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026A - 로프 수평 확장 유닛 - Google Patents

로프 수평 확장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026A
KR20170098026A KR1020160019887A KR20160019887A KR20170098026A KR 20170098026 A KR20170098026 A KR 20170098026A KR 1020160019887 A KR1020160019887 A KR 1020160019887A KR 20160019887 A KR20160019887 A KR 20160019887A KR 20170098026 A KR20170098026 A KR 20170098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hook
lift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6166B1 (ko
Inventor
양중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1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 수평 확장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프 수평 확장 유닛은 크레인의 후크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방사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후크에 연결된 리프팅 와이어 로프를 안내하는 와이어 확장바들; 및 상기 와이어 확장바들이 펼쳐지거나 펼쳐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프 수평 확장 유닛{rope horizontal extension unit}
본 발명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등의 블록을 리프팅하고자 할 때 블록에 연결될 리프팅 와이어 로프들을 수평방향으로 확장해주는 블록 리프팅을 위한 로프 수평 확장 유닛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에서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의 블록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크레인은 그 기능 및 형태에 따라 천정크레인, 지브크레인, 갠트리 크레인, 케이블 크레인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블록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리프팅 와이어 로프를 블록에 구비된 리프팅 러그들에 체결하는 사전 준비 작업이 요구되는데 리프팅 와이어 로프 체결을 위한 작업 과정 중에 블록 의장품과의 간섭으로 작업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에 매달린 후크와 블록을 리프팅 와이어 로프로써 연결하기 위해서는 블록의 중심부 수직 상단에 후크를 위치시킨 후, 각 로프의 일단을 후크에 걸어 고정시키고, 각 로프의 나머지 타단을 블록 모서리에 구비된 리프팅 러그에 고정시켜 후크를 정점으로 한 흡사 피라미드와 같은 구조를 형성한 채로 중량물을 들어올려 운반하게 된다.
그러나 블록의 폭이나 길이가 길고 블록의 상부로 벽체가 돌출된 경우 여러명의 인력으로 무거운 리프팅 와이어 로프를 끌어 옮겨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과다하고 작업자의 안전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4410호(2009.12.03. 공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의 운반시 리프팅 와이어를 중량물의 러그에 연결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리프팅 와이어 수평 확장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레인의 후크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방사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후크에 연결된 리프팅 와이어 로프를 안내하는 와이어 확장바들; 및 상기 와이어 확장바들이 펼쳐지거나 펼쳐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로프 수평 확장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확장바들 각각은 리프팅 와이어 로프가 상기 와이어 확장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리프팅 와이어 로프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대는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상단 링; 하단에 상기 지주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단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은 상기 하단 링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 확장바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하단 링의 승강에 따라 상기 와이어 확장바를 밀거나 잡아당기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 링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는 상기 크레인의 후크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후크 탈부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 탈부착부재는 자력에 의해 상기 후크에 고정되는 전자석 또는 상기 후크에 걸쳐지는 고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하단링에 연결되는 당김 로프; 및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당김 로프를 감거나 풀어주는 윈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지주대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링을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대는 상기 와이어 확장바들의 방향 설정을 위해 상기 상단링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헤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크레인 후크에 연결된 리프팅 와이어 로프들의 간격을 넓혀줌으로써 리프팅 와이어 로프를 블록의 러그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프 수평 확장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프 수평 확장 유닛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로프 수평 확장 유닛이 크레인 후크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로프 수평 확장 유닛에 의해 리프팅 와이어 로프가 확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리프팅 와이어 로프가 로프 수평 확장 유닛에 의해 블록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후크 탈부착 부재의 변형예이다.
도 7은 후크 탈부착 부재의 다른예이다.
도 8은 안내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프 수평 확장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프 수평 확장 유닛이 펼쳐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프 수평 확장 유닛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등의 블록을 리프팅하고자 할 때 블록에 연결될 리프팅 와이어 로프들을 수평방향으로 확장해주는 장치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수평 확장 유닛(10)은 크레인에 연결된 크레인 후크(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로프 수평 확장 유닛(10)은 블록(1000)의 러그(1100)들에 리프팅 와이어 로프(30)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크레인 후크(20)에 장착된다. 그리고, 리프팅 와이어 로프(30)가 로프 수평 확장 유닛(1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블록(1000)의 러그(1100)들에 연결되면 크레인에 의한 블록 이송 작업을 위해 수평 확장 유닛(20)은 크레인 후크(2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로프 수평 확장 유닛(10)은 지주대(100), 와이어 확장바(200)들, 연결바(300)들 그리고 구동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대(100)는 자체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주대(100)에는 상단 링(110)과 하단 링(120)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단 링(120)은 지주대(1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하단 링(120)은 상단 링 아래에서 지주대(100)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주대(100)에는 하단 링(120)의 슬라이딩 동작을 돕는 가이드가 길이방향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지주대(100)는 크레인 후크(20)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지주대(100)의 상단에는 후크 탈부착 부재(500)가 제공될 수 있다.
