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525A - 연소기 및 가스 터빈 - Google Patents

연소기 및 가스 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525A
KR20170092525A KR1020177008068A KR20177008068A KR20170092525A KR 20170092525 A KR20170092525 A KR 20170092525A KR 1020177008068 A KR1020177008068 A KR 1020177008068A KR 20177008068 A KR20177008068 A KR 20177008068A KR 20170092525 A KR20170092525 A KR 20170092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urner
downstream side
ai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6080B1 (ko
Inventor
나오키 츠노다
사토시 다키구치
신지 아카마츠
다쿠 에가와
겐타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286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having fuel-air premix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 F23R3/04Air inlet arrangements
    • F23R3/10Air inlet arrangements for primary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0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having a turbine driving a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3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comprising fuel prevapour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35Combustors or associated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 Pre-Mixing And Non-Premixing Gas Burner (AREA)

Abstract

연소기(3)는 축선(P)을 따라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가 배열되는 제 1 버너와, 복수의 제 1 버너를 지지하는 지지 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류측을 향해 기판 공기를 유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34)이 형성된 기판(31)과, 제 1 버너에 대응하도록 복수가 기판(31)에 지지되고, 제 1 버너로부터 분출되는 예혼합 가스를 하류측을 향해 안내하는 연장관과, 관통 구멍(34)으로부터 분출되는 적어도 일부의 기판 공기의 방향을 기판(31)의 하류측으로 변향하는 기판 공기 안내부(3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연소기 및 가스 터빈{COMBUSTOR AND GAS TURBINE}
본 발명은 연소기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4년 10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4-205824 호, 및 일본 특허 출원 제 2014-205825 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를 원용한다.
가스 터빈 등에 이용되는 연소기에서는, 압축기로부터 보내진 압축 공기(연소용 공기)에 미리 연료를 혼합하여 혼합기(混合氣)를 생성하고, 이 혼합기를 연소시키는 예혼합 연소 방식이 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연소기로서는, 연소기의 축선 상에 마련된 제 2 버너와, 이제 2 버너에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제 1 버너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제 2 버너와 제 1 버너는 이들 직경에 대응하는 지지 개구가 형성된 기판에 지지되는 것에 의해, 연소기의 본체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기판에는 메인 노즐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배치된 타원 통 형상의 연장관이 마련되어 있다. 즉, 연장관에 의해서 기판 표면은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 1 버너는, 그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예혼합 가스를 생성하고, 이 예혼합 가스를 연소하는 것에 의해 연장관의 선단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화염을 형성한다.
여기서, 예혼합 연소 방식을 채용한 가스 터빈 연소기에서는, 혼합기의 유속이 낮은 영역(저속 영역)에 있어서, 화염이 혼합기의 흐름 방향에 역류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역화(逆火)라고 불리는 현상이 알려져 있다.
특히, 기판 상에서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연장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기판 공기가 하류측을 향해 유통할 뿐인 것에 더하여, 연소기의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를 향할수록, 예를 들면, 연소기 내통 등과의 마찰 저항이 생기므로, 기판 공기 유속의 손실이 커진다. 이에 의해, 예혼합 가스가 연장관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말려 들어가서 기판의 방향으로 역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즉, 연장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저속 영역에서 역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연장관의 근방에서 발생하는 역화의 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가스 터빈 연소기에서는, 연장관의 출구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을 타원에서 구형 형상으로 근접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연장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키고 있다. 즉, 해당 영역에서 형성되는 저속 영역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역화의 가능성이 저감한다고 여겨지고 있다.
일본 특허 제 4070758 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저속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에만 머물기 때문에, 여전히 저속 영역 자체는 존재한다. 따라서, 연장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을 향해 역류하는 예혼합 가스의 흐름 성분은 여전히 어느 정도 존재하게 된다.
