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147A - 각얼음 제조 유닛 - Google Patents

각얼음 제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147A
KR20170092147A KR1020177011352A KR20177011352A KR20170092147A KR 20170092147 A KR20170092147 A KR 20170092147A KR 1020177011352 A KR1020177011352 A KR 1020177011352A KR 20177011352 A KR20177011352 A KR 20177011352A KR 20170092147 A KR20170092147 A KR 20170092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opening
uni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1480B1 (ko
Inventor
김 젠센
Original Assignee
아이스브레이커 노르딕 에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스브레이커 노르딕 에이피에스 filed Critical 아이스브레이커 노르딕 에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227023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8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2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5/0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Package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각얼음 제조 유닛은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을 갖는 각얼음 트레이, 상기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 내부에 물 또는 다른 액체를 밀폐하기 위해 트레이 상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각얼음 제조 유닛은 트레이와 덮개를 연결하고 2개의 위치, 즉 격실 내부의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의 내용물을 밀폐하기 위해 각얼음 트레이에 인접하는 위치에 덮개가 유지되어 있는 제1 위치 및 트레이 내에 형성된 각얼음이 트레이를 빠져나올 수 있도록 트레이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에 덮개가 유지되어 있는 제2 위치를 갖는 변위 장치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각얼음 제조 유닛{ICE CUBE PRODUCING UNIT}
본 출원은, 개별적으로 설명되지만 모두 각얼음(ice cube) 제조 유닛에 관한 것인 점에서 관련되어 있는 적어도 5개의 개별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제1 발명:
제1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각얼음 격실을 갖는 각얼음 트레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얼음 격실 내부에 물 또는 다른 액체를 밀폐하기 위해 트레이 상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덮개(lid)를 포함하는 각얼음 제조 유닛에 관한 것이다.
각얼음 제조 유닛이라는 것은, 물 또는 다른 액체가 그 내부에 충전될 수 있고 그 후에 냉동기(freezer) 내에 배치되고 물 또는 다른 액체를 결빙시키는 유닛을 의미한다. 유닛 내부에는, 얼음이 각얼음으로 결빙하는 적어도 하나의 각얼음 격실이 배열되어 있다. 각얼음이라는 것은 얼음으로 형성된 임의의 3D 기하학적 형상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각얼음은 직각 입방체일 필요는 없고, 하트, 별, 구 등일 수 있다.
제1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발명에 따른 각얼음 제조 유닛은 핸드헬드 유닛(handheld unit)이다. 제1 발명의 맥락에서, "핸드헬드" 유닛은, 휴대형이고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유닛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은 통상적인 가정용 냉동기 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더욱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냉동기로부터 유닛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야 하고, 그 후에 유닛이 냉동기 내로 재차 배치될 수 있어야 한다.
관련 기술의 설명
덮개를 갖는 각얼음 트레이가 당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US5188744A호, US2613512A호, US5196127A호 및 US4967995A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은 사용이 복잡하거나, 트레이로부터 개별적으로 취급되어야 하는 덮개를 갖거나, 그리고/또는 유닛 내부의 물을 밀폐시키지 못한다.
더욱이, 당 기술 분야에서 입수 가능한 덮개를 갖는 대부분의 각얼음 트레이는 상하로 각얼음 트레이들의 적층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이들 각얼음 트레이는 유닛 내에 물/액체를 밀폐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
제1 발명의 요약
따라서, 제1 발명의 제1 양태는 종래의 해결책보다 더 양호한 각얼음 제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양태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따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부가의 유리한 특징이 종속 청구항에 설명되어 있다.
청구범위에서, 덮개는 "적소에 유지되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이는 유닛 자체가 지정된 위치에 덮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지정된 위치에 덮개를 수동으로 유지할 필요가 없다.
청구범위에서, 구문 "개별적으로 밀폐된"은 어떻게 각얼음 격실이 밀폐되는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이는 하나의 각얼음 격실이 인접한 각얼음 격실에 관하여 개별적으로 밀폐되어야 한다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덮개는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의 분할기에 대해 밀폐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의 물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분할기 내에 위치되어 있는 공기/물 채널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각얼음 트레이가 덮개에 의해 밀폐될 때, 각얼음 트레이는 인접한 각얼음들 사이의 영역 내에서의 충분한 얼음 형성 없이 냉동기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 제한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인접한 각얼음들이 유닛 내에서 서로로부터 파괴되는 것을 어렵게 할 것이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이러한 한정을 이해해야 하지만, 필요하다면 사용될 수도 있는 몇몇 더 정밀한 한정이 여기에 제공된다. 일 한정은, 측벽 내의 공기/물 채널의 단면적이 공기/물 채널이 위치되어 있는 각얼음 격실의 측벽의 총 표면적의 20% 미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정은, 측벽 내의 공기/물 채널의 단면적이 공기/물 채널이 위치되어 있는 각얼음 격실의 측벽의 총 표면적의 15% 미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10% 미만 및 5% 미만을 갖는 부가의 한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청구범위는 용어 "하우징"을 또한 사용한다는 것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용어 하우징은 덮개, 트레이 및 변위 장치(displacing arrangement)를 결합시키는 요소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하우징은 일 실시예에서, 트레이, 덮개 및 변위 기구가 모두 하우징 내에 배열되도록 봉입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개방되어 있고, 단지 상이한 요소를 연결하는 방식만을 제공한다. 더욱이,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변위 장치에 직접 체결되고, 반면에 트레이 및 덮개는 하우징으로의 어떠한 직접 연결부 없이 변위 장치에 직접 체결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범주 내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하우징이 여전히 덮개, 트레이 및 변위 장치를 결합시킨다.
용어 "포함한다/포함하는/구성된"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부,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상술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 완전체,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제2 발명:
제2 발명은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제2 발명은 각얼음의 용기로부터 한번에 제한된 수의 각얼음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종류의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은 한번에 하나의 각얼음을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제2 발명의 맥락에서, "핸드헬드" 유닛은, 휴대형이고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유닛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2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은 통상적인 가정용 냉동기 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더욱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냉동기로부터 유닛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야 하고, 그 후에 유닛이 냉동기 내로 재차 배치될 수 있어야 한다.
관련 기술의 설명
각얼음 분배기(ice cube dispenser)의 종래의 예는 통상적으로 냉장고/음료 자판기 등에 합체되도록 설계되는 대형의 기계 유닛이다. 예를 들어, US6607096호 및 USD649984호를 참조하라. 일반적으로,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기는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지 않다.
각얼음을 분배할 수 있는 각얼음 트레이가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입수 가능한 각얼음 트레이는 한번에 특정의 제한된 수의 각얼음을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 한번에 제한된 수의 각얼음을 분배할 수 있는 것들은 조작이 어려운 복잡한 기구를 갖는다. 몇몇 예가 FR2852088호, US5261468호, US5188744호, US5044600호, US4967995호, EP0362112호, EP0279408호 및 US3565389호에 제시되어 있다.
다수의 형태의 분배기가 특허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분배기는 일반적으로 알약(pill), 사탕 등과 같은 소형 아이템(item)과 연계된다. 각얼음은 일반적으로 다소 대형이고 사탕 및 알약과 같은 건식 고체 요소보다 취급이 더 어렵기 때문에, 각얼음은 통상의 소형 아이템과는 매우 상이하다.
제2 발명의 요약
따라서, 제2 발명의 제1 양태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한번에 제한된 수의 각얼음을 분배하는 것이 가능한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양태는 청구항 11항에 따른 유닛에 의해 제공된다. 부가의 유리한 특징 및 실시예가 종속 청구항에 설명되어 있다.
용어 "포함한다/포함하는/구성된"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부,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상술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 완전체,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2 발명에 대한 청구범위에서, 기구는 2개의 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기구는 단지 2개의 위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개의 위치를 갖는 것에 한정되어야 한다는 것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제3 발명
제3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을 갖는 각얼음 트레이 및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의 내용물을 개별적으로 밀폐하기 위해 상기 각얼음 트레이 상에 배열되어 있는 제거 가능한 덮개를 포함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각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밀폐된 격실을 함께 제공하는 각얼음 트레이 및 제거 가능한 덮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마개(plug)를 갖는 충전 개구는, 제1 모드에서 물 또는 다른 액체가 밀폐된 격실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하도록 개방되고 제2 모드에서 밀폐된 격실 내의 물 또는 다른 내용물이 밀폐된 격실을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개에 의해 밀폐되는 개구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따르면, 구문 "개별적으로 밀폐된"이라는 것은, 하나의 각얼음 격실이 인접한 각얼음 격실에 관하여 개별적으로 밀폐되어야 한다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덮개는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의 분할기에 대해 밀폐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의 물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분할기 내에 위치되어 있는 공기/물 채널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각얼음 트레이가 덮개에 의해 밀폐될 때, 각얼음 트레이는 인접한 각얼음들 사이의 영역 내에서의 충분한 얼음 형성 없이 냉동기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 제한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인접한 각얼음이 유닛 내에서 서로로부터 파괴되는 것을 어렵게 할 것이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이러한 한정을 이해해야 하지만, 필요하다면 사용될 수도 있는 몇몇 더 정밀한 한정이 여기에 제공된다. 일 한정은, 측벽 내의 공기/물 채널의 총 단면적이 공기 및/또는 물 채널이 위치되어 있는 각얼음 격실의 측벽의 총 표면적의 20% 미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정은, 측벽 내의 공기/물 채널의 총 단면적이 공기 및/또는 물 채널이 위치되어 있는 각얼음 격실의 측벽의 총 표면적의 15% 미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10% 미만 및 5% 미만을 갖는 부가의 한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관련 기술의 설명
일반적으로, 충전 개구를 갖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는 종래 기술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충전 개구 및 마개를 갖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는 공지되어 있지만, 이들은 통상적으로 밀폐된 트레이 내부에 큰 체적의 비어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DE8608582U1호, EP2530413A2호 및 GB1588108A호를 참조하라. 큰 체적의 비어 있는 공간에 기인하여, 각얼음 트레이 유닛이 냉동기 내에 배열될 때, 트레이 레벨을 배열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얼음이 각얼음 격실 대신에 비어 있는 공간 내에 형성될 것이다.
개별 각얼음 격실의 내용물이 개별적으로 밀폐되어 있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의 예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FR2649190B3호, US3135101A호 및 US4432529A호를 참조하라. 그러나, 공지의 실시예에서, 충전 개구는 각얼음 트레이의 덮개 내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물이 트레이 내에 충전될 때, 트레이 레벨을 유지할 필요가 있고, 그렇지 않으면, 트레이는 적절하게 충전되지 않을 것이다. 한쪽에 너무 많은 물이 있고 다른쪽에 너무 적은 물이 있을 것이다.
제3 발명의 요약
따라서, 제3 발명의 제1 양태는 충전 개구를 통해 종래의 유닛보다 충전이 더 용이한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청구항 21항의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된다. 부가의 유리한 특징이 종속 청구항에 제공되어 있다.
청구범위에서, "중심축을 갖는 충전 개구"가 사용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는 충전 개구가 중심축이라 칭하는 축을 갖는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충전 개구가 세장형 채널인 경우에, 중심축은 세장형 채널의 중심부의 평균축으로서 정의되어야 한다. 세장형 채널이 직선형이면, 중심축은 채널의 종축과 동일할 것이다. 충전 개구가 채널이 아니고, 오히려 단지 평면 표면 내의 개구인 경우, 이때 중심축은 충전 개구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한 수직 벡터로서 정의되어야 한다. 충전 개구가 평면형이 아니면, 중심축은 충전 개구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평면의 수직 벡터로서 정의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중심축은 물이 충전 개구 내로 부어지는 평균 방향과 또한 정렬될 것이다.
