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563A -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563A
KR20170091563A KR1020170096841A KR20170096841A KR20170091563A KR 20170091563 A KR20170091563 A KR 20170091563A KR 1020170096841 A KR1020170096841 A KR 1020170096841A KR 20170096841 A KR20170096841 A KR 20170096841A KR 20170091563 A KR20170091563 A KR 20170091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con
digital
displa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가원
장세이
한국현
양필승
연수진
이택헌
홍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6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1563A/ko
Publication of KR20170091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이 제공된다. 본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에 따르면,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인식하고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며 디지털 오브젝트가 삽입된 이미지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쉽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contents}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진, 텍스트 등을 조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가 빠르게 대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 칠판, 전자 테이블 등의 기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별도의 입력장치가 없이 터치 스크린만을 이용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전자 칠판이나 전자 테이블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받게 된다.
또한, 타블렛 및 풀터치 휴대폰 등의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보급됨에 따라, 터치스크린만을 이용하여 조작해야 하는 기기들이 증가되고 있다.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반화됨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 및 이용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인식하고,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며, 디지털 오브젝트가 삽입된 이미지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은,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오브젝트가 삽입된 이미지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는 복수개의 종류의 매개 형상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삽입 단계는, 상기 매개 형상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매개 형상의 종류는, 특정 패턴, 특정 문자, 특정 도형, 및 특정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는, 이미지, 동영상, 미디어 파일, 텍스트 파일, 텍스트 입력창, 도형, 링크 정보, 위젯, 및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는, 외부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외부 촬영장치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촬영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유무선 웹캠, 휴대폰 카메라, 캠코더, 실물 화상기, 및 스캐너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이미지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이미지와 상기 삽입된 디지털 오브젝트가 그룹화된 상태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미지와 상기 삽입된 디지털 오브젝트가 그룹화된 디지털 컨텐츠의 그룹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오브젝트 삽입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매개 형상에 대한 오브젝트 삽입 명령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삽입 대상이 되는 복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오브젝트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오브젝트를 상기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 표시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매개 형상에 대한 오브젝트 삽입 명령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에서 선택된 종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오브젝트가 삽입된 이미지인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전체화면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인식하고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며 디지털 오브젝트가 삽입된 이미지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쉽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n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 화상기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장된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를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와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와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는 입력된 이미지가 표시된 디지털 컨텐츠 생성창(110)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입력된 이미지는 디지털 컨텐츠의 기본이 되는 템플릿 또는 폼(form)이 된다. 입력된 이미지는 복수개의 매개 형상이 포함되어 있어, 디지털 컨텐츠 생성의 기초 양식이 된다. 여기에서, 매개 형상에 관하여는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미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외부 촬영장치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촬영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유무선 웹캠, 휴대폰 카메라, 캠코더, 실물 화상기, 및 스캐너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을 경우,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를 직접 손으로 그린 후에, 손으로 그린 그림을 외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손으로 매개 형상들을 적절히 그려 넣음으로써, 복수개의 매개 형상들이 포함된 이미지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를 쉽게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장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이미지를 쉽게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이미지를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상에 그려진 이미지를 입력받아 이를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상에 그려진 이미지를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컴퓨터의 문서 작성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파워 포인트, 워드 등)을 통해 작성된 문서 파일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변환된 이미지 파일을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이미지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창(110)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인식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 생성창(110)에 표시된 이미지는 제1 매개 형상(120), 제2 매개 형상(130) 및 제3 매개 형상(140)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이미지에 제1 매개 형상(120), 제2 매개 형상(130) 및 제3 매개 형상(140)이 포함되어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여기에서, 매개 형상은 디지털 오브젝트가 삽입될 영역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매개 형상은 특정 패턴, 특정 문자, 특정 도형, 및 특정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제1 매개 형상(120)은 대각선이 엑스자 형태로 그어진 박스의 패턴을 가진 형상이고, 제2 매개 형상(130)은 박스 내부에 P자가 표시된 형상이며, 제3 매개 형상(140)은 박스 내부에 M자가 표시된 형상이다.
