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7132A -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 Google Patents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7132A
KR20200057132A KR1020180140678A KR20180140678A KR20200057132A KR 20200057132 A KR20200057132 A KR 20200057132A KR 1020180140678 A KR1020180140678 A KR 1020180140678A KR 20180140678 A KR20180140678 A KR 20180140678A KR 20200057132 A KR20200057132 A KR 20200057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haft
housing
prosthesi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822B1 (ko
Inventor
송영석
Original Assignee
진오메카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오메카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오메카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8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보형물의 준비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위치로의 안정적인 삽입시술, 및 시술 완료 후 보형물의 위치변화 없이 코어를 신속 정확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보형물 지지용 코어를 관통시키도록 전방 일단에 코어 관통홀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코어 관통홀을 향하는 전방 일단에는 코어 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코어홀딩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후방 타단에는 푸셔가 구비되는 샤프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샤프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를 결속시켜 보형물에 장착된 코어의 위치를 유지시키거나,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의 결속을 해제시켜 시술된 보형물로부터 코어를 분리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INSERTING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IMPLANT}
본 발명은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코 성형용 보형물을 신속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시술할 수 있는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성형수술의 기술발전과 함께 환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코 성형수술 분야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코의 높이를 높이는 수술(즉, 융비술), 코의 높이를 낮추는 수술, 휜 코를 교정하는 수술, 콧구멍의 크기를 넓히거나 좁히는 수술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미용을 목적으로 하여 코의 높이를 높이거나 휜 코를 교정하는 수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이러한 수술은 코의 모양이나 형태를 보존하기 위한 보형물을 코 주변의 인체 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인체 내에 삽입되는 보형물은 그 특성에 따라 주변 인체 조직과의 유착양상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어, 수술 이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수술부위의 형상이 변화되는 부작용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보형물의 경우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기가 쉽고 가공된 형상이 잘 유지되는 장점이 있지만, 인체 내에 삽입된 경우 인체 조직과의 유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코 주변의 인체 내에 고정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시술부위에 이질감으로 환자 만족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다른 예로 필러 보형물의 경우는 전술한 실리콘 보형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인체 조직과의 유착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체 내에 고정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인체 조직과의 강한 유착성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하면서 형상이 변화되고, 이를 위한 재 시술 시에는 인체로부터 제거하기가 곤란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실리콘 보형물과 필러 보형물의 단점을 보완 즉, 인체 조직과의 높은 유착성과 함께 시술부위의 형상을 이질감 없이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 환자 개개인의 조직 특성에 따라 피부재생을 도울 수 있도록 생체재생 촉진재료를 추가 코팅하거나 생분해성 물질을 추가 블렌딩하는 등의 유연한 특성 변화가 가능하다는 이유로 이른바, 임플란트(implant) 보형물 시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임플란트 보형물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 보형물(1)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1a)와, 상기 몸체부(1a)를 인체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몸체부(1a)의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중공의 내부 공간이 마련된 바(bar) 형태의 보형물(1)은 이를 인체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마땅한 홀더기구가 준비되지 못한 실정이다. 예컨대 일회용 주사기 바늘을 보형물의 중공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보형물의 삽입 시술을 수행하는 정도에 그쳤다.
