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571A - 공기조화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571A
KR20150129571A KR1020140056793A KR20140056793A KR20150129571A KR 20150129571 A KR20150129571 A KR 20150129571A KR 1020140056793 A KR1020140056793 A KR 1020140056793A KR 20140056793 A KR20140056793 A KR 20140056793A KR 20150129571 A KR20150129571 A KR 20150129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menu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886B1 (ko
Inventor
손상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886B1/ko
Priority to EP15167284.7A priority patent/EP2944888B1/en
Priority to US14/710,369 priority patent/US9845966B2/en
Priority to CN201510239460.4A priority patent/CN105091097B/zh
Publication of KR2015012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heat-exchangers or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3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for displaying temperature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기, 배기, 환기를 조절하여 환기와 외기가 혼합된 혼합기 또는 외기를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여 냉/온의 급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조유닛; 공조유닛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실외기와 통신하여 공조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제어기의 입출력 장치로써 동작하는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스 유닛은 공조유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치에 대한 설정메뉴를 표시하고, 설정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복수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본데이터를 설정하여 제어기로 입력하며, 복수의 장치의 구성에 따라 변경되는 공조유닛의 기능에 대응하여 제어메뉴 및 모니터링메뉴를 출력함으로써, 복수의 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복수의 장치를 설정하고 제어하며, 복수의 장치의 구성에 따라 변경되는 공조유닛의 기능에 대응하여 제어메뉴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공조유닛의 설치에 있어서 다양성을 제공하고, 설치되는 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공조유닛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시스템{ Air-conditioner system}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순환되어 돌아오는 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실내를 환기하고 실내온도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운전되거나 난방운전되는데, 냉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거쳐 고온고압의 액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되어 기화되면서 주변공기의 온도가 내려가 실내기 팬이 회전동작함에 따라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고, 난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액화되어 방출된 에너지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실내기팬의 동작에 따라 실내로 토출된다.
최근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온도를 제어하는데 그치지 않고,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실내온기를 환기 시키는 환기시스템과 결합하는 추세이다. 특히 창문이 없거나 또는 작은 사이즈의 창문이 설치되는 빌딩에서는 냉난방과 환기 시스템을 결합한 형태의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그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실내를 냉난방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내부공기의 순환 및 외부 공기의 유입을 통해 실내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서 순환되는 내부공기와 외부공기의 유입을 제어하여 공기를 환기하면서 실내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고, 실내환경에 따라 필요한 부품을 추가하거나 분리 또는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외에서 공급되는 외기(Outdoor Air)와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 (Exhaust Air), 실내 순환 후 재 공급되는 환기(Return Air)를 조절하고, 상기 환기와 상기 외기가 혼합된 혼합기 또는 상기 외기를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여 냉/온의 급기(Supply Air)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조유닛(AHU, Air Handling Unit); 상기 공조유닛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여 상기 공조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입출력 장치로써 동작하는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공조유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치에 대한 설정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설정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본데이터를 설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입력하며, 상기 복수의 장치의 구성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공조유닛의 기능에 대응하여 제어메뉴 및 모니터링메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로부터 공급되는 실외에서 공급되는 외기(Outdoor Air)와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 (Exhaust Air), 실내 순환 후 재 공급되는 환기(Return Air)를 조절하고, 상기 환기와 상기 외기가 혼합된 혼합기 또는 상기 외기를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여 냉/온의 급기(Supply Air)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조유닛(AHU, Air Handling Unit); 상기 공조유닛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여 상기 공조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입출력 장치로써 동작하는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공조유닛 및 상기 실외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메뉴 및 제어메뉴를 출력하고, 접속 권한에 따라 사용자, 관리자, 설치자로 구분하여 상기 제어메뉴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 그리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실내를 환기시키는 동시에 외부 공기의 온도를 이용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고 또한 혼합된 공기를 열교환하여 실내온도를 제어하는 공조유닛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공조유닛를 구성하는 복수의 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상기 복수의 장치를 설정하고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장치의 구성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공조유닛의 기능에 대응하여 제어메뉴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공조유닛의 설치에 있어서 다양성을 제공하고, 설치되는 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공조유닛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공조유닛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유닛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를 구성하는 모듈화된 복수의 유닛 및 각 모듈과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도시된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유닛 별 신호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메뉴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로그인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유닛의 모니터링화면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대기화면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관리자설정메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9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품정보화면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4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시스템설정메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25 내지 도 26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스케줄설정메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유닛의 이력정보가 표시된 화면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유닛의 에러 발생 시 경고가 출력되는 화면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공조유닛(1), 실외기(2), 제어기(4), 그리고 제어기(4)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유닛(5)을 포함한다.
공조유닛(AHU, Air Handling Unit)(1)은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Supply Air), 실내를 순환하고 돌아오는 환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의 양을 조절하고, 열교환 된 급기가 실내도 공급되도록 한다.
실외기(2)는 설정에 따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되어 공조유닛(1)으로 냉매를 공급한다. 이때 실외기(2)는 공조유닛(1)에서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실외기 이외에도 다른 열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펌프, 지열판 등을 통해 열원의 공급이 가능하다.
실외기(2)는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미도시),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 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분리기(미도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 실외 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팬(미도시),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미도시),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미도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실외기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 장치 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기(4)는 공조유닛(1)의 구동 및, 순환하는 공기의 정도를 제어하고 설정된 온도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4)는 실외기(2)와 통신하여 실외기에 목표온도를 설정하거나 실외기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기(4)는 부하의 정도에 따라 실외기가 추가로 동작하거나 동작중인 실외기의 일부가 동작 정지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유닛(5)은 제어기(4)에 연결되어 제어기의 입력부 및 출력부로써 동작한다. 이때 인터페이스유닛(5)은 제어기(4)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조유닛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공조유닛 및 실외기에 대한 제어메뉴를 제공하여, 제어메뉴를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기(4)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공조유닛 및 실외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공조유닛(1), 실외기(2), 제어기(4), 인터페이스유닛(5) 뿐 아니라, 실외기(2)에 연결되어 실외기를 제어하는 제 2 제어기(6), 공조유닛(1)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실에 설치되는 로컬제어기(9), 건물 내의 이동수단(12), 조명장치(11), 보안장치(13), 경보장치를 제어하는 빌딩제어기(8)를 더 포함한다.
로컬제어기(9)는 각 실의 온도 및 현재 운전중인 공조유닛의 운전정보를 표시할 뿐 아니라, 구비되는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기(4)로 전송한다.
제 2 제어기(6)는 실외기(2)와 연결되어 복수의 실외기를 통합하여 제어하는 실외기의 중앙제어기로써,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실외기의 동작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제 2 제어기(6)는 제어기(4)의 설정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실외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기(4)로 전송한다. 제 2 제어기(6)는 실외기의 동작뿐 아니라, 실외기의 운전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고, 실외기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양에 따라 피크제어를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도 1 과 같이 제 2 제어기(6)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제어기(4)는 실외기와 통신하며, 제어명령을 각 실외기로 전송하고, 실외기는 제어명령에 따라 운전모드 및 목표온도를 설정하여 동작한다.
제 3 제어기(7)는 제 2 제어기에 입출력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원격에서 제 2 제어기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빌딩제어기(8)는 건물내의 경보 또는 보안장치(13)를 제어하고, 엘리베이터 또는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이동수단(12)의 동작을 제어하며, 조명장치(11)를 제어한다. 빌딩제어기(8)와 제어기(4)에는 소정의 변환수단이 구비되어 상이한 통신방식 또는 통신규약의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빌딩제어기(8)는 화재발생 시 경고기를 동작시켜 경고를 출력함과 동시에 화재신호를 제어기(4)로 입력한다. 화재신호를 수신한 제어기(4)는 실외기 등의 열원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댐퍼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조명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기(4)로 전송하면, 제어기(4)는 이를 통해 실별 재실자의 존재 여부, 또는 해당 실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실로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온도제어를 중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크기 및 규모에 따라 공조유닛(1)(1a 내지 1c)이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그에 대응하여 실외기(2)(2a 내지 2c)를 포함하는 열원이 복수로 구비된다. 공조유닛(1)에는 각각 공조유닛의 용량에 대응하는 정도의 실외기(2)가 연결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공조유닛에 구비되는 팬의 수를 변경할 수 있고, 각 팬은 모듈화되어 조립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팬의 추가 또는 제거가 용이하다. 팬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순환되는 공기의 총량이 가변된다.
공조유닛(1)은 덕트(3)(3a 내지 3c)로 연결되어 실내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한다. 각 실별, 실내온도는 실에 설치되는 센서 또는 로컬제어기(9)를 통해 측정 가능하다. 덕트(3)의 끝단, 즉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또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기(4)는 제 2 제어기(6) 및 제 2 제어기(6)에 연결되는 제 3 제어기(7), 그리고 빌딩제어기(8)가 상호 연결되어 연동하여 동작하며, 제어기(4)는 제 2,3 제어기(6)(7) 및 빌딩제어기(8)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에 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유닛(5)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빌딩제어기(8) 및 제 2 제어기(6)가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는 경우 인터페이스유닛(5)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제어기(4)를 통해 제 2 제어기(6) 또는 빌딩제어기(8)로 전송되어 각각 그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공조유닛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유닛(1)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공조유닛(1)은 덕트(3)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부, 실내를 순환하여 되돌아 오는 환기부,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배기부,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부, 그리고 외기 또는 환기와 외기의 혼합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부로 구성된다. 이때 각 부는 모듈화 되어 추가 하거나 제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배기부와 외기부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혼합기부를 형성한다.
환기부에는 되돌아오는 환기를 흡입하는 팬(56)이 구비된다. 급기부에는 외기 또는 혼합기를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팬(58)이 구비된다. 이때 환기부와 급기부에 각각 구비되는 팬(56)(58)은 각각 팬모터(57)(59)에 연결되어 제어기(4)의 제어명령에 따라 회전동작하고 그에 따라 공기가 유동한다. 환기부와 급기부에 구비되는 팬모터(57)(59)는 설정된 주파수에 따라 동작하는 인버터모터로써 각각의 팬이 온오프됨은 물론, 각 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환기부 및 외기부에는 각각 1내지 6대의 팬이 구비될 수 있고, 각 팬은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이때 팬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화 되어 추가, 분리 및 제거가 용이하다.
환기부와 급기부에 구비되는 팬모터는 구동유닛(미도시)에 의해 동작한다. 제어기(4)는 구동유닛으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구동유닛은 제어명령에 따라 팬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팬이 회전동작한다.
