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687A -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방법 및 호이스팅 요크 - Google Patents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방법 및 호이스팅 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687A
KR20220137687A KR1020227030096A KR20227030096A KR20220137687A KR 20220137687 A KR20220137687 A KR 20220137687A KR 1020227030096 A KR1020227030096 A KR 1020227030096A KR 20227030096 A KR20227030096 A KR 20227030096A KR 20220137687 A KR20220137687 A KR 20220137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ng
outer end
holding means
hoisting yok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에터 윔 얀 라바우
얀 마리아 코엔 미첼슨
케네디 제랄드 반니위웬후이세
로빈 모웬
Original Assignee
디이엠이 오프쇼어 비이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이엠이 오프쇼어 비이 엔.브이. filed Critical 디이엠이 오프쇼어 비이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220137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8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lifting parts of wind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6Slings with load-engaging platforms or frame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 F05B2230/61Assembly methods using auxiliary equipment for lifting or h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리프팅 수단에 커플링된 호이스팅 요크를 사용하여 지면에서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는 방법이 설명되고, 호이스팅 요크의 빔형 지지 프레임은 물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지지 프레임의 단부 부분에 제공된 슬링들이 물체를 들어올린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단부 부분에 제공된 제1 홀딩 수단으로 슬링의 제1 외부 단부를 홀딩하고, 상기 슬링을 상기 제1 홀딩 수단으로부터 상기 물체 부근의 위치까지 매달리게 하는 단계, 메신저 라인 윈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부 부분으로부터 메신저 라인을 인출하고, 상기 물체 아래로 이송하여 상기 제1 홀딩 수단에 매달린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에 커플링하는 단계,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를 상기 단부 부분에 제공된 제2 홀딩 수단에 커플링하여, 상기 물체를 위해 상기 슬링들 중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물체는 슬링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Description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방법 및 호이스팅 요크
본 발명은 리프팅(lifting) 수단에 커플링(couple)된 호이스팅(hoisting) 요크(yoke)를 사용하여 지면으로부터 기다란(elongate) 물체(object)를 들어올리기(take up)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이스팅 요크의 지지 프레임은 물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지지 프레임의 단부 부분(end part)들에 제공된 슬링(sling)들이 물체를 들어올린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상기 방법에 적용되는 호이스팅 요크, 상기 호이스팅 요크가 구비된 리프팅 크레인(crane), 및 상기 리프팅 크레인이 구비된 선박(vessel)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상 풍력 터빈(의 컴포넌트들)의 배치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 참조는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됨을 의미하지 않으며, 방법 및 상응하는 호이스팅 요크는 임의의 다른 구조물을 들어 올리고 배치하기 위해 동등하게 잘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방파제(jetty)들, 레이더(radar)들 및 기타 타워들과 같은 다른 해양(offshore) 파운데이션(foundation) 구조물들에 대한 컴포넌트들의 호이스팅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육상(onshore)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파운데이션 파일(pile)과 같은 풍력 터빈의 컴포넌트들을 수중 바닥에 놓을 때 파운데이션 파일은 리프팅 크레인으로 선박에서 들어 올려진다. 이러한 파운데이션 파일을 들어올리기 위해, 예를 들어 슬링 또는 호이스팅 요크와 같은 리프팅 도구(tool)가 파운데이션 파일에 부착된다. 리프팅을 위해 이러한 호이스팅 요크는 리프팅 크레인의 로드(load) 후크(hook)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들어올려진 파운데이션 파일은 수직 위치로 가져오고 뒤집는(upending) 도구 또는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수중 바닥 위 또는 아래로 낮출 수 있고, 그 후 기초 파일이 리프팅 크레인에서 분리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들어올릴 기다란 물체는 수동으로 호이스팅 요크에 연결된다. 따라서 물체는 대부분 수동으로 슬링들에 배열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파운데이션 파일과 같이 들어올려야 할 기다란 물체는 점점 더 무거워지고 있고,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작업을 실질적으로 수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더 이상 안전하지 않는다. 파도와 바람의 작용에 의해 유도된 리프팅 도구의 스윙(swing) 움직임은 데크(deck) 승무원(crew)에게 훨씬 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며 물체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슬링 호이스트(hoist)들, 보조 크레인들, 지게차(forklift)들 또는 호이스팅 요크와 같은 리프팅 도구를 내부에 배치할 수 있도록 관리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유사한 보조 디바이스들을 지지할 필요가 있다. 설치 선박의 작업 데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은 이미 운반할 물체로 인해 종종 이러한 보조 디바이스들을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프팅 수단에 결합된 호이스팅 요크를 사용하여 지면으로부터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언급된 결점 및 위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청구항 1에 따른 방법이 제공된다. 호이스팅 요크의 지지 프레임은 물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지지 프레임의 단부 부분에 제공된 슬링들이 물체를 들어올리는, 리프팅 수단에 커플링된 호이스팅 요크를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는 방법은,
