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317A - 경구 재수화 조성물 및 이의 방법 - Google Patents

경구 재수화 조성물 및 이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317A
KR20170084317A KR1020177016671A KR20177016671A KR20170084317A KR 20170084317 A KR20170084317 A KR 20170084317A KR 1020177016671 A KR1020177016671 A KR 1020177016671A KR 20177016671 A KR20177016671 A KR 20177016671A KR 20170084317 A KR20170084317 A KR 20170084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ral rehydration
oral
range
diarrh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948B1 (ko
Inventor
아론 로젠베르크
아브라함 밀슈타인
안토니 맥클
아바 마리에 퍼스
미셸 슈와르츠 모니크
시몬 반 달셈
아리에 할펀
Original Assignee
칼마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7052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08431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칼마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칼마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8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8Plasma substitutes; Perfusion solutions; Dialytics or haemodialytics; Drugs for electrolytic or acid-base disorders, e.g. hypovolemic sho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18Glutam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2Gly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Potass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14Sod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86Xanth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8Vegetable protein
    • A23V2250/5482Cereal protein
    • Y10S514/8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besit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경구 재수화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약 0.01% 내지 약 0.40% w/w 범위 내의 L-글루탐산 및 약 0.05% 내지 약 0.80% w/w 범위 내의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 약 1.50% w/w의 글루코스 모노하이드레이트; 약 0.20% w/w의 소듐 클로라이드; 약 0.15% w/w의 포타슘 클로라이드; 약 0.35% w/w의 글리신; 약 0.30% w/w의 트리소듐시트레이트; 약 0.15% w/w의 소듐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약 0.10% w/w의 잔탄 검; 약 0.01% 내지 약 0.03% w/w 범위 내의 85% 스테비올 글리코시드 추출물; 약 0.20% w/w의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약 0.15% 내지 약 1.00% w/w 범위 내의 가수분해된 유장; 약 1.00% w/w의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곡물; 효소 보조인자; 단당류. 경구 재수화 조성물은 설사로 고통받는 인간 또는 동물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경구 재수화 조성물 및 이의 방법{ORAL REHYDR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THEREOF}
배경
본 발명은 영양, 기생충, 프리온,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원생동물 원인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고, 유체 고갈, 산증 및 필수 전해질의 불균형 또는 손실을 야기시킬 수 있는 위장 장애로 고통받는 포유동물의 치료를 위한 경구 재수화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들 질병은 어린 동물 및 아동에서 더 심각한 임상 징후를 야기시키나, 임의의 종의 성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은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정상 소화
소화의 기능적 목적은 복잡한 식품을 장에 의해 신체로 흡수될 수 있는 작은 성분(영양소)으로 분해하는 것이며, 상기 영양소는 정상적인 신체 대사의 수행에 필요한 복잡한 분자로 재조립될 수 있다. 식품의 3개의 주요 종류는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이며 이들은 아미노산, 당 및 지질로 각각 분해된다. 물 및 전해질(소듐, 포타슘, 클로라이드, 및 마그네슘과 같은 무기질)이 또한 정상적인 신체 대사의 유지에 필요하다. 음식을 소화시키는 위장(GI)관의 능력은 소화 효소의 분비를 야기시키고, 장 기관의 운동성을 조절하는 신경내분비 반응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존한다.
소화의 첫번째 단계는 입에서 씹은 후 위에서 휘젓는 것을 통해 달성되는 음식의 기계적 분해이다. 위는 또한 소화 효소가 섭취물과 혼합되어 음식이 슬러리로 분해되는 저장소로 작용한다. 이후, 슬러리는 위에서 소장으로 통과한다. 영양소 및 전해질의 흡수는 거의 전적으로 소장을 통해 달성되며, 대장은 주로 물의 흡수를 담당한다. 섭취물의 소화 가능하지 않은 잔류물은 대변으로 배설된다.
개, 고양이, 돼지 및 인간과 같은 단지 하나의 위를 갖는 포유동물에서, 소화 과정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발생한다. 초식동물(예를 들어, 토끼 및 말) 및 반추동물(예를 들어, 소 및 양)에서, 일반적인 소화는 또한 반추동물의 반추위, 또는 말 및 토끼의 맹장의 미생물무리(박테리아, 효모, 및 원생동물)의 활동에 크게 의존한다. 이들 종의 미생물무리는 셀룰로스를 소화할 수 있고; 탄수화물을 휘발성 지방산으로 발효시킬 수 있고; 질소성 물질을 암모니아, 아미노산, 및 단백질로 전환시킬 수 있다. 특정 환경에서, 미생물무리의 활동은 소화가 비정상이 되거나 중단되는 지점까지 억제될 수 있다. 부정확한 식이, 장기 기아 또는 식욕부진, 및 위산과다증(과립 상의 충혈로 발생함)은 모두 미생물 소화를 손상시킨다. 미생물무리는 또한 항미생물제이거나, 반추위 내용물의 pH를 급격히 변경시키는 약물의 경구 투여에 의해 유해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위장염은 소화 및 영양소의 흡수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구토 및 설사를 일반적으로 발생시키는 위장관의 질병을 기재하기 위해 인간 및 수의학 둘 모두에서 사용되는 광범위한 용어이다. 정밀하게 사용하는 경우, 용어 '위염'은 위의 염증을 나타내고, '장염'은 소장의 염증을 나타내고, '결장염'은 대장의 염증을 나타낸다. 실제로, 상기 언급된 용어는 위장관 전체에 걸친 질병의 광범위한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종종 조합되어 위장염 또는 소장결장염과 같은 용어를 발생시킨다. 본 문서는 이후 위장관의 질병 및 이상을 나타내는 집합 명사로서 가장 넓은 의미로 용어 '위장염'을 사용할 것이다.
위장염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감염성 및 비-감염성 원인으로 나누어진다. 이들은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위장염의 감염 원인
위장관은 많은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며, 이는 질병, 부최적 성능, 및 사망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의 주요 원인이다.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되는 Merck Veterinary Manual(http://www.merckmanuals.com/vet/digestive system/digestive system introduction/overview of digestive system.html)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위장염은 많은 다양한 유형의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기생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박테리아
살모넬라증, 장독소혈증, 및 대장균증이 위장관의 박테리아 질병의 예이다. 박테리아 병원체 중 많은 병원체는 일반적인 장내 미생물무리 중 일부이며, 예를 들어, 운송 후 말에서의 살모넬라증, 또는 인간에서의 수술 후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레(Clostridium difficile) 설사와 같은 스트레스 사건 후에만 질병이 발생한다.
클로스트리듐은 토양 및 동물 및 인간의 장관에서 자연 발생하는 포자-형성 박테리아이다. 식이 변화 또는 스트레스는 장 내의 일반적으로 비활성인 클로스트리듐 박테리아가 우세해지도록 하여, 이에 따라 클로스트리듐 박테리아 수를 증가시키고 독소를 생성시킬 수 있다. 다양한 클로스트리듐 종은 다양한 효과를 갖는 독소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보툴리눔독소증 및 파상풍 둘 모두가 클로스트리듐 종에 의해 야기된다. 클로스트리디아 퍼프린겐스(Clostridia perfringens)는 장 내피세포 사이의 폐쇄소대를 파괴하여 심한 설사를 발생시키는 장독소를 생성한다. 클로스트리디아 디피실레(Clostridia difficile)는 클로스트리듐 계열의 악명 높은 일원으로 인간에서 병원-획득 설사의 주요 원인이다(Voth, D. E., & Ballard, J. D. (2005). Clostridium difficile toxins: mechanism of action and role in disease.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18(2), 247-63,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바이러스
위장관의 질병을 야기시키는 바이러스 병원체는 전염성이 매우 높다. 수의학에서 중요한 위장 바이러스는 로타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개 파르보바이러스,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소 바이러스 설사(BVD), 돼지 전염성 위장염(TGE) 및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ED)를 포함한다. 인간에서 중요한 바이러스 병원체는 노로바이러스 및 로타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원생동물
원생동물은 장 세포를 감염시키는 단세포 기생충이다. 적은 수의 원생동물의 감염은 흔하며, 질병의 증거가 없는 환자의 현미경 배설물 검사 동안 종종 관찰된다. 기생충에 감염된 환자는 다른 민감한 동물 또는 인간에 대한 보균자 및 가능한 감염원으로 간주된다. 상기 질병은 이전에 노출되지 않은 어린 동물에서의 노출 및 감염에 의해 야기된다. 수의학에서, 흔한 장 원생동물 질병은 어린 반추동물, 개, 고양이, 및 가금류에서의 콕시디아증; 개에서의 트리코모나스증 및 편모충증; 및 가금류에서의 육편모충증을 포함한다. 이들 질병은 장염 또는 결장염을 야기시키며, 혈액 및 점액이 있거나 없는 설사를 특징으로 한다. 인간에서, 지아르디아 종(Giardia spp)이 가장 흔한 원생동물이다. 원생동물 감염으로부터의 사망은 탈수 및 빈혈과 관련이 있다. 진단은 환자에서의 임상 징후의 존재 및 대변에서의 원생동물 포낭 또는 운동성 단계의 검출을 기초로 한다.
