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512A -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512A
KR20170098512A KR1020160020515A KR20160020515A KR20170098512A KR 20170098512 A KR20170098512 A KR 20170098512A KR 1020160020515 A KR1020160020515 A KR 1020160020515A KR 20160020515 A KR20160020515 A KR 20160020515A KR 20170098512 A KR20170098512 A KR 2017009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inous rice
glue
water
paste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만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예미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예미담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예미담
Priority to KR102016002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512A/ko
Publication of KR2017009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23P10/47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using additives, e.g. emulsifiers, wetting agents or dust-binding ag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찹쌀 풀물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고,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찹쌀 풀물 도포장치는, 한약재와 물을 가열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육수제조장치와, 찹쌀가루와 물을 가열하여 풀물을 제조하는 풀물제조장치와, 육수의 양과 풀물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해 육수와 찹쌀 풀물을 일정한 양으로 혼합하여 이송관을 통해 배출하는 혼합물 제어장치와, 혼합물 제어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육수와 찹쌀 풀물이 잘 섞이도록 교반하는 교반 저장조와, 교반 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육수가 포함된 풀물을 부각 재료에 공급하는 풀물 공급부와, 풀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풀물을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부각 재료에 도포하는 풀물도포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Apparatus for pasting rice glue in used system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BOOGAK}
본 발명은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찹쌀 풀물 및 육수 제조부터 최종 제품인 부각을 생산하는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각은 우리의 전통식품으로서, 김, 다시마, 미역, 깻잎, 콩잎, 풋고추, 동백잎, 국화잎, 감잎, 망개나무잎, 쑥, 감자를 아밀로펙틴을 주성분으로 하는 전분질 찹쌀 풀을 발라 건조하여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튀겨먹는 밑반찬이다.
종래의 김 부각은 찹쌀을 물에 씻고 불려서 가루를 내어 찹쌀 풀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김 2장을 서로 붙인 후 날씨 좋은 날 햇빛에 말리고(일광건조), 기름에 튀긴 후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먹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김 부각 제조과정은 수공업으로 이어져 있어 그 제조공정이 번거롭고, 건조·튀김 등의 까다로운 조리과정을 거칠 뿐 아니라 시간이 많이 걸렸다.
최근에는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의 고취와 건강 및 맛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면서 전통음식인 부각을 대량생산하고 상품화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5935호(‘선행문헌 1’이라 함.)에는 김부각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에 따른 김 부각의 제조방법은 찹쌀가루를 이용하여 찹쌀 풀물을 만들고, 김에 풀을 발라 붙인 후 40 내지 60℃ 의 열풍건조기에서 20 내지 50분간 건조하여 건조부각의 수분함량이 7 내지 10%이 되도록 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653호(‘선행문헌 2’라 함.)에는 부각용 찹쌀 풀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2에 따른 부각용 찹쌀 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유자 절편 또는 매실과 설탕을 중량비 1 : 1로 혼합하고 2-4개월 동안 밀봉하여 유자청 또는 매실청을 준비하는 단계와, (b)물에 찹쌀가루를 중량비 2 : 1로 혼합하고 이를 일정한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끓여 찹쌀 풀을 준비하는 단계와, (c) 상기 단계 (b)의 찹쌀 풀의 온도가 100℃에 도달 하면 상기 찹쌀 풀에 마늘즙, 소금, 고춧가루 및 콩기름을 첨가하고 2-10 분 동안 가열하여 끓이는 단계와, (d) 상기 단계 (c)의 결과물을 가열하면서 상기 단계 (a)의 유자청 또는 매실청을 첨가하고 이를 일정한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끓여 부각용 찹쌀 풀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선행문헌1, 2는 찹쌀 풀물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고,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하기에는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45935호 (등록일 2002.07.0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653호(공개일 2013.01.