청구범위는 더욱이 "각얼음이 트레이로부터 제거될 때 각얼음의 평균 운동 방향의 방향"을 언급하고 있다. 이는 트레이 내에 형성된 각얼음이 트레이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각얼음 트레이는 개구를 갖는 각얼음 격실을 갖도록 형성된다. 각얼음은 일반적으로 개구의 영역에 수직으로 제거된다. 각얼음은 종종 다수의 상이한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각얼음의 평균 운동은 특정 벡터를 따를 필요가 있다. 이는 도 21c 및 도 22c를 참조하여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청구범위는 또한 "가요성 재료"를 언급하고 있다. 가요성 재료라는 것은, 압력이 해당 재료에 인가될 때 변형하기에 충분히 가요성인 재료를 의미한다. 충분한 압력이 인가될 때 모든 재료가 변형하지만, 본 명세서에 따르면, 사용되어야 하는 압력은 플라스틱 유닛 상에 인간 사용자에 의해 인가될 수 있는 압력이라는 것은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청구범위는 용어 "내부", "외부", "상부" 및 "하부"를 또한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용어 내부 및 외부는 덮개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내부측은 각얼음 격실의 중심에 가장 근접한 측이고, 반면에 용어 외부는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에 있다. 용어 상부 및 하부는 덮개에 수직인 방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용어 상부는 덮개에 가장 근접할 것이고, 용어 하부는 덮개로부터 가장 멀리 있을 것이다.
용어 "포함한다/포함하는/구성된"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부,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상술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 완전체,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제4 발명
제4 발명은 액체 충전 개구를 갖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얼음 트레이 유닛은 적어도 2개의 개별적으로 밀폐된 각얼음 격실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충전 개구는, 액체 충전 개구를 통해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내로 도입된 물이 상기 각얼음 격실에 진입하도록 상기 적어도 2개의 개별적으로 밀폐된 각얼음 격실 중 하나와 연계되고, 상기 각얼음 트레이 유닛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개별적으로 밀폐된 각얼음 격실 사이에 분할기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제1 개구가 상기 분할기 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 사이의 물 및/또는 공기 유동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각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밀폐된 격실을 함께 제공하는 각얼음 트레이 및 제거 가능한 덮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따르면, 구문 "개별적으로 밀폐된"이라는 것은, 하나의 각얼음 격실이 인접한 각얼음 격실에 관하여 개별적으로 밀폐되어야 한다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덮개는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의 분할기에 대해 밀폐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의 물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분할기 내에 위치되어 있는 공기/물 채널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각얼음 트레이가 덮개에 의해 밀폐될 때, 각얼음 트레이는 인접한 각얼음들 사이의 영역 내에서의 충분한 얼음 형성 없이 냉동기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 제한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인접한 각얼음이 유닛 내에서 서로로부터 파괴되는 것을 어렵게 할 것이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이러한 한정을 이해해야 하지만, 필요하다면 사용될 수도 있는 몇몇 더 정밀한 한정이 여기에 제공된다. 일 한정은, 측벽 내의 공기/물 채널의 총 단면적이 공기 및/또는 물 채널이 위치되어 있는 각얼음 격실의 측벽의 총 표면적의 20% 미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정은, 측벽 내의 공기/물 채널의 총 단면적이 공기 및/또는 물 채널이 위치되어 있는 각얼음 격실의 측벽의 총 표면적의 15% 미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10% 미만 및 5% 미만을 갖는 부가의 한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관련 기술의 설명
물 분배 채널을 갖는 각얼음 트레이가 당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각얼음 트레이는 상향 지향 개구를 갖는 각각의 각얼음 격실을 갖는 2D 그리드(grid)로 배열된 다수의 각얼음 격실을 갖도록 구성된다. 물이 일반적으로 개방 상부면을 거쳐 각얼음 트레이 내로 부어지고, 이에 의해 각얼음 격실을 충전한다. 충전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형 채널이 인접한 각얼음 격실을 분할하는 벽 내에 제공되어 물이 하나의 각얼음 격실로부터 다른 각얼음 격실로 유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 흔히 있는 경우이다.
어떠한 채널도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너무 많은 물이 트레이 내부로 부어지고 물이 각얼음 격실들 사이의 분할기 위로 유동하는 것이 흔히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얼음 브리지(ice bridge)가 인접한 각얼음 사이에 형성되는데, 이는 각얼음이 함께 견고하게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트레이로부터 각얼음을 제거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채널의 사용은 또한 인접한 격실들 사이에 브리지를 생성하지만, 브리지의 크기는, 트레이로부터 각얼음을 제거할 때 이들 브리지가 용이하게 파괴되기에 충분히 작게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의 물 채널의 사용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US3620497A호를 참조하라. 그러나, 개별적으로 밀폐된 각얼음 격실을 갖도록 구성되고 밀폐 개구를 거쳐 충전되는 각얼음 트레이는 또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몇몇 예가 WO2005054761A1호 및 US4432529A호에 제시되어 있다. 이들 예에서, 물 채널이 또한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많은 수의 각얼음 트레이가 존재하고, 여기서 각얼음 트레이는 밀폐되지만, 개별의 각얼음 격실은 개별적으로 밀폐되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DE8608582U1호, EP1307694B1호, EP2530413A2호, GB1588108A호, US4883251A호, USD669102S1호 및 US2011278430A1호는 모두 물이 사전결정된 충전 라인에 도달할 때까지 개구를 거쳐 트레이 내부로 물이 부어지는 각얼음 트레이를 개시하고 있다. 일단 물이 이 라인에 도달하면, 덮개가 각얼음 트레이 상에 배치된다. 각얼음 트레이는 이어서 레벨 위치에 배열되고, 그 후에 이 레벨 위치에서 냉동기 내에 배치된다. 각얼음 트레이가 레벨 위치에서 냉동기 내로 투입되지 않으면, 물은 용기 내에서 주위로 유동할 것이고, 트레이 내의 다수의 개별적인 얼음 대신에 하나의 큰 각얼음이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각얼음 트레이는, 개별적으로 밀폐 가능한 각얼음 격실을 갖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로서가 아니라,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로서 설명될 수 있다.
개별적으로 밀폐된 각얼음 격실을 갖는 종래의 유형의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는 전혀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이는, 물이 격실 내로 충전되는 것이 가능하기 전에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내에 보관된 공기가 누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충전 개구를 거쳐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를 충전하는 것이 어려워 종래의 해결책이 실현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4 발명의 요약
따라서, 제4 발명의 제1 양태는 충전이 용이한, 개시 단락에 언급된 바와 같은 각얼음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양태는 청구항 31항의 특징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시된다. 부가의 유리한 특징이 종속 청구항에 제시되어 있다.
청구범위는 용어 "충전 개구의 중심축"을 사용한다. 이는 충전 개구가 매우 얇은 개구인 경우 충전 개구의 영역에 수직인 벡터 또는 충전 개구가 특정 길이를 갖는 경우 충전 개구의 종축에 평행인 벡터를 칭한다.
용어 "포함한다/포함하는/구성된"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부,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상술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 완전체,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청구범위에서, 2개의 개별적으로 밀폐된 각얼음 격실이 언급된다. 이는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제5 발명
제 5 발명은 각얼음 트레이 및 덮개를 포함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얼음 트레이는 2개의 인접한 각얼음 격실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각얼음 격실은 각각 저부 및 측벽을 갖고, 이 측벽은 측벽의 상부 에지가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격실 내에 형성된 각얼음이 상기 개구를 통해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는 상기 각얼음 트레이 상에 장착되고 상기 각얼음 격실 내부에 물 또는 다른 액체를 개별적으로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각얼음을 형성하기 위한 밀폐된 격실을 함께 제공하는 각얼음 트레이 및 제거 가능한 덮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따르면, 구문 "개별적으로 밀폐된"이라는 것은, 하나의 각얼음 격실이 인접한 각얼음 격실에 관하여 개별적으로 밀폐되어야 한다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덮개는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의 분할기에 대해 밀폐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의 물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분할기 내에 위치되어 있는 공기/물 채널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각얼음 트레이가 덮개에 의해 밀폐될 때, 각얼음 트레이는 인접한 각얼음들 사이의 영역 내에서의 충분한 얼음 형성 없이 냉동기 내의 임의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 제한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인접한 각얼음이 유닛 내에서 서로로부터 파괴되는 것을 어렵게 할 것이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이러한 한정을 이해해야 하지만, 필요하다면 사용될 수도 있는 몇몇 더 정밀한 한정이 여기에 제공된다. 일 한정은, 측벽 내의 공기/물 채널의 총 단면적이 공기 및/또는 물 채널이 위치되어 있는 각얼음 격실의 측벽의 총 표면적의 20% 미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정은, 측벽 내의 공기/물 채널의 총 단면적이 공기 및/또는 물 채널이 위치되어 있는 각얼음 격실의 측벽의 총 표면적의 15% 미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10% 미만 및 5% 미만을 갖는 부가의 한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관련 출원의 설명
종래의 각얼음 트레이는 일반적으로 그리드형 구조로 배열된 다수의 각얼음 격실을 구비한다. 아주 종종 각얼음 트레이는 덮개를 갖지 않고 제공되고, 환경에 대해 개방되어 있다. 이에 기인하여, 각얼음 트레이 내에 보관된 물 또는 다른 액체가 부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벨 위치에서 냉동기 내에 각얼음 트레이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각얼음 트레이의 내용물을 밀폐하는 덮개를 갖는 각얼음 트레이의 예가 존재한다. 이러한 일례는 GB1588108A호이다. 그러나, 이들과 같은 종래의 예에서는, 여전히 냉동기 내의 레벨 위치에 각얼음 트레이 유닛을 배열할 필요가 있는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 물이 각얼음 격실 내에 적절하게 배치되지 않을 것이고, 오히려 유닛의 일 단부에 수집되어 제거가 불가능한 큰 덩어리의 얼음을 형성할 것이기 때문이다.
각얼음 격실이 개별적으로 밀폐되어 있는 각얼음 트레이 유닛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일례는 US3135101A호이고, 다른 예는 DE10135206C2호이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해결책에 공통적인 것은 결빙할 때 물의 팽창을 고려하는 어떠한 적절한 고려사항도 구현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액체가 종래의 예에서 결빙함에 따라, 얼음은 덮개를 밀어내게 되고 이에 의해 덮개를 변형시킬 것이다. US 3135101A호의 경우에, 덮개는 제거가 어려울 것이다. DE10135206C2호의 경우에, 덮개는 변형되어 2개의 인접한 각얼음 사이에 얼음이 브리지로서 형성되게 할 것이다. 이는 개별 각얼음으로서 트레이로부터 각얼음을 제거하는 것을 어렵게 할 것이다.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의 2가지 다른 예가 US4432529A호 및 WO2005054761A1호에 제공되어 있다.
제5 발명의 요약
따라서, 제5 발명의 제1 양태는 종래의 해결책보다 양호한, 개시 단락에 언급된 바와 같은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청구항 41에 청구된 바와 같은 각얼음 트레이 유닛에 의해 제공된다. 부가의 유리한 특징이 종속 청구항에 제시되어 있다.