즉, 연소기에서 발생하는 역화의 가능성 저감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는 새로운 개선의 여지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연소기 및 가스 터빈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연소기는,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가 배열되는 제 1 버너와, 상기 복수의 제 1 버너를 지지하는 지지 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류측을 향해 기판 공기를 유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제 1 버너에 대응하도록 복수가 상기 기판에 지지되고, 상기 제 1 버너로부터 분출되는 예혼합 가스를 하류측을 향해 안내하는 연장관과,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적어도 일부의 기판 공기의 방향을 상기 기판의 하류측으로 변향하는 기판 공기 안내부를 구비한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판의 하류측에 기판 공기 안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관통 구멍으로부터 분출된 기판 공기를, 기판의 하류측에 있어서의 소망한 영역을 향해 흐르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판 공기의 유량 배분을 적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태양에 따른 연소기에서는, 상기 기판 공기 안내부는,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기판 공기를 상기 기판보다 더욱 하류측을 향해 안내하여 분출하는 기판 공기 연장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판 공기 연장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관통 구멍으로부터 분출된 기판 공기를 기판보다 더욱 하류측을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장관으로부터 분출되는 예혼합 가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화염이 상류측의 기판을 향해 역류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2 태양에 따른 연소기에서는, 상기 기판 공기 연장부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관체(管體)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기판 공기 연장부로서 관통 구멍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관체가 이용된다. 또한, 관체는 기판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기판 공기를, 기판의 하류측을 향해서, 보다 확실히 안내하여 분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3 태양에 따른 연소기에서는, 상기 관체가 복수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관체의 내경은, 상기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관체만큼 작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일반적으로, 기판 상에서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일수록 예혼합 가스의 속도 손실이 크기 때문에, 역화의 가능성도 높은 것이 알려져 있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관체일수록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만큼, 관체를 유통하는 기판 공기의 유속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3 태양 또는 제 4 태양 중 하나의 태양에 따른 연소기에서는, 상기 복수의 관체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상기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관체가 됨에 따라 크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관체일수록,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 상에서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관체일수록, 기판 공기를 보다 하류측을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역화의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 의하면, 연소기는, 상기 복수의 관체끼리의 사이의 간극을 채우는 후육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관체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후육부에 의해 채워져 있다. 따라서, 이들 관체끼리의 사이의 간극을 향해 예혼합 가스가 역류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역화의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태양에 따른 연소기에서는, 상기 기판 공기 안내부는,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적어도 일부의 기판 공기의 방향을 상기 기판의 하류측으로 변향하는 기판 공기 변향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판의 하류측에 기판 공기 변향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관통 구멍으로부터 분출된 기판 공기를, 기판의 하류측에 있어서의 소망한 영역을 향해 흐르도록 변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판 공기의 유량 배분을 적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7 태양에 따른 연소기에서는, 상기 기판 공기 변향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칸막이 판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기판 공기 변향부로서, 기판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칸막이 판이 마련된다. 또한, 이 칸막이 판은 기판의 하류측의 면을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기판 공기를, 칸막이 판에 의해서 복수의 흐름으로 나누는 동시에, 소망한 방향으로 변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8 태양에 따른 연소기에서는, 상기 복수의 칸막이 판은 기판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축선으로부터 이간할 방향을 향해 점차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일반적으로, 기판 상에서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일수록 예혼합 가스의 속도 손실이 크기 때문에, 역화의 가능성도 높은 것이 알려져 있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 판에 의해서, 기판 공기가 흐를 방향을 축선으로부터 이간할 방향으로 변향하는 것에 의해, 예혼합 가스의 속도 손실을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0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8 태양 또는 제 9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따른 연소기에서는, 상기 칸막이 판은 상기 기판을 직경 방향에 따라 나누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구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구획일수록, 상기 관통 구멍이 마련되는 개수가 많아도 좋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구획일수록, 많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 상에서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구획일수록, 많은 기판 공기를 하류측을 향해 분출하게 하여 역화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8 태양 내지 제 10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따른 연소기에서는, 상기 칸막이 판은, 상기 기판을 직경 방향에 따라 나누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구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구획일수록,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 직경이 작아도 좋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관통 구멍일수록, 그 개구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관통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기판 공기의 유속을 올려서 역화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2 태양에 의하면, 상기 제 1 태양 내지 제 11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따른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버너에 의해서 상기 축선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이도록 상기 축선을 따라서 배치된 제 2 버너를 더욱 구비해도 좋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2 버너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제 1 버너에 대한 발화를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3 태양에 따른 가스 터빈은, 상기 제 1 태양 내지 제 12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따른 연소기와, 해당 연소기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 연소기에서 상기 예혼합 가스가 연소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 가스가 공급되는 터빈을 구비한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역화의 가능성이 저감된 연소기를 구비하므로, 보다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한 가스 터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소기 및 가스 터빈에 의하면, 역화의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개략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의 주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의 주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 개략도,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Ⅹ-Ⅹ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의 주요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스 터빈(1)은, 다량의 공기를 내부에 도입해 압축하는 압축기(2)와, 이 압축기(2)에서 압축된 압축 공기(A)에 연료를 혼합해 연소시키는 연소기(3)와, 연소기(3)로부터 도입된 연소 가스(G)의 열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하는 터빈(4)을 구비하여 있다.