외기부에는 외부의 공기의 유입 정도를 조절하는 제 1 댐퍼(51)가 구비된다. 또한, 배기부에는 순환하여 돌아오는 환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 2 댐퍼(52)가 구비된다. 댐퍼의 개도량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결정된다. 또한, 외기부와 배기부 사이에는 제 3 댐퍼(53)가 구비되어 환기 중 일부 또는 전체가 급기로 공급되도록 조절한다. 제어기(4)는 제 1 내지 제 3 댐퍼(51 내지 53)의 개도를 조절한다.
외기부와 배기부 사이의 제 3 댐퍼(53)와 제 1,2 댐퍼(51,52)는 각각 상호 연동하여 개폐된다. 이때 환기부와 급기부에 구비되는 팬이 회전동작함에 따라 공기가 유동하고, 댐퍼의 개폐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로가 결정되므로 그로인하여 공조유닛 내부의 압력에 의해 배기와 외기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환기의 70%가 급기로 공급되도록 제 3 댐퍼(53)가 약 67도 오픈되면, 배기부의 제 2 댐퍼(52)는 23도 오픈되어 30%의 환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 1 댐퍼(51)는 23도 오픈되어 외기가 공급된다. 환기의 70%가 급기로 공급되고 30%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인 경우, 내부의 압력에 의해 배출된 만큼 외기가 30% 공급되어 급기는 70%의 환기와 30%의 외기로 구성된 혼합기가 된다.
또한, 제 3 댐퍼(53)가 닫히고, 제 2 댐퍼(52)가 90도 오픈, 제 1 댐퍼(51)가 90도 오픈되는 경우, 환기는 모두 배기로써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로부터 외기 100%의 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이하, 외기가 100% 급기로써 공급되는 것을 전외기라 한다.
한편, 공조유닛(1)이 환기부를 포함하지 않고, 외기/배기부, 열교환부 및 급기부로 구성되는 경우, 순환되어 돌아오는 환기 없이 외기만이 급기로써 공급되는 전외기로써 동작한다.
전외기 또는 혼합기는 열교환부를 통해 열교환되어 냉온의 공기로써 급기부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열교환부에는 열교환기(60)와 팽창밸브(61)가 구비된다. 제어기(4)는 설정된 목표온도에 따라 전외기 또는 혼합기가 특정 온도를 갖도록 실외기(2)(2a 내지 2c)에 목표온도를 설정하고 팽창밸브를 제어한다. 실외기(2)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해 열교환기로 유입됨에 따라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전외기 또는 혼합기가 열교환되어 소정 온도의 공기가 된다. 이때 열교환기는 수랭식, 공냉식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결합한 방식이 사용 될 수 있다.
제어기(4)는 급기방식 또는 환기방식 중 어느 하나의 설정에 따라, 급기부에서 공급되는 급기의 온도를 실내온도로써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순환되어 돌아오는 환기의 온도를 실내온도로 하여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급기방식인 경우 급기의 온도가 목표온도가 되도록 하여 공급하고, 환기방식인 경우 환기의 온도를 기준으로 목표온도에 따른 온도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인터페이스유닛(5)은 제어기(4)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제어기(4)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조유닛(1)의 동작상태 및 공기흐름을 모니터링 화면으로 출력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제어기(4)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제어기(4) 외에도 실외기를 통합제어하는 제 2 제어기(6) 또는 제 3 제어기(7)가 구비될 수 있고, 빌딩제어기(8)가 연결되어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제어기(4)는 메인유닛(110), 입출력유닛(120), 구동유닛(140), 통신유닛(1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기(4)는 인터페이스유닛(5)과 연결되어 상호 통신한다. 그에 따라 인터페이스유닛(5)은 제어기(40)의 입출력장치로써 동작한다. 인터페이스유닛(5)은 제어기(4)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입출력유닛(120)은 공조유닛(1)과 연결되어 공조유닛(1)에 구비되는 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공조유닛(1)의 각 장치의 상태정보를 메인유닛(110)으로 입력한다.
입출력유닛(120)에는 복수의 데이터포트가 구비되어 각각의 데이터포트는 공조유닛에 연결된다.
특히 입출력유닛(120)은 공조유닛(1)의 댐퍼(180)와 밸브(170)에 연결되어, 메인유닛(110)의 제어신호를 댐퍼(180)와 밸브(170)로 전달하고, 댐퍼(180)과 밸브(170)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메인유닛(110)으로 입력한다.
구동유닛(140)은 공조유닛(1)의 팬(160)을 제어한다. 구동유닛(140)은 인버터 및 인버터 드라이버로 구성되어 팬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팬이 회전동작하도록 한다. 구동유닛(140)은 제어기(4) 내부에 설치되거나, 경우에 따라 제어기(4)의 외부, 팬 주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통신유닛(130)은 제어기(4)와 외부의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모듈(130)은 유선 또는 무선의 복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연결된 기기와 통신하며, 인터넷 접속을 통해 외부의 서버(미도시) 또는 원격의 단말(미도시)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메인유닛(110)은 공조유닛(1)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메인유닛(110)은 통신유닛(130)을 통해 실외기(2)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외기(2)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실외기(2)의 동작상태에 따라 공조유닛(1)을 제어한다.
또한, 메인유닛(110)은 입출력유닛(120)을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댐퍼(180) 및 밸브(170)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메인유닛(110)은 입출력유닛(120)과는 별도로 복수의 입출력단자를 포함하여 공조유닛(1)에 구비되는 감지부(150) 즉, 복수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또한, 메인유닛(110)은 인터페이스 유닛(5)가 직접 연결되며, 제 2 제어기(6) 또는 빌딩제어기(8)와 연결된다. 이때, 제 2 제어기(6) 또는 빌딩제어기(8)는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유닛(130)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메인유닛(110)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에는 메인유닛의 동작하는데에 따른 데이터, 입출력유닛(120), 구동유닛(140), 통신유닛(13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입출력유닛(120) 및 감지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통신유닛(13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공조유닛(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그리고 공조유닛의 운전설정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닛(110)은 감지부(150) 및 입출력유닛(120)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공조유닛(1)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여 공조유닛(1)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인유닛(110)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입출력유닛(120) 및 구동유닛(140)으로 인가하여 각각 공조유닛(1)의 댐퍼(180), 밸브(170) 그리고 팬(160)을 제어한다.
또한 메인유닛(110)은 인터페이스 유닛(5)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공조유닛(1)의 운전을 설정하고, 공조유닛(1) 또는 실외기(2)의 동작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유닛(5)으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메인유닛(110)은 인터페이스 유닛(5)과는 별도로 소정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구비된다. 구비되는 버튼을 통해 메인유닛 또는 제어기 내부의 각 유닛에 대한 기본 설정에 대한 입력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간략한 정보가 표시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이 제어기로부터 탈착된 경우 디스플레이와 버튼을 통해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나, 제어설정에 따른 데이터는 인터페이스유닛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유닛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 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유닛(5)은 입력부(114), 출력부(115), 데이터부(116), 통신모듈(113), 입출력포트(112), 그리고 인터페이스 유닛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1)를 포함한다.
통신모듈(113)은 메인유닛(110)과 인터페이스유닛(5)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모듈(113)은 통신선으로 메인유닛(110)에 연결된다.
통신모듈(113)은 예를 들어, RS485통신과 같은 시리얼통신방식으로 통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유닛(110), 입출력유닛(120), 구동유닛(140), 통신유닛(130) 또한, 상호 시리얼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모듈(113)은 외부의 단말(미도시)과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과 같은 무선통신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포트(112)는 외부 메모리의 장착을 위한 단자를 포함하고, 또한 외부 을 케이블을 통해 연결 가능한 연결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14)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스위치, 터치패드와 같은 소정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수단이 조작됨에 따라 소정의 키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1)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14)는 버튼, 스위치,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입력부(정압/정전), 조그 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입력부가 후술하는 출력부(115)의 표시수단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출력부(115)는 숫자, 문자, 특수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수단, 소정의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버저를 포함하고, 각종 상태 상태를 발광여부, 색상, 점멸상태에 따라 타나내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한다.
출력부(115)는 제어기(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 화면으로 구현하여 표시수단에 출력한다. 입력부(114)의 입력수단이 조작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메뉴화면을 출력한다.
데이터부(116)에는 공조유닛 및 실외기에 대한 모니터링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공조유닛에 대한 운전설정을 위한 데이터, 그리고 제어기(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되고, 입력부(114)를 통해 입력되어 제어기(4)로 전송할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부(111)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통신모듈(113) 및 입출력포트(112)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입력부(115)의 키입력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기(4)로 전송하고,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이 출력부(11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1)는 제어기(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조유닛(1) 및 실외기에 대한 운전상태가 출력부(115)를 통해 모니터링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11)는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화면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키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메뉴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11)는 통신모듈(113)을 통해 연결되는 제어기(4)와의 연결상태를 감시하고, 연결 해제시 그에 대한 경고를 출력부(115)를 통해 출력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를 구성하는 모듈화된 복수의 유닛 및 각 모듈과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이 도시된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4)를 구성하는 각 유닛은 모듈화되어 상호 연결된다.
제어기(4)의 메인유닛(110), 입출력유닛(120), 구동유닛(140), 통신유닛(130), 그리고 인터페이스유닛(5)은 각각 상호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의 통신규격에 따라 RS485와 같은 씨리얼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4)의 각 유닛은 통신유닛(130)과는 별도로, 내부적으로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제어기(4)의 각 유닛은 모듈 단위로 추가 또는 제거 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4)는 공조유닛(1)의 구성이 변경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입출력유닛(120), 구동유닛(140), 통신유닛(130)이 추가될 수 있고, 또는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즉 공조유닛(1)에 팬이 추가 설치되는 경우, 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유닛이, 추가되는 팬의 수에 따라 추가 설치되고, 추가된 구동 유닛은 메인유닛과 통신선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제어기(4)는 메인유닛(110)은 제 1 입출력유닛(120a), 제 2 입출력유닛(120b), 제 1 통신유닛(130a), 제 2 통신유닛(130b), 구동유닛(140)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구동유닛(140)은 제어기(4)로부터 분리되어 공조유닛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통신유닛(130)은 연결되는 실외기(2)의 수에 따라, 통신유닛이 추가되어, 제 1 통신유닛(130a), 제 2 통신유닛(130b)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 연결된 실외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연결되는 실외기의 수가 증가하면 제 3 통신유닛(130)이 추가 설치 될 수 있다.
입출력유닛(120) 또한, 공조유닛에 설치되는 장치의 수에 따라 추가 설치되어 제 1 입출력유닛(120a), 제 2 입출력유닛(1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송수신, 또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는 내부적으로 연결된 통신선을 통해 메인유닛(110)으로 전송된다.
