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527A - 화상 형성 장치, 모바일 단말 및 그 장치들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모바일 단말 및 그 장치들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527A
KR20180000527A KR1020160078617A KR20160078617A KR20180000527A KR 20180000527 A KR20180000527 A KR 20180000527A KR 1020160078617 A KR1020160078617 A KR 1020160078617A KR 20160078617 A KR20160078617 A KR 20160078617A KR 20180000527 A KR20180000527 A KR 20180000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forming
local login
forming apparatus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진규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527A/ko
Priority to EP17815617.0A priority patent/EP3451144A4/en
Priority to PCT/KR2017/005654 priority patent/WO2017222204A1/ko
Publication of KR20180000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527A/ko
Priority to US16/158,932 priority patent/US1081723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7Job repository, e.g. non-scheduled jobs, delay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5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은, 모바일 단말로부터 원격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에 따른 세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세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로컬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정보와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모바일 단말 및 그 장치들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IMAGE FORMING APPARAUTS, MOBILE TERMINAL AND LOCAL LOGIN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모바일 단말 및 그 장치들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통신 관련 기술 및 네트워크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기술들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복합기,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 역시 통신 장비를 탑재하고, 이를 활용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와 같은 기술들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격 로그인 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를 직접 조작하기 위해서는 로컬 로그인을 수행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 후 서버와 연결 가능한 어느 프린터에서든 사용자 인증 후 출력 할 수 있는 풀 프린팅(pull printing)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원격 로그인하여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문서를 화상 형성 장치에 전송하고, 그 후,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하여 전송해둔 문서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에 원격 로그인이 되어 있더라도 화상 형성 장치를 직접 조작하기 위해서는 다시 화상 형성 장치에 로컬 로그인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일 실시예는 화상 형성 장치에 원격 로그인 되어 있는 경우, 보다 편리하게 로컬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모바일 단말 및 그 장치들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은, 모바일 단말로부터 원격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에 따른 세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세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로컬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정보와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입출력부, 모바일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로컬 로그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로컬 로그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원격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에 따른 세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세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로컬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세션 정보와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작업 수행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 원격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컬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입출력부, 화상 형성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로컬 로그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로컬 로그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 원격 로그인을 요청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컬 로그인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로그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로그인 처리 시스템에서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로그인 처리 시스템에서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로그인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설정 저장 및 불러오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세션 전환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 형성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 형성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또한, “원격 로그인(remote login)”이란,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 이외의 디바이스에서 원격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로컬 로그인(local login)”이란, 사용자가 직접 화상 형성 장치를 조작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로그인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로그인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로그인 처리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100), 모바일 단말(200) 및 네트워크(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로 연결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을 이용한 원격 로그인을 지원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의 직접 조작에 의한 로컬 로그인 외에 모바일 단말(200)을 이용한 로컬 로그인을 지원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팩스, 프린터, 복합기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접속하여 원격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은 로컬 로그인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노트북, 태블릿 PC, 휴대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300)는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넷, 인트라넷, LAN (Local Area Network),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로그인 처리 시스템에서 로컬 로그인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2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원격 로그인 하기 위하여 사용자(10)로부터 사용자 ID와 패스워드(PW)를 입력 받는다. 그 후, 22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1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ID와 패스워드(PW)를 바탕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원격 로그인을 요청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원격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원격 로그인을 승인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세션 정보를 생성한다.
23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생성한 세션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가 세션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 간에 세션이 시작된다.
그 후, 24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로컬 로그인 하기 위하여 사용자(10)로부터 로컬 로그인 실행 명령을 입력 받고, 250 단계로 진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원격 로그인을 요청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면,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가 로컬 로그인을 승인하는 경우, 260 단계에서,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100)를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00)은 이미 시작된 세션의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로컬 로그인을 요청함으로써, 사용자(10)가 직접 형성 장치에 로컬 로그인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10)는 모바일 단말(200)의 간편한 조작, 예를 들어, 적은 횟수의 터치 입력 등을 통해 간편하게 로컬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 순서도를 참고하여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로그인 처리 시스템에서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3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ID와 사용자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10)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원격 로그인할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소 값이 표시되는 필드(410), 사용자 ID를 입력하는 필드(420),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필드(430) 및 로그인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 버튼(440)이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10)는 원격 로그인할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소 값이 표시되는 필드(410)를 통해 원격 로그인할 화상 형성 장치(100)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ID를 입력하는 필드(420),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필드(430)를 통해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로그인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 버튼(440)을 통해 모바일 단말(200)에 원격 로그인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도 3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32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1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원격 로그인을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1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원격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200)은 화상 형성 장치(100)로 사용자(10)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전송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원격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ID, 패스워드와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와 수신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원격 로그인을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계정 테이블(account table)이라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가 원격 로그인을 승인하는 경우, 330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세션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세션 정보는 세션 ID, 사용자 ID, 모바일 단말의 유니크 ID(MAC 주소, 시리얼 넘버 등), 세션 만료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별로 세션 정보를 각각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시적인 사용자라고 판단되는 경우, 세션 만료 시간이 짧게 설정된 세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생성한 세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화상 형성 장치(100)는 세션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션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세션 테이블(session table)이라 할 수 있다.