압축기(2) 및 터빈(4)은, 서로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로터(5)와, 로터(5)의 외주측을 둘러싸는 스테이터(6)를 구비하여 있다. 로터(5)는, 회전축(7)과 축선(O)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환상 동익군(8)을 갖고 있다. 각각의 환상 동익군(8)은 회전축(7)의 외주에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6)는 각각 케이싱(9)과, 케이싱(9) 내에 있어서 축선(O)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된 복수의 환상 정익군(10)을 구비하여 있다. 환상 정익군(10)은 각각의 케이싱(9) 내면에,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는 복수의 정익을 갖고 있다.
환상 정익군(10)은 각각, 복수의 환상 동익군(8)과 축선(O)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3)는 케이싱(9)의 내부에 수용된 내통(13)과, 이 내통(13)의 외주측을 덮는 외통(14)을 구비하여 있다.
내통(13)은 중공의 관형 부재이다. 내통(13)의 하류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미통(尾筒)이 접속되어 있다. 미통은, 내통(13) 및 외통(14)과 마찬가지로, 중공 관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미통의 내부에서는, 연소기(3)에 의해서 형성되는 화염이 보염된다.
또한, 외통(14)은 관형상을 이루는 외통 본체(14A)와, 이 외통 본체(14A)의 일방측의 단부를 지지하는 플랜지 형상의 외통 기부(14B)를 갖고 있다. 내통(13)은, 복수의 고정 부재(12)에 의해서 외통 기부(14B)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외통(14)의 내주면과 내통(13)의 외주면 사이에는, 압축 공기(A)가 유통하는 공기 유로(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 유로(15)에 유입한 압축 공기(A)는, 외통(14)의 저부 부분의 반전부(16)에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내통(13)의 내부에 공급된다. 또한, 상술의 고정 부재(12)는 연소기(3)의 둘레 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고정 부재(12, 12)끼리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압축 공기(A)는 이 간극을 통해서 내통(13)의 내부에 집어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소기(3)는 내통(13) 내에 제 2 버너(20)와, 제 1 버너(21)를 구비하여 있다. 제 2 버너(20)는, 내통(13)의 축선(P)에 따라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2 버너(20)는 후술하는 복수의 제 1 버너에 의해서 축선(P)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여 있다. 제 2 버너(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파일럿 노즐(22)로부터 분사한다. 파일럿 노즐(22)로부터 분사된 연료에 발화하는 것에 의해 화염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버너(20)에는 파일럿 콘(23)이 마련되어 있다. 파일럿 콘(23)은 파일럿 노즐(22)의 외주측을 둘러싸는 통 형상의 부재이다. 게다가, 파일럿 콘(23)은 파일럿 노즐(22)의 근방부터 하류측에 걸쳐서, 그 내경 치수가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 테이퍼 콘부(24)를 갖고 있다. 테이퍼 콘부(24)는 화염의 확산 범위, 방향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보염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 2 버너(20)는 그 상류측에 파일럿 스월러(pilot swirler)(30)를 구비하여 있다. 상세하게는 도시되지 않지만, 파일럿 스월러(30)는 제 2 버너(20)의 내부에서 축선(P)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스월 베인(swirl vane)을 등간격으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장치이다. 각각의 스월 베인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축선(P)에 대해서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파일럿 스월러(30)를 통과한 압축 공기(A)는, 스월 베인에 의한 선회 성분이 부가되어 선회류가 된다.
또한, 내통(13)의 내측에는 복수의 제 1 버너(21)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버너(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4개의 제 1 버너(21, 21, 21, 21)가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버너(21)는, 제 2 버너(20)의 외주측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 1 버너(21)는 내통(13)의 축선(P)을 따라 연장되는 것에 의해, 상술의 제 2 버너(20)와 평행을 이루고 있다.
제 1 버너(21)의 선단부에는, 메인 노즐(25)이 마련되어 있다. 메인 노즐(25)은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함에 따라, 즉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그 외형이 점차 축소하도록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제 1 버너(21)의 외주측에는 연장관(26)이 마련되어 있다. 연장관(26)은 제 1 버너(21)를 외주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하여,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연장관(26)에 있어서의, 제 1 버너(21)와 접속되는 측의 단부는, 제 1 버너(2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여, 원형으로 되어 있다.