기생충
연충(벌레) 기생충에 의해 야기된 위장 질병은 항상 임상적으로 명백하지 않지만, 임상적 및 무증상 질병 둘 모두가 환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선충(회충)은 일반적으로 동물의 위장관을 감염시키는 벌레이다. 일반적인 종은 반추동물의 위 및 장을 감염시키는 트리코스트론길레스(trichostrongyles); 말의 대장을 감염시키는 스트론길레스(strongyles); 개 및 고양이의 소장을 감염시키는 구충(hookworm); 돼지, 개, 고양이, 말, 및 가금류의 소장을 감염시키는 큰 회충; 및 개 및 돼지의 대장을 감염시키는 편충(whipworm)을 포함한다. 쇠파리(가스테로필루스 인테스티날리스(Gasterophilus intestinalis))의 기생충 유충 단계는 말의 위를 감염시키고 여기서 발달한다. 많은 경우에, 쇠파리는 말에서 복통 및 복통의 징후를 야기시킬 수 있다. 임상적으로 감염된 말은 질병의 명백한 징후, 예를 들어, 빈혈, 설사, 및 쇠약을 나타낸다.
벌레의 수명은 벌레의 유형 및 동물에서의 내성의 수준에 따라 1 내지 12개월이다. 내성은 성체 벌레가 얼마나 오래 살고, 얼마나 많은 유충이 이들이 동물에 진입함에 따라 생존하는가에 영향을 미친다.
위장관 내의 벌레의 많은 수는 영양 장애를 야기시킴으로써 환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충의 발달 및 이동 및 성체 벌레의 섭취는 위 내층(lining) 및 장에 충분한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소화를 방해하고, 혈액 손실을 야기시킨다. 감소된 효소 분비 및 영양소 흡수는 소화 불능을 발생시킨다. 일부 벌레는 혈액을 빨아먹고, 빈혈 및 출혈을 야기시킨다. 질병의 징후는 쇠약, 피부 및 모발에서의 변화, 설사, 및 빈혈을 포함하는 영양실조의 징후와 유사하다. 회충의 이동성 유충은 감염된 종의 동맥, 간, 및 폐에 추가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동물 및 사람은 이들이 유충(헤어웜(hairworm), 스트론길레스, 구충) 또는 알(큰 회충, 편충)을 삼키는 경우, 유충이 피부를 투과하는 경우(구충), 또는 유충이 자궁 또는 초유로 진입하는 경우(구충, 큰 회충)에 감염된다.
프리온
프리온은 고전적으로 신경학적 질병, 즉, 양, 소 및 인간의 전염성 해면모양 뇌병증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프리온은 최근에 만성 설사 뿐만 아니라 자율 신경계 이상 및 말초 신경병증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Mead S, et al "A novel prion disease associated with diarrhea and autonomic neuropathy" N Engl J Med 2013; 369: 1904-1914,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위장염의 비감염성 원인
모든 종에서의 위장관의 비감염성 질병의 주요 원인은 식이 초과 또는 소화 불가능한 사료, 화학적 또는 물리적 작용제, 이물질의 섭취 또는 섭취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위장관에 대한 임의의 신체적 변위 또는 손상에 의해 야기되는 위 및 장의 폐쇄, 효소 결핍,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점막의 이상(예를 들어, 위궤양, 염증성 장 질병, 융모 위축, 신생물), 및 선천성 결함을 포함한다. 구토 및 설사와 같은 위장 소견은 또한 요독증, 간질환, 및 부신피질저하증과 같은 전신 또는 대사 질병에 이차적으로 발달할 수 있다.
삼투성 설사는 부적절한 흡수가 장 내강 내의 용질의 수거를 발생시켜, 이들의 삼투압 활성에 의해 물이 유지되는 경우에 나타난다. 이는 영양소 흡수장애 또는 소화불량을 발생시키는 임의의 조건 또는 동물이 흡수되지 않는 많은 양의 삼투적으로 활성인 물질을 섭취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강아지가 과식하거나 인간이 과도하게 지방이 많은 식사를 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흡수장애는 융모를 덮는 성숙한 세포인 융모성 소화 및 흡수 세포에서의 일부 결함으로 인한 소화 및 흡수의 실패이다. 장 흡수장애는 또한 흡수 능력을 손상시키는 임의의 결함, 예를 들어, 미만성 염증 장애(예를 들어, 림프구-형질세포성 장염, 호산구성 장염) 또는 신생물(예를 들어, 림프육종)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흡수장애의 다른 예는 소화불량을 발생시키는 췌장 분비의 결함을 포함한다. 드물게, 락토스(많은 양에서 고삼투 효과를 가짐) 소화 실패로 인해, 신생아 농장 동물 또는 강아지는 밀크를 먹는 동안 설사가 있을 수 있다.
위장관의 비감염성 질병에서, 보통 한마리의 동물만 한번에 영향을 받는다. 과도한 사료 섭취 또는 독과 관련된 질병은 예외적이며, 이는 집단 발발이 일반적이다.
특히 설사를 야기시키는 중요한 질병
돼지: 설사는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되는 "The Pig Site"(http://www.thepigsite.com/pighealth/article/276/diarrhoea-or-scour)에 언급된 바와 같이 돼지, 특히 어린 새끼돼지의 가장 흔하고 아마 가장 중요한 위장 질병이다. 일부 발병에서, 설사는 높은 이환율 및 사망률의 원인이 된다. 잘 진행되는 무리에서, 언제든지 치료를 요하는 3% 미만의 한배새끼(litters)가 있어야 하며, 설사로 인한 새끼돼지 사망률은 0.5% 미만이어야 한다. 심각한 발발 상황에서, 사망률의 수준은 7% 이상까지 상승할 수 있고, 치료되지 않은 개별적 한배새끼는 100%까지 상승할 수 있다(TGE에서 전체적으로 100%에 도달할 수 있다). 새끼돼지에서의 설사의 일반적인 원인은 하기 표에 제시된다:
Figure pct00004
상기 표에 나열된 작용제 중 4개는 바이러스, 즉, 전염성 위장염(TGE), 로타바이러스, 돼지 유행성 설사(PED) 및 돼지 생식 및 호흡기 증후군(PRRS)이다. 주요 박테리아 원인은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 coli) 및 클로스트리디아 종(Clostridia spp)이다. 주요 기생충은 구충류이다.
송아지: 송아지 설사(Calf scour)는 송아지에서 위장염을 기재하는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로타바이러스 또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자극되나, 크립토스포리듐(Cryptosporidium)(원생동물)과 같은 다른 유기체도 또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원인과 관계 없이, 송아지 설사는 또한 약 30%의 경우에서 에스케리키아 콜리의 박테리아 과증식에 의해 악화된다(Constable, P. D. (2004). Antimicrobial use in the treatment of calf diarrhea. Journ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18(1), 8-17,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치료는 경구 전해질 용액 및 적절한 경우 항미생물제로 구성된다.
강아지: 개 파르보바이러스는 어린 개에서의 감염성 설사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파르보바이러스는 장 세포의 파괴를 야기시켜 심각한 유체 손실 및 출혈성 설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치료되지 않는 경우, 사망률은 80%를 초과한다.
