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568A -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568A
KR20170089568A KR1020160009936A KR20160009936A KR20170089568A KR 20170089568 A KR20170089568 A KR 20170089568A KR 1020160009936 A KR1020160009936 A KR 1020160009936A KR 20160009936 A KR20160009936 A KR 20160009936A KR 20170089568 A KR20170089568 A KR 20170089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flexible bus
stud bolt
base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1104B1 (ko
Inventor
신일곤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1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한 재질의 납작하고 긴 형태의 전기 자동차의 전력 공급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 내부의 설치경로 상의 장착면 상부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및 장착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Flexible Busbar Fixing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버스바를 자동차 차량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유연한 재질의 납작하고 긴 형태의 전기 자동차의 전력 공급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 내부의 설치경로 상의 장착면 상부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및 장착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방식 또는 순수 전기자동차 등의 형태의 전기자동차가 사용되고 있으며, 모터, 인버터 및 배터리 등이 구비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 전장공간에 모터, 인버터 및 배터리 등의 구성요소가 배치되고,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기자동차의 경우, 종래의 자동차의 엔진 및 관련 구성요소들과 더불어 모터, 인버터 및 배터리 등의 구성요소가 추가되는 구조이고, 순수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도 차량의 경량화 또는 소형화가 주요 관심사이므로 전기자동차의 전장공간은 구조가 복잡하고 협소하다.
전기자동차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므로,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케이블 등의 전기적 연결수단은 종래의 자동차에 사용되는 하네스 등을 구성하는 케이블에 비해 큰 통전 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에는 종래 자동차의 전장실에 사용되는 케이블보다 큰 직경을 갖는 케이블이 적용되어야 하지만 유연성이 부족하여, 협소한 전장공간 내부에 설치를 위하여 충분한 통전 능력 이외에 유연성까지 확보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플렉서블 버스바(Busbar)가 소개 또는 적용되고 있다.
플렉서블 버스바는 폭에 비해 두께가 작은 금속 스트립을 적층한 형태로 구성되어 굴곡 특성이 좋아 협소한 전장실 내부 공간에 설치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장실 내부에 모터, 인버터 및 배터리 등의 구성요소의 연결을 위하여 복잡한 설치 경로를 따라 설치 경로 상의 장착면 상부에 배치된다고 하여도 설치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버스바가 안정적으로 전장실 내에 고정되지 않으면, 차량의 유지 보수작업을 어렵게 하거나 작업상의 실수를 유발하게 할 수 있고,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하여 플렉서블 버스바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버스바의 손상이 발생되어 각종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연한 재질의 납작하고 긴 형태의 전기 자동차의 전력 공급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 내부의 설치경로 상의 장착면 상부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및 장착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납작하고 긴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된 상태로 피복된 전기자동차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자동차의 전장실 내에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 내의 설치면 상에 고정된 스터드 볼트가 삽입되어 장착되기 위한 스터드 볼트 고정부,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 및 내측에 적어도 1개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와 조립되어 내측에 적어도 1개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수용하는 캡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캡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버스바 수용부에 플렉서블 버스바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캡부재의 조립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캡부재 중 일측에 구비되는 후크부 및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부와 걸림고정을 위한 걸림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캡부재의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크암의 외주면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걸림암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는 복층으로 적층되어 수용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하판부와 상기 상판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는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는 마주보는 상기 측벽부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로 삽입되어 고정 장착된 스터드 볼트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 내부에 스터드 볼트의 나사산과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후크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캡부재의 내면에 상기 플렉서블 버스바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의하면, 유연한 재질의 납작하고 긴 형태의 전기 자동차의 전력 공급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 내부의 설치경로 상의 장착면 상부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및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의하면, 전력 공급용 플렉서블 버스바가 전기자동차 전장실 내에 설계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전기자동차의 유지 보수 과정에서 유지 보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전력유닛이 실수로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이 플렉서블 버스바에 전달되어도 전장실 내부의 설치면에 단단하게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각종 고장 또는 안전 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고정이 가능한 플렉서블 버스바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가 복수 개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에 고정하여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의 조립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의하여 플렉서블 버스바가 고정 및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가 플렉서블 버스바를 고정 장착한 상태에서 A-A'선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에 고정이 가능한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에 고정이 가능한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길이가 짧은 실시예와 길이가 긴 실시예 두 가지가 도시된다.