반면에, 축선(P)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볼 때, 연장관(26)의 벽면 중, 파일럿 콘(23)에 근접하는 측의 벽면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축선(P)으로부터 이간하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연장관(26)의 하류측에 있어서의 개구부(27)는, 축선(P) 방향으로부터 바라볼 때,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이 단면을 이루는 타원에 있어서의, 파일럿 콘(23)의 테이퍼 콘부(24)에 근접하는 측의 부분은, 테이퍼 콘부(24)의 외부 가장자리를 이루는 원호를 따르도록 함몰되어 있다. 반면에, 내통(13)에 근접하는 측의 부분은, 내통(13)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하여 완만하게 만곡되면서 돌출하여 있다. 즉, 연장관(26)의 단면 형상은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원형에서 점차 변형하여, 일 방향으로 만곡한 타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연장관(26)의 내측의 영역은, 압축 공기(A)가 흐르기 위한 주 유로(28)로 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버너(21)는 제 2 버너(20)와 마찬가지로, 연장관(26)의 내측에 마련된 메인 스월러(29)를 구비하여 있다. 메인 스월러(29)를 통과한 압축 공기(A)는, 스월 베인에 의한 선회 성분이 부가되어 선회류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버너(21)에 대해서, 도시되지 않은 연료 분사 구멍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한다. 연료 분사 구멍은 예를 들면, 메인 스월러(29)에 마련되어 있다.
분사된 연료는, 내통(13) 내의 압축 공기(A)와 혼합하여, 예혼합 가스(F)를 생성한다. 메인 스월러(29)에 의해 생성된 선회류에 의해서, 예혼합 가스(F)는 제 1 버너(21)를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주 유로(28) 내를 하류측을 향해 흐른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2 버너(20)와 제 1 버너(21)는, 각각 기판(31)에 의해 지지되어, 내통(13)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31)은 내통(13)의 단면 형상에 대응해 형성된, 대체로 원형의 판 형상 부재이다. 기판(31)의 중심점을 포함한 영역에는, 제 2 버너(20)를 그 둘레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하여 지지하는 제 2 버너 지지 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버너 지지 개구(32)는 제 2 버너(20)의 외경 치수에 대응하는 개구 직경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제 2 버너 지지 개구(32)의 둘레 방향 외측에는, 복수(4개)의 제 1 버너(21, 21, 21, 21)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버너 지지 개구(33, 33, 33, 33)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4개) 형성되어 있다. 제 1 버너 지지 개구(33)는 제 2 버너 지지 개구(32)와 마찬가지로, 제 1 버너(21)를 그 둘레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하여 지지한다.
또한, 기판(31)에는, 주 유로(28) 내를 유통하는 압축 공기(A)[기판 공기(A)]를 유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관통 구멍(34)이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들 복수의 관통 구멍(34)은 서로 이웃하는 제 1 버너 지지 개구(33)끼리의 사이의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관통 구멍(34)은, 제 1 버너 지지 개구(33) 또는 제 2 버너 지지 개구(32)보다 작은 개구 직경을 갖고 있다.
기판(31) 상에서 관통 구멍(34)이 마련되는 정확한 위치나 개수는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34)은, 일례로서 기판(31)의 중심[축선(P)]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간됨에 따라, 점차 그 수가 증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심으로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는, 1개의 관통 구멍(3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1개씩 개수가 증가한다. 즉,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을 향해 세어서 2번째의 위치에서는, 2개의 관통 구멍(34)이 마련되어 있다. 3번째(n번째)의 위치에는, 3개(n개)의 관통 구멍(34)이 마련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34)에는, 이들 복수의 관통 구멍(34)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도록 하여, 기판 공기 연장부(35)(기판 공기 안내부)가 마련되어 있다(도 10 참조). 기판 공기 연장부(35)는 관통 구멍(34)을 통해서 기판(31)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분출되는 압축 공기(A)[기판 공기(A)]를, 기판(31)보다 더욱 하류측을 향해 안내하여 분출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판 공기 연장부(35)는, 기판(31)의 하류측의 면으로부터 축선(P)을 따라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관체(3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관체(36)의 내경 치수는, 관통 구멍(34)의 개구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관체(36)의 내부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쳐서, 개구 직경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다.
