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6388A - 뼈 내고정술용 겸자 - Google Patents

뼈 내고정술용 겸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388A
KR20210116388A KR1020210120808A KR20210120808A KR20210116388A KR 20210116388 A KR20210116388 A KR 20210116388A KR 1020210120808 A KR1020210120808 A KR 1020210120808A KR 20210120808 A KR20210120808 A KR 20210120808A KR 20210116388 A KR20210116388 A KR 20210116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rip
gripping
bone
forc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844B1 (ko
Inventor
신승한
정양국
윤도군
김무섭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844B1/ko
Publication of KR2021011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bone plates, or for adjusting screw-to-plate l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61B17/282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6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for gripping or pushing bones, e.g. approxim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9Tens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812Surgical forceps with a single pivotal connection
    • A61B17/282Jaws
    • A61B2017/2825Inserts of different material in ja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뼈 내고정술용 겸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내고정술용 겸자는 뼈의 제1 측면을 파지하기 위한 제1 파지부와 상기 제1 파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뼈의 제1 측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측면을 파지하기 위한 제2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부의 내측면은 3차원 촬상된 상기 제1 측면을 기초로 상기 제1 파지부의 내측면이 상기 제1 측면에 3차원적으로 대응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지부의 내측면은 3차원 촬상된 상기 제2 측면을 기초로 상기 제2 파지부의 내측면이 상기 제2 측면에 3차원적으로 대응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밀접 접촉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수용되는 중공형의 제4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뼈 내고정술용 겸자{FORCEPS FOR INTERNAL FIXATION OF BONE}
본 발명은 뼈 내고정술에 사용되는 제3 부재와 뼈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에 뼈 내고정술용 겸자에 관한 것이다.
사고로 인해 골절이 발생하거나, 교정을 위해 뼈를 절단한 후 접합하기 위해서는 뼈를 정합하여 제3 부재와 나사못 등으로 고정하는데, 이러한 시술법을 내고정술(internal fixation, osteosunthesis)이라고 하며, 어긋난 뼈가 원형을 갖추도록 하는 작업을 정복(reduction)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내고정술은 금속 재질의 제3 부재를 골절선 또는 뼈의 절단면을 건너가도록 뼈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3 부재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못을 박아서 양 뼈를 고정하는 시술법이다.
이러한 내고정술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1084호(발명의 명칭: 골절부위 지지용 클램프)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특허를 포함한 종래 클램프는 제3 부재에 간섭이 없도록 양 뼈를 파지하는 구조로서, 제3 부재와 뼈를 동시에 파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3 부재를 뼈에 밀착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골절부 또는 뼈를 절단한 부위에 클램프를 적용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뼈에서 연부조직을 벗겨 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클램프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뼈의 다양한 외표면을 고려할 때 상기 제3 부재를 뼈의 외표면에 정밀하게 배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골절부 또는 뼈를 절단한 부위의 연부조직 박리는 뼈로 가는 혈류를 차단하여 골유합을 저해하고 수술 시간을 연장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클램프는 제3 부재 식립의 정밀도와 이에 따른 양 뼈의 정합성을 감소시키고, 수술 결과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견고하게 양 뼈와 제3 부재를 동시에 파지함으로써 뼈 내고정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뼈 내고정술용 겸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부재이 식립될 방향의 피부와 근육만을 국부적으로 절개하여도 견고하게 양 뼈와 제3 부재를 파지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고려한 뼈 내고정술용 겸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뼈의 제1 측면을 파지하기 위한 제1 파지부와 상기 제1 파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뼈의 제1 측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측면을 파지하기 위한 제2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부의 내측면은 3차원 촬상된 상기 제1 측면을 기초로 상기 제1 파지부의 내측면이 상기 제1 측면에 3차원적으로 대응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지부의 내측면은 3차원 촬상된 상기 제2 측면을 기초로 상기 제2 파지부의 내측면이 상기 제2 측면에 3차원적으로 대응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밀접 접촉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수용되는 중공형의 제4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는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가 상기 제4 부재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지부 및 상기 제2 파지부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4부재의 내주면이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의 외측면에 밀접 접촉되어 상기 제 4 부재가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파지부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2 파지부의 내측면은 일부 또는 전부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뼈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의 부분인 상기 뼈의 제3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측면에 나사산 결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3 부재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길이 방향이 수직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부재의 내측면은 3차원 촬상된 상기 제3 측면을 기초로 