이와 같이, 매개 형상은 복수개의 종류가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매개 형상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게 된다. 즉, 매개 형상의 종류는 삽입될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매개 형상(120)은 타이틀과 관련된 텍스트 오브젝트가 삽입되는 영역에 해당된다. 그리고, 제2 매개 형상(130)은 사진 오브젝트가 삽입되는 영역에 해당된다. 그리고, 제3 매개 형상(140)은 동영상 오브젝트가 삽입되는 영역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매개 형상의 종류에 따라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될 디지털 오브젝트가 결정된다.
이 때, 매개 형상에 대응되는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 임으로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매개 형상은 사용자에 의해 신규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신규로 설정된 매개 형상에 대응되는 디지털 오브젝트도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오브젝트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을 위해 입력된 이미지에 삽입되는 일종의 서브 컨텐츠를 의미한다.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는 이미지, 동영상, 미디어 파일, 텍스트 파일, 텍스트 입력창, 도형, 링크 정보, 위젯, 및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매개 형상에 삽입되는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는 매개 형상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동 인식 방식 또는 수동 인식 방식으로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개 형상 인식 방식이 자동 인식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미지가 입력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인식하게 된다. 반면, 매개 형상 인식 방식이 수동 인식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매개 형상 인식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인식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오브젝트를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에 대한 오브젝트 삽입 명령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삽입 대상이 되는 복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매개 형상에 대해 오브젝트 삽입 명령이 입력되면, 매개 형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특정 종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에 대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매개 형상(130)에 대해 오브젝트 삽입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삽입 가능한 이미지 파일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3 매개 형상(140)에 대해 오브젝트 삽입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삽입 가능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오브젝트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오브젝트를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에 대한 오브젝트 삽입 명령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는 이미지 항목, 동영상 항목, 텍스트 항목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에서 이미지 항목을 선택하였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 가능한 이미지들의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에서 동영상 항목을 선택하였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 가능한 동영상들의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바탕화면 상에 이미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오브젝트를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랍(drag & drop)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생성창(110)에 표시된 복수의 매개 형상(120,130,140)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여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 및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즉, 디지털 컨텐츠는 입력된 이미지에 디지털 오브젝트들이 삽입되어 완성된 컨텐츠를 의미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삽입될 디지털 오브젝트를 매개 형상의 크기에 맞도록 리사이징(resizing)하여 삽입한다. 따라서, 매개 형상의 크기가 디지털 오브젝트의 삽입 후의 크기를 나타내게 된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삽입될 디지털 오브젝트의 가로 세로 비율을 일정한 비율로 유지한 상태로 디지털 오브젝트를 매개 형상에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지털 오브젝트의 크기를 매개 형상의 크기로 삽입할지 원본의 크기로 삽입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삽입될 디지털 오브젝트의 크기가 큰 경우, 자동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지털 오브젝트를 스케일 다운(scale down)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이미지와 삽입된 디지털 오브젝트가 그룹화된 상태로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디지털 오브젝트가 이미지와 그룹을 형성하기 때문에, 디지털 컨텐츠의 크기가 변경된 경우, 디지털 오브젝트도 함께 크기가 변경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이미지와 삽입된 디지털 오브젝트가 그룹화된 디지털 컨텐츠의 그룹을 해제할 수도 있다. 그룹이 해제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컨텐츠에서 디지털 오브젝트만의 위치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고, 디지털 컨텐츠에서 디지털 오브젝트를 제거할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수기로 작성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거나 이미 작성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는 조작만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쉽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매개 형상의 내부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지털 오브젝트를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하는 조작만으로 쉽게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일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미지를 입력받는다(S210). 여기에서, 입력된 이미지는 디지털 컨텐츠의 기본이 되는 템플릿 또는 폼(form)이 된다. 입력된 이미지는 복수개의 매개 형상이 포함되어 있어, 디지털 컨텐츠 생성의 기초 양식이 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미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외부 촬영장치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촬영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유무선 웹캠, 휴대폰 카메라, 캠코더, 실물 화상기, 및 스캐너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휴대폰 카메라에 의해 이미지가 입력되는 경우는 도 3a 내지 도 3i를 참고하여 추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물 화상기에 의해 이미지가 입력되는 경우는 도 4a 내지 도 4n을 참고하여 추후 설명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을 경우,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를 직접 손으로 그린 후에, 손으로 그린 그림을 외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손으로 매개 형상들을 적절히 그려 넣음으로써, 복수개의 매개 형상들이 포함된 이미지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를 쉽게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장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 저장된 이미지를 입력받는 경우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도 5j를 참고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이미지를 쉽게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이미지를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 상에 그려진 이미지를 입력받아 이를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상에 그려진 이미지를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를 입력받는 경우에 대해, 도 6a 내지 도 6e 및 도 7a 내지 도 7e를 참고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컴퓨터의 문서 작성용 프로그램을 통해 작성된 문서 파일을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변환된 이미지 파일을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이미지를 디지털 컨텐츠 생성창(110)에 디스플레이한다(S220).