게다가, 이들 복수의 관체(36)는 기판(31)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장관(26)의 개구부(27)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관체(36)의 하류측의 단부는 연장관(26)의 개구부(27)보다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관체 중, 축선(P)에 근접하는 측에 마련된 관체(36)는, 다른 관체(36)와 비교해 그 축선(P)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파일럿 콘(23)의 테이퍼 콘부(24)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여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연소기(3)에서는, 기판 공기 연장부(35)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관통 구멍(34)으로부터 분출된 기판 공기(A)를 기판(31)보다 더욱 하류측을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장관(26)으로부터 분출되는 예혼합 가스(F)에 의해서 형성되는 화염이 상류측의 기판(31)을 향해 역류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역화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 공기 연장부(35)가 마련되지 않은 연소기(3)의 내부에서는, 예혼합 가스(F)의 유속이 낮은 영역(저속 영역)이 생기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저속 영역에서는, 화염이 상류측에 역류하는 것에 의해, 역화[플래시백(flashback)]로 불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기판(31) 상에서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연장관(26)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기판 공기가 하류측을 향해 유통할 뿐인 것에 더하여, 연소기(3)의 축선(P)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로 향할수록, 기판 공기의 유속의 손실이 커진다. 이에 의해, 예혼합 가스(F)가 연장관(26)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말려 들어가서 기판(31)의 방향에 역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즉, 연장관(26)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저속 영역에서 역화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3)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기판 공기 연장부(35)[관체(36)]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러한 저속 영역에 대해서, 고속의 기판 공기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저속 영역에 있어서의 유속을 높이는 것에 의해 화염이 역류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연소기(3)에서 발생하는 역화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기판 공기 연장부(35)로서 관통 구멍(34)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관체(36)가 이용된다. 또한, 관체(36)는 기판(31)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34)으로부터 분출되는 기판 공기(A)를 기판(31)의 하류측을 향해 보다 확실히 안내하여 분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판 공기 연장부(35)의 변형예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기판 공기 연장부(35)는, 축선(P)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관체(36)일수록, 그 내경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게다가, 관체(36)의 축선(P)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축선(P)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관체(36)일수록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내통(13)의 근방에서는 압축 공기(A)[기판 공기(A)]의 유속 저하가 현저하게 보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내통(13)의 근방, 즉 축선(P)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일수록 역화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렇지만, 본 변형예에 따른 기판 공기 연장부(35)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축선(P)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관체일수록, 그 내경이 작게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축선(P)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 공기의 유속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게다가, 기판 공기 연장부(35)로부터 기판 공기가 분출되는 위치를 더욱 하류측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역화의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3)에서는, 기판 공기 연장부(35)가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점에서 상술의 제 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공기 연장부(35)는, 기판(31)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마련된 복수의 관체(36)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채우는 후육부(37)를 구비하여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육부(37)는 기판(31)의 하류측의 면으로부터, 관체(36)의 하류측 단부에 이르기까지의 치수와 대략 동일한 만큼 연장되도록 일체에 형성된 부재이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공기 연장부(35)의 외형은, 일방의 면으로부터 타방의 면을 향해 관통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두꺼운 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기판 공기 연장부(35)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일체로 형성된 블록 형상의 금속 재료 등에 다수의 구멍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관체(36)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중실로 형성된 후육부(37)에 의해 채워져 있다. 따라서, 이들 관체(36)끼리의 사이의 간극을 향해 예혼합 가스(F)가 역류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역화의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판(31)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34), 및 이에 대응하는 관체(36)의 개구 형상은 원형인 것으로서 설명을 하였다. 그렇지만, 이들 부재의 개구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관체(36)의 내부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쳐서, 개구 직경이 일정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하였다. 그렇지만, 관체(36)의 개구 직경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개구 직경이 증대,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13)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판(131)에는, 주 유로(128) 내를 유통하는 압축 공기(A)[기판 공기(A)]를 유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관통 구멍(134)이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들 복수의 관통 구멍(134)은 서로 이웃하는 제 1 버너 지지 개구(133)끼리의 사이의 영역(S)에 마련되어 있다. 영역(S)은, 제 2 버너 지지 개구(132)의 원호, 인접하는 제 1 버너 지지 개구(133, 133)끼리의 원호, 및 기판(131)의 윤곽선을 이루는 원호 각각에 의해 둘러싸인 대략 삼각 형상의 영역이다. 각각의 관통 구멍(134)은 제 1 버너 지지 개구(133) 또는 제 2 버너 지지 개구(132)보다 작은 개구 직경을 갖고 있다.
기판(131) 상의 영역(S) 내에서 관통 구멍(134)이 마련되는 정확한 위치나 개수는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구멍(134)은, 일례로서 기판(131)의 중심[축선(P)]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간됨에 따라, 점차 그 수가 증가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영역(S)에 대해 중심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는, 1개의 관통 구멍(13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1개씩 개수가 증가한다. 즉, 중심으로부터 직경 방향을 향해 세어서 2번째의 위치에서는, 2개의 관통 구멍(134)이 마련되어 있다. 3번째(n번째)의 위치에는, 3개(n개)의 관통 구멍(134)이 마련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기판(131) 상의 영역(S)에는, 기판 공기 변향부(135)(기판 공기 안내부)로서 복수의 칸막이 판(136)이 마련되어 있다(도 10 참조). 이들 칸막이 판(136)은 기판(131) 상의 영역(S)을 직경 방향을 따라서 나열된 복수의 구획 S1, S2, S3, S4로 나누어져 있다.
