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118A -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 - Google Patents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118A
KR20170089118A KR1020160009117A KR20160009117A KR20170089118A KR 20170089118 A KR20170089118 A KR 20170089118A KR 1020160009117 A KR1020160009117 A KR 1020160009117A KR 20160009117 A KR20160009117 A KR 20160009117A KR 20170089118 A KR20170089118 A KR 20170089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pressing
housing body
pressing member
co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4435B1 (ko
Inventor
김정엽
권오성
Original Assignee
김정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엽 filed Critical 김정엽
Priority to KR102016000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43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5Elements to be fitted on the end of screws or wires, e.g. protective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3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comprising bone transfixation elements, e.g. bolt with a distal cooperating element such as a n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시술 대상자의 뼈에 삽입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테이퍼지는 철심체; 및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철심체의 타단부에 외삽되는 하우징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몸체는,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끼움방식으로 상기 철심체와 결속되는 가압부재를 이용한 골절 치료용 철심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골절 화자에게 골절치료를 위한 시술도구를 시술할 경우, 특정 형태의 획일적인 시술도구가 아닌 사용자의 연령, 기타 여건 등에 따라 알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 {Iron core assembly using pressure member for the treatment of fractures}
본 발명은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절환자의 골절 치료를 위한 철심 시술에 있어, 시술된 철심의 외부 노출부에 소정의 마감부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속하여 환자의 2차적인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골ㆍ관절계통의 질환 등을 다루는 정형외과에서는 골절이나 탈구로 인한 통증부위를 방사선사진으로 촬영하여 골절되거나 탈구된 뼈를 원상태로 교정한 후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교정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뼈 속에 통상적으로 케이와이어(K-wire)라고 불리는 의료용 철심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러한 의료용 철심의 삽입시술은 피부속에 위치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 려운 뼈나 관절에 대해 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의료용 철심을 피부속에 위치한 뼈의 중심부에 정확하게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시술경험이 요구될 뿐 아 니라 시술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이렇게 시술된 철심은 환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의 시술부위가 외부의 접촉으로 인해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된 철심의 노출부를 소정의 마감부재(예: 클램프 등)로 마감하는 기술이 개발 되었다. 이러한 마감부재는 위생적인 문제 등으로 인하여 재사용하기보다는, 일회성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소모품에 가깝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부의 철심 노출부에 결속되는 마감부재는 비교적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시술과정 상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시술도구의 소모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마감부재는 어느 특정한 형태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환경이나 연령에 따라 알맞게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여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철심의 환부 돌출부 마감이라는 목적에 대비하여, 시술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96660호
본 발명은, 골절환자의 골절 치료를 위한 철심 시술에 있어, 시술된 철심의 외부 노출부에 소정의 마감부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속하여 환자의 2차적인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시술 대상자의 뼈에 삽입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테이퍼지는 철심체; 및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철심체의 타단부에 외삽되는 하우징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몸체는,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끼움방식으로 상기 철심체와 결속되는 가압부재를 이용한 골절 치료용 철심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외력을 전달받는 핸들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유동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몸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핸들형 몸체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집게형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몸체는, 외측면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절구형의 통형상체로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함몰부가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몸체는, 외주면 상에 하나 이상의 함입부가 형성된 통형상체로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함입부가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입부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하우징 몸체를 외부에서 내부로 깊숙히 가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비교적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지는 시술도구들을 간소화시켜 시술자가 용이한 시술을 할 수 있고, 시술대상자 역시 용이한 시술을 받을 수 있다.
둘째, 소모품에 가까운 시술도구들의 간소화시킴으로, 시술도구의 소모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셋째, 골절 화자에게 골절치료를 위한 시술도구를 시술할 경우, 특정 형태의 획일적인 시술도구가 아닌 사용자의 연령, 기타 여건 등에 따라 알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가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의 구성들 중 철심체와 하우징 몸체가 가압부재에 의하여 결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의 구성들 중 하우징 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10)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가압부재(10)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1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재(10)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100)는 철심체(110) 및 하우징 몸체(11)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10)는 몸체(11) 및 가압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철심 조립체(100)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시술 대상자의 뼈에 삽입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몸체(11)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철심체(110)의 타단부에 외삽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몸체(11)는, 상기 가압부재(10)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끼움방식으로 상기 철심체(110)와 결속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 몸체(11)는 외측면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절구형의 통형상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가압부재(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가압부재(10)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100)의 구성들 중 철심체(110)와 하우징 몸체(11)가 가압부재(10)에 의하여 결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재(10)의 상기 핸들형 몸체(11)는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외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몸체(11) 상에는 소정의 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2)는 한 쌍의 집게형으로서 상기 몸체(11)의 유동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몸체(11)를 가압하도록 상기 핸들형 몸체(11)의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10)에 의하여 하우징 몸체(11)를 가압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 몸체(11)에 상기 철심체(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12)로 상기 하우징 몸체(11)의 상기 함몰부의 중심부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철심와 하우징 몸체(11)는 상호간에 신속하고 용이한 결속이 가능케 된다.
상기 가압부재(10)는 상기 하우징 몸체(11)를 가압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몸체(11)의 함입부를 외부에서 내부를 향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가압부(12)에는 상기 하우징 몸체(11)를 외부에서 내부로 깊숙히 가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20)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200)의 구성들 중 하우징 몸체(21)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부재(20)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200)의 하우징 몸체(21)는, 외주면 상에 하나 이상의 함입부가 형성된 통형상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하우징 몸체(21)는 도 6(a) 내지 도 6(c)에서와 같이 원통형에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입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이로부터 변형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하우징 몸체(11)는 도 6(d) 내지 도 6(e)와 같이 사각 형상에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함입부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이로부터 변형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가압부재
11 : 몸체
12 : 가압부
110 : 철심체
120 : 하우징 몸체