이와 같이 보형물에 대하여 마땅한 홀더기구가 준비되지 못한 시술환경에서 오로지 시술자의 숙련도와 노하우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에는, 시술준비과정, 보형물의 삽입과정 등에서 시술자마다 편차가 발생하게 되며, 결국 전체적으로 시술 시간이 길이진다거나 삽입된 보형물의 위치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는 재료 특성 상 많은 장점을 가지는 임플란트 보형물이라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신속하고 정밀하지 못한 시술이 수행되는 경우 시술결과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1018호(2003.07.22.등록공고, 발명의 명칭: 코 성형용 보경물 삽입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시술 전 보형물의 파지, 보형물의 삽입 시술 및 보형물과 코어의 분리 작업을 빠른 시간에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는 보형물 지지용 코어를 관통시키도록 전방 일단에 코어 관통홀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코어 관통홀을 향하는 전방 일단에는 코어 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코어홀딩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후방 타단에는 푸셔가 구비되는 샤프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샤프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를 결속시켜 보형물에 장착된 코어의 위치를 유지시키거나,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의 결속을 해제시켜 시술된 보형물로부터 코어를 분리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어홀딩유닛은 상기 샤프트의 전방 끝단에서 상기 코어 관통홀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샤프트; 상기 연장샤프트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며, 코어 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바이스유닛; 및 상기 바이스유닛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며, 상기 바이스유닛이 코어 단부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유닛은 상기 연장샤프트의 전방 끝단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코어 관통홀을 향하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조임편; 및 상기 복수개의 조임편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제2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되어 상기 조임편의 경사진 외면을 가압하는 조임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샤프트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중공 구조를 이루는 하우징 몸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전방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코어 관통홀이 형성되는 전방 캡;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후방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의 푸셔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 캡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의 둘레에는 지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캡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턱과 밀착되어,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바이스유닛의 조임편으로부터 상기 조임링을 이격시키는 조임 해제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후방 단부에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상기 걸림턱에 결속되는 걸게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타단에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단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레버와 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걸림턱에 상기 걸게를 결속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방 캡의 전방 내측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결속 해제 시, 후방으로 이동되는 샤프트를 지지하는 충격완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는 코어의 고정 및 분리 조작이 용이한 코어홀딩유닛을 포함한 샤프트의 위치조절을 수행함으로써, 시술 장치의 무리한 핸들링 없이 보형물의 파지, 보형물의 삽입 및 보형물과 코어의 분리를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는 푸셔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코어의 삽탈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바이스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시술 전 보형물 지지용 코어를 시술 장치에 장착시키거나 시술 후 코어를 시술 장치로부터 분리시키는 일련의 작업을 빠른 시간에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는 몸체, 전방 캡 및 후방 캡을 포함하는 분리형 하우징을 구성함으로써, 내부에 장착되는 바이스유닛, 탄성부재, 샤프트 및 작동레버 등 구성부품의 관리가 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 장치를 파지한 시술자의 엄지 혹은 검지 위치에 배치된 작동레버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샤프트의 위치를 신속히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술 완료된 보형물의 위치변화 없이 코어만을 신속히 분리 제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보형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a)와, 단면도(b) 및 보형물에 코어가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c)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술 장치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술 장치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홀딩유닛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홀딩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이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레버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술 장치를 이용한 시술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발명은 시술자의 손가락으로 파지된 상태에서 보형물 지지용 코어를 안정적이고 손쉽게 시술 장치에 장착시킬 수 있고, 이렇게 장착 준비된 보형물을 환자의 인체 특정 위치에 정확히 삽입시키며, 이후 삽입 완료된 보형물로부터 코어를 신속 정확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시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보형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술 장치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술 장치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홀딩유닛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홀딩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이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술 장치(100)는 크게 하우징(110), 샤프트(120), 제1 탄성부재(130), 및 작동레버(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기본적으로 시술자가 시술 장치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시술 장치의 외형을 담당하는 것으로, 시술자의 엄지와 검지만으로도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10) 내에는 후술되는 샤프트(120)가 일정 스트로크 내에서 전후방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전방 일단에는 보형물(1) 지지용 코어(2)를 관통시킬 수 있게 코어 관통홀(1121)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후방 타단에는 샤프트(120)에 구비된 푸셔(121)를 외부로 돌출시켜 전후방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푸셔 관통홀(1111)이 구비된다.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10)은 하우징 몸체(111), 전방 캡(112) 및 후방 캡(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몸체(111)는 샤프트(120)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내부 중공 구조를 이루며 긴 형상으로 구성된다.
전방 캡(112)은 하우징 몸체(111)의 전방 일단에 결합되며 중앙부를 관통하여 코어 관통홀(1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코어 관통홀(1121)을 관통하면서 코어(2)는 하우징(110)의 내,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캡(112)에는 샤프트(120)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샤프트(120)를 향하는 내측에 조임 해제턱(1123)이 구비된다.