이러한 구획 S1 내지 S4에는, 각각 1개 내지 4개씩의 관통 구멍(134)이 배치되어 있다. 즉, 구획(S1)에는 1개의 관통 구멍(134)이 마련되고, 구획(S2)에는 2개의 관통 구멍(134, 134)이 마련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구획(S3)에는 3개의 관통 구멍(134)이 마련되고, 구획(S4)에는 4개의 관통 구멍(134)이 마련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4열의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들 관통 구멍(134)이 이루는 열의 사이의 영역에는, 3개의 칸막이 판(136, 136, 136)이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이들 복수(3개)의 칸막이 판(136, 136, 136)은, 각각 축선(P) 방향에서 바라볼 때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만곡한 원호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모두 축선(P)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호를 이루고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선(P)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경우,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칸막이 판(136)은 축선(P)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 즉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점차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칸막이 판(136)은 그 연장 중에, 축선(P)을 향해 만곡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이들 칸막이 판(136) 중,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칸막이 판(136)일수록,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만곡되는 정도가 강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칸막이 판(136)은, 기판(131)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연장관(126)의 개구부(127)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칸막이 판(136)의 하류측의 단부는 연장관(126)의 개구부(127)보다 약간 상류측에 위치하여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연소기(13)에서는, 기판(131)의 하류측에 기판 공기 변향부(135)로서의 칸막이 판(136)이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관통 구멍(134)로부터 분출된 기판 공기(A) 중 적어도 일부의 성분을, 기판(131)의 하류측에 있어서의 소망한 영역(예를 들면 저속 영역)을 향해 흐르도록 변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판 공기(A)의 유량 배분을 적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관(126)으로부터 분출되는 예혼합 가스(F)에 의해서 형성되는 화염이 상류측의 기판(131)을 향해 역류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역화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 공기 변향부(135)가 마련되지 않은 연소기(13)의 내부에서는, 예혼합 가스(F)의 유속이 낮은 영역(저속 영역)이 생기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저속 영역에서는, 화염이 상류측으로 역류하는 것에 의해, 역화(플래시백)로 불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기판(131) 상에서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연장관(126)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S)에서는, 기판 공기(A)가 하류측을 향해 유통할 뿐인 것에 더하여, 연소기(13)의 축선(P)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로 향할수록, 기판 공기(A)의 유속의 손실이 커진다. 이에 의해, 예혼합 가스(F)가 연장관(126)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말려 들어가서 기판(131)의 방향으로 역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즉, 연장관(126)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저속 영역에서 역화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연소기(13)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기판 공기 변향부(135)[칸막이 판(136)]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역화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기판 공기 변향부(135)로서 관통 구멍(134)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칸막이 판(136)이 이용된다. 또한, 칸막이 판(136)은 기판(131)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134)으로부터 분출되는 기판 공기(A)를 기판(131)의 하류측을 향해 보다 확실히 안내하여 분출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
계속해서, 상술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연소기(13)에서는, 축선(P)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관통 구멍(134)일수록, 그 내경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내통(113)의 근방에서는 압축 공기(A)[기판 공기(A)]의 유속 저하가 현저하게 보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내통(113)의 근방, 즉 축선(P)으로부터 이간한 위치일수록 역화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렇지만, 본 변형예에 따른 연소기(13)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축선(P)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관통 구멍(134)일수록, 그 내경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축선(P)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관통 구멍(134)일수록, 기판 공기(A)를 보다 고속으로 분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혼합 가스(F)가 역류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역화의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칸막이 판(136)의 축선(P)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대략 동일한 것으로 하였다. 그렇지만, 칸막이 판(136)의 축선(P)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축선(P)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칸막이 판(136)일수록 크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축선(P)으로부터 이간하는 칸막이 판(136)일수록, 기판 공기(A)를 더욱 하류측을 향해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역화의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기판(131)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134)의 개구 형상은 원형인 것으로서 설명을 하였다. 