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213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213B1
KR102382213B1 KR1020200153833A KR20200153833A KR102382213B1 KR 102382213 B1 KR102382213 B1 KR 102382213B1 KR 1020200153833 A KR1020200153833 A KR 1020200153833A KR 20200153833 A KR20200153833 A KR 20200153833A KR 102382213 B1 KR102382213 B1 KR 102382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remote
unit
zigbee
communication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3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에 유선 시리얼(serial)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대응하는 실내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연결된 실내기로 소정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유선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선 리모컨 중 제1 유선 리모컨은,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대응하는 제1 실내기 이외의 실내기들과, 상기 시리얼 통신선을 통하여,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며, 지그비(Zigbee) 통신을 통하여, 페어링(pairing)된 연동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유선 리모컨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더욱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공기조화기 내 실외기, 실내기 등 유닛들은, 건물단위 또는 소그룹 단위로 상호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각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기는 실외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실외기가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 지그비 기기로 실내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각 실내기에는 유선 리모컨이 연결되고, 사용자는 유선 리모컨을 조작하여 특정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4278호, 공개일자 2008년 10월 23일)은,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지시하는 버튼부,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및 공기조화기의 예약 운전 시간을 설정하는 회전식 스위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유선 리모컨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선 리모컨의 경우, 연결된 1대의 실내기 상태의 모니터링 및 제어에만 국한되어 있어, 유선 리모컨이 단독 유닛(Unit)으로의 통신 주체가 되지 못하기 때문에 기능의 확장성에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느 하나의 유선 리모컨으로 다양한 지그비(Zigbee) 기기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그비 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으로, 통신 성능 및 확장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통신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에 유선 시리얼(serial)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대응하는 실내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연결된 실내기로 소정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유선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선 리모컨 중 제1 유선 리모컨은,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대응하는 제1 실내기 이외의 실내기들과, 상기 시리얼 통신선을 통하여,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며, 지그비(Zigbee) 통신을 통하여, 페어링(pairing)된 연동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유선 리모컨으로 다양한 지그비(Zigbee) 기기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조화기가 지그비 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저비용으로, 통신 성능 및 확장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통신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 구조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내 유닛 간 통신 시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가 예시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선 리모컨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 구조를 예시하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에 관련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0)는, 대형의 공기조화기(50)로서, 복수의 실내기(31 내지 35),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실외기(21, 22), 복수의 실내기 각각과 연결되는 리모컨(41 내지 45), 그리고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중앙제어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0)는 복수의 실내기(31 내지 36) 및 복수의 실외기(21, 22)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이때, 중앙제어기(10)는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 설정, 잠금 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21, 22)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 (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1, 22)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31 내지 35)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21, 22)는 중앙제어기(10) 또는 실내기(31 내지 35)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 된다.
이때, 실외기(21, 22)는 복수의 실외기가, 각각 연결된 실내기로 각각 냉매를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나, 실외기 및 실내기의 연결구조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도 있다.
실내기(31 내지 35)는 복수의 실외기(21, 2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31 내지 35)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 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실외기(21, 22) 및 실내기(31 내지 35)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외기 및 실내기는 중앙제어기(10)와 별도의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중앙제어기(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리모컨(41 내지 45)은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은 실내기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에 하나의 리모컨이 연결되어 하나의 리모컨 입력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리모컨(41 내지 45)은 내부에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50)는, 크게 실내기(31)와 실외기(21)로 구분된다.