그 후, 34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생성한 세션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가 세션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 간에 세션이 시작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수신한 세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세션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세션 테이블에 세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의 세션 테이블에 저장되는 항목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세션 테이블에 저장되는 항목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200)의 세션 테이블에는 세션 ID, 사용자 ID, 프린터 주소, 세션 만료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세션 테이블에는 모바일 단말의 유니크 ID가 포함되는 것과 달리 모바일 단말(200)의 세션 테이블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세션 시작 이후, 모바일 단말(200)이 사용자(10)로부터 로컬 로그인 실행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모바일 단말(200)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원격 로그인 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200)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로컬 로그인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10)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로컬 로그인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b)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메뉴 버튼(450)을 누르는 경우, 로컬 로그인 실행 버튼(460), NFC를 이용한 로컬 로그인 실행 버튼(470), 로그인할 URL을 복사하는 버튼(480), 관리용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버튼(490) 등이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10)는 로컬 로그인 실행 버튼(460)을 통해 모바일 단말(200)에 로컬 로그인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도 3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모바일 단말(200)이 사용자(10)로부터 로컬 로그인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35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수신한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로컬 로그인 정보로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요청 URL(request URL)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수신한 세션 정보에 포함된 세션 ID 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컬 로그인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0)은 세션 ID(520)를 포함하여 요청 URL(510)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200)은 세션 ID, 사용자 ID, 모바일 단말(200)의 유니크 ID(MAC 주소, 시리얼 넘버 등), 세션 만료 시간 등을 포함하여 요청 URL(510)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수신한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핀코드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200)은 세션 ID, 사용자 ID, 모바일 단말(200)의 유니크 ID(MAC 주소, 시리얼 넘버 등), 세션 만료 시간, 현재 시간 등을 이용하여 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서 살펴본 요청 URL(510) 중 세션 ID(520)의 위치에 핀코드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세션 ID(520)와 함께 핀코드가 삽입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화상 형성 장치(100)와 동일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00)과 화상 형성 장치(100)는 동일한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동일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핀코드를 생성함으로써, 핀코드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로컬 로그인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시간을 이용하여 핀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200)과 화상 형성 장치(100)의 현재 시간이 다를 경우, 핀코드가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200)과 화상 형성 장치(100)의 현재 시간을 일치시켜야 한다.
그 후, 36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화상 형성 장치(100)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을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서, 또한, 모바일 단말(200)은 무선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다양한 접속 방법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원격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36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로컬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여 370 단계로 진행한다.
37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세션 정보와 로컬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세션 정보와 로컬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비교하여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로컬 로그인 요청에 포함된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330 단계에서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는 세션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는 로컬 로그인 정보에 세션 ID가 포함된 경우, 로컬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세션 ID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세션 테이블에 저장된 세션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로그인 정보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핀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로컬 로그인 정보가 핀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330 단계에서 생성하여 저장하고 있는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핀코드와 로컬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핀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세션 ID, 사용자 ID, 모바일 단말(200)의 유니크 ID(MAC 주소, 시리얼 넘버 등), 세션 만료 시간, 현재 시간 등을 이용하여 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과 동일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은 동일한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동일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핀코드를 생성함으로써, 핀코드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로컬 로그인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시간을 이용하여 핀코드를 생성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의 현재 시간이 다를 경우, 핀코드가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의 현재 시간을 일치시켜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00)은 이미 시작된 세션의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로컬 로그인을 요청함으로써, 사용자(10)가 직접 형성 장치에 로컬 로그인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10)는 모바일 단말(200)의 간편한 조작, 예를 들어, 적은 횟수의 터치 입력 등을 통해 간편하게 로컬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화상 형성 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200)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61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원격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여 로그인 요청에 따른 세션 정보를 생성한다. 그 후, 62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생성한 세션 정보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
63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로컬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 로그인 요청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로그인 정보는 세션 정보에 포함된 세션 ID 및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핀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64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세션 정보와 로컬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한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세션 정보와 로컬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비교하여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 로그인 정보가 핀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핀코드와 로컬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핀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7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72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원격 로그인을 요청한다.
