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999A -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 Google Patents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999A
KR20170094999A KR1020160016428A KR20160016428A KR20170094999A KR 20170094999 A KR20170094999 A KR 20170094999A KR 1020160016428 A KR1020160016428 A KR 1020160016428A KR 20160016428 A KR20160016428 A KR 20160016428A KR 20170094999 A KR20170094999 A KR 20170094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cosmetic material
contact
cosmetic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030B1 (ko
Inventor
최정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1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0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 화장료를 흡수하고 전달하는 본체와; 화장료의 접촉 정도에 따라 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Cosmetic applicator having indicator}
본 발명은 화장료 잔존여부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에 관한 것이다.
화장도구는 화장료를 피부, 특히 얼굴 피부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화장도구는 화장료를 잘 흡수하는 특성과 함께 화장료를 잘 전달하는 특성도 중요하다. 화장 후에 화장료가 화장도구에 남아있게 되면 위생상 및 외관상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는 내부의 화장료가 충분히 배출되어 피부에 전달되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화장도구를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등록 제3,487,915호(2003년 10월 31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료 잔존여부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도구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하고 전달하는 본체와; 화장료의 접촉 정도에 따라 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화장료의 접촉 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는 화장료 및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촉면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인디케이터부의 적어도 일부는 화장료 및 피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화장료 및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접촉면의 높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 전체와 마주보며, 상기 인디케이터부가 화장료 및 피부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 색상변화 특성이 상이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인디케이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의 접촉이력에 따라 색상이 비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추가 인디케이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도구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하고 전달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화장료의 접촉 정도에 따라 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인디케이터 성분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인디케이터 성분은 화장료의 접촉 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화장료 및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은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 색상변화 특성이 상이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인디케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의 접촉이력에 따라 색상이 비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추가 인디케이터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 잔존여부를 알려주는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접촉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장도구로서 퍼프를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를 흡수 및 전달하는 모든 화장도구에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인디케이터부’와 ‘인디케이터 영역’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서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화장료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일 수 있으며, 다양한 구간의 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또는 고점도 화장료 조성물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접촉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화장도구(1)는 퍼프라고도 불리며 본체(10)와 손잡이띠(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납작하고 둥근형상이며 탄성을 가지고 있다.
손잡이띠(20)는 본체(10)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천 재질 및/또는 탄성이 있는 수지 재질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제1층(11) 및 제2층(12)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층(11) 및 제2층(12)은 열 융착이나 초음파 융착 또는 접착제 등을 통해 서로 부착되어 있으며, 둘레를 따라서만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체(10)는 3층 이상의 다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단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층(11)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특히 다공질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다공질 재질로는 발포폼을 사용할 수 있다. 발포폼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또는 네오프렌 재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층(12)은 제1층(11)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층(11)과 제2층(12)은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층(11) 중 외부로 노출된 면은 화장료가 흡수되며, 사용자의 피부, 특히 얼굴 피부와 접촉하며 사용자의 피부에 화장료를 전달하는 접촉면(A)이다.