용어 "포함한다/포함하는/구성된"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부, 완전체, 단계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상술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 완전체,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청구범위에서, 각얼음 트레이는 2개의 각얼음 격실을 포함하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이는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동일한 사항이 2개의 팽창 흡수부에 대해 사실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도 1은 폐쇄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각얼음 제조 유닛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충전 위치에서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분배 위치에서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구성요소의 일부가 도면을 간단화하기 위해 제거되어 있는,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구성요소의 일부가 도면을 간단화하기 위해 제거되어 있는, 폐쇄 위치에서의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폐쇄 위치에서의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구성요소의 일부가 도면을 간단화하기 위해 제거되어 있는, 충전 위치에서의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폐쇄 위치에서의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구성요소의 일부가 도면을 간단화하기 위해 감추어져 있는, 분배 위치에서의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분배 위치에서의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트레이 덮개를 갖는 각얼음 트레이 구성요소의 상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상이한 시야각으로부터의 도 12의 가요성 시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각얼음 트레이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밀폐 리브를 갖는 트레이 덮개 및 트레이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도 7에 규정된 상세도 XVI에 따른 폐쇄 위치에서의 충전 개구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도 9에 규정된 상세도 XVII에 따른 개방 위치에서의 충전 개구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의 각얼음 제조 유닛의 충전 장치의 다양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a는 각얼음 유지 수단을 갖는 덮개를 갖춘 각얼음 격실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a는 제1 발명에 따른 각얼음 제조 유닛의 제2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b는 폐쇄 위치에서의 제2 발명에 따른 각얼음 분배 유닛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b는 폐쇄 위치에서의 제2 발명에 따른 각얼음 분배 유닛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b는 폐쇄 위치에서의 제2 발명에 따른 각얼음 분배 유닛의 제4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b는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에서의 제2 발명에 따른 각얼음 분배 유닛의 제5 실시예의 2개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c 및 도 22c는 충전 개구 및 마개를 갖는 각얼음 트레이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c는 충전 개구 및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4c는 충전 개구 및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5c 및 도 26c는 2개의 상이한 위치에서의 충전 개구 및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7c는 충전 개구 및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d는 제4 발명에 따른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2d는 제4 발명에 따른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3d는 도 22d의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4d 및 도 25d는 제4 발명에 따른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2개의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6d, 도 27d 및 도 28d는 제4 발명에 따른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3개의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1e는 제5 발명에 따른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2e는 제5 발명에 따른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3e는 제5 발명에 따른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4e는 제5 발명에 따른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20은 상이한 작동 단계에서 각얼음 제조/분배 유닛의 일 실시예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20의 각얼음 제조 유닛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다수의 고유의 특징을 갖는다. 상이한 특징이 모두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하에 개시되는 하나 이상의 개별 특징을 사용하는 다른 디바이스가 개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보호의 범주는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덴마크 특허 상표청에 2014년 10월 6일자로 본 출원인에 의해 모두 출원된 5개의 출원의 세트 중 하나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총 5개의 출원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관련된 출원들은 다음과 같다.
제1 발명: DK PA201470616호 - 2014년 10월 6일 출원됨
제2 발명: DK PA201470615호 - 2014년 10월 6일 출원됨
제3 발명: DK PA201470617호 - 2014년 10월 6일 출원됨
제4 발명: DK PA201470619호 - 2014년 10월 6일 출원됨
제5 발명: DK PA201470618호 - 2014년 10월 6일 출원됨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각얼음 제조 유닛(1)의 실시예는 하우징(2), 덮개(3), 분배기(4), 2개의 각얼음 트레이(5a, 5b), 각얼음 트레이를 위한 2개의 트레이 덮개(6a, 6b) 및 작동 기구를 포함한다. 작동 기구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폐쇄 위치에서의 유닛을 도시하고 있다. 이 위치에서, 각얼음 트레이(5a, 5b)는 트레이 덮개(6a, 6b)에 의해 밀폐되고, 어떠한 물/얼음도 트레이 내외로 들어가거나 나올 수 없다.
도 2는 충전 위치에서의 유닛을 도시하고 있다. 이 위치에서, 덮개(3)는 유닛의 상부에 충전 개구(71, 72)(도 18)를 드러내기 위해 90도 회전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물은 충만할 때까지 유닛 내로 부어질 수 있다. 어떻게 충전 프로세스가 작동하는지의 상세가 이하에 제시된다.
유닛을 완전히 충전한 후에, 덮개(3)는 다시 90도 재회전되어 유닛을 그 폐쇄 위치(도 1)로 할 수 있다. 유닛은 이어서 완전히 밀폐되고, 이때 어떠한 물도 유닛을 빠져나올 수 없다. 유닛은 이어서 디바이스로부터의 물 누출 없이 임의의 위치에서 냉동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단 유닛이 냉동기 내에 있으면, 물은 각얼음 트레이의 개별 격실 내에서 결빙되도록 허용된다.
도 3은 "분배" 위치에서의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이 위치에서, 덮개(3)는 여러 번 회전되어 이를 통해 개방 기구를 작동시킨다. 덮개가 회전됨에 따라, 각얼음 트레이(5a, 5b)는 외향으로 변위되어, 그 각각의 트레이 덮개(6a, 6b)로부터 분리된다. 일단 각얼음 트레이가 충분히 이동 배출되면, 각얼음은 해제되고 유닛의 내부로 낙하한다. 개방 기구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이 이하에 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의 추가 회전은 유닛의 저부를 통해 한번에 하나의 각얼음을 분배하는 분배기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작동은 페퍼밀(pepper mill)과 유사하다. 분배기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사항이 이하에 제시된다.
도 4는 모든 다양한 구성요소를 볼 수 있는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그 연계된 트레이 덮개를 갖는 최좌측 트레이, 최전방 하우징 패널 및 분배기의 최전방 패널은 기구를 더 쉽게 이해하게 하기 위해 제거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그 폐쇄 위치에서의 유닛을 도시하고 있고, 도 8 및 도 9는 그 충전 위치에서의 유닛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 및 도 11은 그 분배 위치에서의 유닛을 도시하고 있다.
유닛은 더 상세하게는, 제1 측면 하우징 패널(11), 제2 측면 하우징 패널(12), 상부 하우징편(13), 덮개(3), 제1 분배기 패널(21), 제2 분배기 패널(22), 나선형 요소(23), 분배기 클러치 요소(24), 제1 트레이(5a), 제1 트레이 덮개(6a), 제2 트레이(5b), 제2 트레이 덮개(6a), 제1 가이드 플레이트(31), 제2 가이드 플레이트(32), 덮개 클러치 요소(33), 육각형 구동축(34), 부싱(35), 활주 너트(36) 및 스크류 구동축(37)을 포함한다(도 4 참조). 이들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트레이 덮개(6a) 및 제2 트레이 덮개(6b)는 가요성 시트 요소(50) 및 프레임 요소(51)로 구성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가요성 시트 요소는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 요소에 체결된다. 가요성 시트 요소는 도시를 위해 도면에서 프레임 요소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 디바이스에서, 이들 2개의 요소는 함께 체결되어 단일의 유닛을 형성할 것이다.
조립 중에, 활주 너트(36)는 제2 트레이 덮개(6b)의 프레임 요소(51) 내의 상부 리세스(52)에 체결된다. 활주 너트는 프레임 요소에 대해 회전 또는 변위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부싱(35)이 제2 트레이 덮개(6b)의 프레임 요소 내의 제2 리세스(53) 내에 배치된다. 부싱(35)은 덮개의 프레임 요소에 대해 회전하도록 허용되지만, 덮개에 대해 변위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이는 프레임 요소의 일부가 끼워지는 부싱(35)의 양측의 2개의 플랜지(45)에 기인한다. 트레이 덮개(6b)의 대향 프레임 요소는 이때 제2 트레이 덮개(6b)의 프레임 요소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이에 의해 활주 너트 및 부싱을 2개의 트레이 덮개 내부에 개재시킨다. 2개의 덮개는 2개의 덮개가 함께 스냅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냅결합 기구(54)와 함께 각각 형성되어, 부싱(35) 및 활주 너트(36)가 이들의 리세스 외부로 낙하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덮개의 프레임 요소는 트레이 덮개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55)를 또한 갖는다. 이들 플랜지(55)는 가이드 플레이트(31, 32) 내에 배치된 수직 슬롯(40) 내에 배치된다. 플랜지(55)에 평행하게 배열된 스냅결합 요소(56)는 가이드 플레이트(31, 32) 내의 슬롯(40) 상에 스냅결합되어 가이드 플레이트 및 덮개를 함께 유지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덮개가 변위될 때, 이어서 가이드 플레이트는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변위된다.
도 4로부터, 가이드 플레이트는 슬롯(40)의 주연부 주위에 세장형 돌기(41)를 갖는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이 돌기는 제1 하우징 플레이트(11) 및 제2 하우징 플레이트(12) 내의 슬롯(14) 내에 끼워진다. 하우징 플레이트 내의 슬롯(14)은, 가이드 플레이트 내의 돌기(41)보다 더 긴데, 이는 덮개-가이드 플레이트 조립체가 슬롯(14)을 따라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활주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 해결책에서, 슬롯 내에 끼워지는 세장형 돌기(41)를 갖는 대신에, 가이드 플레이트(31, 32)는 하우징 내의 슬롯(14) 내에 끼워지는 제한된 수의 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롯 내에 포획된 임의의 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결빙 중에 포획된 일부 물이 존재하면, 핀은 얼음을 용이하게 파괴할 것이다.
트레이 덮개-가이드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스크류 구동축(37)은 활주 너트(36) 상의 내부 나사산과 결합하는 외부 나사산을 구비한다. 스크류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활주 너트는 스크류 구동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스크류 구동축에 대해 상하로 강제로 변위된다. 스크류 구동축의 상부 부분(38)은 하우징 상부 부분(13) 내의 개구(15) 내로 스냅결합된다. 하우징 상부 부분은 제1 하우징 패널(12) 및 제2 하우징 패널(13)에 체결된다. 스크류 구동축의 상부 부분의 구성에 기인하여, 스크류 구동축은 하우징 패널 및 하우징 상부에 대해 변위할 수 없고, 단지 회전할 수만 있다. 따라서, 스크류 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이는 덮개-가이드 플레이트 조립체를 하우징에 대해 상하로 강제로 변위시킬 것이다. 덮개(3) 아래의 구동축(도시 생략)은 스크류 구동축(37)의 상부 부분과 결합되어, 덮개가 회전될 때, 스크류 구동축이 또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상부 덮개(3)를 회전시킴으로써, 덮개-가이드 플레이트 조립체는 하우징에 대해 변위된다.
각얼음 트레이(5a, 5b)는 각얼음 트레이의 양측에 3개의 가이드 핀(61)을 각각 구비한다. 가이드 핀(61)은 가이드 플레이트 내의 가이드 슬롯(42) 내에 그리고 하우징 패널 내의 가이드 슬롯(16) 내에 배열된다. 하우징 패널 내의 가이드 슬롯은 하우징 패널의 중심을 향한 수직부(17) 및 하우징 패널의 중심으로부터 하우징 패널의 외주부를 향해 진행하는 수평부(18)를 갖는다. 가이드 플레이트(31, 32) 상의 가이드 슬롯(42)은 일반적으로 수직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는 대략 40도이다.
각얼음 트레이(5a, 5b)는 그 각각의 트레이 덮개(6a, 6b)에 대해 기밀하게 가압된 위치에서 시작한다. 트레이의 가이드 핀(61)은 하우징 패널 내의 가이드 슬롯(17)의 수직부의 상부 부분에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31, 32) 내의 가이드 슬롯(42) 내의 최내측 위치에 있다. 트레이 덮개-가이드 플레이트 조립체가 덮개(3)의 회전에 의해 하향으로 압박됨에 따라, 가이드 핀은 가이드 플레이트 내의 슬롯에 대해 고정 상태로 유지하면서 하우징 패널 내의 가이드 슬롯(16)의 수직부(17) 내에서 또한 하향으로 압박된다. 일단 가이드 핀이 수평부에 도달하면, 가이드 핀은 가이드 플레이트 내의 가이드 슬롯의 각도에 기인하여 외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것이다. 덮개-가이드 플레이트 조립체가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 각얼음 트레이는 외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한다. 덮개-가이드 플레이트 조립체가 그 진행의 저부에 도달할 때, 스크류 구동축(37)의 외부 나사산은 활주 너트를 해제시키고, 덮개-가이드 플레이트 조립체는 하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정지하며, 각얼음 트레이는 외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정지한다.
