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407A - 통신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제어 장치, 그들을 각각 제어하는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제어 장치, 그들을 각각 제어하는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407A
KR20170089407A KR1020170008391A KR20170008391A KR20170089407A KR 20170089407 A KR20170089407 A KR 20170089407A KR 1020170008391 A KR1020170008391 A KR 1020170008391A KR 20170008391 A KR20170008391 A KR 20170008391A KR 20170089407 A KR20170089407 A KR 20170089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nc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5530B1 (ko
Inventor
히데아키 오오바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9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71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 H04N1/32776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using an interactive, user-operated device, e.g. a computer terminal, mobile tele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7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41Virtual LANs, VLANs, e.g. virtual private networks [VP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73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from a remote device, e.g. receiving via the internet instructions input to a comput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66Checking th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6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heir network customers, e.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04L41/5074Handling of user complaints or trouble ti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단말기 디바이스와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화상 형성 장치가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통신 시스템. 단말기 디바이스는 VNC 클라이언트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에 VNC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화상 형성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고,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조작 화면을 VNC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정보 처리 장치에 VNC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VNC 통신을 실행하고, VNC 통신을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제어 장치, 그들을 각각 제어하는 방법, 및 저장 매체{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NT CONTROL APPARATUS, METHODS OF RESPECTIVELY CONTROLLING THEM,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제어 장치, 그들을 각각 제어하는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정보 처리 장치에 문제가 있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를 구입한 고객은 예를 들어 제조업체의 콜센터에 직접 전화를 걸어서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지를 발견하고,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으면 제조업체의 서비스 담당자가 고객을 방문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서비스 담당자가 고객을 방문하는 경우, 문제가 해결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방문 시간을 정하는 데 시간을 소비하고, 이동에 시간을 소비하며, 서비스 담당자가 필요한 장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작업 후에 다시 방문하는 데 시간을 소비한다. 이러한 이유로, 원격 유지 보수 시스템이 구상되었다. 이 시스템에서, 콜센터 내의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하기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의 조작 화면 등이 콜센터로부터 직접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 화상 형성 장치가 지원하는 서버 기능 중 하나인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VNC) 서버 기능을 사용하여 이러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VNC 서버를 사용함으로써, 콜센터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의 화면에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콜센터의 조작자 또는 서비스 담당자는 그가 화상 형성 장치의 정면에 있는 것처럼 콜센터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화면을 조작할 수 있다(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5-032224호 참조).
일부 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와 연계하여 화상 처리를 수행하는 인쇄 제어 장치(인쇄 서버)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다. 이러한 인쇄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케이블 또는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직접 접속되고, 인쇄 제어 장치는 근거리 네트워크(LAN)에 접속된다. 즉,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제어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VNC 서버 기능은 일반적으로 LAN 상의 단말기 디바이스로부터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이 인쇄 제어 장치에서 구현된다. 이 기능에 의해, LAN 상의 단말기 디바이스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의 VNC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인쇄 제어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로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LAN 상의 단말기 디바이스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의 VNC 서버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 제어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시스템의 경우, 콜센터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의 원격 유지 보수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콜센터로부터 원격 유지 보수 액세스(VNC 서버의 액세스)를 수신하면, 인쇄 제어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VNC 서버로 액세스를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콜센터의 서비스 담당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화면을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 담당자는 인쇄 제어 장치의 화면을 조작할 수 없다. 인쇄 제어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면, 사용자는 인쇄 제어 장치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에 다양한 조작을 입력한다. 따라서, 콜센터의 서비스 담당자가 인쇄 제어 장치의 조작 화면을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가 화상 형성 장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종래 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예로서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원격 유지 보수를 행할 때, 단말기 디바이스의 조작자가 정보 처리 장치의 조작 화면을 체크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와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VNC 클라이언트로서 VNC 접속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조작 화면을 상기 VNC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중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VNC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VNC 통신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실행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와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VNC 클라이언트로서, VNC 접속 요청이 송신될 송신 목적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유닛; 및 선택되는 상기 송신 목적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고,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조작 화면을 상기 VNC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중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VNC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VNC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VNC 서버; 상기 VNC 서버와 서버 간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지시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지시 유닛; 및 상기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와의 접속이 확립된 상황에서 상기 VNC 서버로부터 VNC 클라이언트로부터의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VNC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와 화상 형성 장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인쇄 제어 장치로서, VNC 서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VNC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면, VNC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VNC 서버를 활성화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가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 디바이스로서, VNC 접속 요청의 송신 목적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유닛;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송신 목적지로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VNC 클라이언트로서 VNC 통신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및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송신 목적지에 표시되는 조작 화면의 정보를 상기 VNC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와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VNC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VNC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조작 화면을 상기 VNC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VNC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VNC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VNC 통신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르면, VNC 서버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VNC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지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와의 접속이 확립된 상황에서 상기 VNC 서버로부터 VNC 클라이언트로부터의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VNC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와 화상 형성 장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고, VNC 서버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VNC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면, VNC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VNC 서버를 활성화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 및 서버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조작 패널 상의 버튼을 사용하여 접속 지시 모듈을 실현하는 경우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접속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단말기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와 인쇄 제어 장치의 VNC 서버 모듈이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계 S1104가 수행될 때 단말기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이 VNC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할 때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와 인쇄 제어 장치의 VNC 서버 모듈이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이 단계 S1509에서 제출된 접속 요청을 수신할 때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이 단계 S1108 또는 단계 S1508에서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할 때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 상에 표시되고, VNC 서버가 접속할 접속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와 화상 형성 장치의 VNC 서버 모듈이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 수행되는 처리 및 인쇄 제어 장치의 VNC 서버 모듈이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 제어 장치에 접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 상에 표시되고 연동 설정에 사용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가 서버 컴퓨터의 서버 커넥터 모듈에 접속할 때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는 도 21의 단계 S2110이 완료된 후에 단말기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서비스 담당자가 인쇄 제어 장치가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하고 접속 버튼을 누를 때 표시되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의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와 화상 형성 장치의 VNC 서버 모듈이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 수행되는 처리 및 단말기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와 인쇄 제어 장치의 VNC 서버 모듈이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단계 S2710이 완료된 후에 제6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서비스 담당자가 화상 형성 장치 또는 인쇄 제어 장치를 선택하고, 도 28에 도시된 화면 상의 접속 버튼을 누를 때 제6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 상에 표시되고 연동 설정에 사용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이 서버 컴퓨터의 웹 서버 모듈에 접속할 때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2는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원격 유지 보수 접속 통지를 수신할 때 인쇄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관련하여 다음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되는 양태의 모든 조합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1, 102), 인쇄 제어 장치(105) 및 정보 처리 장치(106)가 사용자 환경(110)에 위치하고, 각각 네트워크(104)를 통해 인터넷(14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1, 102) 각각은 스캐닝 기능, 인쇄 기능, 박스 기능 등을 갖는 다기능 주변 기기이며, 그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정보 처리 장치(106)는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 또는 이동 단말기이다. 이 예에서, 인쇄 제어 장치(105)는 화상 형성 장치(101)에 접속되고, 인쇄 제어 장치(105)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을 구현한다. 이 구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1)는 인쇄 제어 장치(105)를 통해 인터넷(14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인쇄 제어 장치(105)는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 인터넷(140)으로의 송신을 중계하고, 인터넷(140)으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인쇄 제어 장치(105)는 그 응답을 화상 형성 장치(101)에 중계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6)가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예로서, 웹 서비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6)는 데이터를 인쇄 제어 장치(105)로 송신한다. 인쇄 제어 장치(105)는 이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를 중계하여 화상 형성 장치(101)에 송신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응답 데이터를 송신하면, 인쇄 제어 장치(105)는 응답 데이터를 정보 처리 장치(106)로 중계한다. 