실내기(31)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8)와, 실내측 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108)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50)는 실내를 냉방 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 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외기(21)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 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실내기(31)와 실외기(21)를 각각 1개씩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동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 한 개의 실내기와 복수개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 구조를 예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와 실내기들은 유선의 통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제1 실외기(23a)는,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와 유선의 통신선(1)으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실외기(23a)와 제1 내지 제3 실내기(36a, 37a, 38a)는 유선 시리얼(serial) 통신선(1)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 중 각각 대응하는 개별 실내기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유선 리모컨(46, 47, 4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내기(36a)에는 제1 유선 리모컨(46)이 연결되고, 제2 실내기(37a)에는 제2 유선 리모컨(47)이 연결되며, 제3 실내기(38a)에는 제3 유선 리모컨(48)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유선 리모컨(46, 47, 48)은, 각각 연결된 실내기(36a, 37a, 38a)로 소정 신호를 전송하여, 연결된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선 리모컨(46, 47, 48)은, 각각 연결된 실내기(36a, 37a, 38a)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모든 실내기(36a, 37a, 38a)가 유선 리모컨(46, 47, 48)과 연결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일부 실내기는 무선 리모컨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23a)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는, 각각 통신부(23b, 36b, 37b, 38b)를 구비하거나, 통신부(23b, 36b, 37b, 38b)에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23b, 36b, 37b, 38b)는, 각 유닛에 내장되거나, 유닛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23a)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는, 각각 RS-485 통신 규격을 사용하는 통신부(23b, 36b, 37b, 3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통신부(23b, 36b, 37b, 38b)는 RS-485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거나 485 모뎀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23b, 36b, 37b, 38b)는, RS-485 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외기(23a)의 통신부(23b)는, 상기 실외기(23a)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생성한 데이터 패킷을, RS-485 통신 규격에 따라 대응하는 제1 실내기(36a)의 통신부(36b)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내기(36a)의 통신부(36b)는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여, 제1 실내기(36a)의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RS-485 통신 규격은 홈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 표준 규격으로, 하나의 시리얼 통신선(1)에 복수개의 송수신 노드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송수신 노드는 같은 통신라인에서 다자간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3a)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는, RS-485 통신으로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상기 실외기(23a)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23a)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는 상호간에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고정된 통신속도 및 데이터 구조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데이터량이 증가하는 경우 확장성에 제약이 있을 뿐 아니라 호환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고정된 속도 및 데이터구조로 인하여 응답시간이 지연되고 네트워크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크기의 페이지(page) 기반으로 구성된 RS-485 프로토콜 형식만을 사용하였다. 예들 들어, 유선 리모컨은 연결된 실내기와 13Byte의 고정된 크기를 가지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이 고정된 크기의 프로토콜을 형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기능이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현 시점에서, 새로운 기능의 추가나 확장이 어렵고 통신속도가 지연된다. 특히, 유선 리모컨은 연결된 개별 실내기와의 (Local) 영역 통신 이외의 확장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선 리모컨이 다른 유닛과의 통신에서 데이터 크기가 가변되는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유선 리모컨(46, 47, 48) 중 제1 유선 리모컨(46)은, 상기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 중 대응하는 제1 실내기(36a) 이외의 실내기들(37a, 38a)과, 상기 시리얼 통신선(1)을 통하여,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존과 같이, 제1 유선 리모컨(46)은, 대응하는 제1 실내기(36a)와 로컬(Local) 영역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유선 리모컨(46)와 제1 실내기(36a)는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내 유닛 간 통신 시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가 예시된 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선 리모컨 등 유닛들은, OSI 계층구조 방식 중, 제2 계층인 데이터 링크 레이어 방식을 사용하며, 통신 시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은 주소 데이터(Address data) 영역, 메시지 데이터(Message data) 영역, 오류검출을 위한 순환중복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 영역(CRC16)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류검출을 위한 CRC는 16-Bit로 처리될 수 있다. 오류 검출에는 CRC 방식의 체크섬을 사용하나 이게 한정되지 않고 다른 오류 검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주소 데이터 영역은, 주소의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 길이(Address Length)와 송신지 주소와 수신지의 주소를 포함하는 주소(Address)로 구성된다.
메시지 데이터 영역은, 애플리케이션 ID(Application ID), 메시지 타입(Message Type), 시퀀스 번호(Sequence no.), 데이터 길이(Data Length), 데이터(Data)로 구성된다.
이때, 데이터(Data)는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LV 프로토콜은 복잡한 데이터를 3개의 구조화된 필드 요소, 즉 타입(Type), 길이(Length) 및 값(Value)으로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통신 규격이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Data)는, 타입(Type) 필드, 길이(Length) 필드, 및 값(Value) 필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Data)는 0 내지 255바이트(byte)의 크기를 가지고, 데이터 값의 크기는 가변될 수 있으며, 데이터 길이는 가변적인 데이터 값의 크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값이 변경될 수 잇다.
도 5는 데이터 영역의 예들이 도시된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필드는 타입(Type), 길이(Length), 그리고 데이터 값(Value)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타입(Type)은 데이터 값에 포함될 정보에 대한 식별자이고, 길이는 데이터 값의 크기이고, 데이터 값은 실제 전송한 정보이다. 이때 타입(Type)은 10bits, 길이는 2bits이고, 데이터 값은 그 크기가 타입 및 길이에 따라 가변된다.