이러한 전방 캡(112)은 하우징(110)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고, 혹은 나사 결합되거나 혹은 억지 끼움 결합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후방 캡(113)은 하우징 몸체(111)의 후방 타단에 결합되며, 샤프트(12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후방 캡(113)은 샤프트(120)의 후방 끝단에 구비된 푸셔(121)를 관통시키는 푸셔 관통홀(1111)이 구비된다. 결국 샤프트(120)와 연결된 푸셔(121)는 그 끝단이 후방 캡(113)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후방 캡(113) 역시 하우징(110)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고, 혹은 나사 결합되거나 혹은 억지 끼움 결합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하우징(110) 외면에는 시술자가 시술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슬립(Slip)되지 않도록 논-슬립(Non-Slip) 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120)는 하우징(110) 내부를 따라 전후방향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제1 탄성부재(140)에 의해 하우징(110) 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탄력적으로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샤프트(120)의 전방 일단에는 코어(2) 단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코어홀딩유닛(130)이 구비되고,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는 후방 타단에는 푸셔(121)가 구비된다.
이러한 샤프트(120)는 하우징(110)의 전방 캡(112)과 후방 캡(113) 사이의 최대 스트로크를 가지며, 이렇게 제한된 샤프트(120)의 스트로크는 보형물 지지용 코어(2)의 길이와 상응하는 거리면 충분하다. 다시 말해, 보형물(1)에 장착된 코어(2)가 보형물(1)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길이를 만족하도록 설계된다.
제1 탄성부재(140)는 하우징(110)과 샤프트(120) 사이에 긴장 상태로 연결 구성된다.
결국 제1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120)는 하우징(110) 내에서 후방으로 가압 이동된다.
실시예에 의한 제1 탄성부재(140)는 샤프트(120)와 전방 캡(112)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 구조를 이루고 있다.
결국 푸셔(121)를 전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샤프트(120)는 제1 탄성부재(140)를 압축시키며 하우징(110) 내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렇게 전방 이동되는 샤프트(120)는 전방 캡(112)에 의해 이동이 구속된다.
반대로 푸셔(121)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샤프트(120)는 제1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10) 내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렇게 후방 이동되는 샤프트(120)는 후방 캡(113)에 의해 이동이 구속된다. 이처럼 제1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후방 이동되는 샤프트(120)는 후술되는 작동레버(150)의 조작여부에 따라 후방 캡(113)에 도달하기 전 하우징(110) 중앙 구간에서 위치 고정된다. 이는 작동레버(150)와 함께 후술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한편 실시예에 의한 코어홀딩유닛(130)은 연장샤프트(131), 바이스유닛(132) 및 제2 탄성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샤프트(131)는 샤프트(120)의 전방 끝단에서 코어 관통홀(1121)을 향하도록 전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바이스유닛(132)은 실질적으로 코어(2) 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유닛으로, 연장샤프트(131)의 전방 단부에 설치 구성된다.
제2 탄성부재(133)는 바이스유닛(132)이 코어(2) 단부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의한 제2 탄성부재(133)는 연장샤프트(131)를 감싸는 구조의 코일스프링 구조를 이루며, 바이스유닛(132)과 샤프트(120) 사이에 긴장된 상태로 개재되어 구성된다. 결국 제2 탄성부재(133)는 샤프트(120)로부터 하우징(110) 전방 캡(112)을 향해 바이스유닛(132)을 탄성 가압시킨다.
한편 실시예에 의한 바이스유닛(132)은 조임편(1321) 및 조임링(132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임편(1321)은 연장샤프트(131)의 전방 끝단에서 코어 관통홀(1121)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되, 코어 관통홀(1121)을 향하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경사진 둘레 외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조임편(1321)은 코어(2) 단부를 내부로 수용하는 고정홈(1321a)을 형성하며, 이 고정홈(1321a)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절개홈(1321b)들이 형성된다.
