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759A -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759A
KR20170087759A KR1020160007730A KR20160007730A KR20170087759A KR 20170087759 A KR20170087759 A KR 20170087759A KR 1020160007730 A KR1020160007730 A KR 1020160007730A KR 20160007730 A KR20160007730 A KR 20160007730A KR 20170087759 A KR20170087759 A KR 20170087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main control
control unit
sensor
electr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910B1 (ko
Inventor
임율성
정사무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9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01R31/021
    • G01R31/024
    • G01R31/041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의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선에 의해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배선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상기 전기 장치로 공급하는 전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전기 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알려주기 위해 상기 메인 제어부가 전송하는 신호와 상기 센서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의거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의 배선 및 접촉 불량 여부와 불량 구간의 위치를 파악하는 OP(Operating)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감지용 센서를 병렬로 연결하고, 이 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의거하여 OP 패널에서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의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 여부와 불량 구간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전자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원인을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DEFECT OF WIRE AND BAD CONTACT}
본 발명은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의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 자동차, 선박, 농기계, 사출 성형기, 기타 산업용 기계 등과 같이 다수의 피제어 소자인 전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제품들은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배선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배선은 제품의 성능과 안전을 책임지는 중요한 부품으로 분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메인 제어부(1)와 전기 장치(3)는 배선(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7은 커넥터이다. 여기서, 전기 장치(3)는 제품이 사출 성형기인 경우, 히터, 유압 밸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는 배선(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전기 장치(3)로 전력을 보내는 경우, 전기 장치(3)로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OP(Operating) 패널(9)로 전기 장치(3)로의 전력 공급을 알려주는 신호를 보내 전기 장치(3)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음을 알린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메인 제어부(1)가 OP 패널(9)로 전기 장치(3)로의 전력 공급을 알려주는 신호만을 보내 전기 장치(3)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음을 알려줄 뿐, 메인 제어부(1)가 전기 장치(3)로 공급한 전력이 전기 장치(3)로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기 장치(3)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을 때, 전기 장치(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전기 장치(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이유가 전기 장치(3)의 고장 때문인지, 배선 불량 때문인지, 커넥터 접촉 불량 때문인지를 바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9163호(공개일 2008.05.07.)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감지용 센서를 병렬로 연결하고, 이 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의거하여 OP 패널에서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의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은, 배선에 의해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배선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상기 전기 장치로 공급하는 전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전기 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알려주기 위해 상기 메인 제어부가 전송하는 신호와 상기 센서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의거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의 배선 및 접촉 불량 여부와 불량 구간의 위치를 파악하는 OP(Operating)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에 따르면,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 감지용 센서를 병렬로 연결하고, 이 센서를 통해 감지된 신호에 의거하여 OP 패널에서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의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 여부와 불량 구간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전자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원인을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사출 성형기의 히터와 메인 제어부 사이의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출 성형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사출 성형기의 유압 밸브와 메인 제어부 사이의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에서 메인 제어부(10)는 한 쌍의 배선(30)에 의해 전기 장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배선(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전기 장치(20)로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기 장치(20)는 제품이 사출 성형기인 경우, 히터, 유압 밸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메인 제어부(10)는 전기 장치(20)로 전력을 보내는 경우, 전기 장치(20)로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OP(Operating) 패널(50)로 전기 장치(20)로의 전력 공급을 알려주는 신호를 보내 전기 장치(20)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음을 알린다.
배선(30)은 메인 제어부(10)와 전기 장치(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메인 제어부(10)와 전기 장치(2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30)이 복수 개인 경우 즉, 메인 제어부(10)와 전기 장치(20) 사이의 거리가 멀어 복수 개의 배선(30)을 이어 메인 제어부(10)와 전기 장치(20) 사이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 각 배선(3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40)에 의해 연결된다.
메인 제어부(10)와 전기 장치(20) 사이에 위치하는 커넥터(40)의 개수는 메인 제어부(10)와 전기 장치(20) 사이의 거리와 배선(3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메인 제어부(10)와 전기 장치(2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서 하나의 배선(30)으로 메인 제어부(10)와 전기 장치(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는 경우에는 커넥터(40)가 필요 없게 된다.
센서(60, 7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30)에 병렬로 연결되어, 메인 제어부(10)에서 전기 장치(20)로 전력을 공급하면, 전기 장치(20)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 신호를 OP 패널(50)로 전송한다.