아동: 콜레라는 인간의 급성 설사의 중요한 원인이며, 박테리아 비브리오 콜레라에(Vibrio cholerae)에 의해 야기된다. 콜레라는 연간 300만 내지 500만명의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며, 100,000명이 넘는 사망자를 발생시킨다. 비브리오 콜레라에 박테리아는 장 점막 세포가 많은 양의 클로라이드를 장 내강으로 분비하도록 하여 소듐, 물 및 다른 전해질의 이후의 손실을 발생시키는 독소를 생성한다(http://www.textbookofbacteriology.net/cholera 3.html,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선택 치료는 경구 재수화 용액이다(http://www.cdc.gov/cholera/general/,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위장염의 병태생리학적 메커니즘
위장염의 감염성 및 비-감염성 원인 둘 모두는 운동성의 광범위한 장애, 장 팽창, 구토, 설사, 유체 손실, 과분비 및 흡수장애를 발생시킨다.
운동성 및 팽창
장의 운동성은 교감 및 부교감 신경계를 통한 자극(및 이에 따른 이들 신경계의 중추 및 말초 부분의 활성) 및 위장 근육조직 및 이의 고유 신경 얼기에 좌우된다. 비정상적인 운동 기능은 보통 감소된 운동성으로 나타난다. 분절 저항은 보통 감소되고, 운송 속도가 증가한다. 비정상적인 운동성의 주요 결과 중 하나는 유체 및 가스로 인한 팽창이다. 축적된 유체 중 많은 것은 정상적인 소화 동안 분비되는 타액 및 위액 및 장액이다. 팽창은 인접한 장 분절의 동통 및 반사성 연축을 야기시킨다. 이는 또한 장의 내강으로의 유체의 추가 분비를 자극하여 상태를 악화시킨다. 팽창이 임계점을 초과하는 경우, 장벽의 근육조직이 반응하는 능력이 감소하고, 초기 동통이 사라지고, 모든 위장 근육 긴장이 사라지는 마비성 장폐색증이 발생한다. 탈수, 산-염기 및 전해질 불균형, 및 순환 장애가 위장 팽창의 주요 결과이다.
구토는 위로부터 구강을 통해 음식 및 유체의 배출을 발생시키는 신경 반사 작용이다. 이는 전조, 구역, 타액분비 또는 전율과 같은 선행 사건과 관련되며, 복구 근육의 반복적 수축이 동반된다.
설사는 장 점막을 가로지르는 전해질 및 물의 정상적인 연속적 전달의 붕괴에 의해 야기된다. 일반적으로, 분비(혈류로부터 장 내강으로의 분비) 및 흡수(장 내강으로부터 혈류로 흡수)가 동시에 발생한다. 정상적인 건강 상태에서, 경구 섭취 및 위장관 분비로부터 발생하는 유체의 99%는 소장 및 결장에 의해 재흡수된다. 인간에서, 이는 매일 10 L 중 약 9 L의 총 유체 부하이다. 따라서, 재흡수와 분비 사이의 상기 균형에서의 1% 변화조차도 유의한 유체 손실 및 설사를 발생시킬 수 있다.
3개의 주요 병태생리학적 메커니즘이 설사를 발생시킨다. 이들은 증가된 투과성, 과분비, 및 융모 파괴이다. 장의 염증에 의해 야기된 증가된 투과성은 장 점막에서의 "포어 크기"의 증가를 수반할 수 있으며, 이는 막을 통한 증가된 흐름("누출")이 혈액으로부터 장 내강으로의 압력 구배를 낮추게 한다. 삼출된 양이 장의 흡수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설사가 발생한다. 점막을 통해 누출되는 물질의 크기는 포어 크기의 증가 정도에 따라 다양하다. 포어 크기에서의 큰 증가는 혈장 단백질의 삼출을 허용하며, 이는 단백질-결핍 장병증(예를 들어, 개에서의 림프관확장증, 소에서의 파라결핵, 선충 감염)을 발생시킨다. 포어 크기에서의 더 큰 증가는 적혈구 세포의 손실을 발생시켜, 출혈성 설사(예를 들어, 출혈성 위장염, 파르보바이러스 감염, 중증 구충 감염)를 발생시킨다.
과분비는 유체 및 전해질의 순수한 장 손실이다. 과분비는 장독소, 삼투압 부하, 흡수장애 또는 장 융모의 파괴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장독성 대장균증은 장독소로 인한 설사 질병의 한 예이다. 박테리아 에스케리키아 콜리의 특정 변이체는 장의 흡수 능력을 초과하여 유체를 분비하기 위해 소낭선 상피를 자극하는 장독소를 생성한다. 분비되는 유체는 등장성이고, 알칼리성이며, 삼출물이 없다. 융모는 이들의 소화 및 흡수 능력과 함께 온전하게 유지된다. 융모가 온전한 채로 유지된다는 사실은 상기 특정 질병에서의 경구 재수화 요법의 기초인데, 이는 글루코스, 아미노산, 및 소듐을 함유하는 경구 투여되는 유체가 과분비에 직면해서도 흡수되기 때문이다.
전염성 바이러스 질병은 종종 융모의 파괴를 야기시킨다. 일부 상피친화성 바이러스, 예를 들어, 코로나바이러스, 새끼돼지의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 및 송아지의 로타바이러스는 융모 흡수 상피 세포를 직접 감염시키고 파괴시킨다. 고양이 범백혈구감소증 바이러스 및 개 파르보바이러스는 선와 세포를 파괴하고, 이는 융모 흡수 세포의 재생 실패 및 융모의 붕괴를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재생은 융모 첨단 상피의 바이러스 감염(예를 들어, 코로나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후보다 파르보바이러스 감염 후에 더 긴 과정이다. 융모 첨단 세포의 표면에서의 소화 효소의 감소된 분비는 농장 동물에서 발견되는 상피친화성 바이러스 감염의 특징이다.
위장 질병의 임상적 소견
위장 질병의 징후는 과도한 타액 분비, 설사, 변비 또는 부족한 대변, 구토, 역류, 위장관 출혈, 복통 및 팽창, 뒤무직(tenesmus), 쇼크 및 탈수, 체중 감소 및 부최적 성능을 포함한다. 구토는 단일 위장 동물 및 인간에서 가장 흔하다. 말, 토끼 및 반추동물은 구토하지 않는다. 많은 부피의 유체 설사는 보통 과분비(예를 들어, 신생아 송아지에서의 장독소생성 대장균증) 또는 흡수장애(삼투성) 효과와 관련된다. 대변에서의 혈액 및 섬유소 캐스트(fibrinous cast)는 소장 또는 대장의 출혈성 섬유괴사성 장염, 예를 들어, 소 바이러스성 설사, 콕시디아증, 살모넬라증, 또는 돼지 이질을 나타낸다. 복부 팽창은 가스, 유체 또는 섭취물의 축적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쇼크 및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정도의 탈수 및 산-염기 및 전해질 불균형은 많은 양의 유체가 구토 또는 설사를 통해 손실되는 경우에 관찰된다.
위장염 치료 및 조절
가능하다면, 질병의 원인 또는 감염원의 제거가 주요 목표이다. 주요 원인의 제거는 항미생물제, 콕시듐예방제(coccidiostat), 항진균제, 구충제, 독에 대한 해독제, 또는 변위의 수술 교정을 수반할 수 있다. 돼지 이질 및 인간 콜레라와 같은 유행병 상황에서, 대규모 소독 및 깨끗한 수원 개발이 필요할 수 있다.
원인 또는 근원이 제거된 후, 치료는 동통을 경감시키고, 유체 및 전해질 이상을 교정하고, 환자에 의해 용인될 수 있는 영양소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지 및 대증 치료이다.
설사, 지속적 구토, 장 폐쇄, 또는 많은 양의 유체 및 전해질이 격리되는 위(들)의 비틀림에서와 같이 탈수 및 전해질 및 산-염기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에 유체 및 전해질의 대체가 필요하다. 설사가 중증이 아니고, 구역 및 구토가 최소인 경우에 경구 글루코스-전해질 용액이 제공될 수 있다. 중증 설사는 탈수, 전해질 불균형, 및 산증을 교정하기 위해 유체 및 전해질 대체를 필요로 한다. 물 및 전해질이 대량으로 대체되어야 하는 경우 경구 및 비경구(정맥내) 유체가 종종 동시에 제공된다. 소듐 클로라이드, 포타슘, 글루코스 및 바이카르보네이트 전구체 분자, 예를 들어, 락테이트 및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정맥내 유체는 종종 개별적 환자에 투여되나, 이들의 사용은 농장 동물 무리 상황 및 일부 인간 유행병 상황에서 배제된다.