또한 메인유닛(110)에는 인터페이스 유닛(5)과, 실외기(2)에 연결되는 제 2 제어기(6), 이동수단 및 조명장치 등에 연결되는 빌딩제어기(8) 등이 직접 연결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메인유닛(110)과 통신선으로 연결되며, 입출력유닛(120) 및 통신유닛(130)과 동일한 시리얼 통신방식으로 통신한다.
한편, 메인유닛(110)은 제 2 제어기(6) 및 빌딩제어기(8)에 대하여, 각 제어기에 구비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제어기(4) 내부의 통신방식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유닛 별 신호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유닛(110)은 구비되는 입출력단자를 통해 공조유닛(1)의 감지부(150), 즉 복수의 센서와 연결되어 공조유닛(1)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메인유닛(110)은 아날로그 입출력단자와, 디지털입출력단자를 모두 구비하여, 각각의 센서로부터 온도, 습도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공조유닛(1)의 운전상태에 관련하여 기동여부, 운전모드, 연기감지, 차압센서의 측정값, 비상정지 여부 등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메인유닛(110)은 아날로그 입출력단자를 통해 환기온도, 환기습도, 급기온도, 급기 습도, 외기온도, 외기습도를 수신한다. 이때 습도센서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습도값은 입력되지 않는다. 메인유닛(110)은 환기팬과 급기팬의 팬 시그널을 수신한다.
또한, 메인유닛(110)은 디지털 입출력단자를 통해 기동 또는 정지 여부, 운전모드, 연기감지 여부, 차압센서의 데이터, 비상정지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태확인을 위한 데이터와 발생된 알람의 등급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입출력유닛(120)은 제 1 및 제 2 입출력유닛(120a)(120b) 각각에서 온도, 유속, 밸브, 댐퍼, 히터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인유닛(110)으로 전송한다.
제 1 입출력유닛(120a)은 혼합기의 온도, 급기유속, 환기유속, 온수밸브와 냉수밸브의 입출력 압력 또는 밸브 개폐에 따른 데이터, 동파방지 설정 여부, 가습기 밸브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된다.
제 2 입출력유닛(120b)은 이산화탄소(CO2)센서, 차압센서, 정압센서의 측정데이터, 외기댐퍼 인 제 1 댐퍼(51), 배기댐퍼인 제 2 댐퍼(52), 그리고 혼합댐퍼인 제 3 댐퍼(3)의 개도량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고, 구비되는 예열히터의 데이터가 각각 입력된다.
이때, 가습기, 예열히터는 공조유닛(1)에 설치되는지 여부에 따라 데이터의 입력여부가 변경되고, 다른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설치된 장치의 데이터가 입출력유닛(12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140) 또한, 공조유닛(1)에 설치되는 팬의 수에 따라 추가 설치 되어 제 1 구동유닛(140a), 제 2 구동유닛(140b)으로 각각 연겨되는 팬을 제어한다. 제 1 및 제 2 구동유닛(140a)(140b)는 통신선(L13)으로 연결되어 메인유닛(110)과 통신한다.
구동유닛(140)은 공급되는 전원을 필터링 하는 노이즈필터(141a, 141b)가 각각 구비되고, 필터링된 전원을 입력받아 팬모터(143a 내지 143d)를 구동하는 팬구동부(142a 내지 142d)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4 팬구동부(142a 내지 142d)는 각각 제 1 내지 제 4 팬모터(143a 내지 143d)에 연결되어 인버터모터인 팬모터를 제어한다. 팬구동부는 각각 인버터와 인버터 드라이버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각각의 팬은 상이한 설정에 따라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이때 각 팬은 연결된 팬 구동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각 상이한 회전속도로 동작할 수 있다.
하나의 노이즈필터에는 두개의 팬 구동부가 연결되고, 팬구동부에는 하나의 팬모터가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구동유닛에는 팬 2대가 연결되므로, 공조유닛(1)은 팬 추가가 2대 단위로 증가 하거나 제거 할 수 있다. 또한, 두개의 팬이 구동유닛에 연결되고, 각각 상이한 설정에 따라 동작 가능함에 따라 하나의 팬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상이 발생된 팬은 동작을 정지하되, 나머지 정상팬이 동작하게 된다. 이때 이상이 발생된 팬의 경우 정상 동작하는 팬의 영향으로, 기류에 따라 회전동작할 수 있으므로, 구동유닛(140)은 에러발생 시, 전기적 또는 물리적 잠금(lock)을 통해 팬이 회전동작 하지 않도록 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메뉴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유닛(5)은 제어기(4)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출력부(115)의 화면에 표시하고, 공조유닛(1) 또는 실외기(2)에 대한 제어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기(4)로 전송한다.
이때 인터페이스 유닛(5)은 공조유닛(1) 및 실외기(2)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메뉴화면을 구비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공조유닛(1) 및 실외기(2)에 대하여 모니터링메뉴, 설정메뉴, 그리고 제어메뉴를 복수로 구비하고, 입력부(114)의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은 로그인메뉴(201)을 제공하는데, 각각 사용자, 관리자, 설치자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이때, 로그인 권한에 따라, 사용자, 관리자, 설치자 별로 표시되는 화면 구성은 물론 제공되는 메뉴가 상이하다. 따라서 공조유닛(1) 또는 실외기(2)에 대한 제어권한 또한 다르게 설정된다.
인터페이스 유닛(5)에는 공조유닛(1)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메뉴(202)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데, 각각 운전(운전시작), 정지(운전정지), 난방, 냉방, 송풍, 외기냉방, 제습, 부가운전에 대한 것으로, 해당 키를 선택하면 바로 운전모드가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유닛(5)에는 로그인 시, 네가지의 메인, 홈, 스케줄, 이력, 설정의 메뉴항목이 구비된다.
홈메뉴는 공조유닛(1) 또는 실외기(2)에 대한 모니터링메뉴로 구성된다. 홈메뉴에는 시스템보기, 상세보기, 실외기상태에 대한 하위메뉴가 구비된다. 시스템보기는 공조유닛(1)에 대한 모니터링메뉴가 제공되고, 상세보기에는 공조유닛(1)의 동작상태에 대한 상세정보가 표시되며, 실외기 상태에는 실외기(2)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스케줄메뉴는 공조유닛(1)의 운전스케줄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항목이다. 스케줄메뉴에는 하위메뉴로 주간스케줄메뉴가 구비되고, 주간스케줄메뉴에서는 주간스테줄편집 화면이 별도로 제공된다.
이력메뉴는 공조유닛(1), 실외기(2) 또는 제어기(4)기에 연결되는 다른 제어기 또는 유닛에 대한 제어이력 또는 에러발생이력이 표시된다.
설정메뉴에는 공조유닛(1)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해, 공조유닛(1)에 설치된 장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테스트 하는 메뉴가 구비된다. 설정메뉴의 하위메뉴로 관리자 설정, 제품정보, 서비스설정이 제공된다. 관리자 설정에는 관리자가 공조유닛(1)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메뉴로써 관리자설정1,2,3의 하위 메뉴가 구비되고, 제품정보는 공조유닛(1) 및 인터페이스유닛(5)에 대한 모델정보, 또는 버전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서비스설정메뉴는 설치자의 권한에서 공조유닛(1)에 실제 설치된 장치에 대한 기본값, 또는 기본 제어값을 입력할 수 있는 하위메뉴가 서비스설정1내지5로 각각 제공된다.
이때, 인터페이스 유닛(5)은 로그인권한에 따라 사용자 로그인 시 메인메뉴중 홈메뉴만이 표시되어(A), 공조유닛(1) 또는 실외기(2)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가 표시된다. 관리자 로그인 시, 인터페이스 유닛(5)은 홈, 스케줄, 이력, 설정의 네가지 메인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B). 단, 홈, 스케줄, 이력에 대한 하위메뉴는 모두 표시하나, 설정메뉴 중, 관리자설정과 제품정보만을 표시하고 서비스설정은 표시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관리자 로그인 시, 기본적인 모니터링은 물론 제어를 위한 설정입력, 이력, 스케줄 관리가 가능하다. 설치자 로그인시 설정메뉴의 서비스 설정을 포함하는 모든 메뉴가 표시되고(C), 그에 대해 설정 가능하다. 공조유닛(1) 초기 설치시, 공조유닛(1)에 설치된 장치, 예를 들어 센서, 밸브, 댐퍼 등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치된 센서의 감지범위 또는 민감도에 대해 입력 가능하고, 이산화탄소감지센서의 설치여부에 따라 해당 기능을 온오프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은 초기 설정 후, 변경되지 않으므로 설치자 로그인 시에만 표시되고, 공조유닛의 구성이 변경되거나 모듈이 추가되는 경우 설치자 로그인을 통해 변경되는 구성에 대해 새로이 설정할 수 있다.
각각의 메뉴화면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로그인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유닛(5)에는 로그인메뉴(204)가 출력부(115)의 화면(210)에 표시된다.
로그인메뉴(204)에는 도 10의 a와 같이 각각 로그인 권한에 따라 관리자키(205)와 사용자키(206)가 표시된다.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 입력창(208)이 화면에 팝업메뉴로 표시된다. 비밀번호 입력창(208)에는 복수의 키와, 선택된 키가 표시되는 입력란이 표시된다. 비밀번호 입력 후 확인키가 선택되면 기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성공 시 후술하는 도 11의 모니터링메뉴가 화면에 표시된다. 한편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예를 들어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거나, 선택된 권한과 상이한 권한의 사용자 인 경우, 불일치에 따른 안내와 함께 비밀번호를 재 입력하도록 안내메시지가 출력된다. 또한, 별도의 경고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도 10의 a에는 관리자와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키가 표시되나, 로그인 화면(204)의 어느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207) 또는 특정 영역을 일정시간 이상 터치하는 경우 도 10의 b와 같이 비밀번호 입력창(208)이 표시되면서 설치자 로그인이 가능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그인을 설치자, 관리자, 사용자 중 어떤 권한으로 로그인 하는지 여부에 따라 표시되는 메뉴가 상이하게 출력되고, 그에 따른 설정권한 또한 달라진다.
도 11 내지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유닛의 모니터링화면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1은 인터페이스 유닛의 시스템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화면(210)이 도시된 도이다.
제어기(4)로 수신되는 데이터는 제어기(4)의 메인유닛(11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메인유닛(110)은 저장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유닛(5)으로 전송하고, 인터페이스유닛(5)은 제어기(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유닛(1)에 대한 모니터링화면(210)을 출력부(115)에 표시한다. 이때 인터페이스 유닛(5)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래픽으로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구비된다.
