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061A - 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를 가진 터빈 - Google Patents

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를 가진 터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5061A
KR20170085061A KR1020177015305A KR20177015305A KR20170085061A KR 20170085061 A KR20170085061 A KR 20170085061A KR 1020177015305 A KR1020177015305 A KR 1020177015305A KR 20177015305 A KR20177015305 A KR 20177015305A KR 20170085061 A KR20170085061 A KR 20170085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cage
controller
rotation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산 모하예르
Original Assignee
하산 모하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산 모하예르 filed Critical 하산 모하예르
Publication of KR2017008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3/066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the wind engaging parts being movable relative to the rotor
    • F03D3/067Cyclic movements
    • F03D3/068Cyclic movements mechanically controlled by the roto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horizon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03D3/007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using the Magnus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F05B2240/213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of the Savoniu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B2240/31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of changeable form o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B2240/31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of changeable form or shape
    • F05B2240/311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of changeable form or shape flexible or ela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n airbourne structure
    • F05B2240/92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n airbourne structure kept aloft due to aerodynamic ef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장치는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케이지 및 케이지의 단부에 위치되고 터빈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터빈을 포함할 수 있다. 터빈 블레이드는 적응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빈 블레이드의 프레임은 제2 프레임 부분에 대해서 피봇되는 제1 프레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를 단축시키는 한편 동시에 다른 연결부를 연신시키는 것에 의해서, 터빈 블레이드의 곡률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기는 바람의 속력, 방향, 속도, 및 가속도, 및/또는 장치에 의해서 수반되는 하중체에 기초로 케이지(들) 및/또는 터빈(들)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는 사보니우스 기계일 수 있다. 케이지(들) 및/또는 터빈(들)의 회전이 마그누스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좌석 및 좌석 부근의 사용자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제어부는 케이지(들) 및/또는 터빈(들)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를 가진 터빈{TURBINE WITH DYNAMICALLY ADAPTABLE SAVONIUS BLADE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4년 11월 5일자로 출원되고 본원에서 전체가 참조로서 명백하게 포함되는 "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를 가지는 터빈(Turbine With Dynamically Adaptable Savonius Blades"이라는 명칭의 미국 정규 특허출원 제14/533,868호에 대한 이익 향유 및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기계에 관한 것이고, 보다 특히 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를 가지는 터빈에 관한 것이다.
터빈은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바람을 이용할 수 있다. 회전되는 샤프트는 운동 에너지를 갖는다. 회전되는 샤프트의 운동 에너지가 전기적 파워로 변환될 수 있다. 기존 터빈이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블레이드는 전형적으로 고정된 형상을 갖는다. 터빈의 블레이드의 형상은 터빈의 효율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람 조건(예를 들어, 속력, 속도, 가속도, 등)이 때때로 변경될 수 있다. 형상이 고정된 블레이드는 변동되는 바람 조건하에서 터빈이 효율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개선으로부터 터빈의 기존 설계가 이득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설명된 여러 특징이 다양한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는 여러 가지 기계(예를 들어, 사보니우스 기계), 다양한 터빈, 및 운동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바람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임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장치" 또는 "장치들"이라는 용어가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그러한 용어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을 것이다.
장치는 적어도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케이지, 및 케이지의 단부에 위치되는 사보니우스 터빈을 포함할 수 있다. 터빈은 터빈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빈 축이 케이지 축과 상이할 수 있다. 터빈은 적응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터빈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터빈 블레이드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이 제1 프레임 부분 및 제1 프레임 부분에 결합된 제2 프레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부분은 제2 프레임 부분에 대해서 피봇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프레임의 단부의 제1 측면과 프레임의 중심 영역 사이의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프레임의 제1 단부의 제2 측면과 프레임의 중심 영역 사이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터빈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빈 제어기는 적어도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를 적어도 유지, 단축, 또는 연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부분은 적어도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가 적어도 단축되거나 연신될 때, 제2 프레임 부분에 대해서 피봇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빈 블레이드의 적응 가능한 형상은 제1 연결부의 길이가 제2 연결부의 길이와 유사할 때, 편평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빈 블레이드의 적응 가능한 형상은 제1 연결부의 길이가 제2 연결부의 길이와 상이할 때,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터빈 제어기는 제1 연결부를 단축시키는 한편 제2 연결부를 동시에 연신시키는 것에 의해서, 또는 제2 연결부를 단축시키는 한편 제1 연결부를 동시에 연신시키는 것에 의해서 터빈 블레이드의 곡률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케이지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 제어기는 적어도 바람의 속력, 방향, 속도, 또는 가속도를 기초로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빈 제어기는 케이지의 회전 경로 상의 터빈의 위치를 기초로 터빈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빈 제어기는 적어도 바람의 속력, 방향, 속도, 가속도, 케이지의 회전 속력, 터빈 축에 대한 터빈 블레이드의 위치, 또는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경로 상의 터빈의 위치를 기초로 터빈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지 제어기는 장치의 모드를 기초로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빈 제어기는 장치의 모드를 기초로 터빈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가 하나의 모드에 있을 때, 케이지 제어기는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터빈 제어기는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가 하나의 모드에 있을 때, 케이지 제어기는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터빈 제어기는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사보니우스 터빈일 수 있다. 사보니우스 터빈의 블레이드가 지면에 대해 수직적으로 보다는 더욱 수평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 및/또는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의 회전이 마그누스 효과(Magnus effect)를 유도할 수 있다. 마그누스 효과는 장치를 지면 위로 상승시킬 수 있다. 장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의 및/또는 서로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각도의 복수의 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케이지 중 많은 수가 장치 및/또는 하중체를 지면 위로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양력(lift)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장치는 복수의 터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터빈 중 많은 수가 장치 및/또는 장치와 하중체를 지면 위로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양력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복수의 터빈 중 많은 수가 하나 이상의 케이지의 다양한 치수(예를 들어, 길이, 폭, 높이, 등과 같은 크기)를 기초로 할 수 있다.