그 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인식한다(S230). 여기에서, 매개 형상은 디지털 오브젝트가 삽입될 영역을 나타낸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게 된다(S240). 구체적으로, 매개 형상은 특정 패턴, 특정 문자, 특정 도형, 및 특정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매개 형상은 복수개의 종류가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매개 형상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게 된다. 즉, 매개 형상의 종류는 삽입될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이다.
디지털 오브젝트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을 위해 입력된 이미지에 삽입되는 일종의 서브 컨텐츠를 의미한다.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는 이미지, 동영상, 미디어 파일, 텍스트 파일, 텍스트 입력창, 도형, 링크 정보, 위젯, 및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매개 형상에 삽입되는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는 매개 형상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오브젝트를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에 대한 오브젝트 삽입 명령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삽입 대상이 되는 복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매개 형상에 대해 오브젝트 삽입 명령이 입력되면, 매개 형상의 종류에 대응되는 특정 종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에 대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매개 형상(130)에 대해 오브젝트 삽입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삽입 가능한 이미지 파일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3 매개 형상(140)에 대해 오브젝트 삽입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삽입 가능한 동영상 파일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오브젝트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오브젝트를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에 대한 오브젝트 삽입 명령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는 이미지 항목, 동영상 항목, 텍스트 항목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에서 선택된 종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오브젝트가 삽입된 이미지인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25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를 별도의 파일로 저장한다(S26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전체 화면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이미지와 삽입된 디지털 오브젝트가 그룹화된 상태로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디지털 오브젝트가 이미지와 그룹을 형성하기 때문에, 디지털 컨텐츠의 크기가 변경된 경우, 디지털 오브젝트도 함께 크기가 변경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이미지와 삽입된 디지털 오브젝트가 그룹화된 디지털 컨텐츠의 그룹을 해제할 수도 있다. 그룹이 해제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컨텐츠에서 디지털 오브젝트만의 위치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고, 디지털 컨텐츠에서 디지털 오브젝트를 제거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수기로 작성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거나 이미 작성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터치 스크린을 통해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는 조작만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쉽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매개 형상의 내부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지털 오브젝트를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하는 조작만으로 쉽게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는 동영상 오브젝트(311), 제1 사진 오브젝트(312), 및 제2 사진 오브젝트(313)가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b와 같이 화면의 우측 영역에 컨텐츠 생성에 기초가 될 그림이 그려진 종이(320)가 놓여지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종이가 놓여진 위치 및 크기를 인식하게 된다. 종이(320)에는 제1 매개 형상(321), 제2 매개 형상(322), 및 제3 매개 형상(323)이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에,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카메라(300)를 이용하여 종이(320)를 촬영한다. 그러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300)는 촬영된 종이(320)에 대한 이미지(330)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send'버튼(340)을 누르면, 카메라(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종이(320)가 촬영된 이미지(330)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된 이미지(330)를 디지털 컨텐츠 생성창(350)에 디스플레이하게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종이(320)가 놓여진 위치에 종이(320)와 같은 크기로 디지털 컨텐츠 생성창(350)을 표시하게 된다.
도 3f와 같이, 종이(320)가 치워지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디지털 컨텐츠 생성창(35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 생성창(350)에는 촬영된 이미지(330)이 표시된다. 그리고, 촬영된 이미지(330)에는 종이에 그려져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제1 매개 형상(351), 제2 매개 형상(352), 및 제3 매개 형상(353)이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된 이미지(330)가 입력되면 촬영된 이미지(330)에 제1 매개 형상(351), 제2 매개 형상(352), 및 제3 매개 형상(353)이 포함되어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바탕화면에 표시된 디지털 오브젝트들(311,312,313) 중 동영상 오브젝트(311)를 제3 매개 형상(353)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면, 제3 매개 형상(353)이 표시된 영역에 동영상 오브젝트(311)가 삽입된다.