인터페이스 유닛(5)의 제어부(111)는 공조유닛(1)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기(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조유닛(1)의 구조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 화면(210)을 구현하여 출력부(115)를 통해 표시한다.
제어부(111)는 공조유닛(1)에서 측정된 데이터, 온도, 습도, 밸브의 상태, 기동상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실제 측정된 데이터값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급기온도와 흡기온도를 각각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데이터값은 문자, 숫자 및 특수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11)는 공조유닛(1)에 설치되는 부품 및 장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아이콘데이터를 구비하고, 공조유닛(1)의 부품 및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 해당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1)는 모니터링 화면(210)에 공기의 흐름을 표시한다.
제어부(111)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이미지 또는 아이콘의 형상이 변경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각 장치의 동작상태가 아이콘 도는 이미지의 형상을 통해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정상 동작하는 팬의 경우, 팬이 회전하는 형상으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에러가 발생된 팬의 경우, 정지한 상태에서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을 붉은 색으로 표시하거나 별도의 경고알림을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5)의 출력부(115)에 표시되는 모니터링화면(210)에는, 상단의 운전메뉴(220), 하단의 메인메뉴(290)가 표시되고, 화면 중앙부에는 메인화면이 표시된다. 모니터링 상태에서는 메인화면에 모니터링메뉴(230)가 표시된다. 이때 상단의 운전메뉴(220) 또는 하단의 메인메뉴(29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메인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운전메뉴(220)와 메인메뉴(290) 중 선택된 키는 다른키와는 상이하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홈키(291)이 선택되고, 운전(222), 난방(224)이 선택되면, 그에 따른 메인화면이 표시됨은 물론, 홈키와 난방키가 다른 키와 색상 또는 글자크기가 상이하게 표시되어, 현재 선택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운전메뉴(220)에는 현재 접속된 사용자정보(211), 전원키(221), 운전키(222), 정지키(223), 난방키(224), 냉방키(225), 송풍키(226), 외기냉방키(227), 제습키(228), 그리고 부가기능키(229)가 표시된다.
사용자정보(211)는 인터페이스유닛(5)에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데, 예를 들어 설치자, 관리자, 사용자로 구분 될 수 있고, 표시되는 이름은 변경가능함은 물론, 별도의 아이디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전원키(223)은 로그인 키로, 로그인 된 상태에서 선택되는 경우 현재 접속된 사용자 정보를 로그아웃한다. 로그아웃된 상태에서 선택되는 경우, 로그인 메뉴를 중앙의 메인화면에 표시하거나, 새로운 창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운전키(222)와 정지키(223)는 운전상태에 대한 키버튼으로 운전키(222)가 선택되면, 공조유닛(1)이 운전을 시작하고, 정지키(223)가 선택되면, 운전중인 공조유닛(1)이 운전을 정지하게 된다. 물론 공조유닛(1)이 정지상태인 경우 운전키(222)가 활성화되고, 공조유닛(1)이 운전상태인 경우에만 정지키(223)가 활성화된다. 운전키(222)가 선택되면, 제어부(111)는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제어기(4)로 전송하고, 제어기(4)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공조유닛을 제어한다.
난방키(224), 냉방키(225), 송풍키(226), 외기냉방키(227), 제습키(228)는 운전모드에 대한 것으로, 각각 공조유닛(1)이 난방모드, 냉방모드, 송풍모드, 외기냉방, 제습모드로 운전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냉방키(225)가 선택되면, 공조유닛(1)은 냉방모드로 운전된다. 이때 제어부(111)는 냉방모드 설정에 대한 제어신호를 제어기(4)로 전송하고, 제어기(4)는 공조유닛(1)이 냉방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함은 물론, 열원, 즉 실외기(2) 또한 냉방모드로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11)는 냉방키(224) 선택에 따라 제어신호를 전송한 후, 제어기(4)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공조유닛(1)이 여전히 다른 운전모드, 예를 들어 송풍모드인 경우인 경우 제어부(111)는 메인화면 상의 운전모드는 송풍모드인 것으로 표시하고, 공조유닛(1)이 냉방모드로 변경되면 그때 냉방모드인 것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1)는 공조유닛(1)에 설치된 장치에 대응하여 특정 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 또는 외기에 온습도 센서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외기만으로 냉방운전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외기냉방키(227)는 비활성화되어 선택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부가기능키(229)는 가습, 자동환기 등의 공조유닛(1)의 부가 기능에 대해 설정하는 메뉴로, 공조유닛(1)에 설치되는 장치에 대응하여 해당 장치에 대한 운전을 설정한다.
부가기능키(229)는 선택된 설정에 따라 키에 표시되는 내용이 변경될 수 있다. 선택한 횟수에 따라 가습, 자동환기, 가습 및 자동환기, 사용안함의 순서로 키에 표시되는 내용이 변경된다.
공조유닛(1)에 가습기능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즉 가습기가 공조유닛(1)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가습기능은 선택이 불가능하다 또한, 이산화탄소센서가 공조유닛(1)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환기기능은 비활성되므로 선택 불가능하다. 비활성 기능이 선택되더라도 제어부(111)는 해당 기능에 대해 설정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안함으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운전모드가 제습 또는 외기냉방으로 선택된 경우, 가습, 자동환기를 설정할 수 없다.
가습기능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자동환기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 사용안함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하단의 메인메뉴(290)에는 홈키(291), 스케줄키(292), 이력키(293), 설정키(294)가 표시되고, 우측에는 날짜 및 요일(295), 시간(296)이 표시된다.
홈키(291)는 홈화면을 메인화면에 표시하는 것으로, 공조유닛(1) 및 실외기(2)의 운전상태에 대한 모니터링메뉴(230)가 홈화면으로써 표시된다.
스케줄키(292)는 공조유닛(1)에 대한 운전스케줄을 설정하며, 이력키(292)는 공조유닛(1)의 운전이력 및 고장이력을 표시한다. 설정키(294)는 공조유닛(1)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메뉴를 메인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설정키(294)는 인터페이스유닛(5)의 동작에 대한 설정을 위한 메뉴가 메인화면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화면 밝기와 같은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날짜 및 요일(295), 또는 시간(296)이 선택되면, 시스템의 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다.
메인화면은 표시되는 데이터에 따라, 복수의 탭(231,232,233)이 표시되어, 선택되는 탭에 대응하여 데이터가 변경되어 표시 된다. 모니터링 메뉴(230)는 시스템보기탭(231), 상세보기탭(232), 그리고 실외기상태탭(233)의 세개의 탭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시스템보기탭(231)은 홈키(291)가 선택되는 경우 기본으로 선택되어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탭으로, 모니터링메뉴(230)중 공조유닛(1)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모니터링메뉴(230)에는 공기의 흐름이 화살표로 표시되고, 그에 따른 공기의 흡입 및 배기에 따라 환기(237), 배기(235), 외기()236), 그리고 급기(238)가 각각 표시된다. 또한, 각각 구비되는 장치, 댐퍼, 밸브, 센서, 필터 등이 각각 이미지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그에 따른 데이터값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각 장치에 대한 이미지 또는 아이콘은 실체 설치되는 장치에 대응한 형태로 표시됨은 물론 실체 위치에 대응하도록 화면에 배치된다. 또한, 운직이는 장치인 경우 그에 대응하여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가변되는 형태로 표시됨에 따라 장치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 별도의 알람이 출력됨은 물론 화면상에 에러발생에 따른 이미지 또는 아이콘이 추가 표시되거나 색상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환기(237)측에는 연감지센서가 구비되므로 그에 대응하여 연기감지 아이콘(247)이 표시되고, 농도(248), 습도(249), 온도센서(250)에 대한 이미지가 각각 표시되고, 그에 따른 데이터값이 1000ppm, 80%, 25.5도 로 각각 표시된다. 이때 연기감지는 연감지센서에 의해 화재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연기가 감지되는 경우 표시될 수 있고, 또는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됨으로써 연기감지 여부를 나타낸다. 농도센서는 이산화탄소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실내를 순환하고 돌아오는 환기의 이상화탄소농도에 따라 자동환기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기와 배기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환기팬(246)이 표시되고, 그 상부에는 환기팬 각각에 대한 동작상태(251)가 표시된다. 환기팬(246)이 6개의 팬으로 구성된 경우 각각 F1 내지 F6이 으로 구분되어 표시되고, 동작상태에 대응하여 녹색, 흰색 또는 적색으로 색상을 달리하여 운전, 정지, 에러로 팬의 상태가 표시된다.
배기(235)측에는 배기 댐퍼(제 2 댐퍼)(52)(239)가 표시되고, 환기 중 일부가 배기되는 경우 배치(235)측에 댐퍼의 개도량(252)이 표시된다. 또한 외기(236)측에는 외기 댐퍼(제 1 댐퍼)(51)(240)가 표시되고, 유입되는 외기를 조절하는 외기 댐퍼의 개도량(255)이 표시된다. 외기(236)측에는 유입되는 외기에 대한 온도(253)와 습도(254)가 표시된다. 외기측의 온도와 습도 센서는 외기댐퍼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온도와 외부습도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외기댐퍼가 닫힌 상태에서도 외부온도와 외부습도를 측정 가능하다.
배기 댐퍼(52)(239)의 개도량이 0인 경우 배기 댐퍼는 닫힌 상태로 환기 100%가 급기로 공급됨을 의미한다. 이때 배기댐퍼의 개도는 외기댐퍼(제 1 댐퍼)(51)(240)와 연동하므로 외기 댐퍼(51)(240) 또한, 개도량이 0이 된다.
배기와 외기 사이에는 혼합 댐퍼(제 3 댐퍼)(53)(241)가 표시되고, 그에 대한 개도량(256)이 표시된다. 이때 댐퍼의 개도량은 개도각으로 나타나며, 0도일때는 닫힌상태이고 90도에서 최대 개방된다. 배기 0%, 외기 0%, 환기가 100% 이므로 댐퍼는 90도로 최대 개방된다.
또한, 혼합 댐퍼(241)와 외기댐퍼(240) 사이에는 환기와 외기가 혼합된 혼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58)가 표시된다.
이때, 외기 또는 혼합기측과 급기측 사이에 설치되는 열교환기(243)(244)가 표시되고,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242)가 표시되고된다. 이때 필터의 양측에는 압력센서가 구비되어 필터를 통과하여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257)이 표시된다.