73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 후, 74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세션 정보에 포함된 세션 ID 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은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핀코드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75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에 로컬 로그인을 요청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간에 세션을 시작하는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도 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81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핀코드 발급 요청을 수신한다. 그 후, 82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ID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 ID에 대응되는 핀코드를 생성한다. 이후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핀코드를 입력 받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핀코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ID를 확인할 수 있다.
83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입출력부를 통해 핀코드를 입력 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10)의 조작 및 상태 표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를 조작하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핀코드 입력 메뉴 선택을 위한 필드(1010), 핀코드 입력 필드(1020), 및 로그인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 버튼(1030)이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10)는 핀코드 입력 필드(1020)에 핀코드를 입력하고, 로그인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 버튼(1030)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로컬 로그인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도 8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84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한 핀코드와 입력 받은 핀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한다.
도 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9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00)에 핀코드 발급을 요청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핀코드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200)은 세션 ID를 이용할 수 있다. 세션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모바일 단말(200)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92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핀코드를 수신하고, 930 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핀코드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10)의 조작 및 상태 표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를 조작하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핀코드(1040)가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 핀코드 이외의 배경을 블러(blurr) 처리하거나 흐리게 처리하여 핀코드를 강조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00)은 이미 시작된 세션의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핀코드를 요청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는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핀코드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10)는 보다 간편한 조작, 예를 들어, 4자리 핀코드의 입력 등을 통해 간편하게 로컬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작업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10)가 로컬 로그인 하면 저장된 작업 설정 정보를 적용한 작업 설정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 간에 설정 저장 및 불러오기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설정 저장 및 불러오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10)로부터 작업 설정 값을 입력 받아 작업 설정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복사 매수를 입력하는 필드(1110), 컬러(color) 또는 흑백(mono) 선택 버튼(1120), 단면(simplex) 또는 양면(duplex) 선택 버튼(1130)을 제공하여 사용자(10)로부터 작업 설정 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 후, 모바일 단말(200)은 저장한 작업 설정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설정 정보 전송 시, 해당 작업 설정이 어떤 사용자의 작업 설정인지 식별하기 위하여 세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전송되는 데이터에 작업 설정 값(1111, 1112, 1113)과 함께 세션 ID(1140)가 포함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작업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세션 정보를 확인하여 어떤 사용자에 대한 작업 설정인지 식별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수신한 작업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도 11(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작업 설정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사용자 설정 테이블(user configuration table)이라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이후,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저장된 작업 설정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로컬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해당 사용자의 작업 설정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그 후,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작업 설정 정보가 적용된 작업 설정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사용하던 설정을 그대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에 복수 개의 유효한 세션이 있는 경우,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10)의 선택에 따라 세션을 전환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세션 전환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세션 전환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현재 저장하고 있는 세션 정보들을 바탕으로 유효한 화상 형성 장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유효한 화상 형성 장치 목록에 프린터 A(1210), 프린터 B(1220) 및 프린터 C(1230)가 표시되어 있다. 도 12(a)에서는 목록에 프린터 이름을 표시하고 있으나, 유효한 프린터를 프린터 IP주소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린터 A 대신 프린터 A의 IP 주소인 192.168.3.1 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10)로부터 목록에 표시된 화상 형성 장치 중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10)가 선택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되는 세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2(b)에 모바일 단말(200)이 저장하고 있는 세션 테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00)은 세션 테이블에서 사용자(10)가 선택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되는 세션 ID를 검색하여 해당 세션 ID에 대응되는 세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는 복수의 세션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보다 편리하게 세션을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관리용 웹페이지 주소를 생성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의 관리용 웹페이지 주소에 접속하거나 또는 설정된 디바이스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관리용 웹페이지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는 이미 생성된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화상 형성 장치(100)의 관리용 웹페이지 주소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란,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매체, CD 및 DVD 등과 같은 광학적 판독매체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모리(140) 및 입출력부(110)의 메모리(140)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도 있으며,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모바일 단말(200)에 포함되는 메모리(240)가 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로그인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즉,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및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출력부(110)는 독자적인 제어 시스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부(120)와 별도로, 입출력부(11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제어부 및 메모리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입출력부(110)의 제어 시스템에는 UI를 제공하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출력부(110)는 입출력 제어부, 디스플레이부, 조작 패널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출력부(110)는 제어부(120)와는 별도로 독자적인 제어 시스템(입출력 제어부 및 메모리)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 및 메모리는 입출력부(11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는 제어부(120)와 마찬가지로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출력부(110)에는 입출력 제어부가 포함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제어부(120)가 입출력 제어부를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LCD 패널 또는 OLED 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작 패널은 물리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입출력부(11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분리되었을 때는 태블릿과 유사하게 