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338A - 조립클립과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클립과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338A
KR20170092338A KR1020160013557A KR20160013557A KR20170092338A KR 20170092338 A KR20170092338 A KR 20170092338A KR 1020160013557 A KR1020160013557 A KR 1020160013557A KR 20160013557 A KR20160013557 A KR 20160013557A KR 20170092338 A KR20170092338 A KR 20170092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portion
frame
fitting
groov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9769B1 (ko
Inventor
곽인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스틸
곽인학
케이에스씨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스틸, 곽인학, 케이에스씨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스틸
Priority to KR1020160013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7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조립클립은 패널의 프레임에 끼워져서 패널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패널의 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홈에 조립클립이 끼워질 수 있다. 홈에 끼워진 조립클립은 보드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하며, 보드는 조립클립에 끼워짐으로써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클립이인접한 패널을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인 패널 시스템은 확장 가능하다. 또한 조립클립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커팅(cutting) 및 벤딩(bending)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클립의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클립과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ASSEMBLY CLIP AND PANEL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패널을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클립과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임시벽 또는 사무실의 파티션 등에 패널(panel)이 사용된다. 임시벽 또는 파티션 등은 이동이 가능하거나 해체될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다.
기존의 패널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조립하거나, 접착제로 결합함으로써 분리 및 해체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된 패널을 폐기하고 새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 및 재 조립이 가능하더라도 시간이 오래 경과할 수 있는 점에서 경제적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 재 조립이 용이한 조립클립의 개발이 강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패널을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조립클립과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며 끝단에서 벤딩되어 형성된 보드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2 보드, 그리고 상기 보드연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프레임홈을 구비하되 상기 제1,2 보드 사이의 끝단에 위치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패널; 및 상기 제1,2 패널 각각의 상기 프레임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2 보드의 상기 보드연결부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조립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클립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서로 나란하며 상기 프레임홈의 내측에 접하는 제1,2 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와 상기 제2삽입부를 연결하되,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와 제2삽입부로부터 각각 벤딩되어 형성된 이음부; 그리고 상기 이음부가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벤딩된 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부의 나머지 일부로부터 벤딩되되 상기 제1 삽입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끼움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드연결부는,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끼움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상기 제2삽입부와 상기 끼움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패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드연결부는, 상기 제1삽입부와 끼움부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삽입부 또는 상기 끼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끼움부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내측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홈은, 상기 프레임홈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부와 접하는 제1면; 및 상기 프레임홈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면과 마주하여 상기 제2 삽입부와 접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부 또는 이음부는, 상기 제1 면을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1 삽입부의 면과 경사를 가지는 제1 외측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삽입부 또는 이음부는, 상기 제2 면을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2 삽입부의 면과 경사를 가지는 제2 외측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면에는, 상기 제1 외측걸림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면의 내부로 함몰되는 홈 형상의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제2 외측걸림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면의 내부로 함몰되는 홈 형상의 제2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로서 각각의 측면이 서로 대면하여 위치하는 제1,2 패널이 제공되고, 상기 제1,2 패널 각각은, 측면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대면하는 제1,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프레임은, 프레임홈으로서 상기 제1,2 프레임에 형성된 제1,2 프레임홈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패널 시스템은 상기 제1,2 프레임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2 프레임을 고정하는 연결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시스템은, 상기 제1 프레임홈과 상기 제2 프레임홈을 덮되, 끝단에서 벤딩되어 형성된 커버연결부를 구비하는 프레임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연결부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끼움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레이트 