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991B1 -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991B1
KR101594991B1 KR1020140002799A KR20140002799A KR101594991B1 KR 101594991 B1 KR101594991 B1 KR 101594991B1 KR 1020140002799 A KR1020140002799 A KR 1020140002799A KR 20140002799 A KR20140002799 A KR 20140002799A KR 101594991 B1 KR101594991 B1 KR 101594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one
fixing
main body
posit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472A (ko
Inventor
송창훈
이창훈
이관주
Original Assignee
큐렉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렉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큐렉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99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뼈의 형상이나 굵기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과 시술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시술 부위나 시술 목적에 맞게 설치형태 및 설치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뼈의 고정시에 인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술 로봇의 이동이나 작동에 간섭현상이 발생 되지않아 원활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있어서,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에 형성되는 제1 클램프부재; 상기 제1 클램프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클램프부재; 상기 제2 클램프부재의 정위치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 본체에 설치되는 클램프고정부재; 및 상기 클램프 본체,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 중에서 어느 한 곳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클램프설치부에 접속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는 클램프몸체와 상기 클램프몸체에 형성되어 뼈에 밀착되는 밀착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밀착부가 상기 클램프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몸체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밀착부는 배치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프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조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에 밀착부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고, 밀착부에 형상이나 길이가 다양한 위치조정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시술하고자 하는 뼈의 위치나 형상에 따라 위치조정부재를 포함하는 밀착부를 적절하게 변경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정형외과 시술광정에서 뼈를 고정하는 작업을 인체와의 간섭현상을 최소화하면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시술용 로봇 또는 시술용 의료도구나 기기의 이동 및 작동에 간섭현상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시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치조정부재를 포함하는 밀착부를 적절하게 변경할 경우 시술시에 인체의 피하조직 및 근육 등 불필요하게 많은 부위를 절개하거나 제거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어서 시술 시간이 단축되고, 환자의 치유 기간 또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ORTHOPEDIC SURGICAL CLAM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뼈의 형상이나 굵기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과 시술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시술 부위나 시술 목적에 맞게 설치형태 및 설치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뼈의 고정시에 인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술 로봇의 이동이나 작동에 간섭현상이 발생 되지않아 원활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관절 손상 외에, 노령 인구의 증가로 관절염 및 고관절부 골다공성 골절 등 관절질환 환자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관절질환은 초기이거나 경미한 경우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지만 질환의 정도가 심하거나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수술적 치료는 관절 내시경 수술, 연골 세포 이식술 등이 있고, 중증의 질환일 경우 인공관절 수술을 받게 된다.
인공관절 수술은 외과 수술적으로 손상된 뼈와 연골을 관절 양쪽에서 정교하게 잘라내고 관절의 대신하는 인공물인 임플란트를 설치하는 시술로서 로봇을 이용하여 시행한다.
로봇을 이용한 인공관절 수술은 컴퓨터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로봇의 위치 가변형 팔의 말단부에 장착된 절삭장치의 커터를 회전시켜 무릎뼈를 깎아내고 인공무릎관절인 임플란트를 장착하는 시술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인공관절 수술은 시술중에 뼈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요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임플란트가 설치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양쪽 뼈를 잡아주는 고정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고정기구는 대략 막대 형상을 갖는 지지대로 구성된 것으로 뼈 고정홀을 천공하고 이 고정홀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고정기구는 드릴 등을 이용하여 뼈에 고정홀을 천공하여야 하므로 시술 시간이 증가되고 치료 부위인 관절 부분 외에 주변 뼈를 손상시키게 되므로 치료 기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고정기구의 설치를 위해 뼈에 드릴링을 수행할 경우 뼈의 재생이 어려워 골절이 쉽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고정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래에는 시술시에 뼈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02219호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관절(10a)을 수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대퇴골(10)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용 클램프(40), 상기 고정용 클램프(40)와 체결부재(46)에 의하여 연결된 링크(42) 및 상기 링크(42)와 체결부재(46)에 의하여 연결된 로봇설치대(44)로 구성되어, 상기 대퇴골(10)과 로봇(50)간의 움직임을 봉쇄함으로써 로봇이용 고관절 수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전술한 공개특허 제10-2003-0002219호에 나타난 고정기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40)에서 뼈에 삽입되는 부분의 개구부 크기가 특정 간격을 갖도록 정해져 있으므로 신체 부위나 남녀노소에 따라 뼈의 굵기 다르다는 점을 고려할 때 사용이 불편하고 호환성이 결여된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21407호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을 이용한 관절 표면 치환 수술에 사용되는 클램프에 있어서, 뼈의 소정 영역을 파지하는 파지부(4120,4220), 및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며, 일측면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측정점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몸체(4200)는 상기 제 1 몸체(4100)와 결합되며, 상기 제 1 몸체(4100)에 대해 상대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클램프(4000)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등록특허 제10-0921407호는 제 2 몸체(4200)를 제 1 