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3904A -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배기 가스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배기 가스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3904A
KR20170093904A KR1020177018623A KR20177018623A KR20170093904A KR 20170093904 A KR20170093904 A KR 20170093904A KR 1020177018623 A KR1020177018623 A KR 1020177018623A KR 20177018623 A KR20177018623 A KR 20177018623A KR 20170093904 A KR20170093904 A KR 20170093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combustion
combustion furnace
furnace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957B1 (ko
Inventor
야스유키 야마모토
키미오 이이노
요시유키 하기하라
Original Assignee
다이요 닛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닛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닛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3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4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 D01F9/32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G5/1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23G7/06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 F23G7/065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7/00Supplying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other than air, to the fire, e.g. oxygen, steam
    • F23L7/007Supplying oxygen or oxygen-enriched ai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4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 D01F9/32Apparatus therefor
    • D01F9/328Apparatus therefor for manufacturing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1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with controlled oxidant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2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3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in separate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4Gaseous waste or fu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NOX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적은 연료로 제1 배기 가스 및 제2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배기 가스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은 섬유상 물질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탄소화하는 탄소화로 및 흑연화하는 흑연화로로부터 배출되는 제1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1 연소 공정과, 공기 분위기 중에서 내염화하는 내염화로로부터 배출되는 제2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2 연소 공정을 포함한다. 제1 연소 공정에 있어서, 제1 배기 가스를 산소비가 0.8 이하인 저산소비로 연소한다. 제2 연소 공정에 있어서, 제1 연소 공정에 의해 배출된 제3 배기 가스의 현열과 잠열을 이용하여 제2 배기 가스를 연소한다.

Description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배기 가스 처리 장치{EXHAUST GAS TREATMENT METHOD AND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1월 21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5-009572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탄소 섬유는 비강도, 비탄성률, 내열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각종 소재의 강화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탄소 섬유를 제조할 때에는 원하는 특성을 얻기 위해, 복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처리가 실시된다. 예를 들면, 탄소 섬유의 전구체로서 아크릴 섬유를 사용한 경우, 우선, 공기 중에서 200∼300℃의 온도에서 예비 산화함으로써 내염화 섬유를 얻는다(내염화 공정). 다음으로, 불활성 분위기 중에서 300∼2,000℃의 온도에서 탄소화함으로써 탄소 섬유를 얻는다(탄소화 공정). 또한, 고탄성률 섬유를 얻는 경우는 불활성 분위기 중에서 2,000∼3,000℃의 온도에서 흑연화한다(흑연화 공정).
그런데, 내염화 공정, 탄소화 공정 및 흑연화 공정의 각 공정을 행했을 때에, 배기 가스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탄소화 공정 및 흑연화 공정은 불활성 분위기 중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베이스 가스로 한 내염화 섬유의 분해 성분인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메탄, 타르 성분 등을 포함하는 가스가 발생한다. (이하, 탄소화 공정 및 흑연화 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배기 가스를 「제1 배기 가스」라고 정의한다.)(특허문헌 3)
마찬가지로, 내염화 공정은 공기 중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산소, 질소, 아르곤을 베이스 가스로 한 아크릴 섬유의 분해 생성물인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메탄, 타르 성분 등을 포함하는 가스가 발생한다. (이하, 내염화 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배기 가스를 「제2 배기 가스」라고 정의한다.)(특허문헌 2, 4)
이와 같이, 내염화 공정, 탄소화 공정 및 흑연화 공정에 의해 발생되는 배기 가스는 시안화수소나 암모니아 등의 독성이 높은 가스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상기 공정에 의해 발생된 배기 가스를 무해화하기 위한 배기 가스 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종래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으로는, 하나의 처리로(연소실)에 제1 배기 가스와 제2 배기 가스를 취입하여, 공기 연소에 의해 분해 처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다른 처리 방법으로는, 제1 배기 가스와 제2 배기 가스를 각각 다른 처리로에서 공기 연소에 의해 분해 처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0217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2411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6741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13538호
그런데, 제1 배기 가스와 제2 배기 가스에서는 시안화수소 등의 농도가 상이함과 함께, 베이스 가스의 조성(산소의 유무)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제1 배기 가스 및 제2 배기 가스를 하나의 처리로에서 분해 처리하는 경우, 시안화수소나 암모니아 등을 충분히 분해할 수 없고, 또한 분해에 수반하여 NOX가 대량으로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1 배기 가스 및 제2 배기 가스를 다른 처리로에서 분해 처리하는 경우, 시안화수소나 암모니아 등을 충분히 분해할 수 있지만, 연소 시에 사용하는 연료의 양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2개의 처리 설비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설비 비용 및 보수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NOX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적은 연료로 제1 배기 가스 및 제2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적은 연료로 제1 배기 가스 및 제2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섬유상 물질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탄소화하는 탄소화로 및 흑연화하는 흑연화로로부터 배출되는 제1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1 연소 공정과, 공기 분위기 중에서 내염화하는 내염화로로부터 배출되는 제2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2 연소 공정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연소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가스를 산소비가 0.8 이하인 저산소비로 연소하고, 상기 제2 연소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 공정에 의해 배출된 제3 배기 가스의 현열과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배기 가스를 연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방법.
(2) 상기 제1 연소 공정에 있어서, 1,000∼1,600℃에서 상기 제1 배기 가스를 연소하고, 상기 제2 연소 공정에 있어서, 700∼1,200℃에서 상기 제2 배기 가스를 연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방법.