a)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단부 부분에 제공된 제1 홀딩 수단으로 슬링의 제1 외부 단부를 홀딩(hold)하고, 슬링을 상기 제1 홀딩 수단으로부터 상기 물체 부근의 위치까지 매달리게 하는 단계,
b) 메신저 라인 윈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부 부분으로부터 메신저 라인을 인출(pay out)하고, 상기 물체 아래로 이송하여 상기 제1 홀딩 수단에 매달린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에 커플링하는 단계,
c) 상기 슬링이 상기 물체 아래 및 해당 단부 부분까지 운반되도록 메신저 라인을 걸리는(take in) 단계,
d)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를 상기 단부 부분에 제공된 제2 홀딩 수단에 커플링하여, 상기 물체를 위해 상기 슬링들 중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물체가 들어올려진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발명된 방법은 원칙적으로 사람의 입력이 덜 필요하며, 적어도 예상치 못한 움직임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작업 데크의 위치가 아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본질적으로 안전하며 악천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허용 가능한 기상 조건을 기다리는 데 낭비되는 시간이 줄어든다.
지지 프레임의 지지 빔은 기다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빔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이 원통형 형태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는 단계 a) 내지 d)가 지지 프레임의 양 단부 부분들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a) - d) 단계가 지지 프레임의 양 단부 부분들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실시예가 효율적이다.
다른 실시예는, 보조라인 윈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부 부분으로부터 보조라인은 인출되고, a)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홀딩 수단에 매달린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에 커플링되고, 단계 a)가 수행되고, 상기 보조라인은 b) 단계 전에 제2 외부 단부에서 커플링 해제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a) 단계에서 상기 슬링은 상기 물체의 일 측 상에서 내려지고, b) 단계에서 상기 메신저 라인은 상기 물체의 타 측 상에서 내려지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가 실시예는, 상기 메신저 라인은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물체 아래에 제공된 연결 라인의 외부 단부에 커플링되어 상기 물체 아래로 공급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상기 연결 라인의 다른 외부 단부는 상기 제1 홀딩 수단으로부터 매달린 상기 슬링의 상기 제2 외부 단부에 커플링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 방법은 원칙적으로 그에 적합한 지면에서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방법의 이점이 특히 명백해지는 실시예는 지면이 선택적으로 부유하는 선박의 작업 데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기다란 물체가 풍력 터빈 또는 그 컴포넌트, 또는 풍력 터빈을 위한 파운데이션 파일을 포함하는 방법의 실시예에 유리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기다란 물체가 풍력 터빈 또는 그 구성요소, 또는 풍력 터빈을 위한 파운데이션 파일을 포함하는 방법의 실시예에 유리하게 적용된다. 또한, 이 방법은 예를 들어 석유 및 가스 플랫폼 설치의 맥락에서 또는 그러한 플랫폼의 해체와 관련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기다란 물체를 위한 호이스팅 요크에 관한 것이다. 호이스팅 요크는 물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리프팅 수단과 커플링되며, 상기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슬링들이 단부 부분들에 제공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각 단부 부분은 슬링의 제1 외부 단부를 위한 제1 홀딩 수단 및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를 위한 제2 홀딩 수단을 포함하고, 메신저 라인을 인출하여 제1 홀딩 수단으로부터 매달린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에 커플링하는 메신저 라인 윈치를 더 포함하여, 메신저 라인이 걸릴 때, 상기 슬링은 상기 제2 외부 단부가 상기 제2 홀딩 수단에 커플링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까지 상기 물체 아래 및 관련 단부 부분으로 운반되어, 커플링될 때 상기 물체에 대한 상기 슬링들 중 하나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욱 개선된 호이스팅 요크는 지지 프레임의 각 단부는 단부로부터 보조 라인을 인출하도록 구성된 보조 라인 윈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신저 라인 윈치 및/또는 선택적인 보조 라인 윈치는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 및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제 실시예에서, 호이스팅 요크는 메신저 라인 윈치 및/또는 선택적인 보조 라인 윈치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특히 전기 및/또는 유압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호이스팅 요크에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는 드라이브가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조작의 용이성은 더욱 증가된다.