몸체(4100)상에서 이동시켜 파지부(4120,4220) 사이의 개구부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뼈의 굵기에 차이가 있더라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하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전술한 등록특허 제10-0921407호는 파지부(4120,4220)의 돌출길이가 짧고 제 1 몸체(4100)와 제 2 몸체(4200)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설치시 인체와의 간섭현상이 발생되므로 고정작업이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설치작업 자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고, 시술용 로봇의 이동이나 작동에 간섭을 초래하여 원활한 시술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둘째, 전술한 등록특허 제10-0921407호는 파지부(4120,4220)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뼈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여야 하므로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피하조직 및 근육 등 불필요하게 많은 부위를 절개하거나 제거하여야 하므로 시술이 어렵고 시술 시간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치유 기간 또한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셋째, 전술한 등록특허 제10-0921407호는 파지부(4120,4220)의 단부가 날카로운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단부를 뼈에 접촉시킬 경우 미끄러지게 되므로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서 원활한 시술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뼈의 형상이나 굵기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과 시술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술 부위나 시술 목적에 맞게 설치형태 및 설치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뼈의 고정시에 인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술 로봇의 이동이나 작동에 간섭현상이 발생 되지않아 원활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있어서,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에 형성되는 제1 클램프부재; 상기 제1 클램프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클램프부재; 상기 제2 클램프부재의 정위치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 본체에 설치되는 클램프고정부재; 및 상기 클램프 본체,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 중에서 어느 한 곳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클램프설치부에 접속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는 클램프몸체와 상기 클램프몸체에 형성되어 뼈에 밀착되는 밀착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밀착부가 상기 클램프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몸체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밀착부는 배치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프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조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조정부재는 직선형, 굴곡형, 직선형 및 굴곡형이 혼합된 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연결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몸체는 상기 제1 연결부가 결합되는 제1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결합되는 제2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는 봉상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수나사부에 삽입,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 및 상기 밀착부의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연결대 고정너트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램프 본체는 상기 제1 클램프부재의 클램프몸체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거리조정용 나사산이 형성된 봉상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클램프부재는 상기 클램프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접속공과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클램프고정부재는 상기 제2 클램프부재의 앞쪽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거리조정용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1 고정너트와, 상기 제2 클램프부재의 뒤쪽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거리조정용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2 고정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밀착부는 뼈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착부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의하면,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에 밀착부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고, 밀착부에 형상이나 길이가 다양한 위치조정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시술하고자 하는 뼈의 위치나 형상에 따라 위치조정부재를 포함하는 밀착부를 적절하게 변경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정형외과 시술광정에서 뼈를 고정하는 작업을 인체와의 간섭현상을 최소화하면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시술용 로봇 또는 시술용 의료도구나 기기의 이동 및 작동에 간섭현상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시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치조정부재를 포함하는 밀착부를 적절하게 변경할 경우 시술시에 인체의 피하조직 및 근육 등 불필요하게 많은 부위를 절개하거나 제거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어서 시술 시간이 단축되고, 환자의 치유 기간 또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위치조정부재를 클램프몸체 및 밀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밀착부에 분리구조의 밀착편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분리할 수 있도록 하게 되면 시술하고자 하는 뼈의 위치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면서 정형외과 시술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위치조정부재의 다른 형태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위치조정부재의 다른 형태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밀착부의 다른 형태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는 클램프 본체(1), 제1 클램프부재(2), 제2 클램프부재(3), 클램프고정부재(4), 및 지지부재(5)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1,2)의 뼈를 직접적으로 고정하는 부분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조정부재(6)를 더 구비함으로서, 뼈의 형상이나 굵기에 상관 없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시술 부위나 시술 목적에 맞게 설치형태 및 설치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클램프 본체(1)는 고정기구의 골격에 해당되는 부재로서 길이가 긴 봉 구조의 봉상몸체(11) 외주면에 거리조정용 나사산(12)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봉상몸체(11)는 사각, 타원 등의 단면구조를 갖는 봉으로도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되는 제1 및 제2 고정너트(41,42)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원형 단면 구조를 갖는 봉으로 형성된다.
