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544A -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544A
KR20170092544A KR1020177013787A KR20177013787A KR20170092544A KR 20170092544 A KR20170092544 A KR 20170092544A KR 1020177013787 A KR1020177013787 A KR 1020177013787A KR 20177013787 A KR20177013787 A KR 20177013787A KR 20170092544 A KR20170092544 A KR 20170092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mobile device
image
interface
we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823B1 (ko
Inventor
신명수
이유리
김현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9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3
    • H04M1/72544
    • H04M1/72572
    • H04M1/7258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이 제시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인접하게 위치되면 이미지 편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시를 도시한다.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원형의 디스플레이 유닛(220)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진은 4:3 또는 16:9의 비율을 갖는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도 1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이 원형 디스플레이 유닛(200) 내에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은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도 1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이 원형 디스플레이 유닛(200) 내에 모두 디스플레이될 경우, 사진이 지나치게 작게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도 1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이 원형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꽉 차도록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진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또한, 사진이 유저의 의도대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에 적합하도록 사진을 편집해야 한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상대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 유닛(22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진의 편집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유저는 다른 디바이스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진을 편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의 크기, 해상도 및 형태가 고려되야 한다. 게다가, 편집된 사진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세서가 요구된다.
따라서, 보다 이용이 간편하면서도 직관적인 이미지의 프로세싱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편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 작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이미지 편집 및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와 커뮤니케이션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디텍트하는 디텍팅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디텍팅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를 편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1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인터페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갖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에 기초하여 변경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와 커뮤니케이션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모바일 디바이스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송신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유저에게 제공하게 하고, 인터페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갖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에 기초하여 변경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보다 직관적인 이미지 편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합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이미지 편집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손쉬운 이미지 편집을 가능토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스쳐에 기초하여 이미지 편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개선된 이미지 편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시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테페이스 제공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회전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전환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녹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커뮤니케이션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130),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상대적인 위치를 디텍트하는 디텍팅 유닛(140) 및 디스플레이 유닛(120), 커뮤니케이션 유닛(130) 및 디텍팅 유닛(14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터치 센시티브(sensitive)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는 슬라이딩 터치 입력, 멀티 터치 입력, 롱-프레스 터치 입력, 숏-프레스 터치 입력, 드래그 터치 입력, 호버링(hovering) 입력 또는 플리킹(flicking) 터치 입력 등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센서는 터치 펜, 스타일러스 펜 등 다양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 또한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입력을 센싱한 결과를 프로세서(110)에 전달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커뮤니케이션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통신,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or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디텍팅 유닛(14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상대적인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디텍팅 유닛(14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텍팅 유닛(140)은 이미지 센서 및/또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텍팅 유닛(140)은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디텍트할 수도 있다. 또한, 디테팅 유닛(14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디텍트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 및/또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텍팅 유닛(140)은 자기장 및/또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디텍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텍팅 유닛(140)은 상위한 위치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장 및/또는 자기장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텍팅 유닛(140)은 상위한 위치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장 및/또는 자기장 센서들 사이의 측정치를 비교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디텍트할 수도 있다. 또한, 디텍팅 유닛(140)은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텍팅 유닛(14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의하여 유발된 터치 입력을 센싱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센싱할 수도 있다.
또한, 디텍팅 유닛(140)은 상술한 센싱 방법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센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텍팅 유닛(14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일 때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센싱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기설정된 거리 미만일 때는 자기장 센서, 전기장 센서, 근접 센서 및/또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디텍트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디텍팅 유닛(140)의 센서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유형의 센서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배치된 면을 전면이라고 할 때, 디텍팅 유닛(140)의 센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텍팅 유닛(140)의 센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후면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센싱할 수도 있다.