메신저 라인 윈치 및/또는 선택적인 보조 라인 윈치가 호이스팅 요크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호이스팅 요크의 실시예는 다목적 솔루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호이스팅 요크는 공지된 방식으로 리프팅 크레인의 호이스팅 케이블에 유리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발명된 호이스팅 요크와 함께 제공된 리프팅 크레인을 사용하면 어떤 긴 물체라도 원칙적으로 안전한 방식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호이스팅 요크에 물체를 부착하기 위한 위에서 설명한 장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모든 유형의 리프팅 크레인에는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팅 요크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호이스팅 요크의 장점은 호이스팅 요크가 래티스 붐(lattice boom) 크레인의 호이스팅 케이블에 연결될 때 특히 분명해진다. 이러한 리프팅 크레인은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붐을 사용하며, 여기서 리프팅 크레인 자체는 일반적으로 크레인 베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선박에 사용되는 호이스팅 요크 및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이점이 있으며, 이를 위해 선박에 전술한 리프팅 크레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가벼운 메신저 및 보조 라인이 처리되지 않거나 단지 처리될 필요가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이 이점은 기다란 물체가 점점 더 무거워지고 있고, 이는 리프팅 재료도 점점 더 무거워져 더 이상 수동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점점 더 중요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가벼운 메신저 및 보조 회선만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특허 출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들 실시예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고, 각 실시예는 분할 특허 출원의 주제를 개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음 도면들에 기초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크레인에 매달린 호이스팅 요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j는 본 발명의 호이스팅 요크가 적용되는 방법의 실시예의 다른 단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1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팅 요크의 단부 부분의 개략적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3b는 제2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팅 요크의 단부 부분의 개략적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 수단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홀딩 수단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팅 요크(1)가 도시되어 있다. 호이스팅 요크(1)는 도시된 파운데이션 파일(2)과 같은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된다. 들어올려질 파운데이션 파일(2)은 선박(더 이상 도시되지 않음)의 작업 데크(3)에 다른 파운데이션 파일(2)과 함께 위치된다. 파운데이션 파일(2)들은 예를 들어 미리 형성된 지지부(4)들을 포함하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랙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예: 도 2j에 도시됨).
호이스팅 요크(1)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격자 구조로 구현되는 빔형 지지 프레임(10)을 포함한다. 파운데이션 파일(2)을 들어올릴 때, 지지 프레임(10)은 파운데이션 파일(2)의 길이 방향(20)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호이스팅 요크는 지지 프레임(10)에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둘 다 상부 측면에 피봇 가능한 커플링 피스(12)가 제공되는 2개의 상자형 단부 부분(11)들을 포함한다. 리프팅 크레인(더 이상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커플링 피스(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팅 후크(5)로부터 케이블(51)들로 매달려 있다. 호이스팅 후크(5)는 리프팅 크레인의 붐으로부터 호이스팅 케이블(50)로 매달려 있다.
단부 부분(11)들에는 도 2i 및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운데이션 파일(2)을 들어올리기 위한 슬링(6)이 각각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파운데이션 파일(2)이 슬링(6)에 매달려 있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작업 데크(3)에 있는 직원에 의한 컴포넌트의 수동 조작을 덜 필요로 한다. 따라서 덜 무거운 터거(tugger) 라인들 및 호이스팅 라인들의 수동 조작으로 충분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팅 요크(1), 특히 호이스팅 요크(1)의 상자형 단부 부분(11)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0)의 단부 부분(11)은 슬링(6)의 제1 외부 단부(6-1)를 위한 제1 홀딩 수단(13-1)을 포함한다. 제1 홀딩 수단(13-1)은 상자형 단부 부분(11)의 측벽(11-1)에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측벽(11-1)으로부터 단부 부분(11)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주위에서 슬링(6)의 제1 외부 단부(6-1)가 훈련될 수 있는 원통형 핀을 포함한다. 외부 단부(6-1)는 2가닥 슬링(6)의 루프를 형성할 수 있지만 눈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구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연결이 하중을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 경우에는 제1 홀딩 수단(13-1)에서 단부 부분(11)(벽)으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다.