장치는 좌석 및 좌석 근처의 사용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제어부는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에 의한 이용을 위해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어도 케이지 제어기 또는 터빈 제어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모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는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으로부터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는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의 회전으로부터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하중체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중체는 벨트 홀더, 케이지 축, 또는 벨트 홀더 및 케이지 축 모두에 수반되거나 그로부터 현수될 수 있다.
사용자 제어에 더하여, 장치는 수동 조향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수동 조향은 패러글라이더에서 구현된 특정 메카니즘과 관련될 수 있다. 그러한 수동 조향 메카니즘은 비행 중에 제어 및/또는 파워 시스템이 고장난 경우에, 사용자가 장치를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게 한다.
사보니우스 블레이드의 모터에 연결된 각각의 아암은 케이지 벨트 부분 중 2개, 아암을 다른 2개의 아암에 연결하는 2개의 케이블 및/또는 인장 케이블/스트립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본원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여러 가지 특징의 요지이다. 부가적인 특징이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원에서 명백하게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임의의 조합 또는 하위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a는 단일-케이지 장치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이중-케이지 장치의 예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다른 예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여러 부분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여러 모터 구성요소의 예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예시적인 터빈의 부분의 횡단면적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예시적인 터빈의 여러 부분의 다양한 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예시적인 블레이드 제어기의 여러 부분의 다양한 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피봇 분배기 스프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러 특징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그러나, 본원에서 제공된 설명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본원에서 설명된 특징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부가적인 및/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장치(1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케이지의 블레이드의 방향이 제어되고 조화될 때, 케이지 자체가 일종의 터빈이 된다. 이러한 터빈의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형상이 사보니우스 블레이드로부터 편평한 블레이드로 그리고 가능하게는 반대 방향, 형상, 구성 및/또는 배향의 사보니우스 블레이드로 변경될 수 있도록, 형상이 적응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장치(10)는 케이지 축(10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케이지이다. 케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사보니우스 터빈/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 축(10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케이지가 터빈(162, 164, 166)을 포함한다. 비록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장치(10)에서 케이지에 대해서 3개의 터빈이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가 도 1에 도시된 터빈의 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장치(10)가 케이지를 위한 더 많거나 적은 수의 사보니우스 터빈/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터빈/블레이드가 케이지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빈(162, 164, 166)은 케이지 축(102)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114, 118, 116)에 의해서 하나의 측면 상에서 그리고 아암(142, 140, 138)에 의해서 다른 측면 상에서 각각 지지된다. 그와 같이, 터빈(162, 164, 166)은 케이지 축(10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케이지의 단부에 위치된다.
중심 축은 터빈을 지지하는 아암이 연결되는 연결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점(106)은 터빈(162, 164, 166)을 각각 지지하는, 아암(114, 118, 116)에 연결된다. 다른 예로서, 연결점(108)은 터빈(166, 164, 162)을 각각 지지하는, 아암(138, 140, 142)에 연결된다.
터빈/블레이드는 그 자체의 터빈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터빈 축이 케이지 축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빈(162)이 주위에서 회전되는 터빈 축은 상응하는 케이지가 주위에서 회전되는 케이지 축(102)과 상이하다. 터빈은 터빈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터빈 블레이드는 형상이 적응될 수 있다. 터빈 블레이드의 적응 가능한 형상과 관련한 부가적인 상세 내용은 특히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제공된다.
터빈은 벨트에 의해서 다른 터빈에 연결될 수 있다. 벨트는 각각의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과 관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벨트가 또한 케이지 벨트로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 부분(124, 126, 128 및 144, 146, 148)이, 케이지 축(102)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과 관련될 수 있다. 벨트 홀더(190)는 장치(10)의 벨트 부분 및/또는 다리부(191, 192)에 연결될 수 있는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는 터빈의 단부 영역과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빈(162, 164, 166)은 각각, 일 측면 상의 단부 영역(174, 176, 178) 및 타 측면 상의 단부 영역(173, 175, 177)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벨트 부분(124, 126, 128, 144, 146, 148)이 터빈(162, 164, 166)의 단부 영역(174, 176, 178, 173, 175, 177) 중 2개와 접촉할 수 있다. 단부 영역(174, 176, 178, 173, 175, 177)은 특히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전기 모터 및/또는 발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가 케이지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 제어기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하드웨어 구성요소(예를 들어, 회로, 메모리, 파워, 등), 기계적 구성요소(예를 들어, 레버, 모터, 경첩, 등),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 제어기는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케이지 제어기는 적어도 바람의 속력, 방향, 속도, 또는 가속도 그리고 하중체(예를 들어, 장치의 일부가 아닌 중량, 사람, 물체, 등)를 기초로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하나 이상의 터빈/블레이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빈 제어기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하드웨어 구성요소(예를 들어, 회로, 메모리, 파워, 등), 기계적 구성요소(예를 들어, 레버, 모터, 경첩, 등), 그리고 전술한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터빈 제어기(들)이 하나 이상의 터빈을 제어할 수 있다. 터빈 제어기는 적어도 바람의 속력, 방향, 속도 또는 가속도 그리고 케이지의 회전 경로(180) 상의 터빈/블레이드의 위치를 기초로 터빈/블레이드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케이지 제어기 및/또는 터빈 제어기(들)가 장치(10)의 다양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 제어기 및/또는 터빈 제어기(들)이 사용자의 사용자 제어부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당업자는 케이지 제어기 및/또는 터빈 제어기(들)가 부가적으로 및/또는 대안적으로 장치(10)의 임의의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케이지 제어기는 장치(10)의 모드를 기초로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빈 제어기는 장치(10)의 모드를 기초로 터빈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장치(10)가 다양한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모드의 예로 '제1 터빈 모드'가 있다. 당업자는 '제1 터빈 모드'가 예시적인 문구이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그러한 모드가 임의의 다른 용어 및/또는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장치(10)가 그러한 모드에 있을 때, 케이지 제어기는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터빈 제어기는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 제어기는 케이지 축(102)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터빈 제어기는 각각의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터빈(162, 164, 166)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는 모드가 하나 초과의 케이지(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케이지)를 필요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모드에서, 체결부(414)가 활성적일 수 있고 케이지가 그 축(10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클러치(412)가 기어박스(416)를 모터(4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클러치(408)는 기어박스(406)를 모터(410)에 연결할 수 있고, 모터(410)가 바람(206)의 파워를 이용하여 회전될 수 있고, 이는 각각의 사보니우스 블레이드에 의해서 수확되어 터빈 샤프트(404)로 그리고 기어박스(406)로 전달될 수 있다.