필터 청소 주기 또는 필터에 장착되는 필터차압센서의 데이터값에 따라 필터 청소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청소시기를 나타내는 필터아이콘(259)이 표시된다.
급기(238)측에는 각각 압력(263), 습도(262), 온도(261) 센서가 표시되고, 급기팬(245)가 표시된다. 급기팬(245) 또한, 설치된 팬의 수에 따라 F1 내지 F6이 표시되고, 각각의 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다.
모니터링메뉴(230)에 표시되는 팬과 댐퍼는 운전상태에 따라 움직이는 이미지로써 표시될 수 있고, 각 센서는 색상 또는 표시되는 데이터값에 따라 정상 동작 여부를 나타낸다. 또한, 경고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인터페이스 유닛에 표시되는 모니터링메뉴 중 상세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보기탭(232)이 선택되면, 모니터링메뉴(230)로 온도 및 습도(271), 잠금상태(272), 댐퍼 개도(273)와 팬운전상태(274)에 대한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즉, 앞서 설명한 시스템보기탭(231)의 공조유닛의 동작상태에 대한 상세정보이다.
각각 환기, 급기, 외기, 혼합기에 대한 온도와 습도를 수치로 표시하고, 제어모드에 따른 잠금상태를 아이콘으로 나타낸다. 또한, 외기, 배기, 혼합기의 댐퍼 개도량을 표시한다. 댐퍼 개도량은 닫힘 0도에서 최대개방 90도 표시된다. 또한, 환기팬과 급기팬의 각각의 팬 운전상태(274)가 표시된다. 이때 각 팬의 온오프 여부, 이상 발생 여부가 표시된다.
도 13은 인터페이스 유닛에 표시되는 모니터링메뉴 중 실외기상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유닛(1)에 연결되는 열외, 특히 실외기(2)에 대한 상태정보가 모니터링메뉴(230)에 표시된다.
공조유닛(1)에 연결된 실외기의 상태정보가 각 실외기 마다 표시되며(281 내지 286), 각 실외기와의 통신을 위한 주소, 운전, 정지, 에러 중 어느 하나의 운전상태, 제상운전 여부가 표시된다.
또한, 연결된 실외기(2)의 수에 따라 복수의 페이지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열원이 실외기가 아닌 경우, 예를 들어 보일러 또는 냉각탑 등인 경우 그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도 14는 인터페이스 유닛의 로그인 권한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되는 메뉴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4 는 앞서 설명한 도 12의 상세보기탭 선택시 표시되는 모니터링메뉴 화면에서 설치자 로그인시 상이하게 구성되는 모니터링메뉴 화면이 도시된 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자 로그인 시, 상세보기탭(232)이 선택되면 모니터링메뉴(230)는 앞서 설명한 관리자 로그인 시 상세보기탭과는 상이한 화면 구성의 상세보기메뉴가 표시된다.
설치자 로그인 시, 온도/습(271), 잠금상태(272), 댐퍼 개포(273)은 관리자 로그인 시의 모니터링메뉴와 동일하게 표시되나, 팬운전상태(275)는 관리자 로그인의 경우와 상이하게 표시된다.
설치자 로그인에 따른 상세보기탭의 메뉴화면에는 팬의 온오프 상태뿐 아니라, 각각의 팬의 운전주파수(276)이 표시된다. 이때, 환기팬과 급기팬은 각각 복수의 팬으로 구성되고, 각각 상이한 주파수로 운전 가능하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대기화면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유닛(5)의 제어부(111)는 소정 시간 이상 입력이 없는 경우, 대기화면(212)을 표시한다.
제어부(1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화면(210)이 출력된 상태에서입력부(150)를 통한 별도의 입력이 없는 경우 대기화면(212)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며, 대기화면(212)에는 공조유닛(1)에 대한 간략정보가 표시된다.
대기화면(212)에는 운전상태(213), 운전모드(214), 부가운전(215), 현재온도(216)에 대한 정보가 간략정보로써 표시된다. 각각의 정보는 이미지, 아이콘, 숫자 또는 문자, 또는 그 조합으로 표시된다. 운전상태는 운전중인지 여부를 타나내고, 운전모드는, 난방, 냉방, 송풍, 제습, 외기냉방 등의 운전모드 중 현재 설정된 운전모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설정된 부가운전이 표시되고, 환기온도가 현재 온도로써 표시된다. 이때, 실내온도에 대한 기준이 환기온도인 경우에는 환기온도가 표시되고, 급기온도가 실내온도 인 경우에는 급기온도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관리자설정메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6의 a는 제 1 관리자설정탭의 메뉴화면의 예이고, 도 16의 b는 제 1 관리자설정탭의 제어기준이 급기로 설정되는 경우의 메뉴화면의 예이다.
메인메뉴 중 설정키(294)가 선택되면,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메뉴(310)가 표시된다. 설정메뉴(310)에는 관리자설정(311), 제품정보(312) 그리고 시스템설정(313)의 하위메뉴가 구비된다. 이때 관리자설정(311)은 공조유닛(1)의 동작을 제어하기 메뉴이고, 제품정보(312)는 공조유닛(1) 또는 인터페이스 유닛(5)에 대한 모델정보 또는 제어프로그램의 버전정보가 표시되고, 시스템설정(313)은 공조유닛(1)에 대한 설치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관리자설정(311)은 관리자설정을 위한 메뉴가 복수의 탭으로 구분되어, 제 1 내지 제 3의 관리자설정탭(314 내지 316)으로 표시된다. 각각의 탭을 선택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메뉴화면이 표시되어, 각 기능별 공조유닛(1)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 입력이 가능하다. 공조유닛(1)에 대한 기본적인 운전설정은 상단의 운전메뉴(220)를 통해 설정가능하다.
제 1 관리자설정탭(314) 선택 시, 공조유닛(1)을 제어하기 위한 실내온도에 대한 제어기준(321), 냉방 온도 및 습도(322), 난방 온도 및 습도(323), 풍량설정(324), 댐퍼개도(325), 냉방댐퍼개도(326), 난방댐퍼개도(327), 송풍댐퍼개도(328)의 메뉴항목으로 구성되어 각각 데이터를 입력하는 메뉴화면이 표시된다.
제어기준(321)은 환기와 급기 중 선택 가능하고, 온도제어의 기준이되는 실내온도를 환기온도와 급기온도 중 하나로 선택하는 것이다. 환기온도로 선택하는 경우, 실내를 순환하고 돌아오는 환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것이고, 급기온도로 선택하는 경우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한다. 제어기준이 설정되면 앞서 설명한 상세보기의 모니터링메뉴에서 온도에 대한 기준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냉방 온도 및 습도(322) 및 난방 온도 및 습도(323)는 각각 냉방모드와 난방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목표하는 온도와 습도이이다. 온도는 0.1도 단위로 입력 가능하고, 입력가능한 온도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방온도는 18 미만으로는 입력할 수 없고 난방온도는 30도를 초과하여 입력할 수 없다. 이는 설정에 따라 변경된다. 풍량설정은 공조유닛(1)의 풍량에 대한 것으로 강, 중, 약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댐퍼개도(325)는 댐퍼개도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자동설정과 수동설정중에 선택할 수 있고 자동설정 시 댐퍼 개동가 자동으로 변경된다. 냉방댐퍼개도(326), 난방댐퍼개도(327) 및 송풍댐퍼개도(328)는 각각 냉방모드, 난방모드, 송풍모드로 운전하는 경우, 외기댐퍼, 배기댐퍼, 그리고 혼합댐퍼의 개도를 설정한다. 댐퍼개도(325)가 수동설정인 경우 설정된 개도에 따라 댐퍼개도가 결정되고, 자동설정인 경우에는 설정된 개도를 기본으로 하되, 운전상태 또는 실내환경 변화에 따라 댐퍼의 개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댐퍼의 개도각은 0도일때는 닫힘상태이고 90도 일때는 최대 개방상태로, 외기댐퍼, 배기댐퍼 그리고 혼합댐퍼는 상호 연동하여 개도각이 결정된다. 공조유닛(1)에서 배출되는 만큼 외부로부터 유입되므로 배기와 외기의 양은 동일하므로 외기댐퍼와 배기댐퍼의 개도각은 동일하게 설정되고, 혼합기와 외기의 합은 100이 되므로 개도각 또한 외기댐퍼와 혼합댐퍼의 개도각의 합은 90도가 된다.
이와 같이 제 1 관리자 설정탭(314)의 각 메뉴항목에 대한 설정값이 입력되면, 제어부(111)는 설정된 데이터를 데이터부(116)에 저장하고, 제어기(4)의 메인유닛(110)으로 설정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제어기(4)의 메인유닛(110)은 수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고 변경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조유닛이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환기온도 센서 또는 온습도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온도기준을 급기온도가 초기값이 되도록 하고, 해당 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항목에 대하여 설적값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11)는 경고를 출력한다.
한편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관리자설정탭(314)의 메뉴화면에서 제어기준(321)을 급기로 설정하는 경우, 제어기(4)는 급기온도를 기준으로 공조유닛에 대해 온도제어를 수행한다.
급기로 설정하는 경우, 제 1 관리자설정탭(314) 선택 시 표시되는 메뉴화면에는 제어기준(321), 냉방 온도 및 습도(331), 난방 온도 및 습도(332), 풍량설정(324), 댐퍼개도(325), 냉방댐퍼개도(326), 난방댐퍼개도(327), 송풍댐퍼개도(328)가 표시되고, 냉방 온도 및 습도(322)와 난방 온도 및 습도(323)는 제어기준이 환기인 경우와 상이하게 표시된다.
냉방 온도 및 습도(331)와 난방 온도 및 습도(332)는 각각 냉방모드와 난방모드로 운전하는 경우에 대하여 목표하는 온도와 습도를 입력하는데, 추가적으로 온도에 대한 제어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방모드에서의 목표온도가 18인 경우, 설치자 로그인 시 허용범위를 2도로 설정하는 경우, 18도를 기준으로 2도씩, 16도에서 20도가 목표온도에 대한 제어범위가 된다. 제어범위는 1도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7 은 제 2 관리자설정탭의 메뉴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설정메뉴(311)중, 제 2 관리자설정탭(315)이 선택되면, 공조유닛(AHU)의 타입(335), 공조유닛의 열교환방식(336), 적용센서(337)의 메뉴항목으로 구성된 메뉴화면이 표시된다.