결과적으로, 인쇄 제어 장치(105)를 통해 네트워크(104)에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101)는 네트워크(104)를 통해 인터넷(140)에 접속할 수도 있고, 사용자 환경(110) 내의 정보 처리 장치(106)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1)의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의 사용자 환경(110)이 있을 수 있고, 더 많은 수의 화상 형성 장치 및 더 많은 수의 인쇄 제어 장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방화벽(103)이 사용자 환경(110)과 인터넷(140) 사이에 제공된다. 방화벽(103)은 사용자 환경(110) 내에 위치한 단말기가 인터넷(140)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인터넷(140)으로부터 사용자 환경(110) 내에 위치한 단말기로의 접속을 금지한다.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예를 들면 콜센터에 위치하는 스마트폰, 이동 전화, 태블릿, 또는 랩탑 또는 데스크탑 PC이며, 인터넷(14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서버 컴퓨터 그룹(130)은 인터넷(140)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서버 그룹이며, 하나 이상의 서버 컴퓨터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서버 컴퓨터, 즉 서버 컴퓨터(131)만을 도시한다. 이 구성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120)와 화상 형성 장치(101 또는 102)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고,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1, 102)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CPU(201)는 ROM(203) 또는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시스템 버스(204)에 접속된 유닛의 동작 및 액세스를 제어한다. CPU(201)는 또한 화상 신호를 인쇄 인터페이스(207)를 통해 접속된 인쇄 유닛(프린터 엔진)(210)으로 출력하고, 판독 인터페이스(212)를 통해 접속된 판독 유닛(스캐너)(213)으로부터 화상 신호를 입력한다. 또한, CPU(201)는 LAN 컨트롤러(206)를 통해 네트워크(104) 상의 단말기 또는 다른 화상 형성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RAM(202)은 주로 CPU(201)의 주 메모리, 작업 영역 등을 제공한다. 하드 디스크(HDD) 또는 IC 카드와 같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는 디스크 컨트롤러(DKC)(208)에 의해 제어된다. DKC(208)는 시스템 버스(20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에 저장하고,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스템 버스(204)로 출력하기 위해 제어를 수행한다.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폰트 데이터, 폼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또한 일시적으로 인쇄 작업을 스풀링하고 스풀링된 작업을 외부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작업 저장 영역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는 스캐너(213)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 및 인쇄 작업의 화상 데이터를 박스 데이터로서 보유하고, 이렇게 보유된 데이터는 네트워크(104)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 등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HDD가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로서 사용되고, 작업 로그 및 화상 로그와 같은 다양한 로그를 저장한다고 가정한다. 조작 패널(205)은 터치 패널 및 하드 키를 가지며, 사용자는 조작 패널(205)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확인하고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209)는 조작 패널(205)을 사용하여 또는 네트워크(104)를 통해 단말기 등을 사용하여 설정된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비디오 인터페이스(214)는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되고, 인쇄 제어 장치(105)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화상 형성 장치(102)의 구성은 화상 형성 장치(102)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갖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구성과 동일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105)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CPU(301)는 ROM(303) 또는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시스템 버스(304)에 접속된 유닛의 동작 및 액세스를 제어한다. CPU(301)는 LAN 컨트롤러(306)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1)와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CPU(301)는 LAN 컨트롤러(307)를 통해 네트워크(104) 내에서 정보 처리 장치(106) 및 화상 형성 장치(102)와 통신하고 인터넷(140)에 액세스하기 위한 통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RAM(302)은 주로 CPU(301)의 주 메모리, 작업 영역 등으로서 기능한다. 하드 디스크(HDD) 또는 IC 카드와 같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대한 액세스는 디스크 컨트롤러(DKC)(308)에 의해 제어된다.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폰트 데이터, 폼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인쇄 작업을 일시적으로 스풀링한다. CPU(301)는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스풀링되어 있는 작업에 래스터 화상 프로세서(RIP) 처리를 적용하고, 래스터화된 화상 데이터를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한다. 사용자는 콘솔 유닛(305)의 소프트 키 또는 하드웨어 키를 사용하여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비디오 인터페이스(310)는 화상 형성 장치(101)에 접속되어, RIP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101)에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120) 및 서버 컴퓨터(131)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CPU(401)는 시스템 버스(404)에 접속된 각종 디바이스를 제어한다. ROM(402)은 BIOS 및 부트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403)은 CPU(401)의 주 저장 디바이스로서 사용된다. 키보드 컨트롤러(KBC)(405)는 포인팅 디바이스(PD)(409) 및 키보드(KB)(410)로부터의 정보 등의 입력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06)은 내부에 비디오 메모리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406)은 CPU(40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비디오 메모리 상에 화상을 렌더링하고, 비디오 메모리 상에 렌더링된 화상 데이터를 비디오 신호로서 디스플레이 유닛(411)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디스크 컨트롤러(DKC)(407)는 하드 디스크(HDD)(412) 및 플로피(TM) 디스크(FD)(413)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408)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HDD(412)는 OS, OS 상에서 실행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디바이스가 턴온되면, CPU(401)는 ROM(402)에 저장된 부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HDD(412)로부터 OS 및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RAM(403)에 배치한다. 이어서, CPU(401)는 이렇게 RAM(403)에 배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결과적으로 디바이스가 기능하게 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블록도에 도시된 처리 모듈의 프로그램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에 저장되고, 그 기능은 CPU(201)가 프로그램을 RAM(202)에 배치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접속 지시 모듈(502)로부터 지시를 받으면, 후술하는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도 7)과 접속을 확립하고, 이어서 서버 커넥터 모듈(701)과 VNC 서버 모듈(503) 간의 통신을 조정한다. 접속 지시 모듈(502)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이 조작 패널(205)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때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에 접속 지시를 송신한다. VNC 서버 모듈(503)은 VNC 서버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VNC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VNC 접속을 확립하면, VNC 서버 모듈(503)은 접속 목적지인 VNC 클라이언트에 조작 패널(205)에 표시된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원격 프레임 버퍼(RFB)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환경 내의 정보 처리 장치(106)의 사용자는 정보 처리 장치(106)를 사용하여 VNC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활성화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액세스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01)를 원격 유지 보수하는 경우, 서비스 담당자는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 VNC 접속 요청을 서버 컴퓨터(131)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1)에 제출한다. 이 VNC 접속 요청은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에 의해 중계되어 VNC 서버 모듈(503)에 전달되어 VNC 접속이 확립된다. 따라서, 서비스 담당자는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1)를 조작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1)에 대한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VNC 서버 모듈(503)은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을 통해 VNC 접속되고, 따라서 VNC 서버 모듈(503)로부터 보여지는 접속 소스의 IP 어드레스는 로컬 루프백 어드레스이다.
제1 실시예에서, VNC 서버 모듈(503)은 단지 하나의 접속 목적지와 통신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즉, 소정의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VNC 통신 중에,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VNC 접속을 행하면, 이미 확립된 VNC 통신을 절단하고, 새롭게 접속된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VNC 접속을 행한다. 결과적으로, 복수의 사람이 동시에 조작 화면을 원격 조작할 가능성이 제거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한 사용자가 VNC 접속을 절단하지 않고 자신의 책상을 떠나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작 화면을 조작하지 않아도 접속이 유지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원격 유지 보수 시스템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로의 접속에 VNC 접속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VNC 접속을 독점적으로 점유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사용자 환경 내의 정보 처리 장치(106)가 유지 보수 작업 중에 VNC 접속을 확립하면, 일반 사용자가 서비스 담당자에 의해서만 행해지도록 허가된 조작을 행하거나, 예를 들어 일반 사용자가 보지 않아야 하는 화면을 볼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는, 원격 유지 보수 시스템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로의 VNC 접속이 확립될 때,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의 접속만이 허용되도록 조작이 수행된다. VNC 서버 모듈(503)이 행하는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접속 목적지에 대해서만 통신이 행해지고, 나중에 행해지는 접속 확립 시도에 우선권이 주어진다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이 주어진다. 그러나 접속은 다른 방식으로 확립될 수 있다. 접속 목적지 결정 모듈(504)은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VNC 접속의 목적지를 결정한다. 접속 목적지 결정 모듈(504)은 접속 목적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VNC 서버 모듈(503)이라고 결정하면,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에 접속 지시를 출력한다. 또한, 접속 목적지가 후술하는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001)(도 10)인 것으로 결정하면, 접속 목적지 결정 모듈(504)은 결정 결과를 나타내는 지시를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에 출력한다.
도 6은 조작 패널(205) 상의 버튼을 사용하여 접속 지시 모듈(502)을 실현하는 경우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서비스 버튼(601)은 조작 패널(205)의 조작 화면 상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서비스 버튼(601)을 누를 때 접속 지시가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에 송신된다. 이 서비스 버튼(60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의 원격 유지 보수를 위한 요청을 제출하는 데 사용하는 버튼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 컴퓨터(131)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블록도에 도시된 모듈의 프로그램은 HDD(412)에 저장되고, 그 기능은 CPU(401)가 프로그램을 RAM(403)에 배치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도 9)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 또는 웹 브라우저(901)와의 통신을 조정한다. 웹 서버 모듈(702)은 웹 서버 기능을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에 제공하고, 웹 브라우저(901)와의 접속이 처음으로 확립될 때 표시될 초기 화면을 생성한다. 또한, 웹 서버 모듈(702)은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의해 수행되는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 또는 웹 브라우저(901)와의 HTTP 통신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703)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서비스를 담당하는 서비스 담당자에 관한 정보에 같은 정적 정보 및 현재 접속 상태와 같은 동적 정보를 저장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통신 프로토콜로서 HTTP가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HTTPS와 같은 다른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8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 컴퓨터(131)의 데이터베이스(703)에 저장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정보 및 접속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정적 정보의 데이터 예를 도시한다. 이 데이터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조 및 판매하는 회사와 고객 간에 지원을 시작하거나 종료하기 위한 계약이 체결되면 갱신된다. 일련번호(801)는 화상 형성 장치를 고유하게 특정하는 번호이다. 모델명(802)은 화상 형성 장치의 모델명이다. 고객명(803)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지원을 제공받을 고객의 이름이고, 하나의 고객은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소유할 수 있다. 서비스 담당자명(804)은 화상 형성 장치의 지원을 담당하는 주 담당자인 서비스 담당자의 이름이며, 하나의 서비스 담당자가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담당할 수 있다.
도 8b는 화상 형성 장치와의 접속 상태에 관한 동적 정보의 데이터 예를 나타낸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적 정보의 데이터는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이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에 접속되거나 접속 해제될 때 갱신된다. 서버 커넥터 모듈(701)이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일련번호(811), 모델명(812) 및 고객명(813)에 관한 정보가 지정되고, 도 8a에 도시된 데이터로부터 복사된다. 디바이스 접속 일시(814)는 화상 형성 장치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이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는 일시이다. 서비스 접속 일시(815)는 웹 브라우저(901)가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는 일시이다. 즉, 서비스 접속 일시(815)는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조작하는 서비스 담당자가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한 날짜를 나타낸다. 응답 서비스 담당자명(816)은 웹 브라우저(901)와 서버 커넥터 모듈(701) 사이에 접속이 확립된 경우에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조작하는 서비스 담당자의 이름을 저장한다. 접속 ID(817)는 화상 형성 장치(101) 또는 인쇄 제어 장치(105)가 접속될 때 할당되고, 접속이 확립된 타이밍에 저장되는 식별 데이터이다. 콜센터의 서비스 담당자는 접속 ID를 기반으로 원격으로 접속이 확립될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일련번호 "SN0004"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 제어 장치(105)를 통해 네트워크(104)에 접속되므로, 그의 모델명으로서 "MFP3+DFE"가 표시된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블록도에 도시된 모듈의 프로그램은 HDD(412)에 저장되고, CPU(401)가 RAM(403)에 프로그램을 배치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그의 기능이 달성된다.