(3) 제1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1 연소로와, 제2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2 연소로와, 상기 제1 연소로 내에 상기 제1 배기 가스를 공급하는 제1 배기 가스 공급 수단과, 상기 제2 연소로 내에 상기 제2 배기 가스를 공급하는 제2 배기 가스 공급 수단과, 상기 제1 연소로에 형성된 제1 버너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소로의 2차측에 상기 제2 연소로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연소로의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연소로의 내부 공간이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4) 상기 제1 연소로 및 상기 제2 연소로는 각각 개구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개구부끼리가 서로 대향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5) 상기 제1 연소로 및 상기 제2 연소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기 개구부의 개구 면적을 규제하는 조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6) 상기 제1 연소로와 상기 제2 연소로의 사이에 형성되고, 당해 제1 연소로의 내부 공간과 당해 제2 연소로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관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7) 상기 제2 연소로에 형성된 제2 버너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8) 상기 제1 연소로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계와, 상기 제2 연소로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계와, 상기 제1 버너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온도계 및 상기 제2 온도계로부터 얻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버너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9) 상기 제1 연소로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계와, 상기 제2 연소로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계와, 상기 제1 버너 및 상기 제2 버너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온도계 및 상기 제2 온도계로부터 얻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버너 및 상기 제2 버너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0) 상기 제1 연소로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버너의 지연성 가스로서 산소 농도가 25∼100체적%인 산소 부화 공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1) 상기 제1 배기 가스 공급 수단이 상기 제1 버너이고, 상기 제1 배기 가스를 상기 제1 버너로부터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2) 상기 제1 배기 가스 공급 수단이 상기 제1 연소로의 노벽에 형성된 제1 취입구이고, 상기 제1 배기 가스를 상기 제1 취입구로부터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3) 상기 제2 배기 가스 공급 수단이 상기 제2 연소로의 노벽에 형성된 제2 취입구이고, 상기 제2 취입구는 상기 제2 배기 가스를 상기 제2 연소로의 내주벽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취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4)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후단에 열 교환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2 연소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현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배기 가스를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은, 제1 배기 가스를 산소비가 0.8 이하인 저산소비로 연소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NOX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제1 배기 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1 연소 공정과 제2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2 연소 공정을 포함하고, 제2 연소 공정에 있어서, 제1 연소 공정에 의해 배출된 배기 가스의 현열과 잠열을 이용하여 제2 배기 가스를 연소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료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기 가스와 제2 배기 가스를 연속하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 비용 및 보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는, 제1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1 연소로와, 제2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2 연소로와, 제1 연소로에 형성된 제1 버너를 구비하고, 제1 연소로의 2차측에 제2 연소로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1 연소로의 내부 공간과 제2 연소로의 내부 공간이 연통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 연소로로 연소한 후의 제1 배기 가스를 제2 연소로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연소로에서는 연소 후의 제1 배기 가스의 현열 및 잠열을 이용하여 제2 배기 가스를 처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연료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기 가스 및 제2 배기 가스를 하나의 장치에 의해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 비용 및 보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1 실시형태인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형태인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3 실시형태인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NH3, NOX 농도와 산소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반응 해석에 의한 HCN의 분해 거동과 NO의 생성·분해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반응 해석에 의한 NO를 첨가한 경우의 NO 분해 거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배기 가스 처리 방법에 대해, 이에 사용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와 함께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은 특징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편의상 특징이 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경우가 있고, 각 구성 요소의 치수 비율 등이 실제와 동일하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
(배기 가스 처리 장치)
우선, 본 발명을 적용한 제1 실시형태인 배기 가스 처리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1 실시형태인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는 제1 연소로(10)와, 제1 버너(20)와, 조임부(30)와, 제2 연소로(40)와, 취입구(제2 취입구)(50)와, 배기구(60)를 구비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를 이용함으로써, 후술하는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연소로(10)에 의해, 탄소화로 및 흑연화로로부터 배출되는 제1 배기 가스(A)를 처리하고, 제2 연소로(40)에 의해 내염화로로부터 배출되는 제2 배기 가스(B)를 처리할 수 있다.
제1 연소로(10)는 제1 배기 가스(A)를 연소함으로써, 제1 배기 가스(A)에 포함되는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등의 유해 가스를 연소 분해하기 위한 통 형상(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노이다. 이 제1 연소로(10)는 폐색부(12)와 내주벽(14)을 갖고 있고, 그 내부에 일단이 폐색되고, 타단이 개구한 제1 내부 공간(S1)을 갖고 있다. 제1 연소로(10)의 재질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질 내화물, 알루미나-실리카질 내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연소로(10)에는 제1 버너(20)와, 제1 온도계(도시 생략)와, 조임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버너(20)는 폐색부(12)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버너(20)는 제1 연소로(10)와 동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1 버너(20)는 제1 내부 공간(S1) 내에 화염을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이 화염에 의해 당해 제1 내부 공간(S1) 내의 제1 가스를 연소할 수 있다. 제1 버너(20)에는 연료와 지연성 가스가 공급되어 있고, 연료 및 지연성 가스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후술하는 연소량 및 산소비를 제어할 수 있다. 산소비를 제어함으로써, 환원 분위기의 화염을 형성할 수 있다.
