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900A -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한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한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4900A KR20170094900A KR1020160016200A KR20160016200A KR20170094900A KR 20170094900 A KR20170094900 A KR 20170094900A KR 1020160016200 A KR1020160016200 A KR 1020160016200A KR 20160016200 A KR20160016200 A KR 20160016200A KR 20170094900 A KR20170094900 A KR 201700949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f extract
- cosmetic composition
- skin
- activity
- effe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딸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산딸기 잎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 유발균주 생육억제 활성, NO 생성억제 활성을 포함한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 억제 활성을 통해 항아토피 효능을 나타내며, 보습력과 피부보호 뿐만 아니라 아토피 유발균주에 대한 항균효과와 면역세포의 활성억제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어 아토피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고 소비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딸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 억제 활성을 통해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증후군은 항원에 대한 직접 접촉 없이 신체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여 피부 자극을 형성하고 피부 스트레스 인자를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피부의 항상성을 무너뜨려 가려움과 염증을 유발하는 증상으로, 통상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이라고 부르는 피부염증의 증상은 크게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요인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을 뿐 그 원인이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아 그 치료제 및 치료에 대한 확실한 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아토피 증상 완화의 방법으로서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한 접촉을 차단하고 습도 및 청정한 공기의 공급 등의 방법을 사용하거나, 피부 자극에 의해 염증이나 여타의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난 경우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나 화장품을 도포해 증상을 완화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는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면역억제제 등이 있으나, 이들 치료제는 인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어 지속적인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부분 증상완화 목적의 치료제로 안정성과 유효성이 확보된 지속적 사용이 가능한 치료제 또는 제품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안정성과 유효성이 확보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에 맞물려, 아토피 증상으로 인해 가려움이나 피부 건조가 발생한 경우 피부 보습을 유지할 수 있고 그 증상을 완화하는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 제품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70여종의 화학 합성물과 향료 등을 물리 화학적 공정을 통해 생산하는 것으로 공정중 필수적으로 유화제나 방부제 등이 첨가되는데, 이러한 물질들은 이미 그 유해성이 증명되어 그 적용 함량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이 고시되어 있다. 다만, 아토피 환자의 경우 이런 일반 기준의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증상의 발현 및 확대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아토피 대응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피부 자극이 없는 천연성분 유래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이에 맞추어 아토피 치료 및 예방 능이 우수한 성분이 함유된 천연산물을 활용하는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2214호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는 연꽃, 쌀 및 개똥쑥의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여 외부 자극으로부터 오는 피부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진정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5010호 "천연 항포진 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는 선학초, 산부추, 백복령, 산청목, 목단피, 황금 또는 개똥쑥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포진 바이러스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1052호 "천연 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아토피 피부염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는 박주가리 잎, 녹차씨앗, 황기, 민들레, 아가리쿠스, 돌외, 석이 및 동백과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아토피 피부염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2356호 "항아토피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는 노랑다발 동충하초 버섯·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토피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은 산딸기 잎(Rubus crataegifolius leaf) 추출물이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것을 입증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으로, 국내산 나무딸기류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과일이나 씨앗의 일반성분과 화학적 특성만을 분석하고 연구되어 왔으며, 항산화능과 생리활성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보급되는 소수의 품종에 한정되어 수행되어 왔다.
산딸기 (Rubus idaeus)는 장미과에 속하는 관목의 열매로 세계적으로 400여종의 속이 존재하며, 주로 생과로 섭취되지만, 잼이나 음료 등의 가공식품으로 개발되는 등 서구에서는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berry 과실의 일종이다.