동작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에 결합되었을 때는 입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분리가 가능한 입출력부(110)의 경우에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로컬 로그인을 위한 핀코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로컬 로그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원격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여 로그인 요청에 따른 세션 정보를 생성하고, 세션 정보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하며,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로컬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고, 세션 정보와 로컬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이때, 로컬 로그인 정보는, 세션 정보에 포함된 세션 ID 및 상기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핀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로그인 정보가 핀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핀코드와 로컬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핀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200)과 동일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세션 정보와 로컬 로그인 요청에 포함된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비교하여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핀코드 발급 요청을 수신하고,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하며, 입출력부(110)를 통해 핀코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한 핀코드와 입력 받은 핀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작업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저장된 작업 설정 정보를 적용하며, 저장된 작업 설정 정보가 적용된 작업 설정 상태를 입출력부(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e.g. NFC tag를 포함하는 스티커)등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모바일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전달하거나, 또는 제어부(120)에서 발생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가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원격 로그인 요청 또는 로컬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원격 로그인 또는 로컬 로그인을 승인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가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인쇄 명령 신호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30)는 서버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서버를 통해 모바일 단말(2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서버를 통해 모바일 단말(200)과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14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40)는 로컬 로그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0)은 입출력부(210), 제어부(220), 통신부(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사용자(10)가 모바일 단말(200)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인 입력부와 모바일 단말(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스피커, 및 진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2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출력부(210)는 사용자(10)로부터 사용자 정보, 로컬 로그인 실행 명령, 작업 설정 값, 유효한 화상 형성 장치 목록에서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210)는 사용자(10)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핀코드, 유효한 화상 형성 장치 목록, 웹브라우저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220)는 모바일 단말(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입출력부(2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바일 단말(2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2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로컬 로그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원격 로그인을 요청하며,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에 로컬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세션 정보에 포함된 세션 ID 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핀코드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와 동일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핀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핀코드 발급을 요청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핀코드를 수신하며, 수신한 핀코드를 표시하도록 입출력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사용자(10)로부터 작업 설정 값을 입력 받아 작업 설정 정보로 저장하고, 저장한 작업 설정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현재 저장하고 있는 세션 정보들을 바탕으로 유효한 화상 형성 장치 목록을 표시하고, 사용자(10)로부터 유효한 화상 형성 장치 목록 중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100)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도록 입출력부(210)를 제어하며, 사용자(10)가 선택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되는 세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20)는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관리용 웹페이지 주소를 생성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의 관리용 웹페이지 주소에 접속하거나 또는 설정된 디바이스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관리용 웹페이지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e.g. NFC tag를 포함하는 스티커)등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모바일 단말(2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통신부(130)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제어부(220)로 전달하거나, 또는 제어부(220)에서 발생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가 원격 로그인 또는 로컬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통신부(230)에게 신호를 전달하면, 통신부(230)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 원격 로그인 요청 또는 로컬 로그인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30)는 서버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230)는 서버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모바일 단말(200)의 통신부(230)는 서버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40)에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메모리(2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통신부(2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24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240)는 로컬 로그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200)은 이미 시작된 세션의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 로컬 로그인을 요청함으로써, 사용자(10)가 직접 형성 장치에 로컬 로그인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10)는 모바일 단말(200)의 간편한 조작, 예를 들어, 적은 횟수의 터치 입력 등을 통해 간편하게 로컬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일 실시예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화상 형성 장치
200: 모바일 단말
300: 네트워크

Claims (20)

  1. 모바일 단말로부터 원격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에 따른 세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세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로컬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정보와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정보와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세션 정보와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는,
    상기 세션 정보에 포함된 세션 ID 및 상기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핀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가 상기 핀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핀코드와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핀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로컬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핀코드 발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입출력부를 통해 핀코드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정보와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 핀코드와 상기 입력 받은 핀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작업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저장된 작업 설정 정보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작업 설정 정보가 적용된 작업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7. 입출력부;
    모바일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로컬 로그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로컬 로그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원격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로그인 요청에 따른 세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세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로컬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로컬 로그인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세션 정보와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작업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션 정보와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비교하여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는,