도 3h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창(350)에 표시된 이미지(330)에 대해, 제1 매개 형상(351)에 제1 사진 오브젝트(312)가 삽입되고, 제3 매개 형상(353)에 동영상 오브젝트(311)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i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창(350)에 표시된 이미지(330)에 대해, 제1 매개 형상(351)에 제1 사진 오브젝트(312)가 삽입되고, 제2 매개 형상(352)에 제2 사진 오브젝트(313)가 삽입되며, 제3 매개 형상(353)에 동영상 오브젝트(311)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가 완성된 상태에서, 세이브 버튼(360)이 터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창(100)에 표시된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를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으로 종이에 그린 그림을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지털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n을 참고하여, 실물 화상기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n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물 화상기(4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실물 화상기는 각종 실물의 화상을 촬영하여 주변기기에 이미지를 전송하는 기기로써 다양한 추가 기능과 함께 강의용 보조 장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실물 화상기(400)는 주로 실물책자나 인쇄물, 프린트물의 내용을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크게 보여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실물 화상기(400)는 렌즈가 상단에 있으므로 렌즈 하단에 놓인 어떠한 실물의 모습도 실내밝기 그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이미지를 전달한다.
도 4a는 실물 화상기(400)와 통신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는 'Easy Authoring' 버튼(410)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물 화상기 버튼(405)은 실물 화상기(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실물 화상기 버튼(405)이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실물화상기(40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Easy Authoring' 버튼(410)은 매개 영상을 인식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Easy Authoring' 버튼(410)이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이미지에서 매개 형상을 인식하게 된다.
도 4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실물 화상기(400)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이미지(420)를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물 화상기(4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420)에는 매개 형상(425)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해, capture 버튼(430)이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실물 화상기(40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이미지로 캡쳐하게 된다.
도 4c는 사용자에 의해, capture 버튼(430)이 조작되어, 실물 화상기 표시창(440)이 표시되고, 캡쳐 이미지 표시영역(450)에서 캡쳐된 이미지를 로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실물 화상기 표시창(440)은 실물 화상기(4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해주는 창을 나타낸다. 즉, 도 4c의 실물 화상기 표시창(440)은 도 4b에서 전체화면으로 표시되던 화면을 창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다.
로딩이 완료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캡쳐 이미지 표시영역(450)에 실물 화상기 표시창(440)에 표시된 이미지(420)를 그대로 캡쳐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캡쳐된 이미지(420)를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Edit 버튼(445)에 대한 부가 버튼인 삭제 버튼(448)이 터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실물 화상기 표시창(440)을 화면에서 제거하게 된다.
도 4e는 실물 화상기 표시창(440)이 제거된 화면이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쳐 이미지 표시영역(450)에는 캡쳐된 이미지(420)가 표시된다. 그리고, 캡쳐된 이미지에는 매개 형상(425)이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Easy Authoring 버튼(410)이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캡쳐된 이미지(420)에서 매개 형상(425)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다.
이 때, 'Easy Authoring' 버튼(410)은 도 1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Board 화면으로 전환' 버튼(415)으로 자동 변환된다. 'Board 화면으로 전환' 버튼(415)은 Easy Authoring 기능을 해제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이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Easy Authoring' 버튼(410)과 'Board 화면으로 전환' 버튼(415)을 통해 Easy Authoring 기능을 '실행' 또는 '실행해제'하도록 토글(toggle)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Easy Authoring 기능을 해제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의 명칭을 'Board 화면으로 전환' 버튼(415)이라고 칭하였으나, 이외에 다른 명칭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Easy Authoring 기능을 해제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의 명칭은 'Easy Authoring 해제' 버튼 등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버튼의 명칭을 'Easy Authoring' 버튼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버튼의 표시 형태가 변경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Easy Authoring' 버튼의 형태가 변경되는 효과를 통해 'Easy Authoring' 버튼이 토글 방식으로 동작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4f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캡쳐된 이미지(420)에서 매개 형상(425)의 존재를 인식하고, 매개 형상(425)에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460)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460)은 매개 형상(425)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460)이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매개 형상(425)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460)은 매개 형상(425)의 이미지 위에 매개 형상의 크기와 동일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460)이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매개 형상(425) 자체가 선택된 경우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g는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 메뉴(470)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에 의해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460)이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 메뉴(470)를 표시하게 된다.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470)는 이미지 항목, 사운드 항목, 플래쉬 항목, 및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470)에서 이미지 항목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오브젝트 선택 창(480)을 표시하게 된다. 이미지 오브젝트 선택 창(480)에서 특정 이미지(482)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매개 형상(425)이 표시된 영역에 선택된 특정 이미지(482)를 삽입하게 된다.