타입(Type)에 따라 데이터 값을 달리하여 실제 전달하고자 하는 이벤트 정보를 데이터 필드를 통해 전달하며, 전송할 정보의 크기를 가변하여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타입이 1인 경우 운전모드, 2인 경우 압축기 온오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크기에 따라 데이터 길이를 0, 1, 2, 3으로 표시하는 경우, 각각 4비트(a), 8비트(b), 16비트(c), 24비트(d)를 나타낼 수 있다. 길이에 따라 데이터 값으로 보낼 수 있는 정보의 크기가 가변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데이터 패킷의 기본 구조는 데이터 타입(Type)이 10비트(bit)의 크기를 차지하고 데이터 값(Value)의 크기를 나타내는 데이터 길이(Len)가 2비트(bit)의 크기를 차지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데이터 값(Value)의 크기는 기본적으로 4비트(bit)의 크기를 차지한다.
도 5의 (b), (c), (d)를 참조하면, 데이터 값(Value)의 크기는 타입에 따라서 8비트(bit) 단위로 크기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길이(Len)는, 가변 가능한 데이터 값의 크기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종래 실외기 및 실내기가 항상 고정된 크기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에 비해 더 빠른 통신 속도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크기가 확장 가능하므로, 데이터 패킷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리모컨은, 직접 유선으로 연결된 실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유선으로 연결된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LV 통신으로, 실내기 실외기 간 통신, 다른 실내기와의 통신에도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유선 리모컨, 실내기 간 로컬(Local) 영역 통신과 더불어 유선 리모컨, 복수의 실내기, 실외기 간의 리모트(Remote) 통신 영역의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한 통신 구조를 적용하고 연결된 유닛(Unit)을 제어할 수 있는 동기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일대일로 연결되는 유선 리모컨과 실내기를 로컬 영역으로 정의하고, 로컬 영역 이외의 영역을 리모트(Remote) 통신 영역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시리얼 통신선(1)은 리모트(Remote) 통신 라인(Line)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리모트 통신을 통해서, 유선 리모컨이 기타 실내기, 유선 리모컨, 실외기와 통신 교환이 가능하며, 다양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며, 기존 물리적 설치가 있어야만 가능했던 기본 유선 리모컨 제어를 통신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리모컨들(46, 47, 48)은, 로컬 영역의 실내기(36a, 37a, 38a)의 통신부(36b, 37b, 38b)를 통하여, 리모트 영역의 다른 실내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유선 리모컨(36a)은, 상기 제1 실내기(36a)의 통신부(36b)를 통하여 다른 실내기들(37a, 38a)의 통신부(37b, 38b)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리모컨들(46, 47, 48)은, 로컬 영역의 실내기(36a, 37a, 38a)의 통신부(36b, 37b, 38b)를 통하여, 리모트 영역의 실외기(23a)와 통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리모컨들(46, 47, 48)은, 로컬 영역의 실내기(36a, 37a, 38a)의 통신부(36b, 37b, 38b)를 통하여 시리얼 통신선(1)에 연결되어 다른 유닛과 TLV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485 모뎀(23b, 36b, 37b, 38b)과 시리얼 통신선(1)을 이용함으로써, 추가 비용 투입 없이, 저비용으로, 통신 성능 및 확장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통신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유선 리모컨으로 리모트 영역의 다른 유닛들에 대한 제어 환경을 구축할 수 있어 향후 다양한 기능 적용 및 확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선 리모컨의 기존 실내기와의 로컬(Local) 제어 통신 프로토콜과 더불어 리모트(Remote) 통신 영역까지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고, 기존 물리적 설치가 있어야만 가능했던 그룹 제어, 원거리 개별 제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선 리모컨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선 리모컨은,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10),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부(220), 소정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30), 소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40),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통신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20)는, 버튼, 스위치, 터치입력수단과 같은 입력수단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조작부(220)에는, 전원키, 메뉴입력키, 운전설정키, 온도조절키, 풍량키, 잠금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220)는 입력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 명령 또는 소정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유닛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출력하고, 유닛의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를,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조작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화면에 출력하고, 또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소정의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여, 공기조화기에 대한 운전설정, 운전상태, 이상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유선 리모컨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다른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주소 또는 그룹 설정에 대한 통신 데이터, 통신부(25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2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데이터부(120)에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