각얼음 트레이를 후퇴시키도록 요구될 때, 덮개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에 의해 활주 너트를 재차 상향으로 잡아당기고, 트레이 및 가이드 핀의 운동이 역전된다.
일단 트레이 덮개-가이드 플레이트 조립체가 그 최하부 위치에 도달하면, 클러치 요소(33)로서 형성된 부싱(35)의 최하부 부분은 나선(23) 상에 형성된 상보형 클러치 요소(24)와 결합한다. 스크류 구동축(37)은 활주 너트와 더 이상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스크류 구동축은 트레이 덮개-가이드 플레이트 조립체의 임의의 더 이상의 변위 없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육각형 구동축(34)은 스크류 구동축의 일 단부에 고정되고, 스크류 구동축과 함께 회전한다. 부싱(35)은, 여전히 부싱이 육각축을 따라 활주하게 허용하면서 육각축 형상에 정합하는 내부 리세스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덮개-가이드 플레이트 조립체가 하향으로 변위됨에 따라, 부싱은 육각축을 따라 활주하지만, 육각축과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부싱의 저부가 나선의 클러치 요소와 결합할 때, 덮개의 회전은 나선의 회전을 유발할 것이다. 나선의 기능은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분배 위치를 더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11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얼음 트레이는 외향으로 변위되어 이들이 덮개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각얼음은 이제 각얼음 트레이와 트레이 덮개 사이의 개방 영역 내로 자유롭게 낙하한다. 실제로, 유닛의 중심에서 트레이 덮개 조립체의 양측에 하나씩, 각얼음의 2개의 개별 격실이 존재한다. 디바이스의 저부의 분배기 배열은, 상부에 2개의 개구(90, 91) 및 저부에 2개의 개구(92, 93)인 4개의 개구를 갖는 유닛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실제로, 저부에 있는 2개의 개구는 하나의 개구로 결합되지만, 2개의 개별 개구를 고려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에서, 각얼음은 최좌측 개구(90)를 통해 낙하하고, 나선(23a)의 저부 부분 상에 착륙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각얼음은 최우측 개구(91)를 통해 낙하하고 나선(23b)의 상부 부분 상에 착륙할 것이다. 나선은 각얼음이 분배기 외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나선이 회전함에 따라, 좌측의 각얼음 및 우측의 각얼음은 하향으로 서서히 변위할 것이다. 나선의 단부가 좌측 개구에 도달할 때, 좌측의 각얼음은 좌측의 저부 개구(92)를 통해 낙하할 것이다. 나선의 추가의 회전은 이어서 우측의 각얼음이 우측의 저부 개구(93)를 통해 낙하하게 할 것이다. 이 사이클은 나선의 추가의 회전에 의해 반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효과는 나선을 가짐으로써 제공된다. 그러나, 서로 이격하여 변위되는 2개의 커버 요소에 의해 유사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하나의 커버 플레이트가 저부 개구를 덮고, 반면에 제2 커버 플레이트는 상부 개구를 덮지 않는다. 이 위치에서, 각얼음은 상부 개구를 통해 낙하하고 하부 커버 플레이트 상에 착륙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것은 이어서 하부 개구를 개방하면서 상부 개구를 덮는다. 각얼음은 이어서 하부 개구를 통해 낙하할 수 있다. 추가의 회전은 저부 개구를 폐쇄하고 상부 개구를 개방한다. 이는 원하는 바에 따라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나선은 이와 같이 별개의 상부 커버 플레이트 및 하부 커버 플레이트를 갖지 않지만, 실제로 나선의 상부 부분은 본 명세서에서 상부 커버 플레이트로서 작용하고 나선의 하부 부분은 하부 커버 플레이트로서 작용한다. 더욱이, 나선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활한 경사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요구되는 경우 단차형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각얼음 트레이(5) 및 트레이 덮개(6)의 몇몇 상이한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트레이 덮개(6)는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요소(51) 및 가요성 시트 요소(5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요소는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 프로세스를 거쳐 제조되고, 가요성 시트 요소는 고무 재료로 프레임 요소 상에 직접 공사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레이 덮개는 단일의 제조 프로세스에서 단일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
가요성 시트 요소(50)의 트레이 대면측 상에는, 밀폐용 립(57; sealing lip)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는 밀폐용 립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더 양호하게 예시하기 위한 밀폐용 립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밀폐용 립은 각얼음 격실의 상부 에지를 따라 각얼음 격실 내로 짧은 거리만큼 연장된다. 밀폐용 립은 2개의 목적을 갖는다. 제1 목적은, 각얼음 내의 물이 각얼음 격실의 에지 위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면서 격실 내의 얼음이 팽창할 때 가요성 시트 요소의 특정량의 연장을 흡수할 수 있는 더 양호한 밀폐를 제공하는 것이다. 밀폐용 립의 밀폐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리지(ridge) 또는 잉여의 플랩(flap)이 밀폐용 립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어 밀폐용 립과 각얼음 격실의 내부면 사이에 더 양호한 밀폐가 제공되게 된다.
제2 목적은 트레이가 트레이 덮개로부터 이격하여 잡아당겨질 때 각얼음 격실 외부로 각얼음을 잡아당기는 것을 돕는 것이다. 얼음이 각얼음 격실 내에서 결빙될 때, 얼음은 약간 내향으로 경사진 밀폐용 립 주위에서 결빙할 것이다. 트레이가 트레이 덮개로부터 이격하여 잡아당겨질 때, 밀폐용 립은 각얼음 상에 유지되려고 노력할 것이고, 이에 의해 트레이 외부로 각얼음을 잡아당긴다. 밀폐용 립이 트레이의 상부 에지를 통과할 때, 이어서 이들 밀폐용 립은 외향으로 굴곡하여 각얼음을 해제(release)시킨다.
얼마나 단단히 밀폐용 립이 각얼음을 파지해야 하는지에 따라, 밀폐용 립은 상이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 및 덮개의 운동에 기인하여, 트레이가 직선으로 이동함에 따라, 트레이 덮개는 아래로 진행한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따라서, 각얼음이 밀폐용 립을 통해 덮개 상에 유지되는 경우에, 트레이에 대한 트레이 덮개의 하향 운동은 트레이를 각얼음과 강제로 접촉하게 할 것이며, 이에 의해 각얼음을 회전시키고 이들 각얼음을 트레이 덮개로부터 이격하여 강제로 낙하하게 한다.
특히 도 12 및 도 14로부터 또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얼음 트레이(5)는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의 분할기(60) 내에 다수의 채널(58, 59)을 갖는다. 더욱이, 소형 채널(58)이 분할기의 상단부에 제공되고 이보다 큰 채널(59)이 분할기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사진 분할기에 기인하여, 물이 충전 개구(64)를 거쳐 각얼음 트레이 내로 부어짐에 따라, 물은 대형 개구(59)를 통해 각얼음 트레이의 일 측에서 유동할 것이고, 반면에 공기는 분할기의 상단부에서 소형의 채널을 통해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 유동은 트레이의 우측에 배치될 것이고, 공기 유동은 트레이의 좌측에 배치될 것이다. 공기 유동과 물 유동의 좌측 및 우측 각각으로의 분리에 기인하여, 물 유동 내의 공기 기포가 회피될 것이고, 이에 의해 각얼음 트레이의 보다 고속의 더욱 용이한 충전을 허용한다.
프레임 요소(51)는 각얼음 트레이의 외주부에 대해 가요성 시트를 가압하는 외부 프레임(51a)을 갖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또한 주목될 수 있다. 더욱이, 프레임 요소(51)는 각얼음 격실의 분할기의 상부 에지에 대해 가요성 시트를 가압하는 분할기(51b)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밀 밀폐부가 가요성 시트와 각얼음 트레이의 상부 에지 사이에 제공된다. 더욱이, 프레임 요소는 외부 프레임과 분할기 사이에서 중공형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얼음 격실 내의 물이 결빙함에 따라, 가요성 시트는 외부 프레임과 분할기 사이의 중공부 내로 연장되도록 허용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물로 유닛을 충전하기 위해, 유닛은 덮개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충전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덮개를 재차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유닛은 물이 유닛으로부터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될 수 있다고 언급된 바 있다. 폐쇄 위치는 도 7의 단면도에서 그리고 도 16의 상세도에서 가장 양호하게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충전 위치는 도 9에서 그리고 도 17의 상세도에서 가장 양호하게 볼 수 있다. 충전 장치의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도 18 내지 도 20에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하우징부(13)는 2개의 충전 개구(71, 72) 및 2개의 공기 통기 개구(73, 74)를 구비한다. 충전 개구(71) 및 공기 통기 개구(73)의 하나의 세트는 제1 트레이(5a) 상의 충전 개구(62) 및 공기 통기 개구(63)와 연계되고, 충전 개구(72) 및 공기 통기 개구(74)의 제2 세트는 제2 트레이(5b)의 충전 개구(64) 및 공기 통기 개구(65)와 연계된다. 물은 이때 충전 개구를 거쳐 유닛 내로 부어질 수 있고, 공기는 공기 통기 개구를 통해 통기 배출된다.
트레이의 각각의 개구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상부 하우징부(13)에서의 각각의 개구와 연계된 밀폐 요소(75, 76, 77, 78)가 제공된다. 유닛이 그 충전 위치에 있을 때, 밀폐 요소는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퇴된다. 물 유동은 라벨 W를 갖는 화살표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유닛이 그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밀폐 요소는 트레이 내의 개구 내로 아래로 가압되며, 이에 의해 트레이 내의 개구를 밀폐한다. 도 16을 참조하라.
밀폐 요소의 폐쇄 위치에서, 밀폐 요소는 충전 개구의 대부분을 채우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얼음이 트레이로부터 제거되려고 할 때, 트레이로부터 돌출하는 각얼음의 부분이 존재하지 않아 트레이로부터 제거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각얼음의 작은 부분이 충전 개구 내로 돌출하지만, 각얼음의 이 부분은 각얼음 격실의 측벽 상의 테이퍼(taper)에 기인하여 충전 개구의 최외측 에지(79)의 내부에 여전히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목적으로 제공된 리세스 내의 저부 부분 상에 하나 그리고 재차 이 목적으로 제공된 리세스 내의 상부 부분 상에 하나인, 2개의 O-링(도시 생략)이 밀폐 요소 상에 제공되는 것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폐쇄 위치에서, 양 O-링은 개구와 결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충전 위치에서는 대조적으로, 하부 O-링은 결합되지 않는 반면에 상부 O-링은 여전히 개구와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전 개구 내로 부어진 물은 트레이 내로 유도되고 유닛의 내부 기구 내로 유도되지 않는다.
덮개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류 구동축(37)은 트레이 및 트레이 덮개가 충전 개구 및 통기 개구로부터 밀폐 요소를 분리하기에 충분하게 하향으로 변위되게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각얼음 제조/분배 유닛에 관련된 적어도 5개의 주 발명에 관련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특정한 일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서, 각얼음 제조/분배 유닛의 몇몇 다른 실시예가 본 명세서의 5개의 주 발명에 대해 더 상세히 매우 개략적인 방식으로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섹션에서, 사용된 도면 부호는 특정 경우에 상이한 발명에 관한 섹션들 사이에서 중복될 것이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어느 도면이 참조되고 있는지가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모든 도면은 제1 주 발명, 제2 주 발명, 제3 주 발명, 제4 주 발명 및 제5 주 발명에 각각 관련된 도면을 나타내기 위해 첨자 a, b, c, d 또는 e가 제공되어 있다.