Berry 과실은 다양한 종류의 피토케미컬(phytochemical) 물질을 함유하여 항산화능, 항염증, 항균 항암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산딸기 역시 높은 항산화능을 갖는 과실로 잘 알려져 있는데, 산딸기 과실의 항산화능은 주로 안토시아닌과 엘라그산(ellagic acid)에 의하는 것으로, cyanidin-3-glucoside, cyaniding-3-sophoroside, cyanding-3-(2-glucosylrutinoside) 등이 주요 안토시아닌 성분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엘라그산(Ellagic acid)은 페놀성 화합물로서 유리형, ellagic acid glycoside 및 주로 포도당과 ester 결합한 ellagicatannin의 3가지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이와 같은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이어진 연구들에서 나무딸기류 과실의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와 폐암, 간암, 결장암, 전립선암, 피부암 등의 세포의 증식억제 효과, 순환기 장애 억제 효과, 염증 억제 효과, 통증완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래즈베리(raspberry) 추출액이 인간 간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고, 블랙베리(blackberry), 블랙 래즈베리(black raspberry), 레드 래즈베리(red raspberry)를 비롯한 각종 berry의 추출액이 인간 구강암, 유방암, 결장암, 전립선암 등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산딸기 과실의 이용이 어려운 점은 육질이 약하고 낮은 저장성으로 수확, 운송, 보관 중 부패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확 후 저장 온도에 따른 영향, 이산화탄소 처리 및 공기 조성 변화에 의한 효과, 자외선과 열처리에 따른 효과 등의 연구가 필요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인들은 산딸기의 잎에서 성분 분석과 유효성 평가를 통하여 산딸기 잎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에 대해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 억제 활성을 통해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지 여부를 검토한 결과 유의적인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딸기 잎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 유발균주 생육억제 활성, NO 생성억제 활성을 포함한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 억제 활성을 통해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보습력과 피부보호 뿐만 아니라, 아토피 유발균주에 대한 항균효과와 면역세포의 활성억제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어 아토피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고 소비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산딸기 잎 추출물은 초고압 에탄올 추출을 통해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초고압 에탄올 추출공정 조건은 산딸기 잎을 70% 에탄올에 침지한 후 상온에서 초고압추출장치를 이용하여 100Mpa ~ 1,000Mpa, 바람직하게는 500Mpa의 압력을 5분 ~ 13분 동안, 바람직하게는 9분 동안 가해 추출하는 것이다.
초고압추출은 세포벽 및 조직을 깨트려 성분의 용출을 가속화하고 단시간에 높은 용출량을 얻음으로써 효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고압의 압력을 가해 추출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가열에 의한 변성 및 용매에 따른 독성을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가압력 및 가압시간이 상기 최소범위보다 작은 경우 유효성분 용출효율이 작고 최대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변성을 가져와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초고압추출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산딸기 잎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효능을 갖는 폴리페놀 이외에도, 플라보노이드와 트리테르페노이드 등의 성분이 용출되게 되고, 이외에도 산딸기 잎의 향, 색소, 정유 성분 등의 용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산딸기 잎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총 중량 대비 1~10 중량%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딸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시트마스크, 에멀젼, 스킨, 수용성 리퀴드, 로션, 크림, 젤, 팩, 에센스, 수중유(O/W), 유중수(W/O)형 또는 실리콘중수(W/Si)형의 파우더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효과, 항산화 효과, 항아토피 효과 등을 가지는 산딸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산딸기 잎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 유발균주 생육억제 활성, NO 생성억제 활성을 포함한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 억제 활성을 통해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보습력과 피부보호 뿐만 아니라, 아토피 유발균주에 대한 항균효과와 면역세포의 활성억제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어 아토피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고 소비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DHHP 라디컬 소거 활성 효능을 추출공정별로 대조군과 농도에 따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ABTS 라디컬 소거능을 추출공정별로 대조군과 농도에 따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3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FRAP에 의한 환원력을 추출공정별로 농도에 따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능을 추출공정별로 대조군과 농도에 따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5의 (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증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생존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추출공정별로 대조군과 농도에 따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6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 중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이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농도별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 중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의 염증 억제 활성능을 농도별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알레르기 반응 억제활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산딸기 잎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의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β-hexosaminidase 분비에 미치는 효과 및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histamine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 중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능을 동물모델에 적용시켜 검증하는 사진자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ABTS 라디컬 소거능을 