제1 클램프부재(2)는 클램프 본체(1)의 앞쪽 단부에 배치되어 뼈의 일측 면을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클램프 본체(1)의 앞쪽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클램프몸체(21)와 이 클램프몸체(21)에 형성되어 뼈에 밀착되는 밀착부(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클램프부재(2)는 뼈를 고정하는 부분인 밀착부(22)의 배치위치를 시술 부위나 시술 목적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클램프몸체(2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점에 주요한 특징이 있다.
한편, 제2 클램프부재(3)는 클램프 본체(1)의 뒤쪽에 배치되어 뼈의 타측 면을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 클램프부재(2)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클램프 본체(3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클램프부재(3)는 클램프 본체(1)에 접속되는 클램프몸체(31)와 이 클램프몸체에 형성되어 뼈에 밀착되는 밀착부(32)로 구성된다. 이때, 뼈를 고정하는 부분인 밀착부(32)는 배치위치를 시술 부위나 시술 목적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클램프몸체(3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점에 주요한 특징이 있다.
또한, 제2 클램프부재(3)의 클램프몸체(31)는 클램프 본체(1)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단에 접속공(312)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재(5)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공(313)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위치조정부재의 다른 형태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는 밀착부(22,32)의 배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밀착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위치조정부재(6)가 더 구비되어 클램프몸체(21,31)에 설치된다. 이때, 위치조정부재(6)는 정형외과 수술시에 다양한 부위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길이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위치조정부재(6)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조정부재(6)는 직선형과 굴곡형이 혼합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고 길이와 높이 및 직경도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조정부재(6)는 봉상 연결대(61)의 일단이 밀착부(22,32)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클램프몸체(21,31)에 형성되는 접속부(211,311)에 접속되도록 연결부(6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클램프고정부재(4)는 제2 클램프부재(3)의 정위치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클램프 본체(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제2 클램프부재(3)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구조라면 특별히 구조에 제한은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클램프부재(3)의 앞쪽 부분에 위치하도록 거리조정용 나사산(12)에 체결되는 제1 고정너트(41)와, 제2 클램프부재(3)의 뒤쪽 부분에 위치하도록 거리조정용 나사산(12)에 체결되는 제2 고정너트(42)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5)는 수술용 고정기구 전체를 움직임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클램프 본체(1),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2,3) 중에서 어느 한 곳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의료용 시술로봇과 같은 클램프설치부(미도시)에 접속된다. 그리고 지지부재(5)는 대략 봉상부재로 형성되어 일단이 제2 클램프부재(3)의 클램프몸체(31)에 형성된 결합공(313)에 결합되고 타단이 의료용 시술로봇에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의 조립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제1 클램프부재(2)의 클램프몸체(21)에 수술 부위의 뼈(b) 형상과 고정위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형상과 길이를 갖는 위치조정부재(6)가 장착된 밀착부(22)를 선택하여 연결부(62)를 접속부(211)에 체결, 조립하고, 제2 클램프부재(3)의 클램프몸체(31)에도 적절한 형상과 길이를 갖는 위치조정부재(6)가 장착된 밀착부(32)를 선택하여 연결부(62)를 접속부(311)에 체결, 조립한다.
