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695A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695A
KR20170083695A KR1020160002784A KR20160002784A KR20170083695A KR 20170083695 A KR20170083695 A KR 20170083695A KR 1020160002784 A KR1020160002784 A KR 1020160002784A KR 20160002784 A KR20160002784 A KR 20160002784A KR 20170083695 A KR20170083695 A KR 20170083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
sensing
transisto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202B1 (ko
Inventor
김범식
류도형
이종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202B1/ko
Priority to US15/236,839 priority patent/US10001873B2/en
Publication of KR2017008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pressure sensitive conductive elements delivering a boolean signal and located between crossing sensing lines, e.g. located between X and Y sensing line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230/00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4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selection purposes, e.g. logical AND for partial upd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5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being a dynamic memory with more than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09G2310/0218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with collection of electrodes in groups for n-dimensional addr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5Clearing or presetting the whole screen independently of waveforms, e.g. on power-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2The addressing of the pixel, in a display other than an active matrix LCD, involving the control of two or more scan electrodes or two or more data electrodes, e.g. pixel voltage dependent on signals of two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모드와 감지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표시 모드에서 화소회로에 제1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감지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제1 신호선;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제2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로부터의 감지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신호선; 및 상기 화소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영상 표시를 위한 제1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의 압저항층의 저항 측정을 위한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실시예들은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터치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은 사용자가 화면 위에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접촉하여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경우 표시 장치가 화면에 가한 압력, 전하, 빛 등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체가 화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그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터치 감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최근 정전식 터치 센서와 함께 압력 센서가 부각되어, 패널 내에 압력 센서를 내재화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최근 제조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고해상도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고해상도를 구현할수록 표시장치 내에 화소와 별개의 센서를 내장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비용으로 고해상도의 표시 장치에서 영상 표시 기능과 압력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모드와 감지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표시 모드에서 화소회로에 제1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감지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제1 신호선;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제2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로부터의 감지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신호선; 및 상기 화소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영상 표시를 위한 제1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의 압저항층의 저항 측정을 위한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층은 폴리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선은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초기화하는 신호를 인가하는 초기화선 및 상기 화소회로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선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초기화선 및 상기 데이터선 중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회로는, 상기 제1 신호선 및 제1 주사선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신호선 및 제2 주사선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제1 주사선과 상기 제2 주사선으로 동시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에 의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에 상기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주사선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신호선에 연결된 제1 전극, 제1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된 압저항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주사선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신호선에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된 압저항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회로는, 상기 제2 전류 경로의 일 노드와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하는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표시 모드에서 턴온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턴오프되는 제3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소회로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사이에, 상기 제1 주사선 또는 상기 제2 주사선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제1 주사선과 상기 제2 주사선으로 동시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에 의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에 상기 제2 전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주사선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신호선에 연결된 제1 전극, 제1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된 압저항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주사선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신호선에 연결된 제1 전극, 제2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된 압저항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된 압저항층을 포함하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주사선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된 