추출공정별로 대조군과 농도에 따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3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FRAP에 의한 환원력을 추출공정별로 농도에 따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능을 추출공정별로 대조군과 농도에 따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5의 (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아토피 피부염증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생존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추출공정별로 대조군과 농도에 따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6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 중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이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농도별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 중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의 염증 억제 활성능을 농도별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알레르기 반응 억제활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산딸기 잎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의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β-hexosaminidase 분비에 미치는 효과 및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histamine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 중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능을 동물모델에 적용시켜 검증하는 사진자료.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효능 측정을 위한 실험과정에서 통상적인 측정실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제조 및 분획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각 추출공정에 따른 추출물의 수율 및 이로부터 분획되는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1-1. 추출공정별 산딸기 잎 추출물의 수율
산딸기 잎을 100℃ 온도에서 물에 침지하여 추출한 일반적인 열수추출(WE), 70% 에탄올에 침지하여 상온에서 추출한 에탄올추출(EE), 70% 에탄올 용매에 침지하여 60℃ 온도에서 6시간동안 대략 40~60kHz의 주파수의 초음파로 추출한 초음파 에탄올추출(USEE), 70% 에탄올 용매에 침지하여 상온에서 9분동안 대략 500Mpa의 압력을 가해 추출한 초고압 에탄올 추출(HPEE) 공정을 통해 추출 수율을 측정한 결과,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열수 추출공정에 비하여 에탄올 추출공정에서 26.23%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초고압 에탄올추출 공정에서 29.65%로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
추출공정 | 수율(%) |
WE | 20.50 |
EE | 26.23 |
USEE | 27.10 |
HPEE | 29.65 |
1-2. 총 폴리페놀 함량
상기 추출 공정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tannic acid를 표준물질로 하여 측정하였다(표2). 각 추출 공정별 산딸기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일반적인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일반추출 공정에 의한 추출보다 초고압 에탄올추출을 했을 때 총 폴리페놀은 337.81 mg/g dry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공정 | 총 폴리페놀 함량(mg/g dry) |
WE | 190.99±0.18 |
EE | 200.72±0.13 |
USEE | 232.71±0.22 |
HPEE | 337.81±0.22 |
<All values are mean 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이외에도 본 발명의 산딸기 잎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효과를 주는 플라보노이드와 항산화 활성 및 면역증진물질인 트리테르페노이드 등의 성분이 초고압 에탄올 추출에서 높은 함량으로 용출되었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의 각 추출공정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능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DPPH 라디컬 소거활성, ABTS 라디컬 소거능, FRAP에 의한 환원력, SOD 유사 활성능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대조군으로 Vitamin C (0-1000 ㎍/mL)를 사용하였다.
1-1. DPPH 라디컬 소거활성 효능 측정
DPPH 라디컬 소거활성(전자 공여능)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으며, 각 시료 0.5㎖에 60㎛ DPPH 3㎖를 넣고 보텍스(vortex)한 후 15분동안 방치한 다음 517nm 에서 흡광도를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실험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딸기 잎 추출물의 라디칼 생성 억제 효능이 WE와 HPEE의 경우에는 50㎍/mL에서 Vitamin C의 값의 1/2보다 조금 큰 값으로 측정되었고, 100㎍/mL에서 Vitamin C 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내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EE와 USEE의 경우에는 50㎍/mL에서 Vitamin C의 값의 1/3 정도의 값으로 측정되었고, 100㎍/mL에서 Vitamin C의 값의 2/3 정도의 값으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농도 범위 50~100㎍/mL 및 100㎍/mL 이상 500㎍/mL 이하의 범위에서는 HPEE 추출공정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라디칼 생성 억제 효능이 타 추출공정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2. ABTS 라디컬 소거능 측정
또한, ABTS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측정은 7mM ABTS와 140mM K2S2O8을 5㎖:88㎕로 섞어 어두운 곳에 14~16시간 방치시킨 후, 이를 absolute ethanol과 1:88의 비율로 섞어 734nm에서 대조구의 흡광도 값이 0.7이 되도록 조절한 ABTS solution을 사용하였다. 또한, 산딸기 잎 추출물 시료용액 50㎕와 ABTS solution 1㎖를 30초 동안 섞은 후 2.5분간 인큐베이션하여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그 실험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딸기 잎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이 HPEE의 경우에는 50㎍/mL에서 Vitamin C의 값의 2/3 정도 값으로 측정되었고, 100㎍/mL에서는 Vitamin C 의 값의 4/5 정도의 값으로 측정되었으며, WE와 EE와 USEE의 경우에는 50㎍/mL에서 Vitamin C의 값의 1/3 정도의 값으로 측정되었고, 100㎍/mL에서 Vitamin C의 값의 1/2 정도의 값으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농도 범위 50~100㎍/mL 및 100㎍/mL 이상 500㎍/mL 이하의 범위에서는 HPEE 추출공정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이 타 추출공정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3. FRAP에 의한 환원력 측정
또한, FRAP에 의한 환원력에 대한 실험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딸기 잎 추출물의 FRAP에 의한 환원력이 농도 5~100㎍/mL 범위에서 HPEE가 38.5~609로 가장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저농도 범위에서 HPEE 추출공정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FRAP에 의한 환원력이 다른 추출공정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4. SOD 유사 활성능 측정