상기 제3 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제3 측면에 3차원적으로 대응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3 부재의 상기 내측면의 일측을 상기 뼈의 제3 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3 부재의 외측면의 일측을 상기 제1 그립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1 그립부의 상기 제1 파지부 측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3 부재의 상기 내측면의 타측을 상기 뼈의 제3 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3 부재의 외측면의 타측을 상기 제2 그립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2 그립부의 상기 제2 파지부 측 일단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고정부는 일측면이 상기 제3 부재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 고정체와, 상기 제1 고정체의 타측면과 상기 제1 파지부의 사이 또는 상기 제1 고정체의 타측면과 상기 제1 그립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체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일측면이 상기 제3 부재의 나머지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고정체와, 상기 제2 고정체의 타측면과 상기 제2 파지부의 사이 또는 상기 제2 고정체의 타측면과 상기 제2 그립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체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그립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그립부의 내측면에 상기 체결홈부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부가 체결되는 체결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돌기부와 체결홈부는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그립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립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4 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제2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견고하게 양 뼈와 제3 부재를 파지함으로써 뼈에 제3 부재를 정밀하게 식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부재를 식립할 방향으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이동하여 뼈와 제3 부재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제3 부재이 식립될 방향의 피부와 근육만을 국부적으로 절개하여 뼈 내고정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내고정술용 겸자의 조립 전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내고정술용 겸자의 상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부재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내고정술용 겸자의 조립 전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내고정술용 겸자의 상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내고정술용 겸자(100)는 크게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4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에 따른 뼈 내고정술용 겸자(100)가 뼈(10)로 진행하는 방향을 전방, 반대의 방향을 후방, 후술할 제1 부재(110)의 방향을 좌측, 후술할 제2 부재(120)의 방향을 우측이라 정의한다.
또한, 후술할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가 상호 대향하는 각각의 면을 내측면이라 정의한다.
제1 부재(110)는 뼈(10)의 제1 측면을 파지하기 위한 제1 파지부(111)와 상기 제1 파지부(11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 그립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재(120)는 뼈(10)의 제1 측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측면을 파지하기 위한 제2 파지부(121)와 상기 제2 파지부(121)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그립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는 한 쌍으로서 뼈(10)와 후술할 제3 부재(130)를 파지하기 위한 겸자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뼈(10)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후술할 제3 부재(130)가 식립되는 뼈(10)의 제3 측면의 양 옆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내고정술용 겸자(100)에서, 상기 제1 파지부(111)의 내측면은 상기 뼈(10)의 제1 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지부(121)의 내측면은 상기 뼈(10)의 제2 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내고정술용 겸자(100)는 의료용 기기로 촬상된 뼈(10)의 구체적인 형상에 따라 맞춤형 겸자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파지부(111)의 내측면과 제2 파지부(121)의 내측면이 뼈(10)의 정확한 부위를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할 제3 부재(130)의 배치 정밀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파지부(111)의 내측면과 제2 파지부(121)의 내측면의 맞춤형 형상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는 의료용 기기로 촬상된 뼈(10)의 구체적인 형상을 기초로 한 데이터를 가지고 3D 프린터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지부(111)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2 파지부(121)의 내측면은 일부 또는 전부에 요철부(113, 123)가 형성되어 뼈(10)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113, 123)는 도시된 것과 같이 뼈(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기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는 전체적으로 상호 대칭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파지부(111)의 내측면과 제2 파지부(121)의 내측면은 뼈(10)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부재(130)는 상기 뼈(10)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인 뼈(10)의 제3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뼈(10)의 제3 측면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금속판 또는 플레이트라고 명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부재(130)는 양 측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체결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부재(130)는 기존의 금속판과 달리, 상기 제3 부재(130)의 내측면(전방면)은 뼈(10)의 제3 측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양 뼈(10)의 고정을 위한 위치에 정밀하게 상기 제3 부재(130)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부재(130)의 내측면의 맞춤형 형상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부재(130)는 의료용 기기로 촬상된 뼈(10)의 구체적인 형상을 기초로 한 데이터를 가지고 3D 프린터로써 제조될 수 있다.