제1 발명
도 21a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50, 51)를 갖는 각얼음 트레이(5)의 다른 개략적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의 실시예와 같이, 덮개는 프레임 요소(51) 및 가요성 시트 요소(50)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전의 실시예와 같이, 밀폐용 립(100)은 덮개의 저부측 상에 제공된다. 이전의 실시예와 같이, 밀폐용 립(100)은 밀폐용 립으로서 그리고 각얼음 유지 수단으로서 모두 작용하고, 이에 의해 각얼음은 덮개의 밀폐용 립과 포지티브하게 결합되어, 덮개가 각얼음 트레이로부터 잡아당겨질 때, 각얼음이 덮개를 따르게 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밀폐용 립(100)은 각얼음을 더욱 포지티브하게 결합하기 위해 밀폐용 립의 내부측 상에 돌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밀폐용 립은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용 립을 매우 가요성이 되게 함으로써, 각얼음이 트레이의 외부로 단지 약간 잡아당겨지자마자, 이어서 밀폐용 립은 각얼음을 결합해제시킬 것이고 각얼음이 덮개로부터 자유로워질 것이다. 밀폐용 립을 더 강성이 되게 함으로써 그리고/또는 더 포지티브한 결합 수단에 의해, 이때 각얼음은 덮개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더 어렵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용 립은 각얼음 격실 내에 형성된 각얼음의 상부면에 포지티브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밀폐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밀폐 기능 및 유지 기능이 일 요소에서 조합된다.
그러나, 밀폐용 립을 전혀 갖지 않으면서 각얼음 격실의 에지로부터 이격하게 유지 요소를 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형 결합 요소, 예를 들어 소형 가요성 미늘부(barb)가 각각의 각얼음 격실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유지 기능을 갖지 않는 밀폐용 립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용 립이 각얼음과 포지티브 결합을 나타내지 않으면, 이때 트레이로부터 멀리 덮개를 잡아당기는 것은 단지 각얼음과의 결합으로부터 해제하여 밀폐용 립을 잡아당길 것이다.
도 22a는 본 발명에 따른 각얼음 제조 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이전에 도시되어 있는 것보다 훨씬 더 간단한 실시예이다. 이 경우에, 유닛은 각얼음 트레이(120) 및 덮개(121)를 포함한다. 덮개 및 각얼음 트레이는 그 상부 에지(123) 및 그 하부 에지(124)에 대해 만곡 가능한 가요성 고무 요소(122)에 의해 결합된다. 가요성 고무 요소는 도 22a에 도시되어 있는 2개의 위치를 갖는 쌍안정성 요소로서 형성된다. 그 하부 위치에 있을 때, 덮개는 트레이에 대해 밀폐되고, 그 상부 위치에 있을 때, 덮개는 트레이로부터 이격된다. 각얼음은 이때 트레이 외부로 그리고 개구(126) 외부로 요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변위 장치는 가요성 고무 요소(122) 및 그 에지(123, 124)로서 이해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덮개, 가요성 고무 요소 및 각얼음 트레이의 조합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자석이 그 제1 위치 및 제2 위치 각각에서 덮개의 위치를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자석은 트레이의 내용물을 밀폐하기 위해 트레이에 대해 덮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적합한 하우징의 외부 위치 상에 배치된 자석은 각얼음이 제거될 수 있도록 트레이로부터 덮개를 이격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 발명
도 21b는 도 1 내지 도 20에 관하여 전술된 것에 매우 유사한 얼음 분배 유닛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에 대조적으로, 육각축(34)은 나선에 직접 결합하도록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전의 실시예의 클러치 요소는 회피될 수 있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부싱(35)은 육각축(34) 상에서 여전히 활주하지만, 부싱의 저부 상에 클러치 요소를 구비할 필요가 더 이상 없다.
도 22b는 약간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나선으로 줄곧 하향 연장되는 육각축(34) 대신에, 제2 육각축(34a)이 나선에 연결되고 부싱(35)과 결합한다. 육각축(34)이 회전함에 따라, 부싱(35)은 회전하는데, 이는 또한 제2 육각축(34a)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임의의 축 없이 유닛의 저부에서 전체 분배기 유닛(4)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3b는 예를 들어, 각얼음으로 충전된 플라스틱병과 같은, 각얼음(102)의 사전충전된 용기(101)에 부착될 수 있는 저비용 분배기 유닛(100)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개략적인 본 예에서, 병은 직경이 원형이고, 분배기 유닛은 또한 직경이 원형이다. 용기의 내부 에지는 내부 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분배기 유닛은 용기 내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외부 나사산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 대신에, 스냅 끼워맞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커버 플레이트(103) 및 상부 커버 플레이트(104)가 회전자(105)에 부착된다. 회전자는 핸들(106)을 회전시킴으로써 작동된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104)는 분배기 내의 상부 개구(107)를 덮도록 구성되고, 하부 커버 플레이트(103)는 하부 개구(108)를 덮도록 구성된다.
핸들(106)은 용기의 본체를 통해 위로 연장되는 축(109)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도면으로부터 또한 알 수 있다. 소형 로드(rod)의 형태의 교반 요소(110)가 축(109)에 부착된다. 핸들이 회전됨에 따라, 축은 회전하고, 소형 로드는 각얼음을 통해 구동되어 이들 각얼음을 교반한다. 이는 각얼음이 함께 결빙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형 로드 대신에, 축은, 회전될 때, 나선형 요소가 용기 내의 각얼음을 서서히 시프트(shift)시킬 수 있도록 축 상에 나선형 요소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 형상에 기인하여, 로드를 갖는 상황보다 축을 회전시키는 것이 더 용이할 것이다. 각얼음이 함께 결빙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교반 요소는 또한 각얼음을 파괴하는 데 사용된다.
이 기구는 각얼음 교반 기구라 칭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교반 기구는 회전하는 대신에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교반 기구는 하우징을 통한 경로의 적어도 일부로 연장되는 축일 수 있고, 교반 요소가 축에 연결될 수 있어 축이 변위될 때, 예를 들어 회전되거나 상하로 이동될 때, 교반 요소가 하우징 내에서 각얼음을 교반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도 23b의 유닛과 매우 유사한 유닛이 제공될 수 있지만, 핸들이 도 23b에서와 같이 저부 대신에 유닛의 상부에 배치된다. 더욱이, 다른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축은 용기(101)에 고정될 수 있다. 분배기부는 이때 용기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데, 이는 개구(107, 108)가 커버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되게 할 것이다.
이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나선은 회전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는 대신에 선형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도 24b는 선형 변위 분배 조립체(12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서, 각얼음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제1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직사각형 하우징(121) 내에 배치된다. 좌측 도면 및 우측 도면은 분배 기구의 2개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배 조립체는 상부 개구(123), 저부 개구(124), 상부 커버 플레이트(125) 및 저부 커버 플레이트(126)를 갖는다. 변위 기구(127)는 상부 개구를 노출하기 위해 커버 플레이트를 좌측으로 압박하며 이에 의해 각얼음이 분배 조립체에 추가된다. 변위 기구가 해제될 때, 각얼음은 분배 조립체 외부로 낙하한다.
도 24b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어떠한 교반 기구도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하우징 자체는 사용자에 의해 비틀리고 만곡될 수 있는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꺼운 고무 재료는 그 형상을 양호하게 유지하지만, 하우징이 비틀릴 수 있게 한다. 하우징이 만곡되고 비틀릴 때, 각얼음은 교반될 것이고 이에 의해 각얼음 사이의 임의의 결빙 접합부를 파괴한다.
제3 발명
도 21a 및 도 22c는 각얼음 격실의 측면에서 단일의 각얼음 격실(100) 및 충전 개구(101)를 도시하고 있다. 마개(102)가 개구를 틀어막도록 개구 내에 배치된다. 2개의 도면은 각얼음이 트레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2개의 방향을 도시하고 있는 2개의 벡터(V)를 도시하고 있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인 바와 같이 다른 방향이 또한 가능하다. 충전 개구 및 마개는, 충전 개구의 최외측 에지(103)에서 시작하여 각얼음이 트레이로부터 제거될 때 각얼음의 평균 운동 방향(V)의 방향으로 지향하는 벡터를 포함하는 평면(A)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충전 개구의 체적을 마개가 완전히 채우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21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는 도 21c에서는 충족되지 않고, 반면에 도 22c에서는 충족된다. 청구범위에 따르면, 조건이 각각의 운동 방향에 대해, 단지 하나의 운동 방향에 대해 충족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방향(V)을 따라 격실로부터 각얼음을 제거하려고 시도하면, 평면(A) 외측의 체적 내에 형성된 얼음은 충전 개구의 최외측 에지 내로 파쇄될 것이고 트레이로부터의 각얼음의 제거를 방지할 것이라는 것을 도 21c로부터 또한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22c에서, 어떠한 얼음도 평면(A) 외측에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는 문제가 아니다.
도 23c는 각얼음 트레이의 측벽(112) 내의 충전 개구(111)를 완전히 채우는 마개(11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마개가 개구로부터 제거될 때, 어떠한 얼음도 개구 내에 남아 있지 않다. 이는, 일단 마개가 제거되면 트레이로부터 각얼음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한 것을 보장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마개의 내부측은 충전 개구로부터 마개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한 것을 보장하도록 테이퍼져 있다.
도 24c는 또한 각얼음 트레이의 측벽(122) 내의 충전 개구(121)를 완전히 채우는 마개(12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마개는 구이다. 충전 개구는 또한 이 구에 적합하게 형성된다. 완전한 구 대신에, 라운딩된 내부면을 갖는 마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23c 및 도 24c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마개의 최내측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개의 표면은 충전 개구의 최내측 에지에 대해 변형되며, 이에 의해 마개의 밀폐 효과를 증가시킬 것이다.
도 25c 및 도 26c는 충전 개구(130) 및 마개(13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충전 개구는 세장형 채널로서 형성된다. 마개는 제1 밀폐면(132) 및 제2 밀폐면(133)을 갖도록 형성된다. 채널(134)이 제1 밀폐면과 제2 밀폐면 사이에서 마개 내에 제공된다. 도 25c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에서, 제1 밀폐면 및 제2 밀폐면은 세장형 채널의 내부면에 대해 밀폐한다. 그러나, 도 26c에서, 마개는 충전 개구 내에서 약간 변위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2 밀폐면은 여전히 세장형 채널의 내부면과 접촉하고 있지만, 제1 밀폐면은 세장형 채널의 내부면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기인하여, 물이 마개 내의 채널(134) 내로 부어질 수 있는데, 이 물은 마개를 통해 유동한다. 제2 밀폐면이 적소에 있지 않는 경우에, 이어서 마개 내의 채널 내로 부어진 물은 세장형 채널의 측면 위로 상향으로 진행할 수 있고 유닛의 내부 내로 진행할 수 있다.
도 27c는 도 24c 및 도 26c의 마개의 다른 양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마개의 내부 부분(135)은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따라서, 마개의 내부 부분은 충전 개구에 대해 가압될 때 변형하여 이에 의해 적절한 밀폐를 보장한다.
도 28c는 충전 개구(140) 및 마개(14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의 실시예에서, 마개는 각얼음 격실의 외부로부터 충전 개구 내로 압박되어 있다. 도 28c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반대이다. 충전 개구를 개방하도록 요구될 때, 마개(141)는 각얼음 격실 내로 압박된다. 개구를 폐쇄하도록 요구될 때, 마개는 개구 내로 잡아당겨진다. 이 경우에, 마개가 각얼음 트레이 내로 돌출되지 않아, 마개가 트레이로부터 각얼음의 제거에 간섭하지 않게 되는 것이 중요하다.