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찹쌀 풀물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고,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찹쌀 풀물 도포장치는, 한약재와 물을 가열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육수제조장치와, 찹쌀가루와 물을 가열하여 풀물을 제조하는 풀물제조장치와, 육수의 양과 풀물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해 육수와 찹쌀 풀물을 일정한 양으로 혼합하여 이송관을 통해 배출하는 혼합물 제어장치와, 혼합물 제어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육수와 찹쌀 풀물이 잘 섞이도록 교반하는 교반 저장조와, 교반 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육수가 포함된 풀물을 부각 재료에 공급하는 풀물 공급부와, 풀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풀물을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부각 재료에 도포하는 풀물도포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찹쌀 풀물 도포장치의 풀물도포기는, 이송장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풀물도포기와 제2 풀물도포기를 포함하고, 제1 풀물도포기와 제2 풀물도포기는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부각 재료를 눌러주는 롤러와, 풀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찹쌀 풀물을 공기 압력으로 배출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찹쌀 풀물 도포장치는, 육수제조장치와 풀물제조장치와 혼합물 제어장치와 교반 저장조와 풀물 공급부와 풀물도포기를 포함하여 구현됨으로써, 찹쌀 풀물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고,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찹쌀 풀물 도포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찹쌀 풀물 도포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 은 도 1의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10)에 사용되는 부각 건조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은 도 6의 제1 건조기(2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10)은 찹쌀 풀물 및 육수 제조부터 최종 제품인 부각을 생산하는 모든 과정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찹쌀 풀물 도포장치(100)와 부각 건조장치(200)와 컨트롤러(300)와 유탕기(400)와 교반 건조기(500)와 중량측정 및 포장기(6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찹쌀 풀물 도포장치(100)는 이송장치, 예를들어 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되는 부각 재료에 찹쌀 풀물을 자동으로 도포한다. 부각 재료는 김, 다시마, 또는 미역이며, 그 외에 깻잎, 콩잎, 풋고추, 동백잎, 국화잎, 감잎, 망개나무잎, 쑥, 감자 등이 될 수 있다. 찹쌀 풀물 도포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분사압력으로 찹쌀 풀물을 부가 재료에 도포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찹쌀 풀물 도포장치(100)는 찹쌀 풀물 및 육수 제조와 부각 재료에 풀물을 도포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수제조장치(110)와 풀물제조장치(120)와 혼합물 제어장치(130)와 교반 저장조(140)와 풀물 공급부(150)와 풀물도포기(160, 1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육수제조장치(110)는 한약재와 물을 가열하여 육수를 제조한다. 한약재는, 예를 들어, 인삼, 대추, 구기자, 오미자, 복분자, 진피, 산약, 산수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육수제조장치(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약재와 물을 담는 용기와 용기 하부에 열 공급원이 설치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열 공급원은 숯불 또는 화목 난로일 수 있다.
풀물제조장치(120)는 찹쌀가루와 물을 가열하여 풀물을 제조한다. 찹쌀을 물로 세척하고 일정 시간동안 물에 불린 다음, 건져서 분쇄기로 분쇄하여 찹쌀가루를 수득할 수 있다. 일례로, 물에 찹쌀가루를 중량비 2 : 1로 혼합하고 가열하여 묽은 반죽 상태의 찹쌀 풀물을 제조할 수 있다. 풀물제조장치(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찹쌀가루와 물을 담는 용기와 용기 하부에 열 공급원이 설치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열 공급원은 숯불 또는 화목 난로일 수 있다.
혼합물 제어장치(130)는 육수의 양과 묽은 반죽 상태의 찹쌀 풀물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해 육수와 찹쌀 풀물을 일정한 양으로 혼합한다. 또한 혼합물 제어장치(130)는 센서를 이용해 이송관(135)을 통해 교반 저장조(140)로 배출하는 양을 제어할 수 있다.
교반 저장조(140)는 혼합물 제어장치(130)로부터 이송되는 육수와 찹쌀 풀물이 잘 섞이도록 일례로, 20∼40 rpm의 속도로 교반 하면서 가열한다. 교반 저장조(140)는 찹쌀 풀물이 굳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교반 저장조(140)에 마늘즙, 소금, 고춧가루 및 콩기름을 첨가하고 수 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마늘즙, 소금, 고춧가루 및 콩기름은 부각 재료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매운맛을 증가시키고, 완성된 부각의 표면을 윤기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그 밖에 찹쌀 풀물에 매실청 또는 유자청 등을 첨가해도 좋다.