연료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시가스, LPG 등의 기체 연료나, 등유, A중유 등의 액체 연료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연성 가스로는 산소를 포함하는 가스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산소 농도가 20.8(공기)∼100체적%(순산소)인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해 속도 향상의 관점에서, 산소 농도가 25∼100체적%인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산소 농도가 높은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연소로 내의 온도를 올릴 수 있어 분해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내부 공간(S1) 내의 배기 가스 체류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제1 연소로(10)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혹은 제1 버너(20))에는 제1 연소로(10) 내의 온도 및 제2 연소로(40) 내의 온도를 기초로, 제1 버너(20)의 연소량(후술한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버너(20)에는 제1 배기 가스(A)의 공급로(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연소로(10) 내의 제1 내부 공간(S1)에 개구한 제1 버너(20)의 선단부에는 제1 배기 가스(A)의 공급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1 버너(20)는 제1 내부 공간(S1)에 환원 분위기의 화염을 형성함과 함께, 제1 배기 가스(A)를 제1 내부 공간(S1) 내에 공급할 수 있다.
조임부(30)는 내주벽(14)의 개구부(13)측에 형성되어 있다. 조임부(30)에 의해, 개구부(13)의 개구 면적을 규제할 수 있다. 개구 면적을 규제함으로써, 후술하는 제2 내부 공간(S2) 내의 가스(산소를 포함한다)가 제1 내부 공간(S1)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내부 공간(S1) 내를 환원화 분위기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연소로(40)는 제1 연소로(10)의 2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연소로(40)는 제2 배기 가스(B)를 연소함으로써, 제2 배기 가스(B)에 포함되는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등의 유해 가스를 연소 분해하기 위한 통 형상(예를 들면, 원통 형상)의 노이다. 이 제2 연소로(40)는 폐색부(42)와 내주벽(44)을 갖고 있고, 그 내부에 일단이 폐색되고, 타단이 개구한 제2 내부 공간(S2)을 갖고 있다. 제2 연소로(40)의 재질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질 내화물, 알루미나-실리카질 내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는 제1 연소로(10)의 개구부(13)와 제2 연소로(40)의 개구부(43)가 서로 대향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고, 제1 내부 공간(S1)과 제2 내부 공간(S2)이 연통되어 있다. 이로써, 제1 배기 가스(A)를 연소시킨 후의 제3 배기 가스를 제1 내부 공간(S1)으로부터 제2 내부 공간(S2)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제1 배기 가스가 제1 연소로(10)에서 연소된 후의 배기 가스를 「제3 배기 가스」라고 정의한다.)
제2 연소로(40)에서는 상기 제3 배기 가스의 현열 및 잠열을 이용하여 제2 배기 가스(B)를 연소할 수 있다. 제2 배기 가스(B)를 연소함으로써, 제2 배기 가스(B)에 포함되는 시안화수소 등의 유해 가스를 연소 분해할 수 있다.
제2 연소로(40)에는 취입구(제2 취입구)(50)와 배기구(60)가 형성되어 있다.
취입구(제2 취입구)(50)는 제2 연소로(40)의 내주벽(44)의 개구부(43)측에 형성되어 있다. 취입구(50)로부터 제2 배기 가스(B)를 제2 내부 공간(S2)에 공급할 수 있다. 취입구(50)는 내주벽(44)의 접선 방향으로 제2 배기 가스(B)를 취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2 내부 공간(S2) 내에 제3 배기 가스와 제2 배기 가스(B)에 의한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배기 가스(B) 중에 포함되는 유해 가스를 효율적으로 연소 분해할 수 있다.
배기구(60)는 제2 연소로(40)의 폐색부(42)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60)로부터 제2 내부 공간(S2) 내에서 연소한 가스를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다음으로, 상술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1)를 이용한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은 제1 배기 가스(A)를 제1 연소 공정에 의해 처리하고, 제2 배기 가스(B)를 제2 연소 공정에 의해 처리하는 배기 가스 처리 방법이다.
제1 연소 공정은 제1 배기 가스(A)를 산소비가 0.8 이하인 저산소비로 연소하는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연소 공정에서는, 우선 탄소화 공정 및 흑연화 공정에 의해 배출되는 가스(제1 배기 가스(A))를 제1 버너(20)로부터 제1 내부 공간(S1)에 공급한다. 다음으로, 공급된 제1 배기 가스(A)를 제1 버너(20)에 의해 1,000∼1,600℃의 온도 범위에서 연소한다. 제1 연소로(10) 내의 온도는 제1 온도계(도시 생략)에 의해 측정되고, 또한 제2 연소로(40) 내의 온도는 제2 온도계(도시 생략)에 의해 측정된다.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해 제1 버너(20)의 연소량을 제어함으로써, 연소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제1 버너(20)에는 연료 가스 및 지연성 가스가 공급되어 있고, 연료 가스 및 지연성 가스의 공급량을 제어함으로써, 연소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연소량」이란, 연료를 연소함으로써 발생한 단위 시간당의 열량이다. 연소량이 많은 만큼 단위 시간당 발생되는 열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제1 내부 공간(S1)의 온도가 높아진다.
그런데, 제1 연소로(10)에서 처리하는 제1 배기 가스(A)는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등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질소 베이스의 배기 가스이기 때문에, 양론비 부근보다 산소비가 높은 조건(산소비 0.8보다 높다)으로 연소 처리하면 대량의 NOX가 생성된다. 이 때문에, 제1 연소로(10)에서는 산소비 0.8 이하인 연소 조건으로 환원 분위기를 형성하면서 처리를 행한다.
