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226A - 진공 포장지 - Google Patents

진공 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226A
KR20170086226A KR1020160005788A KR20160005788A KR20170086226A KR 20170086226 A KR20170086226 A KR 20170086226A KR 1020160005788 A KR1020160005788 A KR 1020160005788A KR 20160005788 A KR20160005788 A KR 20160005788A KR 20170086226 A KR20170086226 A KR 20170086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ortion
wrapping paper
inner sealing
facing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갑현
Original Assignee
세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진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5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6226A/ko
Publication of KR2017008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B31/024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transverse or longitudinal seams in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포장지 및 이에 의한 진공 포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진공 포장지의 구성은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들에 의해 내부에 충전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 공간부는 하단부의 개방홀(11)과 연통된 포장지 바디(10);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상기 바디 시트(12)들의 일부가 접합되어 상기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들의 내표면 사이에 이너 석션홀(24)을 형성하는 이너 실링부(22);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상단부와 상기 이너 실링부(2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들의 내표면 사이에 아웃터 석션홀(28)을 형성하는 아웃터 실링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포장지 및 이를 이용한 진공 포장방법{Vacuum packing envelope and vacuum packing method}
본 발명은 진공 포장지 및 진공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포장지에 곡물 등의 내용물을 담고 진공 흡입하는 과정에서 곡물이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진공 포장지 및 이를 이용한 진공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을 장기간 보관하고 유통하기 위하여 포장지에 곡물을 투입하고 끝단(봉투형 포장지의 상단 개방홀)를 밀봉하게 된다. 그러나, 비닐팩과 같은 밀폐형 포장지의 내부에 충진된 공기로 인하여 곡물의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정 시간이 경과 후에는 곡물의 신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진공이 가능한 비닐팩으로 이루어진 진공포장지에 곡물을 담은 다음, 진공포장지의 진공처리를 위한 에어펌프나 기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진공처리하고 입구를 밀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진공 포장기는 포장지 내부에 저장하려는 곡물을 넣고 공기를 빼고 봉합함으로써 곡물의 산화를 방지하여 곡물을 장기간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포장지에 곡물을 투입하고 포장지의 상단 개방홀를 밀봉(예를 들어, 열간 실링에 의해 밀봉)하기 이전에 진공 포장기에 의해 포장지 내부의 공기를 흡입(석션)하여 포장지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 다음 포장지의 상단 개방홀를 밀봉하게 된다.
그런데, 진공 포장기에 의해 포장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포장지에 담긴 곡물이 진공 포장기에 의한 흡입 압력(진공 흡입 압력)에 의해 진공 포장지에 다량 흡입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어서, 이러한 진공 포장기에 의한 진공 흡입 과정에서 곡물이 흡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특수 제작된 여러 가지 종류의 진공 포장지가 나와 있으나, 이러한 기존의 진공 포장지는 구조가 다소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고, 구조가 복잡한 만큼 코스트가 높고 진공 포장지 자체를 생산하는 공정도 늘어나는 