과도하거나 하락된 운동성의 교정은 합리적인 것으로 보이나, 종종 비정상적인 운동성의 특성 및 정도가 불확실하고; 또한, 이용 가능한 약물이 일관된 결과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장 통과를 늦추기 위해 항콜린성 또는 아편유사 약물의 일상적인 사용을 권장하는 임상적 증거가 거의 없다. 장 이동을 늦추는 것은 해로운 유기체 및 이들의 독소를 비우는 작용을 하는 설사의 방어 메커니즘에 대해 비생산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콜린성 약물은 아마도 결장 및 직장의 염증성 질병과 관련된 동통 및 뒤무직의 단기적인 증상 경감에 대해서만 정당화된다. 위 또는 결장 운동성의 일부 장애에서, 위장운동 촉진제(예를 들어, 메토클로프라미드(metoclopramide),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이 유용할 수 있다.
위관(반추동물에서의 고장증에서 경우)에 의한 의학적인 팽창의 경감 또는 외과적(급성 장 폐쇄, 또는 반추동물의 추위(abomasum) 또는 단일 위장 동물의 위의 비틀림에서의 경우)인 팽창의 경감이 필요할 수 있다. 위장관은 신체적 또는 기능적 장애로 인해 임의의 수준의 가스, 유체 또는 섭취물로 팽창될 수 있다.
진통제의 투여에 의한 복통의 경감은 동통이 반사적으로 다른 신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경우(예를 들어, 심혈관 붕괴), 또는 동통이 동물로 하여금 굴러다니거나, 발로 차거나, 스스로를 던짐으로 인해 스스로 상처를 발생시키는 경우에 수행되어야 한다. 진통제로 치료되는 동물은 동통의 경감이 잘못된 안전감을 제공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모니터되어야 하고; 동물이 진통제의 영향 하에 있는 동안 병변이 점진적으로 악화될 수 있다. 내강 균무리의 재구성은 내강 균무리가 심각하게 고갈될 수 있는 상황(예를 들어, 장기 식욕부진 또는 급성 소화불량)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트랜스파우네이션(transfaunation)(내강 유체 전달)은 내강 박테리아 및 원생동물 및 휘발성 지방산을 함유하는 건강한 동물로부터의 내강 함유물의 경구 투여를 포함한다.
선행 기술
경구 재수화 요법의 원리는 장세포로 공지된 소장 내층 세포에 의해 직접 흡수될 수 있는 간단한 영양소를 공급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장세포는 위, 및 췌장 및 소장으로부터 방출된 효소에 의해 달성된 소화의 최종 생성물을 흡수하는 것을 담당한다. 소화는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영양소의 3개의 주요 범주를 이들의 구성 분자, 즉, 당, 아미노산 및 지질로 감소시킨다.
소화의 목적은 섭취된 음식을 장세포에 의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는 작은 분자로 분해하는 것이다. 그러나, 장세포는 4개 이하의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아미노산의 펩티드 사슬보다 큰 것을 흡수할 수 없다(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Boron and Boulpaep,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이들 개별적 아미노산은 혈류로 운반되고, 신체의 나머지 부분으로 순환되어, 여기서 이들은 단백질로 재조립된다. 유사하게, 글루코스, 프룩토스 및 갈락토스와 같은 단지 하나의 당 분자(단당류)가 장세포로 흡수되고, 혈류로 진입되어, 신체의 세포에 의해 에너지로 사용될 수 있다. 장세포로의 아미노산 및 당 분자의 전달은 장세포의 세포벽에 내장된 특화된 전달체 분자에 의존한다. 이들 전달체 분자는 이들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특정 농도의 소듐을 필요로 한다. 이들 생리학적 한계의 인지에서, 경구 재수화 요법 용액은 일반적으로 매우 간단한 당(보통, 글루코스), 단일한 아미노산 또는 그 밖의 단지 2 또는 3개의 아미노산의 펩티드를 함유한다. 대부분의 경구 재수화 요법 용액은 지방을 거의 함유하지 않거나 전혀 함유하지 않는데, 이는 구토 및 설사의 경우 고지방 식이가 불량하게 용인되기 때문이다. 경구 재수화 요법 용액은 또한 일반적으로 약 300 mOsm/L의 삼투압과 함께 등장성이다. 이는 경구 재수화 요법 용액이 추가의 소듐 또는 물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흡수되는 것을 보장한다. 전해질 고갈은 또한 급성 설사의 특징이므로, 대부분의 경구 재수화 용액은 또한 일정량의 소듐 및 포타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준의 다른 전해질을 함유한다.
인간 의학의 경향에 따라, 수의학은 큰 동물 및 작은 동물 둘 모두에서 사용하기 위한 경구 재수화 요법 제품을 개발하였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분말화된 형태로 제공되며, 항-케이크 작용제, 예를 들어, 맛좋음을 감소시키는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소유자 또는 수의학 직원에 의해 재구성될 필요가 있고, 이들을 올바르게 혼합하기 위해 주의해야 한다. 이상적으로는, 이들 제형은 끓인 물로 재구성되어야 하나, 종종 끓이지 않은 물이 이용된다. 또한, 종종 염소 또는 다른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는 수돗물이 이용된다. 이들 관행은 오염될 수 있거나, 변경된 바람직하지 않은 전해질 특성을 가질 수 있는 재구성된 수성 제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부 이전에 공지된 수의학 경구 재수화 요법 제품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함유한다.
심한 위장염 및 설사의 치료를 위한 이전의(종래의) 조성물은 필수 전해질, 당 및 물의 경구 투여에 집중되어 왔다. 이러한 접근법의 본래의 개발자는 세계보건기구(WHO)였으며(Mahalanabis, D., Choudhuri, A. B., Bagchi, N. G., Bhattacharya, A. K., & Simpson, T. W. (1973). Oral Fluid Therapy of Cholera among Bangladesh Refugees. The Johns Hopkins Medical Journal, 79(5), 473-479.,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인간에서의 콜레라의 치료를 위해 경구 등장성 전해질 용액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포뮬라(formula)는 또한 많은 종의 위장염의 치료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며, 특히 개 및 고양이에서 사용된다(Saunders Comprehensive Veterinary Dictionary,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경구 재수화 요법을 위한 WHO 포뮬라는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Monographs: Dosage forms: Specific monographs: Sales perorales ad rehydratation - Oral rehydration salts - The International Pharmacopaeia, 4th supplement, 2014 - http://apps.who.int/phint/en/p/docf/,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이는 하기 성분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5
이러한 제형에서, 글루코스는 유일한 탄수화물이며, 대사 가능한 에너지 공급원인 유일한 성분이다.
특허 출원 WO 1997042943 A1호는 경구 재수화 제형으로서 사용 시점에서 물로 제조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러한 조성물은 영양소 흡수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글루타민, 및 대사 가능한 에너지 공급원, 전해질, 바이카르보네이트 전구체, 및 알칼리 금속, 특히 소듐의 적절한 혼합물을 포함하고, 소듐의 농도는 최종 제형 리터 당 약 120 밀리몰(mmol/l)이다.
특허 출원 CA2137469 A1호는 유체 고갈, 산증, 및 필수 전해질의 불균형 또는 손실과 같은 장애로 고통받는 가축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는 경구 재수화 제형으로서 사용 시점에서 물에서 제조되고, 이는 에너지 공급원, 전해질, 및 바이카르보네이트 전구체의 밀접한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전구체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카르복실산 음이온으로서 소듐을 포함하는 상응하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이온과 함께 제공되고, 바이카르보네이트의 수율은 최종 제형 리터 당 30 밀리몰(mmol/l)을 초과하고, 소듐의 농도는 최종 제형 l 당 80 mmol을 초과한다.