이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램프부재(3)의 접속공(312)을 클램프 본체(1)의 거리조정용 나사산(12)에 삽입한 다음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2,3)가 고정하고자 하는 뼈(b)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 클램프부재(3)를 이동시켜 제1 클램프부재(2)의 밀착부(22)가 뼈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제2 클램프부재(3)의 밀착부(32)가 뼈(b)의 타측 표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제1 고정너트(41)에 조임력을 인가하여 제2 클램프부재(3)의 앞쪽 부분에 밀착되도록 나사 이동시키고, 제2 고정너트(42)에 조임력을 인가하여 제2 클램프부재(3)의 뒤쪽 부분에 밀착되도록 나사 이동시켜 제2 클램프부재(3)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고정너트(41,42)에 의해 제2 클램프부재(3)가 정위치 되어 고정되면 의료용 시술로봇에 의해 무릎관절 임플란트 시술을 정해진 순서와 절차에 따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는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2,3)에 밀착부(22,32)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고, 밀착부에(22,32)는 형상이나 길이가 다양한 위치조정부재(6)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시술하고자 하는 뼈의 위치나 형상에 따라 위치조정부재를 포함하는 밀착부를 적절하게 변경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정형외과 시술시 뼈를 고정하는 작업을 인체와의 간섭현상을 최소화하면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시술용 로봇 또는 시술용 의료도구나 기기의 이동 및 작동에 간섭현상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시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조정부재(6)를 포함하는 밀착부(22,32)를 적절하게 변경할 경우 시술시에 인체의 피하조직 및 근육 등 불필요하게 많은 부위를 절개하거나 제거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어서 시술 시간이 단축되고, 환자의 치유 기간 또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6a 및 도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는 클램프 본체(1), 제1 클램프부재(2), 제2 클램프부재(3), 클램프고정부재(4), 및 지지부재(5)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2,3)의 밀착부(22,32) 배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조정부재(6)를 더 구비하되 이 위치조정부재(6)가 밀착부(22,32)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독립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위치조정부재의 다른 형태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위치조정부재(6)는 도6b,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굴곡형, 또는 직선형 및 굴곡형이 혼합된 구조로 형성된 연결대(63), 이 연결대(63)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64), 및 이 연결대(63)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6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연결부(64,65)는 후술되는 제1 접속부(213,313) 및 제2 접속부(223,323)의 수나사부가 삽입,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2,3)의 클램프몸체(21,31)에는 위치조정부재(6)의 제1 연결부(64)가 결합되는 제1 접속부(213,313)가 형성되어 있고, 밀착부(22,32)에는 제2 연결부(65)가 결합되는 제2 접속부(223,3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접속부(213,313;223,323)는 봉상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는 상기 연결대(63)를 클램프몸체(21,3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접속부(213,313)에 체결되어 제1 연결부(64)에 조임되는 연결대 고정너트(66)와, 연결대(63)를 밀착부(22,32)에 견고한 고정하기 위해 제2 접속부(223,323)에 체결되어 제2 연결부(65)에 조입되는 연결대 고정너트(66)가 구비되어 있다. 이 연결대 고정너트(66)는 위치조정부재(6)의 제1 및 제2 연결부(64,65)가 제1 및 제2 접속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조임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체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사용중에 위치조정부재(6)가 뒤틀리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밀착부의 다른 형태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는 시술 부위나 시술 목적에 따라 고정하여야 할 뼈의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 뼈에 밀착되는 부분인 밀착부(22,32)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밀착부(22,32)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에 밀착되는 밀착편(222,322)과, 이 밀착편(222,322)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홈(221a,321a)이 형성된 밀착부 몸체(221,321)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밀착편(222,322)은 밀착부 몸체(221,321)에 탈착이 가능하고 뼈의 표면에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되는 구조라면 특별히 형상에 제한은 없지만 대표적으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 몸체(221,321)의 고정홈(221a,321a)에 삽입되는 끼움돌기(222a,322a)가 형성되고 표면에 뼈의 표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222b,322b)가 돌출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홈(221a,321a)과 끼움돌기(222a,322a)는 나사 결합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끼움돌기(222a,322a)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고정홈(221a,321a)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8에 도시된 밀착부(22,32)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일 실시예의 밀착부를 밀착편(222,322)과 밀착부 몸체(221,321)로 분리 구성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밀착편(222,323)을 교체할 수 있어서 보다 편리하게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의 작용효과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시술하고자 하는 뼈(b)의 위치나 형상에 따라 위치조정부재를 포함하는 밀착부를 적절하게 변경하면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술을 수행할 수 있고, 위치조정부재(6)를 포함하는 밀착부(22,32)를 적절하게 변경할 경우 시술시에 인체의 피하조직 및 근육 등 불필요하게 많은 부위를 절개하거나 제거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어서 시술 시간이 단축되고, 환자의 치유 기간 또한 줄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시술에 적용하게 되면 위치조정부재(6)가 클램프몸체(21,31)로부터 분리될 뿐만 아니라 밀착부(22,32)로부터도 분리될 수 있으므로 시술하고자 하는 뼈(b)의 위치나 형상에 따라 위치조정부재(6) 및 밀착부(22,32)를 적절하게 변경하면서 정형외과 시술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밀착부(22,32)는 밀착편(222,322)과 밀착부 몸체(221,321)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밀착편(222,322)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뼈(b)의 표면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교환하여 뼈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서 정형외과 시술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클램프 본체 11:봉상몸체