또한, 디텍팅 유닛(140)은 커뮤니케이션 유닛(130)과 함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디텍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텍팅 유닛(140)은 서로 반대되는 모서리에 존재하는 2개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텍팅 유닛(140)은 커뮤니케이션 유닛(130)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디텍팅 유닛(140)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위치를 확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절대적인 위치를 필요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만을 디텍트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GPS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절대적 위치를 획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커뮤니케이션 유닛(130) 및 디텍팅 유닛(1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후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명령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모바일 디바이스(10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220),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커뮤니케이션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230) 및 디스플레이 유닛(220)과 커뮤니케이션 유닛(23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20)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2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220)은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220)은 터치 센시티브(sensitive)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유닛(220) 상에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220)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는 슬라이딩 터치 입력, 멀티 터치 입력, 롱-프레스 터치 입력, 숏-프레스 터치 입력, 드래그 터치 입력, 호버링(hovering) 입력 또는 플리킹(flicking) 터치 입력 등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나아가, 터치 센서는 터치 펜, 스타일러스 펜 등 다양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 또한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입력을 센싱한 결과를 프로세서(2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220)은 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23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커뮤니케이션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230)은 하나 이상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230)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유닛(230)은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통신,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or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23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 유닛(220) 및 커뮤니케이션 유닛(2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후술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명령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도 2에 미도시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메모리, 전력원, 하우징(housing), 오디오 수신 유닛, 오디오 출력 유닛, 위치 결정 유닛 또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싱 유닛은 가시 광선, 적외선, 자외선, 자기장 및/또는 음파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센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들은 제조사의 선택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형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들은 버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로세서(110, 21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구성도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도들은 하드웨어적인 구성 유닛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 유닛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각 구성 유닛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물리적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물리적 버튼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음성 수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음절, 단어 또는 문장 단위의 음성 인식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인식된 음절, 단어 또는 문장을 조합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이미지 센싱 유닛을 이용하여 이미지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터치 센싱 유닛을 포함하며, 터치 센싱 유닛에 입력된 터치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아울러,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상술한 입력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후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들은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테페이스 제공을 도시한다.
도 3a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는 제1 이미지(301)가 디스플레이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유저는 자신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제1 이미지(301)의 일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기 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유저는 제1 이미지(301)의 일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월페이퍼(wall paper)로서 사용하고 싶을 수도 있다.
도 3b에서,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디텍팅 유닛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인접하게 위치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인접하게 위치되었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밀착되었을 때에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인접하게 위치되었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의 모양, 크기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모델명 및/또는 고유 번호를 포함하고,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기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의 모양, 크기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정보가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301)를 편집하는 인터페이스(305)를 제1 이미지(301)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바이스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하여금 인터페이스(305)를 제공하게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305)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인터페이스(305)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이 원형인 경우, 원형의 인터페이스(305)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305)는 유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움직임으로써 발생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이의 위치의 변동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왼쪽 손을 위쪽으로 움직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위쪽으로 이동되면, 인터페이스(305) 또한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5)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305) 내의 제1 이미지(301)와 인터페이스(305) 바깥쪽의 제1 이미지(301)는 채도, 명도, 대비 및/또는 선명도가 상이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인터페이스(305)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인접하게 위치되면, 기설정된 위치에 인터페이스(305)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중앙이 인터페이스(305)의 초기 위치로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1 이미지(301) 중 인터페이스(305)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예를 들어, 인터페이스(305) 내의 제1 이미지(301))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미만이면 인터페이스(305)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305)를 제공한 후, 인터페이스(305) 내의 제1 이미지(301)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미러링(mirroring)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305)가 디스플레이된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를 초과하면 제1 이미지(301) 중 인터페이스(305)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301)의 부분 이미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송신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이미지를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부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2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b를 참조하여,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근접시킴으로써 인터페이스(305)를 호출할 수 있으며, 단순히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멀리 움직임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단순히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붙였다 뗌으로써, 사진을 복사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이의 거리 뿐만이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별도의 입력에 기초하여 부분 이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305) 내의 영역이 터치되면, 인터페이스(305) 내의 제1 이미지(301) 중의 부분 이미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제1 이미지(301)는 지도 이미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1 이미지(301)의 부분 이미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송신하는 대신,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지리적 좌표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즉, 제1 이미지(100)가 지도 이미지인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305)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좌표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 있다. 지리적 좌표를 수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수신된 좌표에 기초하여 길안내를 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305)를 제공함에 있어서 청각적 또는 촉각적 피드백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도 4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들과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이동을 도시한다.
도 4의 (a)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위치되고,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제1 이미지(301) 상에 인터페이스(305)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유저는 제1 이미지(301)의 다른 부분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전송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아래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동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305)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도 4의 (b)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으로 움직임으로써 인터페이스(305)의 위치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아래쪽으로 이동시켰다. 그러나, 유저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인터페이스(305)의 위치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인터페이스(305)의 이동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유저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든 인터페이스(305)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은 도 3a 및 도 5 내지 12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들과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5의 (a)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의 형태 및 크기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가 제1 이미지(30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유저는 좀 더 많은 부분 이미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도 5의 (b)에서,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움직임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킨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증가된 거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305)의 위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305)의 크기가 변경된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거리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변경된 인터페이스(305)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301)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후술하는 서브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모드에서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후술하는 서브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된 인터페이스(305) 내의 제1 이미지(301)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5의 (b)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이동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이동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고, 변경된 거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의 크기가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이동에 의한 거리 변경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이동에 의한 거리 변경은 서로 상이한 동작으로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이동에 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었을 때에만 변경된 거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들은 도 3a, 도 4 및 도 6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들과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5의 (b)와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음이 상술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301)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의 (a)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의 형태 및 크기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가 제1 이미지(301)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유저는 제1 이미지(301)를 확대하기 원할 수도 있다.도 6의 (b)에서, 유저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동시킴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킨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증가된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301)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이동에 의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면, 변경된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301)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305)가 디스플레이된 위치를 중심으로 제1 이미지(301)를 확대할 수도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이동에 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더라도 제1 이미지(301)가 확대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이미지(301)의 크기가 변경된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거리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305)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301)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후술하는 서브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301)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모드에서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후술하는 서브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 내의 제1 이미지(301)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송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이동에 의한 거리 변경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이동에 의한 거리 변경은 서로 상이한 동작으로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이동에 의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었을 때에만 변경된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301)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들은 도 3a 내지 도 5 및 도 7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들과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회전을 도시한다.