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납작하고 긴 도체의 단부에 단자부(13)가 형성되며, 단자부를 제외한 영역은 튜브부재(20) 등에 의하여 절연을 위하여 피복된다. 상기 플렉서블 버스바(100) 각각의 단자부(13, 15)에는 연결대상 기기와 체결되기 위한 단자홀(13h, 15h)가 형성되어 체결볼트 등에 의하여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에 의하여 고정 장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폭에 비해 두께가 얇아 전장실 내부의 협소한 전장공간의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밴딩 또는 절곡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는 절곡 부위인 절곡부(c1, c2, c3)가 3개이며,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는 절곡부(c1 내지 c8)가 8개 존재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설치하는 차량 전장부 내에서 높은 자유도를 가지며 절곡되어 전기적으로 모터, 배터리 또는 인버터 등의 전장부품 또는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길이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게 구성하여 인접한 기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구성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양 기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절곡부(c)는 도체부 중 상기 튜브부재(20)에 의하여 피복된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가 복수 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에 고정하여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는 전장실 내부에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설치 경로의 설치면(ms)에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는 임의의 설치면(ms)에 스터드 볼트(sb)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고, 스터드 볼트(sb)에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를 장착한 후 사용한다. 스터드 볼트(sb)는 체결 대상물을 단순 체결하기 위한 용도의 볼트가 아닌 특정 설치면(ms)에 용접 또는 박음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어 다른 구성요소의 장착수단으로 사용되는 볼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배치 경로 상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스터드 볼트(sb) 등을 설치한 후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고정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2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를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의 하나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은 도 3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의 조립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는 납작하고 긴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된 상태로 피복된 전기자동차용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전기자동차의 전장실 내에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 내의 수평면 상에 고정된 스터드 볼트(sb)가 삽입되어 장착되기 위한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 및 내측에 적어도 1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수용하는 수용부(260)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230), 상기 베이스 부재(230)와 조립되어 내측에 적어도 1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수용하는 캡부재(220) 및 상기 베이스 부재(230) 및 상기 캡부재(220)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260)에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230) 및 상기 캡부재(220)의 조립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는 캡부재(220)와 베이스 부재(2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베이스 부재(230)가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베이스 부재(230)가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에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수용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플렉서블 버스바(100) 1열로 2개가 적층되어 수용되는 구조를 가지지만, 복열로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수용하거나 각각의 열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개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캡부재(220) 및 상기 베이스 부재(230)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260)에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캡부재(220) 및 상기 베이스 부재(230)의 조립 상태(닫힌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캡부재(220) 및 상기 베이스 부재(230) 중 일측에 구비되는 후크부(240h) 및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부(240h)와 걸림고정을 위한 걸림부(250c)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캡부재(220)에 후크부(240h)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230)에 걸림부(250c)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위치가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캡부재(220)에 구비되는 후크부(240h)는 상기 캡부재(220)의 측면 방향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크암(24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 역시 가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캡부재(220)의 후크암(240)에 각각 2개의 후크부(240h)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캡부재(220)와 베이스 부재(230) 사이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개수가 2개가 아닌 1개인 경우에도 후크부(240h) 중 상부에 있는 후크부(240h)가 베이스 부재(230)의 걸림암(250)에 형성된 걸림부(250c)와 걸림 고정되는 방법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는 적층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개수가 변경되어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후크암(240)은 캡부재(220)의 직사각형 상판부(221) 측면 양단에서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후크암(240)에 구비된 후크부(240h)는 각각의 후크암(240)의 외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암(240)이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230)의 대응 위치에 걸림암(250)이 형성되며, 각각의 걸림암(250)에 걸림부(250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250c)는 후크부(240h)가 걸림 고정될 수 있는 바 형태로 구성되나, 상기 걸림부(250c)는 상기 후크암(240)에 형성된 후크부(240h)가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는 스터드 볼트(sb) 등을 매개로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설치 경로 상의 임의의 설치면(ms)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는 스터드 볼트(sb)와 체결을 위한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를 구비한다.