즉 메인 제어부(10)와 전기 장치(20) 사이의 배선(30) 및 커넥터(40)가 정상적으로 접촉되어 있을 때, 메인 제어부(10)에서 전기 장치(20)로 전력을 공급하면, 센서(60, 70)는 전기 장치(20)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OP 패널(50)로 전송하고, 배선(30) 또는 커넥터(40)의 접촉에 불량이 있는 경우에는 메인 제어부(10)가 전기 장치(20)로 전력을 공급하더라도 배선(30) 또는 커넥터(40)의 접촉 불량에 의해 전기 장치(20)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센서(60, 70)는 전력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OP 패널(5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없게 된다.
센서(60, 70)는 메인 제어부(10)와 전기 장치(20) 사이에 커넥터(40)가 존재하는 경우, 커넥터(40)의 전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장치(20)와 커넥터(40) 사이에 제1센서(60)가 설치되고, 커넥터(40)와 메인 제어부(10) 사이에 제2센서(70)가 설치된다고 가정했을 때, 메인 제어부(10)는 정상 동작하고, 3구간인 제2센서(70)와 메인 제어부(10) 사이 배선 및 접촉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메인 제어부(10)가 전기 장치(20)로 공급하는 전력이 전달되지 않아 제1센서(60)와 제2센서(70)는 OP 패널(5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3구간에는 문제가 없고 커넥터(40) 또는 2구간인 제1센서(60)와 제2센서(70) 사이의 배선 및 접촉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메인 제어부(10)가 전기 장치(20)로 공급하는 전력이 제2센서(70)까지만 전달되어 제2센서(70)는 OP 패널(50)로 신호를 전송하지만 제1센서(60)는 OP 패널(5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3구간에도 문제가 없고, 커넥터(40) 및 2구간에도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제1센서(60)와 제2센서(70)가 OP 패널(5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센서(60, 70)는 전류 센서 또는 전압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전기 장치(20)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센서(60, 70)는 OP 패널(50)로 감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OP 패널(50)과 신호선으로 연결되므로, 꼭 필요한 곳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선(30)이 긴 구간, 전기 장치(20)의 고장 확인이 어려운 구간 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P 패널(50)은 메인 제어부(10)가 전송하는 신호(전기 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알리는 신호)와 메인 제어부(10)에서 전기 장치(20)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함에 따라 센서(60, 70)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전기 장치(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때, 메인 제어부(10)와 센서(60, 7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메인 제어부(10)와 전기 장치(20) 사이의 배선 및 접촉 불량 여부와 불량 구간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된 불량 구간을 화면에 표시하여 전기 장치(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이유가 전기 장치(20)의 고장 때문인지, 배선 불량 때문인지, 커넥터 접촉 불량 때문인지를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OP 패널(50)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센서(60, 7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불량 구간을 파악할 수 있는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가 전기 장치(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음을 감지하게 되면, 메인 제어부(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센서(60, 7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해당 테이블을 통해 불량 구간을 파악한다. 표 1의 테이블은 예시적으로 보인 것으로, 이는 센서(60, 70)의 개수, 센서(60, 70)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신호① 신호② 신호③ 불량 구간
Case1 O O O 전기 장치 고장 또는 제1구간(제1센서와 전기장치 사이 배선 및 접촉) 불량
Case2 X O O 2구간(커넥터 또는 제1센서와 제2센서 사이의 배선 및 접촉) 불량
Case3 X X O 3구간(제2센서와 메인 제어부 사이 배선 및 접촉) 불량
Case4 X X X 메인 제어부 고장
한편, OP 패널(50)은 메인 제어부(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센서(60, 7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화면에 표시하여, 해당 전기 장치(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전기 장치(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이유가 전기 장치(20)의 고장 때문인지, 배선 불량 때문인지, 커넥터 접촉 불량 때문인지를 화면에 표시된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실제 제품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사출 성형기의 히터와 메인 제어부 사이의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표 2는 불량 구간을 파악할 수 있는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보인 것이다.
신호① 신호② 신호③ 불량 구간
Case1 O O O 히터 고장 또는 1구간(제1센서와 히터 사이 배선 및 접촉) 불량
Case2 X O O 2구간(히터 커넥터 또는 제1센서와 제2센서 사이의 배선 및 접촉) 불량
Case3 X X O 3구간(제2센서와 메인 제어부 사이 배선 및 접촉) 불량
Case4 X X X 메인 제어부 고장
우선 메인 제어부인 SSR(13)가 배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히터(23)로 전력 공급을 시작하면, SSR(13)는 OP 패널(도시하지 않음)로 히터(23)로의 전력 공급을 알려주는 신호(신호③)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SSR(13)가 히터(23)로 전력을 공급할 때, SSR(13)와 히터(23) 사이의 배선 및 히터 커넥터(43)가 모두 정상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면, 히터(23)와 히터 커넥터(43) 사이에 설치되는 제1센서(63)와 히터 커넥터(43)와 SSR(13) 사이에 설치되는 제2센서(73)는 각각 히터(23)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신호①, 신호②)를 OP 패널(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한다.