후크 탈부착 부재(500)는 자력에 의해 크레인 후크(20)에 고정되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은 안내하고자 하는 리프팅 와이어 로프의 하중과 각동 외력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자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 탈부착 부재(500)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석 타입 이외에도 지주대(100)를 크레인 후크(20)에 탈부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와이어 확장바(200)는 지주대(10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와이어 확장바(200)는 일단이 상단 링(110)에 힌지 결합되어 방사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 링(110)에 4개의 와이어 확장바(200)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와이어 확장바(200)의 설치 개수 및 설치 간격은 크레인 후크(20)에 연결되는 리프팅 와이어 로프(3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이어 확장바(200)가 상단 링(110)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단 링이 생략된 경우 와이어 확장바(200)는 지주대(100)의 상단에 다이렉트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 확장바(200)에는 안내부재(210)가 설치될 수 있다. 안내부재(210)는 와이어 확장바(200)의 끝단에 설치되어 리프팅 와이어 로프(30)를 안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안내부재(210)는 리프팅 와이어 로프(30)가 와이어 확장바(200)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수평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오목한 곡면부(212)를 갖는다.
연결바(300)는 일단이 하단 링(12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와이어 확장바(200)에 힌지 결합된다. 연결바는 로프 수평 확장 유닛(10)을 펼쳤을 때 지주대와 와이어 확장바 사이에 위치하여 리프팅 와이어 로프(30)를 받치는 와이어 확장바(200) 상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바(300)의 경우 금속성의 단단한 재질을 이용하여 직선형으로 구성되고, 와이어 확장바(200)와는 힌지 결합하여 회동 운동이 가능하여 펼침과 접힘시 연결부분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로프 수평 확장 유닛(10)이 펼쳐졌을 때 지주대(100)와 와이어 확장바(200) 사이를 직선 대각 방향으로 지탱하게 된다.
연결바(300)의 동작을 살펴보면, 하단 링(120)이 구동부재(400)에 의해 상승 이동되면 연결바(300)가 접혀있는 와이어 확장바(200)를 밀게 되면서 와이어 확장바(200)가 펼쳐지게 되고, 하단 링(120)이 구동부재(400)에 의해 하강 이동되면 연결바(300)가 펼쳐진 와이어 확장바(200)를 잡아당기게 되면서 와이어 확장바(200)가 접혀지게 된다.
하단 링(120)의 승하강은 구동부재(400)에 의해 제공된다. 구동부재(400)는 하단 링(120)을 지주대(100) 상에서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부재(400)는 당김 로프(410)와 윈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당김 로프(410)는 하단 링(120)에 연결된다. 윈치(420)는 당김 로프(410)를 감거나 풀어주기 위해 지주대(100)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당김 로프와 윈치로 구성된 구동부재를 도시하고 이으나, 구동 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단 링을 승강시킬 수 있는 유압 실린더 방식, 기어 방식, 체인 방식 등의 다양한 직선 승강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로프 수평 확장 유닛이 크레인 후크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로프 수평 확장 유닛에 의해 리프팅 와이어 로프가 확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리프팅 와이어 로프가 로프 수평 확장 유닛에 의해 블록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로프 수평 확장 유닛은 크레인 후크의 저면에 장착된다. 크레인 후크(20)에 연결된 리프팅 와이어 로프(30)는 와이어 확장바(200)의 안내부재(210)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된다. 구동부재에 의해 하부 링이 상승 이동되면 연결바가 와이어 확장바(200)를 밀게 되면서 와이어 확장바(200)가 펼쳐지게 된다. 와이어 확장바(200)의 펼침에 의해 리프팅 와이어 로프(30)는 수평 방향으로 로프들 간의 간격이 L1-> L2로 넓어지게 된다.
작업자는 리프팅 와이어 로프(30)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에서 리프팅 와이어 로프(30)의 하단을 블록의 러그(1100)에 연결하는 로프 연결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로프 수평 확장 유닛(10)은 블록의 폭이나 길이가 길고 블록의 상부로 벽체가 돌출된 경우 여러명의 인력으로 무거운 리프팅 와이어 로프(30)를 끌어 옮기지 않아도 자동으로 리프팅 와이어 로프(30)가 수평방향으로 펼쳐짐으로써 리프팅 와이어 로프(30)를 블록의 러그(1100)에 연결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후크 탈부착 부재의 변형예이다.
도 6에서와 같이, 후크 탈부착 부재(500a)는 지주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헤드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후크 탈부착 부재(500a)의 회전 헤드부(550)는 베어링(560)을 통해 지주대(1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로프 수평 확장 유닛(10)은 회전 헤드부(550) 상에서 지주대(100)가 회전 가능함으로써 와이어 확장바(200)들의 방향 설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후크 탈부착 부재의 다른예이다.
도 7에서와 같이, 후크 탈부착 부재(500b)는 지주대(100) 상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고리(59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고리(590)는 크레인 후크(20)에 걸쳐지듯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고리(590)를 적용하면 로프 수평 확장 유닛(10)을 크레인 후크(20)에 탈부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전자석 방식에 비해 그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적일 수 있다.
도 8은 안내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안내부재(210a)는 볼조인트(220) 방식으로 와이어 확장바(200)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볼 조인트(220)는 안내부재(210a)의 저면에 설치되고 구관절의 역할을 하는 볼 스터드(ball stud)(222)와, 와이어 확장바(200)의 상면에 설치되고 볼 스터드(22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볼 스터드(222)가 작동각 범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볼 소켓(ball socket)(224)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재(210a)가 볼조인트(220)에 의해 와이어 확장바(200)에 설치됨으로써 리프팅 와이어 로프(30)를 보다 유동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부재(210a)는 리프팅 와이어 로프(30)가 연결되고자 하는 블록의 러그(1100) 위치에 따라 회동됨으로써 리프팅 와이어 로프(30)의 연결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로프 수평 확장 유닛 100 : 지주대
200 : 와이어 확장바 300: 연결바
400 : 구동부재