또한, SOD 유사 활성능에 대한 측정을 하기 위해, 각 시료용액 0.2㎖에 Tris-HCl 완충용액(50mM tris+10mM EDTA, pH 8.5) 2.6㎖와 7.2mM pyrogallol 0.2㎖를 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M HCl 0.1㎖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반응액 중 산화된 pyrogallol의 양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실험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딸기 잎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능이 농도 5~50㎍/mL에서는 대조군인 Vitamin C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HPEE의 경우에는 50㎍에서 Vitamin C의 값의 2배 정도 큰 값으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농도 범위 5~50㎍/mL에서는 HPEE 추출공정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능이 대조군 및 다른 추출공정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추출공정을 이용한 산딸기 잎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간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더욱이 산딸기 잎 추출공정에 따른 차이가 산딸기 잎의 물리적 조직변화와 산딸기 잎 성분의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페놀성 물질을 증가시키고 플라보노이드와 트리테르페노이드 등의 성분을 용출시킴으로써 항산화 활성 증가와 항염증 효능을 가져오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In vitro 아토피 피부염 억제 효능 측정
산딸기 잎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의 생존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TFN-γ, TNF-α, IL-4 cytokine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2-1. 세포의 생존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산딸기 잎 추출물이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의 생존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딸기 잎 추출물 중에서 에탄올 추출물과 초음파 에탄올 추출물 1000ppm에서 세포독성 및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그 외 추출물에서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2-2. TFN-γ, TNF-α, IL-4 cytokine 발현에 미치는 영향
산딸기 잎 추출물이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의 TFN-γ, TNF-α, IL-4 cytokine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RAW264.7 세포에 LPS로 자극하여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딸기 잎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 50, 100ppm에서 발현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예3.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In vitro 염증 억제활성 측정
산딸기 잎 추출물의 In vitro 염증 억제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RBL-2H3 세포에서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TNF-α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딸기 잎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 50, 100 ppm에서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4.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In vitro 알레르기 반응 억제 활성 측정
산딸기 잎 추출물의 In vitro 알레르기 반응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알러지 즉시반응의 지표인 탄과립에 대한 억제효과를 β-hexosaminidase와 histamine의 분비를 측정하여 살펴보았다.
4-1. β-hexosaminidase release assay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β-hexosaminidase 분비에 미치는 산딸기 잎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ppm에서 26.8%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100ppm에서 40.8%의 억제효과를 나타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4-2. histamine release assay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histamine 분비에 미치는 산딸기 잎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ppm에서 36.8%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100ppm에서 50.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5.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의 In vivo 항아토피 동물 모델에서 효능 검증
산딸기 잎 추출물의 In vivo 항아토피 동물 모델에서의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옥사졸론(Oxazolone)을 이용하여 hairless mouse에 접촉성 피부염을 유도한 후 산딸기 잎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고압 에탄올 추출물 50, 100ppm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접촉성 피부염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초고압 에탄올 추출공정을 통해 추출된 산딸기 잎 추출물이 항산화, 항염증 및 항아토피 효능이 있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예. 화장료
본 발명에 따른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로서, 예를들어 시트마스크, 에멀젼, 에센스, 스킨, 로션, 크림과 같은 제형의 각 베이스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이때 각 제형의 화장료에 포함되는 산딸기 잎 추출물의 함량은 각 화장료 총 중량 대비 1~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딸기 잎 추출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항아토피 효능이 미미한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산딸기 잎 추출물의 증가에 따른 항아토피 효능 향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1) 시트마스크
시트마스크는 많은 양의 에센스를 흘러내림 없이 피부에 밀착시켜 피부흡수를 도와주도록 하는 화장료 베이스로 아래의 [표3] 성분들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2) 에멀젼
에멀젼은 끈적임없이 부드럽게 펴 발리지만, 촉촉한 보습감은 유지시켜주며 항산화 효과 및 콜라겐 생성 촉진으로 피부를 탄력있게 가꾸도록 도와주는 화장료 베이스로 아래의 [표4] 성분들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3) 크림
크림은 크림 화장료 베이스로 아래의 [표5] 성분들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4) 에센스
에센스는 에센스 화장료 베이스로 아래의 [표6] 성분들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개되는 화장료의 조성물을 이루는 성분들은 각 성분들의 특징을 갖는 제형 중 대표적인 성분을 표기한 것으로, 이 이외에 해당 특징을 갖는 다른 성분들로 대체가능함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6)