제4 발명
도 21d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100)을 매우 개략적인 방식으로 도시하고 있다. 유닛은 10개의 개별적으로 밀폐된 각얼음 격실(101)로 구성된다. 각얼음 격실은 2개의 각얼음 격실 폭 및 5개의 깊이를 갖는 그리드 구조로 구성된다. 다른 구성이 또한 가능하다. 물 충전 개구(102)가 우상부 각얼음 격실과 연계하여 배열되고, 공기 통기구(103)가 좌상부 각얼음 격실과 연계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 유닛은 직립 배향 또는 수직 배향으로 충전된다. 이는 수평 위치에서 충전되어 있는 종래의 트레이에 대조적이다. 수직 위치에서의 충전은, 수평 위치에서 세장형 요소를 유지하는 것보다 수직 위치에서 세장형 요소를 유지하는 것이 더 용이하기 때문에 큰 장점을 갖는다. 수평 위치에서의 작은 오정렬은 어떻게 물이 트레이 내에 분포되는지에 대해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수직 위치에서 작은 오정렬은 어떻게 물이 트레이 내에 분포되는에 대해 작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충전 개구의 중심축은 트레이의 종축과 평행한 성분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닛 내의 물 및 공기 유동은 2개의 개별 유동 경로로 분리되어 있다는 것을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은 우하부 격실이 충전될 때까지 각얼음 격실의 최우측 칼럼으로 아래로 진행한다. 다음에, 물은 좌측 각얼음 격실과 우측 각얼음 격실 사이에서 분할기(105) 내의 개구(104)를 거쳐 최좌측 칼럼 내로 넘쳐 유동한다. 우하부 각얼음 격실은 물 개구(106)를 통해 물로 충전되지만, 각얼음 격실 내에 미리 존재하는 공기는 개구(104)를 거쳐 격실을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일단 좌하부 각얼음 격실이 완전히 충전되면, 각얼음 격실은 저부로부터 서서히 충전될 것이다. 최우측 칼럼 내의 공기는 항상 개구(104)를 거쳐 최좌측 칼럼 내로 넘어가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최좌측 칼럼 내의 공기는 항상 각얼음 격실의 상부에서 개구(107)를 거쳐 각얼음 격실의 상부를 나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우측 각얼음 격실과 좌측 각얼음 격실 사이의 분할기 내의 개구(104)는 각얼음 격실의 상부에 배열된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얼음 격실이 완전히 충전될 때 더 이상의 어떠한 공기도 이 개구를 통해 빠져나갈 수 없는 것이 우선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를 위한 개구(104)의 상부는 물을 위한 개구(106)의 저부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기는 격실이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격실 외부로 나올 수 있다. 공기를 위한 개구(104)의 상부가 물을 위한 개구(106)의 저부보다 더 아래에 위치되어 있으면, 몇몇 시점에, 공기를 위한 개구(104)는 물에 의해 완전히 차단될 것이다. 이는 격실의 상부 내의 개구(106)를 거쳐 또는 물로 충전되어 있더라도 측면 개구(104)를 통해 공기가 강제로 나오게 할 것이다. 이는 충전 프로세스를 감속시킬 것이다.
우하부 각얼음 격실의 경우에, 그 위에 위치된 각얼음 격실은 또한 제1 개구(106)를 거쳐 각얼음 격실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체적(108)이고, 좌측 각얼음 격실은 제2 개구(104)를 거쳐 각얼음 격실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체적(109)이라고 할 수 있다. 공기는 각얼음 격실이 물로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제2 개구(104)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너무 많은 물이 물 충전 개구(102)를 통해 부어 넣어지지 않으면, 이어서 물 및 공기 유동은 항상 동일한 경로를 따를 것이라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물은 항상 제1 개구를 거쳐 각얼음 격실을 충전할 것이고, 공기는 항상 제2 개구를 거쳐 각얼음 구성요소로부터 나올 것이다. 각얼음 격실의 충전 프로세스의 바로 종료 시에, 소량의 물이 제2 개구를 통해 또한 부어 배출되는 것이 사실이다. 공기 통기 개구(103)의 경우에, 이는 트레이가 충만하다는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물 유동을 더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개구를 치수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또한 언급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물 충전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충전 개구 내로의 물 유동이 중단되고, 물이 매우 큰 유동 및/또는 압력을 갖고 챔버에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각얼음 격실의 저부 내의 개구(106)를 밸런싱(balancing)함으로써, 시스템을 통한 유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얼음 격실의 저부에 있는 개구(106)가 각얼음 격실의 상부에 있는 개구보다 작으면, 유동이 시스템 내에서 역류하기 시작할 것이다. 그러나, 개구의 크기를 밸런싱함으로써, 유동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더욱 더 많은 물 유동을 제공하도록 부가의 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각얼음 격실과 우측 각얼음 격실 사이에서 분할기의 저부에 있는 개구(도시 생략)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2d는 다른 실시예(120)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얼음의 2개의 칼럼을 갖는 대신에, 각얼음 격실의 단지 하나의 칼럼만이 제공된다. 이는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과 유사하다. 도 1 내지 도 20의 실시예에서, 각지게 형성된 분할기는 제1 개구가 제2 개구의 아래에 배열되도록 사용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 체적의 물은 제1 개구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개구는 여전히 자유로운 상태이다. 이는 또한 공기 및 물 유동을 분리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도 22d의 실시예에서, 제2 개구 아래에 제1 개구를 배열하는 대신에, 소형 부분 분할기(121)가 제1 개구와 제2 개구 사이에 도입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 충전 개구(122) 내로 부어진 물은 분할기의 우측의, 제1 개구(124) 위의 체적(123) 내에 보관될 것이다. 그러나, 분할기의 좌측의 체적(125)은 물이 없이 남아 있을 것이고, 공기는 물의 체적을 통과할 필요 없이 제2 개구를 통해 하부 각얼음 격실을 빠져나올 수 있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 충전 개구 및 개별 공기 통기구(126)는 최상부 각얼음 격실 내에 제공된다. 그러나, 어떻게 물 충전 개구가 배열되는지에 따라, 개별 공기 통기 개구를 갖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물 충전 개구를 통해 물로 트레이를 충전하는 동안 공기가 물 충전 개구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는 한, 이때 본 발명의 이익을 갖는 것이 여전히 가능해야 한다. 이는 도 23d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물의 절반이 분할기의 좌측에서 종료되고 물의 절반이 분할기의 우측에서 종료되도록 사용자가 개구 내로 물을 부으면, 장점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지만, 사용자가 물을 정확하게 부으면, 유닛을 충전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다.
도 21d, 도 22d 및 도 23d의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에서 분할기 내에 개구가 제공된다고 일컫고 있다는 것이 설명되어 있음에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분할기는 각얼음 트레이에 의해 완전히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분할기는 각얼음 트레이의 부분과 덮개의 부분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얼음 격실의 상부 에지와 결합하기 위해 덮개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플랜지가 덮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개구는 덮개의 부분 내에, 즉 덮개의 플랜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4d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140)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유닛은 충전 중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종류이다. 물은 개구(W) 내로 부어지고 공기는 개구(A)를 통해 통기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얼음 트레이를 통해 물이 유동하게 하기 위한 단지 하나의 경로만이 존재한다. 물은 공기 통기구(A)를 갖는 각얼음 격실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 개구를 갖는 각얼음 격실로부터 위로 그리고 이어서 각얼음 트레이 주위로 반시계방향으로 유동할 것이다.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에서 분할기 사이에 소형 채널(141)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미제어된 유체 유동을 유도할 것이고 모든 인접한 격실이 물로 미리 완전히 충전되는 동안 격실이 공기로 여전히 충전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채널은 모든 분할기 내에 제공되지 않는다.
도 26d는 수평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트레이부 내의 물 채널은 물이 인접한 각얼음 격실들 사이에 유동하게 하기 위해 모든 분할기 내에 제공된다. 더욱이, 공기 채널 및 공기 통기구가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덮개 내에 배치되어 있다. 공기 채널은 충전 개구의 중심축의 벡터에 대해 물 채널 위에 배열되기 때문에, 공기는 트레이가 완전히 수평으로 유지되는 한, 항상 각얼음 격실을 나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21d, 도 22d, 도 23d, 도 24d, 도 25d, 도 26d, 도 27d 및 도 28d에 대한 전술한 설명에서, 물 충전 개구 및 공기 통기구는 항상 개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트레이는 물 충전 개구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 및/또는 공기 통기구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제5 발명
도 21e의 실시예는 각얼음 트레이(100) 및 덮개(101)를 도시하고 있다. 덮개는 프레임부(102) 및 가요성 시트 요소(103)를 포함한다. 프레임부는 각얼음 트레이의 상부 에지의 형상에 정합하도록 형성된 리브(104; rib)를 갖는 격자 구조체로서 배열된다. 프레임부는 또한 중공 섹션(105)을 구비한다. 각각의 중공 섹션에는, 가요성 시트(103)가 배열된다. 각얼음이 각얼음 격실 내에서 팽창함에 따라, 얼음은 가요성 시트에 대해 가압할 것이고 팽창되도록 허용될 것이다. 가요성 시트 요소 및 프레임부는 또한, 얼음이 팽창함에 따라, 가요성 시트 요소가 프레임부의 상당한 변형 없이 팽창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전의 실시예에서, 가요성 시트 요소는 프레임부와 트레이 사이에 배치되었다는 것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시트 요소는 순전히 프레임부 내에 배열된다. 따라서, 트레이의 상부 에지에 접촉하고 가요성 시트 요소에는 접촉하지 않는 것이 프레임부이다. 더욱이, 가요성 시트 요소는 각얼음 트레이의 상부 에지로부터 이격하는 거리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떻게 각얼음 트레이가 충전되는지에 따라, 트레이의 상부 에지를 지나 연장되도록 물을 트레이 내로 충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2e는 본 발명에 따른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개념은 도 12 및 도 21e의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고, 이에 따라 여기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의 상부 에지는 단일의 평면 내에 모두 배열되지는 않는다.
도 23e는 본 발명에 따른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유닛은 4개의 각얼음 격실(121) 및 덮개(122)를 갖는 각얼음 트레이(120)를 포함한다. 덮개는 프레임부(123) 및 4개의 각얼음 격실 중 하나와 각각 연계된 4개의 팽창 흡수부(1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팽창 흡수부는 얼음이 팽창함에 따라 압축하는, 예를 들어 발포체와 같은 압축성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일단 얼음이 각얼음 트레이 유닛으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압축성 재료는 재차 팽창한다.
도 24e는 본 발명에 따른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도 21e의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지만, 단지 각얼음 격실의 상부 에지에 직접 압력을 인가하는 덮개를 제공하는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이 또한 밀폐 요소를 거쳐 각얼음 격실의 상부 에지 주위의 각얼음 격실의 내부측에 인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욱 더 양호한 밀폐부가 형성된다. 더욱이, 프레임부가 약간 변형하고 트레이로부터 약간 위로 그리고 이격하여 들어올려지면, 밀폐부는 여전히 각얼음 격실 내로 돌출하는 밀폐 요소에 기인하여 유지될 것이다. 도 25e는 이 사상의 더욱 더 예증적인 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압력도 각얼음 트레이의 상부 에지에 전혀 인가되지 않는다. 밀폐 요소는 단지 각얼음 격실 내로 압박되고, 여기서 웨지(wedge)가 각얼음 격실의 상부 에지 부근에서 각얼음 격실의 내부면에 대해 적소에 위치한다.