등의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24764호(2001.03.09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132384호(2010.12.17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358124호(201.01.27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 포장지에 곡물을 담고 진공 포장기 등으로 진공 포장지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 상태로 만드는 과정에서 곡물이 밖으로 빠져나오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진공 포장지 및 이를 이용한 진공 포장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들에 의해 내부에 충전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 공간부는 하단부의 개방홀과 연통된 포장지 바디; 상기 포장지 바디의 상기 바디 시트들의 일부가 접합되어 상기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들의 내표면 사이에 이너 석션홀을 형성하는 이너 실링부; 상기 포장지 바디의 하단부와 상기 이너 실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들의 내표면 사이에 아웃터 석션홀을 형성하는 아웃터 실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바디 시트에 의해 충전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 공간부는 하단부의 개방홀과 연통되고, 상기 포장지 바디에는 상기 바디 시트들의 일부가 접합되어 상기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들의 내표면 사이에 이너 석션홀을 형성하는 이너 실링부와, 상기 포장지 바디의 하단부와 상기 이너 실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들의 내표면 사이에 아웃터 석션홀을 형성하는 아웃터 실링부를 포함하는 진공 포장지에 의해 내용물을 진공 포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포장지 바디의 상기 충전 공간부에 내용물을 투입하는 내용물 충전 단계; 상기 포장지 바디에 형성된 상기 아웃터 석션홀에 석션 흡입력을 작용시켜서 상기 이너 석션홀과 상기 아웃터 석션홀을 통해 빠지도록 하는 진공 형성 단계; 상기 포장지 바디 내부의 충전 공간부가 진공 상태가 된 다음에 상기 아웃터 석션홀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아웃터 석션홀은 상기 포장지 바디를 구성하도록 서로 마주한 한 쌍의 바디 시트를 열간 실링하여 밀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지 바디의 내부 충전 공간부에 곡물 등의 내용물 투입, 상기 포장지 바디의 개방홀 반대쪽 단부(즉, 상단부)에 형성된 아웃터 석션홀에 진공 포장기 등을 연결하여 진공 흡입력을 작용, 진공 흡입력에 의해 포장지 바디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아웃터 석션홀로 공기 통과, 상기 이너 석션홀에서 아웃터 석션홀로 공기 배출, 상기 아웃터 석션홀 밀봉 과정을 거친다. 물론, 상기 포장지 바디의 하단부에 구비된 개방홀은 두 장의 마주하는 바디 시트를 열간 실링 등에 의해 접합하여 상단 밀봉부를 미리 형성한 다음, 진공 포장방법을 수행함으로써, 포장지 바디의 아웃터 석션홀에서 포장지 바디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힘(진공 흡입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1이너 실링부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이너 석션홀을 통해서 공기가 빠진 다음, 상기 아웃터 석션홀로 바로 빠지지 않고 아웃터 실링부에 공기가 걸려서 아웃터 석션홀로 돌아나가게 되므로, 상기 포장지 바디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서 공기를 빨아들이는 진공 흡입력에 의해 포장지 바디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내용물(일정 체적의 알갱이 형상의 곡물 등)은 빠지지 않고 공기만 빠지게 되므로, 곡물 등의 내용물을 담고 진공 흡입하는 과정에서 곡물이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나 상기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 포장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 포장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 포장지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 포장지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 포장지에 내용물을 투입하여 진공 포장한 포장백 제품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진공 포장지는 하단부의 개방홀(11)과 상단부 사이에 복수개의 이너 실링부(22)와 이너 석션홀(24) 및 아웃터 실링부(26)와 아웃터 석션홀(28)이 구비된 것이 주요 구성의 특징이 된다. 포장지 바디(1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쪽으로 더 들어온 위치에 이너 실링부(22)와 이너 석션홀(24) 및 아웃터 실링부(26)와 아웃터 석션홀(28)이 구비된다.