특허 번호 US5489440A호는 효소 셀룰라제 및 프로테아제를 이용하여 개선된 쌀가루 기반의 경구 재수화 용액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구 재수화 용액은 낮은 점도, 낮은 오스몰랄농도를 갖고, 병의 꼭지를 통해 섭취될 수 있다. 경구 재수화 제품은 또한 포장 전에 분말 형태로 건조될 수 있고, 사용시에 재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콜레라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된 심한 설사를 갖는 개체를 치료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많은 형태의 경구 재수화 포뮬라가 특허를 받았으나, 질병 기간 동안 인간 및 동물을 치료하기 위한 더욱 광범위한 완전한 포뮬라를 제공할 포뮬라를 오랫동안 필요로 하고 있다. 신규한 포뮬라는 세포 생리학의 더욱 심층적인 이해를 기초로 해야 한다. 지난 40년 동안의 경구 재수화는 염, 당 및 물을 대체하는 것이 표적화된 환자의 생존을 개선시킬 것이라는 가정 하에 간단한 염, 당 및 물의 공급에 중점을 두었다. 인간에서의 생존은 확실히 개선되었으나(Victora CG, Bryce J, Fontaine O, Monasch R (2000) Reducing deaths from diarrhoea through oral rehydration therapy. Bull World Health Organ 78: 1246-55,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경구 재수화에 대한 처방은 현재 크게 변하지 않았다(clinical management of acute diarrhea, WHO/FCH/CAH/04.7,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장세포가 실제로 이들 자신의 세포 기능 및 온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글루코스보다는 특정 아미노산을 필요로 하고 이를 이용하는 것이 연구에서 밝혀졌다. 본 특허의 목적은 인간 및 동물에 대한 수화 뿐만 아니라 장 기능성을 보존하기 위해 장세포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 기질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개요
경구 재수화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약 0.01% 내지 약 0.40% w/w 범위 내의 1-글루탐산 및 약 0.05% 내지 약 0.80% w/w 범위 내의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 약 1.50% w/w의 글루코스 모노하이드레이트; 약 0.20% w/w의 소듐 클로라이드; 약 0.15% w/w의 포타슘 클로라이드; 약 0.35% w/w의 글리신; 약 0.30% w/w의 트리소듐시트레이트; 약 0.15% w/w의 소듐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약 0.10% w/w의 잔탄 검; 약 0.01% 내지 약 0.03% w/w 범위 내의 85% 스테비올 글리코시드 추출물; 약 0.20% w/w의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약 0.15% 내지 약 1.00% w/w 범위 내의 가수분해된 유장; 약 1.00% w/w의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곡물; 효소 보조인자; 단당류.
경구 재수화 조성물은 다양한 종 또는 개체의 풍미 선호를 맞추기 위해 맞춤화된다.
경구 재수화 조성물은 사용 준비된 조성물이다. 물에 희석되는 분말 농축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젤, 스프레이, 신속 용해 정제 및 다른 제조물일 수 있다. 중요한 특징은 항상 사용 준비된 경구 제형이라는 점이다.
실시예 1 내지 5 중 임의의 실시예의 경구 재수화 조성물.
경구 재수화 조성물은 고장성, 저장성, 또는 소듐 클로라이드 0.9% 용액의 등장성과 동등한 등장성 용액일 수 있다.
탈수를 예방하는 방법은 경구 재수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경구 재수화 용액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약 0.01% 내지 약 0.40% w/w 범위 내의 1-글루탐산 및 약 0.05% 내지 약 0.80% w/w 범위 내의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서 개체는 인간 및/또는 동물이다.
상기 방법에서 개체는 설사로 고통받는 개체이다.
설명
본 발명은 영양, 박테리아, 프리온, 바이러스 또는 원생동물 원인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고, 유체 고갈, 산증, 및 필수 전해질의 불균형 또는 손실을 야기시킬 수 있는 장 장애로 고통받는 포유동물의 치료를 위한 경구 재수화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들 문제는 통상적으로 미성숙 동물, 예를 들어, 돼지, 송아지, 새끼 양, 망아지, 및 강아지에서 발생하나, 실제로 인간을 포함하여 임의의 연령 및 종의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설사가 있는 돼지, 송아지, 새끼 양, 망아지 또는 개의 치료에 적용되도록 의도되고, 본 발명의 설명은 이와 관련될 것이나, 인간을 포함하는 다른 동물이 또한 유사한 탈수, 산증 및 전해질 손실을 초래하는 비정상적인 상태로 고통받을 수 있고, 이에 대해 상기 생성물이 사용될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장세포 및 다른 장 세포의 대사 과정 및 에너지 요구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장세포는 소장의 내강과 신체의 나머지에 영양소를 전달하는 혈류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장세포 자체는 이들 자체의 과정을 달성하는데 영양소를 필요로 하며, 장세포는 이들의 연료원으로서 단당류가 아닌 특정 아미노산을 선호할 수 있는 것이 연구로부터 밝혀졌다.
본 발명은 개선된 경구 재수화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미세장관(microenteral) 영양 포뮬라는 특히 소량의 물, 전해질 및 용이하게 흡수되는 영양소(글루코스, 아미노산, 및 작은 펩티드)를 위장관에 직접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소화가 용이하고 흡수가 빠르다.
상기 포뮬라는 동물에 대해 2개의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설계된다:
1. 구토 및 설사의 기간 동안 소장 내층의 장세포에 영양분을 주며, 이들 세포는 장의 보호 장벽(나쁜 박테리아가 혈류로 진입하여 신체의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함)을 제공하는 점액을 생성하고, 장세포는 또한 신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끌어당기는 흡수 세포이다. 직접적인 영양 없이(동물이 먹지 않는 경우 구토/설사 동안 종종 발생함), 이들 세포는 신속히 사멸/위축한다. 이용 가능한 다른 포뮬라는 탈수를 다루기 위해 전해질 대체만 제공하는 경향이 있거나, 아미노산을 전달하는 완전한 식이/밀크 대체물이지만, 위장염의 기간 동안 장이 용인하기에는 지방 및 단백질이 너무 높다.
2. 맛이 좋은 등장성 포뮬라를 통해 신속히 작용하는 재수화 지지를 제공하며, 이는 회복을 위해 신체가 필요로 하는 필수 전해질 및 유체를 신속히 전달하여 흡수되도록 하고, 또한 동물이 더 많은 유체를 오랫동안 마시도록 촉진하는 맛이 좋은 단맛/약산성 맛을 갖는다. 순수한 물은 갈증 메커니즘을 일찍 차단하여 유체 섭취를 감소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고, 풍미(감미제 또는 기타)를 첨가하는 것은 갈증 메커니즘을 유지시켜 동물이 더 많은 유체를 오랫동안 소비하도록 촉진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 전해질, 및 단당류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형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제형은 맛있는 풍미를 찾는 종에 대한 풍미 향상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물, 전해질, 맛있는 풍미를 찾는 종에 대한 풍미 향상제 및 간단한 당의 공급원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형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제형은 단백질 공급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물, 전해질 및 단당류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풍미 향상제 및/또는 단백질 공급원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물, 전해질, 풍미 향상제 및/또는 단백질 공급원 및 단당류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형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제형은 아미노산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물, 전해질, 풍미 향상제 및/또는 단백질 공급원, 단당류 및 아미노산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형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제형은 글루타메이트를 함유하는 아미노산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물, 전해질, 풍미 향상제 및/또는 단백질 공급원, 단당류 및 글루타메이트를 함유하는 아미노산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형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제형은 효소 보조인자, 예를 들어, 아연 또는 마그네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L-글루탐산 및 이의 염, 예를 들어, 글루타메이트, L-글루타민, L-아르기닌, 카르니틴, 타우린, 알파-케토글루타레이트 및 류신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의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밀, 유장, 옥수수, 쌀, 보리, 콩, 땅콩, 해바라기 종자, 및 다른 곡물 및 지방종자로부터 유래되는 것과 같은 글루탐산 및 글루타메이트가 자연적으로 풍부한 식물성 및 동물성 단백질 농축물이 본 발명에 추가로 포함된다.
동물성 단백질 농축물에 대해, 이는 밀크 단백질, 유장 단백질, 흰자 단백질, 혈장 단백질 및 다른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일 수 있다.