결국 조임편(1321)은 코어(2)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홈(1321a)을 형성하는 동시에 고정홈(1321a)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개홈(1321b)을 형성함으로써, 삽입된 코어(2) 둘레를 따라 등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로 배치된다.
이로써 복수개의 조임편(1321)은 고정홈(1321a)에 삽입된 코어(2)를 향해 서로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면서 코어(2)를 고정 지지하거나 코어(2)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코어(2)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조임편(1321)은 3 ~ 4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조임링(1322)은 복수개의 조임편(1321)을 감싸는 원통체 구조를 이루며, 제2 탄성부재(133)에 탄력 지지되어 코어 관통홀(1121)을 향해 가압 이동되면서 그 내측면이 조임편(1321)의 경사진 외면에 지지되게 구성된다.
이때 제2 탄성부재(133)는 실질적으로 샤프트(120)와 조임링(1322) 사이에 긴장된 상태로 개재됨에 따라, 샤프트(120)로부터 하우징(110) 전방 캡(112)을 향해 조임링(1322)을 전방으로 가압시킨다.
결국 제2 탄성부재(133)에 복원력에 의해 조임링(1322)은 조임편(1321)의 전방 끝단으로 서서히 이동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조임링(1322)의 내측면이 조임편(1321)의 경사진 외면을 가압시키고, 이에 따라 복수의 조임편(1321)은 서로 근접하게 오므려지며 코어(2)를 고정시킨다.
한편 조임링(1322)의 외측 둘레면에는 전방 캡(112)에 형성된 조임 해제턱(1123)을 대향하는 지지턱(1322a)이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레버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푸셔(121)를 통해 샤프트(120)에 외력이 전달되지 않을 시, 샤프트(120)는 제1 탄성부재(140)에 의해 후방으로 탄력 지지된 상태에서 작동레버(150)에 구속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작동레버(150)는 그 조작여부에 따라, 시술 전뿐만 아니라 인체로 보형물(1)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시술 장치(100)에 장착된 코어(2)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보형물(1)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 시술 장치(100)의 직접적인 핸들링 없이 보형물(1)로부터 코어(2)만을 신속히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작동레버(150)는 하우징(110)과 샤프트(120)를 서로 결속시킨 상태에서 보형물(1)에 장착된 코어(2)의 초기 장착 위치를 유지시키고, 하우징(110)과 샤프트(120)의 결속을 해제시킴에 따라 제1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으로부터 샤프트(120)가 하우징(110)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다시 말해 작동레버(150)의 미 작동 시에는 하우징(110)과 샤프트(120)를 결속시켜 하우징(110) 외부로 돌출된 코어(2)에 보형물(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탄성부재(140)를 가압시킨 상태에서 전방 이동된 샤프트(120)의 위치를 유지시키고, 작동 시(외력 전달 시)에는 하우징(110)과 샤프트(120)의 결속을 해제시켜 제1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120)의 후방 이동을 허용함에 따라 보형물(1)로부터 코어(2)를 분리시킨다.
실시예에 의한 작동레버(150)는 그 중간부가 하우징(110)에 힌지(151)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151)를 중심으로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되는 일단에는 샤프트(120)에 형성된 걸림턱(123)과 결속되는 걸게(152)가 구성되며,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에는 외력이 전달되는 조작단(153)이 구비된다.
또한 작동레버(150)는 하우징(110)과 작동레버(150)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스프링(154)을 통하여 중앙 힌지(151)를 중심으로 걸게(152)가 샤프트(120)를 향해 지속적으로 가압되는 구조를 이룬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술 장치를 이용한 시술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술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 전 시술 장치(100)는 샤프트(120)의 걸림턱(123)이 작동레버(150)의 걸게(152)에 결속된 위치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바이스유닛(132)의 조임링(1322)은 제2 탄성부재(133)에 의해 전방으로 탄력 지지되어 있어, 복수개의 조임편(1321)은 서로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코어(2) 장착이 불가하다.