뼈(10)의 제3 측면에 배치된 상기 제3 부재(130)를 견고하게 파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부재(110)는 상기 제1 파지부(111)와 제1 그립부(112) 사이에서 상기 제3 부재(130)의 일부를 상기 뼈(10)의 제3 측면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1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120)는 상기 제2 파지부(121)와 제2 그립부(122) 사이에서 상기 제3 부재(130)의 나머지 일부를 상기 뼈(10)의 제3 측면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14)와 제2 고정부(124)는 두 가지 실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첫째로, 상기 제1 고정부(114)와 제2 고정부(124)가 상기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고정부(114)는 파지할 상기 제3 부재(130)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파지부(111)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124)는 파지할 상기 제3 부재(130) 나머지 일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파지부(121)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뼈 내고정술용 겸자가 뼈(10)의 형상에 따라 전체적으로 맞춤 제작되는 경우, 이러한 첫 번째 실시예의 파지력은 보장되어질 수 있다.
둘째로, 상기 제1 고정부(114)와 제2 고정부(124)가 각각 상기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고정부(114)는 일측면이 상기 제3 부재(130)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 고정체(114a)와, 상기 제1 고정체(114a)의 타측면과 상기 제1 파지부(111)의 사이 또는 상기 제1 고정체(114a)의 타측면과 상기 제1 그립부(1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체(114a)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체(114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124)는 일측면이 상기 제3 부재(130)의 나머지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고정체(124a)와, 상기 제2 고정체(124a)의 타측면과 상기 제2 파지부(121)의 사이 또는 상기 제2 고정체(124a)의 타측면과 상기 제2 그립부(1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체(124a)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체(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두 번째 실시예는 뼈(10)의 방향인 전방으로 상기 제3 부재(130)를 가압하여 배치하는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제3 부재(130)의 배치 정밀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적 사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부재(110)는 상기 제1 그립부(11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홈부(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120)는 상기 제2 그립부(122)의 내측면에 상기 체결홈부(115)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부(115)가 체결되는 체결돌기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뼈(10)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파지한 상태에 있는 상기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비틀림 및 전, 후방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더욱 보장하기 위해, 상기 체결돌기부(125)와 체결홈부(115)는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립부(112)와 제2 그립부(122)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에 고정력을 제공하는 제4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4 부재(140)에 의해 뼈(10)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파지력을 더욱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제1 그립부(112)와 제2 그립부(122)는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부재(140)의 내측면은 상기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쐐기와 같은 결합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파지력을 더욱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제1 그립부(112)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고정돌기(116)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립부(122)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고정돌기(126)가 형성되고, 상기 제4 부재(14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고정돌기(116)와 제2 고정돌기(126)에 대응되는 고정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제3 부재(130)를 뼈(10)에 식립하기 위해, 피부와 근육을 국부적으로 절개하여 시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정복될 뼈(10) 뿐만 아니라 상기 제3 부재(130)를 같이 파지하여 더욱 정밀한 시술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뼈 100: 뼈 내고정술용 겸자
110: 제1 부재 111: 제1 파지부
112: 제1 그립부 113: 요철부
114: 제1 고정부 114a: 제1 고정체
114b: 제1 탄성체 115: 체결홈부
116: 제1 고정돌기 120: 제2 부재
121: 제1 파지부 122: 제2 그립부
123: 요철부 124: 제2 고정부
124a: 제2 고정체 124b: 제2 탄성체
125: 체결돌기부 126: 제2 고정돌기

Claims (8)