도 7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7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갖는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원형 또는 정사각형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의 (a)에서,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형태에 기초하여 직사각형의 인터페이스(305)를 제1 이미지(30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의 손목에 위치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각도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는 기울어진 상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는 인터페이스(305)를 회전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사이의 각도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7의 (b)에서, 유저는 손목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디바이스(100) 사이의 각도를 변경한다. 유저는 손목을 디스플레이 유닛(120)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상에서 회전시킨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변경된 각도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30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에는 유저가 손목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유저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인터페이스(305)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들은 도 3a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들과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의 전환을 도시한다.
도 8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분리되어 표시된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인접하게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일 수도 있다.
도 8의 (a)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제1 이미지(301)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인접하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위치됨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1 이미지(301) 상에 인터페이스(305)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유저는 제1 이미지(301)가 아닌 다른 이미지를 편집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도 8의 (b)에서, 유저는 손목을 중심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회전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회전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301) 대신 제2 이미지(302)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손목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손목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상이한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이웃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회전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변경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이웃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프로세싱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회전을 디텍트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회전을 디텍트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회전을 디텍트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과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은 도 3a 내지 도 7 및 도 9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동작과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305)와 함께 제1 이미지(301)에 대한 편집을 제공하는 서브 인터페이스(306)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미도시되었으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9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305)와 함께 제1 이미지(301)에 대한 편집을 제공하는 서브 인터페이스(306)를 제1 이미지(301)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인터페이스(306)는 인터페이스(305)의 둘레에 배열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서브 인터페이스(306)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배열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인터페이스(306)는 제1 이미지(301)의 편집을 위한 복수의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버튼들은, 예를 들어, 서브 인터페이스(306)의 각 버튼들은 제1 이미지(301)의 복사, 잘라내기(cropping), 제1 이미지(301)의 녹화, 녹화의 정지 및 인터페이스(305)의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서브 인터페이스(306)의 기능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서브 인터페이스(306)는 다양한 기능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인터페이스(306) 내의 복사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1 이미지(301) 중에서 인터페이스(305)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브 인터페이스(306)는 제1 이미지(301)에 대한 녹화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9와 관련하여 상술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동작들은 도 3a 내지 도 8 및 도 10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들과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녹화 방법을 도시한다.
도 9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서브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1 이미지(301)에 대한 녹화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녹화를 위한 입력에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305)의 내의 제1 이미지(301)의 녹화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정지를 위한 입력이 수신되면 녹화된 제1 이미지(301)의 동영상을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인터페이스(305)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제작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인접하게 위치시켜 인터페이스(305)를 디스플레이시킨 후, 제1 이미지(301)를 녹화하기 위한 입력을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입력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녹화를 위한 입력이 수신되면, 인터페이스(305) 내의 제1 이미지(301)를 녹화하기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동시킴으로써 인터페이스(305)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인터페이스(305)가 이동됨에 따라서, 인터페이스(305) 내의 제1 이미지(301)가 변화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305)의 위치의 변동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301)에 대한 동영상이 녹화된다. 녹화를 마친 유저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녹화의 정지를 위한 입력을 입력할 수도 있다. 녹화의 정지를 위한 입력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제1 이미지(301)에 대한 녹화를 정지하고, 녹화된 동영상을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유저는 수신된 동영상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월페이퍼(wall paper)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동작들은 도 3a 내지 도 9,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들과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이미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1101)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1102)한다. 디바이스 정보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크기, 형태, 해상도, 명칭 및/또는 고유 번호를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이미지를 편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1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1103)할 수 있다. 도 3a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이미지 중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에 기초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3a 내지 도 10 및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동작들과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송신(1201)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은 모바일 디바이스로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이동에 기초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1202)할 수 있다. 기설정된 입력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미지를 송신할 수 있음은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도 12와 관련하여 상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도 3a 내지 도 11과 관련하여 설명된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과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서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예시로써 이용되었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손목이 아닌 다른 신체 부위에 착용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대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가지고,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와는 상이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가진다. 따라서, 손목이 아닌 다른 부위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한 본 명세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상술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으로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은 디지털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서 사용 가능하고 반복 가능성이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20)