공조유닛의 타입(335)으로 전외기와 공조기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공조유닛의 타입이란 공조유닛(1)이 실내로 급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외기와 환기의 혼합기로 공급하는 경우 공조기, 환기없이 외기만으로 급기를 공급하는 경우 전외기이다. 즉 공조유닛이 환기부없이 급기부, 열교환부, 외기부및 배기부로 구성된 경우 전외기이다. 또한, 환기부가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외기댐퍼와 배기댐퍼를 100%로 최대개방하여 외기만으로 급기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전외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공조유닛의 열교환방식(336)은 냉매의 열교환에 있어서 팬을 구비하여 냉매를 열교환 하는 경우와 물을 순환시켜 열교환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냉방과 난방에 대한 각각의 열교환 방식(339a)(339b을 공냉식, 수냉식으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사용않함으로 설정 가능하다. 열교환 방식은 공조유닛(1)에 실제 설치된 방식과 일치하는 열교환 방식이 설정되어야 한다. 이때 사용 안함의 경우 열교환을 수행하지 않고 외기만으로 냉방하는 외기냉방의 경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열교환 방식은 드롭다운메뉴 방식으로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적용센서(337)은, 공조유닛(1)에 설치된 센서에 대해 설정한다. 즉 실제 설치된 센서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적용센서(337)의 설정 상태에 따라 공조유닛(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메뉴가 변경될 수 있다.
적용센서(337)는 필수센서와 옵션센서로 구분된다.
필수센서로는 환기센서와 급기센서가 설치되고, 각각에 대해 설치된 센서의 종류(338a)(338b)를 설정할 수 있다. 환기센서와 급기센서 각각에 대하여 온습도센서와 온도센서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 가능하며 선택메뉴는 드롭메뉴다운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온습도센서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한다.
옵션센서로는 외기 온습도센서, 혼합기 온도센서, 이산화탄소센서, 필터 차압센서, 급기 정압센서, 환기 플로우 센서, 급기 플로우 센서가 설정될 수 있다. 이산화산소 센서의 경우 오염도 판단을 위한 기준값이 입력되고, 필터 차압 센서 또한 에러 또는 경고를 출력하기 위한 기준압력이 입력된다.
적용센서(337)에서, 공조유닛(1)에 설치되지 않은 센서를 선택하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제어부(111)는 에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서가 공조유닛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러는 발생하지 않으나, 해당 센서에 관련된 제어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센서(CO2)센서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1)는 CO2에 대한 아이콘 등을 모니터링 화면에서 제거하고 그에 관련된 제어메뉴 또한 비활성화시켜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해당 항목을 선택 불가능 하도록 한다.
도 18 은 제 3 관리자설정탭의 메뉴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설정메뉴(311)중, 제 3 관리자설정탭(316)이 선택되면, 온도습도 모드설정(341), 언어설정(343), 터치 좌표 보정(345), 비밀번호변경(344), 소프트웨어(SW), 업그레이드(346)의 항목으로 구성된 메뉴화면이 표시된다.
온도습도 모드설정(341)은 온도와 습도에 관련하여 제어모드를 설정하는 것으로, 제어모드는 로컬과 원격, 스케줄 중 하나를 설정할 수 있고, 원격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접점과 모드버스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각 항목은 드롭다운메뉴로 표시된다.
언어설정(343)은 인터페이스유닛(5)에 표시되는 전체 메뉴에 대하여 표시되는 언어를 변경할 수 있다. 설정키를 선택하면 변경 가능한 언어리스트가 표시된다. 비밀번호변경(344)은 인터페이스유닛(5)에서 로그인시 입력하는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비밀번호는 로그인된 권한의 비밀번호만 변경 가능하다. 즉 관리자는 사용자 또는 설치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없다. 터치좌표보정(345)는 인터페이스 유닛(5)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또는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이 구비되는 경우 터치하는 위치에 따라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즉, 터치된 위치에 배치된 키가 선택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A영역을 터치 하였으나 B영역이 선택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좌표보정을 통해 이를 매칭시킨다.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346)는 인터페이스유닛(5)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포함하여, 모니터링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외부의 프로그램 제공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갱신한다. 경우에 따라 갱신프로그램은 제어기를 통해 수신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도 19 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제품정보화면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정보(312)가 선택되면, 현재 인터페이스 유닛(5)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버전정보(351)와, 공조유닛의 운전시간(352)이 표시된다.
앞서 설명한 관리자설정메뉴에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프로그램이 갱신되면, 제품정보에 표시되는 버전정보 또한, 갱신된 프로그램의 버전으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운전시간(352)은 제어기(4)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 공조유닛(1)가 운전된 총 시간을 나타낸다. 초기화키(353)을 선택하면 누적운전시간은 0으로 초기화되어 0부터 다시 카운트 된다. 이때, 누적운전시간의 초기화는 설치자로 로그인한 경우에만 선택 가능하다. 공조유닛(1)의 구성이 변경되는 경우와 같이 새로이 시간은 카운트할 필요가 있는 경우 설치자 로그인 시, 초기화 될 수 있다. 관리자로 로그인 된 경우, 버전정보와 운전시간은 표시되나 초기화키는 비활성회되어 선택 불가능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4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시스템설정메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유닛의 시스템설정메뉴(313) 중, 제 1 시스템설정탭(361)이 선택되면, 공조유닛(1)에 대한 부가기능(371), 위밍업시간(373), 제연모드(374)의 항목이 메뉴화면에 표시된다.
부가기능(371)은 댐퍼피드백, 냉방가습기능, 가습기, 예열코일, 실외기 순차제어 중 선택 가능하다. 부가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부가기능에 대하여, 운전메뉴(220)중 부가운전키(229)를 통해 운전을 설정할 수 있다. 댐퍼피드백은 댐퍼로부터 피드백신호를 받을지 여부에 대한 것으로 댐퍼의 개도에 대한 피드백신호가 제어기(4)로 전송되고 인터페이스유닛(5)의 모니터링 화면에 표시된다. 냉방가습기능은 가습기가 사용 가능할때 가능한것으로 냉방 시 제습효과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가습을 추가 수행한다. 예열코일은 열원의 종류를 전기히터, 온수, 스팀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예열코일의 종류는 공조유닛(1)에 설치된 장치와 동일하게 설정한다.
부가기능 중, 냉방가습과 가습기는 공조유닛(1)에 가습기가 설치된 경우, 예열코일은 공조유닛(1)에 히터, 보일러 등의 열원을 공급하는 장치가 설치된 경우 설정 가능하다. 공조유닛(1)에 설치되지 않은 기능이 선택되면, 제어기(4)는 에러를 발생하고, 인터페이스유닛(5)은 에러를 화면에 출력한다.
워밍업시간(373)은 공조유닛(1) 운전 시, 운전 시작 즉시 설정된 운전을 수행하여 실내 온도를 제어할 수 없고, 실외기를 포함, 구비되는 각 장치가 운전을 준비할 시간이 필요하므로, 그 준비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때, 워밍업 시간 동안 공조유닛(1)은 댐퍼를 제어하고, 열원을 제어하는 등 설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각 장치의 운전을 시작하여 준비하여 본 운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설정된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본 운전을 시작할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워밍업시간이경과되면 제어기(4)는 운전 설정에 따라 동작하도록 공조유닛(1)을 제어한다. 즉 워밍업시간은 워밍업을 위한 최대 허용 시간으로, 워밍업운전이 장시간 유지되지 않도록 본 운전의 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연모드(374)는 연감지센서의 설치 여부에 따른 제연모드설정(375)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빌딩제어기의 연기감지 장치로부터 화재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연모드 설정이 가능하다. 제연모드(374)에서 댐퍼설정(376)과 팬동작설정(377)이 가능하다.
댐퍼설정(376)에서는 외기댐퍼, 배기댐퍼, 혼합댐퍼의 개도각을 설정할수 있고, 팬동작설정(377)에서 환기팬과 급기팬의 회전동작을 위한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제연모드가 설정되고, 연감지센서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거나, 또는 화재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기(4)는 댐퍼설정(376)에 따라 공조유닛(1)의 댐퍼의 개도를 설정할 수 있다. 화재 시 실외기는 동작을 정지하고 공조유닛(1) 또한 열교환을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은 정지되나, 제연모드 설정에 따라 댐퍼는 지정된 개도로 동작한다. 또한, 제어기(4)는 팬동작설정(377)에 따라 환기팬과 급기팬이 소정 주파수로 동작하도록 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유닛의 시스템설정메뉴(313) 중, 제 2 시스템설정탭(362)이 선택되면, 센서범위(378)와 열원확보 온도범위(379)로 구성된 메뉴화면이 표시된다.
센서범위(378)는 공조유닛(1)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에 대하여, 각각 설치된 센서의 특성에 따라 감지 가능한 범위값을 설정한다. 센서의 감지가능한 최저값과 최대값을 각각 입력할 수 있으므로 지정된 특정 모델의 센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다양한 모델을 공조유닛(1)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환기온도센서, 외기온도센서, 필터차압센서, 환기플로우센서, 이산화탄소센서, 급기온도센서, 혼합기온도센서, 급기정압센서, 급기플로우센서에 대해 각각 설정 가능하고 설치되지 않은 센서에 대해서는 센서범위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설치된 센서에 대해 센서범위가 입력되지 않고, 해당 센서는 설치된 것으로 설정된 경우, 초기값이 자동 입력되어 센서 관련된 기능이 선택되면 초기값을 센서의 데이터를 판단한다.
센서범위가 설정되면 제어부(111)는 데이터부(116)에 저장하고, 제어기(4)의 메인유닛(110)으로 설정데이터를 전송한다.
열원확보 온도범위(379)는 공조유닛(1)의 온도제어 시, 냉방열원과 난방열원에 대하여 확보 가능한 온도의 최저값과 최대값을 설정한다. 열원확보온도의 최저값과 최대값은 실외기의 대수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실외기를 추가 운전하거나 운전대수를 감소하는데에 따른 판단의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냉방운전 중 급기온도 냉방열원확보온도의 최고값 이상이 되면 실외기를 추가 운전하고, 최저값 이하가 되면 운전중인 실외기의 대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열원확보온도에 따라 실외기 대수를 제어하지 않는 경우라도, 실내온도가 열원확보온도의 최고값과 최저값의 범위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한다. 즉 열원확보 온도범위(379)는 온도제어 시 제어 가능한 온도범위가 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시스템설정탭(363)이 선택되면, 중앙제어주소(381), 팬개수(383), 제상시 팬운전기준(379)에 대한 설정항목으로 구성된 메뉴화면이 표시된다.