  1. 뼈의 제1 측면을 파지하기 위한 제1 파지부와 상기 제1 파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뼈의 제1 측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제2 측면을 파지하기 위한 제2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지부의 내측면은 3차원 촬상된 상기 제1 측면을 기초로 상기 제1 파지부의 내측면이 상기 제1 측면에 3차원적으로 대응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지부의 내측면은 3차원 촬상된 상기 제2 측면을 기초로 상기 제2 파지부의 내측면이 상기 제2 측면에 3차원적으로 대응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밀접 접촉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가 수용되는 중공형의 제4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립부와 상기 제2 그립부는 자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가 상기 제4 부재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지부 및 상기 제2 파지부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4 부재의 내주면이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의 외측면에 밀접 접촉되어 상기 제4 부재가 상기 제1 그립부 및 상기 제2 그립부와 결합되는, 뼈 내고정술용 겸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2 파지부의 내측면은 일부 또는 전부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뼈 내고정술용 겸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뼈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의 부분인 상기 뼈의 제3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측면에 나사산 결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3 부재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길이 방향이 수직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부재의 내측면은 3차원 촬상된 상기 제3 측면을 기초로 상기 제3 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제3 측면에 3차원적으로 대응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뼈 내고정술용 겸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3 부재의 상기 내측면의 일측을 상기 뼈의 제3 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3 부재의 외측면의 일측을 상기 제1 그립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1 그립부의 상기 제1 파지부 측 일단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3 부재의 상기 내측면의 타측을 상기 뼈의 제3 측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3 부재의 외측면의 타측을 상기 제2 그립부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2 그립부의 상기 제2 파지부 측 일단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뼈 내고정술용 겸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일측면이 상기 제3 부재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 고정체와, 상기 제1 고정체의 타측면과 상기 제1 파지부의 사이 또는 상기 제1 고정체의 타측면과 상기 제1 그립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체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일측면이 상기 제3 부재의 나머지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고정체와, 상기 제2 고정체의 타측면과 상기 제2 파지부의 사이 또는 상기 제2 고정체의 타측면과 상기 제2 그립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체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뼈 내고정술용 겸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그립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체결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2 그립부의 내측면에 상기 체결홈부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부가 체결되는 체결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뼈 내고정술용 겸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부와 체결홈부는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뼈 내고정술용 겸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립부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4 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고정돌기와 제2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뼈 내고정술용 겸자.
KR1020210120808A 2019-01-24 2021-09-10 뼈 내고정술용 겸자 KR102310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808A KR102310844B1 (ko) 2019-01-24 2021-09-10 뼈 내고정술용 겸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330A KR102302985B1 (ko) 2019-01-24 2019-01-24 뼈 내고정술용 겸자
KR1020210120808A KR102310844B1 (ko) 2019-01-24 2021-09-10 뼈 내고정술용 겸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330A Division KR102302985B1 (ko) 2019-01-24 2019-01-24 뼈 내고정술용 겸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388A true KR20210116388A (ko) 2021-09-27
KR102310844B1 KR102310844B1 (ko) 2021-10-07

Family