도면 및 이상의 설명은 간단한 개략적인 방식으로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이들 상세에 친숙할 것이고, 이들 상세는 단지 이 설명을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할 것이기 때문에, 다수의 특정 기계적 상세는 상세히 개시되지 않고 설명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 상이한 프로세스는,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적합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 설명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사용된 특정 재료는,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적합한 재료가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 않다. 또한,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부가의 상세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이러한 특징부는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 않지만, 이들 상세는 또한 본 출원의 개시내용의 부분을 형성한다. 더욱이, 상기 설명에서, 가장 빈번히 물이 결빙하는 액체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물 이외의 다른 액체가 또한 유닛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1: 각얼음 제조 유닛 2: 하우징
3: 덮개 4: 분배기
5a, 5b: 각얼음 트레이 6a, 6b: 트레이 덮개
11: 제1 측면 하우징 패널 12: 제2 측면 하우징 패널
21: 제1 분배기 패널 22: 제2 분배기 패널
23: 나선형 요소 24: 분배기 클러치 요소
31: 제1 가이드 플레이트 32: 제2 가이드 플레이트
33: 덮개 클러치 요소 34: 육각형 구동축
35: 부싱 36: 활주 너트
37: 스크류 구동축 71, 72: 충전 개구

Claims (50)

  1. 각얼음 제조 유닛으로서,
    a.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을 갖는 각얼음 트레이,
    b. 상기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 내부에 물 또는 다른 액체를 밀폐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 상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덮개
    를 포함하는 각얼음 제조 유닛에 있어서,
    c. 상기 각얼음 제조 유닛은, 상기 트레이와 상기 덮개를 연결하고 2개의 위치, 즉
    i. 상기 격실 내부에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의 내용물을 밀폐하기 위해 상기 각얼음 트레이에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덮개가 유지되어 있는 제1 위치 및
    ii. 상기 트레이 내에 형성된 각얼음이 상기 트레이를 빠져나올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에 상기 덮개가 유지되어 있는 제2 위치
    를 갖는 변위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얼음 제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및 상기 각얼음 트레이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 각각이 개별적으로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얼음 제조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상기 트레이, 상기 덮개, 및 상기 변위 장치를 결합시키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얼음 제조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장치는 상기 덮개의 운동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기 덮개의 평면에 수직인 벡터 성분을 갖는 상기 트레이에 대한 방향으로 상기 덮개를 변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얼음 제조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장치는, 상기 덮개의 운동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상기 덮개의 평면에 평행한 벡터 성분을 갖는 상기 트레이에 대한 방향으로 상기 덮개를 변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얼음 제조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와 상기 트레이 내에 형성된 결빙된 각얼음 사이의 유지를 향상시키는 각얼음 유지 수단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얼음 제조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얼음 유지 수단은 상기 각얼음 격실의 상부 에지의 주연부 주위에 배치된 가요성 밀폐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얼음 제조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장치는, 이중 슬롯 기구, 나사산 형성된 로드 기구, 경사부 기구(ramp mechanism) 또는 상기 트레이에 대해 상기 덮개를 변위하고 유지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기구를 포함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얼음 제조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장치는 상기 제1 위치 및 제2 위치가 2개의 쌍안정성 위치인 쌍안정성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얼음 제조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장치는 슬롯 내에서 연장되는 이중 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얼음 제조 유닛.
  11.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으로서,
    a. 적어도 3개의 각얼음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하우징
    b. 상기 하우징의 일 단부에 배치된 분배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 기구는
    i. 제1 개구,
    ii. 상기 제1 개구 아래에 배치된 제2 개구,
    iii. 상기 제1 개구를 덮기에 적합한 제1 커버 요소,
    iv. 상기 제2 개구를 덮기에 적합한 제2 커버 요소
    를 포함하고,
    v. 상기 제1 커버 요소는 각얼음의 크기보다 크거나 동일한 거리만큼 상기 제2 커버 요소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vi. 상기 분배 기구는 상기 제1 커버 요소 및 제2 커버 요소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변위 기구를 더 포함하고,
    vii. 상기 변위 기구는 2개의 위치, 즉 상기 제1 커버 요소가 상기 제1 개구를 덮고 있고 상기 제2 커버 요소가 상기 제2 개구를 덮고 있지 않는 제1 위치 및 상기 제1 커버 요소가 상기 제1 개구를 덮고 있지 않고 상기 제2 커버 요소가 상기 제2 개구를 덮고 있는 제2 위치를 포함하는 것인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커버 요소들 사이의 오프셋 방향에 평행한 축 둘레로 상기 제1 커버 요소 및 제2 커버 요소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요소 및 제2 커버 요소는 나선 요소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는 상기 커버 요소들의 회전축의 일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은 제3 개구 및 제4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개구 및 제4 개구는 상기 제1 개구 및 제2 개구와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지만, 상기 커버 요소들의 회전축의 다른 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은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커버 플레이트 및 제2 커버 플레이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변위 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구는 상기 커버 요소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요소를 활주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은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커버 요소 및 제2 커버 요소를 변위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
  19. 제1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각얼음 교반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본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각얼음을 교반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각얼음 분배 유닛.
  21.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으로서,
    a.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을 갖는 각얼음 트레이, 및
    b. 상기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의 내용물을 개별적으로 밀폐하기 위해 상기 각얼음 트레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거 가능한 덮개
    를 포함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은
    c. 상기 각얼음 트레이의 벽에 배치된 충전 개구로서, 상기 충전 개구는, 각얼음이 상기 트레이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각얼음의 평균 운동 방향에 수직인 벡터 성분을 갖는 중심축을 갖는 것인 충전 개구, 및
    d. 상기 각얼음 트레이 내부에 배치된 물이 상기 충전 개구를 통해 상기 트레이를 빠져나올 수 없도록 상기 충전 개구 내부에 배치된 제거 가능한 마개로서, 상기 마개는 상기 충전 개구의 최외측 에지에서 시작하여 각얼음이 상기 트레이로부터 제거될 때 각얼음의 평균 운동 방향의 방향으로 지향하는 벡터를 포함하는 평면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충전 개구의 체적을 완전히 채우도록 구성되는 것인, 제거 가능한 마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각얼음 트레이의 측벽은 각얼음의 저부가 상부보다 작게 되도록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개구는 상기 각얼음 트레이의 종축에 평행한 중심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충전 개구를 완전히 채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내측면은 테이퍼진 형상 또는 라운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내측면은 상기 각얼음 격실 내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28. 제2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마개와 상기 충전 개구의 내부 에지 사이의 접촉점의 위치에서 가요성 밀폐 재료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29. 제2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개구는 세장형 채널로서 구성되고, 상기 마개는 상기 세장형 채널의 내부 부분에 대해 밀폐하는 제1 밀폐면, 상기 세장형 채널의 외부 부분에 대해 밀폐하는 제2 밀폐면 및 상기 제1 밀폐면과 제2 밀폐면 사이에 배치된 충전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각얼음 트레이 유닛은, 제29항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1 위치와 상기 제1 밀폐면이 상기 세장형 채널에 대해 밀폐하지 않고 상기 제2 밀폐면이 상기 세장형 채널에 대해 밀폐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마개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된 마개 변위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31. 액체 충전 개구를 갖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각얼음 트레이 유닛은 적어도 2개의 개별적으로 밀폐된 각얼음 격실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충전 개구는, 상기 액체 충전 개구를 통해 상기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내로 도입된 물이 상기 각얼음 격실에 진입하도록 상기 적어도 2개의 개별적으로 밀폐된 각얼음 격실 중 하나와 연계되고, 상기 각얼음 트레이 유닛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개별적으로 밀폐된 각얼음 격실 사이에 분할기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제1 개구가 상기 분할기 내에 제공되어 상기 적어도 2개의 각얼음 격실 사이의 물 및/또는 공기 유동을 허용하는 것인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에 있어서,
    상기 각얼음 트레이 유닛은 상기 유닛 내의 물 및 공기 유동이 개별의 유동 경로 내로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및 공기 유동은 상기 유닛 내에서 제어되고, 상기 각얼음 격실 각각은 적어도 2개의 개구, 즉 상기 격실 내로 충전되는 물이 통과하는 제1 개구 및 상기 격실이 물로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빠져나갈 수 있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2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각얼음 트레이 유닛은, 상기 각얼음 격실 내의 제1 개구가 상기 각얼음 격실 외부에 배치된 제1 체적에 연결되고 상기 각얼음 격실 내의 제2 개구가 상기 각얼음 격실 외부에 배치된 제2 체적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체적 및 상기 제2 체적은 서로 분리되고, 상기 각얼음 격실의 충전 중에, 상기 제1 체적이 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되고 반면에 상기 제2 체적은 물이 없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34. 제32항 내지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충전 개구의 중심축에 의해 규정된 벡터에 따라 상기 제2 개구 아래에 또는 제2 개구와 동일한 레벨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유닛은 공기 통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기구는, 물 충전 개구와 동일한 상기 각얼음 트레이 유닛의 외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기구는, 상기 액체 충전 개구와 동일한 각얼음 격실과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기구는 물 충전 개구와는 상이한 각얼음 격실과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39. 제3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보다 단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40. 제3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각얼음 격실은, 충전 위치에서 최상부에 배치된 상기 각얼음 격실의 측벽이 수평에 대해 일 각도로 배치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개구가 상기 측벽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개구가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41. 각얼음 트레이 및 덮개를 포함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각얼음 트레이는 2개의 인접한 각얼음 격실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각얼음 격실 각각은 저부 및 측벽을 갖고, 상기 측벽은, 상기 측벽의 상부 에지가 개구를 형성하며, 이 개구를 통해 상기 격실 내에 형성된 각얼음이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각얼음 격실 내부에 물 또는 다른 액체를 개별적으로 밀폐하기 위해 상기 각얼음 트레이 상에 장착되는 것인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프레임부 및 2개의 개별 팽창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각얼음 격실과 상기 덮개 사이에 밀폐부를 설립하도록 상기 각얼음 격실의 상부 에지 부근의 상기 각얼음 격실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팽창 흡수부는, 상기 각얼음 격실 내에 수용된 물이 결빙하여 팽창할 때, 상기 각얼음 격실과 연계된 상기 팽창 흡수부가 상기 덮개의 프레임부보다 더 많이 변형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각얼음 격실 중 하나와 각각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팽창 흡수부 각각은 상기 각얼음 격실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 가요성 시트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시트 요소는 상기 각얼음 트레이의 상부 에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각얼음 격실의 상부 에지에 대해 상기 시트 요소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2개의 각얼음 격실 모두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단일의 가요성 시트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45. 제4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팽창 흡수부의 변형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팽창 흡수부와 연계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46. 제4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요소는 상기 각얼음 격실의 상부 에지에 형상 면에서 상보적인 하부 에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47. 제4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얼음 격실의 상기 상부 에지는 단일의 평면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48. 제4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각얼음 격실의 상부 에지를 지나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각얼음 격실 내로 연장되는 밀폐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49. 제4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각각의 각얼음 격실을 위한 밀폐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밀폐 요소는 그 각각의 각얼음 격실의 상부 에지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50. 제4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흡수부는 압축성 요소, 예를 들어 압축성 발포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각얼음 트레이 유닛.