Claims (6)

  1. 가압부재를 이용한 골절 치료용 철심 조립체로서,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시술 대상자의 뼈에 삽입하기 위하여 일단부가 테이퍼지는 철심체; 및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철심체의 타단부에 외삽되는 하우징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몸체는,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가압됨으로써, 끼움방식으로 상기 철심체와 결속되는 가압부재를 이용한 골절 치료용 철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외력을 전달받는 핸들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유동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몸체를 가압하도록 상기 핸들형 몸체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집게형 가압부를 포함하는 가압부재를 이용한 골절 치료용 철심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는,
    외측면 둘레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절구형의 통형상체로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함몰부가 가압되는 가압부재를 이용한 골절 치료용 철심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는,
    외주면 상에 하나 이상의 함입부가 형성된 통형상체로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하여 상기 함입부가 가압되는 가압부재를 이용한 골절 치료용 철심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부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이용한 골절 치료용 철심 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하우징 몸체를 외부에서 내부로 깊숙히 가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가압부재를 이용한 골절 치료용 철심 조립체.
KR1020160009117A 2016-01-26 2016-01-26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 KR101794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117A KR101794435B1 (ko) 2016-01-26 2016-01-26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117A KR101794435B1 (ko) 2016-01-26 2016-01-26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118A true KR20170089118A (ko) 2017-08-03
KR101794435B1 KR101794435B1 (ko) 2017-11-06

Family

ID=5965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117A KR101794435B1 (ko) 2016-01-26 2016-01-26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4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1507B2 (en) 2009-10-28 2015-04-21 Orthopro Llc Compression plate kit and methods for repairing bone discontinu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435B1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16462A1 (en) Polyaxial bone screw
US2143922A (en) Bone surgery appliance
WO2015052841A1 (ja) 骨接合具および骨接合術
KR101800353B1 (ko) 침관 및 조립체
US9730741B2 (en) Temporarily secured bone reduction clamp
US10206723B2 (en) Rod inserter and insertion tube
US9763654B2 (en) Adjustable orthopaedic joint distractor
KR20210116388A (ko) 뼈 내고정술용 겸자
KR101794435B1 (ko)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
KR101601730B1 (ko) 골접합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골접합 장치
KR20100052953A (ko) 교정 스크류 시술용 드라이버
KR101451019B1 (ko) 척추경 나사못 캡 삽입기
KR101834057B1 (ko) 골절 치료용 철심 조립체
JP2017506526A (ja) 固定インプラント装置、システム、キット、および方法
KR20130136838A (ko) 골접합 용구 세트
US20180338753A1 (en) Suture anchor system with reusable handle
KR20160018459A (ko) 골절술 마커
JP2013111260A (ja) 脊椎固定用手術器具
US20180221060A1 (en) Handling instrument for a bone anchor
CN209951316U (zh) 一种髋臼拉钩
KR101594991B1 (ko)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KR101763922B1 (ko) 초음파 나사못 삽입기
AU2015370046B2 (en) Bending pin
KR20200057132A (ko)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JP6045668B1 (ja) 内視鏡手術用鉗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