상기 포장지 바디(10)는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들이 결합되어 내부에 충전 공간부를 구비한다. 바디 시트(12)들의 양쪽 측단부가 연결되어 포장지 바디(10)의 내부에 충전 공간부가 형성된다. 두 장의 바디 시트(12)들이 좌우 양쪽 측단 밀봉부(SB)에 의해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접합되어, 포장지 바디(10)의 내부에 충전 공간부를 형성한다. 충전 공간부는 포장지 바디(10)의 하단부에 구비된 개방홀(11)과 연통된다. 충전 공간부는 곡물 등의 내용물이 투입되어 충전되기 위한 공간이다. 포장지 바디(10)의 각 바디 시트(12)는 비닐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바디 시트(12)의 좌우 양쪽 측단부들이 열간 실링 등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포장지 바디(10)의 내부에 한 쌍의 마주하는 바디 시트(12)에 의해 충전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실링부(22)는 포장지 바디(10)를 구성하는 바디 시트(12)들의 일부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바디 시트(12)들이 열간 실링 등에 의해 일정 폭만큼 서로 접합되어 이너 실링부(22)가 형성되며, 바디 시트(12)들의 내표면 중에서 이너 실링부(22)가 생략된 내표면들 사이에 이너 석션홀(24)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이너 실링부(22)는 제1이너 실링부(22A)와 제2이너 실링부(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너 실링부(22A)는 포장지 바디(10)의 좌우 측단부에서 포장지 바디(10)의 중심부 쪽으로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포장지 바디(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바디 시트(12)를 일정 폭만큼 열간 실링 등에 의해 접합하여 복수개의 제1이너 실링부(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너 실링부(22A)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 다시 말해, 두 장의 바디 시트(12)가 접합되지 않은 부분이 이너 석션홀(24)이 된다. 즉, 서로 마주하는 두 장의 바디 시트(12) 내표면 사이에 이너 석션홀(24)이 형성된다. 포장지 바디(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복수개의 제1이너 실링부(22A)와 이너 석션홀(24)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이너 실링부(22A)보다 더 길도록 바디 시트(12)들이 접합된 제2이너 실링부(22B)가 구비된다. 제2이너 실링부(22B)가 포장지 바디(10)의 좌우 측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제1이너 실링부(22A)가 포장지 바디(10)의 좌우 측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포장지 바디(10)의 좌우 측단부를 기준으로 가운데에 제2이너 실링부(22B)가 구비되고, 가운데의 제2이너 실링부(22B)를 기준으로 두 개의 좌우측 섹터에 복수개의 제1이너 실링부(22A)와 이너 석션홀(24)이 형성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아웃터 실링부(26)는 포장지 바디(10)의 상단부와 이너 실링부(22) 사이에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들의 내표면 사이에 아웃터 석션홀(28)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2이너 실링부(22B)는 포장지 바디(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바디 시트(12)를 열간 실링 등에 의해 접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 실링부(26)는 제1이너 실링부(22A)와 이너 석션홀(24)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아웃터 석션홀(28)은 제2이너 실링부(22B)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이너 실링부(22B)의 양쪽에 제1이너 실링부(22A)가 구비되어, 포장지 바디(10)의 좌우 측단부 사이의 중간에 제2이너 실링부(22B)가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은 제2이너 실링부(22B)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포장지 바디(10)의 좌우 측단부 사이의 중간에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 실링부(26)에 의해 형성된 아웃터 석션홀(28)은 제2이너 실링부(22B)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지.
이때, 상기 한 쌍의 아웃터 실링부(26)의 내측단은 제2이너 실링부(22B)의 양쪽 측단부에서 상기 제2이너 실링부(22B)의 가운데 쪽으로 일정 폭으로 더 들어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이너 실링부(22B)와 한 쌍의 아웃터 실링부(26) 사이에 일정 폭의 중첩부(OL)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구조의 진공 포장지를 이용하여 곡물 등의 내용물(특히, 곡물)을 진공 포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 포장방법에서 활용되는 진공 포장지는 상기와 같이, 내부에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바디 시트(12)에 의해 충전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 공간부는 하단부의 개방홀(11)과 연통되고, 상기 포장지 바디(10)에는 바디 시트(12)들의 일부가 접합되어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들의 내표면 사이에 이너 석션홀(24)을 형성하는 이너 실링부(22)와,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상단부와 이너 실링부(22) 사이에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들의 내표면 사이에 아웃터 석션홀(28)을 형성하는 아웃터 실링부(26)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진공 포장방법은 내용물 충전 단계와 진공 형성 단계 및 포장지 바디(10)의 아웃터 석션홀(28)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내용물 충전 단계에서는 통상의 곡물 등을 담는 것처럼 진공 포장지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내용물을 투입하여 충전시킨다.