제1층(11)에는 인디케이터 영역(111)이 형성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영역(111)은 도 3과 같이 접촉면(A)에 산점되어 노출되어 있으며 제1층(11)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인디케이터 영역(111)에는 화장료와의 접촉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특성이 가역적 변화하는 인디케이터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인디케이터 영역(111)의 색상이 변화하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다른 특성이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역적 변화”라고 하는 것은 접촉 정도의 변화에 따라 특성, 예를 들어 색상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가역적 변화”에서는 화장료와의 현재 접촉정도를 색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비가역적 변화”라고 하는 것은 접촉 이력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비가역적 변화”에서는 색상을 통해 현재 접촉정도는 알 수 없으나, 인디케이터 영역(111)이 그 동안 얼마나 많은 화장료와 접촉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성분은, 화장료의 베이스 성분과의 접촉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물을 베이스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에 대해 물과의 접촉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로는 실리카 겔, 염화코발트, 시온잉크 또는 실크단백질 나노 바이오센서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리콘 오일을 베이스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에 대해 실리콘 오일과의 접촉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거나, 베이스 성분 외의 화장료의 특정 성분과의 접촉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의 복수의 성분에 대해 색상이 변화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성분에 따라 변하는 색상이 구별될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1)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장도구(1)가 화장료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인디케이터 성분은 도 4의 (a)와 같이 제1색상을 나타내며, 제1색상은 접촉면(A)에 노출된 인디케이터 영역(111)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화장료를 화장도구(1)에 흡수하게 되면 인디케이터 성분은 화장료와의 접촉에 의해 도 4의 (b)와 같이 제2색상으로 변화되며, 제2색상은 역시 접촉면(A)에 노출된 인디케이터 영역(111)에 표시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화장도구(1)에 화장료가 흡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화장도구(1)의 접촉면(A)을 피부, 특히 얼굴피부와 접촉시키면서 흡수했던 화장료를 피부로 전달한다. 이에 의해 화장료와 인디케이터 성분과의 접촉이 줄어들어 인디케이터 영역(111)의 색상은 점차 제2색상에서 제1색상으로 변화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과정을 수회에 걸쳐 반복하면 화장을 하게 된다. 이 때 마지막 번 화장 후, 즉 화장도구(1)를 이용한 화장을 마치고 화장도구(1)를 보관할 때, 화장도구(1)에 화장료가 잔존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화장료가 잔존하면 화장도구(1) 내에서 변질되거나 세균번식 환경을 만들어 주어 화장도구(1)가 비위생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화장도구(1)에서 화장료가 충분히 배출되어 피부로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판단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도구(1), 특히 제1층(11)에 화장료가 존재하지 않게 되면 인디케이터 영역(111)이 제1색상을 나타내게 된다. 제1색상을 가진 인디케이터 영역(111)은 접촉면(A)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쉽게 제1색상이 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료가 잔존하지 않는 상태임을 확인하고 화장도구(1)를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인디케이터 영역(111)의 색상이 제1색상이 될 때까지 화장 또는 화장 외의 다른 방법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잔존화장료를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인디케이터 영역(111)은 주변의 제1층(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디케이터 성분에서 차이가 있다. 인디케이터 성분은 제1층(11)의 흡수 및 전달 특성에 미미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인디케이터 영역(111)은 주변의 제1층(11)과 동일/유사한 흡수 및 전달 특성을 가지며 인디케이터 영역(111)의 색상변화는 제1층(11) 전체에서의 화장료 존재 여부를 나타낸다.
제1실시예에서의 색상 변화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색상과 제2색상 중 어느 하나는 제1층(11)의 색상과 동일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인디케이터 영역(111)은 접촉면(A) 상에 도 5의 (a)와 같이 띠형상으로 노출되거나 도 5의 (b)와 같이 접촉면(A) 상에 격자형상으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 영역(111)은 회사로고, 특정한 문자, 캐릭터 등과 같은 특정한 이미지 등을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인디케이터 영역(112)이 존재한다. 추가 인디케이터 영역(112)은 화장료의 접촉정도에 의해 색상이 비가역적으로 변화한다. 즉 특정 시점에서의 화장료 접촉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지 않고, 화장료 접촉이력(즉, 지금까지 얼마나 화장료와 접촉을 많이 했는지의 정도)에 따라 할수록 색상이 변화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가 인디케이터 영역(112)의 색상변화를 통해 화장도구(1)의 교체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 인디케이터 영역(112) 역시 회사로고, 특정한 문자, 캐릭터 등과 같은 특정한 이미지 등을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추가 인디케이터 영역(112)은 사용한 정도에 따라서 색상이 변화하거나, 접촉면(A)과 구별되는 색상이 나타나거나 또는 접촉면(A)과 구별되는 색상이 없어지는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는 가역적 인디케이터 영역만이 마련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비가역적 인디케이터 영역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다.
제3실시예에서는 5개의 제1서브인디케이터 영역(111a)와 4개의 제2서브 인디케이터 영역(111b)이 있다. 제1서브인디케이터 영역(111a)은 도 7의 (a) 및 (b)와 같이 수성 기반의 화장료와 접촉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며, 제2서브인디케이터 영역(111b)은 도 7의 (c)와 (d)와 같이 실리콘 오일 기반의 화장료와의 접촉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한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화장료에 대해서도 화장료의 피부로의 전달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다. 제4실시예에서는 제1층(11) 전체가 인디케이터 영역이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촉면(A) 전체에 인디케이터 영역이 노출되어 있으면서 제1층(11)의 일부만 인디케이터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다. 제5실시예에서는 인디케이터부(13)가 제1층(11)과 별도로 제작된 후 서로 결합된다. 사용자의 촉감을 위해 제1층(11)의 두께(d1) 내에 인디케이터부(13)의 두께(d2)가 위치한다. 즉, 인디케이터부(13)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접촉면(A)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것이다.
