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376A -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와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와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376A
KR20170098376A KR1020160019864A KR20160019864A KR20170098376A KR 20170098376 A KR20170098376 A KR 20170098376A KR 1020160019864 A KR1020160019864 A KR 1020160019864A KR 20160019864 A KR20160019864 A KR 20160019864A KR 20170098376 A KR20170098376 A KR 20170098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preparation
mask pack
retention
pack sheet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두
고군호
이민정
조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몬
Priority to KR1020160019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376A/ko
Publication of KR20170098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이 우수한 베이스 층과 표면적이 넓은 나노 섬유 층이 열압착 접합되어 박막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 방법은 지지체가 되는 베이스 층을 제조하는 베이스 층 제조단계(S100)와; 전계 방사법을 이용하여 나노 섬유 층을 제조하는 나노 섬유 층 제조단계(S200)와; 상기 베이스 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나노 섬유 층을 열 압착하여 접합하는 접합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Mask pack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이 우수한 베이스 층과 표면적이 넓은 나노 섬유 층이 열압착 접합되어 박막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 시트는 기재에 피부 트러블 완화, 수분 공급, 탄력 부여, 항균, 주름 개선, 미백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흡수 기재에 천연 추출물, 비타민 및 기능성 물질 등의 화장용 제제를 흡수시켜 피부에 밀착함으로써 화장용 제제가 피부에 흡수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시트에 사용되는 기재로는, 부직포, 한지, 겔 등이 있으며, 이중 부직포는 섬유를 접착시키거나 기계 조작에 의해 엉키게 만든 것으로서, 경제적인 이유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재이다.
하지만, 부직포만을 이용한 마스크 팩은 얇게 형성하면 강도가 낮아져 취급이 어렵고,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소정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밖에 없었으며, 그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피부 표면에 밀착 후 화장용 제제의 수분이 쉽게 증발하여 지속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나노 섬유는 지름이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를 갖는 초극세사로서, 나노 섬유로 제조된 원단 및 시트는 넓은 비표면적을 가져 흡착성 및 보유성을 높일 수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 2007-70347호는 나노 섬유(nano fiber)와 부직포를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밀착한 피부 밀착용 부직포 라미네이트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들은 정전기적 인력에 의존하여 밀착되기 때문에 함침시 쉽게 탈층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일부 제조사는 부직포와 나노 섬유 사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탈층을 방지하려 하였지만, 접착층이 형성됨으로써 두께를 박막으로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접착제로 인하여 마스크 시트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이는, 피부에 대한 밀착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 2007-7034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성이 우수한 베이스 층과 표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나노 섬유 층을 열압착법을 이용하여 접합함으로써 박막으로 형성 가능하고, 피부 밀착력과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높은 비표면적으로 인해 화장용 제제의 흡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는 상기 마스크 팩 시트의 지지체가 되는 베이스 층과; 상기 베이스 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나노 섬유 층을 온도 60 내지 200℃, 압력 0.5 내지 9.0 kgf/㎠ 에서 열 압착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층은 레이온, 셀룰로오스,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노 섬유 층은 폴리 우레탄(PU), 폴리 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알코올(PVA), 나일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하이드록시벨러레이트(PHV), 폴리락틱산(PLA), 폴리-L-락틱산(PLLA),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폴리머를 용매와 혼합한 폴리머 용액을 평량 0.5 내지 50 g/㎡, 섬유 직경 30 내지 3000 nm 갖도록 전계 방사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머 용액은 미백제, 주름 개선제, 보습제, 여드름 치료제, 진정제, 수렴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장용 제제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은 