중앙제어주소(381)는 제어하고자 하는 공조유닛(1)의 주소를 설정한다. 이때 주소설정방식은 주소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10진수, 16진수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팬개수(383)는 환기팬과 급기팬의 설치 대수를 설정하는 것으로 1,2,4,6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상시 팬운전기준(384)은 제상운전 시 팬이 동작을 정지하는 온도와 동작을 시작하는 온도값이 입력된다. 예를 들어 제상운전시 급기온도가 25도 이상이면 팬의 동작을 정지하고, 배관온도가 30도 이상이면 팬이 동작되도록 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시스템설정탭(364)이 선택되면, 인버터 팬 제어기준(387), 정압제어(388), 인버터주파수(389)로 구성된 메뉴화면이 출력부(115)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다.
인버터팬 제어기준(387)은 인버터팬을 풍량을 기준으로 제어할지 정압을 기준으로 제어할지 설정한다. 풍량설정에 따라 강, 중, 약 에 따른 지정 주파수로 인버터 팬을 제어할지 또는 정압을 기준으로 공조유닛(1) 내의 압력에 따라 인버턴 팬을 제어할지 결정한다.
정압제어(388)은 인버터팬 제어기준이 정압기준으로 설정된 경우, 정압기반의 제어주기와 그에 따라 제어의 기준이 되는 압력값이 설정된다.
인버터 주파수(389)는 풍량기준으로 인버터팬을 제어하는 경우 금기와 환기에 대하여 각각 강풍, 중풍, 약풍에 따른 인버터팬의 동작 주파수가 설정된다. 이때 설정에 따라 강풍으로 설정하더라고 주파수 설정에 따라 실제 바람의 양을 상이할 수 있다. 공조유닛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강, 중, 약풍의 정도를 변경하여 설정 가능하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시스템설정탭(365)가 선택되면, 시운전 상황에서의 인버터팬 제어기준(391), 팬제어(392), 댐퍼제어(393), 밸브제어시 가습밸브(394), 히터밸브(395), 그리고 동파방지 접점(396)으로 구성된 메뉴화면이 표시된다.
인버터팬 제어기준은(391) 시운전 시, 인버터팬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인버터팬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풍량기준으로 제어할지 또는 정압기준으로 제어할 지 여부를 설정한다.
또한, 팬제어(392)는 시운전 시, 급기팬과 환기팬에 대하여 각각 운전주파수를 입력하여 급기팬과 환기팬의 동작을 확인한다. 이때 주파수를 입력하고 적용키(397a)(397b)를 선택하면, 적용키가 선택된 해당 팬이 동작한다.
예를 들어 급기팬의 주파수를 입력하고 적용키(397a)가 선택되면, 제어부(111)는 데이터를 제어기(4)의 메인유닛(110)으로 전송하고, 메인유닛(110)은 구동유닛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유닛에 의해 급기팬이 입력된 주파수로 동작한다. 급기팬이 동작하면 앞서 설명한 모니터링메뉴 또는 상세보기에서 급기팬의 동작상태가 표시되고, 설치자 로그인 시 급기팬의 동작 주파수가 함께 표시된다. 설치자는 이를 통해 급기팬이 시운전 시 입력된 주파수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댐퍼제어(393)는 외기댐퍼, 배기댐퍼, 혼합댐퍼에 대하여 각각 개도각을 입력하고 적용키(397d 내지 397e)를 선택하면, 공조유닛(1)의 댐퍼 개도가 변경된다. 이때, 인터페이스유닛(5)의 제어부(111)는 제어기(4)의 메인유닛(11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메인유닛(110)은 제어신호를 입출력유닛(120)으로 전송하여 해당 댐퍼를 제어한다.
밸브제어는, 각각 가습기가 설치된 경우 가습밸브(394)에 대해 DC신호와 접점신호를 적용키(397f, 397g)의 선택을 통해 시운전 하고, 히터밸브(395)에 대해 DC신호와 접점신호를 적용키(397h, 397i)를 선택하여 시운전 한다. 또한 동파방지를 위해 접점신호를 적용키(397i)의 선택을 통해 동작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시운전의 경우, 복수의 적용키(397a 내지 397j)가 구비되어, 각각 의 장치에 대해 시운전이 가능하다. 이때 적용키가 선택된 하나의 장치에 대해 시운전이 가능하고, 복수의 장치를 동시에 시운전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시스템설정메뉴는 설치자 로그인시 표시되도록 하여, 설치 단계에서 공조유닛(1)에 설치된 장치에 대응하여 데이터가 입력되고, 또한 설치 후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시운전에 사용된다. 관리자 로그인 시 시스템설정(313)이 표시되지 않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경우에 따라 새로운 데이터의 입력 또는 기 설정의 편집은 불가능 하나, 기 설정된 설정정보의 열람은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6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유닛의 스케줄설정메뉴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키(292)가 선택되면, 스케줄설정메뉴(410)가 화면에 표시된다. 스케줄설정메뉴(410)는 공조유닛(1)의 운전 스케줄을 입력하고, 추가 또는 변경한다.
스케줄설정메뉴(410)에는 기 설정된 스케줄 목록(414)이 표시되고, 각각의 스케줄에 대한 스케줄키와, 각 스케줄에 대한 편집키(416)가 구비된다.
또한, 스케줄설정메뉴(410)에는 현재 적용된 스케줄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스케줄선택(411)과, 선택된 스케줄 운전설정(412) 그리고, 적용키(413)이 구비된다. 스케줄에 운전설정(412)은 스케줄 모드인 경우 적용으로 표시되고, 로컬 또는 원격모드로 공조유닛(1)이 제어되는 경우 미사용으로 표시된다. 적용키(413)는 스케줄설정메뉴(410)에서 변경된 스케줄, 또는 선택된 스케줄에 대하여 설정을 적용한다.
이때 스케줄목록(414)에서 어느 하나의 스케줄이 선택되면, 예를들어 스케줄1(415)이 선택되면,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1에 설정된 스케줄정보(417)가 표시된다. 스케줄정보에는 요일별 시간에 따른 스케줄이 표시된다.
한편, 도 25의 a에서 편집키(416)가 선택되면, 해당 스케줄에 대한 편집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스케줄1(415)에 대한 편집키(416)가 선택되면 스케줄1에 대한 스케줄편집메뉴가 표시되고, 스케줄2의 편집키가 선택되면 스케줄2에 대한 편집메뉴가 표시된다.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편집메뉴(418)에는 선택된 스케줄인 스케줄1에 대한 요일별 시간에 따른 스케줄패턴이 표시되고, 스케줄 편집키(419)가 표시된다.
스케줄 편집키(419)가 선택되면 스케줄1에 대해 새로운 스케줄을 추가하거나 기 설정된 스케줄에 대한 수정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스케줄 편집키(419)가 선택되면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메뉴(420)가 표시된다. 편집메뉴(420)에는 편집하고자 하는 요일을 선택할 수 있는 요일선택(421)이 드롭다운 메뉴 형태로 표시되고, 선택된 요일에 대한 스케줄패턴(422)이 표시된다. 요일이 변경되면 그에 대응하여 스케줄패턴(422) 또한 변경되어 표시된다.
또한, 스케줄패턴(422)에 표시되는 시간별 스케줄패턴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대한 운전 시작시간(423)과 운전 정지시간(424)를 입력할 수 있고, 수정키를 선택하면 해당 시간 스케줄패턴이 변경된다. 이때 삭제키가 선택되면 해당 시간 스케줄패턴은 삭제된다. 또한, 기설정된 스케줄을 선택하지 않고 운전시작시간과 운전정지시간을 입력한 후, 추가키를 선택하면, 새로운 스케줄패턴이 추가 입력된다. 패턴항목의 추가, 수정, 삭제에 따른 변경된 정보가 스케줄패턴(422)에 표시된다.
저장키를 선택하면 변경된 스케줄패턴이 저장되고, 이전메뉴 선택 시, 도 26의 a에 도시된 스케줄편집메뉴(418)로 이동한다.
도 2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유닛의 이력정보가 표시된 화면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 중, 이력키(293)이 선택되면, 공조유닛(1)에 대한 에러정보(430)가 표시된다.
제어부(111)는 공조유닛(1)에서 발생된 에러데이터를 제어기(4)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부(116)에 저장하고, 에러데이터를 바탕으로 에러정보(430)를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11)는 공조유닛(1)의 에러 발생에 대한 경고를 출력한다.
에러정보(430)에는 에러가 발생된 순서에 따라 번호가 부여되고, 에러가 발생된 날짜와 시간이 표시되며, 발생된 에러에 대한 코드와 에러가 발생된 장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발생된 에러에 관련된 코드 번호 또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새로고침키(432)를 선택하면, 새로운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갱신된 에러정보(430)가 표시된다. 새로운 에러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새로고침키(432) 선택 시, 새로운 에러데이터가 에러정보(430) 추가된다.
전체삭제(431)가 선택되면, 에러정보(430)내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고, 초기화 된다. 전체삭제(431) 전까지 발생된 에러에 대해 리스트로 누적하여 저장되고, 설정기간 동안 보존된다.
도 28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유닛의 에러 발생 시 경고가 출력되는 화면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유닛(1)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인터페이스유닛(5)은 제어기(4)로부터 수신되는 에러데이터에 대응하여 알림메시지(433)를 출력한다.