도 4i는 매개 형상(425)이 표시된 영역에 선택된 특정 이미지(482)가 삽입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매개 형상(425)이 표시된 영역에 선택된 특정 이미지(482)가 삽입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Board 화면으로 전환 버튼(415)이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도 4j는 캡쳐 이미지 표시영역(450)에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429)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4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490)에서 저장 항목(492)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429)를 저장하게 된다.
즉, 도 4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위치 선택창(494)에 의해 선택된 저장 위치에 대해 사용자가 저장 명령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저장 위치에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429)를 저장하게 된다.
그 후에, 도 4m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창(496)을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확인 버튼(498)이 조작되면, 도 4n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에서 메시지창(496)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실물 화상기(4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으로 종이에 그린 그림을 실물 화상기(400)로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지털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j를 참고하여, 기저장된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j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장된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기저장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가 될 수도 있고, 외부 기기에 저장된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 외부 기기에 저장된 이미지일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외부 기기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게 된다.
도 5a는 저장된 이미지 파일 리스트(510)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이미지 파일 리스트(510)에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에 기초가 되는 특정 이미지(520)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b는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520)를 바탕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랍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특정 이미지(520)가 바탕화면으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앤 드랍된 위치에 특정 이미지(520)가 원래의 크기로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Easy Authoring' 버튼(530)이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이미지(520)에서 매개 형상을 인식하게 된다. 여기에서, 'Easy Authoring' 버튼(530)은 매개 영상을 인식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Easy Authoring 버튼(510)이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이미지(520)에서 제1 매개 형상(523) 및 제2 매개 형상(526)의 존재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매개 형상(523)에 대한 제1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543) 및 제2 매개 형상(526)에 대한 제2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546)을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543, 546)은 매개 형상(523,526)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아이콘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제1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543)이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매개 형상(523)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제2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546)이 터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매개 형상(526)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5e는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 메뉴(550)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2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546)이 터치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 메뉴(550)를 표시하게 된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550)는 이미지 항목, 사운드 항목, 플래쉬 항목, 및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오브젝트 종류 메뉴(550)에서 이미지 항목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오브젝트 선택 창(560)을 표시하게 된다. 이미지 오브젝트 선택 창(560)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 오브젝트(563)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매개 형상(526)이 표시된 영역에 선택된 이미지 오브젝트(563)를 삽입하게 된다.
도 5g는 제2 매개 형상(526)이 표시된 영역에 선택된 이미지 오브젝트(563)가 삽입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매개 형상(526)이 표시된 영역에 선택된 이미지 오브젝트(563)가 삽입된 후에 사용자에 의해 Board 화면으로 전환 버튼(535)이 조작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컨텐츠의 생성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도 5h는 이미지 오브젝트가 삽입된 디지털 컨텐츠(570)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570)의 모서리를 터치하여 이동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57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570)의 모서리를 터치하여 크기를 크게 만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컨텐츠(570)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 때, 디지털 컨텐츠(570) 내의 이미지 오브젝트는 그룹화된 상태이므로, 디지털 컨테츠(570)의 크기에 비례하여 함께 확대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저장된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저장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지털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e를 참고하여,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설명한다.
*도 6a는 특정 이미지 오브젝트(610)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그려진 그림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b에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620)가 화면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려진 이미지(620)가 매개 형상에 해당되는 것을 자동으로 인식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의 특정 조작에 의해 매개 형상을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 후에,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려진 이미지(620)를 매개 형상으로 인식한 후에, 인식된 매개 형상에 대한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630)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특정 이미지 오브젝트(610)가 그려진 이미지(620)의 내부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려진 이미지(620)의 내부에 특정 이미지 오브젝트(610)를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려진 이미지(620)의 내부에 특정 이미지 오브젝트(610)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를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그린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지털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e를 참고하여, 외부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710)를 외부 기기(700)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710)를 외부 기기(700)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외부 기기(700)는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설명한다. 외부 기기(700)는 전자책 장치, 타블렛 PC, PDA 등이 될 수 있다.