상기 마스크 팩 시트의 지지체가 되는 베이스 층을 제조하는 베이스 층 제조단계(S100)와; 전계 방사법을 이용하여 나노 섬유 층을 제조하는 나노 섬유 층 제조단계(S200)와; 상기 베이스 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나노 섬유 층을 열 압착하여 접합하는 접합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층 제조단계(S100)는 레이온, 셀룰로오스,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노 섬유 층 제조단계(S200)는 폴리 우레탄(PU), 폴리 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알코올(PVA), 나일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하이드록시벨러레이트(PHV), 폴리락틱산(PLA), 폴리-L-락틱산(PLL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폴리머를 용매와 혼합하여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는 폴리머 용액 제조단계(S210)와; 상기 폴리머 용액을 평량 0.5 내지 50 g/㎡, 섬유 직경 30 내지 3000 nm 갖도록 전계 방사하는 전계방사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단계(S300)는 온도 60 내지 200℃, 압력 0.5 내지 9 kgf/㎠ 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신축성이 우수한 베이스 층과 표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나노 섬유 층을 열압착법을 이용하여 접합함으로써 박막으로 형성 가능하고, 피부 밀착력과 화장용 제제의 함유량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높은 비표면적으로 인하여 화장용 제제의 흡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스크 팩 시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나노 섬유 층 제조단계(S200)에 의해 형성된 나노 섬유 층을 보여주는 SEM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스크 팩 시트.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이 우수한 베이스 층과 표면적이 넓은 나노 섬유 층이 열압착 접합되어 박막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는 상기 마스크 팩 시트의 지지체가 되는 베이스 층(100)과 상기 베이스 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나노 섬유 층(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층(100)은 마스크 팩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체가 되는 동시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 층(100)은 레이온, 셀룰로오스,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층(100)을 형성하는 방법은 마스크 팩 시트의 내구성을 높임과 동시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방법이라면 한정하지 않지만, 구체적인 예로는 제직, 편성이 있을 수 있다.
제직은 날실(경사)과 씨실(위사)이 직각으로 교차하면서 짜여 조직이 튼튼한 원단으로서, 크게 올의 교차수에 따라 평직, 능직, 수자직으로 분류된다.
편성은 실섬유로 편환을 만들어 편환과 편환을 연결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크게 경방향으로 루프와 루프가 연결된 경편과 위방향으로 루프와 루프가 연결된 위편으로 분류된다. 편성으로 제조된 원단은 다른 방법에 비해 보다 신축성 및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편성을 통한 구체적인 조직 형성 방법은 트리코트(Tricot), 랏셀(Rachel), 말라네즈(Milanese), 자카드, 평편(Plain Stitch), 펄편(Purl Stritch), 고무편(Rib Stitch), 파일편(Pile Stitch), 테리편(Knitted Stitch), 터크편(Tuck Stitch) 등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코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트리코트(Tricot)는 경편의 일종으로 실을 안내하는 가이드바가 셋으로 이루어진 경편기를 이용하여 편성한 것으로서, 섬세하고 치밀한 조직 형성이 가능하면서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나노 섬유 층과의 접합시 안정적인 접합이 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피부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층(100)은 평량 7.0 내지 70 g/㎡, 두께 8.0 내지 500 ㎛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평량 및 두께 미만이면 찢기거나 주름이 생기기 쉽고, 인장 강도가 약해 지지체 역할을 하기 힘들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피부에 밀착시 무게감이 높고 밀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 섬유 층(200)은 높은 비표면적을 가져 화장용 제제의 함침성 및 보유성을 높임과 동시에 피부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층이다.
상기 나노 섬유 층(200)은 공극률 78 내지 9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공극률이 78% 미만이면 공극이 적어 화장용 제제의 함침량이 적고, 95% 초과할 경우 섬유의 굵기가 현저히 얇기 때문에 열압착 적합시 수축율이 커진다.
또한, 상기 나노 섬유 층(200)의 두께는 1.0 내지 60 ㎛를 갖는데, 두께가 1.0 ㎛ 미만이면 공극이 현저히 줄어들어 화장용 제제의 함침성이 저하되고, 60 ㎛ 초과할 경우에는 공극이 많아져 화장용 제제의 함침성이 커져 얼굴에 밀착시 무게감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스크 팩 시트의 단면도로서, (a)는 나노 섬유 층(200)이 베이스 층(100)의 단면에만 형성된 경우, (b)는 나노 섬유 층(200)이 베이스 층(100)을 가운데에 두고 양면으로 형성된 경우를 보여준다.
이하, 설명을 위해 피부가 밀착되는 면에 형성된 나노 섬유 층(200)을 제 1 나노 섬유 층(200), 상기 베이스 층(100)의 상측, 외면에 형성된 나노 섬유 층(200)을 제 2 나노 섬유층(200')으로 명명한다.