상기 진공 형성 단계에서는 포장지 바디(10)에 형성된 아웃터 석션홀(28)에 석션 흡입력을 작용시켜서 이너 석션홀(24)과 아웃터 석션홀(28)을 통해 포장지 바디(10)의 내부 충전 공간부에서 공기가 빠지도록 한다. 진공 포장기 등을 아웃터 석션홀(28)에 연결하여 포장지 바디(10)의 내부 충전 공간부에서 공기가 빠지도록 할 수 있다. 포장지 바디(10)의 내부 충전 공간부에서 공기가 빠지면 곡물 등의 내용물이 담긴 진공 포장지 내부의 충전 공간부가 진공 상태로 된다.
상기 포장지 바디(10) 내부의 충전 공간부가 진공 상태가 된 다음에는 아웃터 석션홀(28)을 밀봉한다. 즉, 상기 포장지 바디(10)에 형성된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에서 석션 흡입력을 작용시켜서 이너 실링부(22) 사이에 형성된 이너 석션홀(24)을 통하여 포장지 바디(10)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서 공기가 빠져나온 다음, 상기 아웃터 실링부(26)에 의해 공기가 우회하여 아웃터 석션홀(28)을 통해 빠지게 되며, 포장지 바디(10)의 내부에서 공기가 빠져서 포장지 바디(10) 내부의 충전 공간부가 진공 상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을 밀봉한다. 다시 말해,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에서 석션 흡입력을 작용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이너 석션홀(24)마다 공기가 빠져나와서 아웃터 실링부(26)에 걸린 다음, 상기 아웃터 석션홀(28)로 우회하여 공기가 우회하여 포장지 바디(10)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서 공기가 빠지고,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내부에서 공기가 빠져서 포장지 바디(10) 내부의 충전 공간부가 진공 상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아웃터 석션홀(28)을 밀봉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아웃터 석션홀(28)은 포장지 바디(10)를 구성하도록 서로 마주한 한 쌍의 바디 시트(12)를 열간 실링하여 밀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 포장방법을 정리하면, 포장지 바디(10)의 내부 충전 공간부에 곡물 등의 내용물 투입,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개방홀(11) 반대쪽 단부(즉, 상단부)에 형성된 아웃터 석션홀(28)에 진공 포장기 등을 연결하여 진공 흡입력을 작용, 진공 흡입력에 의해 포장지 바디(10)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아웃터 석션홀(28)로 공기 통과, 상기 이너 석션홀(24)에서 아웃터 석션홀(28)로 공기 배출, 상기 아웃터 석션홀(28) 밀봉 과정을 거친다. 물론,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하단부에 구비된 개방홀(11)은 두 장의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를 열간 실링 등에 의해 접합하여 하단 밀봉부(LB)를 미리 형성한 다음, 상기와 같은 진공 포장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진공 포장방법에 의해 내부의 충전 공간부가 진공 상태로 전환된 포장백 제품(곡물 등의 내용물이 충전되고 내부의 충전 공간부는 진공 상태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곡물 등의 내용물을 진공 포장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며, 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아웃터 실링부(26)가 아래쪽의 제1이너 실링부(22A)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막아주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은 제1이너 실링부(22A)보다 상대적으로 더 폭이 큰 제2이너 실링부(22B)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막아주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에서 포장지 바디(10)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힘(진공 흡입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1이너 실링부(22A)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이너 석션홀(24)을 통해서 공기가 빠진 다음, 상기 아웃터 석션홀(28)로 바로 빠지지 않고 아웃터 실링부(26)에 공기가 걸려서 아웃터 석션홀(28)로 돌아나가게 되므로, 상기 포장지 바디(10)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서 공기를 빨아들이는 진공 흡입력에 의해 포장지 바디(10)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내용물(일정 체적의 알갱이 형상의 곡물 등)은 빠지지 않고 공기만 빠지게 되므로, 곡물 등의 내용물을 담고 진공 흡입하는 과정에서 곡물이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공기가 빠지게 되므로, 공기와 함께 곡물 등의 알갱이 형상 내용물이 같이 빠져 버리는 경우가 방지되는 것이다. 