Claims (6)

  1. 크레인의 후크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방사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후크에 연결된 리프팅 와이어 로프를 안내하는 와이어 확장바들; 및
    상기 와이어 확장바들이 펼쳐지거나 펼쳐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로프 수평 확장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확장바들 각각은
    리프팅 와이어 로프가 상기 와이어 확장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리프팅 와이어 로프를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로프 수평 확장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는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상단 링;
    하단에 상기 지주대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단 링을 포함하는 로프 수평 확장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하단 링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 확장바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하단 링의 승강에 따라 상기 와이어 확장바를 밀거나 잡아당기는 연결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 링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되는 로프 수평 확장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의 상단에는 상기 크레인의 후크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후크 탈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로프 수평 확장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는
    상기 와이어 확장바들의 방향 설정을 위해 상기 상단링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로프 수평 확장 유닛.
KR1020160019887A 2016-02-19 2016-02-19 로프 수평 확장 유닛 KR101826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887A KR101826166B1 (ko) 2016-02-19 2016-02-19 로프 수평 확장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887A KR101826166B1 (ko) 2016-02-19 2016-02-19 로프 수평 확장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026A true KR20170098026A (ko) 2017-08-29
KR101826166B1 KR101826166B1 (ko) 2018-02-06

Family

ID=5976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887A KR101826166B1 (ko) 2016-02-19 2016-02-19 로프 수평 확장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386A (zh) * 2018-12-27 2019-04-0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测斜管的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589B1 (ja) * 1998-12-28 2000-05-29 信一 合野 荷役用傘カバー
KR200171698Y1 (ko) 1999-08-10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크레인용 리프팅 와이어 연결장치
JP2014237524A (ja) * 2013-06-10 2014-12-18 山陽特殊製鋼株式会社 玉掛け吊り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386A (zh) * 2018-12-27 2019-04-0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测斜管的固定装置
CN109577386B (zh) * 2018-12-27 2023-09-26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测斜管的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166B1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8351B2 (en) Nacelle-mounted lift system for wind turbine
EP2492235B1 (en) Method of assembling a mobile lift crane
JP6741346B2 (ja) 杭アペンディングシステム
EP3517776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replacing wind turbine components
JP2009107842A (ja) クレーンブームの起立方法
JP2010260725A (ja) 自己取付支え装置を備えた伸縮クレーン、及び支え装置の取付方法
EP3631195B1 (en) Wind turbine installation
CN211056577U (zh) 管廊管材起吊装置
JP6966901B2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用カウンタウェイト
EP3857061B1 (en) Method for moving an object between a platform of a wind turbine and a deck of a vessel and frame structure used for coupling of a pulling means
EP2665674B1 (en) Maintenance crane at elevated areas
KR101826166B1 (ko) 로프 수평 확장 유닛
JP2009020111A (ja) 原子炉整備用プラットホーム
KR101922047B1 (ko) 크레인 브레싱 해체 장치
CA3016141A1 (en) Nacelle-mounted lift system for wind turbine
JP2008081242A (ja) クレーンのラフィングジブ装置
CN115315577A (zh) 移动提升装置以及用于运输风力涡轮机的部件的方法和系统
KR20220137687A (ko)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방법 및 호이스팅 요크
JP2547044B2 (ja) クレーンにおけるジブの装脱方法及び装置
CN214899833U (zh) 一种桥架线缆敷设辅助装置
JP2542385Y2 (ja) 建設作業機用カウンタウエイトの着脱装置
JP6579172B2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ストラット引き起こし方法
CN112607592A (zh) 一种移动式可展合吊放装置
SU1384531A1 (ru) Радиально-поворотный кран
CN116768082A (zh) 起重机及其自拆装系统、自装配方法和自拆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