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463A -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463A
KR20170092463A KR1020170013807A KR20170013807A KR20170092463A KR 20170092463 A KR20170092463 A KR 20170092463A KR 1020170013807 A KR1020170013807 A KR 1020170013807A KR 20170013807 A KR20170013807 A KR 20170013807A KR 20170092463 A KR20170092463 A KR 20170092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touch panel
control board
detour
pane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스케 오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92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4Force feedback applied to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텐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진동 피드백 제어를 실시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는, 조작면에 대한 물리적인 조작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 기구 (20) 와, 터치 패널 기구 (20) 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 기구 (20) 에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기판 (6) 과, 터치 패널 기구 (20) 와 제어 기판 (6) 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플랫 케이블 (7) 을 구비하고 있다. 플랫 케이블 (7) 은, 터치 패널 기구 (20) 로부터 제어 기판 (6) 에 걸쳐 터치 패널 기구 (20) 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회부를 갖고, 우회부는, 제어 기판 (6) 을 따라 우회하기 위한 굽힘각으로 굴곡된 굴곡부 (7a) 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FLAT CABLE WIRING STRUCTURE}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면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부여 기구를 구비한 조작 장치에 적용되는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조작면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부여 기구를 구비한 조작 장치의 일례로는, 푸시 조작 가능한 터치 패널 장치와, 터치 패널 장치가 조작 입력을 접수하였을 때, 조작자의 손가락에 대해 진동 자극 조작감을 정시 (呈示) 하는 촉각 정시 장치를 구비한 조작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조작 장치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수지제의 보디에 터치 패널 장치 및 촉각 정시 장치를 장착하고 있으며, 보디의 하방 개구에 수지제의 커버체를 조임 고정시킴으로써, 커버체 및 보디 사이에는 필요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커버체의 상면에는, 커넥터를 탑재한 제어 기판이 설치되어 있고, 커버체 및 보디 사이의 공간 내에는, 플렉시블한 플랫 케이블이 S 자상으로 우회 배선되어 있고, 플랫 케이블을 통하여 제어 기판과 터치 패널 장치의 터치 센서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81809호
이 종류의 조작 장치는, 플랫 케이블을 터치 센서 기판으로부터 제어 기판에 걸쳐 보디의 내부에 S 자상으로 우회하여 배선하고 있어, 플랫 케이블의 상하 방향으로 텐션이 가해져 있다.
그 구조상, 촉각 정시 장치의 작동에 의해 터치 패널 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진동 피드백시키면, 플랫 케이블의 텐션의 영향을 받으면서, 터치 패널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플랫 케이블의 텐션에 의해 터치 패널 장치의 진동 높이가 불안정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터치 패널 장치의 진동 높이의 제어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대책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텐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진동 피드백 제어를 실시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작면에 대한 물리적인 조작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 기구와, 상기 조작 기구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기구에 진동을 부여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기판과, 상기 조작 기구와 상기 제어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플랫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조작 기구로부터 상기 제어 기판에 걸쳐 상기 조작 기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회부를 갖고, 상기 우회부는, 상기 제어 기판을 따라 우회하기 위한 굽힘각으로 굴곡된 굴곡부를 가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로는, 상기 우회부는, 상기 조작 기구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제어 기판을 향하여 아래로 늘어지는 제 1 우회부와, 상기 제어 기판의 이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우회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제 1 우회부와 상기 제 2 우회부가 교차하는 부위를 절곡시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로는, 상기 굴곡부는, 상기 조작 기구에 진동을 부여하였을 때, 상기 제어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우회부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랫 케이블의 텐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진동 피드백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형적인 촉각 정시 기구를 구비한 조작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작 장치에 적용되는 플랫 케이블을 장치 내부에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 은 촉각 정시 기구를 작동시켰을 때의 플랫 케이블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조작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 에 있어서, 전체를 나타내는 부호 1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조작 장치의 구성 부품을 모식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시예에 의한 조작 장치 (1) 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공조 장치, 오디오 장치나 네비게이션 장치 등의 차재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차량용 터치 패널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조작 장치 (1) 는, 예를 들어 차실 내의 도시되지 않은 센터 콘솔 등의 운전석 주변부에 배치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도시를 생략한 디스플레이에 배선을 통하여 접속된다.