단부 부분(11)은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2)를 위한 제2 홀딩 수단(13-2)을 더 포함한다. 제2 홀딩 수단(13-2)은 마찬가지로 상자형 단부 부분(11)의 일부에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단부 부분(11)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핀(131)을 포함하고, 개방 위치 사이에서 측벽(11-1) 반대편에 있는 측벽(11-2) 방향으로 유압 실린더(130)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핀(131)은 측벽(11-2)으로부터 제거되고 핀(131)이 측벽(11-2)에 배열된 개구(11-3) 내로 연장되는 폐쇄 위치에 놓여 있다(도 4a 참조).
단부 부분(11)은 2개의 메신저 라인(15-1, 15-2)들을 인출하도록 구성된 2개의 메신저 라인 윈치(14-1, 14-2)들을 더 포함한다. 메신저 라인(15-1, 15-2)들은 제1 홀딩 수단(13-1)에 매달린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2)에 커플링된다. 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는 발생하여 메신저 라인(15-1, 15-2)을 걸릴 때, 상기 슬링(6)은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2)가 제2 홀딩 수단(13-2)에 커플링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까지 파운데이션 파일(2) 아래 및 관련 단부 부분(11)으로 운반되며, 따라서 파운데이션 파일(2)을 위한 슬링(6) 중 하나를 형성한다. 메신저 라인 윈치(14-1, 14-2)들도 상자형 단부 부분(11)(측벽(11-1)의)에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메신저 라인(15-1, 15-2)들은 측벽(11-2)에 대해 배열된 디스크(16-1, 16-2)들 위로 더 이어져, 메신저 라인(15-1, 15-2)과 이에 커플링된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1)를 제2 홀딩 수단(13-2) 부근으로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단부 부분(11)에는 또한 단부 부분(11)으로부터 보조 라인(18)을 인출하도록 구성된 보조 라인 윈치(17)가 제공된다. 방법의 단계에서 보조 라인(18)은 또한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홀딩 수단(13-1)에 매달린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2)에 커플링된다. 보조 라인 윈치(17)는 또한 상자형 단부 부분(11)(측벽(11-2)의)에 구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조 라인(18)은 구조적으로 상자형 단부 부분(11)에 연결된 디스크(disk)(19) 위로 뻗어 있으며, 커플링될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2) 부근으로 보조 라인(18)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메신저 라인 윈치(14-1, 14-2) 및 보조 라인 윈치(17)는 선택적으로 호이스팅 요크(1)의 단부 부분(11)의 일부에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신저 라인 윈치(14-1, 14-2)들과 보조 라인 윈치(17), 및 제2 홀딩 수단(13-2)의 유압 실린더(130)를 구동하기 위해, 호이스팅 요크(1)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특히 유압 및/또는 전기 드라이브가 더 제공된다. 이 드라이브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리프팅 크레인의 조작자 또는 다른 사람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2)를 제2 홀딩 수단(13-2)에 연결하는 방식은 도 4a 내지 도 4c 및 정면도에서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개방 위치(도 4a 및 5a 참조)에서,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2)는 메신저 라인(15-1, 15-2)들을 당겨 제2 홀딩 수단(13-2)의 핀(131)을 지나서 이동할 수 있다. 핀(131)은 그 다음 도 4b, 도 4c,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130)의 영향 하에 측벽(11-2)을 향해 미끄러지고 폐쇄 위치로 가져온다. 이 폐쇄 위치에서 루프형 제2 외부 단부(6-2)는 핀(131) 위에 놓이는 위치에 있다. 