(a)와 같이, 상기 제 1나노 섬유층(200)만 형성된 경우, 상기 베이스 층(100)은 외부로 노출되는 면이 된다.
이때, 피부와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상기 나노 섬유 층(200)은 높은 비표면적과 공극률로 인하여 화장용 제제의 함침성 및 보유성을 높이고, 피부에 흡수될 수 있게 한다.
(b)와 같이, 상기 베이스 층(100)의 타면에 상기 제 2나노 섬유 층 (200')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 2나노 섬유 층(200')은 화장용 제제 및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베이스 층(100)을 가운데에 두고, 피부에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제 1나노 섬유층(200)은 높은 비표면적과 밀착성으로 화장용 제제를 피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외면에 형성되는 제 2나노 섬유층(200')은 화장용 제제의 증발을 방지함으로써 마스크 팩 시트에 함유된 화장용 제제가 쉽게 수분을 잃어버리지 않아 화장용 제제의 유효 성분이 피부에 작용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분을 쉽게 잃어버리기 않기 때문에 보다 마스크 팩 시트의 건조에 의한 피부 밀착력 저하 및 이탈을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나노 섬유 층은 폴리 우레탄(PU), 폴리 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알코올(PVA), 나일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PHB),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하이드록시벨러레이트(PHV), 폴리락틱산(PLA), 폴리-L-락틱산(PLLA),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발수 처리한 그룹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폴리머를 용매와 혼합한 폴리머 용액을 평량 0.5 내지 50 g/㎡, 섬유 직경 30 내지 3000 nm 갖도록 전계 방사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디메틸 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메틸에틸케톤, 클로로포름, 아세톤, 물, 포름산, 아세트산, 부틸 아세테이트, 시클로헥산, THF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용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용매의 첨가 중량 %는 폴리머의 종류 및 혼합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한정하지 않지만, 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적절한 물성을 갖기 위해 전체 폴리머 용액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전계 방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폴리머 용액에 도전성 향상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폴리머 용액을 평량 0.5 내지 50 g/㎡(gram per square meter)을 갖도록 전계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평량 0.5 g/㎡ 미만이면 화장용 제제가 흡수 및 보유되기 위한 공극이 작아 함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지나친 박막으로 취급이 힘들고, 평량 50 g/㎡ 을 초과하면 공극이 커서 화장용 제제의 함침성이 커져 무게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직경은 30 내지 3000 nm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섬유 직경이 30 nm 미만이면 충분한 물성을 확보하기 힘들어 마스크 팩 사용시 찢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3000 nm 초과하면 공극률이 작아져 화장용 제제의 함침량이 작아지고, 비표면적이 작아 피부에 대한 밀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는 마스크 팩 시트를 구성하는 상기 나노 섬유 층의 섬유 자체적으로 화장용 제제를 포함시켜 마스크 팩 시트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나노 섬유를 형성하기 전에 폴리머 용액 자체에 미백제, 주름 개선제, 보습제, 여드름 치료제, 진정제, 수렴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장용 제제를 포함하여 마스크 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은 접합은 엽압착에 의해 행해지는데, 소정의 온도와 압력을 제공받아 서로 접합된다.
상기 열압착은 온도 60 내지 200℃, 압력 0.5 내지 9.0kgf/㎠ 에서 행해지는데, 상기 온도와 압력 범위 미만으로 열압착하면 상기 베이스 층과 상기 나노 섬유층이 미접합 및 불균일하게 접합되어 화장용 제제의 함침 또는 사용시 탈층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와 압력 범위를 초과하여 열압착하면 마스크 팩 시트가 열프레스에 붙어버려 분리가 힘들거나 탄화 및 불량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피부 밀착성과 수분 유지력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시하며, 상술된 내용과 중복될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로서, (a)는 전체 제조방법, (b)는 나노 섬유 층 제조단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마스크 팩 시트의 지지체가 되는 베이스 층을 제조하는 베이스 층 제조단계(S100)와 전계 방사법을 이용하여 나노 섬유 층을 제조하는 나노 섬유 층 제조단계(S200)와 상기 베이스 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나노 섬유 층을 열 압착하여 접합하는 접합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층 제조단계(S100)는 마스크 팩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체가 되는 동시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베이스 층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 층 제조단계(S100)는 레이온, 셀룰로오스,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나노 섬유 층 제조단계(S200)에 의해 형성된 나노 섬유 층을 보여주는 SEM 사진이다.