이로써, NOX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연소 분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에서는 연료 가스에 대해 지연성 가스에 포함되는 산소의 비율을 제어함으로써, 산소비를 제어하고 있다.
여기서, 「산소비」란, 버너에 공급되는 산소량을 버너에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데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이론 필요 산소량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산소비 1.0인 상태가 산소를 과부족 없이 사용하여 완전 연소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제1 배기 가스(A)를 연소함으로써, 제1 배기 가스(A)에 포함되는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등의 유해 가스를 연소 분해한다. 연소에 의해 발생한 제3 배기 가스를 개구부(13)를 개재하여 제2 연소로(40)에 공급한다.
제2 연소 공정은 제2 연소로(40)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 공정에 의해 배출된 배기 가스의 현열과 잠열을 이용하여 제2 배기 가스(B)를 연소하는 공정이다.
그런데, 제2 배기 가스(B)는 시안화수소, 암모니아를 함유하는 공기 베이스의 배기 가스이고, 제1 배기 가스(A)에 비교하여 배출량이 매우 많다. 이 때문에, 제1 배기 가스(A)와 동일하게 산소비를 0.8 이하로 내려 연소 분해하고자 한 경우, 대량의 연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시안화수소, 암모니아는 산소가 존재하는 분위기에 있어서도, 낮은 온도에서 연소 처리함으로써, NOX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분해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에서는, 제2 배기 가스(B)를 700∼1,200℃의 온도 범위에서 연소함으로써, NOX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시안화수소, 암모니아를 분해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제1 연소로(10)로부터 공급된 제3 배기 가스를 제2 연소로(40)에 형성된 취입구(50)로부터 공급되는 제2 배기 가스(B)와 혼합한다. 제2 내부 공간(S2) 내에서 제2 배기 가스(B)와 제3 배기 가스를 혼합함으로써, 제3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CO나 H2 등의 가스와, 제2 배기 가스(B)에 포함되는 산소가 연소하고,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해, 제2 연소로(40) 내의 온도를 700℃ 이상으로 올릴 수 있다. 제2 연소로(40) 내의 온도가 700℃ 이상이 됨으로써, 제2 배기 가스(B)에 포함되는 시안화수소 등의 유해 가스를 연소 분해한다. 이와 같이, 제2 연소 공정에서는 제1 연소 공정에 의해 배출된 제3 배기 가스의 현열 및 잠열(배기 가스의 연소 열량)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연소로(40) 내의 온도는 제2 온도계(도시 생략)에 의해 측정된다.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해 제1 버너(20)의 산소비를 제어함으로써, 제2 연소로(40)에 유입되는 미연소 가스량을 제어한다. 이로써, 제2 연소로(40) 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내부 공간(S2) 내에서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배기 가스를 배기구(60)로부터 외부에 배출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에 의하면, 제1 배기 가스(A)를 처리하는 제1 연소로(10)와, 제1 연소로에 형성된 제1 버너(20)와, 제2 배기 가스(B)를 처리하는 제2 연소로(40)를 구비하고, 제1 연소로(10)의 2차측에 제2 연소로(40)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1 연소로(10)의 제1 내부 공간(S1)과, 제2 연소로(40)의 제2 내부 공간(S2)이 연통되어 있는 구성이고, 제1 연소로(10)에서 연소한 후의 제3 배기 가스를 제2 연소로(4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연소로(40)에서는 제3 배기 가스의 현열 및 잠열을 이용하여 제2 배기 가스(B)를 처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및 제2 배기 가스(A, B)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연료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배기 가스(A) 및 제2 배기 가스(B)를 하나의 장치에 의해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 비용 및 보수 비용의 저감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에 의하면, 제1 내부 공간(S1)과 제2 내부 공간(S2)의 사이의 개구 면적을 규제하기 위한 조임부(30)를 구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2 내부 공간(S2) 내의 가스(산소를 포함한다)가 제1 내부 공간(S1)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1 내부 공간(S1) 내를 환원화 분위기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에 의하면, 제1 배기 가스(A)를 산소비가 0.8 이하인 저산소비로 연소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NOX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제1 배기 가스(A)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에 의하면, 제1 배기 가스(A)를 처리하는 제1 연소 공정과, 제2 배기 가스(B)를 처리하는 제2 연소 공정을 포함하고, 제2 연소 공정에 있어서, 제1 연소 공정에 의해 배출된 배기 가스의 현열과 잠열을 이용하여 제2 배기 가스(B)를 연소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버너의 연료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탄소화로 및 흑연화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와, 내염화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연속하는 공정에 의해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 비용이나 보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형태인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형태인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01)는 제1 연소로(10)와, 제1 버너(20)와, 조임부(30)와, 제2 연소로(40)와, 취입구(제2 취입구)(50)와, 배기구(60)와, 취입구(제1 취입구)(151)를 구비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01)는 취입구(151)를 구비하는 점에 있어서, 상술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1)와 상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기 가스 처리 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취입구(제1 취입구)(151)는 제1 연소로(10)의 내주벽(14)의 폐색부(12)측에 형성되어 있다. 취입구(151)에 의해, 제1 배기 가스(A)를 제1 내부 공간(S1)에 공급할 수 있다. 취입구(151)는 내주벽(14)의 접선 방향으로 제1 배기 가스(A)를 취입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내부 공간(S1) 내에 제1 배기 가스(A)에 의한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배기 가스(A) 중에 포함되는 유해 가스를 효율적으로 연소 분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01)에 의하면, 취입구(15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제1 배기 가스(A)를 제1 연소로(10)의 내주벽(14)으로부터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산소가 존재하는 화염 부근에 직접 제1 배기 가스(A)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NOX의 생성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3 실시형태인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201)는 제1 연소로(210)와, 제1 버너(20)와, 제2 연소로(240)와, 취입구(제2 취입구)(250)와, 배기구(60)와, 제2 버너(221)와, 연결관(231)을 구비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201)는 제2 버너(221)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제1 연소로(210)와 제2 연소로(240)의 사이에 연결관(231)을 형성하고 있고, 또한 제1 연소로(210)와 제2 연소로(240)가 별개의 노체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술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1)와 상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기 가스 처리 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연소로(210)는 제1 배기 가스(A)를 연소함으로써, 제1 배기 가스(A)에 포함되는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등의 유해 가스를 연소 분해하기 위한 노이다. 제1 연소로(210)의 형상은 양단이 폐색된 통 형상(예를 들면, 원통 형상)이다. 제1 연소로(210)는 내부에 제1 내부 공간(S1)을 갖는다. 또한, 제1 연소로(210)의 내주벽의 아래 바닥측에 개구부(213)를 갖는다. 제1 연소로(210)의 재질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질 내화물, 알루미나-실리카질 내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온도계(215)는 내주벽(214)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온도계(215)에 의해 제1 연소로(210)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연소로(210) 내의 온도를 기초로,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해 제1 버너(20)의 연소량을 제어할 수 있다.