결국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시술자)는 시술에 앞서 본 발명의 시술 장치(100)에 보형물(1)이 장착된 코어(2)를 탑재하여 준비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푸셔(121)를 가압하게 되면, 제1 탄성부재(140)를 압축시키며 샤프트(1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코어홀딩유닛(130)의 최전방에 배치된 바이스유닛(132) 역시 하우징(110)의 전방 캡(112)을 향해 이동된다.
이러한 바이스유닛(132)의 전방 이동 중, 바이스유닛(132)의 조임링(1322)이 전방 캡(112)의 조임 해제턱(1123)에 밀착되어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된다.
계속해서 푸셔(121)를 가압하면, 바이스유닛(132)의 조임편(1321)은 조임링(1322)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복수개의 조임편(1321)들이 방사상으로 서로 벌어져 코어(2)를 삽입시킬 수 있는 고정홈(1321a)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푸셔(121)의 가압을 지속시킨 상태에서, 전방 캡(112)의 코어 관통홀(1121)을 관통시켜 보형물(1)에 장착된 코어(2)의 한쪽 단부를 하우징(110) 내부로 이동시켜 조임편(1321)의 고정홈(1321a) 내부까지 삽입시킨다.
이후 푸셔(121)가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제1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샤프트(120)는 작동레버(150)에 결속될 때까지 후방 이동되고, 이때 바이스유닛(132)의 조임편(1321) 역시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때 전방 캡(112)에 지지되어 있던 조임링(1322)은 제2 탄성부재(133)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조임편(1321)의 둘레면을 감싸는 위치로 복귀된다. 이렇게 조임링(1322)의 내측면에 대해 경사진 외측면이 가압되는 복수개의 조임편(1321)은 서로 오므려지면서 고정홈(1321a) 내부로 삽입된 코어(2) 단부를 고정 파지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코어홀딩유닛(130)이 코어(2)를 파지한 상태에서 샤프트(120)는 제1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후방으로 계속해서 이동되다가 작동레버(150)의 걸게(53)에 걸림턱(123)이 걸림 지지되면서 후방 이동이 정지된다.
이상과 시술 장치에 보형물(1) 및 보형물 지지용 코어(2)의 탑재가 완료되면,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는 시술 장치(100)를 직접 핸들링하며 인체 시술 부위를 향해 보형물(1)을 삽입 시술한다.
이렇게 시술 부위에 보형물(1)을 정확히 삽입 완료시킨 이후, 시술자는 시술 장치(100)를 직접 핸들링하며 보형물(1)로부터 시술 장치(100) 전체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도 7 (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50)의 조작단(153)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보형물(1)로부터 코어(2)를 신속하게 분리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시술자는 시술 장치(100)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하우징(110)을 파지하고 있던 손가락으로 작동레버(150)의 조작단(153)을 살짝 눌려준다.
결국 작동레버(150)는 힌지(15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샤프트(120)의 걸림턱(123)에 결속되어 있던 걸게(152)가 걸림턱(123)으로부터 벗어나 샤프트(120)의 결속을 해제시킨다.
이렇게 작동레버(150)의 결속이 해제되면, 샤프트(120)는 제1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110) 내에서 후방으로 신속히 이동된다.
결국 이러한 샤프트(120)의 후방 이동과 연동하여 코어홀딩유닛(130)의 바이스유닛(132)에 고정 지지된 코어(2) 역시 연동하여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삽입 시술 완료된 보형물(1)로부터 분리되며 코어 관통홀(1121)을 관통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완전히 삽입 이동된다.