모드의 다른 예로 '제2 터빈 모드'가 있다. 당업자는 '제2 터빈 모드'가 예시적인 문구이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그러한 모드가 임의의 다른 용어 및/또는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장치(10)가 그러한 모드에 있을 때, 케이지 제어기는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터빈 제어기는 제어되는 방식으로,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 제어기는 케이지 축(102)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터빈 제어기는 항상 최적의 상승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터빈(162, 164, 166)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모드에서, 체결부(414)가 비활성적이어서 케이지가 그 축(10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고, 클러치(412)가 그 케이지 샤프트(420)를 그 각각의 기어박스를 통해서 모터(410)에 연결할 수 있으며, 클러치(408)는 기어박스(406)를 모터(4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모터(410)가 바람(206)의 파워를 이용하여 회전될 수 있고, 이는 케이지에 의해서 수확될 수 있다.
모드의 다른 예로 '하이브리드 모드'가 있다. 당업자는 '하이브리드 모드'가 예시적인 문구이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그러한 모드가 임의의 다른 용어 및/또는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장치(10)가 그러한 모드에 있을 때, 케이지 제어기는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터빈 제어기는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 제어기는 케이지 축(102)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터빈 제어기는 각각의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터빈(162, 164, 166)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는 풍력 에너지를 흡수 및/또는 수확하기 위한 및/또는 적어도 바람 조건 및/또는 하중체의 크기를 기초로 하여 하중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따른 많은 대안적인 구성 및/또는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모드에서, 체결부(414)가 비활성적이어서 케이지가 그 축(10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고, 클러치(412)가 그 케이지 샤프트(420)를 그 각각의 기어박스를 통해서 모터(410)에 연결할 수 있으며, 클러치(408)는 기어박스(406)를 모터(4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모터(410)가 파워 발생기/저장부(196)의 파워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모드의 또 다른 예로 '활공 모드(glide mode)'가 있다. 당업자는 '활공 모드'가 예시적인 문구이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그러한 모드가 임의의 다른 용어 및/또는 명칭으로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장치(10)가 그러한 모드에 있을 때, 케이지 제어기는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터빈 제어기는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 제어기는 케이지 축(102)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터빈 제어기는 각각의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터빈(162, 164, 166)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보니우스 블레이드의 방향은 터빈 샤프트(404)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그러한 모드에서, 체결부(414)가 활성적이고, 그에 의해서 케이지가 그 축(102)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클러치(412)는 그 케이지 샤프트(420)를 모터(410)로부터 분리하며, 클러치(408)는 기어박스(406)를 모터(410)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모터(410)가 파워 발생기/저장부(196)의 파워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에서 터빈 샤프트(404)의 이동 방향은 모터(410)의 회전 방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고 터빈 제어기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이 마그누스 효과를 유도할 수 있고, 마그누스 효과는 지면 위쪽으로의 장치의 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 축(102)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지의 회전은 마그누스 효과를 유도할 수 있고, 그러한 마그누스 효과는 장치(10)를 지면 위로 그리고 공기중으로 상승시킨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블레이드의 회전이 마그누스 효과를 유도할 수 있고, 마그누스 효과는 지면 위쪽으로의 장치의 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터빈(162, 164, 166)의 회전은 마그누스 효과를 유도할 수 있고, 그러한 마그누스 효과는 장치(10)를 지면 위로 상승시킨다.