12:거리조정용 나사산 2:제1 클램프부재
21,31:클램프몸체 211,311:접속부
213,313:제1 접속부 223,323:제2 접속부
22,32:밀착부 221,321:밀착부 몸체
222,322:밀착편 3:제2 클램프부재
312:접속공 313:결합공
4:클램프고정부재 41:제1 고정너트
42:제2 고정너트 5:지지부재
6:위치조정부재 61,63:연결대
62:연결부 64:제1 연결부
65:제2 연결부

Claims (5)

  1.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에 있어서,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에 형성되는 제1 클램프부재; 상기 제1 클램프부재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클램프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클램프부재; 상기 제2 클램프부재의 정위치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 본체에 설치되는 클램프고정부재; 및 상기 클램프 본체,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 중에서 어느 한 곳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클램프설치부에 접속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는 클램프몸체와 상기 클램프몸체에 형성되어 뼈에 밀착되는 밀착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밀착부가 상기 클램프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몸체로부터 분리되는 상기 밀착부는 배치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램프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조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 본체는 상기 제1 클램프부재의 클램프몸체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거리조정용 나사산이 형성된 봉상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클램프부재는 상기 클램프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접속공과 상기 지지부재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클램프고정부재는 상기 제2 클램프부재의 앞쪽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거리조정용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1 고정너트와, 상기 제2 클램프부재의 뒤쪽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거리조정용 나사산에 체결되는 제2 고정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재는 직선형, 굴곡형, 직선형 및 굴곡형이 혼합된 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연결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몸체는 상기 제1 연결부가 결합되는 제1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결합되는 제2 접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는 봉상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수나사부에 삽입,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대 및 상기 밀착부의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연결대 고정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뼈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착부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KR1020140002799A 2014-01-09 2014-01-09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KR101594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799A KR101594991B1 (ko) 2014-01-09 2014-01-09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799A KR101594991B1 (ko) 2014-01-09 2014-01-09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472A KR20150083472A (ko) 2015-07-20
KR101594991B1 true KR101594991B1 (ko) 2016-02-18

Family

ID=5387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799A KR101594991B1 (ko) 2014-01-09 2014-01-09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523A (ko) 2018-11-21 2020-05-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론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717A (ja) 2004-03-26 2005-10-13 Meira Corp 医療用器具保持具
KR100921407B1 (ko) 2007-10-30 2009-10-14 큐렉소 주식회사 뼈의 위치를 정합하기 위한 클램프, 이를 이용한 로봇 수술장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219A (ko) * 2001-06-30 2003-01-08 한국과학기술원 고관절수술로봇을 위한 대퇴골 고정식 로봇설치대
US7727237B2 (en) * 2003-12-29 2010-06-01 Depuy International Ltd. Bone cla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717A (ja) 2004-03-26 2005-10-13 Meira Corp 医療用器具保持具
KR100921407B1 (ko) 2007-10-30 2009-10-14 큐렉소 주식회사 뼈의 위치를 정합하기 위한 클램프, 이를 이용한 로봇 수술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523A (ko) 2018-11-21 2020-05-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론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472A (ko) 201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1415A1 (en) External bone fixation system
US20220378477A1 (en) Circular fixator system and method
US8133226B2 (en) Intramedullary fixation device for fractures
US20040073212A1 (en) Extracorporeal fixing device for a bone fracture
JP5449316B2 (ja) ヒト患者の足首用の関節固定システム
AU2016351551B2 (en) Circular fixator system and method
WO2015054205A1 (en) Rod reducer
US11779355B2 (en) System for connecting a connecting device, in particular a distractor, to a bone
WO2015094410A1 (en) Orthopedic bone plate and locking tab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A2837115A1 (en) Bone splint
EP2735276B1 (en) Pediatric internal mandibular distractor
JP6316031B2 (ja) ロッド挿入具及び挿入チューブ
JP6925656B2 (ja) 創外固定器
KR101594991B1 (ko)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KR101542438B1 (ko) 정형외과 수술용 고정기구
KR101709585B1 (ko) 정형외과 수술용 관절부 고정장치
US20220022917A1 (en) External fixator for bone fractures
US20210386463A1 (en) Implants,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11141197B2 (en) Polyaxial strut for external fixation
JP5914537B2 (ja) モジュール式ラグスクリュー
KR20210026054A (ko) 의료용 플레이트 고정홀더
CN113069251A (zh) 一种胫骨假体把持器
RU4141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позиции разрывов дистального межберцового синдесмоза костей гол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