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653A -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653A
KR20170090653A KR1020160011268A KR20160011268A KR20170090653A KR 20170090653 A KR20170090653 A KR 20170090653A KR 1020160011268 A KR1020160011268 A KR 1020160011268A KR 20160011268 A KR20160011268 A KR 20160011268A KR 20170090653 A KR20170090653 A KR 20170090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units
central controll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355B1 (ko
Inventor
김대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3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24F11/0009
    • F24F11/02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05B37/0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빌딩제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중앙제어기와 관리서버와의 통신에 있어서 통신 과부하를 해소하고, 제한된 데이터 범위 내에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필요한 데이터만을 전송하여 빠른 처리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Build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내의 복수의 기기를 제어하는 빌딩제어 시스템에서 필터링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최근 공기조화기뿐 아니라 건물 내의 설치된 기기들을 상호 연동하여 제어하고, 빌딩 내 기기를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빌딩제어 시스템이 구비되고 있다. 공기조화기는 이러한 빌딩제어 시스템과 결합하여 건물에 대한 총괄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빌딩 제어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백넷(BACnet,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Network)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빌딩제어 시스템은, 실내기 및 환기유닛이 빌딩 내 기기들과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때 빌딩제어 시스템에서 복수의 기기와 실내기 유닛 및 환기유닛을 제어하는 중앙제어기는, 실내기유닛 및 환기유닛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함으로써 실내기 유닛 및 환기유닛에 대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빌딩제어 시스템은 연동하여 동작하는 실내기 유닛 및 환기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연결되는 유닛의 수에 따라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므로, 통신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빌딩제어 시스템의 중앙제어기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데 있어서,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제한적이므로, 복수의 실내기유닛과 환기유닛에 대한 데이터처리가 지연되어, 실내기유닛 및 환기유닛에 대한 정보가 즉시 확인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빌딩제어 시스템에서, 빌딩제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있어서, 필요에 따라 필터링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여 통신부하를 제어하는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은, 빌딩제어유닛 및 공기조화기 유닛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 상기 복수의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기 및 상기 중앙제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유닛의 종류, 주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연결된 복수의 유닛 중 필터링할 유닛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 선택된 유닛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닛을 1차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1차 필터링된 유닛의 주소 정보를 표시하고, 주소를 선택하여 2차 필터링 하는 단계, 상기 2차 필터링된 주소를 갖는 유닛의 기능 목록을 표시하고, 선택된 기능에 대하여 3차 필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3차 필터링된 기능을 포함하는 유닛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복수의 유닛이 빌딩제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복수의 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데 있어서, 중앙제어기로 복수의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설정에 따라 필터링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데이터 범위 내에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통신 과부하를 방지하고, 필요한 데이터만을 전송하여 빠른 처리가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기기 간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중앙제어기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유닛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유닛에 할당된 주소에 따라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필터링된 데이터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제어 시스템은 빌딩 내의 각 기기를 상호 연결하여 건물 내에 소정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각 기기의 기능을 통합하여 제어한다.
빌딩제어 시스템은 중앙제어기(100), 관리서버(250), 빌딩제어유닛(50)과 공기조화기유닛(10)(20)(30)을 포함한다.
빌딩제어유닛(50)은 중앙제어기(1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유닛으로, 이동장치 제어유닛(51), 보안제어유닛(52), 조명 제어유닛(53)을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유닛은 실외기유닛(10)(11)(12), 실내기유닛(20), 환기유닛(30)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유닛 및 빌딩제어유닛(50)은 각각 중앙제어기(100)와 연결되어 유닛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중앙제어기(10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빌딩제어유닛(50) 중, 이동장치 제어유닛(51)은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건물 내에서의 이동장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보안 제어유닛(52)은 외부 침입에 대한 침입감지 장치, 경보장치, 감시카메라 등과 같은 보안장치와, 가스누설감지기, 화재감지기 등의 방재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조명제어유닛(53)은 건물 내의 조명을 제어하고 관리한다.