풀물 공급부(150)는 교반 저장조(140)로부터 배출관(145)을 통해 배출되는 찹쌀 풀물을 부각 재료에 공급한다. 풀물 공급부(1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압을 발생하여 찹쌀 풀물을 풀물도포기(160, 170)로 배출하는 공압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풀물 공급부(150)는 풀물도포기(160, 170)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찹쌀 풀물 도포장치(100)에는 풀물 공급부(150)에서 에어실린더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165)가 설치될 수 있다.
풀물도포기(160, 170)는 풀물 공급부(150)로부터 공급되는 풀물을 이송장치(30)에 의해 이송되는 부각 재료에 도포한다. 일례로, 부각 재료는 부각 재료 공급부(20)에서 공급되며, 일례로 부각 재료 공급부(20)는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풀물도포기(160, 17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장치(30)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풀물도포기(160)와 제2 풀물도포기(1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풀물도포기(160)와 제2 풀물도포기(170)는 일례로, 이송장치(30)에 의해 이송되는 부각 재료를 눌러주는 롤러와, 풀물 공급부(150)로부터 찹쌀 풀물 공급호스(161, 171)를 통해 공급되는 찹쌀 풀물을 공기 압력으로 배출하는 에어실린더(164, 174)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롤러는 찹쌀 풀물이 부각 재료에 고르게 도포될 수 있도록 부각 재료를 눌러주는 것으로, 표면에 요철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풀물도포기(160, 170)의 에어실린더(164, 174)에는 에어실린더(164, 174)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센서 라인(162, 172)과 공기 공급라인(163, 173)이 형성된다. 이는 컨트롤러(300)가 센서 라인(162, 172)을 통해 에어실린더(164, 174)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신호를 이용해 풀물 공급부(150)를 제어하여 공기 공급라인(163, 173)을 통해 에어실린더(164, 174)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결국 미리 설정된 양의 찹쌀 풀물이 부각 재료에 도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에서, 부각 건조장치(200)는 제조중에 부각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부각 건조장치(200)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100)에 의해 찹쌀 풀물이 도포된 부각 재료를 1차 건조시킨 후, 1차 건조된 부각 재료를 일정 크기로 자르고, 일정 크기로 잘려진 부각 재료를 2차 건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부각 건조장치(2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건조기(210)와 커터기(215)와 제2 건조기(2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건조기(210)는 찹쌀 풀물이 도포된 부각 재료에 포함된 전체 수분 중 최대 60%까지 제거한다. 찹쌀 풀물이 도포된 부각 재료는 이송장치에 설치된 천(도 5의 참조부호 31) 위에 놓여진 상태로 이송된다.
제1 건조기(2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장치(30)가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기 하우징(211)과, 이송장치(3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이송장치(30)에 의해 이송되는 부각 재료를 건조시키기 위해 하우징(211) 내부의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212)와, 히터(212)에 의해 가열되어 부각 재료에 공급된 후 바닥으로 내려앉은 뜨거운 공기를 다시 위로 상승시키는 송풍기(213)를 포함한다. 히터(212)는 일례로,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하우징 내벽 안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건조기(21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건조기 하우징(21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300)는 건조기 하우징(211)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히터(212)를 제어한다.
제2 건조기(220)의 구조는 제1 건조기(210)의 구조와 동일하게 구현된다. 커터기(215)는 이송장치(30)가 내부에 설치되는 커터기 하우징과, 제1 건조기(210)를 통과한 부각 재료를 일정 크기로 자르는 커터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커터는 예컨대 전동모터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커터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부각 재료를 자를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서, 컨트롤러(300)는 이송장치(30)와 찹쌀 풀물 도포장치(100)와 부각 건조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송장치(30)는 컨베이이 벨트와 이를 구동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는 컨베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300)는 전원공급장치의 순시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여 7세그먼트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00)는 풀물도포기의 켜짐/꺼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00)는 부각 건조장치의 하우징 내부 온도를 설정하고, 히터의 켜짐/꺼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00)는 전원의 켜짐/꺼짐, 이송장치의 시작 및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 유탕기(400)는 부각 건조장치(200)에서 건조된 부각 재료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기름에 튀겨 부각을 생성한다. 교반 건조기(500)는 유탕기(400)에서 생성된 부각을 건조시킨다. 중량측정 및 포장기(600)는 부각의 중량을 측정하여 소정 무게의 부각을 포장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한약재와 물을 가열하여 육수를 제조하는 육수제조장치와;
    찹쌀가루와 물을 가열하여 풀물을 제조하는 풀물제조장치와;
    육수의 양과 풀물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해 육수와 찹쌀 풀물을 일정한 양으로 혼합하여 이송관을 통해 배출하는 혼합물 제어장치와;
    상기 혼합물 제어장치로부터 이송되는 육수와 찹쌀 풀물이 잘 섞이도록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교반 저장조와;