웹 브라우저(901)는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며, 디스플레이 모듈(902), 입력 모듈(903) 및 통신 모듈(904)을 포함한다. 입력 모듈(903)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으면, 통신 모듈(904)은 입력을 웹 서버에 HTTP 요청으로서 송신한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모듈(902)은 응답을 해석하여 표시한다. 제1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키보드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 정보로서 웹 서버에 송신된다.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은 VNC 서버와 통신하는 기능인 클라이언트 기능을 갖는다.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은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이 웹 브라우저(901)를 통해 통신 모듈(904)로부터 HTTP 통신으로서 VN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시예로서, 단말기 디바이스(120) 및 인쇄 제어 장치(105)가 VNC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이 처리의 흐름에서, 우선 단말기 디바이스(120) 및 화상 형성 장치(101)는 각각 서버 컴퓨터(131)와 HTTP 통신을 확립한다. 다음에, 이 HTTP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VNC 프로토콜에 따라 서버 컴퓨터(131)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1)에 접속한다. 최종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1)는 VNC 통신을 인쇄 제어 장치(105)에 송신한다. 단말기 디바이스(120)와 화상 형성 장치(101) 사이의 통신은 HTTP 프로토콜을 통한 VNC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이고, 화상 형성 장치(101)와 인쇄 제어 장치(105) 간의 통신은 VNC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이다. 이하에서는 이 처리의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105)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블록도에 도시된 모듈의 프로그램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되고, 그 기능은 CPU(301)가 프로그램을 RAM(302)에 배치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VNC 서버 모듈(1001)은 VNC 서버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VNC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접속을 확립하면, VNC 서버 모듈(1001)은 접속 목적지인 VNC 클라이언트로 콘솔 유닛(305) 상에 표시된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RFB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환경 내의 정보 처리 장치(106)의 사용자는 정보 처리 장치(106)를 사용하여 VNC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활성화하고 인쇄 제어 장치(105)에 액세스함으로써 인쇄 제어 장치(105)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VNC 클라이언트 모듈(1002)은 VNC 서버와 통신하는 기능인 클라이언트 기능을 갖는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와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001)이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CPU(201)가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02)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인쇄 제어 장치(105)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CPU(301)가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302)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서버 컴퓨터(131) 및 단말기 디바이스(12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CPU(401)가 HDD(4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403)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우선, 단계 S1101에서,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101)의 조작 패널(205) 상의 서비스 버튼(601)을 누를 때, 접속 지시 모듈(502)은 접속 지시를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에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1102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서버 컴퓨터(131)의 웹 서버 모듈(702)에 접속하여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명 등의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인쇄 제어 장치(105)는 NAT 기능을 이용하여 접속 요청을 중계한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01)와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가 서로 통신할 때, 인쇄 제어 장치(105)의 NAT 기능은 통신을 중계한다. 이때, 서버 컴퓨터(131)의 웹 서버 모듈(702)은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의 접속을 검출하면 접속 ID를 발행함과 동시에 디바이스명과 같은 수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3)에 등록한다. 다음으로, 단계 S1103에서, 웹 서버 모듈(702)은 이 접속 및 접속 ID를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통지한다. 따라서,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접속 ID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의 접속을 관리한다. 여기서, 원격 유지 보수는 이 접속 ID를 사용하여 접속된 VNC 클라이언트 간에 화면을 공유하기 위해 VNC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각 접속 ID에 대해 접속된 세션을 관리한다. 따라서, 각 접속 ID에 대해 원격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2개의 디바이스, 즉 화상 형성 장치(101)와 단말기 디바이스(120)가 접속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3개 이상의 디바이스가 동시에 접속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웹 서버 모듈(702)이 접속 ID를 발행하는 대신에,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승인시 접속 ID를 발행할 수 있고, 웹 서버 모듈(702)은 접속 ID를 수신하고, 접속 ID를 데이터베이스(703)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접속 ID를 데이터베이스(703)에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의 접속에 응답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120)가 웹 브라우저(901)를 사용하여 서버 컴퓨터(131)를 통해 접속을 확립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단계 S1104에서,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는 서버 컴퓨터(131)의 웹 서버 모듈(702)에 접속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S1104 단계가 수행될 때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웹 서버 모듈(702)은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가 서버 컴퓨터(131)의 웹 서버 모듈(702)에 접속되면 데이터베이스(703)에 등록된 정보를 획득한다. 이렇게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웹 서버 모듈(702)은 웹 브라우저(901)가 표시할 페이지를 생성하여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901)로 송신한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의 일련번호 및 고객 회사의 이름이 데이터베이스(703)에 등록되고, 디바이스명(1201)은 회사명에 의해 그룹화된 화상 형성 장치의 모델명(812)을 나타낸다. "MFP"는 다기능 주변 기기를 상징하며,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다.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조작하고 있는 서비스 담당자는 서비스 담당자가 접속하고 싶은 디바이스의 명칭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1202)를 선택하고, 이 화면 상의 접속 버튼(1203)을 누른다. 결과적으로, VNC 서버에 접속 요청이 송신된다. 참조 번호 1204는 MFP에 각각 대응하는 접속 ID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가 웹 서버 모듈(702)에 접속하고, 각 화상 형성 장치가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여,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의 접속을 기다린다. 접속 ID에 기초하여, 서비스 담당자는 원격 유지 보수 대상이 되는 모델을 지정하고, 타겟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한다. 서비스 담당자가 체크 박스(1202)에서 원하는 MFP를 선택하고 접속 버튼(1203)을 누르면, 웹 브라우저(901)는 이 화면에서 선택된 모델에 대응하는 접속 ID를 웹 서버 모듈(702)에 송신한다. 도 12에서, 서비스 담당자 "serv1"은 이미 회사 A의 MFP1에 접속되어 있으며, 동일한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회사 A의 MFP1의 체크 박스(1202)는 흐려진다는 점에 유의한다. 서비스 담당자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1)의 체크 박스(1202)(MFP3+DFE)를 체크하고, 접속 버튼(1203)을 누르면, 웹 브라우저(901)는 접속 ID가 "9012"인 화상 형성 장치(101)에 대한 접속 요청을 웹 서버 모듈(702)에 송신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1)는 인쇄 제어 장치(105)를 통해 네트워크(104)에 접속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MFP3+DFE"가 그 모델명으로 도시된다.
도 11을 다시 참조한다.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웹 서버 모듈(702)은 단계 S1105에서 접속 ID에 기초하여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 요청을 제출한다. 결과적으로, 단계 S1108에서, 서버 커넥터 모듈(701)과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접속을 확립한다. 즉,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서버로서의 역할을 하고, 복수의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을 확립하며, 하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다른 클라이언트에 중계한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이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되기를 기다린다.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HTTP에 따른 POST 방법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로 송신한다. 이 경우,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단말기 디바이스(120)에 의해 이미 송신된 HTTP에 따른 GET 방법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을 통해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로부터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로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단계 S1105에서 서버 커넥터 모듈(701)과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이 접속을 확립하면,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은 단계 S1106에서 VNC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이때,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은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901)의 화면으로부터 VNC 접속 요청을 제출하기 위한 조작을 수행하는 서비스 담당자에 의해 활성화되고,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은 VNC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서비스 담당자가 웹 브라우저(901)의 화면으로부터 VNC 접속 조작을 행할 때,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은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과 함께 활성화된다. VNC 서버로의 접속 요청이 제출된 것을 검출하면,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은 단계 S1106에서 이 접속 요청을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로 송신한다. 여기서,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이 요청을 송신하는 프로토콜은 VNC 프로토콜이다. 이 요청을 수신하면, 단계 S1107에서,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은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이 접속 요청은 HTTP 프로토콜을 따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VN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적절한 경우에 접속 요청을 변경하며, 변경된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따라서,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단계 S1108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따라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수신된 HTTP 데이터 내에 VNC 접속 요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VNC 접속 요청이 존재하면,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후술하는 VNC 접속 처리를 행한다.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이 VNC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할 때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에 저장되고, 처리는 CPU(201)가 RAM(202)에 프로그램을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CPU(201)가 도 5에 도시된 모듈의 기능을 실현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모듈에 의해 처리가 행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우선, 단계 S1300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도 11에 도시된 단계 S1108에서 서버 컴퓨터(131)로부터 송신된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 S1301로 진행한다. 단계 S1301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원격 유지 보수 작업, 즉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의 유지 보수 작업이 시작되었음을 VNC 서버 모듈(503)에 통지한다. 통지되면, VNC 서버 모듈(503)은 VNC 접속이 허용되는 접속 소스를 제한하기 위한 모드에 들어간다. 구체적으로는, VNC 서버 모듈(503)은 IP 어드레스가 루프백 어드레스인 접속 소스만의 접속을 허가하는 모드에 들어간다. 그 후, 처리는 단계 S1302로 진행하고,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이 시점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도록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도록 설정되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 S1303으로 진행하고,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로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처리는 단계 S1304로 진행한다. 단계 S1304에서, VNC 서버 모듈(503)은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와의 VNC 통신을 실행한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은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을 통해 VNC 접속을 확립하고, 따라서 접속 소스의 IP 어드레스는 루프백 어드레스이다. 따라서, 단계 S1301에서 VNC 서버 모듈(503)이 IP 어드레스가 루프백 어드레스인 접속 소스로부터의 접속만을 수락하는 모드에 있더라도, VNC 서버 모듈(503)은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사용자 환경 내의 정보 처리 장치(106)로부터 VNC 접속 요청이 행해지면, 접속 소스의 IP 어드레스가 정보 처리 장치(106)의 IP 어드레스이기 때문에 접속 요청은 수락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조작하는 서비스 담당자가 원격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동안,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VNC 접속을 확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302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도록 설정되었다고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1305로 진행한다. 단계 S1305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인쇄 제어 장치(105)의 접속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고, 처리는 단계 S13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06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인쇄 제어 장치(105)의 IP 어드레스를 VNC 서버 모듈(503)에 통지한다. 통지되면, VNC 서버 모듈(503)은 로컬 루프백 어드레스로부터의 VNC 접속 요청에 더하여 인쇄 제어 장치(105)의 IP 어드레스로부터의 VNC 접속을 수락하도록 설정되고, 처리는 단계 S1307로 진행한다. 단계 S1307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인쇄 제어 장치(105)가 적절하게 활성화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인쇄 제어 장치(105)가 적절히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결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1303으로 진행하여 전술한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단계 S1307에서 인쇄 제어 장치(105)가 적절하게 활성화되었다고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1308로 진행한다. 인쇄 제어 장치(105)가 적절하게 활성화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단계 S1307에서의 결정은 네트워크 통신이 이용 가능하고 RIP 처리 및 인쇄 작업 송신 처리가 이미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행해진다는 점에 유의한다.