ID=717357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330A KR102302985B1 (ko) 2019-01-24 2019-01-24 뼈 내고정술용 겸자
KR1020210120808A KR102310844B1 (ko) 2019-01-24 2021-09-10 뼈 내고정술용 겸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330A KR102302985B1 (ko) 2019-01-24 2019-01-24 뼈 내고정술용 겸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57237B2 (ko)
KR (2) KR102302985B1 (ko)
WO (1) WO2020153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2829B4 (de) * 2020-09-01 2022-07-14 Morina Gazmend Operationszange zum Halten zweier Knochenteile
KR20240036309A (ko) 2022-09-13 2024-03-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골조면 이식핀 포셉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경골조면 이식 수술용 의료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8398A1 (en) * 2004-04-12 2005-10-13 Rathbun David S Free hand drill guide
KR20110038692A (ko) * 2008-07-29 2011-04-14 신세스 게엠바하 플레이트 지지 뼈 집게 및 사용방법
US20120271366A1 (en) * 2011-04-19 2012-10-25 Biomet Manufacturing Corp. Patient-specific fracture fixation instrumentation and method
US20160038200A1 (en) * 2014-08-08 2016-02-11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Surgical forceps system
US20170172638A1 (en) * 2015-08-14 2017-06-22 Treace Medical Concepts, Inc. Bone positioning and preparing guide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0302A (en) * 1986-06-17 1988-12-13 Colwill John C Method and apparatus for fixing bone fractures
US5849012A (en) * 1996-03-11 1998-12-15 Abboudi; Shalom Y. Surgical clamp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TWI577322B (zh) * 2010-04-27 2017-04-11 星瑟斯有限公司 鑷子及骨骼固定組件
KR101230124B1 (ko) 2011-03-31 2013-02-0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절부위 지지용 클램프
US10617457B2 (en) 2016-03-03 2020-04-14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Forceps for handling/holding a mobile wedge pla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8398A1 (en) * 2004-04-12 2005-10-13 Rathbun David S Free hand drill guide
KR20110038692A (ko) * 2008-07-29 2011-04-14 신세스 게엠바하 플레이트 지지 뼈 집게 및 사용방법
US20120271366A1 (en) * 2011-04-19 2012-10-25 Biomet Manufacturing Corp. Patient-specific fracture fixation instrumentation and method
US20160038200A1 (en) * 2014-08-08 2016-02-11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Surgical forceps system
US20170172638A1 (en) * 2015-08-14 2017-06-22 Treace Medical Concepts, Inc. Bone positioning and preparing guide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7237B2 (en) 2024-01-02
KR102310844B1 (ko) 2021-10-07
KR20200092149A (ko) 2020-08-03
WO2020153615A1 (ko) 2020-07-30
US20220133378A1 (en) 2022-05-05
KR102302985B1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0844B1 (ko) 뼈 내고정술용 겸자
US10631902B2 (en) Bone shortening device and method
US11801063B2 (en) Flexible guide for application of bone plates
DE602004005270D1 (de) Halswirbelstabilisierungsvorrichtung und Schraubenzieher dafür
JP7326381B2 (ja) 指節骨頭部プレート
US11707308B2 (en) Implant positioner and sternal plating system
JP2012517869A (ja) 手術用ピンセット
WO2018183884A1 (en) Bone fixation system, assembly, devices, insertion guides, and methods of use
KR101924720B1 (ko) 골절 정복용 기구
US20220054145A1 (en) Surgical instrument and surgical instrument system
CA2896953C (en) Fixation implant devices, systems, kits, and methods
JP2018038447A (ja) 爪矯正具
JP3740640B2 (ja) 創外固定器
KR101542438B1 (ko)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KR20180077737A (ko) 하이브리드 타입 뼈 치료 유닛
JP2018015574A (ja) 大腿骨骨折用の治療器具及び固定プレート
KR102422928B1 (ko) 골접합용판
JP2013111260A (ja) 脊椎固定用手術器具
KR20200119121A (ko)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결속구
CN108969084B (zh) 骨固定装置
KR101794435B1 (ko) 가압부재를 이용한 철심 조립체
KR20220082217A (ko) 비골 절골술용 고정 플레이트 장치
JP2017506114A (ja) 外科用器具
JP6270933B2 (ja) 大腿骨骨折用の治療器具及び固定プレート
KR20230016801A (ko) 인체의 뼈 고정용 타겟팅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