통신부(250)는,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다른 유닛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50)는 TLV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를 사용하여 다른 유닛과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통신부(250)를 통해 유닛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리모컨은, 각각 대응하는 실내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연결된 실내기로 소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유선 리모컨은, 연결된 실내기로부터 상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선 리모컨(46)은, 대응하는 제1 실내기(36a)와 로컬(Local) 영역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유선 리모컨(46)와 제1 실내기(36a)는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선 리모컨은 리모트 영역의 다른 유닛과의 통신에서 데이터 크기가 가변되는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유선 리모컨(46, 47, 48) 중 제1 유선 리모컨(46)은, 상기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 중 대응하는 제1 실내기(36a) 이외의 실내기들(37a, 38a)과, 상기 시리얼 통신선(1)을 통하여,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유선 리모컨(46)의 제어부(210)는, 상기 제1 실내기(36a) 이외의 실내기들(37a, 38a) 중 제2 실내기(37a)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50)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실내기(37a)로 상기 TLV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250)는, 상기 TLV 프로토콜의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신호를 상기 제2 실내기(37a)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상기 통신부(250)가 상기 제2 실내기(37a)로부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유선 리모컨(46)은, 상기 제1 실내기(36a) 이외의 실내기들(37a, 38a)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TLV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신하는 통신부(250)와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유선 리모컨(46)의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제1 실내기(36a) 이외의 실내기들(37a, 38a)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remote) 통신 모드에서, 제어 가능한 실내기들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선 리모컨(46)는, 통신부(250)를 통하여, 상기 제1 실내기(36a) 이외의 실내기들(37a, 38a)로 상기 TLV 프로토콜에 따른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기 TLV 프로토콜에 따른 요청 신호를 상기 시리얼 통신선(1)을 통하여 소정 횟수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도록 통신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유선 리모컨(46)의 제어부(240)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 실내기들과 통신 연결되어, 상기 리모트 통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들은, RS-485 통신 규격을 사용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3a)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는, 각각 RS-485 통신 규격을 사용하는 통신부(23b, 36b, 37b, 3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통신부(23b, 36b, 37b, 38b)는 RS-485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거나 485 모뎀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23b, 36b, 37b, 38b)는, RS-485 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b, 36b, 37b, 38b)는, TLV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데이터 패킷을 RS-485 통신 규격에 따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리모컨들(46, 47, 48)은, 로컬 영역의 실내기(36a, 37a, 38a)의 통신부(36b, 37b, 38b)를 통하여, 리모트 영역의 다른 실내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유선 리모컨(36a)은, 상기 제1 실내기(36a)의 통신부(36b)를 통하여 다른 실내기들(37a, 38a)의 통신부(37b, 38b)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선 리모컨들(46, 47, 48)의 통신부(250)는,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통신부(250)는, 내부에 지그비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외부의 지그비 통신 모듈과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선 리모컨들(46, 47, 48)에는 지그비 동글(Dongle)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유선 리모컨들(46, 47, 48)은 지그비 동글 모듈 연결을 위한 포트(port)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선 리모컨들(46, 47, 48)은,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조명 기기, 써모스탯(thermostat), 온습도 센서 모듈 등 지그비 통신을 지원하는 다른 기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리모컨들(46, 47, 48)는, TLV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로 상기 복수의 실내기와 통신하고, 상기 지그비 통신으로 지그비 통신을 지원하는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지그비 통신을 지원하는 지그비 기기들과 연결되는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통신 구조를 예시하는 도로, 도 3의 실시 예와 비교하면, 지그비 모듈(46b)이 추가되는 차이점 이외에는 동일하므로, 상기 차이점 이외의 기술적 특징을 공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23a), 실외기(23a)에 유선 시리얼(serial) 통신선(1)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 및, 각각 상기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 중 대응하는 실내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연결된 실내기(36a, 37a, 38a)로 소정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유선 리모컨(46, 47, 4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내기(36a)에는 제1 유선 리모컨(46)이 연결되고, 제2 실내기(37a)에는 제2 유선 리모컨(47)이 연결되며, 제3 실내기(38a)에는 제3 유선 리모컨(48)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유선 리모컨(46, 47, 48)은, 각각 연결된 실내기(36a, 37a, 38a)로 소정 신호를 전송하여, 연결된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선 리모컨(46, 47, 48)은, 각각 연결된 실내기(36a, 37a, 38a)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23a)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는, 각각 RS-485 통신 규격을 사용하는 통신부(23b, 36b, 37b, 3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통신부(23b, 36b, 37b, 38b)는 RS-485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거나 485 모뎀일 수 있다.