연결관(231)은 제1 연소로(210) 내의 제1 내부 공간(S1)과 후술하는 제2 연소로(240) 내의 제2 내부 공간(S2)을 연통시키기 위해 형성된 배관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관(231)은 제1 연소로(210)의 개구부(213)와 후술하는 제2 연소로(240)의 개구부(243)를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관(231)의 재질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질 내화물, 알루미나-실리카질 내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결관(231)의 내경과 개구부(213) 및 개구부(243)의 개구 면적을 규제함으로써, 제2 내부 공간(S2) 내의 가스(산소를 포함한다)가 제1 내부 공간(S1)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내부 공간(S1) 내를 환원화 분위기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연소로(240)는 제2 배기 가스(B)를 연소함으로써, 제2 배기 가스(B)에 포함되는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등의 유해 가스를 연소 분해하기 위한 노이다. 제2 연소로(240)는 연결관(231)을 개재하여 제1 연소로(210)의 2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연소로(240)의 형상은 양단이 폐색된 통 형상(예를 들면, 원통 형상)이다. 제2 연소로(240)는 내부에 제2 내부 공간(S2)을 갖는다. 또한, 제2 연소로(240)의 내주벽의 아래 바닥측에 개구부(243)를 갖는다. 제2 연소로(240)의 재질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질 내화물, 알루미나-실리카질 내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버너(221)는 제2 연소로(240)의 내주벽(244)의 취입구(250)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버너(221)에 의해, 제2 배기 가스(B)와 제3 배기 가스의 연소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제2 버너(221)에는 연료와 지연성 가스가 공급되어 있고, 연료 및 지연성 가스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연소량 및 후술하는 산소비를 제어할 수 있다. 연료 및 지연성 가스로는 제1 버너(20)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버너(221)는 상시 연소시키지 않아도 되고, 제2 연소로(240) 내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 점화되도록 해도 된다.
취입구(제2 취입구)(250)는 제2 연소로(240)의 개구부(243)의 대면에 형성되어 있다. 취입구(250)로부터 제2 배기 가스(B)를 제2 내부 공간(S2)에 공급할 수 있다. 취입구(250)는 내주벽(244)의 접선 방향으로 제2 배기 가스(B)를 취입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내부 공간(S2) 내에 제2 배기 가스(B)에 의한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3 배기 가스의 혼합이 촉진되어 제2 배기 가스(B) 중에 포함되는 유해 가스를 효율적으로 연소 분해할 수 있다.
제2 온도계(245)는 내주벽(244)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온도계(245)에 의해, 제2 연소로(240)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연소로(240) 내의 온도를 기초로, 제어부(도시 생략)에 의해 제2 버너(221)의 연소량이나 산소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201)에 의하면, 제2 버너(22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2 배기 가스(B)와 제3 배기 가스의 연소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201)에 의하면, 제1 연소로(210)와 제2 연소로(240)의 사이에 연결관(231)을 형성하고 있고, 또한 제1 연소로(210)와 제2 연소로(240)가 별개의 노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수직으로 설치하는 경우, 높이를 낮출 수 있음과 함께, 설치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 101, 201)에서는 제2 연소로(40)에서 연소한 배기 가스를 배기구(60)를 개재하여 외부에 배출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배기구(60)에 열 교환기를 접속하여 배기구(6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현열을 이용하여 제2 가스를 예열해도 된다. 이로써, 연료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 101, 201)에서는 2개의 연소로를 접합한 예를 설명했지만, 하나의 연소로 내의 공간을 2개의 내부 공간으로 분할하는 양태여도 된다. 그 때, 연소로의 내측에 조임부(30)를 갖는 경우는 조임부(30)의 1차측의 공간을 제1 연소로로 하고, 2차측의 공간을 제2 연소로로 한다. 또한, 연소로의 내측에 조임부(30)를 갖지 않는 경우는 취입구(제2 취입구)(50)의 1차측의 공간을 제1 연소로로 하고, 2차측의 공간을 제2 연소로로 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 101)에서는 조임부(30)가 제1 연소로(10)의 개구부(13)측에 형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조임부(30)가 제2 연소로(40)의 내주벽(44)의 개구부(43)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 101)에서는 제2 연소로(40)에 버너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예를 설명했지만, 제2 연소로(40)의 내주벽(44)을 관통하도록 제2 버너를 형성해도 된다. 제2 버너에 의해, 제2 배기 가스(B)와 제3 배기 가스의 연소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실시예 1>
(직연 방식과의 비교)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 및 종래 기술인 직연 방식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를 이용하고, 탄소화로 및 흑연화로로부터 배출되는 제1 배기 가스 및 내염화로로부터 배출되는 제2 배기 가스의 모의 가스를 사용하여 처리 시험을 행했다.