상기 나노 섬유 층 제조단계(S200)은 높은 공극률과 비표면적을 가져 화장용 제제의 함침성 및 보유성을 높임과 동시에 피부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나노 섬유 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나노 섬유 층 제조단계(S200)는 폴리 우레탄(PU), 폴리 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알코올(PVA), 나일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하이드록시벨러레이트(PHV), 폴리락틱산(PLA), 폴리-L-락틱산(PLL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폴리머를 용매와 혼합하여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는 폴리머 용액 제조단계(S210)와 상기 폴리머 용액을 평량 0.5 내지 50 g/㎡, 섬유 직경 30 내지 3000 nm 갖도록 전계 방사하는 전계방사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는 마스크 팩 시트를 구성하는 상기 나노 섬유 층의 섬유 자체적으로 화장용 제제를 포함시켜 마스크 팩 시트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폴리머 용액 제조단계(S210)에서 미백제, 주름 개선제, 보습제, 여드름 치료제, 진정제, 수렴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장용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단계(S300)는 상기 베이스 층 제조단계(S100)와 상기 나노 섬유 층 제조단계(S200)에 의해 제조된 베이스 층과 나노 섬유 층을 열압착기를 이용하여 온도 60 내지 200℃, 압력 0.5 내지 9.0kgf/㎠ 에서 접합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마스크 팩 시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시트는 신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베이스 층(100)을 가운데 두고, 나노 섬유 층(200)이 베이스 층(100)의 일면에 밀착되어 피부에 직접적으로 화장용 제제를 공급하며, 나노 섬유 층(200')가 베이스 층의 타면에 형성되어 마스크 팩 시트에 함침된 화장용 제제의 증발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시트는 베이스 층과 나노 섬유 층을 열압착하여 접합함으로써 마스크 팩 시트의 두께를 박막으로 형성할 수 있어 피부에 대한 밀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팩 시트는 높은 비표면적과 공극률로 인하여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을 높이고, 화장용 제제의 피부 흡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베이스 층
200, 200' : 나노 섬유 층

Claims (8)

  1.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팩 시트의 지지체가 되는 베이스 층과;
    상기 베이스 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나노 섬유 층을 온도 60 내지 200℃, 압력 0.5 내지 9.0kgf/㎠ 에서 열 압착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은
    레이온, 셀룰로오스,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 층은
    폴리 우레탄(PU), 폴리 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알코올(PVA), 나일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하이드록시벨러레이트(PHV), 폴리락틱산(PLA), 폴리-L-락틱산(PLLA),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폴리머를 용매와 혼합한 폴리머 용액을 평량 0.5 내지 50 g/㎡, 섬유 직경 30 내지 3000 nm 갖도록 전계 방사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용액은
    미백제, 주름 개선제, 보습제, 여드름 치료제, 진정제, 수렴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장용 제제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
  5.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팩 시트의 지지체가 되는 베이스 층을 제조하는 베이스 층 제조단계(S100)와;
    전계 방사법을 이용하여 나노 섬유 층을 제조하는 나노 섬유 층 제조단계(S200)와;
    상기 베이스 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 나노 섬유 층을 열 압착하여 접합하는 접합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층 제조단계(S100)는
    레이온, 셀룰로오스,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 층 제조단계(S200)는
    폴리 우레탄(PU), 폴리 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비닐알코올(PVA), 나일론,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하이드록시벨러레이트(PHV), 폴리락틱산(PLA), 폴리-L-락틱산(PLL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어느 하나의 폴리머를 용매와 혼합하여 폴리머 용액을 제조하는 폴리머 용액 제조단계(S210)와;
    상기 폴리머 용액을 평량 0.5 내지 50 g/㎡, 섬유 직경 30 내지 3000 nm 갖도록 전계 방사하는 전계 방사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단계(S300)는