단계 S1308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001)에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처리는 단계 S1309로 진행한다. 이것은 도 11에 도시된 단계 S1109에서 행해지는 처리이다. 단계 S1309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001)과의 접속이 성공적으로 확립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접속이 성공적으로 확립되지 않으면, 재시도 처리가 여러 번 수행된다. 그럼에도, 접속이 확립될 수 없는 경우, 처리는 단계 S1303으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1309에서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001)과의 접속이 성공적으로 확립된 것으로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1310으로 진행하여, VNC 서버 모듈(503)은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001)과의 VNC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와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001) 사이의 접속이 확립된 후, 웹 브라우저(901)와 인쇄 제어 장치(105) 사이에서 VNC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VNC 서버 모듈(1001)은 VNC 클라이언트 모듈(1002)을 활성화하고, VNC 통신의 개시에 의해 트리거될 때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에 접속 요청을 제출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 경우, 단계 S1306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이 인쇄 제어 장치(105)의 IP 어드레스로부터의 VNC 접속을 수락하도록 설정되었기 때문에, VNC 서버 모듈(503)은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클라이언트 모듈(1002)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락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원격 유지 보수가 개시되었다는 것을 통지한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은 VNC 접속 요청을 행한 접속 소스의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이후의 VNC 접속을 허가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나, 결정은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NC 서버 모듈(503)은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패스워드를 요청할 수 있고, 유지 보수를 위한 특별한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VNC 접속을 허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콜센터의 단말기 디바이스로부터 인쇄 제어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와의 VNC 접속이 요청되면, VNC 접속 요청이 인쇄 제어 장치에 송신된다. 결과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와 인쇄 제어 장치 사이에 VNC 접속이 확립된다. 인쇄 제어 장치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콜센터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와 화상 형성 장치 사이에 직접 VNC 접속이 확립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VNC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 디바이스(120) 및 인쇄 제어 장치(105)가 VNC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인쇄 제어 장치(105) 및 화상 형성 장치(101)가 또한 VNC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결과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인쇄 제어 장치(105)의 원격 유지 보수를 위한 조작 화면을 표시 및 조작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또한 전술한 조작 화면 상에 화상 형성 장치(101)의 원격 유지 보수를 위한 조작 화면을 표시 및 조작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 단말기 디바이스(120), 인쇄 제어 장치(105) 및 서버 컴퓨터(131)의 하드웨어 구성 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들의 설명이 생략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105)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블록도에 도시된 모듈의 프로그램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되고, 그 기능은 CPU(301)가 프로그램을 RAM(302)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로부터 VNC 접속 지시를 수신하면,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과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402) 간의 통신을 조정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과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 간의 접속을 조정한다. VNC 서버 모듈(1402)은 VNC 서버 기능을 제공한다. VNC 서버 모듈(1402)은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을 통해 새로운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VNC 접속 요청을 수락하고, VNC 프로토콜에 따라 화면 정보를 송신한다.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에 접속되면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을 활성화한다.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은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과 통신한다.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와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403)이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CPU(201)가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02)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인쇄 제어 장치(105)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CPU(301)가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302)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서버 컴퓨터(131) 및 단말기 디바이스(12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CPU(401)가 HDD(4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403)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단계 S1501 내지 단계 S1508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도 11의 단계 S1101 내지 단계 S1108과 동일하며, 따라서 그들의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이 VNC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요청을 수신할 때 수행되는 처리와 관련하여, 접속 요청은 도 13에 도시된 단계 S1308에서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001)에 제출된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 접속 요청은 단지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에 제출된다. 따라서, 이 처리의 설명도 생략된다.
단계 S1509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에 접속 요청을 제출한다.
도 1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이 단계 S1509에서 제출된 접속 요청을 수신할 때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되고, 이 처리는 CPU(301)가 RAM(302)에 프로그램을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모듈에 의해 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1601에서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처리는 단계 S1602로 진행한다. 단계 S1602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402)이 이미 활성화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VNC 서버 모듈(1402)이 이미 활성화되었다고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1603으로 진행되고, VNC 서버 모듈(1402)이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1604로 진행한다. 단계 S1604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서버 모듈(1402)의 설정을 결정한다. 설정 값에 관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시 생략)로서 설정을 입력하도록 사용자에게 촉구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설정을 온 및 오프로 전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설정 모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이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설정을 온으로 전환하고, VNC 접속 요청이 완료되면 설정을 오프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설정이 오프인 것으로 결정된 후에 자동으로 설정 값을 온으로 전환하고, 처리는 단계 S1603으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1604에서, VNC 서버 모듈(1402)의 설정이 온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1605로 진행한다. 이 경우, 단계 S1605에서, 어떤 에러로 인해 VNC 서버 모듈(1402)이 활성화될 수 없다는 사실이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에 통지되고 처리가 완료된다.
한편, 단계 S1604에서 VNC 서버 모듈(1402)의 설정이 오프로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1606으로 진행하고,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사용자에게 설정을 변경할지의 여부를 묻는다. 단계 S1606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팝업 화면(도시되지 않음)을 표시하고, VNC 서버 모듈(1402)의 설정을 온으로 전환할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다. 단계 S1606에서, 사용자가 설정이 온으로 전환될 것을 확인하면, 처리는 단계 S1607로 진행하고,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사용자가 화면에서 설정한 설정 값을 결정한다. 여기서, VNC 서버 모듈(1402)의 설정이 여전히 오프인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1605로 진행되어,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VNC 서버 모듈(1402)이 사용자의 의도로 인해 활성화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에러를 송신하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607에서, VNC 서버 모듈(1402)의 설정이 온으로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VNC 서버 모듈(1402)을 활성화하고, 처리는 단계 S16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03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VNC 서버 모듈(1402)에 접속 요청을 제출한다(도 15의 단계 S1510).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와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402) 간의 접속이 확립되고, 그 후에 그들 사이에 VNC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 처리는 단계 S1608로 진행하고,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즉,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이 이미 인쇄 제어 장치(105)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이 이미 설치되어 있다고 결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160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16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10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을 설치하고, 처리는 단계 S1609로 진행한다. 여기서,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의 소프트웨어는 인쇄 제어 장치(105)의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미리 저장되거나 서버 컴퓨터(131)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609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접속 목적지인 화상 형성 장치(10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접속 목적지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처리는 단계 S1611로 진행한다. 이 네트워크 어드레스는 인쇄 제어 장치(105)의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되거나, 도 15에 도시된 단계 S1509에서 제출된 접속 요청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단계 S1609에서, 접속 목적지 어드레스를 획득하면, 처리는 단계 S1611로 진행하여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을 활성화한다.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이 활성화된 결과,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이 이용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 S1612로 진행하고,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1401)은 단계 S1609에서 획득한 화상 형성 장치(101)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에 접속하기 위해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에 요청한다. 이 처리는 도 15에 도시된 단계 S1511에 대응한다. 결과적으로,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은 VN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도 15의 단계 S1512).