식물성 및 동물성 단백질 농출물의 천연 형태 둘 모두가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효소적 또는 화학적으로 가수분해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이들이 흡수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 전해질, 및 단당류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형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제형은 가수분해된 밀 또는 유장 단백질 공급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물, 전해질, 가수분해된 밀 또는 유장 단백질 공급원 및 간단한 당의 공급원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형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제형은 풍미 향상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배열에서, 향상제는 감미제, 예를 들어, 스테비올 글리코시드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물, 전해질 및 단당류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가수분해된 밀 또는 유장 단백질 공급원 및 풍미 향상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물, 전해질, 가수분해된 밀 또는 유장 단백질 공급원, 풍미 향상제, 및 단당류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형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제형은 아미노산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물, 전해질, 가수분해된 밀 또는 유장 단백질 공급원, 풍미 향상제, 단당류 및 아미노산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형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제형은 글루타메이트를 함유하는 아미노산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물, 전해질, 풍미 향상제, 가수분해된 밀 또는 유장 단백질 공급원, 단당류 및 글루타메이트를 함유하는 아미노산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형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제형은 효소 보조인자, 예를 들어, 아연 또는 마그네슘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등장성 용액이다. 이상적으로는, 이는 등장성의 전해질 균형화된 제형이다. 상기 용액의 전해질 조성은 이상적으로는 제형이 사용시 투여되도록 의도된 동물, 예를 들어, 돼지, 송아지, 새끼 양, 망아지, 닭, 강아지 및 인간에 맞추기 위해 맞춤화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물에 용해되거나 음식에 첨가되는 분말 혼합물로 제공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음료 시스템으로 투여되도록 준비된 용액(바람직하게는 벌크 용기에서 제조됨)에 사용 준비가 되도록 제공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물에 희석되는 액체 농축물 혼합물로 제공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풍미 향상제"는 제형이 사용시에 투여되도록 의도되는 동물, 예를 들어, 돼지, 송아지, 새끼 양, 망아지, 닭, 강아지 및 인간에게 맛이 좋은 풍미를 갖는 임의의 식품 등급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밀 또는 유장 추출물, 밀 또는 유장 가수분해물, 가수분해된 유장 단백질 및 동결건조된 밀 또는 유장을 포함하는 다양한 비-육류 풍미 향상제 및/또는 단백질 공급원이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배열에서, 단백질 공급원은 존재하는 단백질의 적어도 일부를 단일 아미노산 및/또는 약 10개 이하의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4개 이하의 아미노산의 펩티드로 감소시키기 위해 전처리된다.
병든 동물에 대해, 이들 동물이 액체를 섭취하도록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의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동물이 좋아하는 풍미의 포함으로 인해 동물에게 맛이 좋은 액체의 등장성 전해질 균형화된 음료를 공급함으로써 유체 섭취를 향상시키도록 설계된다. 풍미 향상제는 이상적으로는 또한 단백질 공급원이며, 따라서 허용되는 맛이 좋은 형태의 단백질을 병든 동물에게 제공한다.
단백질 공급원은 본 발명의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을 제공받는 병든 동물에게 용이하게 소화 가능하고 흡수 가능한 아미노산 및 펩티드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므로, 단백질 공급원은 이상적으로는 동물이 제형을 소비하도록 촉진시키기 위해 단백질 공급원을 필요로 하는 동물에게 풍미가 있도록 선택되는 육류 또는 육류 추출물이다. 단백질 공급원을 선택하여 이를 제공받는 동물의 식이 욕구를 보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닭 간이 돼지에게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돼지가 이들의 식이에 공급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 필수 및 조건적 필수 아미노산의 풍부한 공급원이기 때문이다.
이상적으로는, 당은 단당류, 예를 들어, 글루코스, 프룩토스, 또는 갈락토스이다.
소듐 시트레이트 및 시트르산은 개가 특히 싫어하는 풍미를 가지므로, 특정 유형의 동물에 대해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으로부터 이를 생략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의 보존제로서의 기능은 본 발명의 액체 제형에서 불필요해지는데, 이는 수의 사용을 위한 종래의 경구 재수화 제품이 분말화된 형태로 공급되고, 필요한 경우에 물을 이용하여 재구성되는 것을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상기 제품은 항상 소듐 시트레이트 및 시트르산을 포함하였다. 소듐 시트레이트 및 시트르산이 제형의 이로운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생략될 수 있고, 이의 생략은 실제로 상기 유형의 동물에 대해 제형을 더욱 맛이 좋게 하는 장점을 갖는 것이 이제 밝혀졌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서의 소듐 시트레이트, 시트르산 및/또는 이들의 염의 사용은 적절한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의 단순한 배제가 경구 재수화 제품을 개에 대해 맛이 좋게 만들지 않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각각의 유형의 동물에 대해 성분의 적절한 조합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생물학적 기원의 성분을 함유하나, 이는 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HAACP)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적용 가능한 유럽 연합 규정을 충족시킬 수 있다. 저온살균 또는 멸균과 같은 공지된 기술에 의해 보관 기간이 향상된다. 가능한 몇가지 제조물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물에서의 희석 단계를 포함하는 농축 분말이고, 다른 것은 병에 담긴 사용 준비된 액체로 제조된다. 다른 것은 젤, 스프레이, 신속 용해 정제 및 다른 제조물일 수 있다. 중요한 특징은 항상 사용 준비된 경구 제형일 것이라는 점이다. 본 발명의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임의의 바람직한 부피 크기로 병에 담길 수 있고, 작은 동물에게 필요한 부피가 큰 동물의 필요성과 명백히 매우 상이할 것이므로 다양한 부피 크기가 이상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형화된 경구 액체 재수화의 맛좋음은 또한 임상적 사용 및 제조업체의 사료 시험 둘 모두에서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30마리의 개를 이용한 2일의 맛좋음 시험에서, 96%의 개는 재구성된 분말화된 제품에 비해 닭 간 가수분해물을 함유하고,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시트르산을 함유하지 않는 본 발명의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을 이들의 첫번째 선택으로 선호하였다. 이러한 시험에서, 사용된 본 발명에 다른 특정 제형은 실시예 3에 특정된 특정 풍미 향상제를 이용한 하기 실시예 2에 기재되는 제형이었다. 참조 생성물은 시트르산 및 포타슘 시트레이트를 포함하는 하기 복합체의 종래 제품이었다.
특히 바람직한 배열에서, 단백질 공급원은 동물 공급원 대신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곡물과 같은 식물 성분(예를 들어, 쌀, 유장 또는 밀)은 "육류 맛"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단백질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종래 제형
The Pig Site(http://www.thepigsite.com/pighealth/article/103/rehydration-by-mouth,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는 하기 포뮬라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6
DeLaval Pty Ltd(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는 송아지 설사에 대해 하기 재수화 요법을 기재한다:
Figure pct00007
특허 출원 WO 1997042943 A1호(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는 하기 제형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위장병에서의 경구 재수화 요법
위장염이 있는 환자에게 장용 제품을 투여하는 것은 반직관적인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이는 정확히 인간 의학에서 효과가 입증된 것이다. 위장염은 농장 동물에서 많은 병인을 갖는다. 대부분은 바이러스성이나, 일부 환자는 공지되지 않은 이유로 위장염이 발생한다. 무분별한 식이도 또한 상당히 흔하다. 파르보바이러스는 개에서 특히 심각한 형태의 위장염이다. 장관 내층의 세포가 파르보바이러스에 의해 직접적으로 공격받고, 이는 염증, 영양소의 비정상적인 흡수 및 출혈을 야기시킨다. 파르보바이러스는 또한 특히 심각한 구역 및 분비 설사를 야기시킨다. 많은 수의학 직원은 구토하는 환자, 특히 파르보바이러스가 있는 환자를 먹이는 것을 꺼린다. 그러나, 24주령 미만의 30마리의 파르보바이러스 강아지의 잘 확립된 연구에서, 모어 등(Mohr et al)은 저지방 통조림 식품을 먹인 강아지에 비해 비식도 튜브에 의해 조기 장용 영양소를 제공받은 강아지에서 식욕의 더 빠른 회복, 더 빠른 체중 증가 및 더 낮은 장벽 온전성을 제시하였다(Mohr et al., Effect of early enteral nutrition on intestinal permeability, intestinal protein loss, and outcome in dogs with severe parvoviral enteritis. J Vet Intern Med. 2003 Nov-Dec; 17(6):791-8,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새끼돼지에 대한 또 다른 잘 설계된 연구에서, 칸사그라 등(Kansagra et al.)은 장 영양의 결핍이 장 위축, 특히 점막 위축을 발생시키는 것을 제시하였다. 상기 연구는 대조군에 비해 비-장내 급식된 새끼돼지의 공장 질량(34.8%), 융모 높이(44.4%), 및 융모 영역(56.1%)에서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회장에서는, 장 영양의 결핍에 의해 조직 질량(33.9%), 단백질, 및 DNA 함량만 감소된 반면, 융모 높이 및 영역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들 발견은 반드시 신규한 것은 아니며, 근위 점막이 원위 장보다 ENT 영양소의 결핍에 더 민감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Kansagra et al., Total parenteral nutrition adversely affects gut barrier function in neonatal piglets.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3 Dec;285(6):G1162-70,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작은 동물 환자에서 흔한 위장 문제의 세번째 유형은 위장 수술 후의 수술 후 회복이다. 또한, 역사적으로, 권장사항은 수술 후 적어도 24시간, 때때로 그 이상 동안 환자에게 음식을 공급하지 않는 것이었다. 최근에 장 수술을 받은 환자는 장 운동성 장애, 특히 장폐색증의 위험이 특히 있다. 그러나, 장 내의 음식의 존재는 실제로 정상적인 운동성을 촉진하고, 점막 관류를 자극하여 치유를 촉진시킨다(Chan DL, Gastrointestinal dysfunction in the critical patient. 2007. British small animal veterinary association, Birmingham England,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됨).