장치(10)는 발전기/저장부(196)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1a에 도시된 예시적인 장치(10)는 다리부(192) 상에 위치된 발전기/저장부(196)를 도시하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발전기/저장부(196)가 장치(10)의 다른 부분에, 또는 심지어 장치(10)로부터 분리되어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장치(10) 내의 모터는 케이지 축(예를 들어, 케이지 축(102))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으로부터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는 또한 각각의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블레이드(예를 들어, 터빈(162, 164, 166, 168, 170, 172) 중 하나 이상)의 회전으로부터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는 3개의 주요 매개변수는 각각의 케이지 축에 대한 이동, 각각의 터빈/블레이드 축에 대한 이동, 및 각각의 블레이드의 형상의 제어를 포함한다. 비행 모드 및 활공 모드와 같은 적어도 2개의 이송 모드가 존재한다. 비행 모드의 일부 구성에서, 각각의 케이지가 그 자체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고, 각각의 터빈/블레이드 축을 중심으로 하는 이동은 케이지의 회전 경로(180), 바람 조건 및/또는 각각의 터빈/블레이드의 형상과 관련된 그 위치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으며, 각각의 터빈/블레이드의 형상은 항상 제어된 최적의 상승을 제공하도록 동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활공 모드의 일부 구성에서, 각각의 케이지 축에 대한 이동, 터빈/블레이드 축에 대한 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블레이드의 형상이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터빈 모드 및 제2 터빈 모드와 같은, 발전을 위한 2개의 모드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터빈 모드의 일부 구성에서, 각각의 케이지 축에 대한 이동이 제한될 수 있고, 터빈/블레이드는 그 각각의 축에 대해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고, 블레이드의 형상이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제2 터빈 모드의 일부 구성에서, 케이지의 이동이 허용될 수 있고, 터빈/블레이드의 이동이 케이지의 회전 경로(180)로 그 위치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터빈/블레이드의 형상이 동적으로 적응되어 항상 제어된 최적의 상승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이중 케이지 장치(1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된 장치(100)는 2개의 케이지를 포함한다. 제1 케이지는 원형 경로(180)를 따라서 케이지 축(10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2 케이지는 원형 경로(188)를 따라서 케이지 축(10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케이지 축(102, 104)은 넓은 각도로 연결부(136)에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36)는 제어 신호(예를 들어, 사용자 제어부) 및 전기 파워를 적절한 케이지 축으로 보낼 수 있다. 비록 도 1b에 도시된 예시적인 장치(100)에서 2개의 케이지가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가 도 1b에 도시된 케이지의 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장치(100)가 전기 차량(예를 들어, 자전거, 보트, 등), 프로펠러, 더 많은 수의 케이지 및/또는 더 적은 수의 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사보니우스 터빈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터빈의 블레이드가 지면에 대해 수직적으로 보다는 더욱 수평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 축(102, 104) 및 하나 이상의 터빈(162, 164, 166, 168, 170, 172)의 터빈 축이 수직 방향(즉, 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 보다 수평 방향(즉, 지면에 실질적으로 더 평행한 방향)으로 보다 더 연장되어, 예를 들어, 제2 터빈 모드 중에 추가적인 안정성을 장치(100)에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장치(100)는 임의 수의 케이지 및/또는 임의 수의 터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복수의 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지의 정확한 수는 장치(100) 및 하중체를 지면 위로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양력을 기초로 할 수 있다. 또한, 터빈의 정확한 수는 케이지의 크기를 기초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사보니우스 터빈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터빈의 블레이드가 지면에 대해 수직적으로 보다는 더욱 수평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 축(102, 104) 및 하나 이상의 터빈(162, 164, 166, 168, 170, 172)의 터빈 축이 수직 방향(즉, 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 보다 수평 방향(즉, 지면에 실질적으로 더 평행한 방향)으로 보다 더 연장된다.
장치(100)는 좌석(194) 및 좌석(194) 근처의 사용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제어부는 좌석(194)에 착석한 사용자에 의한 이용을 위해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케이지 제어기 및/또는 터빈 제어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좌석(194)에 앉아 있는 동안 사용자 제어부를 이용할 수 있고, 사용자 제어부는 기둥(192)을 통해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케이지 및/또는 터빈을 향하는 제어 신호는 그들의 각각의 목적지에 도달된다. 장치(100)는 발전기(196)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1b에 도시된 예시적인 장치(100)가 좌석(194) 아래에 위치된 발전기(196)를 도시하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발전기(196) 및/또는 사용자 제어부가 장치(100)의 다른 부분에, 또는 심지어 장치(100)로부터 분리되어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장치(10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 내의 모터(400)는 케이지 축(예를 들어, 케이지 축(102, 104))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지의 회전으로부터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400)는 각각의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예를 들어, 터빈(162, 164, 166, 168, 170, 172) 중 하나 이상)의 회전으로부터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400)는 케이지 및/또는 사보니우스 터빈/블레이드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장치(100)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장치(100)는 연결 요소(202)에 의해서 지면(204)에 연결된다. 연결 요소(202)는 로프, 전도 와이어, 플라스틱, 금속, 그 임의 조합,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요소(202)는 장치(100)의 기둥(192)을, 지면(204)에 연결될 수 있는, 발전기/저장부(196) 및/또는 좌석(194)에 연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중에서 이동하는 바람(206)은 장치(100)의 터빈 블레이드를 회전(예를 들어, 각각의 터빈 축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중에서 이동하는 바람(206)은 장치의 케이지(들)가 회전(예를 들어, 각각의 케이지 축에 대해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앞서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지 및/또는 터빈/블레이드가 도는 것(예를 들어, 회전)은 마그누스 효과를 유도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장치(100)가 지면(204) 위로 상승되게 할 수 있다.
당업자는 각각의 케이지의 회전 및 각각의 터빈의 회전이 여러 인자를 기초로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그러한 제어는 조향 및 네비게이션(예를 들어, 좌측으로 회전 및/또는 우측으로 회전)의 목적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그러한 제어는 상승 및/또는 하강(예를 들어, 고도 상승 및/또는 고도 하강)의 목적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제어는 또한 공기 중에서 실질적으로 정지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전진 또는 후진을 위해서(예를 들어, 바람 조건이 변화되는 중에, 장치(100)가 실질적으로 정지적으로 유지되도록, 전진되도록 또는 후진되도록, 케이지 및/또는 터빈을 조정하는 것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도 3a는 장치(10, 10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측면도는 장치(10, 100)의 케이지(들)의 회전 축을 따른 것이다. 도 3a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서 수직 축(310) 및 수평 축(312)이 도시되어 있다. 장치(10, 100)의 케이지(들)가 회전 경로(180)를 따라서 회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는 벨트 부분(124, 126, 128)을 포함할 수 있다. 터빈(174, 176, 178)은 도 3a에 도시된 지역(302, 304, 306)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3b는 장치(10, 100)의 다른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측면도는 장치(10, 100)의 터빈(들) 중 하나의 회전 축을 따른 것(예를 들어, 도 1a 및 도 3a에 도시된 터빈(162)의 회전 축을 따른 것)이다. 터빈(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터빈(162))은 회전 경로(302)를 따라서 회전될 수 있다. 터빈(들)(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터빈(174))의 단부 부분이 선(314)과 관련될 수 있고, 그러한 선(314)은 회전 경로(302)를 따라서 회전된다.