알림메시지(433)에는 에러가 발생된 날짜 및 시간(435), 에러코드(434) 그리고 에러코드에 대한 에러메시지(436)이 표시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환기, 배기, 외기, 급기를 조절하여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고 그 온도를 조절하여 실내온도를 제어하는 공조유닛이 구비되어 열효율을 높이면서 온도제어 및 환기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공조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구비되고, 제어기의 입출력 장치인 동시에 탈부착 가능한 인터페이스 유닛을 통해 공조유닛에 대한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그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관리가 용이해 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공조유닛 2: 실외기
3: 덕트 4: 제어기
5: 인터페이스 유닛 6: 제 2 제어기
8: 빌딩제어기
110: 메인유닛 120: 입출력유닛
130: 통신유닛 140: 구동유닛
150: 감지부 160: 팬
170: 밸브 180: 댐퍼
111: 제어부 112: 입출력포트
113: 통신모듈 115: 출력부
115: 출력부 116: 데이터부

Claims (23)

  1. 실외에서 공급되는 외기(Outdoor Air)와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 (Exhaust Air), 실내 순환 후 재 공급되는 환기(Return Air)를 조절하고, 상기 환기와 상기 외기가 혼합된 혼합기 또는 상기 외기를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여 냉/온의 급기(Supply Air)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조유닛(AHU, Air Handling Unit);
    상기 공조유닛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여 상기 공조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입출력 장치로써 동작하는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공조유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치에 대한 설정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설정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본데이터를 설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입력하며, 상기 복수의 장치의 구성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공조유닛의 기능에 대응하여 제어메뉴 및 모니터링메뉴를 출력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복수의 장치에 대하여, 장치 별 모델 및 종류에 관계없이, 각 장치에 대한 동작가능범위를 상기 기본데이터로 설정하여, 상기 복수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치는 센서, 밸브, 댐퍼, 밸브 및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복수의 장치의 구성에 대응하여 실행 가능한 상기 공조유닛의 기능과 실행 불가능한 기능을 구분하여 표시하고,
    실행 불가능한 기능에 대한 메뉴항목은 비활성화하여 표시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공조유닛의 기능 또는 상기 복수의 장치에 대한 상기 기본데이터에 대하여, 입력된 데이터가 설정가능 범위를 벗어나면 에러 또는 오결선에 따른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공조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장치가 변경되는 경우, 제거된 장치의 정보를 제거하거나 또는 새로운 장치에 대한 정보를 추가 설정하여, 변경된 상기 복수의 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공조유닛에 대한 새로운 제어메뉴 및 새로운 모니터링메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공조유닛을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장치에 대한 설정 및 상기 복수의 장치에 대한 기본데이터가 설정되면, 상기 복수의 장치에 대하여 각 장치 단위로 정상 동작 여부를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로그인 권한에 따라 사용자, 관리자, 설치자로 구분하여 상기 제어메뉴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요일별 스케줄 패턴을 설정하고, 복수의 스케줄 패턴이 적용된 스케줄데이터로부터 상기 공조유닛에 대한 운전 스케줄을 설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공조유닛의 에러데이터를 수신하여 에러발생 일자, 시간, 코드 및 에러가 발생한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에러이력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공조유닛 및 상기 실외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래픽 기반의 상기 모니터링메뉴 및 상기 제어메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공조유닛의 배기, 외기, 환기 및 급기에 대한 공기 흐름을 상기 모니터링메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4. 실외에서 공급되는 외기(Outdoor Air)와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 (Exhaust Air), 실내 순환 후 재 공급되는 환기(Return Air)를 조절하고, 상기 환기와 상기 외기가 혼합된 혼합기 또는 상기 외기를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여 냉/온의 급기(Supply Air)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조유닛(AHU, Air Handling Unit);
    상기 공조유닛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여 상기 공조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입출력 장치로써 동작하는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공조유닛 및 상기 실외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메뉴 및 제어메뉴를 출력하고, 접속 권한에 따라 사용자, 관리자, 설치자로 구분하여 상기 제어메뉴를 상이하게 구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공조유닛의 배기, 외기, 환기 및 급기에 대한 공기 흐름을 상기 모니터링메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접속 권한에 따라, 상기 공조유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치에 대한 설정메뉴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능에 대한 메뉴를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공조유닛 및 상기 실외기를 구성하는, 각 장치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각 장치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상기 모니터링메뉴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복수의 장치의 구성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 메뉴의 상기 각 장치의 상기 이미지 또는 아이콘의 형태 및 위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각 장치의 동작형태 따라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아이콘의, 모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공조유닛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닛은 상기 공조유닛에 대한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메뉴와, 상기 공조유닛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그래픽 기반의 모니터링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공조유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장치대한 기본데이터를 입력하는 설정메뉴와, 상기 공조유닛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메뉴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접속 권한에 따라 사용자, 관리자, 설치자로 구분하고,
    상기 운전메뉴와 상기 모니터링메뉴를 공동으로 출력하고,
    상기 상기 설정메뉴와 상기 관리메뉴는 상기 접속 권한에 따라 상이하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접속 권한이 상기 설치자인 경우 상기 설정메뉴와 상기 관리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접속 권한이 상기 관리자인 경우, 상기 관리메뉴를 출력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유닛은 상기 복수의 장치의 구성에 따라 상기 설정메뉴를 변경하여 출력하고, 상기 공조유닛에 설치되는 장치가 변경되는 경우, 새로운 설정메뉴와 관리메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0140056793A 2014-05-12 2014-05-12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1591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793A KR101591886B1 (ko) 2014-05-12 2014-05-12 공기조화기 시스템
EP15167284.7A EP2944888B1 (en) 2014-05-12 2015-05-12 Air conditioning system
US14/710,369 US9845966B2 (en) 2014-05-12 2015-05-12 Air conditioning system
CN201510239460.4A CN105091097B (zh) 2014-05-12 2015-05-12 空气调节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793A KR101591886B1 (ko) 2014-05-12 2014-05-12 공기조화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571A true KR20150129571A (ko) 2015-11-20
KR101591886B1 KR101591886B1 (ko) 2016-02-18

Family

ID=5317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793A KR101591886B1 (ko) 2014-05-12 2014-05-12 공기조화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45966B2 (ko)
EP (1) EP2944888B1 (ko)
KR (1) KR101591886B1 (ko)
CN (1) CN10509109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653A (ko) * 2016-01-29 201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2024A (ko) * 2016-05-23 2017-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795A (ko) * 2014-07-25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US10095205B2 (en) 2016-01-29 2018-10-09 Dell Products L.P. Fan characterization and control system
KR101676697B1 (ko) * 2016-05-16 2016-11-17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비접촉식 온도센서의 셋팅 방법
US20180004171A1 (en) * 2016-06-30 2018-01-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vac system using model predictive control with distributed low-level airside optimization and airside power consumption model
US11789415B2 (en) 2016-06-30 2023-10-17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HVAC system with multi-level model predictive control
US11067955B2 (en) 2016-06-30 2021-07-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VAC system using model predictive control with distributed low-level airside optimization
US20180031266A1 (en) * 2016-07-27 2018-02-0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Interactive outdoor display
WO2019052035A1 (zh) * 2017-09-18 2019-03-2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式空调的控制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956798B2 (ja) * 2017-11-06 2021-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端末、プログラム及び空調システム
CN111795485A (zh) * 2019-04-03 2020-10-20 群光电能科技股份有限公司 空调箱控制系统
CN111795486B (zh) 2019-04-03 2022-03-11 群光电能科技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的控制方法
JP7208519B2 (ja) * 2019-04-26 2023-01-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台数制御装置、台数制御方法、台数制御プログラム
FI20196006A1 (fi) * 2019-11-22 2021-05-23 Iisy Järjestelmä ja menetelmä rakennuksen terveyden arviointiin sisäilmaa mittaamalla
CN111478835B (zh) * 2020-03-30 2021-10-22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机组监控设备、监控方法、空调系统和存储介质
US11480358B2 (en) 2021-02-25 2022-10-25 Synapse Wireless, Inc. Machine learning systems for modeling and balancing the activity of air quality devices in industrial applications
CN215336790U (zh) * 2021-03-22 2021-12-28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用于调湿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139A (ko) * 2005-12-01 200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7228A (ko) * 2007-10-11 2009-04-15 권영현 에너지 절약형 전자동 공기조화기
KR20090043878A (ko) * 2007-10-30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91004A (ko) * 2009-02-09 2010-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설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1733A (en) * 1988-01-07 1989-06-27 Dussault David R Dri-Pc humidity and temperature controller
US5228306A (en) * 1992-04-20 1993-07-20 Norm Pacific Automation Corp.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exchange and pressure and detecting airtight conditions in air-conditioned room
DE19632059C2 (de) * 1996-08-09 1999-10-14 Mannesmann Vdo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Mischluftregelung einer Heiz-/Klimaanlage eines Kraftfahrzeuges
US5973662A (en) * 1997-04-07 1999-10-2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nalog spectrum display for environmental control
US6006142A (en) 1997-07-14 1999-12-21 Seem; John E.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219590B1 (en) * 1998-04-03 2001-04-1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 State machine controller for operating variable air volume terminal units of a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6282910B1 (en) * 2000-06-21 2001-09-04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Indoor blower variable speed drive for reduced airflow
CN1118668C (zh) * 2000-11-17 2003-08-20 海尔集团公司 空调远程监控系统
TWI263025B (en) * 2002-01-24 2006-10-01 Daikin Ind Ltd Freezing device
KR100613508B1 (ko) * 2004-03-22 2006-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9677777B2 (en) * 2005-05-06 2017-06-13 HVAC MFG, Inc. HVAC system and zone control unit
US7496472B2 (en) 2007-01-25 2009-02-2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performance of control systems
US20100082162A1 (en) * 2008-09-29 2010-04-01 Actron Air Pty Limite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
JP4980407B2 (ja) * 2009-10-21 2012-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冷凍装置の制御装置
US20110185302A1 (en) * 2009-12-22 2011-07-28 Kalapodas Dramos I Monitor for uvc/ir decontamination systems
US8364318B2 (en) * 2010-04-21 2013-01-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mand control ventilation with fan speed control
US8442694B2 (en) * 2010-07-23 2013-05-14 Lg Electronics Inc. Distribution of airflow in an HVAC system to optimize energy efficiency and temperature differentials
US9328936B2 (en) * 2012-01-10 2016-05-03 Enverid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ir quality and energy use in air-conditioning systems
US9477239B2 (en) * 2012-07-26 2016-10-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VAC controller with wireless network based occupancy detection and control
KR101972038B1 (ko) 2012-10-10 2019-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US9109981B2 (en) * 2013-03-15 2015-08-18 Aircuit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oor air contaminant monitoring
KR20150129572A (ko) * 2014-05-12 2015-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139A (ko) * 2005-12-01 200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37228A (ko) * 2007-10-11 2009-04-15 권영현 에너지 절약형 전자동 공기조화기
KR20090043878A (ko) * 2007-10-30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91004A (ko) * 2009-02-09 2010-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설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653A (ko) * 2016-01-29 201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32024A (ko) * 2016-05-23 2017-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4888B1 (en) 2019-12-18
KR101591886B1 (ko) 2016-02-18
EP2944888A2 (en) 2015-11-18
CN105091097A (zh) 2015-11-25
EP2944888A3 (en) 2016-01-20
US20150323208A1 (en) 2015-11-12
US9845966B2 (en) 2017-12-19
CN105091097B (zh)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86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EP2944887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60012795A (ko) 공기조화시스템
US106351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wireless sensors in an HVAC system
KR101788016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US7979163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a controller
US94425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wireless devices of an HVAC system
US20140041846A1 (en) Hvac system with multiple equipment interface modules
US11397016B2 (en) Communications between thermostat and rooftop unit of climate control system
KR101592998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5001125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7559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162337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15002225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9174110A (ja) 空調換気システム
KR101635558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16001019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4593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용 제어기
JP2005265340A (ja) プラント建屋内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