    온도 60 내지 200℃, 압력 0.5 내지 9.0kgf/㎠ 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60019864A 2016-02-19 2016-02-19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와 그의 제조방법 KR20170098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864A KR20170098376A (ko) 2016-02-19 2016-02-19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와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864A KR20170098376A (ko) 2016-02-19 2016-02-19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와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376A true KR20170098376A (ko) 2017-08-30

Family

ID=5976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864A KR20170098376A (ko) 2016-02-19 2016-02-19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와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37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088B1 (ko) 2018-01-23 2019-04-26 (주)미테솔인터내셔날 폴딩 마스크팩 제조를 위한 펀칭 머신
KR101973087B1 (ko) 2018-01-23 2019-08-16 (주)미테솔인터내셔날 폴딩 마스크팩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190109783A (ko)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마스크팩용 시트, 마스크팩, 마스크팩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20200045208A (ko) * 2018-10-22 2020-05-04 이병수 기능성 성분이 캡슐에 탑재된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69648A (ko) 2018-12-07 2020-06-17 (주)미테솔인터내셔날 폴딩 마스크팩 제조 장치
CN112176525A (zh) * 2020-09-24 2021-01-05 浙江王金非织造布有限公司 一种单向导水面膜基材及其制备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088B1 (ko) 2018-01-23 2019-04-26 (주)미테솔인터내셔날 폴딩 마스크팩 제조를 위한 펀칭 머신
KR101973087B1 (ko) 2018-01-23 2019-08-16 (주)미테솔인터내셔날 폴딩 마스크팩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190109783A (ko)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피앤씨랩스 마스크팩용 시트, 마스크팩, 마스크팩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20200045208A (ko) * 2018-10-22 2020-05-04 이병수 기능성 성분이 캡슐에 탑재된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69648A (ko) 2018-12-07 2020-06-17 (주)미테솔인터내셔날 폴딩 마스크팩 제조 장치
CN112176525A (zh) * 2020-09-24 2021-01-05 浙江王金非织造布有限公司 一种单向导水面膜基材及其制备方法
CN112176525B (zh) * 2020-09-24 2021-10-08 浙江王金非织造布有限公司 一种单向导水面膜基材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8376A (ko) 피부 밀착성 및 화장용 제제의 보유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시트와 그의 제조방법
JP5028047B2 (ja) 防風性、防水透湿性に優れる積層シート、それを用いた生地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Das et al. Composite nonwovens
US8642172B2 (en) Nanofiber sheet
EP2371528B1 (en) Method for attaching nanofiber sheet
JP2016193205A (ja) バルクフィル材料及び構築物
KR101431346B1 (ko) 집진기용 여과포
US20160338645A1 (en) Electrode material and device
CA2746634C (en) Ptfe fabric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14116946A1 (en) Wet laid non-woven substrate containing polymeric nanofibers
KR101234044B1 (ko) 투습성이 뛰어난 자외선 경화형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024272A (ja) 冷感に優れた編地および繊維製品
WO2016190384A1 (ja) 布帛
JP2015196263A (ja) ナノファイバー積層材、ナノファイバー積層材の製造方法、フィルター基材又はフィルター、及び、マスク又はマスク基材
JP6285245B2 (ja) 積層シートおよび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JP5996432B2 (ja) 接着剤を含む弾性生地
KR20120045048A (ko) 내구성이 있는 고성능 접착제-결합된 알레르겐 장벽 라미네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Z307884B6 (cs) Způsob pro výrobu textilního kompozitu zejména pro outdoorové aplikace, který obsahuje alespoň jednu vrstvu polymerních nanovláken, a tímto způsobem připravený textilní kompozit
JP4518087B2 (ja) 透湿防水性生地
JP2014083843A (ja) 三層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033716B2 (ja) 繊維構造物
JP2009183879A (ja) 分離膜用基材シート、その製造方法並びに分離膜積層シート
JP4518105B2 (ja) 透湿防水性生地
JP2010209488A (ja) 水流交絡不織布製造用孔開き支持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449453B2 (ja) 分割型複合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729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227

Effective date: 2018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