그 다음 메신저 라인(15-1, 15-2)을 인출함으로써 루프 모양의 제2 외부 단부(6-2)는 이 외부 단부(6-2)가 핀(131) 주위로 당겨질 때까지 핀(131)을 향해 이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외부 단부(6-2)는 제2 홀딩 수단(13-2)에 커플링되고 이에 따라 호이스팅 요크(1)에 커플링된 슬링(6)은 파운데이션 파일(2)과 같은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j를 참조하면, 전술한 호이스팅 요크(1)가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상이한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는 선박의 작업 데크(3)에서 기다란 파운데이션 파일(2)을 들어올리는 방법의 첫 번째 단계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호이스팅 요크(1)의 실시예가 작업 데크(3)에 위치한 리프팅 크레인(미도시)에 커플링된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호이스팅 요크(1)의 지지 프레임(10)의 단부 부분(11)에 제공된 제1 홀딩 수단(13-1)으로 슬링(6)의 제1 외부 단부(6-1)를 고정함으로써, 작업 데크(3)에 위치한 파운데이션 파일(2)은 슬링(6)에 들어올려진다. 슬링(6)은 제1 홀딩 수단(13-1)에 매달려 있어서 슬링(6)이 홀딩 수단(13-1)으로부터 파운데이션 파일(2) 또는 작업 데크(3) 부근의 위치까지 자유롭게 매달려 있다(도 1 및 2a). 일 단부가 자유롭게 매달려 있는 슬링(6)을 스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라인(18)은 일 실시예에서 보조 라인 윈치(17)를 사용하여 단부 부분(1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제1 홀딩 수단(13-1)으로부터 매달린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2)에 커플링될 수 있다(도 2a). 그런 다음 보조 라인 윈치(17)를 사용하여 보조 라인(18)이 잡아당겨지면 도 2b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2 외부 단부(6-2)가 호이스팅 요크(1)에 대해 당겨진다. 이렇게 하면 슬링(6)의 길이가 짧아져 작업 데크(3)에 대해 리프팅 크레인으로 들어올릴 파운데이션 파일(2) 위의 도 2b에 표시된 위치로 더 쉽게 이동할 수 있다.
후속 단계(도 2c)에서 보조 라인(18)이 다시 한 번 인출되면, 여기서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2)는 파운데이션 파일(2) 부근으로 가져와 원하는 경우 자체 중량에 의해 작업 데크(3)에 올려진다. 보조 라인(18)이 커플링된 슬링(6)은 여기에서 들어올려질 파운데이션 파일(2)의 일 측 상에 위치한다. 후속 단계(도 2-4)에서 하나 이상의 메신저 라인(15)(15-1, 15-2)들이 메신저 라인 윈치(들)(14)(14-1, 14-2)를 사용하여 외부 단부(11) 당 인출되고, 여기서 메신저 라인(15)(15-1, 15-2)의 자유 외부 단부는 파운데이션 파일(2) 부근에 위치된다. 여기서 메신저 라인 15(15-1, 15-2)는 커플링된 슬링(6) 및 보조 라인(18)이 아닌 파운데이션 파일(2)의 타 측에 매달려 있다. 그런 다음 슬링의 제2 외부 단부(6-2)는 보조 라인(18)으로부터 커플링 해제되고 보조 라인 윈치(17)가 사용하여 보조 라인을 끌어들인다(도 2e).
후속 단계에서 메신저 라인(15)(15-1, 15-2)들이 파운데이션 파일(2) 아래에 공급되어 들어올려진다. 이것은 예를 들어 들어올려지는 파운데이션 파일(2) 아래에 제공된 연결 라인(19)의 외부 단부(19-1)에 메신저 라인(15)(15-1, 15-2)의 자유 외부 단부를 커플링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연결 라인(19)은 예를 들어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려질 파운데이션 파일(2) 아래에 위치한 다른 파운데이션 파일(2a) 위에 배열될 수 있다.
도 2f에 도시된 후속 단계에서, 연결 라인(19)은 파운데이션 파일(2a) 위를 지나 파운데이션 파일(2) 아래로 이어진다. 연결 라인(19)은 이에 따라 파운데이션 파일(2) 아래의 메신저 라인(15)(15-1, 15-2)의 자유 외부 단부를 이동하고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2)도 위치되었던 파운데이션 파일(2)의 측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메신저 라인(15)(15-1, 15-2)들은 제1 홀딩 수단(13-1)(도 2g)에 여전히 매달려 있는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2)에 연결된다.