중앙제어기(100)는 이동장치 제어유닛(51), 보안제어유닛(52), 조명 제어유닛(53)을 포함하는 빌딩제어유닛(50)에 대하여,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제어하며, 빌딩제어유닛(50)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250)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제어기(100)는 실외기유닛(10)(11)(12), 실내기유닛(20), 환기유닛(3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공기조화기유닛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중앙제어기(100)는 공기조화기유닛과 통신하는데 있어서, 별도의 게이트웨이(미도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유닛(10)(11)(12), 실내기유닛(20), 환기유닛(30)은 별도의 원격제어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공기조화기유닛은 원격제어기를 통해 중앙제어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유닛은 실외기유닛(10), 실내기유닛(20), 환기유닛(30)뿐 아니라, 공기청정유닛, 히터, 보일러 등의 난방유닛(미도시), 가습유닛(미도시), 제습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유닛은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결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실외기유닛(10)은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상태에 따라 실내기유닛(20)으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유닛(10)은 실내기유닛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유닛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유닛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유닛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변경된다.
실내기유닛(20)은 하나의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유닛이 연결될 수 있고, 하나의 실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관리서버(250)는 주기적으로 중앙제어기(100)와 통신하여 빌딩제어유닛(50) 및 공기조화기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중앙제어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중앙제어기(100) 및 관리서버(250)는 빌딩제어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1회 통신 시, 지정된 포맷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에 따라 중앙제어기(100)는 복수의 유닛, 즉 실외기유닛(10), 실내기유닛(20), 환기유닛(30)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송수신한다.
중앙제어기(100)는 공기조화기유닛에 대하여, 각 유닛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고, 유닛의 종류, 주소, 그리고 기능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필터링 대상을 설정한다.
특히 중앙제어기(100)는 빌딩제어시스템에 연동가능한 공기조화기유닛의 기능, 빌딩제어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유닛만을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기기 간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제어 시스템은, 중앙제어기(100)가 복수의 유닛(10 내지 50)과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복수의 유닛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또한, 중앙제어기(100)는 관리서버(25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복수의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서버(250)로 전송한다.
한편,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기(100)는 원격제어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기(200)는 공기조화기 유닛, 즉 실외기유닛(10), 실내기유닛(20), 환기유닛(30)과 연결되어 공기조화기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원격제어기(200)는 중앙제어기(100)와는 별도로 공기조화기 유닛을 제어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 유닛이 원격제어기(200)를 통해 중앙제어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기(200)는 중앙제어기(100)의 빌딩제어유닛(50)과의 연동 동작에 관계없이 공기조화기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관리서버(250)는 빌딩관리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빌딩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표시하고,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중앙제어기(100)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250)는 웹서버로써 동작하여 외부 단말(미도시)로부터의 접속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복수의 유닛(10 내지 50)에 대한 데이터를 외부 단말로 제공하여 복수의 유닛에 대한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중앙제어기(100)로 전송하여 복수의 유닛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중앙제어기의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제어기(100)는 입력부(140), 출력부(150), 데이터부(130), 통신부(120) 그리고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빌딩제어유닛(50) 및 공기조화기유닛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통신부(120)는 관리서버(250), 빌딩제어유닛(50) 및 공기조화기유닛과의 통신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입력부(140)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경우에 따라, 중앙제어기(100)는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설정을 위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출력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관리서버(250)를 통해 외부 단말이 접속되어 복수의 유닛을 제어하는데 따른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 수단, 스피커 등의 음향출력수단, 점등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중앙제어기(100) 및 복수의 유닛에 대한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소정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부(130)에는 중앙제어기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빌딩제어유닛(50) 및 공기조화기 유닛에 대한 유닛데이터(132), 복수의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중앙제어기의 동작에 따른 오브젝트데이터(131)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30)에는 오브젝트단위로 복수의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필터링하기 위한 유닛의 종류, 기능, 주소에 대한 필터링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40)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복수의 유닛, 즉 빌딩제어유닛(50)과 공기조화기유닛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고 그 동작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부(130)에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유닛의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송수신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대응하여, 필터링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공기조화기 유닛에 대한 필터링 기준으로 설정한다. 제어부(110)는 필터링 기준에 따라 공기조화기 유닛의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통신부(120)를 통해 관리서버(25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유닛의 종류, 유닛의 주소, 유닛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필터링 기준으로 하여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빌딩제어에 연동되지 않는 공기조화기의 기능 또는 중앙제어기에서 처리 불가능한 기능, 또는 오브젝트 단위로 관련이 없는 데이터는 송수신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중앙제어기(100)는 환기기능을 오프한 경우, 환기유닛의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다. 또한, 중앙제어기(100)는 실내기유닛과 환기유닛 중 실내기유닛만을 오브젝트에 포함시킨 경우, 실내기유닛의 데이터만을 필터링 하여 선택적으로 송수신하고 환기유닛의 데이터는 무시한다. 또한, 중앙제어기(100)는 오브젝트별로 실내기의 온오프 설정, 모드 설정, 온도설정에 따른 개별 오브젝트에 대하여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만을 필터링 하여 송수신하고, 유닛에 할당된 주소를 바탕으로 필터링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유닛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기(100)는 복수의 유닛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장치필터메뉴(151)에는 중앙제어기(100)에 연결되는 복수의 유닛이 종류에 따라 개별항목리스트(152)로 표시된다.