한편, 통신부(23b, 36b, 37b, 38b)는, RS-485 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외기(23a)의 통신부(23b)는, 상기 실외기(23a)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생성한 데이터 패킷을, RS-485 통신 규격에 따라 대응하는 제1 실내기(36a)의 통신부(36b)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내기(36a)의 통신부(36b)는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여, 제1 실내기(36a)의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선 리모컨들(46, 47, 48)은, 로컬 영역의 실내기(36a, 37a, 38a)의 통신부(36b, 37b, 38b)를 통하여, 리모트 영역의 다른 실내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유선 리모컨(36a)은, 상기 제1 실내기(36a)의 통신부(36b)를 통하여 다른 실내기들(37a, 38a)의 통신부(37b, 38b)와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선 리모컨들(46, 47, 48)의 통신부(250)는, 지그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지그비 통신을 지원하는 다른 기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리모컨들(46, 47, 48)은, 지그비 통신으로, 조명 기기, 써모스탯, 각종 센서 등과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제1 유선 리모컨(46)은, 상기 복수의 실내기(36a, 37a, 38a) 중 대응하는 제1 실내기(36a) 이외의 실내기들(37a, 38a)과 상기 시리얼 통신선(1)을 통하여 TLV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유선 리모컨(46)을 제1 유선 리모컨(46a)과 지그비 모듈(46b)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그비 모듈(46b)을 구분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제1 유선 리모컨(46)의 통신부(250)는, 내부에 지그비 모듈(46b)을 구비하거나, 외부의 지그비 모듈(46b)과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그비 모듈(46b)은 지그비 동글(Dongle)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그비 모듈은, 유선 리모컨들(46, 47, 48)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유선 리모컨들(46, 47, 48)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유선 리모컨들(46, 47, 48)은, 어느 하나의 유선 리모컨의 지그비 모듈을 통하여, 지그비 통신을 지원하는 다양한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기존의 유선 리모컨 통신의 경우, 직접 연결된 실내기 유닛에만 연동되어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기능의 다양화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 리모컨(46, 47, 48)이 TLV 통신으로 공기조화기 내 유닛들과 통신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그비 통신으로 외부 기기와 통신하고 연동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더 높은 수준의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리모컨(46, 47, 48)은 지그비 통신을 통해 각종 센서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받아올 수 있어, 센서들이 센싱한 온도, 습도, 사용자 재실 여부, 재실 인원, 인원 분포, 공기질 등 다양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연동 서비스 등 부가 기능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유선 리모컨(46, 47, 48)과 조명 기기 등 다른 기기가 지그비 통신을 통해서 연동됨으로써, 유선 리모컨(46, 47, 48)을 통한 유닛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고, 조명 기기 등의 입/출력 수단, 및 시스템 자원의 한계를 넘어서 다양한 부가 기능 제공이 가능하다.
유선 리모컨(46, 47, 48)은,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조명 기기, 써모스탯, 센서 모듈 등 지그비 기기(710, 7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TLV 통신을 통하여 각 유닛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유선 리모컨(46, 47, 48)은, TLV 통신을 통하여 각 유닛으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지그비 기기(710, 720)로 유닛들의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유선 리모컨(46, 47, 48)은 지그비 기기와 연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선 리모컨(46, 47, 48) 중 제1 유선 리모컨(46a)이 지그비 모듈(46b)을 통하여 지그비 기기(710, 720)와 연동되는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유선 리모컨(46)은, 제1 실내기(36a)와 유선 통신 연결된 후에, 지그비 연동 모드가 활성화되어, 지그비 기기(710, 720)와의 연동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대한 지그비 연동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은, 선택된 지그비 기기(710, 720)와 지그비 페어링(pa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유선 리모컨(46)은, 지그비 모듈(46b)의 장착(연결) 또는 파워 온(power on)이 확인되면, 지그비 연동 모드가 활성화되어, 지그비 기기(710, 720)와의 연동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대한 지그비 연동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은, 선택된 지그비 기기(710, 720)와 지그비 페어링(pa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설정에 따라서, 제1 유선 리모컨(46)은, 탐색된 지그비 기기(710, 720)와 자동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페어링(paring) 후,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은, 상기 지그비 기기(710, 720)와 연동되고, 지그비(Zigbee) 통신을 통하여, 페어링(pairing)된 연동기기(710, 720)와 통신할 수 있다.