표 1에 제1 배기 가스와 제2 배기 가스의 모의 가스의 조성과 유량을 나타낸다. 모의 가스에는 HCN의 대체로서 NO를 사용했다(NO를 모의 가스로서 사용하는 것의 타당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처리 시험에서는 모의 가스에 대해 3개의 조건에 의해 행했다(조건 1-1, 1-2, 1-3).
표 2에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와 직연 방식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버너의 연소 조건을 나타낸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버너(20)에서는 지연성 가스로서 산소 농도 100%의 순산소를 이용하고, 산소비 0.7로 연소시켰다. 연소로의 온도는 제1 연소로(10)가 1,600℃, 제2 연소로(40)가 1,000℃였다.
또한, 직연 방식의 처리 장치에서는 1,000℃에서 처리를 행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3에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본 결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에서는 NO와 NH3를 가장 고농도로 첨가한 조건 1-1에 있어서도, 암모니아(NH3)를 극저농도까지 분해할 수 있어, NOX의 생성을 90ppm 정도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직연 방식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NO와 NH3를 분해하고자 하면, NOX 농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1)에서는 직연 방식에 비해 적은 연료로 제1 배기 가스 및 제2 배기 가스를 처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2>
(산소비의 영향)
실시예 1와 동일한 배기 가스 처리 장치(1)를 이용하고,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버너(20)의 산소비를 변경하여, 표 3의 조건 1-2에 나타내는 제1 배기 가스 및 제2 배기 가스의 모의 가스를 처리한 후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NH3, NOX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4
도 4에 배기 가스 처리 장치(1)의 배기구(60)로부터 배출된, 처리 후의 배기 가스 중의 NH3, NOX의 농도와 산소비의 관계를 나타낸다.
본 결과로부터, NH3는 모든 조건에서 0.1ppm 이하이고, 대부분 전부 분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1 버너(20)의 산소비를 0.8보다 크게 하면, NOX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에 있어, 산소비를 0.8 이하로 함으로써, NOX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제1 배기 가스를 처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파일럿 설비에서의 시험)
도 3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201)를 이용하고, 파일럿 설비로 배기 가스 처리를 행했다.
표 5에 제1 배기 가스와 제2 배기 가스의 모의 가스의 조성과 유량을 나타낸다. 제2 배기 가스의 유량은 300, 600, 900Nm3/h의 세 조건으로 실시했다(조건 3-1, 3-2, 3-3). 또한, 표 6에 상기 각 배기 가스 조건에 있어서의 버너 연소 조건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표 7에 배기 가스 처리 장치(201)의 배기구(60)로부터 배출된, 처리 후의 배기 가스 중의 NH3, NOX의 농도를 나타낸다. 본 결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201)에서는 NH3를 극저농도까지 분해할 수 있고, 또한 연소에 수반하는 NOX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pct00007
<실시예 4>
(모의 가스의 타당성 검증에 대해)
HCN의 대체인 모의 가스로서 NO를 사용했다. 모의 가스에 NO를 사용하는 것의 타당성을 시뮬레이션에 의한 반응 해석에 의해 검토했다.
반응 해석은 CHEMKIN-PRO(Reaction Design사 제조, 상세 화학 반응 해석 지원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행했다. 해석 조건을 표 8에 나타낸다. 조건 4-1은 환원 연소 분위기하의 제1 연소로(10)에 HCN를 첨가한 경우를 나타내고, 조건 4-2는 NO를 첨가한 경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도 5에 조건 4-1의 반응 해석에 의한 HCN의 분해 거동과, NO의 생성·분해 거동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에 조건 4-2의 반응 해석에 의한 NO를 첨가한 경우의 NO분해 거동을 나타낸다.
도 5로부터 환원 연소 분위기하에 있어서, HCN는 급격하게 분해되고, 이에 수반하여 NOX가 급격하게 생성된 후, 서서히 분해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와 도 6의 NO의 농도 변화를 비교하면, 분해 거동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고, NO를 모의 가스로서 사용함으로써, HCN의 분해에 수반하여 생성되는 NO의 분해 거동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배기 가스 처리 장치는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등을 포함한 배기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
1, 101, 201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0, 210 제1 연소로
11 노벽
12 폐색부
13, 213 개구부
14, 214 내주벽
20 제1 버너
30 조임부
40, 240 제2 연소로
41 노벽
42 폐색부
43, 243 개구부
44, 244 내주벽
50, 250 취입구(제2 취입구)
60 배기구
151 취입구(제1 취입구)
215 제1 온도계
221 제2 버너
222 파일럿 버너
231 연결관
245 제2 온도계
S1 제1 내부 공간
S2 제2 내부 공간
A 제1 배기 가스
B 제2 배기 가스

Claims (14)

  1. 섬유상 물질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 중에서 탄소화하는 탄소화로 및 흑연화하는 흑연화로로부터 배출되는 제1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1 연소 공정과, 공기 분위기 중에서 내염화하는 내염화로로부터 배출되는 제2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2 연소 공정을 포함하는 배기 가스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연소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가스를 산소비가 0.8 이하인 저산소비로 연소하고,
    상기 제2 연소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 공정에 의해 배출된 제3 배기 가스의 현열과 잠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배기 가스를 연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 공정에 있어서, 1,000∼1,600℃에서 상기 제1 배기 가스를 연소하고,
    상기 제2 연소 공정에 있어서, 700∼1,200℃에서 상기 제2 배기 가스를 연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방법.