    상기 세션 정보에 포함된 세션 ID 및 상기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핀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가 상기 핀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핀코드와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에 포함된 핀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핀코드 발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핀코드를 입력 받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한 핀코드와 상기 입력 받은 핀코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작업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로컬 로그인 요청을 승인하는 경우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저장된 작업 설정 정보를 적용하며, 상기 저장된 작업 설정 정보가 적용된 작업 설정 상태를 상기 입출력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 원격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컬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세션 정보에 포함된 세션 ID 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세션 정보를 바탕으로 핀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핀코드를 바탕으로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컬 로그인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핀코드 발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핀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핀코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작업 설정 값을 입력 받아 작업 설정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한 작업 설정 정보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현재 저장하고 있는 세션 정보들을 바탕으로 유효한 화상 형성 장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에 표시된 화상 형성 장치 중 하나의 화상 형성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응되는 세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관리용 웹페이지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관리용 웹페이지 주소에 접속하거나 또는 설정된 디바이스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관리용 웹페이지 주소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20. 입출력부;
    화상 형성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로컬 로그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로컬 로그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화상 형성 장치에 원격 로그인을 요청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세션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바탕으로 로컬 로그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로컬 로그인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로컬 로그인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KR1020160078617A 2016-06-23 2016-06-23 화상 형성 장치, 모바일 단말 및 그 장치들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KR20180000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617A KR20180000527A (ko) 2016-06-23 2016-06-23 화상 형성 장치, 모바일 단말 및 그 장치들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EP17815617.0A EP3451144A4 (en) 2016-06-23 2017-05-31 IMAGE GENERATING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LOCAL REGISTRATION OF DEVICES
PCT/KR2017/005654 WO2017222204A1 (ko) 2016-06-23 2017-05-31 화상 형성 장치, 모바일 단말 및 그 장치들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US16/158,932 US10817231B2 (en) 2016-06-23 2018-10-12 Image forming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local login of apparatu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617A KR20180000527A (ko) 2016-06-23 2016-06-23 화상 형성 장치, 모바일 단말 및 그 장치들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27A true KR20180000527A (ko) 2018-01-03

Family

ID=6078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617A KR20180000527A (ko) 2016-06-23 2016-06-23 화상 형성 장치, 모바일 단말 및 그 장치들의 로컬 로그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17231B2 (ko)
EP (1) EP3451144A4 (ko)
KR (1) KR20180000527A (ko)
WO (1) WO2017222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0131B2 (en) * 2017-12-20 2019-10-01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method that enables direct connection easily
US11233784B2 (en) * 2019-05-06 2022-01-25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ccess to shared network resources
US11129026B1 (en) * 2020-04-15 2021-09-21 T-Mobile Usa, Inc. ESIM switching platform
US20230262048A1 (en) * 2022-02-17 2023-08-1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ystem and method for pin authentication issuance from mfp qr cod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1665B2 (en) * 2003-12-05 2011-05-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pairing
US20070143615A1 (en) * 2005-12-15 2007-06-21 Kari Hiitola Method of generating a pin code based on target device class in wireless device pairing
US20110066685A1 (en) * 2009-09-11 2011-03-17 Hiroshi Kitada Sending email from a document storage server operating by mobile device remote from the document storage server
KR101560416B1 (ko) * 2009-11-18 2015-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에서 보안 채널 형성 방법 및 장치
US8464061B2 (en) * 2010-08-30 2013-06-11 Apple Inc. Secure wireless link between two devices using probes
JP5961012B2 (ja) * 2012-02-29 201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916675B2 (ja) * 2013-08-30 2016-05-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ジョブ設定方法
US9369450B1 (en) * 2013-12-19 2016-06-14 Ca, Inc. Methods preserving user identities during login and related systems, devices, and machines
EP3169079B1 (en) * 2014-07-11 2019-01-09 HP Printing Korea Co., Ltd. Cloud server, control device,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pairing cloud system comprising same wit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1144A4 (en) 2020-02-12
US20190050178A1 (en) 2019-02-14
EP3451144A1 (en) 2019-03-06
WO2017222204A1 (ko) 2017-12-28
US10817231B2 (en)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149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108172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local login of apparatuses
US10754933B2 (e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031704B2 (en) Printing system processing data according to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int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constituting the system, control methods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s therefor
US20190146725A1 (en) Method for sharing account of cloud printing service, and cloud server for performing same
JP201605769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CN104902131A (zh) 信息处理设备和控制方法
JP6436677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188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etting a home screen
US103388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7210937B2 (ja) 画像形成装置
CN105812348B (zh) 图像形成设备和图像形成设备的控制方法
KR20190093128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US1124969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4016674A (ja) 出力システム、出力制御装置及び出力制御プログラム
US98645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web browser,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825042B2 (en) Peripheral device management system, peripheral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printing apparatus control system
JP2018195268A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8160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22066044A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
JP2015114727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15064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認証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440792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80080519A (ko) 애플리케이션을 백업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906168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