지금까지 메신저 라인 윈치(14)(14-1, 14-2)를 사용하여 메신저 라인(15)(15-1, 15-2)를 걸림으로써, 슬링(6)의 제2 외부 단부(6-2)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홀딩 수단(13-2)에 커플링될 수 있을 때까지, 슬링(6)은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운데이션 파일(2) 아래 및 관련 단부 부분(11)으로 운반된다.
상술한 방법 단계들은 바람직하게는 호이스팅 요크(1)의 지지 프레임(10)의 양 단부 부분(11)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양 단부 부분(11)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슬링(6)은 이제 도 2i 및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팅 요크(1)의 양 단부 부분(11)으로 파운데이션 파일(2)을 지지하고 이들을 변위시킬 수 있다.
호이스팅 요크의 전술한 실시예에는 예를 들어 유압 및 전력 소스, 이를 위한 공급 도관 등과 같은 주변 장비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이 주변 장비는 더 이상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Claims (16)

  1. 리프팅 수단에 결합된 호이스팅 요크를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팅 요크의 빔형 지지 프레임은 상기 물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단부 부분들에 구비된 슬링들이 상기 물체를 들어올리고,
    a)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단부 부분에 제공된 제1 홀딩 수단으로 슬링의 제1 외부 단부를 홀딩하고, 상기 슬링을 상기 제1 홀딩 수단으로부터 상기 물체 부근의 위치까지 매달리게 하는 단계,
    b) 메신저 라인 윈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부 부분으로부터 메신저 라인을 인출하고, 상기 물체 아래로 이송하여 상기 제1 홀딩 수단에 매달린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에 커플링하는 단계,
    c) 상기 슬링이 상기 물체 아래 및 해당 단부 부분까지 운반되도록 메신저 라인을 걸리는 단계,
    d)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를 상기 단부 부분에 제공된 제2 홀딩 수단에 커플링하여, 상기 물체를 위해 상기 슬링들 중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물체는 슬링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내지 d) 단계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쪽 단부 부분들에서 수행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a) 내지 d) 단계들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쪽 단부 부분들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라인 윈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부 부분으로부터 보조라인은 인출되고, a)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홀딩 수단에 매달린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에 커플링되고, 단계 a)가 수행되고, 상기 보조라인은 b) 단계 전에 제2 외부 단부에서 커플링 해제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단계에서 상기 슬링은 상기 물체의 일 측 상에서 내려지고, b) 단계에서 상기 메신저 라인은 상기 물체의 타 측 상에서 내려지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라인은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물체 아래에 제공된 연결 라인의 외부 단부에 커플링되어 상기 물체 아래로 공급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의 다른 외부 단부는 상기 제1 홀딩 수단으로부터 매달린 상기 슬링의 상기 제2 외부 단부에 커플링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면은 선박의 작업 데크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다란 물체는 풍력 터빈 또는 상기 풍력 터빈의 컴포넌트들, 또는 풍력 터빈을 위한 파운데이션 파일을 포함하는,
    방법.
  10. 기다란 물체를 위한 호이스팅 요크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리프팅 수단과 커플링되며, 상기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슬링들이 단부 부분들에 제공된 빔형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각 단부 부분은 슬링의 제1 외부 단부를 위한 제1 홀딩 수단 및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를 위한 제2 홀딩 수단을 포함하고, 메신저 라인을 인출하여 제1 홀딩 수단으로부터 매달린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에 커플링하는 메신저 라인 윈치를 더 포함하여, 메신저 라인이 걸릴 때, 상기 슬링은 상기 제2 외부 단부가 상기 제2 홀딩 수단에 커플링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까지 상기 물체 아래 및 관련 단부 부분으로 운반되어, 커플링될 때 상기 물체에 대한 상기 슬링들 중 하나를 형성하는,
    호이스팅 요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각 단부 부분은 상기 단부 부분으로부터 보조 라인을 인출하도록 구성된 보조 라인 윈치를 더 포함하는,
    호이스팅 요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팅 요크는 상기 메신저 라인 윈치 및/또는 선택적인 보조 라인 윈치를 구동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특히 전기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호이스팅 요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가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는,
    호이스팅 요크.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라인 윈치 및/또는 상기 선택적인 보조 라인 윈치는 상기 호이스팅 요크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는,
    호이스팅 요크.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호이스팅 요크가 제공되는 리프팅 크레인.