페어링(paring) 후,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은, 상기 지그비 기기(710, 7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실내기(36a)를 제어하는 로컬(local) 제어를 수행하거나 상기 제1 실내기(36a) 이외의 실내기들(37a, 38a)을 제어하는 리모트(remote)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paring) 후,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 등 유선 리모컨은, 상기 지그비 기기(710, 720)를 제어하는 마스터(master) 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선 리모컨의 버튼, UI를 이용하하여 지그비 기기(710, 72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유선 리모컨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지그비 기기(710, 72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의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710, 720)의 목록,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710, 720)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의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710, 720) 중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 상기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기기는 제어 가능하므로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710, 720)의 목록과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에 포함되고, 센싱만 가능한 단순 온도 센서의 경우에는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710, 720)의 목록에만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온도 센서의 상태 정보에는 현재 온도 센서의 센싱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의 메모리(240)에는 지그비 기기(710, 720)를 위한 하나 이상의 업데이트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은, 통신부(250)를 통하여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고, 메모리(240)에 업데이트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의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업데이트 파일로 업데이트 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기기로 업데이트 파일을 전송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을 통하여 페어링된 지그비 기기(710, 720)를 다른 유선 리모컨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제2 유선 리모컨(47) 등은, TLV 통신으로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과 통신하며,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을 통하여 페어링된 지그비 기기(710, 720)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유선 리모컨(47)의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과 페어링된 연동기기(710, 720)의 목록,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710, 720)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유선 리모컨(47)의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과 페어링된 연동기기(710, 720) 중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 상기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선 리모컨(47)의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 또는 상기 제2 유선 리모컨(47)의 메모리(240)에 저장된 업데이트 파일로 업데이트 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의 메모리(240)에 업데이트 파일이 저장된 경우에, 상기 제2 유선 리모컨(47)은 TLV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7)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7)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선 리모컨(47)의 메모리(240)에 업데이트 파일이 저장된 경우에, 상기 제2 유선 리모컨(47)은 사용자가 선택한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7)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7)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유선 리모컨(46)과 지그비 기기(710, 720)의 연동은, 서버(미도시)와의 연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유선 리모컨(46)은, 상기 서버와도 연동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로컬 제어 또는 상기 리모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에 관련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유선 리모컨에서, 지그비 모듈(46b)의 장착(연결) 또는 파워 온(power on)이 확인되면, 지그비 연동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S810). 또는, 로컬 제어 영역의 실내기 유닛과 유선 리모컨이 통신 연결되면, 지그비 연동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S810). 예를 들어, 제1 유선 리모컨(46)에서, 지그비 모듈(46b)의 장착이 확인되면, 지그비 연동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S810).