도 4는 장치(10, 100)의 다양한 모터 구성요소(400)의 예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당업자는 도 4에 도시된 예가 단지 설명 목적을 위해서 제공된 것이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대안적인 및/또는 부가적인 구성요소가 포함될(또는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임의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모터(400)로부터 제거된다면, 장치(10, 100)는 더 적은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모터 구성요소(400)가 제어 파워 공급 샤프트(402), 터빈 샤프트(404), 제1 기어박스(406), 제1 클러치(408), 전기 모터/발전기(410), 제2 클러치(412), 체결부(414), 제2 기어박스(416), 케이지 풀리(418), 및/또는 케이지 풀리 샤프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그러한 모터 구성요소(400)가 터빈(예를 들어, 162, 164, 166))의 단부 영역(예를 들어, 단부 영역(174, 176, 178, 173, 175, 177))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그러한 모터 구성요소(400)가 장치(100)의 임의의 다른 부분 내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장치(10, 100)의 예시적인 터빈(500)의 일부의 횡단면적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빈(500)은 적응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터빈 블레이드(502)를 가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빈 블레이드(502)의 형상은 다양한 인자를 기초로 적응될 수 있다. 터빈 블레이드(502)는 가요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위치에서 터빈 블레이드(502)의 프레임에 연결되고, 부착되고, 결합되고, 부속되고, 래칭되고(latch), 및/또는 달리 연관될 수 있다. 터빈(500)의 프레임이 하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빈(500)의 프레임이 제1 프레임 부분(506) 및 제2 프레임 부분(5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부분(506)이 제2 프레임 부분(504)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부분(506)이 피봇 지점(508)에서 제2 프레임 부분(504)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부분(506)은 제2 프레임 부분(504)에 대해서 피봇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피봇팅은 프레임이 터빈 블레이드(502) 및, 그에 따라, 전체 터빈(500)의 형상에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다. 당업자는 도 5에 도시된 예가 단지 설명 목적을 위해서 제공된 것이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대안적인 및/또는 부가적인 구성요소가 포함될(또는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터빈(500)이 또한 다른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부분(506)이 다른 피봇 지점(536)에서 다른 프레임 부분(54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 부분(540)이 코어(534)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프레임 부분(504)이 또 다른 피봇 지점(538)에서 또 다른 프레임 부분(54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터빈 블레이드(500)의 프레임은 부가적인, 대안적인, 또는 더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 부분의 크기가 다른 프레임 부분과 상이할 수 있고, 활공 모드에서 블레이드의 하나의 측면을 전방 날개/블레이드로서 구성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고, 다른 측면은 날개/블레이드의 꼬리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측면의 프레임 부분의 수가 터빈 블레이드의 다른 측면의 프레임 부분의 수와 상이할 수 있다.
터빈(500)은 또한 터빈의 프레임의 단부와 터빈의 프레임의 중심 영역 사이의 다양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빈(500)은 프레임 부분(542)에 고정된 제1 단부(예를 들어, 단부(510))의 제1 측면(예를 들어, A)과 중심 영역(예를 들어, 코어(534) 부근의 위치(U)) 사이에서 제1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6) 및 아암(522)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빈(500)은 또한 프레임 부분(542)의 제1 단부(예를 들어, 단부(510))의 제2 측면(예를 들어, B)과 중심 영역(예를 들어, 코어(534) 부근의 위치(V)) 사이에서 제2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8) 및 아암(524)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100)는 터빈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터빈 제어기는 제1 연결부 및/또는 제2 연결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빈 제어기는 적어도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를 적어도 유지, 단축, 또는 연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터빈 제어기가 부가적인 기능(예를 들어, 다른 연결부의 제어)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암(510)이 프레임 부분(542)에 고정되나, 아암이 프레임의 다른 부분(들)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 부분의 이동이 또한 별개로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또한 터빈(500)의 프레임의 측면 상에 위치된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암(512, 514)이 프레임 부분(504, 506)의 측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한 아암은 기계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고 전술한 케이블의 이동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아암이 또한 아암의 단부에서 롤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암(512, 514)이 롤러(516, 518)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케이블(526, 528)이 롤러(516, 518) 상에서 롤링될 수 있다. 아암(512, 514)이 또한 스프링(520, 521)을 각각 가질 수 있다. 프레임 및/또는 터빈 블레이드(5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아암(512, 514)이 밀릴 수 있도록, 스프링이 아암 상으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케이블(526, 528)을 지지하는 것의 일부 예이다. 당업자는 케이블(526, 528) 지지의 다양한 다른 예가 존재한다는 것 그리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케이블(526, 528)은 각각 연신 및/또는 단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가 U에 더 근접하도록, 케이블(526)이 단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B가 V로부터 더 멀도록, 케이블(528)이 연신될 수 있다. 그러한 단축(들) 및/또는 연신(들)은 프레임 부분(504, 506, 542, 540)이 서로에 대해서 피봇될 수 있게 하고(예를 들어, 피봇 지점(508, 538, 536)), 그에 의해서 터빈 블레이드(502)가 곡선형 형상을 가질 수 있게 한다. 터빈 블레이드(502)의 곡률은 각각, 제1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6)을 포함하는 연결부)가 단축되고 연신되는 범위 및 제2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8)을 포함하는 연결부)가 연신되거나 단축되는 범위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6)을 포함하는 연결부) 및/또는 제2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8)을 포함하는 연결부)가 단축 및/또는 연신될 때, 제1 프레임 부분(506)은 제2 프레임 부분(504)에 대해서 (예를 들어, 피봇 지점(508)에서) 피봇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6)을 포함하는 연결부)의 길이가 제2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8)을 포함하는 연결부)의 길이와 상이할 때, 터빈 블레이드(502)의 적응 가능한 형상은 곡률을 포함한다. 비교하면, 제1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6)을 포함하는 연결부)의 길이가 제2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8)을 포함하는 연결부)의 길이와 유사할 때, 터빈 블레이드(502)의 적응 가능한 형상은 편평한 형상을 포함한다. 