도 7a는 외부 기기(700)의 터치 스크린 상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7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외부 기기(70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710)를 화면에 표시하고, 그려진 이미지(71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기기(7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710)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는 특정 이미지 오브젝트(720)가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려진 이미지(710)가 매개 형상에 해당되는 것을 자동으로 인식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려진 이미지(710)의 형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통해 매개 형상에 해당된다는 것을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 후에,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이미지(710)를 매개 형상으로 인식한 후에, 인식된 매개 형상에 대한 Digital Object 삽입 아이콘(730)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특정 이미지 오브젝트(710)가 수신된 이미지(710)의 내부로 드래그 앤 드랍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이미지(710)의 내부에 특정 이미지 오브젝트(720)를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이미지(710)의 내부에 특정 이미지 오브젝트(720)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그려진 이미지를 외부기기(700)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기기(70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그린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지털 컨텐츠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9b를 참고하여, 디지털 컨텐츠가 적성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800)와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8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800)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800)는 제1 매개 형상(810), 제2 매개 형상(820), 제3 매개 형상(830), 제4 매개 형상(840) 및 제5 매개 형상(850)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매개 형상(810), 제3 매개 형상(830), 및 제5 매개 형상(850)은 박스 내부에 엑스가 표시된 형상이고, 제2 매개 형상(820) 및 제4 매개 형상(840)은 박스 내부에 삼각형이 표시된 형상이다. 여기에서, 박스 내부에 엑스가 표시된 형상은 텍스트가 삽입되는 매개 형상을 나타내고, 박스 내부에 삼각형이 표시된 형상은 동영상이 삽입되는 매개 형상을 나타낸다.
도 8b는 제 1 매개 형상(810)에 텍스트 입력 창 및 온 스크린 키보드(870)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매개 형상(810)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매개 형상(810)을 텍스트 입력창으로 변환하고,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온 스크린 키보드(870)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 스크린 키보드(870)를 이용하여 제1 매개 형상(810)에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텍스트 입력수단이 온 스크린 키보드(870)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키보드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해 텍스트가 입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860)의 제1 매개 형상(810)에는 "트럼펫"이라는 텍스트 오브젝트가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c는 제4 매개 형상(840)에 동영상 선택창(880)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매개 형상(840)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4 매개 형상(840)에 삽입될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동영상 선택창(880)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영상 선택장(880)을 통해 제4 매개 형상(840)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될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매개 형상(840)에는 동영상 오브젝트가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개 형상의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디지털 오브젝트가 삽입됨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800)에 삽입하고자 하는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900)와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9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900)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900)는 복수개의 매개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개의 매개 형상은 박스 내부에 엑스가 표시된 형상이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960)의 복수의 매개 형상에는 각각 사진 오브젝트가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특정 매개 형상(940)을 터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브젝트 종류 메뉴(950)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오브젝트 종류 메뉴(950)에서 이미지 항목을 터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매개 형상(940)에 사진 오브젝트를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매개 형상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종류의 디지털 오브젝트가 삽입됨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900)에 삽입하고자 하는 디지털 오브젝트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능블럭(1010), 통신부(1020), 조작부(1030), 저장부(1040), 디스플레이부(1050) 및 제어부(1060)를 포함한다.
기능블럭(1010)은 디스플레이 장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자 칠판인 경우, 기능 블럭(1010)은 전자 칠판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통신부(1020)는 외부 기기에 이동통신망, 인터넷 망, 또는 인트라넷 등을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통신부(1120)는 외부 기기로부터 디지털 컨텐츠 생성의 기초가 되는 이미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조작부(103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030)는 사용자로부터 화면에 표시된 다양한 아이템들에 대한 선택 명령 등에 대응되는 조작을 입력받는다. 조작부(1030)는 터치스크린, 버튼, 마우스, 터치패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040)는 디스플레이(1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저장부(1040)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에 기초가 되는 이미지, 디지털 오브젝트, 및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50)는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050)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에 기초가 되는 이미지, 디지털 오브젝트 및 완성된 디지털 컨텐츠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제어부(1060)는 조작부(10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60)는 입력된 이미지에 포함된 매개 형상을 인식하고,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며, 디지털 오브젝트가 삽입된 이미지인 디지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60)는 도 1 내지 도 9b에 도시된 기능 및 UI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60)는 인식부(1062), 디스플레이 제어부(1064), 및 UI 제어부(1066)를 포함한다.