형상으로 서로 나란한 제1, 2 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와 상기 제2삽입부를 연결하되,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와 제2삽입부로부터 각각 벤딩되어 형성된 이음부; 및 상기 이음부가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벤딩된 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부의 나머지 일부로부터 벤딩되되 상기 제1 삽입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부 또는 상기 끼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끼움부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내측걸림부를 구비하는 조립클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측걸림부는,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상기 끼움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1 내측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걸림부는, 상기 끼움부로부터 상기 제1 삽입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2 내측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 또는 상기 이음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삽입부가 형성하는 평면과 경사를 이루며, 상기 끼움부가 형성된 공간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외측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측걸림부는, 상기 제1 삽입부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벤딩되어 형성된 제1 외측상부걸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측걸림부는, 상기 제1 삽입부 또는 상기 이음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벤딩되어 형성되되,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음부가 형성하는 평면에 위치하는 제1 외측하부걸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측걸림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1 삽입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삽입부 또는 상기 이음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삽입부가 형성하는 평면과 경사를 이루며, 상기 끼움부가 형성된 공간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외측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클립 및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패널을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클립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립클립을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립클립을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클립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홈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홈에 끼워진 조립클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클립에 끼워진 보드연결부와 커버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클립에 의해 연결된 제1,2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클립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클립(100)은 제1 삽입부(110)와 제2 삽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10)와 제2 삽입부(120)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음부(130)로 연결될 수 있다. 이음부(13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삽입부(110)의 일부와 제2 삽입부(120)로부터 각각 벤딩(ben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삽입부(110), 이음부(130), 그리고 제2 삽입부(120)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플레이트(plate)로부터 벤딩(ben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10)와 제2 삽입부(120) 및 이음부(130)는, 조립클립(100)의 기본적인 골격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립클립(100)은 끼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클립(100)은 Z축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끼움부(140)는, 제1 삽입부(110)의 나머지 일부로부터 벤딩(ben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삽입부(110)의 나머지 일부는, 제1 삽입부(110) 중에서 이음부(130)에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삽입부(110)에서 일부는 이음부(130)로 벤딩되고, 제1 삽입부(110)의 다른 일부는 끼움부(140)로 벤딩될 수 있다. 이음부(130)가 제1 삽입부(110)로부터 벤딩되는 방향은, 끼움부(140)가 제1 삽입부(110)로부터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끼움부(140)는 제1 삽입부(1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삽입부(110)가 연장되는 방향(Y축 방향)은, 제1 삽입부(110)가 벤딩되는 부분으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끼움부(140)가 형성되는 방향과 제1 삽입부(110)가 연장되는 방향이 실질적으로 나란함으로써, 제1 삽입부(110)와 끼움부(1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140)와 제1 삽입부(110) 사이의 공간에 패널의 구성요소가 끼워질 수 있다. 이 경우, 끼워진 구성요소를 쉽게 빠져나가게 하지 못하도록 내측걸림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10) 또는 끼움부(14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삽입부(110)와 끼움부(14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내측걸림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걸림부(155)는, 제1 삽입부(110)로부터 끼움부(140)를 향하여 돌출된 제1 내측걸림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측걸림부(155)는, 끼움부(140)로부터 제1 삽입부(110)를 향하여 돌출된 제2 내측걸림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걸림부(160)는 제1 삽입부(110)의 일부에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측걸림부(160)가 연장되는 방향은, 제1 삽입부(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둔각(鈍角)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삽입부(110)와 끼움부(140) 상이에 구성요소가 끼워지는 경우, 끼워진 구성요소가 빠져나가려 할 때 제1 내측걸림부(160)에 걸릴 수 있다.
제2 내측걸림부(180)는 끼움부(140)의 일부에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측걸림부(180)는 제1 삽입부(110)를 향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10)와 끼움부(140) 사이에 구성요소가 끼워질 때, 제2 내측걸림부(180)는 끼워지는 구성요소에 의해 벤딩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10)와 끼움부(140) 사이에 구성요소가 끼워지면, 제2 내측걸림부(180)가 연장되는 방향은, 제1 삽입부(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둔각(鈍角)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삽입부(110)와 끼움부(140) 상이에 구성요소가 끼워지는 경우, 끼워진 구성요소가 빠져나가려 할 때 제2 내측걸림부(180)에 걸릴 수 있다.