터빈 제어기는 제1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6)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단축시키는 한편, 동시에 제2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8)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연신시키는 것에 의해서, 터빈 블레이드(502)의 곡률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빈 제어기는 또한, 제2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8)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단축시키는 한편, 동시에 제1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526)을 포함하는 연결부)를 연신시키는 것에 의해서, 터빈 블레이드(502)의 곡률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장치(100)의 예시적인 터빈(680)의 여러 부분의 다양한 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더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100)는 모터 구성요소(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는 아암(114, 142)을 포함할 수 있다. 터빈(680)은 또한 브래킷(65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652)은 영역(654)을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영역 내에서 핀(511, 513)이 활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빈 블레이드가 그 형상의 곡률을 변화시킬 때, 핀(511, 513)이 코어(534)를 향해서 및/또는 그로부터 멀리 활주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터빈의 일부 다른 부분이 도 5를 참조하여 전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부분(640, 606, 604, 642) 및 피봇 지점(636, 608, 638)은 프레임 부분(540, 506, 504, 542) 및 피봇 지점(536, 508, 538) 각각과 유사하다. 위성 기어(671)가 코어(534)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위성 기어(671)는 블레이드의 이동으로부터 발생된 운동 에너지를 단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는 모터 발전기로 전달할 수 있다. 터빈(680)의 부분은 기계적 지지 및/또는 강성도를 터빈(680)의 가요성 재료/시트(682)에 제공하는 인장 케이블/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가요성 시트(682)가 매우 다양한 재료를 포함하거나 그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그러한 재료가 천으로부터 금속 시트까지의 범위를 가지는 다양한 재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너트(607)를 이용하여 인장 케이블(611) 및/또는 블레이드(들)(162) 그리고 또한 케이지 벨트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들(106 및 108) 사이의 거리가 증가될 때, 인장 케이블/벨트 및 케이지 벨트가 조여질 것이다. 이러한 거리가 감소될 때, 인장 케이블/벨트를 포함하는 케이지 벨트 및/또는 블레이드(들)(162)가 느슨해질 것이다. 인장 케이블/벨트의 인장이 별개로 조정될 수 있다. 터빈(680)의 부분(690)은 터빈(680)의 다른 부분(600)과 유사할 수 있다. 터빈(680)은 또한 제어 기어박스(650)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전술한 내용이 전술한 특징을 달성하는 단지 하나의 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대안적인 구성 및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제어 기어박스(650)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가 이하에서, 특히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제공된다.
터빈의 유사한 부분들은 상보적인 양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빈 프레임(670)(그리고, 그에 따라, 터빈 블레이드(682))의 하나의 절반체가 볼록-유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한편, 터빈 프레임(670)(그리고, 그에 따라, 터빈 블레이드(682))의 다른 절반체가 오목-유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 A와 U 사이의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가 단축될 때 및/또는 (ii) B와 V 사이의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가 연신될 때, 터빈 프레임의 하나의 절반체가 제1 형상(예를 들어, 볼록-유사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동시에, (i) C와 V 사이의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가 단축될 때 및/또는 (ii) D와 U 사이의 연결부(예를 들어, 케이블)가 연신될 때, 터빈 프레임의 다른 절반체가 (상보적인) 제2 형상(예를 들어, 오목-유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와 같이, 터빈 블레이드(682)의 하나의 절반체를 위한 볼록-유사 형상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분(540, 506, 504, 542) 및 피봇 지점(536, 508, 538)의 구성이 터빈 블레이드(682)의 다른 절반체를 위한 오목-유사 형상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분(640, 606, 604, 642) 및 피봇 지점(636, 608, 638)의 구성과 동시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장치(100)의 예시적인 블레이드 제어기의 여러 부분의 다양한 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100)는 제어 기어박스(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기어박스(650)는 사각형 풀리(702)를 포함할 수 있다. 사각형 풀리(702)는 하나 이상의 풀리 또는 케이블 파이프(525, 527, 727, 729)에 따라서 동작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는 풀리 및/또는 케이블 파이프가 장치의 여러 연결부를 단축 및/또는 연신시키는 유일한 메카니즘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연결부를 단축 및/또는 연신시키기 위한 대안적인 메카니즘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에 포함된다. 사각형 풀리(702)는 하나의(또는 그 초과의) 연결부(들)를 단축시키는 한편 동시에 하나의(또는 그 초과의) 연결부(들)를 연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풀리(702)가 케이블(528) 및/또는 케이블(728)을 포함하는 연결부 중 하나 이상을 단축시키는 한편 동시에 케이블(526) 및/또는 케이블(726)을 포함하는 연결부 중 하나 이상을 연신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이, B를 향한 케이블(528)을 포함하는 연결부가 단축될 수 있고 및/또는 D를 향한 케이블(728)을 포함하는 연결부가 단축될 수 있다. 또한, A를 향한 케이블(526)을 포함하는 연결부가 연신될 수 있고 및/또는 C를 향한 케이블(726)을 포함하는 연결부가 연신될 수 있다. 너트(705)는 중앙 코어가 터빈 샤프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샤프트(402)는 고려되는 베어링을, 풀리를 덮는 캡 상에서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브래킷(652)은 (예를 들어, 핀(511, 513)을 통해서) 블레이드의 운동 에너지를 수용하고 위성 기어 세트(671)의 위성 기어(들)의 샤프트(들)(802)를 통해서 각각이 터빈 샤프트로 그러한 운동 에너지를 전달한다. 브래킷은 스프링(들)(651)을 가질 수 있고, 그러한 스프링은 핀(511, 513)이 서로로부터 멀리 공간(654) 내에서 활주될 수 있게 연결 케이블(526, 528, 726, 728)이 허용하는 한, 핀(511, 513)을 서로로부터 멀리 밀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 내용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피봇 분배기 스프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트(682)가 가요성을 가지지 않고 비-가요성 재료(예를 들어, 천)로 제조될 때, 각각의 터빈은 각각의 측면에서 하나 이상의 피봇 분배기 스프링(900)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연결 케이블(526, 528, 726, 728)의 하나 이상이 단축 또는 연신될 때, 피봇 분배기 스프링(900)의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언급된 연결부 케이블들이 동일하지 않을 때, 스프링의 형상이 문자 "S"와 유사하게 성형될 수 있다. 