그렇지만, 이들 부재의 개구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 판(136)의 두께[연소기(13)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쳐서 일정한 것으로서 설명을 하였다. 그렇지만, 칸막이 판(136)의 두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두께가 증대,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게다가,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칸막이 판(136) 중,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칸막이 판(136)일수록,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크게 만곡되고 있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특히, 어느 칸막이 판(136)도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만곡되고 있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렇지만, 칸막이 판(136)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의 칸막이 판(136)은 만곡되지 않고, 축선(P)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버너(12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4개의 제 1 버너(121)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제 1 버너(121)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8개 등의 복수이면 다른 수량이라도 좋다.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연소기에 있어서의 역화의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1 : 가스 터빈 2 : 압축기
3 : 연소기 4 : 터빈
5 : 로터 6 : 스테이터
7 : 회전축 8 : 환상 동익군
9 : 케이싱 10 : 환상 정익군
12 : 고정 부재 13 : 내통
14 : 외통 15 : 공기 유로
16 : 반전부 20 : 제 2 버너
21 : 메인 노즐 22 : 파일럿 노즐
23 : 파일럿 콘 24 : 테이퍼 콘부
25 : 메인 노즐 26 : 연장관
27 : 개구부 28 : 주 유로
29 : 메인 스월러 30 : 파일럿 스월러
31 : 기판 32 : 제 2 버너 지지 개구
33 : 제 1 버너 지지 개구 34 : 관통 구멍
35 : 기판 공기 연장부 36 : 관체
37 : 후육부 135 : 기판 공기 변향부
136 : 칸막이 판 S : 영역
S1 내지 S4 : 구획 A : 압축 공기(기판 공기)
F : 예혼합 가스 G : 연소 가스
O : 축선 P : 축선

Claims (13)

  1.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가 배열되는 제 1 버너와,
    상기 복수의 제 1 버너를 지지하는 지지 개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류측을 향해 기판 공기를 유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제 1 버너에 대응하도록 복수가 상기 기판에 지지되어서, 상기 제 1 버너로부터 분출되는 예혼합 가스를 하류측을 향해 안내하는 연장관과,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적어도 일부의 기판 공기의 방향을 상기 기판의 하류측으로 변향하는 기판 공기 안내부를 구비하는
    연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공기 안내부는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기판 공기를 상기 기판보다 더욱 하류측을 향해 안내하여 분출하는 기판 공기 연장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연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공기 연장부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서,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관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연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가 복수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관체의 내경은, 상기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관체일수록 크게 설정되어 있는
    연소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체의 상기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상기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관체가 됨에 따라 크게 설정되어 있는
    연소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체끼리의 사이의 간극을 채우는 후육부를 더 구비하는
    연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공기 안내부는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적어도 일부의 기판 공기의 방향을 상기 기판의 하류측으로 변향하는 기판 공기 변향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연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공기 변향부는 상기 기판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연장되는 칸막이 판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연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칸막이 판은 기판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을 향해 점차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연소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판은 상기 기판을 직경 방향을 따라 나누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구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구획일수록, 상기 관통 구멍이 마련되는 개수가 많은
    연소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판은 상기 기판을 직경 방향을 따라 나누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의 구획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축선으로부터 이간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구획일수록, 상기 관통 구멍의 개구 직경이 작은
    연소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버너에 의해서 상기 축선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이도록 상기 축선을 따라 배치된 제 2 버너를 더 구비하는
    연소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 연소기에서 상기 예혼합 가스가 연소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연소 가스가 공급되는 터빈을 구비하는
    가스 터빈.