한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1 탄성부재(140)는 샤프트(120)와 전방 캡(112) 사이에 단순 개재되는 구조를 이룸에 따라, 작동레버(150)의 결속해제 시 제1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 급격히 후방 이동되는 샤프트(120)가 후방 캡(113)에 과도한 힘으로 충돌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20)를 대향하는 후방 캡(113)의 전방 내측에는 작동레버(150)의 결속해제 시 샤프트(120)와의 충격을 예방하기 위한 충격완충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좋다.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충격완충부재(160)로는 후방 캡(113)과 샤프트(120) 걸림턱(123)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개재시킨 것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달리 샤프트(120)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부품의 충격 소음이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한편 보형물 시술이 완료된 다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푸셔(121)를 가압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되었던 코어(2)를 다시 코어 관통홀(1121)을 관통시켜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이후 푸셔(121)의 계속된 가압으로부터 코어(2)를 파지하고 있던 바이스유닛(132)의 고정력을 해제시킨 다음, 시술 장치(100)로부터 이전 사용되었던 코어(2)를 분리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술 장치(100)는 코어(2)의 삽탈 조작이 용이한 코어홀딩유닛(130)을 포함한 샤프트(120)의 위치조절을 수행함으로써, 시술 장치(100)의 무리한 핸들링 없이 보형물의 파지, 보형물의 삽입 및 보형물과 코어의 분리를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시술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100)는 푸셔(121)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코어(2)의 삽탈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바이스유닛(132)을 포함함으로써, 시술 전 보형물 지지용 코어(2)를 시술 장치(100)에 장착시키거나 시술 후 코어(2)를 시술 장치(100)로부터 분리시키는 일련의 작업을 빠른 시간에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시술 작업을 간소화시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100)는 하우징 몸체(111), 전방 캡(112) 및 후방 캡(113)을 포함하는 분리형 하우징(110)을 구성함으로써, 내부에 장착되는 바이스유닛(132), 제1 탄성부재(140), 제2 탄성부재(133), 샤프트(120) 및 작동레버(150) 등의 관리가 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 장치(100)를 파지한 시술자의 엄지 혹은 검지 위치에 배치된 작동레버(150)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샤프트(120)의 위치를 신속히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술 완료된 보형물의 위치변화 없이 코어(2)만을 신속히 분리 제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술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구조의 바(bar)형 보형물(1) 시술에 대해 일회성이 아닌 코어(2)의 장치 및 분리과정을 수행하면서 반복하여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시술 장치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시술 장치는 인체 조직과의 높은 유착성과 함께 시술 부위를 이질감 없이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환자 개개인의 조직 특성에 따라 피부재생을 도울 수 있도록 생체재생 촉진재료를 추가 코팅하거나 생분해성 물질을 추가 블렌딩하는 등의 특성 변화가 용이한 임플란트(implant) 보형물에 대한 일련의 삽입 시술을 그 숙련도와 무관하게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 보형물 2: 코어
100: 시술 장치 110: 하우징
111: 하우징 몸체 112: 전방 캡
1121: 코어 관통홀 1123: 조임 해제턱
113: 후방 캡 1111: 푸셔 관통홀
120: 샤프트 121: 푸셔
123: 걸림턱 130: 코어홀딩유닛
131: 연장샤프트 132: 바이스유닛
1321: 조임편 1321a: 고정홈
1321b: 절개홈 1322: 조임링
1322a: 지지턱 133: 제2 탄성부재
140: 제1 탄성부재 150: 작동레버
151: 힌지 152: 걸게
153: 조작단 154: 스프링
160: 충격완충부재

Claims (7)

  1. 보형물 지지용 코어를 관통시키도록 전방 일단에 코어 관통홀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코어 관통홀을 향하는 전방 일단에는 코어 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코어홀딩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후방 타단에는 푸셔가 구비되는 샤프트;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샤프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를 결속시켜 보형물에 장착된 코어의 위치를 유지시키거나,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의 결속을 해제시켜 시술된 보형물로부터 코어를 분리시키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홀딩유닛은,
    상기 샤프트의 전방 끝단에서 상기 코어 관통홀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샤프트;
    상기 연장샤프트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며, 코어 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바이스유닛; 및
    상기 바이스유닛과 상기 샤프트를 연결하며, 상기 바이스유닛이 코어 단부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유닛은,
    상기 연장샤프트의 전방 끝단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코어 관통홀을 향하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조임편; 및
    상기 복수개의 조임편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제2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되어 상기 조임편의 경사진 외면을 가압하는 조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샤프트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중공 구조를 이루는 하우징 몸체;