결과적으로,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과 VNC 서버 모듈(503) 사이의 통신은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와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402) 사이에 확립된 접속을 통해 VNC 통신을 이용하여 확립되며, 따라서 VNC 통신은 VNC 클라이언트 모듈(1403)과 VNC 서버 모듈(503) 사이에서도 이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는 단계 S1510에서 인쇄 제어 장치(105)와 단말기 디바이스(120) 사이에 확립된 VNC 통신을 실행할 수 있고, 인쇄 제어 장치(105)와 화상 형성 장치(101) 사이의 VNC 통신도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인쇄 제어 장치의 원격 유지 보수를 위한 조작 화면을 표시 및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화면 상에 화상 형성 장치의 원격 유지 보수를 위한 조작 화면을 표시 및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인쇄 제어 장치의 VNC 서버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VNC 서버의 활성화를 지시하고, VNC 서버의 활성화 시에 VNC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VNC 서버를 활성화할지의 여부에 관한 설정을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VNC 클라이언트가 인쇄 제어 장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VNC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VNC 클라이언트를 자동으로 설치 및 활성화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는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1)를 사용하는 VNC 접속과 인쇄 제어 장치(105)를 사용하는 VNC 접속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 단말기 디바이스(120), 인쇄 제어 장치(105) 및 서버 컴퓨터(131)의 하드웨어 구성 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이 단계 S1108 또는 S1508에서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할 때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에 저장되고, 이 처리는 CPU(201)가 RAM(202)에 프로그램을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모듈에 의해 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계 S1700에서 전술한 단계 S1108 또는 S1508에서 송신된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처리는 단계 S1701로 진행한다. 단계 S1701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VNC 서버 모듈(503)에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의 원격 유지 보수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통지한다. 통지되면, VNC 서버 모듈(503)은 VNC 접속이 허용되는 접속 소스를 제한하기 위한 모드에 들어간다. 구체적으로는, VNC 서버 모듈(503)은 IP 어드레스가 로컬 루프백 어드레스인 접속 소스로부터의 접속만을 허가하는 모드에 들어간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1702로 진행하고,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이 시점에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도록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 S1703으로 진행하여,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VNC 서버 모듈(503)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이후의 처리는 도 13에 도시된 흐름도의 단계 S1303 및 S1304와 동일하며, 따라서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단계 S1702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도록 설정되었다고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1705로 진행한다. 단계 S1705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접속 목적지로서 화상 형성 장치(101)로 설정된 VNC 서버 모듈이 어디에 있는지, 즉 접속 목적지가 인쇄 제어 장치(105)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1)인지를 결정한다.
도 1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조작 패널(205) 상에 표시되고, VNC 서버가 접속할 접속 목적지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설정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체크 버튼(1801)은 VNC 접속의 목적지로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 또는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402)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튼이다. 사용자가 접속 목적지로서 원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OK 버튼(1802)을 누르면, 선택된 접속 목적지가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가 취소 버튼(1803)을 누르면, 이 화면을 통한 VNC의 접속 목적지는 저장되지 않고, 이 화면은 종료된다. 도 18의 예는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402)이 선택된 상황을 도시한다.
단계 S1705에서, 도 18에 도시된 화면을 사용하여 설정한 접속 목적지에 관한 정보가 획득된다. 여기서, 접속 목적지가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이면, 처리는 단계 S1703으로 진행되고, 접속 목적지가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402)이면, 처리는 단계 S17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706 내지 S1711에서 수행되는 처리는 도 13에 도시된 단계 S1305 내지 S1310에서 수행되는 처리와 동일하며, 따라서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단말기 디바이스로부터의 VNC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 장치 또는 인쇄 제어 장치를 접속 목적지로서 선택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4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화상 형성 장치(101)와 인쇄 제어 장치(105) 사이에서 VNC 접속 요청의 목적지를 전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 단말기 디바이스(120), 인쇄 제어 장치(105) 및 서버 컴퓨터(131)의 하드웨어 구성 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제4 실시예는 제3 실시예에서 참조된 도 17에 도시된 흐름도의 단계 S1705에서 수행되는 처리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1108 또는 S1508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에 송신되는 접속 요청에 설정되어 있는 접속 목적지의 VNC 서버 모듈에 관한 정보가 단계 S1705에서 획득된다.
도 1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703)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련번호와 고객 회사의 이름이 등록되고, 디바이스명(1901)은 회사명에 의해 그룹화된 화상 형성 장치의 모델명(812)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1902는 인쇄 제어 장치(105)가 화상 형성 장치(101)에 접속된 것을 나타낸다. 여기서, "DFE"는 디지털 프론트엔드 컨트롤러를 표시하고, 인쇄 제어 장치(105)를 나타낸다. 서비스 담당자가 서비스 담당자가 접속을 희망하는 디바이스의 명칭의 체크 박스(1903)를 체크하고, 이 화면 상의 접속 버튼(1906)을 누르면,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 대응하는 장치, 즉 화상 형성 장치(101) 또는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로 접속 요청이 송신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제어 장치(105)가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경우에, 체크 버튼(1904, 1905)은 화상 형성 장치(101)와 인쇄 제어 장치(105)가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여기서, 체크 버튼(1904)이 선택되고 접속 버튼(1906)이 눌러지면 화상 형성 장치(101)에 대한 접속이 확립되고, 체크 버튼(1905)이 선택되고 접속 버튼(1906)이 눌러지면 인쇄 제어 장치(105)에 대한 접속이 확립되도록 접속 요청이 제출된다. 취소 버튼(1907)은 이 화면의 설정을 취소하고 처리를 종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9는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기 위한 선택이 이루어진 상황을 도시한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서, 단계 S1705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도 19에 도시된 화면 상에 지정된 접속 요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접속 목적지가 화상 형성 장치(101)이면, 처리는 단계 S1703으로 진행하고,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에 접속 요청이 송신된다. 한편, 접속 목적지가 인쇄 제어 장치(105)인 경우, 처리는 단계 S1706으로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VNC 접속 목적지로서 화상 형성 장치 또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된 인쇄 제어 장치를 지정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120), 인쇄 제어 장치(105) 및 화상 형성 장치(101)는 동일한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에 접속되고,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인쇄 제어 장치(105) 및 화상 형성 장치(101)와 VNC 통신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 단말기 디바이스(120), 인쇄 제어 장치(105) 및 서버 컴퓨터(131)의 하드웨어 구성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2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105)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 블록도에 도시된 모듈의 프로그램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되고, 그 기능은 CPU(301)가 프로그램을 RAM(302)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은 접속 지시 모듈(2002)로부터 지시를 받으면,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과의 접속을 확립하여, 서버 커넥터 모듈(701)과 VNC 서버 모듈(2003) 간의 통신을 조정한다.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은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할 때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획득되어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접속 지시 모듈(2002)은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에 접속 지시를 송신한다. VNC 서버 모듈(2003)은 VNC 서버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VNC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접속을 확립하면, VNC 서버 모듈(2003)은 접속 목적지인 VNC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콘솔 유닛(305)에 표시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RFB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환경 내의 정보 처리 장치(106)의 사용자는 정보 처리 장치(106)를 사용하여 VNC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활성화하고, 인쇄 제어 장치(105)에 액세스함으로써 인쇄 제어 장치(105)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과 같이, VNC 서버 모듈(2003)은 단 하나의 접속 목적지와 통신한다. 그러나 접속은 다른 방식으로 확립될 수 있다.
도 21은 제5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와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이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 수행되는 처리, 및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2003)이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CPU(201)가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02)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인쇄 제어 장치(105)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CPU(301)가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302)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서버 컴퓨터(131) 및 단말기 디바이스(12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CPU(401)가 HDD(4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403)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단계 S2101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접속 지시 모듈(502)은 접속 지시를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2102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서버 컴퓨터(131)의 웹 서버 모듈(702)에 접속하고,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명과 같은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인쇄 제어 장치(105)는 NAT 기능을 이용하여 접속 요청을 중계한다. 이후, 설명은 생략하지만, 화상 형성 장치(101) 및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가 서로 통신할 때, 인쇄 제어 장치(105)의 NAT 기능은 통신을 중계한다.
서버 컴퓨터(131)의 웹 서버 모듈(702)은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검출하면 접속 ID를 발행함과 동시에 디바이스명과 같은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3)에 등록한다. 이어서, 단계 S2103에서, 웹 서버 모듈(702)은 이러한 접속 및 접속 ID를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통지한다. 따라서,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접속 ID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 각각으로부터의 접속을 관리한다. 원격 유지 보수는 VN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속 ID를 지정하여 접속된 VNC 클라이언트 간에 화면을 공유함으로써 실현된다. 즉,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각각의 접속 ID에 대한 접속 세션을 관리하고 각각의 접속 ID에 대한 원격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는, 3개의 단말기, 즉 화상 형성 장치(101), 인쇄 제어 장치(105) 및 단말기 디바이스(120)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4개 이상의 단자가 접속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웹 서버 모듈(702)이 접속 ID를 발행하는 대신에,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승인시 접속 ID를 발행할 수 있고, 웹 서버 모듈(702)은 접속 ID를 수신하고 접속 ID를 데이터베이스(703)에 등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단독으로 데이터베이스(703)에 접속 ID를 등록할 수 있다.
그 후, 단계 S2104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접속 목적지 결정 모듈(504)에 접속 ID를 통지하고,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기 위한 지시를 송신한다. 따라서, 단계 S2105에서, 접속 목적지 결정 모듈(504)은 인쇄 제어 장치(105)의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에 접속 정보를 통지한다.