  3. 제1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1 연소로와,
    제2 배기 가스를 처리하는 제2 연소로와,
    상기 제1 연소로 내에 상기 제1 배기 가스를 공급하는 제1 배기 가스 공급 수단과,
    상기 제2 연소로 내에 상기 제2 배기 가스를 공급하는 제2 배기 가스 공급 수단과,
    상기 제1 연소로에 형성된 제1 버너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소로의 2차측에 상기 제2 연소로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연소로의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연소로의 내부 공간이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로 및 상기 제2 연소로는 각각 개구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개구부끼리가 서로 대향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로 및 상기 제2 연소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상기 개구부의 개구 면적을 규제하는 조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로와 상기 제2 연소로의 사이에 형성되고, 당해 제1 연소로의 내부 공간과 당해 제2 연소로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관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소로에 형성된 제2 버너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로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계와,
    상기 제2 연소로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계와,
    상기 제1 버너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온도계 및 상기 제2 온도계로부터 얻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버너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로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온도계와,
    상기 제2 연소로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계와,
    상기 제1 버너 및 상기 제2 버너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1 온도계 및 상기 제2 온도계로부터 얻은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버너 및 상기 제2 버너의 연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소로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 버너의 지연성 가스로서 산소 농도가 25∼100체적%인 산소 부화 공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1.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가스 공급 수단이 상기 제1 버너이고, 상기 제1 배기 가스를 상기 제1 버너로부터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2.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가스 공급 수단이 상기 제1 연소로의 노벽에 형성된 제1 취입구이고, 상기 제1 배기 가스를 상기 제1 취입구로부터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3. 제 3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기 가스 공급 수단이 상기 제2 연소로의 노벽에 형성된 제2 취입구이고, 상기 제2 취입구는 상기 제2 배기 가스를 상기 제2 연소로의 내주벽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취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14. 제 3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후단에 열 교환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2 연소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현열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배기 가스를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처리 장치.
KR1020177018623A 2015-01-21 2015-09-10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배기 가스 처리 장치 KR101973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09572A JP6307769B2 (ja) 2015-01-21 2015-01-21 排ガス処理方法及び排ガス処理装置
JPJP-P-2015-009572 2015-01-21
PCT/JP2015/075754 WO2016117167A1 (ja) 2015-01-21 2015-09-10 排ガス処理方法及び排ガス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904A true KR20170093904A (ko) 2017-08-16
KR101973957B1 KR101973957B1 (ko) 2019-04-30

Family

ID=5641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623A KR101973957B1 (ko) 2015-01-21 2015-09-10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배기 가스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502417B2 (ko)
EP (1) EP3249295B1 (ko)
JP (1) JP6307769B2 (ko)
KR (1) KR101973957B1 (ko)
CN (1) CN107110500B (ko)
ES (1) ES2742896T3 (ko)
TW (1) TWI675170B (ko)
WO (1) WO2016117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1147B2 (ja) * 2016-07-20 2019-03-27 大陽日酸株式会社 排ガス処理方法、排ガス処理装置及び炭素繊維製造システム
CN108261902B (zh) * 2017-01-04 2023-12-01 恩国环保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炭化炉尾气处理装置及处理方法
EP3640379A4 (en) * 2017-06-13 2021-02-24 Toray Industries, Inc. METHOD FOR PRODUCING CARBON FIBERS
CN108240631A (zh) * 2018-01-03 2018-07-03 上海煜工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含VOCs的废氮气高温焚毁处置系统及方法
CN108800168A (zh) * 2018-06-26 2018-11-13 宜兴市智博环境设备有限公司 一种三段式有机氮废液焚烧装置及焚烧工艺
WO2022061473A1 (en) * 2020-09-25 2022-03-31 Industrial Ceramics Limited Device for enhancing reaction kinetics for incineration process
CN113719843B (zh) * 2021-08-12 2022-09-09 中国矿业大学 一种低浓度瓦斯资源再利用的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119A (ja) 2000-05-12 2001-11-22 Mitsubishi Rayon Co Ltd 炭素化炉用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炭素化炉からの排ガス処理方法
