US6688445B2 (en) Clutch regulating device with torque sensor and displacement sensor
US20100193321A1 (en) Clutch actuation system
US8629675B2 (en) Linear sensor
KR20080104021A (ko) 테이퍼 디스크 랩어라운드 구동기용 회전 토크 검출 장치
CN110469668B (zh) 用于致动机动车辆中的驻车锁的驻车锁模块
EP3353426B1 (en) Double-acting cylinder
US8552713B2 (en) Linear sensor
GB2088510A (en) Device for indirect measurement of wear on clutch linings
US20110290046A1 (en) Actuation device of a rotating, shiftable mechanical connection
CN108223601B (zh) 爪齿式切换元件
KR100470621B1 (ko) 클러치용유압식제어리시버
US20040101425A1 (en) Hydraulic master cylinder
CN110067819B (zh) 具有相对于活塞可运动的用于活塞位置检测的磁体的离合器分离器
EP3470708B1 (en) Setting device for actuating a selector rod of a transmission
CN108930727B (zh) 用于液压分离系统的从动缸
CN111457020A (zh) 具有携动盘的从动缸、操纵装置以及离合器系统
CN110168244B (zh) 具有检测装置的从动缸、操纵系统以及离合器装置
KR101682687B1 (ko) 더블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피스톤 위치 검출장치
WO2005052401A1 (en) Clutch actuators
US20230258263A1 (en) Actuating device for an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KR101296062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클러치 액추에이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