도 22는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에 저장되며, 이 처리는 CPU(201)가 RAM(202)에 프로그램을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모듈에 의해 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우선, 단계 S2201에서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성공적으로 접속하면,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단계 S2202로 진행한다. 그 다음, 단계 S2202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이 시점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되도록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이 접속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2202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도록 설정되었다고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22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203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인쇄 제어 장치(105)를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과 연동시키고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도 23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조작 패널(205)에 표시되고 연동 설정에 사용되는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체크 박스(2301)는 인쇄 제어 장치(105)와 연동할지의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도 23은 "비연동 조작"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체크 박스(2301)를 체크하고 OK 버튼(2302)을 누르면, 이 화면의 설정이 저장된다. 취소 버튼(2303)은 이 화면 상의 설정을 취소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S2203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도 23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 설정된 연동 설정을 획득한다. "비연동 조작"이 설정되면, 이 처리를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2204로 진행한다. 단계 S2204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인쇄 제어 장치(105)의 접속 목적지 어드레스를 획득하고, 처리는 단계 S2205로 진행한다. 단계 S2205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인쇄 제어 장치(105)가 적절하게 활성화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인쇄 제어 장치(105)가 적절히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인쇄 제어 장치(105)가 적절하게 활성화되었다고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22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205에서 인쇄 제어 장치(105)가 적절하게 활성화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은 네트워크 통신이 이용 가능하고 RIP 처리 및 인쇄 작업 송신 처리가 이미 이용 가능한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행해진 다는 점에 유의한다. 단계 S2206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인쇄 제어 장치(105)가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 정보의 예는 화상 형성 장치(101)가 접속한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의 접속 ID로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접속한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의해 반환된 접속 ID, 및 서버 컴퓨터(131)에 액세스할 때 인증이 필요한 경우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예이며, 이 예와 다른 정보가 획득되고 송신될 수 있다. 단계 S2206에서, 인쇄 제어 장치(105)가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의 접속 ID를 획득하면, 처리는 단계 S2207로 진행한다. 단계 S2207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접속 목적지 결정 모듈(504)은 단계 S2206에서 얻어진 접속 정보를 인쇄 제어 장치(105)에 송신하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인쇄 제어 장치(105)는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 얻은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 컴퓨터(131)에 접속할 수 있다.
도 24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인쇄 제어 장치(105)가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할 때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되고, 이 처리는 CPU(301)가 RAM(302)에 프로그램을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단계 S2401에서, 인쇄 제어 장치(105)의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은 도 22에 도시된 단계 S2207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접속 목적지 결정 모듈(504)로부터 송신된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처리는 단계 S2402로 진행한다. 단계 S2402에서,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은 인쇄 제어 장치(105)가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필요한 정보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의해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24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403에서,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은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접속 목적지 결정 모듈(504)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접속 지시 모듈(2002)에 송신하고,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도록 접속 지시 모듈(2002)에 요청한다. 이 처리는 도 21에 도시된 단계 S2106에 대응한다.
한편, 단계 S2402에서 인쇄 제어 장치(105)가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2404로 진행하고,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의해 유지된 정보를 획득한다. 이 정보의 예는 서버 컴퓨터(131)에 액세스할 때 인증이 필요한 경우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정보가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 송신되지 않으면,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은 인쇄 제어 장치(105)로부터 정보를 획득한다. 따라서, 단계 S2404에서 인쇄 제어 장치(105)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면, 처리는 단계 S2403으로 진행하고,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은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도록 접속 지시 모듈(2002)에 요청하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아래에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단계 S2107에서, 접속 지시 모듈(2002)은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에 접속 지시를 송신한다. 제5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로부터 접속 지시가 수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접속 지시 모듈(502)과 같이, 인쇄 제어 장치(105)는 또한 콘솔 유닛(305)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사용자에게 지시 입력을 촉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확립된 접속의 접속 ID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108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은 서버 컴퓨터(131)의 웹 서버 모듈(702)에 접속하고,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명 및 접속 ID와 같은 정보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2109에서, 웹 서버 모듈(702)은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고,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명 및 접속 ID 등의 정보를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송신한다. 이에 응답하여,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송신된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의 접속 ID에 기초하여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이미 접속된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의 접속 ID가 데이터베이스(703)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접속 ID가 데이터베이스(703)에 있으면,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인쇄 제어 장치(105)에 관한 정보를 그에 추가한 후에 접속 ID 데이터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동일한 접속 ID를 갖는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에 접속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8b는 일련번호 "SN0004"로 지정된 화상 형성 장치가 동일한 접속 ID를 갖는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에 접속된 상황을 도시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1)와 인쇄 제어 장치(105)는 동일한 접속 ID("9012")를 사용하여 관리될 수 있고, 이들 장치에 대해 원격 유지 보수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703)에 접속 ID가 존재하지 않으면,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새로운 접속 ID를 발행하고, 인쇄 제어 장치(105)에 관한 접속 정보를 관리한다.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101)가 서버 컴퓨터(131) 및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되어 있는 상황에서 단말기 디바이스(120)가 웹 브라우저(901)를 사용하여 인쇄 제어 장치(105) 및 화상 형성 장치(101)에 접속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 S21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는 서버 컴퓨터(131)의 웹 서버 모듈(702)에 접속한다.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단계 S2110이 완료될 때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련번호 및 고객 회사의 이름이 데이터베이스(703)에 등록되고, 디바이스명(2501)은 회사명에 의해 그룹화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모델명(812)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2502는 화상 형성 장치(MFP3)에 인쇄 제어 장치(DFE)가 접속된 것을 나타낸다. 서비스 담당자는 서비스 담당자가 접속을 희망하는 송신 목적지인 디바이스의 명칭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2503)를 선택하고, 이 화면 상에서 접속 버튼(2504)을 누른다. 결과적으로, VNC 서버에 접속 요청이 송신된다. 또한, 취소 버튼(2505)이 눌러지면, 접속을 확립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도 25에서, 도 8b에 도시된 일련번호 "SN0004"를 갖고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되는 화상 형성 장치(101)가 선택된다.
여기서, 접속 버튼(2504)이 눌러지면, 웹 서버 모듈(702)은 단계 S2111에서 서버 커넥터 모듈(701)로 타겟 접속 ID에 관한 접속 요청을 제출한다. 결과적으로, 서버 커넥터 모듈(701),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 및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이 접속을 확립한다. 즉,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서버로서 역할을 하고, 복수의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하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다른 클라이언트에 송신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도 26은 서비스 담당자가 인쇄 제어 장치(105)가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101)를 선택하고 접속 버튼(2504)을 누를 때 표시되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의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접속 버튼(2601)은 화상 형성 장치(101)와의 VNC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고, 접속 버튼(2602)은 인쇄 제어 장치(105)와의 VNC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다. 영역(2603)은 화상 형성 장치(101)의 원격 유지 보수 화면이고, 영역(2604)은 인쇄 제어 장치(105)의 원격 유지 보수 화면이다. 이들 영역(2603, 2604)은 원격 유지 보수를 위한 다양한 기능(동화상, 화상 , VNC 접속 등을 표시하는 기능)의 화면이다.
제5 실시예에서는, 이들 화면을 통해 VNC 접속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별도의 VNC 클라이언트가 활성화될 수 있고, 원격 유지 보수가 VNC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 담당자가 웹 브라우저(901)의 접속 버튼(2601)을 누르면, 단계 S2112에서,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 및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이 활성화된다. 그 다음,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은 접속 요청이 VNC 서버에 제출되었음을 검출한다. 이 요청을 수신하면,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은 이 접속 요청을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에 송신한다. 여기서,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이 요청을 송신하는 프로토콜은 VNC 프로토콜이다. 이 요청을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은 단계 S2113에서 웹 브라우저(901)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이 접속 요청은 HTTP 프로토콜에 따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VN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접속 요청을 적절히 변경하고, 변경된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그 다음, 단계 S2114에서, 웹 브라우저(901)는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따라서, 이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단계 S2115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수신된 HTTP 데이터에 VNC 접속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VNC 접속 요청이 포함되어있는 경우, 단계 S2116에서 이 접속 요청을 VNC 서버 모듈(503)로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과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조작 패널(205)에 표시된 정보가 영역(2603)의 화면 상에 표시되고, 화상 형성 장치(101)의 원격 유지 보수가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담당자가 도 26에 도시된 버튼(2602)을 누르면, 단계 S2117에서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 및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이 활성화되고,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은 VNC 서버에 접속 요청이 제출되었음을 검출한다. 이 요청을 수신하면,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은 이 접속 요청을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에 송신한다. 여기서,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이 요청을 송신하는 프로토콜은 VNC 프로토콜이다. 이 요청을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은 단계 S2118에서 웹 브라우저(901)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이 접속 요청은 HTTP 프로토콜을 따른다. 이때,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VN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접속 요청을 변경하여 변경된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다음에, 단계 S2119에서, 웹 브라우저(901)는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그 결과, 단계 S2120에서,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은 수신된 HTTP 데이터에 VNC 접속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VNC 접속 요청이 포함된 경우, 단계 S2121에서 이 접속 요청을 VNC 서버 모듈(2003)로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과 VNC 서버 모듈(2003)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인쇄 제어 장치(105)의 콘솔 유닛(305)의 화면 정보는 영역(2604)의 화면 상에 표시되고, 인쇄 제어 장치(105)의 원격 유지 보수가 단말기 디바이스(120)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과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이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 또는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되기를 기다린다. 데이터를 서버 커넥터 모듈(701)로 송신할 때,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 2001)은 POST 방법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로 송신한다. 이 경우,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단말기 디바이스(120)에 의해 이미 송신된 HTTP에 따른 GET 방법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로부터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 및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을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가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 및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메커니즘은 상기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제5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는 우선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고, 이 접속에 관한 정보를 인쇄 제어 장치(105)에 통지하고, 통지받은 인쇄 제어 장치(105)는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접속 순서는 반대 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1)와 인쇄 제어 장치(105)는 서로 연동하여 동시에 접속을 확립하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이들 장치 중 하나의 장치와의 접속만이 확립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1)의 조작 패널(205) 및 인쇄 제어 장치(105)의 콘솔 유닛(305)에 대해 "연동 조작" 또는 "비연동 조작"을 설정하는 설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각각의 장치는 설정된 설정 값에 따라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콜센터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로부터 인쇄 제어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중 하나 또는 양자를 지정하여 그와의 VNC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 실시예
다음으로, 제6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제6 실시예에서, 인쇄 제어 장치(105) 및 화상 형성 장치(101)는 별도의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120)에 접속하고, 이들 장치와의 VNC 통신이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 단말기 디바이스(120), 인쇄 제어 장치(105) 및 서버 컴퓨터(131)의 하드웨어 구성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의 설명은 생략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27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1)와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이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 수행되는 처리 및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2)와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1001)이 접속을 확립할 때까지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CPU(201)가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202)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인쇄 제어 장치(105)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CPU(301)가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302)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서버 컴퓨터(131) 및 단말기 디바이스(120)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는 CPU(401)가 HDD(4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403)에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27에서, 웹 브라우저(901-1, 901-2),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1, 905-2) 및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1, 906-2)은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복수의 웹 브라우저(901)가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27에 도시된 단계 S2701 내지 S2707은 도 21에 도시된 단계 S2101 내지 S2107과 동일하며, 따라서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2708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은 웹 서버 모듈(702)에 접속하고,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확립된 접속의 접속 ID 및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명과 같은 정보를 송신한다. 인쇄 제어 장치(105)로부터의 접속을 검출하면, 웹 서버 모듈(702)은 새로운 접속 ID를 발행함과 동시에, 디바이스명과 같은 수신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3)에 등록한다. 다음으로, 단계 S2709에서, 웹 서버 모듈(702)은 접속 ID 및 접속 요청을 서버 커넥터 모듈(701)로 송신한다.