언급된 연결부 케이블들이 유사한 길이를 가질 때, 스프링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피봇 분배기 스프링(900)은 중앙 코어(534) 주위의 링(920)을 가질 수 있고, 피봇 링(904, 906, 908)이 피봇(536, 508, 538)과 함께 각각 이동될 수 있고, 이는 피봇 분배기 스프링(900)의 형상으로의 피봇(들)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이 브래킷의 직후에 및/또는 블레이드 프레임 부분 다음에, 또는 블레이드 단부 부근의 임의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양태를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이러한 양태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서 규정된 일반적인 원리가 다른 양태에 적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청구항은 본원에서 제시된 양태로 제한되지 않고, 청구항의 언어와 일치되는 전체 범위를 허용할 것이며, 단수형의 요소에 대한 언급은 구체적으로 그렇게 기술되지 않는 한, "하나 및 단지 하나"를 의미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하나 이상"을 의미할 것이다. "예시적"이라는 단어는 본원에서 "예, 예시, 또는 묘사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사용되었다. "예시적"으로서 본원에서 설명된 양태가 반드시 다른 양태 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일부"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C 또는 그 임의 조합"과 같은 조합이 A, B, 및/또는 C의 임의 조합을 포함하고, 복수의 A, 복수의 B, 또는 복수의 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C 또는 그 임의 조합"이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및 B 및 C일 수 있고, 임의의 그러한 조합이 A, B, 또는 C의 하나 이상의 부재 또는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또는 추후에 공지될 본 개시 내용 전반을 통해서 설명된 여러 가지 양태의 요소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이 본원에서 참조로 명백하게 포함되고 청구항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개시된 어떠한 것도, 그러한 개시 내용이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인용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대중을 위해서 헌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았다. 요소가 "~를 위한 수단" 이라는 문구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인용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항 요소도 미국 특허법 하에서 기능적인 것(a means plus function)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Claims (22)

  1. 장치이며: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케이지; 및
    상기 케이지의 단부에 위치되는 터빈으로서, 상기 터빈은 상기 케이지 축과 상이한 터빈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터빈은 적응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터빈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터빈
    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블레이드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제1 프레임 부분 및 상기 제1 프레임 부분에 결합된 제2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 부분은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에 대해서 피봇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단부의 제1 측면과 상기 프레임의 중심 영역 사이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제1 단부의 제2 측면과 상기 프레임의 중심 영역 사이의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터빈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빈 제어기는 적어도 상기 제1 연결부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를 적어도 유지, 단축, 또는 연신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부분은 적어도 제1 연결부 또는 제2 연결부가 적어도 단축되거나 연신될 때, 상기 제2 프레임 부분에 대해서 피봇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블레이드의 적응 가능한 형상은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가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와 유사할 때, 편평한 형상을 포함하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블레이드의 적응 가능한 형상은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가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와 상이할 때, 곡률을 포함하는,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제어기는, 상기 제1 연결부를 단축시키는 한편 상기 제2 연결부를 동시에 연신시키는 것에 의해서, 또는 상기 제2 연결부를 단축시키는 한편 상기 제1 연결부를 동시에 연신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터빈 블레이드의 곡률을 제어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케이지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제어기는 적어도 바람의 속력, 방향, 속도, 가속도, 또는 하중체의 중량을 기초로 상기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또는
    상기 터빈 제어기는 적어도 바람의 속력, 방향, 속도, 가속도, 상기 케이지의 회전 속력, 상기 터빈 축에 대한 터빈 블레이드의 위치, 또는 상기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경로 상의 터빈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터빈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제어기는 상기 장치의 모드를 기초로 상기 케이지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터빈 제어기는 상기 장치의 모드를 기초로 상기 터빈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케이지 제어기는 상기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케이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가 상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터빈 제어기는 상기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케이지 제어기는 상기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케이지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가 상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터빈 제어기는 상기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케이지 제어기는 상기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케이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가 상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터빈 제어기는 지면에 대한 수평 위치에서 유지되게 상기 터빈 블레이드를 제어하도록 그리고 상기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케이지 및 복수의 터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사보니우스 터빈이며, 상기 사보니우스 터빈의 블레이드가 지면에 대해 수직적으로 보다는 더욱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케이지의 회전 또는 상기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터빈의 회전이 마그누스 효과를 유도하고, 상기 마그누스 효과는 상기 장치를 지면 위로 상승시키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모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터는 적어도 상기 케이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케이지의 회전으로부터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또는 상기 터빈 축을 중심으로 하는 터빈의 회전으로부터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좌석 및 상기 좌석 부근의 사용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제어부는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에 의한 이용을 위해서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케이지 제어기 또는 상기 터빈 제어기를 제어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복수의 케이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지의 수는 상기 장치 및 하중체를 지면 위로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양력에 기초하는,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복수의 터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빈의 수는 상기 케이지의 크기, 또는 상기 장치 및 하중체를 지면 위로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에 기초하는,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제어기는 상기 케이지의 회전 경로 상의 터빈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터빈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장치.
  22.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케이지의 단부 모터들 사이의 거리가 연장되거나 상기 각각의 케이지 축 상의 아암 연결부들 사이의 거리가 연장되도록, 상기 터빈 블레이드가 상기 블레이드를 따라서 당겨지도록 구성되는, 장치.