조작 장치 (1) 는, 푸시 조작 가능한 터치 패널 기구 (20) 와, 터치 패널 기구 (20) 가 조작 입력을 접수하였을 때, 조작자의 손가락에 대해 진동 자극 조작감을 정시하는 촉각 정시 기구 (40) 를 구비하고 있고, 조작자의 손가락으로 터치 패널을 터치 조작하면,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의 표면 상의 위치가 터치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이 위치에 대응한 위치 검출 신호가 디스플레이 상의 항목 버튼을 선택 결정하는 원격 조작식의 입력 장치로서 구성된다.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케이스상으로 형성된 수지제의 보디 (2) 에는, 터치 패널 기구 (20) 및 촉각 정시 기구 (40) 의 각각의 구성 부품이 장착된다. 보디 (2) 의 하방 개구를 덮는 수지제의 커버체 (3) 를 도시되지 않은 비스에 의해 조임 고정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기구 (20) 및 촉각 정시 기구 (40) 를 일체화한 조작 장치 (1) 가 구성된다.
보디 (2) 의 일측부에는, 제 1 ∼ 제 3 의 3 개의 조작 노브 (4, 4, 4) 가 일렬로 형성된다. 보디 (2) 의 타측부에는 제 4 조작 노브 (5) 가 형성된다. 제 1 ∼ 제 4 조작 노브 (4, 5) 의 각각은, 도시되지 않은 푸셔를 통하여 제어 기판 (6) 에 탑재된 푸시 스위치 (4a, 5a) 를 온 오프 조작할 수 있게 배치된다.
(터치 패널 기구의 구성)
터치 패널 기구 (20) 는, 조작면에 대한 물리적인 조작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조작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고, 터치 센서 기판 (23) 과 시트상의 터치 패널 (24) 을 도전성 테이프 (25) 에 의해 접합한 상태에서, 수지제의 평면 사각형상의 베이스 (21) 와 수지제의 사각형 프레임상의 프레임 (22) 사이에 장착된다. 또한, 물리적인 조작으로는, 예를 들어 조작면에 대한 푸시 조작을 들 수 있다.
터치 센서 기판 (23) 은, 예를 들어 정전 용량을 검출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이며, 터치 센서 기판 (23) 에 탑재된 커넥터 (23a) 가 플렉시블한 플랫 케이블 (7) 을 통하여 제어 기판 (6) 에 탑재된 커넥터 (6a)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기판 (6) 은, 터치 패널 기구 (20) 및 촉각 정시 기구 (40) 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등을 구성하고 있고, 터치 센서 기판 (23) 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 (24) 에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회로를 갖고 있다.
일방의 터치 패널 (24) 은, 시일성을 갖는 양면 테이프 (26) 를 개재하여 프레임 (22) 의 프레임부 (22a) 의 이면에 접합되고, 그 프레임부 (22a) 의 개구에 조작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푸시 조작 가능하게 배치된다.
터치 패널 기구 (20) 의 외주 부분에는, 사각형 프레임상의 실드 부재 (27) 가 덮도록 배치된다. 이 실드 부재 (27) 는, 제어 기판 (6) 의 접지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베이스 (21) 의 상면에는, 클릭 부재 (28) 를 통하여 터치 센서 기판 (23) 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클릭 부재 (28) 는, 베이스 (21) 에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부를 통과하여 보디 (2) 의 베이스 대향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기둥상부 (2a) 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클릭 부재 (28) 의 배치 위치는, 터치 패널 기구 (20) 의 초기의 정지 위치를 기준으로 한 위치이며, 터치 패널 (24) 의 기준 위치 (Z0) 로서 설정된다.