KR1020177011352A 2014-10-06 2015-10-06 각얼음 제조 유닛 KR102421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3928A KR102491839B1 (ko) 2014-10-06 2015-10-06 각얼음 제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470615 2014-10-06
DKPA201470619 2014-10-06
DKPA201470618 2014-10-06
DKPA201470616 2014-10-06
DKPA201470618 2014-10-06
DKPA201470617 2014-10-06
DKPA201470616 2014-10-06
DKPA201470615 2014-10-06
DKPA201470619 2014-10-06
DKPA201470617 2014-10-06
PCT/EP2015/073074 WO2016055495A2 (en) 2014-10-06 2015-10-06 Ice cube producing uni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928A Division KR102491839B1 (ko) 2014-10-06 2015-10-06 각얼음 제조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147A true KR20170092147A (ko) 2017-08-10
KR102421480B1 KR102421480B1 (ko) 2022-07-15

Family

ID=592948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352A KR102421480B1 (ko) 2014-10-06 2015-10-06 각얼음 제조 유닛
KR1020227023928A KR102491839B1 (ko) 2014-10-06 2015-10-06 각얼음 제조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928A KR102491839B1 (ko) 2014-10-06 2015-10-06 각얼음 제조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93255B2 (ko)
EP (1) EP3204703A2 (ko)
JP (1) JP6688293B2 (ko)
KR (2) KR102421480B1 (ko)
CN (1) CN107003054B (ko)
AU (1) AU2015330055A1 (ko)
WO (1) WO2016055495A2 (ko)
ZA (1) ZA2017029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4703A2 (en) 2014-10-06 2017-08-16 Icebreaker Nordic Aps Ice cube producing unit
US11415353B2 (en) 2017-05-04 2022-08-16 Icebreaker Nordic Aps Ice cube producing and/or dispensing unit
EP3438575A1 (en) * 2017-07-31 2019-02-06 W. Schoonen Beheer B.V. Efficient clear ice cube production
CN116222050A (zh) * 2018-11-22 2023-06-06 拓冰者国际有限公司 冰块制造装置
WO2022079313A1 (en) 2020-10-16 2022-04-21 Icebreaker International Aps Collapsible handheld ice forming device
CN113156905B (zh) * 2021-04-29 2021-10-26 深圳市兄弟制冰系统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智能工业冰块制造机及其控制方法
JP2022178589A (ja) * 2021-05-20 2022-12-02 アクア株式会社 製氷装置
CN113569408B (zh) * 2021-07-28 2024-02-20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一种河冰力学性能的代表性表征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121A (ja) * 1996-12-27 1998-07-31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
JP2003287327A (ja) * 2002-01-22 2003-10-10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10060165A (ja) * 2008-09-01 2010-03-18 Hoshizaki Electric Co Ltd 流下式製氷機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1053A (en) 1931-12-21 1933-10-17 Inland Mfg Co Freezing tray
US1971879A (en) 1933-02-25 1934-08-28 Szaflr Norman Ice cube tray
US1976147A (en) 1933-10-13 1934-10-09 Helen L Smith Ice cube tray
US2083081A (en) * 1935-10-24 1937-06-08 Harry H Moll Freezing mold
US2269642A (en) * 1938-05-03 1942-01-13 Oscar U Zerk Ice tray
US2341700A (en) * 1941-01-25 1944-02-15 Samuel L Diack Ice tray
US2587852A (en) 1948-10-05 1952-03-04 New Plastic Corp Flexible ice tray
US2613512A (en) 1949-09-17 1952-10-14 Gen Motors Corp Freezing device
US2596021A (en) * 1950-04-08 1952-05-06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3135101A (en) 1962-09-17 1964-06-02 Joseph G Nigro Flexible tray assembly for freezing, storing and dispensing ice chips, flakes and the like
US3374982A (en) * 1965-11-24 1968-03-26 Sallade George Joseph Ice cube tray
US3414229A (en) * 1966-07-06 1968-12-03 Electrolux Ab Ice tray having readily removable cover
JPS467968Y1 (ko) * 1968-10-01 1971-03-20
US3565389A (en) 1969-04-16 1971-02-23 James D Price Ice mold
US3620497A (en) 1969-09-15 1971-11-16 Eaton Yale & Towne Parallelogram ice tray cavity
US3776504A (en) * 1972-03-06 1973-12-04 Si Lite Inc Spill-proof ice cube tray
CH579894A5 (en) 1973-01-12 1976-09-30 Von Opel Margot Ice cube dispenser - fitted with hand operated ejector mechanism having a pusher element
GB1441520A (en) 1974-02-28 1976-07-07 Lundgren S G I Containers for forming shaped pieces of ice
US3987824A (en) 1975-01-27 1976-10-26 Zehnder Fred W Water glass filler
GB1588108A (en) 1978-05-31 1981-04-15 Marcus S N Container
US4496087A (en) 1981-02-13 1985-01-29 King-Seeley Thermos Co. Ice dispenser control
US4432529A (en) 1982-09-30 1984-02-21 Mcmillan Charles Ice tray with lid
US4635817A (en) * 1985-04-29 1987-01-13 Kostov Uriy K Ice cube dispenser
DE8608582U1 (de) 1986-03-29 1986-05-15 Haushaltprodukte Vertriebs GmbH, 5430 Montabaur Eiswürfelbereiter
DE8702578U1 (ko) 1987-02-17 1987-06-19 Haushaltprodukte Vertriebs Gmbh, 5430 Montabaur, De
US4883251A (en) 1987-06-09 1989-11-28 Manas Jorge F Container for making ice cubes
US4804083A (en) 1987-06-10 1989-02-14 Weeks Philip A Combination water/ice cube bottle
US4997109A (en) 1988-06-02 1991-03-05 Whirlpool Corporation Manual dispensing ice storage bucket
ES1007854Y (es) * 1988-09-27 1989-09-01 Debarcelona Dissenys, S.A. Molde-recipiente para la obtencion de pequenos bloques de hielo.
US4967995A (en) 1989-02-27 1990-11-06 John Burgess Combination cover and dispenser for an ice cube tray
FR2649190B3 (fr) 1989-06-29 1991-06-28 Fagor S Coop Ltda Bac a glacons perfectionne pour frigorifiques
US5196127A (en) * 1989-10-06 1993-03-23 Zev Solell Ice cube tray with cover
US5044600A (en) 1991-01-24 1991-09-03 Shannon Steven L Ice cube dispenser
US5112477A (en) 1991-03-01 1992-05-12 Hamlin Jerry J Purified water and ice dispensing apparatus
US5188744A (en) 1992-02-10 1993-02-23 Silverman Ethan E Ice cube dispenser tray
US5261468A (en) 1992-09-28 1993-11-16 Scheel Eugene E Ice cube funnel
US5405052A (en) 1993-12-09 1995-04-11 Sawyer, Iii; Miles G. Bottled-water dispenser with ice maker and cooler
US5397097A (en) 1993-12-10 1995-03-14 Dale; Randall W. Ice cube trays with integral lids
NL1000603C2 (nl) 1995-06-20 1996-12-23 Rachid Miliani Inrichting voor het doseren en afleveren van vaste stoffen.
JPH0979718A (ja) * 1995-09-12 1997-03-28 Toshiba Corp 製氷装置
US6196518B1 (en) * 1997-08-08 2001-03-06 World Kitchen, Inc. Ice cube having a slidable cover
JP4470236B2 (ja) 1999-07-09 2010-06-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製氷装置
US6168131B1 (en) 1999-08-06 2001-01-02 Business World Trade, Inc. Ice cube tray and dispenser
CN2431538Y (zh) 2000-07-28 2001-05-23 安徽博西华制冷有限公司 一种密封式制冰盒
US6607096B2 (en) 2000-08-15 2003-08-19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Volumetric ice dispensing and measuring device
DE10135206C2 (de) * 2001-07-24 2003-02-27 Werner Staufer Wiederverwendbare Form zur Herstellung von Gefrierformstücken
FR2852088B1 (fr) 2003-03-04 2006-05-05 Stanislas Buades Moule a glacons tronconique avec compartiments cylindriques a demoulage rapide
GB0320711D0 (en) * 2003-09-04 2003-10-08 Griffiths G W Dual-kooler
BR0303842B1 (pt) 2003-09-16 2013-12-17 Sistema de abastecimento de formas de gelo em aparelhos de refrigeração
US7172087B1 (en) 2003-09-17 2007-02-06 Graham Packaging Company, Lp Squeezable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DE20318710U1 (de) 2003-12-03 2004-02-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ückeisbehälter
US7014162B2 (en) 2004-01-09 2006-03-21 Mastrad S.A. Ice cube tray with server cover
US20060266915A1 (en) * 2005-05-24 2006-11-30 Ice Cube, Inc. Tray mold
US20070164192A1 (en) 2006-01-18 2007-07-19 William Holden Ice Molding Container and Method
DE202006006940U1 (de) 2006-04-25 2006-07-06 Schlötzer, Eugen, Dipl.-Ing. (FH)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Wasser zur Erzeugung von Eiswürfeln
US7861550B2 (en) 2007-03-26 2011-01-04 Natural Choice Corporation Water dispenser
US7870974B2 (en) 2007-04-05 2011-01-18 32 And Dropping, Llc Ice bucket having a sliding dispenser
DE202007014786U1 (de) 2007-10-23 2009-03-05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Eiswürfelschale und Kühl- und/oder Gefriergerät mit einer solchen Eiswürfelschale
US8714414B2 (en) * 2009-11-04 2014-05-06 Whirlpool Corporation Ice transfer device
USD649984S1 (en) 2009-12-08 2011-12-06 Enodis Corporation Ice dispenser and portion control assembly
US20110278430A1 (en) 2010-05-14 2011-11-17 Barno Jonathan D Enclosed ice cube tray and server
USD669102S1 (en) 2011-03-17 2012-10-16 Lg Electronics Inc. Ice case for refrigerator
KR20120134855A (ko) * 2011-06-03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9212839B2 (en) 2012-02-16 2015-12-15 Erliene Launetta McCoy Portable insulated ice dispenser
WO2014079705A1 (en) 2012-11-23 2014-05-30 Arc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comprising an ice making unit
US9470448B2 (en) * 2012-12-13 2016-10-18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to warm plastic side of mold
WO2014102042A1 (en) * 2012-12-26 2014-07-03 Arcelik Anonim Sirketi An ice dispensing unit comprising a cutting means
EP3204703A2 (en) 2014-10-06 2017-08-16 Icebreaker Nordic Aps Ice cube producing unit
US10753666B2 (en) 2014-10-06 2020-08-25 Icebreaker Nordic Aps Ice cube producing un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121A (ja) * 1996-12-27 1998-07-31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
JP2003287327A (ja) * 2002-01-22 2003-10-10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10060165A (ja) * 2008-09-01 2010-03-18 Hoshizaki Electric Co Ltd 流下式製氷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068A (ko) 2022-07-25
EP3204703A2 (en) 2017-08-16
CN107003054B (zh) 2020-05-05
JP6688293B2 (ja) 2020-04-28
JP2017530331A (ja) 2017-10-12
AU2015330055A1 (en) 2017-05-11
US20210055028A1 (en) 2021-02-25
ZA201702974B (en) 2023-10-25
WO2016055495A3 (en) 2016-06-23
US11493255B2 (en) 2022-11-08
CN107003054A (zh) 2017-08-01
KR102491839B1 (ko) 2023-01-26
BR112017007073A2 (pt) 2018-01-16
KR102421480B1 (ko) 2022-07-15
WO2016055495A2 (en) 201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1480B1 (ko) 각얼음 제조 유닛
JP2017530331A5 (ko)
US10753666B2 (en) Ice cube producing unit
EP2664870B1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JP6514297B2 (ja) カプセル型内容物の排出速度が向上した包装容器
WO2021212604A1 (zh) 具有冰格功能的水壶
US11415353B2 (en) Ice cube producing and/or dispensing unit
CN102597662B (zh) 带有制冰器的制冷器具
CN107120882B (zh) 冰箱
KR101625789B1 (ko) 아이스 공급 장치
EP2941606B1 (en) A crashed ice making machine and refrigerator wherein the same is used
EP2308770A1 (en) Improvements in caps for bottles and the like
KR100764305B1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물 넘침 방지구조
BR112017007073B1 (pt) Unidade de produção de cubo de gelo portátil
US9752812B2 (en) Ice making device
RU69035U1 (ru) Пробка-дозатор
US11556094B2 (en) Fluid timer
EP2713765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refrigerated products
JP2005114198A (ja) 製氷皿及び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KR20040110830A (ko) 페이스트물질을 다량 수용할 수 있는 페이스트물질토출용기
KR20140088364A (ko) 수소파우치를 포함한 음료용기
KR20130110653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부 구조
US201300486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aining cylindrical ice cream containers
CN101151192A (zh) 容器
KR20120054355A (ko) 얼음 제조기능을 갖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