이를테면, 상기 아웃터 실링부(26)가 곡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너 실링부(22)에 의해 형성된 이너 석션홀(24)의 내경은 상기 포장지 바디(10)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 채워져 있는 곡물 등의 내용물 알갱이 사이즈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에는 설령 공기 흡입력(진공 에어 석션시에 빨아들이는 힘)에 의해 공기가 포장지 바디(10)의 이너 석션홀(24) 쪽으로 끌어 당겨지더라도 곡물 등의 알갱이가 이너 석션홀(24)을 빠져나가지 않게 되므로, 곡물이 함께 공기와 빠지는 경우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아웃터 석션홀(28)의 양쪽에 아웃터 실링부(26)가 구비되어, 한 쌍의 아웃터 실링부(26)가 포장지 바디(10)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아웃터 실링부(26)의 내측단은 제2이너 실링부(22B)의 양쪽 측단부에서 제2이너 실링부(22B)의 가운데 쪽으로 일정 폭으로 더 들어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이너 실링부(22B)와 한 쌍의 아웃터 실링부(26) 사이에 일정 폭의 중첩부(OL)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을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 흡입력을 작용시킬 때에 상기 제1이너 실링부(22A)와 제2이너 실링부(22B) 사이에 형성된 이너 석션홀(24)에서 다이렉트로 아웃터 실링부(26)로 곡물 등의 내용물이 빠지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이너 실링부(22B)와 한 쌍의 아웃터 실링부(26) 사이에 확보된 중첩부(OL)는 개방되지 않고 막힌 부분(열간 실링 부분)이므로, 설령 상기 제1이너 실링부(22A)와 제2이너 실링부(22B) 사이에 확보된 이너 석션홀(24)을 통해 곡물 등의 내용물 일부가 빠진다 하더라도 상기 중첩부(OL)에 걸려서 로워 엔더 배출홀을 통해서는 빠지지 않게 되므로, 아웃터 실링부(26)로 곡물 등의 내용물이 빠지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이너 실링부(22A)와 제2이너 실링부(22B) 및 아웃터 실링부(26)를 열간 히터 등에 의해 포장지 바디(10)를 눌러서 녹여주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배출하여 포장지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기 위한 구조를 보다 신속하면서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포장지 바디(10)를 구성하는 바디 시트(12)는 열에 의해 녹을 수 있는 비닐 등의 재질이므로, 포장지 바디(10)를 열로 녹여 붙여줌으로써 제1이너 실링부(22A)와 제2이너 실링부(22B) 및 아웃터 실링부(26)를 쉽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포장지 바디 11. 개방홀
12. 바디 시트 22. 이너 실링부
22A. 제1이너 실링부 22B. 제2이너 실링부
24. 이너 석션홀 26. 아웃터 실링부
28. 아웃터 석션홀

Claims (6)

  1.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들에 의해 내부에 충전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 공간부는 하단부의 개방홀(11)과 연통된 포장지 바디(10);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상기 바디 시트(12)들의 일부가 접합되어 상기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들의 내표면 사이에 이너 석션홀(24)을 형성하는 이너 실링부(22);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상단부와 상기 이너 실링부(2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들의 내표면 사이에 아웃터 석션홀(28)을 형성하는 아웃터 실링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실링부(22)는,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상기 바디 시트(12)들이 일정 길이로 접합된 제1이너 실링부(22A);
    상기 제1이너 실링부(22A)보다 더 길도록 상기 바디 시트(12)들이 접합된 제2이너 실링부(22B);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터 실링부(26)에 의해 형성된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은 상기 제2이너 실링부(22B)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의 양쪽에 아웃터 실링부(26)가 구비되어, 한 쌍의 아웃터 실링부(26)가 상기 포장지 바디(10)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아웃터 실링부(26)의 내측단은 상기 제2이너 실링부(22B)의 양쪽 측단부에서 상기 제2이너 실링부(22B)의 가운데 쪽으로 일정 폭으로 더 들어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2이너 실링부(22B)와 상기 한 쌍의 아웃터 실링부(26) 사이에 일정 폭의 중첩부(OL)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지.