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는 상기 베이스 부재(23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를 안정적으로 스터드 볼트(sb)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는 수용부(260)를 사이에 두고 대칭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230)는 하판부(231)와 상기 상판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는 측벽부(233)를 구비하며,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는 마주보는 상기 측벽부(233)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는 베이스 부재(230)의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부(233) 외주면에 각각 1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베이스 부재(230)의 길이 등에 따라 하나의 측벽부(233)에 구비되는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의 개수는 가변될 수 있다. 즉, 베이스 부재(230)가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면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는 복수 개가 하나의 측벽부(233) 외주면에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는 상기 베이스 부재(230)의 측벽부(233)의 외주면 중 상기 걸림암(25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나, 베이스 부재(230)의 길이에 따라 걸림암(250) 또는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의 개수는 당연히 증감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로 삽입되어 고정 장착된 스터드 볼트(sb)가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 내부에 스터드 볼트(sb)의 나사산과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후크(210h)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210h)는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에 삽입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크는 스터드 볼트(sb)의 삽입 방향으로는 물리적 진입저항을 최소화하며, 분리되는 방향으로는 스터드 볼트(sb)의 나사산과 걸림 고정작용에 의하여 격벽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진 구조(도 9 참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지 재질로 사출 등의 성형방법으로 제조되는 캡부재(220) 또는 베이스 부재(23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230) 및 상기 캡부재(220)의 내면에 상기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지지리브(221r, 231r)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에 의하여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고정하여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 내부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sb)에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230)가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터드 볼트(sb)에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230)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의 수용부(260)에 2층의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를 구성하는 캡부재(220)가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수용한 상태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설치 경로 상의 설치면(ms) 상에 스터드 볼트(sb)를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230)의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의 대응되는 위치에 접합하여 장착한 후 베이스 부재(230)를 꽂아 장착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30)와 스터드 볼트(sb)의 체결 고정이 완료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30)의 수용부(260)에 고정 대상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안착시킨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220)를 베이스 부재(230)와 조립하여 전장실 내의 설치면(ms) 상에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고정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수용한 상태로 캡부재(220)를 조립하는 방법은 캡부재(220)의 각각의 후크암(240)을 베이스 부재(230)의 걸림암(250)에 삽입하여 후크암(240)의 후크부(240h)가 걸림암(250)의 걸림부(250c)에 걸림 고정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가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고정 장착한 상태에서 A-A'선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고정한 상태에서의 A-A'선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230)의 스터드 볼트 고정부(210) 내에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후크(210h)가 스터드 볼트(sb)의 나사산과 걸림 고정되어 베이스 부재(230)와 스터드 볼트(sb)의 분리를 차단하고, 단면도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캡부재(220)의 후크부(240h)와 베이스 부재(230)의 걸림부(250c)가 고정되어 내부 수용부(260)에 수용된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빈틈없이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베이스 부재(230) 사이의 수용부(260)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개수가 2개로 도시되나 1개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캡부재(220)의 후크암(240)에 구비된 후크부(240h)가 복수 개 구비되므로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개수와 무관하게 안정적 고정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플렉서블 버스바
200 :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sb : 스터드 볼트