또한, 유선 리모컨이 연결된 실내기와 초기화 동기화 동작이 완료되고, 지그비 모듈(46b)의 장착이 확인되면, 유선 리모컨의 지그비 연동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S810).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은, 지그비 페어링 모드에 진입되어, 탐색된 지그비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페어링(paring)을 수행할 수 있다(S82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유선 리모컨(46)은 탐색된 지그비 기기 전체 또는 선택된 일부와 순차적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그비 연동 모드가 활성화되면, 지그비 연동 기능을 사용할 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받을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제1 유선 리모컨(46)의 디스플레이부(230)는, 지그비 연동 기능 사용 여부를 묻는 메시지(911), 취소 메뉴(912), 기능 선택 메뉴(913)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1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능 선택 메뉴(913)를 선택하면, 제1 유선 리모컨(46)은 탐색되는 지그비 기기들과 순차적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S820).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1 유선 리모컨(46)의 디스플레이부(230)는, 페어링 과정 중에, 페어링 진행 정보(921)를 포함하는 페어링 화면(92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화면(920)은 페어링을 취소할 수 있는 취소 메뉴(922)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취소 메뉴(922)를 선택하면, 페어링은 중단되고, 지그비 연동 기능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페어링이 완료되면, 유선 리모컨은, 페어링된 하위 지그비 기기들의 상태,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하위 지그비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페어링이 완료되면, 유선 리모컨은, 페어링된 하위 지그비 기기들의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지그비 제어 모드가 활성화되고, 디스플레이부(230)는 지그비 제어 유저 인터페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페어링 완료시 표시되는 지그비 제어 유저 인터페스 화면(1010)은, 마스터(Master) 운전 제어 메뉴(1011) / 마스터(Master) 모니터링 제어 메뉴(1012) / 부가 기능 제어 메뉴(1013)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지그비 기기의 유선 리모컨의 등록 과정이 종료되면, 지그비 연동 상세 기능 메뉴(1011, 1012, 1013)가 활성화되어 지그비 제어 유저 인터페스 화면(101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마스터 운전 제어 메뉴(1011)가 선택되면(S841), 디스플레이부(230)는,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 중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 상기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운전 제어 메뉴(1011)가 선택되면(S841), 페어링된 지그비 기기 전체 목록이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하여 전체 목록(List)을 보여줄 수 있다(S842). 이때, 모니터링 전용 지그비 기기는 운전 제어 목록에 표시되지 않는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에는 제어가능한 지그비 기기 전체 목록(1110)이 표시된다.
한편, 지그비 기기 전체 목록(1110) 하단에는 이전 화면(1010)으로 돌아갈 수 있는 백(back) 항목(1121)과 제어할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항목(1122)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지그비 기기의 명칭을 기호에 맞게 변경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각 지그비 기기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S843). 사용자는 운전 제어 목록에 포함되는 기기들 중 어느 한 기기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그비 기기 전체 목록(1110)에서 써모스탯(1111)을 누른 후 선택 항목(1122)을 누르면, 써모스탯(1111)이 선택될 수 있다.
도 11의 (b)는, 선택된 써모스탯(1111)의 제어 화면을 예시한다.
제어 화면(1130)은, 써모스탯(1111)의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b)에서는, 각 제어 항목(1131, 1142, 1143, 1134) 상에 현재 상태및 선택/변경할 수 있는 항목이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30)에는 제어가능한 지그비 기기 전체 목록(1110)이 표시된다. 써모스탯(1111) 제어 화면(1130)은, 온/오프 항목(1131), 운전 모드 제어 항목(1132), 온도 제어 항목(1133), 풍속 제어 항목(1134),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이전 화면(1110)으로 돌아가는 취소 항목과 입력된 사항을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제어 입력 항목(11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이 먼저 표시되고(a), 선택된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상태 정보 및 제어 화면이 표시(b)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이 표시되고, 하나 이상의 기기에 대한 정보가 목록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명칭의 옆 또는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화면이 분할되어, 분할된 일 영역에는 목록이 표시되고, 다른 일 영역에는 정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이 팝업 또는 분할된 화면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마스터 모니터링 제어 메뉴(1012)가 선택되면(S851), 디스플레이부(230)는, 페어링된 연동기기의 목록,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모니터링 제어 메뉴(1012)가 선택되면(S851), 페어링된 지그비 기기 전체 목록이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하여 전체 목록(List)을 보여줄 수 있다(S852).
또한, 전체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230)는, 하나 이상의 지그비 기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853). 예를 들어, 유선 리모컨은 각 지그비 기기에서 수행하고 있는 클러스터(Cluster)의 각종 어튜리뷰트(Attribute) 제어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표시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그비 부가 기능 제어 메뉴(1013)가 선택되면, 부가 기능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부가 기능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부가 기능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펌웨어 업데이트 기능 메뉴(1211), 그룹 연동 제어 기능 메뉴(1212) 등 부가 기능 목록이 표시되는 제1 영역(1210)과 취소(1221), 선택(1222) 항목이 표시되는 제2 영역(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 기능 메뉴(1211)가 최종 선택되면(S861), 디스플레이부(23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업데이트 파일로 업데이트 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S862).
사용자가 업데이트 대상 기기를 선택하면(S863), 메모리(240)에 저장된 업데이트 파일이 선택된 기기로 전송되고, 업데이트가 수행될 수 있다(S864).