베이스 (21) 의 하면에는, 보디 (2) 에 형성된 관통공에 걸어맞추는 복수의 탄성 걸어맞춤편 (21a) 과, 보디 (2) 에 형성된 안내공을 따라 안내 이동하는 1 쌍의 안내편 (21b, 21b) 과, 조작자의 손가락에 촉각 자극 조작감을 정시하는 촉각 정시 기구 (40) 에 연동되는 연결편 (21c) 이 연장되어 있다.
1 쌍의 안내편 (21b) 에는, 푸시 조작시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 기구 (20) 의 기울기 동작을 억제하는 스태빌라이저 (29) 의 양단이 장착된다. 연결편 (21c) 은, 터치 패널 기구 (20) 의 위치를 검출하는 도시되지 않은 위치 센서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촉각 정시 기구의 구성)
촉각 정시 기구 (40) 는, 스태빌라이저 (29) 와 교차하여 보디 (2) 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축 (41) 의 일단에 고정되는 링크 부재 (42) 와,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 (43) 의 출력축에 고정되는 회전 캠 부재 (44) 를 구비하고 있다.
링크 부재 (42) 에는 토션 스프링 (45) 이 장착된다. 토션 스프링 (45) 은, 링크 부재 (42) 를 일방향을 향하게 하여 항상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링크 부재 (42) 와 일체 회전하는 지지축 (41) 의 타단에는, 링크 부재 (42) 의 위치를 검출하는 인코더 (46) 와, 터치 패널 (24) 의 푸시 조작의 온 오프를 검출하는 엔터 스위치 (47) 가 장착된다.
인코더 (46) 는, 인코더 슬릿판 (46a) 과 포토 인터럽터 (46b) 로 이루어지는 로터리 인코더이다. 인코더 슬릿판 (46a) 은, 베이스 (21) 의 상하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하므로, 베이스 (21) 에 고정되어 있는 터치 패널 (24) 의 움직임을 고분해능으로 검출한다.
일방의 엔터 스위치 (47) 는, 엔터 스위치판 (47a) 과 포토 인터럽터 (47b) 로 이루어진다. 엔터 스위치판 (47a) 은 지지축 (41) 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베이스 (21) 에 고정되어 있는 터치 패널 (24) 의 엔터 동작을 검출한다.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 (43) 는 하우징 (48) 에 유지되어 있고, 하우징 (48) 이 도시되지 않은 비스를 통하여 보디 (2) 에 조임 고정된다. 모터 (43) 는, 제어 기판 (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코드를 갖는 터미널 (49) 과, 모터 (43) 에 대전된 정전기를 제어 기판 (6) 의 접지 회로에 방출하는 그라운드 클립 (50) 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전 캠 부재 (44) 는, 모터 (43) 의 왕복 회전 운동을 터치 패널 기구 (20) 의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 부재이며, 링크 부재 (42) 의 캠 팔로어면에 맞닿으면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캠 부재 (44) 의 캠면이 링크 부재 (42) 의 캠 팔로어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소정의 이동량으로 터치 패널 (24) 을 밀어 올리는 진동 피드백력을 부여하는 동작이 실시된다.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
촉각 정시 기구 (40) 의 작동에 의해 터치 패널 (24) 에 진동 피드백력을 부여할 때, 플랫 케이블 (7) 의 텐션에 좌우되지 않고, 터치 패널 (24) 의 진동 높이를 제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작 장치 (1) 에 있어서 주요한 기본의 구성은, 촉각 정시 기구 (40) 의 작동에 의해 터치 패널 (24) 에 진동 피드백력을 부여할 때, 터치 패널 (24) 에 작용하는 텐션의 반력 (저항력) 을 저감시키기 위한 플랫 케이블 (7) 의 배선 구조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작 장치 (1)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구성 부품의 형상이나 구조 등은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랫 케이블 (7) 로는, 예를 들어 도체를 평행하게 나열한 배선재인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혹은 동박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패턴이 형성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FPC) 등이 사용된다. 