210 : 스터드 볼트 고정부
220 : 캡부재
230 : 베이스 부재
260 : 수용부

Claims (9)

  1. 납작하고 긴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된 상태로 피복된 전기자동차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자동차의 전장실 내에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 내의 설치면 상에 고정된 스터드 볼트가 삽입되어 장착되기 위한 스터드 볼트 고정부;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 및 내측에 적어도 1개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와 조립되어 내측에 적어도 1개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수용하는 캡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캡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버스바 수용부에 플렉서블 버스바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캡부재의 조립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캡부재 중 일측에 구비되는 후크부 및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부와 걸림고정을 위한 걸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캡부재의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크암의 외주면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측면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걸림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는 복층으로 적층되어 수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대칭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하판부와 상기 상판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는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는 마주보는 상기 측벽부의 외주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로 삽입되어 고정 장착된 스터드 볼트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터드 볼트 고정부 내부에 스터드 볼트의 나사산과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후크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캡부재의 내면에 상기 플렉서블 버스바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KR1020160009936A 2016-01-27 2016-01-27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KR102471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936A KR102471104B1 (ko) 2016-01-27 2016-01-27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936A KR102471104B1 (ko) 2016-01-27 2016-01-27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568A true KR20170089568A (ko) 2017-08-04
KR102471104B1 KR102471104B1 (ko) 2022-11-24

Family

ID=5965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936A KR102471104B1 (ko) 2016-01-27 2016-01-27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1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6654B2 (en) * 2020-06-17 2022-10-18 Yazaki Corporation Single to multiple layer integral busbar structure
WO2024067212A1 (zh) * 2022-09-30 2024-04-04 法雷奥新能源汽车(常熟)有限公司 汇流排、电机控制器组件以及电驱动总成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529A (ja) * 1995-05-16 1996-1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
JP2005160273A (ja) * 2003-11-28 2005-06-16 Nissan Motor Co Ltd バスバー固定器
KR20080002334U (ko) * 2006-12-27 2008-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스터드형 밴드케이블
JP2011252597A (ja) * 2010-05-07 2011-12-15 Yazaki Corp ボルト固定部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529A (ja) * 1995-05-16 1996-1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成形プロテクタ
JP2005160273A (ja) * 2003-11-28 2005-06-16 Nissan Motor Co Ltd バスバー固定器
KR20080002334U (ko) * 2006-12-27 2008-07-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스터드형 밴드케이블
JP2011252597A (ja) * 2010-05-07 2011-12-15 Yazaki Corp ボルト固定部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6654B2 (en) * 2020-06-17 2022-10-18 Yazaki Corporation Single to multiple layer integral busbar structure
WO2024067212A1 (zh) * 2022-09-30 2024-04-04 法雷奥新能源汽车(常熟)有限公司 汇流排、电机控制器组件以及电驱动总成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104B1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9358B2 (ja) エネルギー蓄積器の締め付け装置
US10128722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terminal structure, and vehicle
EP2544262B1 (en) Battery connection assembly
CN110048066B (zh) 外部连接汇流条的连接构造及外部连接汇流条的连接方法
KR200380818Y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US7508164B2 (en) Battery pack having control devices of differing heights
JP2018050417A (ja) バスバーユニットおよびバスバーユニット製造方法
JP5420994B2 (ja) 電気接続箱
JP2012169171A (ja) 車両用バッテリの固定構造
KR20170089568A (ko)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KR102471105B1 (ko)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US20220173556A1 (en) Bus bar and wire harness
CN113243070B (zh) 夹持件及带夹持件的线束
US20160233609A1 (en) Connector
JP7042203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CN113366739B (zh) 连接器组件、驱动单元以及电连接方法
KR102526965B1 (ko) 전력유닛 고정장치
US20230072016A1 (en) Terminal connection unit
WO2021131861A1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KR20090006803U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KR20190106514A (ko) 자동차용 블럭
KR200408583Y1 (ko) 밴드케이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20220048277A (ko)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JP2009232552A (ja) バスバー固定構造及びバスバー固定部材
US20190356193A1 (en) Decoupling element for connecting power electronics to an electric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