본 발명의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상기 질환을 치료하는데 이상적이다. 동물에게 맛이 좋은 풍미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는 또한 글루타메이트-기반의 특정한 아미노산의 존재로 인해 병든 동물에 의해 자발적으로 섭취될 가능성이 더 높다.
본 발명의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농축 분말로 생성되고 또한 사전 혼합된 것이기 때문에, 이는 건강이 좋지 않으나 병원에서 치료를 요할 정도로 병들지는 않은 동물에 대해 농장 환경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병원에서의 치료 후에 회복되는 동물 또는 심지어 집에서 회복되는 인간 환자에게도 동등하게 유용하다.
용어 '약'은 정의된 척도보다 25% 낮거나 높은 값을 이하에서 나타낸다.
실시예 1
경구 재수화 요법제 투여
본 발명의 경구 재수화 요법 유체는 처음에 필요에 따라 주사기를 이용하여 경구로 제공되어 2시간마다 약 0.5 ml/kg의 속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구토를 거의 유발하지 않는 매우 적은 부피이다. 구토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부피는 8-12시간마다 50%만큼 증가될 수 있다. 고양이 및 작은 개에 대해, 아이스 큐브 트레이를 사용하여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의 작은 블록을 동결시킬 수 있고, 이후 필요에 따라 분배할 수 있다. 환자가 유체를 핥아 먹기 시작하면, 부피가 신속히 증가될 수 있고, 칼로리가 더 많은 음식이 도입될 수 있다.
경구 재수화 요법은 다양한 다른 질환의 외래환자 치료에도 사용된다. 경구 재수화 요법은, 특히 매우 맛이 좋은 제품,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인 경우, 가벼운 위장염을 갖는 환자를 위한 식이 관리 계획의 일부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들 환자 중 많은 수에서, 적은 양의 유체 섭취와 조합된 단기간의 단식은 증상을 경감시키기에 충분하다.
소유주 및 직원은 본 발명의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을 투여하는 방법을 용이하게 습득할 수 있는데, 이는 이를 이용하는데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공급원의 경구 재수화 제형의 한 예는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10
실시예 2의 농축물 제형
농축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11
농축물은 혼합되고, 적어도 5분 동안 실온에서 유지된다. 통상적인 pH는 사용을 위해 10배 희석 후 20℃에서 약 3.7 내지 3.8이다. 사용을 위해 희석하기 위해, 10ml의 농축물이 90ml의 물에 첨가되고, 혼합된다.
실시예 3
돼지, 송아지 및 새끼 양에 대한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공급원의 경구 재수화 제형의 한 예는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12
실시예 3의 농축물 제형
농축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농축물은 혼합되고, 적어도 5분 동안 실온에서 유지된다. 통상적인 pH는 사용을 위해 10배 희석 후 20℃에서 약 3.7 내지 3.8이다. 사용을 위해 희석하기 위해, 10ml의 농축물이 90ml의 물에 첨가되고, 혼합된다.
실시예 4
돼지, 송아지 및 새끼 양에 대한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공급원의 경구 재수화 제형의 한 예는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14
실시예 4의 분말 제형
분말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15
분말은 혼합되고, 적어도 5분 동안 실온에서 유지된다. 통상적인 pH는 97.0 부(part)의 물을 이용한 3.0 부의 분말의 희석 후 20℃에서 약 3.8 내지 4.0이다. 사용을 위해 희석하기 위해, 468 그램의 분말이 4 US 갤런(15.14 리터)의 물에 첨가되고, 혼합된다.
실시예 5
돼지, 송아지 및 새끼 양에 대한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
본 발명에 따른 가수분해된 유장 단백질 공급원의 경구 재수화 제형의 한 예는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16
실시예 5의 분말 제형
분말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17
분말은 혼합되고, 적어도 5분 동안 실온에서 유지된다. 통상적인 pH는 97.0 부의 물을 이용한 3.0 부의 분말의 희석 후 20℃에서 약 3.8 내지 4.0이다. 사용을 위해 희석하기 위해, 468 그램의 분말이 4 US 갤런(15.14 리터)의 물에 첨가되고, 혼합된다.
경구 재수화 요법은 수의 환자의 관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임의의 식욕부진 및 구토 동물에서 최초의 보조 치료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정맥내 유체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경구 재수화 요법은 더욱 복잡한 식품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을 이용한 경구 재수화 요법은 소화 과정에 부담을 주지 않고 신체가 필수 영양소 및 전해질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매우 맛이 좋고, 수의 환자에게 영양가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경구 액체 재수화 제형은 더 잘 수용되고 용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예시로서 제공된 상기 기재된 특정 상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9)

  1. 약 0.01% 내지 약 0.40% w/w 범위 내의 L-글루탐산 및 약 0.05% 내지 약 0.80% w/w 범위 내의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1.50% w/w의 글루코스 모노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0.20% w/w의 소듐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0.15% w/w의 포타슘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0.15% w/w의 소듐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0.10% w/w의 잔탄 검을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0.35% w/w의 글리신을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0.30% w/w의 트리소듐시트레이트를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0.20% w/w의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를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0.01% 내지 약 0.03% w/w 범위 내의 85% 스테비올 글리코시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0.15% 내지 약 1.00% w/w 범위 내의 가수분해된 유장을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1.00% w/w의 가수분해된 밀을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곡물을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다양한 종 또는 개체의 풍미 선호를 맞추기 위해 맞춤화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사용 준비된(ready-to-use) 조성물인 경구 재수화 조성물.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분말 농축물인 경구 재수화 조성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물에 희석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물이 효소 보조인자를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물이 단당류를 포함하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20. 실시예 1 내지 5 중 임의의 실시예의 경구 재수화 조성물.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등장성 용액인 경구 재수화 조성물.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등장성 용액이 소듐 클로라이드의 0.9% 용액의 등장성과 동등한 경구 재수화 조성물.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저장성 용액인 경구 재수화 조성물.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고장성 용액인 경구 재수화 조성물.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젤, 스프레이 또는 신속 용해 정제일 수 있는 경구 재수화 조성물.
  26. a. 경구 재수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경구 재수화 용액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수를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조성물이 약 0.01% 내지 약 0.40% w/w 범위 내의 L-글루탐산 및 약 0.05% 내지 약 0.80% w/w 범위 내의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가 인간인 방법.
  2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가 동물인 방법.
  2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설사로 고통받는 대상체인 방법.