  1.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와 커뮤니케이션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디텍트하는 디텍팅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디텍팅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를 편집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미만이면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제1 이미지 중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의 크기를 변경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변경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면, 상기 변경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변경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서 회전시키는, 모바일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자의 손목에 착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손목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1 이미지를 제2 이미지로 변경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와 함께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제어를 제공하는 서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이미지의 복사, 상기 제1 이미지의 녹화, 상기 녹화의 정지 및 상기 인터페이스의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사를 위한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내의 상기 제1 이미지를 복사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녹화를 위한 입력에 수신되면 상기 인터페이스의 내의 상기 제1 이미지의 녹화를 시작하고,
    상기 정지를 위한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녹화된 상기 제1 이미지의 동영상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내의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미러링(mirroring)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 내의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내의 상기 제1 이미지를 복사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는 지도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도 이미지 상의 상기 인터페이스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좌표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의 모양, 크기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팅 유닛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이미지, 자기장, 전기장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 중 하나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를 디텍팅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7.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로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와 커뮤니케이션하는 커뮤니케이션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커뮤니케이션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유저에게 제공하게 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8.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제1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를 편집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제1 거리 미만이면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제1 이미지 중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0.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인접하게 위치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정보의 송신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유저에게 제공하게 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갖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동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77013787A 2014-12-05 2014-12-05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295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1871 WO2016088922A1 (ko) 2014-12-05 2014-12-05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544A true KR20170092544A (ko) 2017-08-11
KR102295823B1 KR102295823B1 (ko) 2021-08-31

Family

ID=5609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787A KR102295823B1 (ko) 2014-12-05 2014-12-05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61293B2 (ko)
KR (1) KR102295823B1 (ko)
WO (1) WO20160889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196A1 (ko) * 2021-05-11 2022-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장치들 간의 상대적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0967A (zh) * 2016-12-29 2017-06-13 深圳市宇恒互动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自适应屏显方法、系统及头戴设备
US11132167B2 (en) 2016-12-29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ing display of content on one or more secondary device by primary device
KR20200026798A (ko) * 2017-04-23 2020-03-11 오캠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웨어러블기기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991A (ko) * 2006-12-04 2008-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환경 기반의 엠비언트 서비스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20090076124A (ko) * 2008-01-07 2009-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40134556A (ko) * 2013-05-14 2014-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4705A1 (en) * 2012-03-20 2013-09-26 Wimm Labs, Inc. Multi-axis user interface for a touch-screen enabled wearable device
JP5737277B2 (ja) * 2012-12-13 2015-06-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A2898750C (en) * 2013-01-25 2018-06-26 Hai HU Devices and methods for the visu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sound
KR102148645B1 (ko) * 2013-03-15 2020-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497311B (zh) 2013-03-28 2015-08-21 Quanta Comp Inc 跨裝置通訊傳輸系統及其方法
KR102171444B1 (ko) * 2013-04-22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
CN203444251U (zh) * 2013-05-27 2014-02-19 上海科斗电子科技有限公司 设有蓝牙耳机固定结构的智能手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991A (ko) * 2006-12-04 2008-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환경 기반의 엠비언트 서비스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20090076124A (ko) * 2008-01-07 2009-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40134556A (ko) * 2013-05-14 2014-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196A1 (ko) * 2021-05-11 2022-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장치들 간의 상대적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8922A1 (ko) 2016-06-09
KR102295823B1 (ko) 2021-08-31
US20170353686A1 (en) 2017-12-07
US9961293B2 (en)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2595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53053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ordination among multiple devices
US1089100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be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452333B2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user interaction and method therefor
KR102153006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881925B1 (ko) 복수의 휴대 단말들을 이용하여 멀티 비전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17198B2 (en) Multi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410906B (zh) 使用擴增實境導航路徑之方法及使用該方法之行動終端機
US20150286288A1 (en) Flexible glas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22529921A (ja) アイテムを追跡及び発見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20140098384A (ko)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장치의 사운드 출력방법
CN103513895A (zh) 远程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TW201643661A (zh)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336445B1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시스템 및 그 디바이스
WO2013124914A1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295823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WO2013128989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JP6254803B2 (ja) 地図画像表示装置
US2016022413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149873A1 (zh) 智能交互方法、设备及系统
EP3287886B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53597A (ko) 디바이스에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그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20140119439A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지도 표시 장치 및 그 제공방법
JP2015049837A (ja) 携帯端末装置
JP7121260B2 (ja)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範囲指定方法及び画像処理範囲指定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