반면 배선 또는 히터 커넥터(43)의 접촉에 불량이 있는 경우에는, 불량이 발생한 구간에 따라 제1센서(63)와 제2센서(73)는 전력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OP 패널(도시하지 않음)로 신호를 전송할 수 없게 된다.
한편, OP 패널(도시하지 않음)은 SSR(13)와 제1센서(63) 및 제2센서(73)로부터 신호①, 신호②, 신호③이 수신되고, 히터(2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SSR(13)와 히터(23) 사이의 배선 및 히터 커넥터(43)가 모두 정상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SSR(13)와 제1센서(63) 및 제2센서(73)로부터 신호①, 신호②, 신호③이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히터(2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1구간인 제1센서(63)와 히터(23) 사이의 배선 및 접촉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히터(23)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제2센서(73)와 SSR(13)로부터 신호②, 신호③ 만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2구간인 제1센서(63)와 제2센서(73) 사이의 배선 및 접촉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히터 커넥터(43)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SSR(13)로부터 신호③ 만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3구간인 제2센서(73)와 SSR(13) 사이의 배선 및 접촉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히터(23)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은 후, SSR(13)와 제1센서(63) 및 제2센서(73)로부터 어떤 신호도 수신되지 않으면, OP 패널(도시하지 않음)은 SSR(13)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OP 패널(도시하지 않음)은 SSR(13)가 전송하는 신호(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알리는 신호:신호③)과 제1센서(63)와 제2센서(73)가 전송하는 신호(신호①, 신호②)에 의거하여 SSR(13)와 히터(23) 사이의 배선 및 접촉 불량 여부와 불량 구간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불량 구간을 화면에 표시하여 히터(2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이유가 히터(23)의 고장 때문인지, 배선 불량 때문인지, 커넥터 접촉 불량 때문인지를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히터(2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원인을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적절한 대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은 사출 성형기에도 적용되어 유압 밸브와 메인 제어부 사이의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출 성형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사출 성형기의 유압 밸브와 메인 제어부 사이의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며, 표 3은 불량 구간을 파악할 수 있는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보인 것이다.
신호① 신호② 신호③ 불량 구간
Case1 O O O 제1센서와 유압 밸브 사이 또는 유압 밸브 고장
Case2 X O O 제1센서와 제2센서 사이의 배선 또는 유압 밸브 연결 커넥터에 문제 발생
Case3 X X O 제2센서와 메인 제어부 사이
Case4 X X X 메인 제어부 고장
우선 메인 제어부(15)가 배선(35)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유압 밸브(25)로 전력 공급을 시작하면, 메인 제어부(15)는 OP 패널(50)로 유압 밸브(25)로의 전력 공급을 알려주는 신호(신호③)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메인 제어부(15)가 유압 밸브(25)로 전력을 공급할 때, 메인 제어부(15)와 유압 밸브(25) 사이의 배선(35) 및 유압 밸브 연결 커넥터(45)가 모두 정상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면, 유압 밸브(25)와 유압 밸브 연결 커넥터(45) 사이에 설치되는 제1센서(65)와 유압 밸브 연결 커넥터(45)와 메인 제어부(15) 사이에 설치되는 제2센서(75)는 각각 유압 밸브(25)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신호①, 신호②)를 OP 패널(50)로 전송한다.
반면 배선(35) 또는 유압 밸브 연결 커넥터(45)의 접촉에 불량이 있는 경우에는, 불량이 발생한 구간에 따라 제1센서(65)와 제2센서(75)는 전력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OP 패널(5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없게 된다.