- 산딸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딸기 잎 추출물은 초고압 에탄올 추출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압 에탄올 추출공정은 산딸기 잎을 70% 에탄올에 침지한 후 상온에서 초고압추출장치를 이용하여 100Mpa ~ 1,000Mpa의 압력을 5분 ~ 13분 동안 가해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산딸기 잎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총 중량 대비 1~1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산딸기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 또는 항염증 억제 활성을 통한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이 시트마스크, 에멀젼, 스킨, 수용성 리퀴드, 로션, 크림, 젤, 팩, 에센스, 수중유(O/W), 유중수(W/O)형 및 실리콘중수(W/Si)형의 파우더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항산화 활성 또는 항염증 억제 활성을 통한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6200A KR101817941B1 (ko) | 2016-02-12 | 2016-02-12 |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한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6200A KR101817941B1 (ko) | 2016-02-12 | 2016-02-12 |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한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4900A true KR20170094900A (ko) | 2017-08-22 |
KR101817941B1 KR101817941B1 (ko) | 2018-01-12 |
Family
ID=5975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6200A KR101817941B1 (ko) | 2016-02-12 | 2016-02-12 |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한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794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7576B1 (ko) | 2018-01-30 | 2019-05-10 | (주)대주바이오 | 라멜라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백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아토피, 항균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
KR20190099782A (ko) * | 2018-02-20 | 2019-08-28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딸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
KR20210001260A (ko) * | 2019-06-27 | 2021-01-06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야생 딸기잎 추출물, 플로레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2719A (ko) | 2023-01-11 | 2024-07-19 |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복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RM20130337A1 (it) * | 2013-06-11 | 2014-12-12 | Fase 1 S R L | Estratto oleoso di piante della specie rubus e suoi usi in campo medico e cosmetico. |
-
2016
- 2016-02-12 KR KR1020160016200A patent/KR10181794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7576B1 (ko) | 2018-01-30 | 2019-05-10 | (주)대주바이오 | 라멜라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백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아토피, 항균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
KR20190099782A (ko) * | 2018-02-20 | 2019-08-28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딸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
KR20210001260A (ko) * | 2019-06-27 | 2021-01-06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야생 딸기잎 추출물, 플로레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7941B1 (ko) | 2018-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6415B1 (ko) | 유색미 미강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 |
KR102302400B1 (ko) | 야생 딸기잎 추출물, 플로레틴 및 에델바이스 캘러스 배양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723526B1 (ko) |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566320B1 (ko) |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 |
KR101817941B1 (ko) |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한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30352B1 (ko) | 화장료용 항산화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863890B1 (ko) |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TWI535449B (zh) | 到手香萃取物於製備改善痤瘡之組成物之用途 | |
KR20170047514A (ko) |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97160B1 (ko) |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668290B1 (ko) |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 |
KR101347910B1 (ko) |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 |
KR20160062401A (ko) | 밀싹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539209B1 (ko) | 알바수련꽃 추출물, 레몬머틀잎 추출물 및 사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항염, 피부 자극완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08013481A (ja) | ゲットウ(Alpiniaspeciosa)由来の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リポキシゲナーゼ活性阻害剤 | |
KR101869763B1 (ko) |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
KR101495055B1 (ko) | 부용 및 뚝갈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기능강화 또는 피부자극완화용 조성물 | |
KR101063351B1 (ko) |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 |
KR102475898B1 (ko) |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154139B1 (ko) |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
KR102504878B1 (ko) |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80039390A (ko) | 엘리오카르푸스 하이나넨시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
KR20190048662A (ko) | 명아주 추출물 및 참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80036024A (ko) | 사우로푸스 스파투리포리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
KR20180035575A (ko) |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