KR1020177015305A 2014-11-05 2015-11-04 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를 가진 터빈 KR201700850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33,868 US9683549B2 (en) 2014-11-05 2014-11-05 Turbine with dynamically adaptable savonius blades
US14/533,868 2014-11-05
PCT/US2015/059082 WO2016073636A1 (en) 2014-11-05 2015-11-04 Turbine with dynamically adaptable savonius bla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061A true KR20170085061A (ko) 2017-07-21

Family

ID=5585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305A KR20170085061A (ko) 2014-11-05 2015-11-04 동적으로 적응 가능한 사보니우스 블레이드를 가진 터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9683549B2 (ko)
EP (1) EP3215734B1 (ko)
JP (1) JP6659711B2 (ko)
KR (1) KR20170085061A (ko)
CN (1) CN107110114A (ko)
AU (2) AU2015343155B2 (ko)
BR (1) BR112017009525A2 (ko)
CA (1) CA3001832C (ko)
ES (1) ES2742202T3 (ko)
RU (1) RU2704587C2 (ko)
WO (1) WO2016073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8696B1 (en) 2016-03-31 2018-11-06 Steven M. Hoffberg Steerable rotating projectile
US11712637B1 (en) 2018-03-23 2023-08-01 Steven M. Hoffberg Steerable disk or ball
PL241530B1 (pl) 2019-02-21 2022-10-17 Politechnika Lodzka Turbina wiatrowa o pionowej osi obrotu i zmiennej geometrii łopa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6578A (en) * 1929-05-15 1932-05-03 Miquel Gabriel Aeroplane
US4659940A (en) * 1982-04-27 1987-04-21 Cognitronics Corporation Power generation from high altitude winds
US6327994B1 (en) * 1984-07-19 2001-12-11 Gaudencio A. Labrador Scavenger energy converter system its new applications and its control systems
RU2109981C1 (ru) * 1992-03-16 1998-04-27 Юрий Иванович Черкасов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кинет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скоростного напора ветра и ветроустановка
AU4223597A (en) * 1997-09-05 1999-03-29 Theodorus Istvan Van Bakkum Wind turbine mounted on buoyant wing kite
US7129596B2 (en) * 2004-01-10 2006-10-31 Aleandro Soares Macedo Hovering wind turbine
JP2007536454A (ja) 2004-05-03 2007-12-13 ウインド エナジー グループ,インク. 発電用風力タービン
US7335000B2 (en) * 2005-05-03 2008-02-26 Magenn Pow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ethered wind turbines
US7602077B2 (en) * 2005-05-03 2009-10-13 Magenn Pow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ethered wind turbines
RU2290533C1 (ru) 2005-06-27 2006-12-27 Дальневосточ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Ветродвигатель
PT103489B (pt) * 2006-05-31 2008-11-28 Omnidea Lda Sistema modular de aproveitamento de recursos atmosféricos
SE533166C2 (sv) * 2008-08-18 2010-07-13 Hm Power Ab En, till en vattensamling relaterad, anläggning med ett medel för att låta vrida (pitch) en turbins propellerblad
US20110081243A1 (en) 2009-10-02 2011-04-07 Sullivan John T Helical airfoil wind turbines
US9120554B2 (en) * 2011-08-16 2015-09-01 The Boeing Company Variable camber fluid-dynamic body utilizing optimized smart materials
GB201305221D0 (en) 2013-03-21 2013-05-01 Swift Tg Energy Scotland Ltd A turbine, turbin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5734B1 (en) 2019-06-19
CA3001832C (en) 2020-08-25
AU2018264076A1 (en) 2018-12-06
US20160123301A1 (en) 2016-05-05
CA3001832A1 (en) 2016-05-12
JP6659711B2 (ja) 2020-03-04
JP2017534024A (ja) 2017-11-16
US9683549B2 (en) 2017-06-20
BR112017009525A2 (pt) 2018-02-06
EP3215734A1 (en) 2017-09-13
US20190257287A1 (en) 2019-08-22
EP3215734A4 (en) 2018-08-01
AU2015343155A1 (en) 2017-06-29
US20170260965A1 (en) 2017-09-14
RU2017118574A3 (ko) 2019-05-06
ES2742202T3 (es) 2020-02-13
US10330079B2 (en) 2019-06-25
RU2704587C2 (ru) 2019-10-29
AU2015343155B2 (en) 2018-10-04
RU2017118574A (ru) 2018-12-06
WO2016073636A1 (en) 2016-05-12
CN107110114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585B1 (ko) 가변형 비행로봇
US20190257287A1 (en) Turbine with dynamically adaptable savonius blades
US8368241B2 (en) Wind driven power generator
JP2015532380A5 (ko)
JP2015501751A5 (ko)
CN102459895A (zh) 具有涡轮锚的浮动风力涡轮机
WO2013065979A1 (ko) 싸이클로이달 터빈과 모터 겸용 발전기를 장착한 고공 풍력 발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US9932965B2 (en) Vertical wind generator
KR101500898B1 (ko) 케이블 제어형 카이팅 보트
CN107110107A (zh) 自适应水电涡轮机系统
EP2543599A3 (en) Air to air refueling system with an autonomous electrical system
RU2017108828A (ru) Ветрогенератор
EP26721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wind flow energy into mechanical, thermodynamic or electrical energy
EP2431603A1 (en) Hybrid eolic-solar gernerator
WO2013114136A1 (en) Wind turbine
KR101780702B1 (ko) 풍력발전기
RU119821U1 (ru) Мобильный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EP3245399B1 (en) Ground station of a tropospheric wind generator
RU103577U1 (ru) Ветровая энергоустановка
JP2013002363A (ja) 風力発電装置
RU2686538C1 (ru) Высотная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варианты)
EP3120019B1 (en) System and process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flight of wing profiles, in particular for wind generator
IT202000009280A1 (it) Cavo di ritenuta per un velivolo senza pilota, base e sistema associato
SK6985Y1 (sk) Veterný oscilačný kolektor
CN102348890A (zh) 垂直轴风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