장치필터메뉴(151)에는 전체선택, 환기유닛, DO(다이렉트 아웃풋), 실내기유닛, DI(다이렉트인풋), 히트펌프(AWHP)가 각각 개별항목리스트(152)에 표시된다. 이때 DO(다이렉트아웃풋)과 DI(다이렉트인풋)은, 중앙제어기(100)에 구비되는 다이렉트연결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유닛으로, 빌딩제어유닛(50)이 DO, DI 유닛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장치필터메뉴(151)에서 실내기항목(153)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복수의 유닛에 대한 데이터 중, 실내기유닛(20)에 대한 데이터만을 선택하여 송수신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유닛에 할당된 주소에 따라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기(100)는 주소필터메뉴(154)를 통해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통신할 수 있다.
주소필터메뉴(154)에는 주소가 표시된 유닛리스트(155)가 표시된다.
유닛리스트(155)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중, 주소가 00, 01, 02, 03, 04 인 유닛이 선택되면, 중앙제어기(100)는 선택된 유닛(156)에 대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필터링된 데이터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기(100)는 기능에 따라 데이터를 필터링할 수 있다.
기능필터메뉴(157)에는 장치주소(159a), 기능필터(159b), 기능별 오브젝트명(159c), 인스턴스넘버(159d), 데이터타입(159e)이 표시되어, 기능별 오브젝트 선택이 가능하다.
기능필터(159b)항목의 선택 여부에 따라 해당 기능별 오브젝트를 필터링 할지 여부가 설정된다. 중앙제어기(100)는 기능필터가 선택되지 않은 오브젝트에 대하여 해당 기능의 오브젝트는 제외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모드 설정기능(158)을 제외하는 경우, 중앙제어기(100)는 모드설정기능을 제외한 나머지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데이터만을 송수신한다.
복수의 유닛은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능별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유닛 간에는 동일한 기능별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에 따른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기능에 대한 오브젝트를 필터링하고, 또한 선택된 기능별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유닛에 대한 데이터만을 필터링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의 종류에 따라 실내기가 선택되면, 복수의 실내기 유닛의 주소정보가 표시되고, 복수의 실내기 유닛 중, 주소가 00, 01, 02, 03, 04인 실내기유닛이 선택된다.
또한, 주소가 00, 01, 02, 03, 04인 실내기유닛의 데이터 중, 모드설정에 대한 오브젝트를 제외한 나머지 기능에 대한 데이터만을 전송하게 된다.
중앙제어기(100)는 이와 같이, 유닛의 종류, 주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데이터를 관리서버(2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빌딩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제어기(100)는 관리서버(250)와 통신하는 경우, 관리서버(250)의 요청에 따라 필터링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중앙제어기(100)는 복수의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한번에 전송할 수 없으므로 필터링 설정메뉴를 통해 필터링할 데이터를 선정한다(S310).
중앙제어기(100)의 제어부(110)는 전술한 도 4와 같이 복수의 유닛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표시하고, 선택된 유닛의 종류로 데이터를 필터링한다(S320). 예를 들어 실내기유닛이 선택되는 경우, 복수의 유닛 중 실내기유닛의 데이터만을 필터링한다.
또한, 선택된 유닛의 종류별로, 주소정보를 표시하여, 유닛에 할당된 주소에 따라 대상유닛을 설정한다(S330).
예를 들어 실내기유닛이 선택되면, 전술한 도 5와 같이 실내기유닛의 주소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제어부(110)는 실내기유닛 중 선택된 주소의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필터링하게 된다. 즉 주소가 00, 01, 02, 03, 04인 실내기 유닛의 데이터 만을 선정하게 된다.