  4. 내부에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바디 시트(12)에 의해 충전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 공간부는 하단부의 개방홀(11)과 연통되고, 상기 포장지 바디(10)에는 상기 바디 시트(12)들의 일부가 접합되어 상기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들의 내표면 사이에 이너 석션홀(24)을 형성하는 이너 실링부(22)와,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상단부와 상기 이너 실링부(2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서로 마주하는 바디 시트(12)들의 내표면 사이에 아웃터 석션홀(28)을 형성하는 아웃터 실링부(26)를 포함하는 진공 포장지에 의해 내용물을 진공 포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상기 충전 공간부에 내용물을 투입하는 내용물 충전 단계;
    상기 포장지 바디(10)에 형성된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에 석션 흡입력을 작용시켜서 상기 이너 석션홀(24)과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을 통해 빠지도록 하는 진공 형성 단계;
    상기 포장지 바디(10) 내부의 충전 공간부가 진공 상태가 된 다음에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에서 석션 흡입력을 작용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이너 석션홀(24)마다 공기가 빠져나와서 상기 아웃터 실링부(26)에 걸린 다음, 상기 아웃터 석션홀(28)로 우회하여 상기 포장지 바디(10) 내부의 충전 공간부에서 공기가 빠지고, 상기 포장지 바디(10)의 내부에서 공기가 빠져서 포장지 바디(10) 내부의 충전 공간부가 진공 상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석션홀(28)은 상기 포장지 바디(10)를 구성하도록 서로 마주한 한 쌍의 바디 시트(12)를 열간 실링하여 밀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포장방법.
KR1020160005788A 2016-01-18 2016-01-18 진공 포장지 KR20170086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788A KR20170086226A (ko) 2016-01-18 2016-01-18 진공 포장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788A KR20170086226A (ko) 2016-01-18 2016-01-18 진공 포장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226A true KR20170086226A (ko) 2017-07-26

Family

ID=5942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788A KR20170086226A (ko) 2016-01-18 2016-01-18 진공 포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62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99627A (en) Flat bag packa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6991109B1 (en) Vacuum sealable bag apparatus and method
DK2763906T3 (en) Udluftelig packaging container
JP2016529176A (ja) 刻み煙草入れ
JP2007513028A (ja) ばら包装の多層袋とその多層袋の製造装置
US20130270146A1 (en) Collapsible article container
US98899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aging flat products
JP5286463B2 (ja) 液状物充填包装体の梱包方法
JP6377049B2 (ja) 脱気機構付き袋
KR20170086226A (ko) 진공 포장지
US20060053749A1 (en) Airway insert for vacuum sealing plastic bag
JP6609594B2 (ja) 脱気機構付き袋
JPH01111618A (ja) 吸引密封袋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方法
JP6565150B2 (ja) チャック付き包装袋
ITBO970751A1 (it) Confezione ermetica per prodotti di consistenza pastosa in particolare prodotti derivati dal latte, quali porzioni di formaggio fuso e metodo
JP5712270B2 (ja) 液体流出防止機能付バッグ
JP3808541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食品の包装用シート材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US9896224B2 (en) Form, fill and seal apparatus and methods for applying one-way valves to flexible packages
JP6192908B2 (ja) 包装機の小袋装填装置及び包袋への小袋装填方法
JP2009286485A (ja) 包装袋の封止装置
JP2011102132A (ja) 包装袋及び包装袋に被包装物を投入する投入方法
JP6083686B2 (ja) 粉粒体充填装置、及び充填用パイプユニット
CN206231841U (zh) 条式包装袋
JP2021102443A (ja) 包装袋
JPS63863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