  16. 제15항에 따른 리프팅 크레인이 제공되는 선박.
KR1020227030096A 2020-02-06 2021-02-08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방법 및 호이스팅 요크 KR202201376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205071A BE1028033B1 (nl) 2020-02-06 2020-02-06 Werkwijze en hijsjuk voor het opnemen van een langwerpig voorwerp
BE2020/5071 2020-02-06
PCT/EP2021/052969 WO2021156508A1 (en) 2020-02-06 2021-02-08 Method and hoisting yoke for taking up an elongate obj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687A true KR20220137687A (ko) 2022-10-12

Family

ID=6959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096A KR20220137687A (ko) 2020-02-06 2021-02-08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방법 및 호이스팅 요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070015A1 (ko)
EP (1) EP4100353A1 (ko)
KR (1) KR20220137687A (ko)
CN (1) CN115066387A (ko)
AU (1) AU2021217199A1 (ko)
BE (1) BE1028033B1 (ko)
CA (1) CA3164838A1 (ko)
WO (1) WO20211565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3707A1 (en) * 2022-10-18 2024-04-25 Dieseko Group B.V. Pile lif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2305Y2 (ko) 1976-07-31 1981-10-02
US5762389A (en) 1996-05-30 1998-06-09 Marler; Joseph E. Apparatus for latching and unlatching a load suspended from a lifting line
DE112010004168T5 (de) * 2009-10-30 2012-12-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Rotorblatt-Demontagesystem mit Bandbewegung
WO2012062352A1 (en) 2010-11-08 2012-05-18 Alstom Wind, S.L.U. Lifting beam for use in hoisting a wind turbine blade
KR101258515B1 (ko) 2011-04-29 2013-04-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터빈 로터 운반용 슬링 걸이장치
CN103277269A (zh) 2013-05-17 2013-09-04 江苏金风科技有限公司 用于风力发电机组叶片旋转的方法和设备
CN105649893B (zh) * 2016-03-08 2018-07-17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风力涡轮机叶片的拆卸系统和方法
CN105905813B (zh) 2016-06-24 2017-09-15 成都世唯科技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用叶吊具
US20180195497A1 (en) * 2017-05-30 2018-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Handling device for a wind turbine rotor blade having a moldable support pad
DE102019109204A1 (de) * 2018-04-09 2019-10-10 Ematec Manfred Eberhard Maschinen- Und Greiftechnik E.K. Traverse
BE1026086B1 (nl) * 2018-07-27 2019-10-04 DEME Offshore Holding N.V. Hijsblok voor een kra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E1028033A1 (nl) 2021-08-30
US20230070015A1 (en) 2023-03-09
WO2021156508A1 (en) 2021-08-12
AU2021217199A1 (en) 2022-09-15
BE1028033B1 (nl) 2021-09-07
CA3164838A1 (en) 2021-08-12
EP4100353A1 (en) 2022-12-14
CN115066387A (zh)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271B1 (ko) 크레인을 이용하여 물품을 들어 나르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509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load
BE1026086B1 (nl) Hijsblok voor een kraan
US7624882B2 (en) Tie-back system for cranes, in particular heavy load offshore cranes
AU719196B2 (en) Deep water lowering apparatus
CN115783143B (zh) 船用机械臂止荡设备
US4892202A (en) Deepwater extended hook travel attachment
JP7434335B2 (ja) 風力タービンを海上の下部構造体の上に設置するための多機能クランプ、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20137687A (ko)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방법 및 호이스팅 요크
WO2000077306A1 (en) Method for removing a jacket of a drilling or production rig and vessel provided with a device therefor
CN113264458A (zh) 塔式起重机系统及其附着杆的拆除方法
CN211971577U (zh) 塔式起重机系统
GB2226539A (en) Improvements in load handling
EP3889029B1 (en) Device for lifting and placing on a ground surface of an elongate object, and corresponding method
EP3105161B1 (en) A device for handling and storage of a traveling unit of an offshore crane
JP6236605B2 (ja) 補巻ロープ掛け替え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