유닛의 종류와 주소가 선택되면, 해당 유닛의 기능별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기능에 따라 필터를 설정한다(S340).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주소가 00, 01, 02, 03, 04인 실내기 유닛의 데이터 중 모드기능을 제외한 기능별 오브젝트를 생성한다.
제어부(110)는 유닛의 종류, 주소 및 기능에 따라 필터링한 후, 해당 데이터를 관리서버(250)로 전송한다(S350).
중앙제어기(100)는 데이터 전송시, 필요에 따라 또는 관리서버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데이터만을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빌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기 보다, 유닛의 종류, 주소, 기능에 따라 필터링함으로써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빌딩제어 시스템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실외기유닛 20: 실내기유닛
30: 환기유닛 50: 빌딩제어유닛
100: 중앙제어기 250: 관리서버

Claims (11)

  1. 빌딩제어유닛 및 공기조화기유닛을 포함하는 복수의 유닛;
    상기 복수의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유닛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중앙제어기; 및
    상기 중앙제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유닛의 종류, 주소, 기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기는, 상기 관리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기는, 연동 가능한 상기 공기조화기유닛의 기능, 빌딩제어시 제어가능한 유닛의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기는 장치필터메뉴를 통해 선택 가능한 유닛의 종류를 표시하고, 상기 장치필터메뉴를 통해 선택된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기는 주소필터메뉴를 통해 유닛 별 주소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주소필터메뉴를 통해 선택된 주소를 갖는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기는 기능필터메뉴를 통해 유닛 별 기능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기능필터메뉴를 통해 선택된 기능에 대한 오브젝트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제어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유닛 중, 상기 선택된 기능에 따른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유닛의 종류, 주소, 기능으로 분류하여 필터링 대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연결된 복수의 유닛 중 필터링할 유닛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
    선택된 유닛의 종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닛을 1차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1차 필터링된 유닛의 주소 정보를 표시하고, 주소를 선택하여 2차 필터링 하는 단계;
    상기 2차 필터링된 주소를 갖는 유닛의 기능 목록을 표시하고, 선택된 기능에 대하여 3차 필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3차 필터링된 기능을 포함하는 유닛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빌딩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유닛을 유닛의 종류, 주소,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필터링 대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빌딩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 필터링, 상기 제 2 차 필터링 및 상기 제 3 차 필터링을 통해 유닛의 종류, 주소, 기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닛에 대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60011268A 2016-01-29 2016-01-29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50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268A KR102550355B1 (ko) 2016-01-29 2016-01-29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268A KR102550355B1 (ko) 2016-01-29 2016-01-29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653A true KR20170090653A (ko) 2017-08-08
KR102550355B1 KR102550355B1 (ko) 2023-06-30

Family

ID=5965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268A KR102550355B1 (ko) 2016-01-29 2016-01-29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6459A1 (zh) * 2018-04-13 2019-10-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线控器及具有其的空调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5206A (ko) * 2009-03-20 201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설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6601A (ko) * 2012-02-22 201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20140061579A (ko) * 2012-11-12 201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02145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9571A (ko) * 2014-05-12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5206A (ko) * 2009-03-20 2010-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설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96601A (ko) * 2012-02-22 201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설비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운전 방법
KR20140061579A (ko) * 2012-11-12 201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02145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9571A (ko) * 2014-05-12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6459A1 (zh) * 2018-04-13 2019-10-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线控器及具有其的空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355B1 (ko)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9785B2 (ja) 空調システム
EP3088810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A2842418C (en) Security system with integrated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 control
US7669433B2 (en) Multi-air conditioner central control system
JP6044527B2 (ja) 空調システム
EP2829813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15263B1 (ko)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62628B1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64805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582193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550355B1 (ko)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0999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1913661B2 (en) Air-conditioning system
US20140059467A1 (en) Mobile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20230134009A1 (en) Heat-pump system, indicator, usage-side unit, and information output method
KR2013003502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82213B1 (ko) 공기조화기
JP2012251710A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3919829B1 (en) Multi-unit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8176767A (ja) ビルディング管理システム
KR10248572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방법
KR10215555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3089749A1 (ja) 空気調和機管理システム、空気調和機管理方法および空気調和機管理プログラム
KR101290729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옵션설정방법
KR10211430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