인식부(1062)는 입력된 이미지의 형태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매개 형상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그리고, 인식부(1062)는 매개 형상이 포함된 것으로 인식한 경우 매개 형상의 위치 정보 및 크기 정보를 함께 추출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064)는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며, 디지털 오브젝트가 삽입된 이미지인 디지털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1064)는 입력된 이미지 등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UI 제어부(1066)는 도 1 내지 도 9b에 도시된 기능 및 UI가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앙한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 칠판, 전자 테이블, 전자 책 장치, 타블렛 PC, 노트북, 휴대폰, PDA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제1 이미지 및 제1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할 수 있는 매개 형상을 인식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을 제2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개 형상 주변에 상기 매개 형상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삽입 아이콘이 조작되면, 삽입 대상이 되는 복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고,
    복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오브젝트를 상기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매개 형상에 삽입된 디지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로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2 아이콘을 상기 제1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한 캡쳐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캡쳐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외부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를 캡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삭제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삭제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표시는 유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매개 형상의 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매개 형상의 종류는,
    특정 패턴, 특정 문자, 특정 도형, 및 특정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브젝트는,
    이미지, 동영상, 미디어 파일, 텍스트 파일, 텍스트 입력창, 도형, 링크 정보, 위젯, 및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의 디지털 컨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제1 이미지 및 제1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제1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할 수 있는 매개 형상을 인식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을 제2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형상 주변에 상기 매개 형상에 디지털 오브젝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삽입 아이콘이 조작되면, 삽입 대상이 되는 복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복수의 디지털 오브젝트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지털 오브젝트를 상기 매개 형상이 표시된 영역에 삽입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을 제2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매개 형상에 삽입된 디지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로 생성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2 아이콘을 상기 제1 아이콘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한 캡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한 캡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캡쳐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외부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이미지를 캡쳐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 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 및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캡쳐하기 위한 캡쳐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을 삭제하기 위한 삭제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삭제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삭제하고 상기 제2 영역의 표시는 유지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매개 형상의 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매개 형상의 종류는,
    특정 패턴, 특정 문자, 특정 도형, 및 특정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브젝트는,
    이미지, 동영상, 미디어 파일, 텍스트 파일, 텍스트 입력창, 도형, 링크 정보, 위젯, 및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생성 방법.
KR1020170096841A 2017-07-31 2017-07-31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 KR20170091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41A KR20170091563A (ko) 2017-07-31 2017-07-31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41A KR20170091563A (ko) 2017-07-31 2017-07-31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92A Division KR20160094923A (ko) 2016-07-29 2016-07-29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563A true KR20170091563A (ko) 2017-08-09

Family

ID=5965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841A KR20170091563A (ko) 2017-07-31 2017-07-31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15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9892B2 (en)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content by combining photographs and text messages
US9250768B2 (en) Tablet having user interface
US11550993B2 (en) Ink experience for images
EP3547218B1 (en) Fil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4305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image in electronic device
US9310998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JP612363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501028B1 (ko) 개체가 삽입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9229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tems
US10939171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 grouping and management of content in real-time
JP2013114612A (ja) 表示制御装置、表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6009755A (zh) 针对图像的多区域检测
KR20150044540A (ko) 단말장치의 정보 리스트 처리장치 및 방법
US20140289667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user action upon a digital item
US20160132478A1 (en) Method of displaying memo and device therefor
JP5027350B2 (ja) 画像フォルダ伝送再生装置及び画像フォルダ伝送再生プログラム
KR20170091563A (ko)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
KR20160094923A (ko) 디지털 컨텐츠 생성방법
JP6843680B2 (ja) 表示システム、入力装置、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522887B (zh) 應用於問答應用程式之圖形化使用者介面、方法及非暫態儲存媒體
JP2006048139A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943743B2 (ja)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865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784644A1 (en) A method for cancelling a user action to be applied to a digital object
JP201026701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