플랫 케이블 (7) 의 일단부에는, 터치 센서 기판 (23) 의 커넥터 (23a)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 접점부가 형성됨과 함께, 플랫 케이블 (7) 의 타단부에는, 제어 기판 (6) 의 커넥터 (6a)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 (7)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우회부 (7b) 와 제 2 우회부 (7c) 를 필요한 굽힘각 (θ) 으로 굴곡시킨 L 자상의 굴곡부 (7a) 를 갖고 있다. 이 굴곡부 (7a) 는, 제 1 우회부 (7b) 와 제 2 우회부 (7c) 가 교차하는 교차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우회부 (7b) 는, 터치 센서 기판 (23) 의 이면으로부터 제어 기판 (6) 의 이면측을 향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약간 만곡되어 아래로 늘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방의 제 2 우회부 (7c) 는, 제어 기판 (6) 의 이면을 따라 약간 만곡되어 연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굴곡부 (7a) 가 제어 기판 (6) 의 이면측으로 볼록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굴곡부 (7a) 는 약 90 °정도의 굽힘각 (θ) 으로 절곡시켜 부형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 (7) 의 제어 기판 (6) 측의 고정 접점부에서 굴곡부 (7a) 까지의 우회 거리 (D1) 는, 굴곡부 (7a) 에서 터치 센서 기판 (23) 측의 고정 접점부까지의 우회 거리 (D2) 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터치 패널 (24) 을 기준 위치 (Z0) 에 위치 결정함으로써, 플랫 케이블 (7) 의 굽힘각 (θ) 및 우회 거리 (D1, D2) 가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촉각 정시 기구 (40) 의 작동에 의해 터치 패널 (24) 을 진동시켰을 때, 플랫 케이블 (7) 의 제 1 우회부 (7b) 는, 터치 패널 (24) 의 상하 방향의 진동에 추종하여 이동한다.
제 1 우회부 (7b) 의 이동에 의해, 플랫 케이블 (7) 의 굴곡부 (7a) 는, 제어 기판 (6) 측의 고정 접점부를 지지점으로 하는 이동 방향을 향하는 응력을 받아, 제어 기판 (6) 의 이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우회부 (7c) 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제 2 우회부 (7c) 를 휨 변형시킨다. 이 휨 변형에 의해 터치 패널 (24) 에 작용하는 반력이 흡수된다.
이와 같은 플랫 케이블 (7) 의 배선 구조는, 제 2 우회부 (7c) 와, 제 2 우회부 (7c) 의 휨 변형의 기점이 되는 굴곡부 (7a) 에 의해 반력 수용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반력 수용부는, 터치 패널 (24) 의 상하 방향의 진동에 의해 제어 기판 (6) 측의 고정 접점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움직인다.
터치 패널 (24) 로부터 제 1 우회부 (7b) 를 거쳐 제 2 우회부 (7c) 에 전달되는 응력에 대한 반력 (저항력) 이 저감됨으로써, 플랫 케이블 (7) 의 굴곡부 (7a) 의 위치 변위가 안정화된다. 터치 패널 (24) 에 작용하는 플랫 케이블 (7) 의 텐션의 반력을 완화시키게 되어, 진동하는 터치 패널 (24) 이 플랫 케이블 (7) 의 반력에 좌우되지 않는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제 2 우회부 (7c) 를 제어 기판 (6) 의 이면을 따라 우회 배선함으로써, 제 1 우회부 (7b) 의 아래로 늘어짐에 의한 제어 기판 (6) 과의 간섭이나 터치 패널 (24) 의 진동시에 있어서의 제어 기판 (6) 과의 간섭이 방지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기판 (6) 과 제 2 우회부 (7c) 가 간섭하지 않는다면, 제 2 우회부 (7c) 를 제어 기판 (6) 의 표면을 따라 우회 배선해도 상관없다.