KR1020177016671A 2014-11-19 2015-11-11 경구 재수화 조성물 및 이의 방법 KR102493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81588P 2014-11-19 2014-11-19
US62/081,588 2014-11-19
PCT/IB2015/058699 WO2016079640A1 (en) 2014-11-19 2015-11-11 Oral rehydr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317A true KR20170084317A (ko) 2017-07-19
KR102493948B1 KR102493948B1 (ko) 2023-01-30

Family

ID=5470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671A KR102493948B1 (ko) 2014-11-19 2015-11-11 경구 재수화 조성물 및 이의 방법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2) US10463067B2 (ko)
EP (2) EP3220750B1 (ko)
JP (1) JP6822734B2 (ko)
KR (1) KR102493948B1 (ko)
CN (1) CN107205464B (ko)
AU (1) AU2015347971B2 (ko)
BR (1) BR112017010483B1 (ko)
CA (1) CA2968324C (ko)
CL (1) CL2017001255A1 (ko)
CO (1) CO2017005016A2 (ko)
DK (1) DK3220750T3 (ko)
EA (1) EA033940B1 (ko)
ES (2) ES2948402T3 (ko)
HR (2) HRP20230910T1 (ko)
HU (2) HUE050306T2 (ko)
MX (2) MX2017006475A (ko)
MY (1) MY178335A (ko)
NZ (1) NZ732278A (ko)
PE (1) PE20171178A1 (ko)
PH (1) PH12017500931B1 (ko)
PL (2) PL3220750T3 (ko)
PT (1) PT3220750T (ko)
RS (2) RS64505B1 (ko)
SI (1) SI3685682T1 (ko)
WO (1) WO2016079640A1 (ko)
ZA (1) ZA2017034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20750B1 (en) 2014-11-19 2020-03-18 Kalmarna Limited Oral rehydr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thereof
EP3764817A1 (en) * 2018-03-15 2021-01-20 Pancosma S.A. Feeds for improving health and performance of mammals
DE202018105142U1 (de) * 2018-04-29 2018-10-08 Kalmarna Limited - CCS Trustees Limited Zusammensetzungen zur oralen Verabreichung zum Beeinflussen der Nachkommenschaft von Säugetieren
DE202018105143U1 (de) * 2018-04-29 2018-10-05 Kalmarna Limited - CCS Trustees Limited Zusammensetzungen zum Nähren von Säugetieren
WO2020039443A1 (en) * 2018-08-23 2020-02-27 Kalmarna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ammalian pathogens
US20200396961A1 (en) * 2019-06-18 2020-12-24 Susu Pets, Llc Container for an aqueous composition
EP4003052A1 (en) * 2019-07-29 2022-06-01 Nutreco IP Assets B.V. Electrolyt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CN111035651A (zh) * 2019-12-19 2020-04-21 孙庆 一种改善口感和缓和胃刺激的补钾制剂及其制备
JP7463115B2 (ja) 2020-01-30 2024-04-08 森永乳業株式会社 電解質補給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PL242445B1 (pl) * 2020-03-15 2023-02-20 Anwipharma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sób otrzymywania preparatu i preparat zawierający elektrolity dla zwierząt kopytnych, zwłaszcza koni
JP2024520526A (ja) * 2021-05-28 2024-05-24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 アミノ酸水分補給剤及び使用方法
EP4302758A1 (en) * 2022-07-04 2024-01-10 Farmacia del Corso Snc di Ferri Sonia & C. Oral rehyd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lactose, sodium chloride, sodium bicarbonate, glycine, potassium and zeolite and its use in treating gastrointestinal disorders
WO2024033533A1 (en) * 2022-08-11 2024-02-15 Unilever Ip Holdings B.V. Hydration compos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3442A1 (ja) * 2012-03-09 2013-09-12 株式会社明治 水分吸収性に優れた飲食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39006A1 (fr) * 1983-01-12 1984-07-13 Agronomique Inst Nat Rech Composition rehydratante utilisable notamment dans l'alimentation de jeunes animaux ne pouvant plus digerer normalement le lait et complement pour sa preparation
GB8512345D0 (en) * 1985-05-15 1985-06-19 Scras Anti-diarrhea compositions
EP0226332B1 (en) * 1985-11-18 1992-03-25 Beecham Group Plc Veterinary compositions
GB9212737D0 (en) 1992-06-16 1992-07-29 Norbrook Lab Veterinary product
US5489440A (en) 1995-03-06 1996-02-06 Abbott Laboratories Rice flour-based oral rehydration solution
GB9609993D0 (en) 1996-05-14 1996-07-17 Norbrook Lab Ltd Oral rehydration product
US7026298B2 (en) * 2001-06-04 2006-04-11 Abbott Laboratories Oral rehydration compositions
US7160565B2 (en) * 2003-03-31 2007-01-09 Breakthru Products, Llc Hydration beverage and method of delivering nutrients
JP4528925B2 (ja) * 2003-05-30 2010-08-25 独立行政法人理化学研究所 アミノ酸組成物及び補液
US8956652B2 (en) * 2005-09-15 2015-02-17 Tower Laboratories, Ltd. Effervescent rehydrating beverage tablet/granules
JP2014523430A (ja) * 2011-07-01 2014-09-11 ドリップ ドロップ,インク. 経口補水組成物
US8557301B2 (en) * 2011-07-01 2013-10-15 Drip Drop, Inc. Oral rehydration composition
CN102824362B (zh) * 2012-09-20 2014-03-12 西安安健药业有限公司 一种口服补液盐的药物组合物
CN103479664B (zh) * 2013-09-24 2015-01-07 辽宁亿灵科创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液态口服补液盐
EP3220750B1 (en) 2014-11-19 2020-03-18 Kalmarna Limited Oral rehydr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3442A1 (ja) * 2012-03-09 2013-09-12 株式会社明治 水分吸収性に優れた飲食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Veterinay Nurse, 3(7), 438-444, 20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347971B2 (en) 2019-12-19
PL3685682T3 (pl) 2023-10-16
EP3685682B1 (en) 2023-06-07
DK3220750T3 (da) 2020-06-22
ES2799903T3 (es) 2020-12-22
EP3220750B1 (en) 2020-03-18
PH12017500931A1 (en) 2017-11-20
CA2968324A1 (en) 2016-05-26
PH12017500931B1 (en) 2017-11-20
CA2968324C (en) 2023-08-29
CN107205464B (zh) 2020-10-23
EA201791111A1 (ru) 2017-10-31
US20190059434A1 (en) 2019-02-28
RS64505B1 (sr) 2023-09-29
EP3220750A1 (en) 2017-09-27
HUE050306T2 (hu) 2020-11-30
HRP20230910T1 (hr) 2023-12-08
NZ732278A (en) 2024-02-23
CO2017005016A2 (es) 2017-09-11
HRP20200940T1 (hr) 2020-09-18
BR112017010483B1 (pt) 2022-04-05
MX2021014983A (es) 2022-02-03
EA033940B1 (ru) 2019-12-11
EP3685682C0 (en) 2023-06-07
JP6822734B2 (ja) 2021-01-27
ZA201703443B (en) 2022-03-30
US10463067B2 (en) 2019-11-05
US20170339997A1 (en) 2017-11-30
SI3685682T1 (sl) 2023-12-29
JP2017535616A (ja) 2017-11-30
PE20171178A1 (es) 2017-08-22
PL3220750T3 (pl) 2020-11-02
WO2016079640A1 (en) 2016-05-26
BR112017010483A2 (pt) 2018-06-19
HUE063036T2 (hu) 2023-12-28
RS60439B1 (sr) 2020-07-31
CL2017001255A1 (es) 2018-02-16
ES2948402T3 (es) 2023-09-11
PT3220750T (pt) 2020-06-25
CN107205464A (zh) 2017-09-26
MY178335A (en) 2020-10-08
EP3685682A1 (en) 2020-07-29
AU2015347971A1 (en) 2017-06-08
MX2017006475A (es) 2018-05-02
KR102493948B1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3948B1 (ko) 경구 재수화 조성물 및 이의 방법
CA2242114C (en) Nutritional supplement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xcessive intestinal permeability
US5516798A (en) Method for treating diarrhea and a composition therefor
JP4428553B2 (ja) 家畜動物用予防及び/又は治療剤
US20180214404A1 (en) Oral nourishing composition and methods thereof
EP2858653B1 (en) Bovine colostrum as minimal enteral nutrition for preterm infants
RU2646831C1 (ru) Лекарственн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терапии диспепсических состояний новорожденных телят, полученных от инфицированных лейкозом коров
RU2791325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EP2606741B1 (en) Glycoprotein enriched composition as a food and feed additive and/or as a therapeutic agent
JP5248438B2 (ja) 反芻動物の乳生産改善剤
Smith Myth: One oral electrolyte is just as good as another
CA2361323C (en) Nutritional supplem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xcessive intestinal permeability
JP3556757B2 (ja) 吸収促進性糖類組成物
Smith Treating scouring beef and dairy calves
Pratt‐Phillips et al. Nutritional management of the colic patient
RU2228171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массовых диспепсий новорожденных телят ацетатом натрия
Elliott Acute pancreatitis: prevention and treatment.
Southwood 22 Long-term Recovery and Prevention
Ferguson A study of the role of micronutrient nutrition in relation to the pathogenesis of helminth disease and immune function in shee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