    상기 교반 저장조로부터 배출되는 육수가 포함된 찹쌀 풀물을 부각 재료에 공급하는 풀물 공급부와;
    상기 풀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찹쌀 풀물을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부각 재료에 도포하는 풀물도포기;
    를 포함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물도포기는,
    상기 이송장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풀물도포기와 제2 풀물도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풀물도포기와 제2 풀물도포기는,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부각 재료를 눌러주는 롤러와;
    상기 풀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찹쌀 풀물을 공기 압력으로 배출하는 에어실린더;
    를 포함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표면에 요철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물도포기와 제2 풀물도포기는,
    상기 풀물 공급부로부터 찹쌀 풀물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찹쌀 풀물을 공기 압력으로 배출하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찹쌀 풀물 도포장치는,
    상기 풀물도포기 앞단에 부각 재료를 공급하는 부각 재료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각 재료는 김, 다시마, 또는 미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KR1020160020515A 2016-02-22 2016-02-22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KR20170098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15A KR20170098512A (ko) 2016-02-22 2016-02-22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515A KR20170098512A (ko) 2016-02-22 2016-02-22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512A true KR20170098512A (ko) 2017-08-30

Family

ID=5976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515A KR20170098512A (ko) 2016-02-22 2016-02-22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5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423A (ko) * 2018-10-30 2020-05-08 고창군 복분자 또는 쑥 부각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9336B1 (ko) * 2020-05-21 2021-01-06 강구철 명태 부각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명태 부각
KR102215575B1 (ko) 2020-11-20 2021-02-15 (주)지씨에스 김부각 찹쌀풀 균일 도포 보조장치
KR20230033506A (ko) 2021-09-01 2023-03-08 김흥식 부각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각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423A (ko) * 2018-10-30 2020-05-08 고창군 복분자 또는 쑥 부각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9336B1 (ko) * 2020-05-21 2021-01-06 강구철 명태 부각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명태 부각
KR102215575B1 (ko) 2020-11-20 2021-02-15 (주)지씨에스 김부각 찹쌀풀 균일 도포 보조장치
KR20230033506A (ko) 2021-09-01 2023-03-08 김흥식 부각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각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4383B1 (ko) 찹쌀분말을 이용한 유과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70098512A (ko)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찹쌀 풀물 도포장치
CZ277843B6 (en) Method of preparing dough, particularly for pastrie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KR100553386B1 (ko) 곡물을 이용한 건과자 가공장치 및 제조방법
PL168343B1 (pl) Sposób wytwarzania wstepnie parowanej zywnosci zbozowej PL PL PL PL PL
JP2002539808A (ja) 制御された水化により穀粒を調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4438150A (en) Process for preparing an instant baby cereal porridge product
CN107594338A (zh) 一种制作营养面条的方法及面条机
US7413757B2 (en) Method of making a colored, flour-based food product and product thereof
KR20170098508A (ko) 부각 자동 제조 시스템
RU2370104C2 (ru) Получение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CN106071801A (zh) 一种马铃薯全泥挂面制作工艺
CN103385418A (zh) 一种莜麦黄芪挂面的制备方法
KR20000053628A (ko) 곡류 낟알의 연속가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19656A (ko) 곡물 건조과자 제조방법 및 장치
JP2010017095A (ja) おこわ製造方法、赤飯製造方法
KR20200124557A (ko)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한 주먹밥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먹밥
EP2074892B1 (en) Process and plant for the production of precooked and gelatinized flour for food products specification
KR101771519B1 (ko) 압출성형기를 이용한 유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645340A (zh) 一种脆皮辣条的制备方法
JPS60149350A (ja) 生地組成体の異なる麺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19826B2 (ko)
ITAN20110169A1 (it) Apparato di produzione di un impasto per pasta alimentare
RU254211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укурузных хлопьев с фитодобавкой
RU234738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яичной лапши быстрой вар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