또, 플랫 케이블 (7) 에 대해서는, 여유를 갖고 약간 만곡하여 우회된 사용예를 나타냈지만, 플랫 케이블 (7) 의 우회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랫 케이블 (7) 의 우회에 여유가 없고, 플랫 케이블 (7) 이 제어 기판 (6) 측의 고정 접점부로부터 굴곡부 (7a) 에 걸쳐 직선상으로 우회됨과 함께, 굴곡부 (7a) 로부터 터치 센서 기판 (23) 측의 고정 접점부에 걸쳐 직선상으로 우회되는 경우에도, 터치 패널 (24) 의 진동시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 (7) 에 의한 반력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플랫 케이블 (7) 의 배선 구조에 의하면, 상기 효과에 더하여 다음의 효과가 얻어진다.
플랫 케이블 (7) 의 굴곡부 (7a) 에만 반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제 2 우회부 (7c) 에 의해 반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터치 패널 기구 (20) 의 진동시에 있어서, 터치 패널 (24) 이 플랫 케이블 (7) 로부터 받는 반력 (저항력) 을 저감시킴과 함께, 플랫 케이블 (7) 의 반력 (저항력) 에 좌우되지 않고, 터치 패널 (24) 을 안정적인 진동 높이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터치 패널 (24) 에 작용하는 플랫 케이블 (7) 의 반력 (저항력) 의 경시 변화가 잘 일어나지 않게 되어, 플랫 케이블 (7) 의 형상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화시킬 수 있다.
터치 패널 (24) 을 기준 위치 (Z0) 에 위치 결정함으로써, 플랫 케이블 (7) 의 굽힘각 (θ) 및 우회 거리 (D1, D2) 를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패널 (24) 에 작용하는 플랫 케이블 (7) 의 반력 (저항력) 이 안정된다. 따라서, 터치 패널 (24) 의 진동 높이를 안정시킬 수 있다.
[적용예]
본 발명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 (1) 의 대표적인 구성예를 실시형태 및 도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적용예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 및 도시예에서는 자동차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건설 기계나 농업 기계 등의 각종 차량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차재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게임기,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기 등의 각종 단말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터치 패널 기구 (20) 이외의 조작 기구를 구비한 각종 조작 입력 장치여도, 상기 촉각 정시 기구 (40) 에 의해 조작 감촉을 부여하는 것은 가능하며, 예를 들어 마우스, 키보드나 누름 단추 스위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대표적인 실시형태 및 도시예를 예시하였지만, 상기 실시형태 및 도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관련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 및 도시예 중에서 설명한 특징의 조합 전부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필수라고는 할 수 없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1 : 조작 장치
2 : 보디
2a : 기둥상부
3 : 커버체
4, 5 : 조작 노브
4a, 5a : 푸시 스위치
6 : 제어 기판
6a, 23a : 커넥터
7 : 플랫 케이블
7a : 굴곡부
7b, 7c : 우회부
20 : 터치 패널 기구
21 : 베이스
21a : 탄성 걸어맞춤편
21b : 안내편
21c : 연결편
22 : 프레임
22a : 프레임부
23 : 터치 센서 기판
24 : 터치 패널
25 : 도전성 테이프
26 : 양면 테이프
27 : 실드 부재
28 : 클릭 부재
29 : 스태빌라이저
40 : 촉각 정시 기구
41 : 지지축
42 : 링크 부재
43 : 모터
44 : 회전 캠 부재
45 : 토션 스프링
46 : 인코더
46a : 인코더 슬릿판
46b : 포토 인터럽터
47 : 엔터 스위치
47a : 엔터 스위치판
47b : 포토 인터럽터
48 : 하우징
49 : 터미널
50 : 그라운드 클립
D1, D2 : 우회 거리
Z0 : 기준 위치
θ : 굽힘각

Claims (3)

  1. 조작면에 대한 물리적인 조작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 기구와,
    상기 조작 기구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기구에 진동을 부여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기판과,
    상기 조작 기구와 상기 제어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플랫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플랫 케이블은, 상기 조작 기구로부터 상기 제어 기판에 걸쳐 상기 조작 기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우회부를 갖고,
    상기 우회부는, 상기 제어 기판을 따라 우회하기 위한 굽힘각으로 굴곡된 굴곡부를 가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부는, 상기 조작 기구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제어 기판을 향하여 아래로 늘어지는 제 1 우회부와, 상기 제어 기판의 이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우회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제 1 우회부와 상기 제 2 우회부가 교차하는 부위를 절곡시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조작 기구에 진동을 부여하였을 때, 상기 제어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우회부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