제1 삽입부(110) 또는 이음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삽입부(110)가 형성하는 면과 경사를 이루는 제1 외측걸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걸림부(150)는, 끼움부(140)가 형성된 공간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외측걸림부(150)는, 제1 삽입부(110)의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벤딩(bending)되어 형성된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이 연장되는 방향은, 제1 삽입부(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예각(銳角)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삽입부(120) 또는 이음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삽입부(120)가 형성하는 면과 경사를 이루는 제2외측걸림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측걸림부(170)는, 끼움부(140)가 형성된 공간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외측걸림부(170)는, 제2 삽입부(120)의 일부 또는 이음부(130)의 일부에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클립(100)에 있어서, 제1 삽입부(110)가 형성하는 면은 Y-Z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음부(130)가 형성하는 면은 X-Z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제2 삽입부(120)가 형성하는 면은, 제1 삽입부(110)가 형성하는 면과 실질적으로 나란하다고 볼 수 있다.
제1 삽입부(110)를 기준으로 바라볼 때, 제2 삽입부(120), 이음부(130), 그리고 끼움부(140)는, 양(positive)의 X축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 제1 외측상부걸림부(151)는, 제1 삽입부(110)를 기준으로 바라볼 때, 음(negative)의 X축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클립의 배면사시도이다. 제1 외측걸림부(150)는, 제1 삽입부(110) 또는 이음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벤딩되어 형성된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의 끝단의 적어도 일부는, 이음부(130)가 형성하는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이 연장되는 방향은, 제1 삽입부(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예각(銳角)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은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과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이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은, 제1 삽입부(110) 또는 이음부(130)에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은, 제1 삽입부(110)의 일부 또는 이음부(130)의 일부에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클립의 측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걸림부(155)는, 제1 삽입부(110)와 끼움부(14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내측걸림부(155)는 제1 삽입부(110)에서 끼움부(140)를 향하여 돌출된 제1 내측걸림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걸림부(160)의 일측은 제1 삽입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측걸림부(160)는, 제1 삽입부(110)에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내측걸림부(160)는, 제1 삽입부(110)의 일부에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조립클립을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 이음부(130), 그리고 제2 외측걸림부(170)는 순서대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은, 제1 삽입부(110)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은, 제1 삽입부(110)의 끝단 부분이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삽입부(110)와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조립클립을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 제1 삽입부(110), 그리고 제1 내측걸림부(160)는 순서대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부(110), 이음부(130), 끼움부(140),그리고 제2 내측걸림부(180)는 순서대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측걸림부(180)는, 끼움부(140)의 일부에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클립의 전개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삽입부(110), 이음부(130), 그리고 제2 삽입부(120)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플레이트(plate)로부터 벤딩(ben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 이음부(130), 그리고 제2 외측걸림부(170)는 순서대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삽입부(110)와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10), 이음부(130), 끼움부(140),그리고 제2 내측걸림부(180)는 순서대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삽입부(110), 제2 삽입부(120), 이음부(130), 끼움부(140),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 제1 내측걸림부(160), 제2 내측걸림부(180), 그리고 제2 외측걸림부(17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는 의미는, 하나의 플레이트(plate)에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부(110), 제2 삽입부(120), 이음부(130), 끼움부(140),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 제1 내측걸림부(160), 제2 내측걸림부(180), 그리고 제2 외측걸림부(170)는 하나의 플레이트(plate)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Z축을 길이방향으로 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점선은 벤딩(bending)을 의미하며 내부의 실선은 절단(cutting)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전개도에서, 이음부(130)는 X-Z 평면에 위치하며, 제1 삽입부(110)는 Y-Z 평면에 위치하되 양의 Y축으로 연장되도록 이음부(130)에서 벤딩되고, 제2 삽입부(120)는 제1 삽입부(110)와 나란하되 양의 Y축으로 연장되도록 이음부(130)에서 벤딩될 수 있다.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이 벤딩되는 방향은, 제1 삽입부(110)가 X-Z 평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양(positive)의 Y축 방향과 음(negative)의 Y축 방향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이 벤딩되는 방향은 음(negative)의 Y축 방향이 될 수 있다.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이 벤딩되는 방향은, 제1 삽입부(110)가 X-Z 평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양(positive)의 Y축 방향과 음(negative)의 Y축 방향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이 벤딩되는 방향은 음(negative)의 Y축 방향이 될 수 있다.