이때의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의 접속 ID는 단계 S2702에서 서버 컴퓨터(131)에 접속할 때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반환된 접속 ID와 다르며, 인쇄 제어 장치(105)에 대한 새로운 레코드가 데이터베이스(703)에 등록된다. 대안으로서, 인쇄 제어 장치(105)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703)에 등록할 때, 인쇄 제어 장치(105)의 접속 ID와 연계하여 화상 형성 장치(101)에 의해 확립된 접속의 접속 ID를 저장할 수 있다.
다음에, 웹 브라우저(901-1)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1)와 서버 컴퓨터(131) 사이의 접속에 단말기 디바이스(120)가 접속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단계 S2710에서, 웹 브라우저(901-1)는 서버 컴퓨터(131)의 웹 서버 모듈(702)에 접속한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단계 S2710이 완료될 때 제6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1)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련번호 및 고객 회사의 이름이 데이터베이스(703)에 등록되고, 디바이스명(2801)은 회사명에 의해 그룹화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모델명을 나타낸다. 참조 번호 2802는 인쇄 제어 장치(105)가 접속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접속된 것을 나타낸다. 서비스 담당자가 접속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명칭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2803)를 서비스 담당자가 선택하고, 이 화면에서 접속 버튼(2804)을 누르면, VNC 서버에 접속 요청이 송신된다. 취소 버튼(2805)은 이 화면의 설정을 취소하고 처리를 종료하는 데 사용된다. 이제, 예를 들면,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조작하고 있는 서비스 담당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1)를 선택하고, 접속 버튼(2804)을 누른다. 이에 따라, 단계 S2711에서,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 및 웹 서버 모듈(702)은 타겟 접속 ID에 대한 접속을 확립한다.
도 29는 서비스 담당자가 화상 형성 장치(101) 또는 인쇄 제어 장치(105)를 선택하고 도 28에 도시된 화면 상의 접속 버튼(2804)을 누를 때 제6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웹 브라우저(901-1)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접속 버튼(2901)은 접속된 장치와의 VNC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버튼이며, 영역(2902)은 접속된 장치의 콘솔 유닛에 표시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원격 유지 보수 화면이다. 영역(2902)은 원격 유지 보수를 위한 다양한 기능(동화상, 화상, VNC 접속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위한 화면이다. 제6 실시예에서는 이 화면을 이용하여 VNC 접속도 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별도의 VNC 클라이언트가 활성화될 수 있고, 원격 유지 보수가 VNC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될 수 있다. VNC를 사용한 원격 유지 보수가 2개의 장치에 대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2개의 웹 브라우저가 활성화되고 장치에 대한 접속 처리가 수행된다.
다음은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이제, 서비스 담당자가 웹 브라우저(901-1)의 버튼(2901)을 누르면,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1)과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1)이 활성화된다. 결과적으로, 단계 S2712에서,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1)은 VNC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요청이 제출된 것을 검출하고, 먼저 이 접속 요청을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1)로 송신한다. 여기서,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1)이 요청을 송신하는 프로토콜은 VNC 프로토콜이다. 이 요청을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1)은 단계 S2713에서 웹 브라우저(901-1)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이 접속 요청은 HTTP 프로토콜에 따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1)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VN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접속 요청을 적절히 변경하고, 변경된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그 다음, 단계 S2714에서, 웹 브라우저(901-1)는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따라서, 단계 S2715에서,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접속 요청을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로 송신한다.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수신한 HTTP 데이터에 VNC 접속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VNC 접속 요청이 포함되어 있으면, 단계 S2716에서 이 접속 요청을 VNC 서버 모듈(503)에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1)과 화상 형성 장치(101)의 VNC 서버 모듈(503)은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되고, 화상 형성 장치(101)의 조작 패널(205)에 표시된 정보가 도 29에 도시된 영역(2902) 내에서 화면 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원격 유지 보수는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웹 브라우저(901-2)를 이용하여 단말기 디바이스(120)가 인쇄 제어 장치(105)와 서버 컴퓨터(131) 사이의 접속에 접속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717에서, 웹 브라우저(901-2)는 서버 컴퓨터(131)의 웹 서버 모듈(702)에 접속한다. 이 동작은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조작하는 서비스 담당자가 인쇄 제어 장치(105)를 선택하고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 화면 상의 접속 버튼(2804)을 누를 때 실행된다. 따라서, 단계 S2718에서,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과 웹 서버 모듈(702)은 타겟 접속 ID에 관한 접속을 확립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 담당자가 도 29에 도시된 화면 상의 웹 브라우저(901-2)에 대응하는 버튼(2901)을 누르면,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2) 및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2)이 활성화된다.
그 다음, 단계 S2719에서,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2)은 VNC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요청이 제출된 것을 검출하고, 먼저 이 접속 요청을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2)에 송신한다. 여기서,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2)이 요청을 송신하는 프로토콜은 VNC 프로토콜이다. 이 요청을 수신하면,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2)은 단계 S2720에서 웹 브라우저(901-2)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이 접속 요청은 HTTP 프로토콜을 따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커넥터 모듈(906-2)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VN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접속 요청을 적절하게 변경하고, 변경된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2721에서, 웹 브라우저(901-2)는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 요청을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단계 S2722에서, 서버 커넥터 모듈(701)은 접속 요청을 인쇄 제어 장치(105)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로 송신한다.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2001)은 수신된 HTTP 데이터에 VNC 접속 요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VNC 접속 요청이 포함되어 있으면, 단계 S2723에서 이 접속 요청을 VNC 서버 모듈(2003)에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의 VNC 클라이언트 모듈(905-2)과 인쇄 제어 장치(105)의 VNC 서버 모듈(2003)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인쇄 제어 장치(105)의 콘솔 유닛(305)에 표시되는 화면이 도 29에 도시된 영역(2902)에 표시되며, 인쇄 제어 장치(105)의 원격 유지 보수는 단말기 디바이스(120)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는 우선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고, 이 접속에 관한 정보를 인쇄 제어 장치(105)에 통지하고, 통지받은 인쇄 제어 장치(105)는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접속 순서는 전술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물론 반대일 수도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1)와 인쇄 제어 장치(105)는 서로 연동하고 동시에 접속을 확립하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이들 중 하나의 장치와의 접속만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5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조작 패널(205) 또는 인쇄 제어 장치(105)의 콘솔 유닛(305)에 "연동 조작" 또는 "비연동 조작"을 설정하는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각 장치는 해당 화면에서 설정된 설정 값에 따라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제어 장치(105) 및 화상 형성 장치(101)는 별도의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를 통해 단말기 디바이스(120)에 접속하고,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각 장치와 VN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다음에, 제7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 실시예에서는, 인쇄 제어 장치(105)와 화상 형성 장치(101)를 동일한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 또는 별개의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에 접속할지 여부가 선택되고, 단말기 디바이스(120)가 이들 장치와 VN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 단말기 디바이스(120), 인쇄 제어 장치(105) 및 서버 컴퓨터(131)의 하드웨어 구성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30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조작 패널(205)에 표시되고 연동 설정에 사용되는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라디오 버튼(3001)은 연동 원격 조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라디오 버튼이다. 또한, 연동 원격 조작의 경우, 동일한 통신 경로를 사용하는 연동 조작 또는 개별 통신 경로를 사용하는 연동 조작을 선택할 수 있다. "동일한 통신 경로를 사용하는 연동 조작"이 선택되는 경우, 제5 실시예에서 설명된 인쇄 제어 장치(105) 및 화상 형성 장치(101)는 동일한 통신 경로를 사용하여 원격 유지 보수를 수행한다. 한편,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통신 경로를 사용하는 연동 동작"이 선택되는 경우에, 제6 실시예에서 설명된 인쇄 제어 장치(105) 및 화상 형성 장치(101)는 개별 통신 경로를 사용하여 원격 유지 보수를 수행한다. OK 버튼(3002)이 눌러지면, 이 화면의 설정은 저장되고, 취소 버튼(3003)이 눌러지면, 이 화면의 설정은 취소된다.