다른 실시 예에서, 업데이트 대상 기기를 먼저 선택하고, 온보딩을 진행할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유선 리모컨 메모리 상에 저장된 파일 목록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선 리모컨은, 온보딩 준비를 마치면, 펌웨어 업데이트 동작이 진행됨을 선택된 업데이트 대상 기기로 알려 온보딩 동작을 위한 준비를 명령한다.
온보딩 동작 이후 완료 시, 디스플레이부(230)는, 업데이트 완료된 소프트웨어 버전을 메시지 팝업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유선 리모컨으로 다양한 지그비(Zigbee) 기기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조화기가 지그비 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23a: 실외기
36a, 37a, 38a: 실내기
46, 47, 48: 유선 리모컨

Claims (10)

  1. 실외기;
    상기 실외기에 유선 시리얼(serial)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대응하는 실내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연결된 실내기로 소정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유선 리모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선 리모컨 중 제1 유선 리모컨은,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대응하는 제1 실내기 이외의 실내기들과, 상기 시리얼 통신선을 통하여, TLV(Type Length Value)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하며,
    지그비(Zigbee) 통신을 통하여, 페어링(pairing)된 연동기기와 통신하고,
    상기 제1 유선 리모컨은,
    지그비 동글(Dongle) 모듈 장착이 확인되면, 지그비 연동 모드가 활성화하며,
    상기 지그비 연동 모드의 활성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지그비 연동 기능 사용 여부를 묻는 메시지와 기능 선택 메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기능 선택 메뉴가 선택되면, 탐색되는 지그비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지그비 페어링(paring)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의 목록,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 중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 상기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선 리모컨은,
    하나 이상의 업데이트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업데이트 파일로 업데이트 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선 리모컨은,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실내기를 제어하는 로컬(local) 제어를 수행하거나 상기 제1 실내기 이외의 실내기들을 제어하는 리모트(remote)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선 리모컨 중 상기 제2 유선 리모컨은,
    상기 제1 유선 리모컨과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의 목록, 상기 제1 유선 리모컨과 상기 페어링된 연동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선 리모컨 중 상기 제2 유선 리모컨은,
    상기 제1 유선 리모컨과 페어링된 연동기기 중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 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연동기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선 리모컨 중 상기 제2 유선 리모컨은,
    하나 이상의 업데이트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제1 유선 리모컨과 페어링된 연동기기 중 상기 업데이트 파일로 업데이트 가능한 연동기기의 목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200153833A 2020-11-17 2020-11-17 공기조화기 KR102382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833A KR102382213B1 (ko) 2020-11-17 2020-11-17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833A KR102382213B1 (ko) 2020-11-17 2020-11-1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213B1 true KR102382213B1 (ko) 2022-04-01

Family

ID=8118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833A KR102382213B1 (ko) 2020-11-17 2020-11-1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741B1 (ko) * 2022-11-03 2024-02-07 주식회사 오성전자 오토 페어링 기능을 갖는 리모컨과 게이트웨이 간의 수행되는 페어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224B1 (ko) * 2006-01-11 2007-03-13 (주)한국무선네트워크 지그비 통합 리모콘
KR20140145306A (ko) * 2013-06-13 201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KR20200004531A (ko) * 2018-07-04 2020-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224B1 (ko) * 2006-01-11 2007-03-13 (주)한국무선네트워크 지그비 통합 리모콘
KR20140145306A (ko) * 2013-06-13 201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KR20200004531A (ko) * 2018-07-04 2020-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741B1 (ko) * 2022-11-03 2024-02-07 주식회사 오성전자 오토 페어링 기능을 갖는 리모컨과 게이트웨이 간의 수행되는 페어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17631B (zh) 家电设备、家电系统和服务器装置
KR10147201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20150051739A1 (en)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system
JP6051089B2 (ja) 空調システム
WO2014115318A1 (ja) 空気調和制御システム
EP2056032B1 (en)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82213B1 (ko) 공기조화기
JP4297532B2 (ja) 空気調和機
KR10214006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67899B1 (ko) 공기조화기
KR102205162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137461B1 (ko)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KR100733302B1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시스템
JP4493123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05897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3191B1 (ko) 공기조화기
KR102137460B1 (ko)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KR102042222B1 (ko) 공기조화기
KR10227250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17537B1 (ko) 공기조화기
KR102217536B1 (ko) 공기조화기의 동작 방법
KR10224484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516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8572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방법
KR10221640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