제1 내측걸림부(160)가 벤딩되는 방향은, 제1 삽입부(110)가 X-Z 평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양(positive)의 Y축 방향과 음(negative)의 Y축 방향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측걸림부(160)가 벤딩되는 방향은 양(positive)의 Y축 방향이 될 수 있다.
제2 내측걸림부(180)가 벤딩되는 방향은, 끼움부(140)가 X-Z 평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양(positive)의 Y축 방향과 음(negative)의 Y축 방향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내측걸림부(180)가 벤딩되는 방향은 양(positive)의 Y축 방향이 될 수 있다.
제2 외측걸림부(170)가 벤딩되는 방향은, 제2 삽입부(120)가 X-Z 평면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양(positive)의 Y축 방향과 음(negative)의 Y축 방향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외측걸림부(170)가 벤딩되는 방향은 음(negative)의 Y축 방향이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패널 시스템은 패널(600)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6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드(301), 제2 보드(302), 그리고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보드(301, 302)는, 각각 끝단에서 벤딩되어 형성된 보드연결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보드(301)에서 보드연결부(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드(301)의 끝단에서 점선을 따라 벤딩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bending)되는 방향은, 양(positive)의 X축 방향이 될 수 있다.
제2 보드(302)에서 보드연결부(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드(302)의 끝단에서 점선을 따라 벤딩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bending)되는 방향은, 음(negative)의 X축 방향이 될 수 있다.
제1 보드(301)와 제2 보드(302)는 서로 마주볼 수 있으며, 각각의 보드연결부(310)는 프레임(20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2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홈 형상의 프레임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드연결부(310)가 프레임홈(210)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제1 보드(301)와 제2 보드(302)가 프레임(2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는 단수의 패널이 도시되었으나, 복수 개의 패널이 제공되고 인접하는 패널을 연결하는 구성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패널 시스템은, 조립클립(100), 프레임커버(500), 그리고 연결클립(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클립(400)은 복수 개로 제공되는 패널(600)을 연결할 수 있다.
조립클립(100)은, 프레임홈(2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제1보드(301) 및 제2 보드(302)가 삽입될 수 있다. 조립클립(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부(110), 제2삽입부(120), 이음부(130), 그리고 끼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드연결부(310)는, 제1 삽입부(110)와 끼움부(14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보드연결부(310)는 제2 삽입부(120)와 끼움부(14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홈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홈(210)은 제1 면(250)과 제2 면(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250)은, 프레임홈(2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면(250)은, 내부로 함몰되는 홈 형상의 제1 홈(25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홈(251)은 제1 상부홈(251a)과 제1 하부홈(251b)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면(260)은, 프레임홈(2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면(250)과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제2 면(260)은, 내부로 함몰되는 홈 형상의 제2 홈(26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홈에 끼워진 조립클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조립클립(100)은 프레임홈(210)에 끼워질 수 있다. 제1 삽입면(110)은 제1 면(250)과 접할 수 있으며, 제2 삽입면(120)은 제2 면(260)과 접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10) 또는 이음부(130)는, 제1 면(250)을 향하여 돌출되되 제1 삽입부(110)의 면과 경사를 가지는 제1 외측걸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걸림부(150)는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과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홈(251a)은, 제1 외측상부걸림면(151)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부홈(251b)은, 제1 외측하부걸림면(152)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홈(251)은 제1 외측걸림부(150)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120) 또는 이음부(130)는, 제2 면(260)을 향하여 돌출되되 제2 삽입부(120)의 면과 경사를 가지는 제2 외측걸림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261)은, 제2 외측걸림부(170)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2 외측걸림부(150, 170)는 각각 제1,2 홈(251, 261)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측걸림부(150)와 제2 외측걸림부(170)는, 조립클립(100)이 프레임홈(210)에 끼워진 이후에, 조립클립(100)이 프레임홈(2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10) 또는 끼움부(14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삽입부(110)와 끼움부(14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내측걸림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걸림부(155)는, 제1 내측걸림부(160)와 제2 내측걸림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클립에 끼워진 보드연결부와 커버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시스템은, 프레임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커버(500)는 프레임홈(210)을 덮을 수 있다. 