JP2003113538A (ja) 2001-10-01 2003-04-18 Mitsubishi Rayon Co Ltd 耐炎化炉、及び耐炎化炉の温度制御方法
JP2007093156A (ja) * 2005-09-30 2007-04-12 Nikko Kinzoku Kk 排ガスの処理方法
JP2011021779A (ja) 2009-07-14 2011-02-03 Katsura Seiki Seisakusho:Kk 直接燃焼式脱臭炉
JP2012067419A (ja) 2010-09-24 2012-04-05 Mitsubishi Rayon Co Ltd 炭素化炉用排ガス処理装置
JP2013032608A (ja) * 2011-06-29 2013-02-14 Toray Ind Inc 排ガス処理方法
JP2014528052A (ja) * 2011-09-09 2014-10-23 ダイカー コンバスチョン エンジニアーズ ビー.ヴイ.Duiker Combustion Engineers B.V. Nh3を焼却する方法及びnh3焼却炉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4567A (en) * 1977-01-07 1979-05-15 Continental Carb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mbustion of waste gases
US4519993A (en) 1982-02-16 1985-05-28 Mcgill Incorporated Process of conversion for disposal of chemically bound nitrogen in industrial waste gas streams
GB2116531B (en) * 1982-03-11 1985-11-20 Shell Int Research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ombustion of ammonia-containing waste gases
JPS58164922U (ja) * 1982-04-30 1983-11-02 ダイキヨ−・ベバスト株式会社 乗物の天井窓装置
JPH06184831A (ja) * 1992-12-15 1994-07-05 Tonen Corp 炭素繊維の製造方法
JP3106971B2 (ja) 1996-08-21 2000-11-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酸素センサ
JP2000111025A (ja) * 1998-09-30 2000-04-18 Hosokawa Micron Corp 二次燃焼炉
JP2001355820A (ja) * 2000-06-12 2001-12-26 Sumitomo Seika Chem Co Ltd 排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JP4247701B2 (ja) * 2001-07-13 2009-04-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記録装置及び動画記録方法
JP3924150B2 (ja) * 2001-10-26 2007-06-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燃焼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799297B2 (en) 2003-07-10 2010-09-21 Taiheiyo Cement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bustion exhaust gas
US7273366B1 (en) 2003-10-28 2007-09-25 Soil-Therm Equip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struction of vapors and waste streams
JP3106971U (ja) * 2004-08-02 2005-01-27 ロザイ工業株式会社 直接燃焼式脱臭装置
US7845166B2 (en) * 2007-09-27 2010-12-07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haust system with plural emission treatment devices
JP5097564B2 (ja) 2008-01-23 2012-12-1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炭素繊維製造装置
JP5573544B2 (ja) * 2010-09-24 2014-08-20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焼成炉の排ガス燃焼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4119A (ja) 2000-05-12 2001-11-22 Mitsubishi Rayon Co Ltd 炭素化炉用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炭素化炉からの排ガス処理方法
JP2003113538A (ja) 2001-10-01 2003-04-18 Mitsubishi Rayon Co Ltd 耐炎化炉、及び耐炎化炉の温度制御方法
JP2007093156A (ja) * 2005-09-30 2007-04-12 Nikko Kinzoku Kk 排ガスの処理方法
JP2011021779A (ja) 2009-07-14 2011-02-03 Katsura Seiki Seisakusho:Kk 直接燃焼式脱臭炉
JP2012067419A (ja) 2010-09-24 2012-04-05 Mitsubishi Rayon Co Ltd 炭素化炉用排ガス処理装置
JP2013032608A (ja) * 2011-06-29 2013-02-14 Toray Ind Inc 排ガス処理方法
JP2014528052A (ja) * 2011-09-09 2014-10-23 ダイカー コンバスチョン エンジニアーズ ビー.ヴイ.Duiker Combustion Engineers B.V. Nh3を焼却する方法及びnh3焼却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957B1 (ko) 2019-04-30
US20170370580A1 (en) 2017-12-28
CN107110500A (zh) 2017-08-29
JP2016133286A (ja) 2016-07-25
EP3249295B1 (en) 2019-08-07
ES2742896T3 (es) 2020-02-17
JP6307769B2 (ja) 2018-04-11
CN107110500B (zh) 2019-07-12
EP3249295A1 (en) 2017-11-29
WO2016117167A1 (ja) 2016-07-28
EP3249295A4 (en) 2018-08-22
TW201627607A (zh) 2016-08-01
TWI675170B (zh) 2019-10-21
US10502417B2 (en)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957B1 (ko) 배기 가스 처리 방법 및 배기 가스 처리 장치
JP3665542B2 (ja) Nox低減のための燃料希釈方法および装置
PL178964B1 (pl) Sposób obnizania emisji NOx w gazach spalinowych opuszczajacych piec regeneracyjny szklarski do wytopu plaskiego szkla PL PL PL PL PL
JP2020112280A (ja) アンモニアを混焼できるボイラ装置及び火力発電設備
KR101706053B1 (ko) 고로 열풍로 가열 방법
KR101406567B1 (ko) 배가스 순환을 이용한 질소산화물 저감방법
KR101314443B1 (ko) 고로 조업 방법 및 그를 위한 저발열량 가스의 연소 방법과 고로 설비
JP5351397B2 (ja) 耐炎化装置
JP5635285B2 (ja) ガラス溶解炉およびガラス溶解炉における排ガスの処理方法
US10352556B2 (en) Method and burner for reducing nitrogen oxide emissions during the combustion of a gaseous fuel
EP3460328B1 (en) Exhaust gas treatment method,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and carbon fiber manufacturing equipment
JP2008196717A (ja) 回転炉床式還元炉及びその操業方法
TW201414961A (zh) 用於洗滌器的燃燒器
KR101751069B1 (ko) 저등급 연료의 연소 방법
JP2001003055A (ja) 複式コークス炉燃焼排ガス中の窒素酸化物低減方法
Kim et al. Investigation of Fuel Lean Reburning
JPH08285235A (ja) 面燃焼を用いた燃料ガスの低NOx燃焼方法およびその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