한편, OP 패널(50)은 메인 제어부(15)와 제1센서(65) 및 제2센서(75)로부터 신호①, 신호②, 신호③이 수신되고, 유압 밸브(25)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5)와 유압 밸브(25) 사이의 배선(35) 및 유압 밸브 연결 커넥터(45)가 모두 정상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메인 제어부(15)와 제1센서(65) 및 제2센서(75)로부터 신호①, 신호②, 신호③이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유압 밸브(25)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센서(65)와 유압 밸브(25) 사이의 배선 및 접촉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유압 밸브(25)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제2센서(75)와 메인 제어부(15)로부터 신호②, 신호③ 만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1센서(65)와 제2센서(75) 사이의 배선 또는 유압 밸브 연결 커넥터(45)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5)로부터 신호③ 만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2센서(75)와 메인 제어부(15) 사이의 배선 및 접촉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유압 밸브(25)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은 후, 메인 제어부(15)와 제1센서(65) 및 제2센서(75)로부터 어떤 신호도 수신되지 않으면, OP 패널(50)은 메인 제어부(15)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OP 패널(50)은 메인 제어부(15)가 전송하는 신호(전기 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알리는 신호:신호③)와 제1센서(65)와 제2센서(75)가 전송하는 신호(신호①, 신호②)에 의거하여 메인 제어부(15)와 유압 밸브(25) 사이의 배선 및 접촉 불량 여부와 불량 구간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불량 구간을 화면에 표시하여 유압 밸브(25)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이유가 유압 밸브(25)의 고장 때문인지, 배선 불량 때문인지, 커넥터 접촉 불량 때문인지를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유압 밸브(25)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원인을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적절한 대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메인 제어부, 20. 전기 장치,
30. 배선, 40. 커넥터,
50. OP 패널, 60, 70. 센서

Claims (4)

  1. 한 쌍의 배선에 의해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제어부;
    상기 배선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에서 상기 전기 장치로 공급하는 전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전기 장치로의 전력 공급을 알려주기 위해 상기 메인 제어부가 전송하는 신호와 상기 센서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의거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의 배선 및 접촉 불량 여부와 불량 구간의 위치를 파악하는 OP(Operating)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와 전기 장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간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커넥터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전류 센서 또는 전압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P 패널은,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불량 구간을 파악할 수 있는 테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
KR1020160007730A 2016-01-21 2016-01-21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 KR102114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30A KR102114910B1 (ko) 2016-01-21 2016-01-21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30A KR102114910B1 (ko) 2016-01-21 2016-01-21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759A true KR20170087759A (ko) 2017-07-31
KR102114910B1 KR102114910B1 (ko) 2020-05-25

Family

ID=5941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730A KR102114910B1 (ko) 2016-01-21 2016-01-21 배선 및 커넥터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4951A (zh) * 2019-08-28 2019-11-29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模具id检测装置、方法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598B1 (ko) 2022-05-19 2023-03-02 이성씨엔아이 주식회사 원전용 pcb 슬롯의 접촉불량 검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900A (ja) * 2000-12-05 2002-06-14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 States Of Projects 配線構造の異常発生箇所特定機構及びその方法
KR20080039163A (ko) 2006-10-3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KR101102606B1 (ko) * 2010-09-29 2012-01-03 한국전력공사 장거리 케이블의 단선위치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8900A (ja) * 2000-12-05 2002-06-14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 States Of Projects 配線構造の異常発生箇所特定機構及びその方法
KR20080039163A (ko) 2006-10-3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KR101102606B1 (ko) * 2010-09-29 2012-01-03 한국전력공사 장거리 케이블의 단선위치 검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4951A (zh) * 2019-08-28 2019-11-29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模具id检测装置、方法及存储介质
CN110514951B (zh) * 2019-08-28 2022-03-18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模具id检测装置、方法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910B1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7433B2 (ja) スイッチ故障検出回路
US8699193B2 (en) Protection circuit for a power conversion apparatus
JP5778268B2 (ja) 設備のフェールセーフな接続または接続解除のための安全回路
EP3118996B1 (en) Driving circuit of switching device for electric power control
CN103128464A (zh) 机器人点焊系统防错方法
KR20120032925A (ko) 전기기기, 전기기기 시스템 및 그 아크 결함 검출 방법
US6356202B1 (en) Circuit for monitoring trouble-free state and/or detecting incorrect state of an installation
KR20170087759A (ko) 배선 및 접촉 불량 검출 시스템
CN101114769A (zh) 电气设备保护装置
WO2017149625A1 (ja) 中継基板及びセンサ装置
US9709616B2 (en) Monitoring device,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afety system
EP2961919B1 (en) Subsea electrical unit and system
US20110242722A1 (en) Control system
US8805593B2 (en) Fault tolerant analog outputs for turbo compressors
KR101321387B1 (ko) 릴레이의 용착감지장치
KR101231165B1 (ko) 점검기능을 구비한 무대장치 제어시스템
TWI728874B (zh) 編碼器系統、馬達系統以及機器人
KR20160141573A (ko) 리던던시 적용 시스템의 릴레이 고장 감지 장치
JP2008306285A (ja) 半導体スイッチの制御装置
KR100892663B1 (ko) 케이블 연결 모니터링 시스템
JP2008131817A (ja) モータ制御装置
JP5472416B2 (ja) 半導体スイッチの制御装置
JP4199474B2 (ja) 電磁弁マニホールド及び電磁弁マニホールドの制御システム
JP2018143029A (ja) 接続機器の接続回路
JP2014059802A (ja) 設備制御システムおよびコネクタ接続不良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