KR1020170013807A 2016-02-03 2017-01-31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 KR201700924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19121A JP6105104B1 (ja) 2016-02-03 2016-02-03 フラットケーブルの配線構造
JPJP-P-2016-019121 2016-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463A true KR20170092463A (ko) 2017-08-11

Family

ID=5798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807A KR20170092463A (ko) 2016-02-03 2017-01-31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32896B2 (ko)
EP (1) EP3203355B1 (ko)
JP (1) JP6105104B1 (ko)
KR (1) KR20170092463A (ko)
CN (1) CN1070378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7487B2 (ja) * 2018-08-16 2023-03-2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ケーブル及び画像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5644B2 (ja) * 2000-12-27 2006-05-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振動機保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無線機器
JP2003046275A (ja) * 2001-07-31 2003-02-14 Fujitsu Ltd 携帯機器
JP2005008068A (ja) * 2003-06-19 2005-01-13 Xanavi Informatics Corp 車載装置
JP4444771B2 (ja) * 2004-09-14 2010-03-31 株式会社沖データ 部材固定具及び電子機器
JP2008187154A (ja) * 2007-01-31 2008-08-14 Nitto Denko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回路基板の接続構造および電子機器
CN203968536U (zh) * 2012-02-01 2014-11-26 三菱电机株式会社 柔性线缆挠曲限制结构及包括该结构的电子设备
JP5173044B1 (ja) * 2012-04-12 2013-03-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JP5848189B2 (ja) * 2012-05-09 2016-01-27 京セラ株式会社 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001369B2 (ja) * 2012-07-26 2016-10-05 京セラ株式会社 圧電装置、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236832B1 (ja) * 2012-10-17 2013-07-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JP6125264B2 (ja) * 2013-02-19 2017-05-10 京セラ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リード基板を内蔵した電子機器
JP5781556B2 (ja) * 2013-02-26 2015-09-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CN203311370U (zh) * 2013-05-23 2013-11-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连接触摸屏与fpc的连接装置、触摸屏模组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37879A (zh) 2017-08-11
US20170223851A1 (en) 2017-08-03
EP3203355A1 (en) 2017-08-09
JP2017138794A (ja) 2017-08-10
CN107037879B (zh) 2020-02-11
EP3203355B1 (en) 2019-09-11
US9832896B2 (en) 2017-11-28
JP6105104B1 (ja)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51662A1 (en) Touch-Sensitive Screen With Haptic Acknowledgement
KR20070032903A (ko) 스위치 장치
EP2736058B1 (en) Operating device
US20080211609A1 (en) Lever switch
US9454232B2 (en) Operating device
KR20170092463A (ko) 플랫 케이블의 배선 구조
KR10256583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2442657B1 (ko)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102529615B1 (ko) 로터리 노브의 로터리 디텐트 기구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US9488988B2 (en) Push operation mechanism having tactile feedback
JP5155725B2 (ja) 多方向入力装置
CN111670483B (zh) 拨杆开关装置
JP5615886B2 (ja) 操作装置
US10860111B2 (en) Motor vehicle operating unit and a method of confirming a switching command
JP2011028637A (ja) 力覚付与型入力装置
JP2014182718A (ja) 操作装置
CN115225075A (zh) 触觉反应型电开关
JP2010044490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14154002A (ja) 操作装置
JP2002313185A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