또한 제5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부(13)는 제1층(11)과 흡수특성 및 전달특성이 유사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인디케이터부(13)의 색상변화는 제1층(11)의 화장료 잔존여부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화장도구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하고 전달하는 본체와;
    화장료의 접촉 정도에 따라 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화장료의 접촉 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장료 및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촉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인디케이터부의 적어도 일부는 화장료 및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장료 및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접촉면의 높이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 전체와 마주보며,
    상기 인디케이터부가 화장료 및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 색상변화 특성이 상이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인디케이터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0.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의 접촉이력에 따라 색상이 비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추가 인디케이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1. 화장도구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하고 전달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화장료의 접촉 정도에 따라 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인디케이터 성분을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화장도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성분은 화장료의 접촉 정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화장료 및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은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 색상변화 특성이 상이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인디케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의 접촉이력에 따라 색상이 비가역적으로 변화하는 추가 인디케이터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KR1020160016428A 2016-02-12 2016-02-12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KR10234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428A KR102340030B1 (ko) 2016-02-12 2016-02-12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428A KR102340030B1 (ko) 2016-02-12 2016-02-12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999A true KR20170094999A (ko) 2017-08-22
KR102340030B1 KR102340030B1 (ko) 2021-12-16

Family

ID=5975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428A KR102340030B1 (ko) 2016-02-12 2016-02-12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0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462Y1 (ko) * 1999-05-07 2000-02-15 노병후 휴대용 분첩
JP3487915B2 (ja) 1994-07-19 2004-01-19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連通気泡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200356199Y1 (ko) * 2004-04-14 2004-07-14 이헌수 매트리스의 수분 인디케이터
KR101125370B1 (ko) * 2009-10-19 2012-04-09 한태희 대소변 배출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기저귀
KR101572453B1 (ko) * 2015-06-09 2015-11-27 권도정 화장품 오염 확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7915B2 (ja) 1994-07-19 2004-01-19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連通気泡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200165462Y1 (ko) * 1999-05-07 2000-02-15 노병후 휴대용 분첩
KR200356199Y1 (ko) * 2004-04-14 2004-07-14 이헌수 매트리스의 수분 인디케이터
KR101125370B1 (ko) * 2009-10-19 2012-04-09 한태희 대소변 배출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기저귀
KR101572453B1 (ko) * 2015-06-09 2015-11-27 권도정 화장품 오염 확인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030B1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246B1 (ko) 에어셀이 구비된 화장용 퍼프
US11266222B2 (en) Cosmetics containing other cosmetic materials
KR20170064995A (ko) 화장용 퍼프
KR101830119B1 (ko) 화장용 퍼프
AU2013393341B2 (en) Oral care implement package and kit therefor
KR200475962Y1 (ko) 겔상 파운데이션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용기
KR101529424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170094999A (ko)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KR102552056B1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US20140209113A1 (en) Dry shampoo applicator
TWI719135B (zh) 化妝品施用器
CN108698366B (zh) 传递性上升的化妆工具
CN108882789B (zh) 保持变形形状的化妆工具及其制造方法
KR20200059102A (ko)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CN108602301B (zh) 吸收性与传递性得到调节的化妆工具
KR200477176Y1 (ko) 겔상 파운데이션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용기
CN208318592U (zh) 粉扑及粉扑盒
KR200475208Y1 (ko) 화장용 퍼프를 갖는 립클로우즈 화장용기
KR20160136918A (ko) 화장용 브러시
KR102430792B1 (ko) 화장도구
KR20180121864A (ko) 화장용 퍼프
KR20140096501A (ko) 마스크팩용 용기
KR102371261B1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20170111611A (ko) 손가락 삽입형 화장도구
KR20190051280A (ko) 화장용 퍼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