프레임커버(500)는, 끝단에서 벤딩되어 형성되는 커버연결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내측걸림부(160)는, 제1 삽입부(110)에 연결되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내측걸림부(180)는, 끼움부(140)에 연결되어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보드연결부(310)와 커버연결부(510)는, 제1 삽입부(110)와 끼움부(14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보드연결부(310)와 커버연결부(510)가 제1 삽입부(110)와 끼움부(140) 사이에 끼워지면, 내측걸림부(155)는 보드연결부(310)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내측걸림부(155)의 연장되는 방향은, 보드연결부(3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클립에 의해 연결된 제1,2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시스템은, 복수 개의 패널(600)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600)은 제1 패널(610)과 제2 패널(620)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패널(610)과 제2 패널(620)은 각각의 측면이 대면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패널(610)과 제2 패널은, 측면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대면하는 제1 프레임(201) 및 제2 프레임(202)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01)은, 프레임홈으로서 제1 프레임홈(2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프레임(202)은, 프레임홈으로서 제2 프레임홈(212)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시스템은, 연결클립(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클립(400)은, 제1,2 프레임홈(211, 212)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클립(400)이 제1,2 프레임홈(211, 212)에 삽입됨에 따라, 제1,2 프레임(201, 202)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 프레임(201, 202)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제1 패널(610)과 제2 패널(62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프레임커버는 제1 프레임홈(211)과 제2 프레임홈(212)을 덮을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조립클립 110: 제1 삽입부
120: 제2 삽입부 130: 이음부
140: 끼움부 150: 제1 외측걸림부
155: 내측걸림부 170: 제2 외측걸림부
200: 프레임 210: 프레임홈
300: 보드 310: 보드연결부
400: 연결클립 500: 프레임커버
510: 커버연결부 600: 패널

Claims (15)

  1. 서로 마주보며 끝단에서 벤딩되어 형성된 보드연결부를 구비하는 제1,2 보드, 그리고 상기 보드연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프레임홈을 구비하되 상기 제1,2 보드 사이의 끝단에 위치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패널; 및
    상기 제1,2 패널 각각의 상기 프레임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2 보드의 상기 보드연결부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조립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클립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서로 나란하며 상기 프레임홈의 내측에 접하는 제1,2 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와 상기 제2삽입부를 연결하되,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와 제2삽입부로부터 각각 벤딩되어 형성된 이음부; 그리고
    상기 이음부가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벤딩된 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부의 나머지 일부로부터 벤딩되되 상기 제1 삽입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끼움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드연결부는, 상기 제1삽입부와 상기 끼움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상기 제2삽입부와 상기 끼움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패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연결부는, 상기 제1삽입부와 끼움부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삽입부 또는 상기 끼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끼움부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내측걸림부를 포함하는 패널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홈은,
    상기 프레임홈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삽입부와 접하는 제1면; 및
    상기 프레임홈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면과 마주하여 상기 제2 삽입부와 접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부 또는 이음부는,
    상기 제1 면을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1 삽입부의 면과 경사를 가지는 제1 외측걸림부를 포함하는 패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 또는 이음부는,
    상기 제2 면을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2 삽입부의 면과 경사를 가지는 제2 외측걸림부를 포함하는 패널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는, 상기 제1 외측걸림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면의 내부로 함몰되는 홈 형상의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제2 외측걸림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면의 내부로 함몰되는 홈 형상의 제2 홈이 형성되는 패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로서 각각의 측면이 서로 대면하여 위치하는 제1,2 패널이 제공되고,
    상기 제1,2 패널 각각은,
    측면이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대면하는 제1,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프레임은,
    프레임홈으로서 상기 제1,2 프레임에 형성된 제1,2 프레임홈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2 프레임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2 프레임을 고정하는 연결클립을 더 포함하는 패널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홈과 상기 제2 프레임홈을 덮되, 끝단에서 벤딩되어 형성된 커버연결부를 구비하는 프레임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연결부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끼움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패널 시스템.