    상기 하우징 몸체의 전방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코어 관통홀이 형성되는 전방 캡; 및
    상기 하우징 몸체의 후방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의 푸셔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5.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의 둘레에는 지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캡의 내측에는 상기 지지턱과 밀착되어, 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바이스유닛의 조임편으로부터 상기 조임링을 이격시키는 조임 해제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후방 단부에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상기 걸림턱에 결속되는 걸게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타단에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단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레버와 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걸림턱에 상기 걸게를 결속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캡의 전방 내측에는 상기 작동레버의 결속 해제 시, 후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충격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KR1020180140678A 2018-11-15 2018-11-15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KR102201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78A KR102201822B1 (ko) 2018-11-15 2018-11-15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78A KR102201822B1 (ko) 2018-11-15 2018-11-15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132A true KR20200057132A (ko) 2020-05-26
KR102201822B1 KR102201822B1 (ko) 2021-01-13

Family

ID=7091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678A KR102201822B1 (ko) 2018-11-15 2018-11-15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8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825U (ko) * 1998-06-17 2000-01-15 문윤호 샤프펜슬의 샤프심 송출장치
KR200321018Y1 (ko) 2003-04-26 2003-07-22 김영균 코 성형용 보경물 삽입장치
US7780730B2 (en) * 2006-09-25 2010-08-24 Iyad Saidi Nasal implant introduced through a non-surgical injection technique
WO2014134303A1 (en) * 2013-02-27 2014-09-04 Spirox, Inc. Nasal implant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KR20180059863A (ko) * 2015-09-25 2018-06-05 스파이록스 인코포레이티드 코 임플란트들 및 시스템들 및 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825U (ko) * 1998-06-17 2000-01-15 문윤호 샤프펜슬의 샤프심 송출장치
KR200321018Y1 (ko) 2003-04-26 2003-07-22 김영균 코 성형용 보경물 삽입장치
US7780730B2 (en) * 2006-09-25 2010-08-24 Iyad Saidi Nasal implant introduced through a non-surgical injection technique
WO2014134303A1 (en) * 2013-02-27 2014-09-04 Spirox, Inc. Nasal implant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KR20180059863A (ko) * 2015-09-25 2018-06-05 스파이록스 인코포레이티드 코 임플란트들 및 시스템들 및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822B1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2851B (zh) 用于装入和植入形状记忆植入物的方法与设备
CN111246808B (zh) 用于装入和植入形状记忆植入物的方法和设备
AU20143483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ramedullary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therefor
EP1699390B1 (en) Inserter instrument for implant
US11413163B2 (en) Inserter with impact and rotational drive advancement and implant holder with implant auto release
KR101600758B1 (ko) 식모기
WO2006036324A3 (en) Spinal fixation tool set and method for rod reduction and fastener insertion
KR101806960B1 (ko) 식모기
KR101806970B1 (ko) 식모기
JPWO2018235402A1 (ja) クリップ処置具
WO2005020853A2 (en) Intraocular lens injector
US20170367688A1 (en) Jaw for a surgical tubular shaft instrument
KR20200057132A (ko) 성형용 보형물 시술 장치
NL2015110B1 (en) Surgical suture apparatus, coupling unit, and method to provide a surgical suture apparatus.
US20150320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ramudullary implant and method of implantation thereof
EP3001967A1 (en) A head for holding a nail for bone implantology and kit thereof
EP3087951B1 (en) Breast implant introducer
KR20190010997A (ko) 치과용 픽스쳐 드라이버
EP2915494A1 (en) Surgical extraction device
KR200481949Y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CN113164174A (zh) 供给器、医疗设备以及医疗设备的安装方法
CN110584769B (zh) 一种枪式复位钳以及器械包
US20240148493A1 (en) Push mechanism for interfacing a drive mechanism handpiece with an introacular lens cartridge
JP2017525535A (ja) 装着方向表示付き外科用鉗子顎装具
CN113766898A (zh) 假体椎间盘放置和移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