통신 경로의 확립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가 제5 및 제6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 도 21 및 27, 및 제7 실시예에 따른 처리가 그로부터 취해지는 순서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순서는 제5 및 제6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31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이 단계 S2102 및 S2702에서 서버 컴퓨터(131)의 웹 서버 모듈(702)에 접속할 때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211)에 저장되고, 이 처리는 CPU(201)가 RAM(202)에 프로그램을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모듈에 의해 처리가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단계 S3101에서 서버 컴퓨터(131)의 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성공적으로 접속하면, 처리는 단계 S3102로 진행한다. 단계 S3102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이 시점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도록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3102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접속하도록 설정되었다고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3104로 진행하고,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도 30에 도시된 라디오 버튼(3001)을 이용하여 설정된 연동 설정을 획득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3105로 진행하고,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연동 설정이 연동 조작이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연동 설정이 비연동 조작이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면,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3105에서 연동 조작이 설정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3106으로 진행되고,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연동 설정이 동일한 통신 경로를 사용하는 연동 조작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동일한 통신 경로를 사용한다고 결정된 경우, 처리는 단계 S3107로 진행한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101)와 인쇄 제어 장치(105)가 상기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을 위해 동일한 통신 경로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 경우,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접속 목적지 결정 모듈(504)에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의 ID 번호를 통지하고(도 21의 단계 S2104), 접속 목적지 결정 모듈(504)은 인쇄 제어 장치(105)에 정보를 송신하며(단계 S2105), 이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3106에서, 동일한 통신 경로가 사용되지 않는다고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3108로 진행한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101)와 인쇄 제어 장치(105)가 상기 제6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을 위해 개별 통신 경로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단계 S3108에서, 디바이스 커넥터 모듈(501)은 원격 유지 보수 접속을 접속 목적지 결정 모듈(504)에 통지하고(도 27의 단계 S2704), 접속 목적지 결정 모듈(504)은 이 정보를 인쇄 제어 장치(105)에 송신하고(단계 S2705), 이 처리가 종료된다.
도 32는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 원격 유지 보수 접속 통지를 수신할 때 인쇄 제어 장치(105)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외부 저장 디바이스(309)에 저장되고, 이 처리는 CPU(301)가 RAM(302)에 프로그램을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달성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이 단계 S3201에서 원격 유지 보수 접속 통지(서버 커넥터 모듈(701)에 접속하기 위한 지시)를 수신하면, 처리는 단계 S3202로 진행한다. 단계 S3202에서,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은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를 식별하는 접속 ID가 통지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통지에 접속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 S3203으로 진행하여 동일한 통신 경로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단계 S3204로 진행한다. 단계 S3204에서,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은 접속 지시 모듈(2002)에 접속 ID에 의해 지시된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에 접속하기 위한 요청을 제출하고(도 27의 단계 S2706), 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3202에서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이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의 접속 ID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하면, 처리는 단계 S3205로 진행한다. 단계 S3205에서, 접속 정보 수신 모듈(2004)은 다른 통신 경로에 접속하기 위한 지시를 접속 지시 모듈(2002)에 제출하고(단계 S2706), 이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제어 장치와 화상 형성 장치가 동일한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 또는 개별 원격 유지 보수 통신 경로에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더 완전히 지칭될 수도 있는) 저장 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예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하거나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로서,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고/하거나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로서,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개별 컴퓨터 또는 개별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예로서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로서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저장소,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상표)와 같은) 광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경 및 균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을 부여받아야 한다.

Claims (20)

  1. 단말기 디바이스와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VNC 클라이언트로서 VNC 접속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조작 화면을 상기 VNC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중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유닛;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VNC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VNC 통신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실행 유닛
    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송신할 접속 목적지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상기 조작 화면을 상기 VNC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VNC 서버; 및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상기 VNC 서버로 또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유닛
    을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활성화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유닛;
    상기 제1 결정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활성화되었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VNC 통신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 유닛; 및
    상기 제1 결정 유닛에 의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VNC 통신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지 않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상기 VNC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의 상기 VNC 통신에 필요한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 결정 유닛; 및
    상기 제3 결정 유닛에 의해 상기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결정된 경우, 상기 기능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확인 유닛
    을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VNC 접속 요청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선택 유닛;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처리를 수행할지 또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처리를 수행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을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VNC 접속 요청에 따른 접속의 접속 목적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2 선택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선택되는 상기 접속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처리를 수행할지 또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기 처리를 수행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4 결정 유닛; 및
    상기 제4 결정 유닛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하도록 설정되었다고 결정되면, 상기 VNC 통신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3 송신 유닛
    를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 단말기 디바이스와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VNC 클라이언트로서, VNC 접속 요청이 송신될 송신 목적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유닛; 및
    선택되는 상기 송신 목적지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고,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조작 화면을 상기 VNC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중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VNC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VNC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연동할 때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경로와 동일한 통신 경로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경로는 접속시에 발행되는 접속 ID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통신 시스템.
  12.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VNC 서버;
    상기 VNC 서버와 서버 간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지시를 행하도록 구성되는 지시 유닛; 및
    상기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와의 접속이 확립된 상황에서 상기 VNC 서버로부터 VNC 클라이언트로부터의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VNC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네트워크와 화상 형성 장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인쇄 제어 장치로서,
    VNC 서버;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VNC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면, VNC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VNC 서버를 활성화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활성화 유닛
    을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
  14. 화상 형성 장치가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 디바이스로서,
    VNC 접속 요청의 송신 목적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 유닛;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송신 목적지로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송신하고, VNC 클라이언트로서 VNC 통신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및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송신 목적지에 표시되는 조작 화면의 정보를 상기 VNC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복수의 송신 목적지가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복수의 송신 목적지에 각각 표시되는 조작 화면의 정보를 상기 VNC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표시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6. 단말기 디바이스와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는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해, VNC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VNC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조작 화면을 상기 VNC 클라이언트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VNC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와의 VNC 통신을 실행하고, 상기 VNC 통신을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7. VNC 서버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VNC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지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와의 접속이 확립된 상황에서 상기 VNC 서버로부터 VNC 클라이언트로부터의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VNC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8. 네트워크와 화상 형성 장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고, VNC 서버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VNC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면, VNC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VNC 서버를 활성화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9. 프로세서로 하여금, VNC 서버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VNC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지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와의 접속이 확립된 상황에서 상기 VNC 서버로부터 VNC 클라이언트로부터의 VNC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VNC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0. 프로세서로 하여금, 네트워크와 화상 형성 장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간의 통신을 중계하고, VNC 서버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VNC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하면, VNC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VNC 서버를 활성화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70008391A 2016-01-26 2017-01-18 통신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제어 장치, 그들을 각각 제어하는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2185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12792 2016-01-26
JP2016012792A JP6592368B2 (ja) 2016-01-26 2016-01-26 通信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印刷制御装置、端末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407A true KR20170089407A (ko) 2017-08-03
KR102185530B1 KR102185530B1 (ko) 2020-12-02

Family

ID=5786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391A KR102185530B1 (ko) 2016-01-26 2017-01-18 통신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제어 장치, 그들을 각각 제어하는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67427B2 (ko)
EP (1) EP3200395A1 (ko)
JP (1) JP6592368B2 (ko)
KR (1) KR102185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5630B2 (ja) * 2016-07-11 2021-03-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ーバ装置及び画像形成制御方法
JP6904779B2 (ja) * 2017-05-10 2021-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遠隔保守システム、遠隔保守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98892B2 (ja) * 2017-08-18 2022-07-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閲覧制御サーバーおよび閲覧制御方法
US10630864B2 (en) * 2018-04-30 2020-04-21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llowing log storage of remote maintenance connection
JP7161351B2 (ja) * 2018-09-11 2022-10-26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467032B2 (ja) * 2019-05-30 2024-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と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2048530A (ja) * 2020-09-15 2022-03-2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2138660A (ja) * 2021-03-10 2022-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7728A1 (en) * 2008-03-19 2009-09-24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40043632A1 (en) * 2012-08-10 2014-02-13 Konica Minolta, Inc.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system
US20150036178A1 (en) * 2013-08-05 2015-02-05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5389B2 (ja) * 2007-07-13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5451372B2 (ja) * 2009-12-28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24136B2 (ja) * 2014-03-20 2018-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7728A1 (en) * 2008-03-19 2009-09-24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40043632A1 (en) * 2012-08-10 2014-02-13 Konica Minolta, Inc.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system
US20150036178A1 (en) * 2013-08-05 2015-02-05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67427B2 (en) 2018-05-08
US20170214824A1 (en) 2017-07-27
KR102185530B1 (ko) 2020-12-02
EP3200395A1 (en) 2017-08-02
JP2017134536A (ja) 2017-08-03
JP6592368B2 (ja)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530B1 (ko) 통신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제어 장치, 그들을 각각 제어하는 방법, 및 저장 매체
JP534012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81475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장치 내에서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805114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aging device control
US8140613B2 (en) Event notification subscription
KR101463665B1 (ko)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806538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aging device event notification subscription
US801523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ministering imaging device notification access control
US763364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aging device job management
JP4336721B2 (ja) 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画像装置制御システム
US796639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ministrating imaging device event notification
US80326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aging device notification access control
US8976402B2 (en)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US9203817B2 (en) Multifunction apparatus and multifunction apparatus control system
JP665602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526993A (zh) 图像形成设备、打印系统、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787018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aging device event notification administration
US2006007745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btaining imaging device notification access control
US80511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btaining imaging device event notification subscription
JP3811085B2 (ja) スキャナシステム
US200600774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aging device related event notification
JP2020004039A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プログラム、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US10324669B2 (en)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voice assistance based on user information
KR20180000527A (ko) 화상 형성 장치, 모바일 단말 및 그 장치들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US116529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a screen that corresponds to a scree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