KR1020177008068A 2014-10-06 2015-10-05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101906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5824 2014-10-06
JPJP-P-2014-205825 2014-10-06
JP2014205824 2014-10-06
JP2014205825 2014-10-06
PCT/JP2015/078253 WO2016056521A1 (ja) 2014-10-06 2015-10-05 燃焼器、ガスタービ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525A true KR20170092525A (ko) 2017-08-11
KR101906080B1 KR101906080B1 (ko) 2018-10-08

Family

ID=55653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068A KR101906080B1 (ko) 2014-10-06 2015-10-05 연소기 및 가스 터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20986B2 (ko)
JP (1) JP6271029B2 (ko)
KR (1) KR101906080B1 (ko)
CN (1) CN106687747B (ko)
DE (1) DE112015004573B4 (ko)
WO (1) WO2016056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34359B2 (ja) * 2017-08-21 2021-09-15 三菱パワー株式会社 燃焼器及びその燃焼器を備えるガスタービン
FR3080437B1 (fr) * 2018-04-24 2020-04-17 Safran Aircraft Engines Systeme d'injection pour une chambre annulaire de combustion de turbomachine
KR102142140B1 (ko) * 2018-09-17 2020-08-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노즐,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및 가스 터빈
EP3637000A1 (en) * 2018-10-11 2020-04-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Gas turbine burner for reactive fuels
JP7245150B2 (ja) * 2019-12-16 2023-03-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DE112021003888T5 (de) * 2020-10-07 2023-05-04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Gasturbinenbrennkammer und gasturbine
CN114517920B (zh) * 2020-11-19 2023-08-08 中国航发商用航空发动机有限责任公司 喷射装置、燃烧室头部、燃烧室和航空发动机
CN113864823B (zh) * 2021-11-09 2022-08-26 滨州学院 涡轮发动机循环加热多级燃烧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4232A (ja) * 2001-06-29 2003-01-15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05114318A (ja) * 2003-10-10 2005-04-28 Petroleum Energy Center バーナ
JP2012154588A (ja) * 2011-01-27 2012-08-16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441A (ja) * 2000-04-10 2001-10-19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DE10051221A1 (de) * 2000-10-16 2002-07-11 Alstom Switzerland Ltd Brenner mit gestufter Brennstoff-Eindüsung
JP2005114193A (ja) * 2003-10-03 2005-04-28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4070758B2 (ja) * 2004-09-10 2008-04-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7316117B2 (en) * 2005-02-04 2008-01-08 Siemens Power Generation, Inc. Can-annular turbine combustors comprising swirler assembly and base plate arrangements, and combinations
US7415826B2 (en) * 2005-07-25 2008-08-26 General Electric Company Free floating mixer assembly for combustor of a gas turbine engine
US8127550B2 (en) * 2007-01-23 2012-03-06 Siemens Energy, Inc. Anti-flashback features in gas turbine engine combustors
US8387394B2 (en) 2007-07-09 2013-03-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Gas-turbine burner
US8113000B2 (en) * 2008-09-15 2012-02-14 Siemens Energy, Inc. Flashback resistant pre-mixer assembly
US8424311B2 (en) * 2009-02-27 2013-04-23 General Electric Company Premixed direct injection disk
US8387393B2 (en) * 2009-06-23 2013-03-05 Siemens Energy, Inc. Flashback resistant fuel injection system
JP6021108B2 (ja) * 2012-02-14 2016-11-02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4232A (ja) * 2001-06-29 2003-01-15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05114318A (ja) * 2003-10-10 2005-04-28 Petroleum Energy Center バーナ
JP2012154588A (ja) * 2011-01-27 2012-08-16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87747B (zh) 2019-08-02
US20170307219A1 (en) 2017-10-26
US10920986B2 (en) 2021-02-16
JPWO2016056521A1 (ja) 2017-09-14
DE112015004573T5 (de) 2017-06-14
JP6271029B2 (ja) 2018-01-31
DE112015004573B4 (de) 2022-10-13
CN106687747A (zh) 2017-05-17
WO2016056521A1 (ja) 2016-04-14
KR101906080B1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080B1 (ko) 연소기 및 가스 터빈
EP2466205B1 (en) Combustor
JP6422412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8033821B2 (en) Premix burner for a gas turbine
US9518740B2 (en) Axial swirler for a gas turbine burner
EP2375163B1 (en) Segmented annular ring-manifold quaternary fuel distributor
EP2436979A1 (en) Burner for a gas turbine
CN106247405B (zh) 用于低排放燃烧器的预成膜鼓风(pab)引导器
JP2010223577A (ja) スワーラ、少なくとも1つのスワーラを備えたバーナにおける逆火の防止方法およびバーナ
JP2010223577A6 (ja) スワーラ、少なくとも1つのスワーラを備えたバーナにおける逆火の防止方法およびバーナ
JP2010223577A5 (ko)
US9926845B2 (en) Combustor and gas turbine
JP2011196681A (ja) 予混合一次燃料ノズルアセンブリを有する燃焼器
EP2685161A1 (en) Combustor arrangement, especially for a gas turbine
JP6723768B2 (ja) バーナアセンブリ、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WO2015080131A1 (ja) ノズル、燃焼器、及びガスタービン
US8950187B2 (en) Premix burner of the multi-cone type for a gas turbine
JP6318443B2 (ja) 燃焼器、及び回転機械
EP3465009B1 (en) Fuel nozzle for a gas turbine with radial swirler and axial swirler and gas turbine
JP6417620B2 (ja) 燃焼器、ガスタービン
EP3821174B1 (en) Gas turbine burner with pilot fuel-air mixing
EP3617599A1 (en) Burner with improved air-fuel mixing
JP2005195263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