  8. 플레이트 형상으로 서로 나란한 제1, 2 삽입부;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와 상기 제2삽입부를 연결하되, 상기 제1삽입부의 일부와 제2삽입부로부터 각각 벤딩되어 형성된 이음부; 및
    상기 이음부가 상기 제1삽입부로부터 벤딩된 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부의 나머지 일부로부터 벤딩되되 상기 제1 삽입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삽입부 또는 상기 끼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끼움부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내측걸림부를 구비하는 조립클립.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걸림부는,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상기 끼움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1 내측걸림부를 포함하는 조립클립.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걸림부는,
    상기 끼움부로부터 상기 제1 삽입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2 내측걸림부를 포함하는 조립클립.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부 또는 상기 이음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삽입부가 형성하는 평면과 경사를 이루며, 상기 끼움부가 형성된 공간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외측걸림부를 포함하는 조립클립.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걸림부는,
    상기 제1 삽입부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벤딩되어 형성된 제1 외측상부걸림면을 포함하는 조립클립.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걸림부는,
    상기 제1 삽입부 또는 상기 이음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벤딩되어 형성되되,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이음부가 형성하는 평면에 위치하는 제1 외측하부걸림면을 포함하는 조립클립.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걸림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1 삽입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조립클립.
  15.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삽입부 또는 상기 이음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삽입부가 형성하는 평면과 경사를 이루며, 상기 끼움부가 형성된 공간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외측걸림부를 포함하는 조립클립.
KR1020160013557A 2016-02-03 2016-02-03 조립클립과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 KR10184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57A KR101849769B1 (ko) 2016-02-03 2016-02-03 조립클립과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557A KR101849769B1 (ko) 2016-02-03 2016-02-03 조립클립과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338A true KR20170092338A (ko) 2017-08-11
KR101849769B1 KR101849769B1 (ko) 2018-04-18

Family

ID=5965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557A KR101849769B1 (ko) 2016-02-03 2016-02-03 조립클립과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7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944B1 (ko) * 2019-11-13 2020-07-14 전순복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220104588A (ko) *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광스틸건설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136Y2 (ja) * 1991-08-27 1998-02-18 東陶機器株式会社 プレファブ式建築物ユニットの壁接続構造
JP2810305B2 (ja) * 1993-10-25 1998-10-15 新日軽株式会社 ユニットバスのパネル体の連結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944B1 (ko) * 2019-11-13 2020-07-14 전순복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220104588A (ko) *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광스틸건설 고정 클립을 구비한 외장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769B1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97013A1 (en) Assembly structure of a cabinet and thin display device
AU2018375417A1 (en) Coupler for light fixture
KR101849769B1 (ko) 조립클립과 이를 구비한 패널 시스템
KR200450351Y1 (ko) 패널조립체
JP2007202992A (ja) 遊技盤の前面扉
CN113167259B (zh) 泵设置用构件
KR20170061304A (ko) 가구용 판재 조립구
JP6205283B2 (ja) 曲面表示パネルの保持具
CN211348915U (zh) 一种一体机前框固定结构及红外触摸一体机
KR20170064690A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2270225B1 (ko) 전시 부스용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시 부스의 시공방법
KR20070105547A (ko) 변속기 레버유닛의 노브 조립체
US11442498B2 (en) Universal bracket for multiple form factors of PCIe cards in OCP sled environments
KR200253757Y1 (ko) 조립식 칸막이의 연결 구조
TWI373652B (en) Display device
US8033010B2 (en) Clutching jig
KR101991693B1 (ko) 도어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결합방법 및 결합구조
US20060140770A1 (en) Fan blade mounting structure for ceiling fan
CN219758640U (zh) 单片液晶投影仪
JP2005347437A (ja) トップカバーの取付構造
KR1003896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프론트 케이스 조립체
CN110543218B (zh) 固定结构
KR200423192Y1 (ko) 책상 상판 연결구조
TWI554186B (zh) 太陽能模組邊框
KR200183341Y1 (ko) 프레임 연결용 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