압저항층을 포함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드는 한 프레임의 블랭크 구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드와 상기 감지 모드는 각각 짝수 프레임과 홀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에서 수행되고, 상기 표시 모드와 상기 감지 모드는 교대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 모드 및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연결된 주사선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주사 구동부;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상기 제1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상기 감지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패널구동 및 출력부; 및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제2 신호선으로 상기 제2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제2 신호선으로부터 상기 감지 출력신호를 리드 아웃하여 상기 제2 전류 경로의 압저항층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패널구동 및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사 구동부는,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주사선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1 주사 구동부; 및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주사선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2 주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선은 초기화 신호를 인가하는 초기화선이고, 상기 제2 신호선은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선이고, 상기 패널구동 및 출력부는,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초기화선을 상기 초기화 신호를 공급하는 제1 입력선에 연결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초기화선을 상기 감지 입력신호를 공급하는 제2 입력선에 연결하는 제1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구동 및 감지부는,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선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선을 통해 상기 감지 출력신호를 리드아웃하는 감지부; 및 구동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선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감지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선은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선이고, 상기 제2 신호선은 초기화 신호를 인가하는 초기화선이고, 상기 패널구동 및 출력부는,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선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선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선을 상기 감지 입력신호를 공급하는 제1 입력선에 연결하는 제1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구동 및 감지부는,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초기화선을 통해 상기 감지 출력신호를 리드아웃하는 감지부; 및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초기화선을 상기 초기화 신호를 공급하는 제2 입력선에 연결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초기화선을 상기 감지부에 연결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드에서, 복수의 행들에 배열된 화소들로 동시에 주사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각각이 압저항층을 갖는 화소회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이 행렬로 배열되고, 상기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은, 표시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들 각각이 주사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화소회로에 형성된 제1 전류 경로를 따라 생성된 상기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단계; 및 감지 모드에서, 일정 영역에 배열된 화소들 각각이 주사신호 및 감지 입력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화소회로에 연결된 한 쌍의 신호선들 사이에 형성된 제2 전류 경로를 따라 생성된 상기 압저항층의 저항에 대응하는 감지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방법은, 상기 감지 출력신호를 수신한 감지부가 상기 감지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압저항층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주사신호는 복수의 행들에 배열된 화소들로 동시에 인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드는 한 프레임의 블랭크 구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드와 상기 감지 모드는 각각 짝수 프레임과 홀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에서 수행되고, 상기 표시 모드와 상기 감지 모드는 교대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비용으로 표시 기능과 감지 기능을 병행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화소의 구동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일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패널구동 및 출력부와 패널구동 및 감지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표시 모드에서 도 5에 도시된 화소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감지 모드에서 도 5에 도시된 화소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패널구동 및 출력부와 패널구동 및 감지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감지 모드에서 도 5의 화소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일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일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3a는 표시 모드에서 도 12에 도시된 화소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b 및 도 13c는 감지 모드에서 도 12에 도시된 화소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일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화소부(10), 주사 구동부(30), 패널구동 및 출력부(50), 패널구동 및 감지부(7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일 수 있다.
화소부(10)에는 복수의 화소들(PX)이 행 및 열을 따라 매트릭스로 배열된다. 화소(PX)는 주사선(GL) 및 신호선(SL), 제1 전원전압(ELVDD) 및 제2 전원전압(ELVSS)를 인가하는 전원에 연결된다. 화소(PX)는 화소회로 및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PX)는 발광소자를 통해 발광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드와, 외부의 가압을 감지하는 감지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화소(PX)는 한 프레임 내에서 표시 모드와 감지 모드를 구분하여 시분할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화소(PX)는 홀수 프레임과 짝수 프레임의 교대로 표시 모드와 감지 모드를 구분하여 시분할 구동할 수 있다. 화소(PX)는 표시 모드에서 화소회로에 형성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전류에 따라 발광하고, 감지 모드에서 화소회로 내 압저항층을 포함하는 일부 회로소자들에 의해 압력 센서로서 동작할 수 있다.
화소부(10)에는 주사 구동부(30)에 연결된 복수의 주사선들(GL1-GLn), 패널구동 및 감지부(70)에 연결된 복수의 제1 신호선들(SL11-SL1m), 패널구동 및 출력부(50)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신호선들(SL21-SL2m)이 행 또는 열을 따라 배치된다. 화소부(10)에는 화소들(PX)에 제1 전원전압(ELVDD) 및/또는 제2 전원전압(ELVSS)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선이 메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주사선들(GL1-GLn)은 일정하게 이격되어 행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은 동일 행에 배열된 화소들(PX)에 연결된다. 복수의 제1 신호선들(SL11-SL1m) 및 복수의 제2 신호선들(SL21-SL2m)은 일정하게 이격되어 열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은 동일 열에 배열된 화소들(PX)에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제1 신호선들(SL11-SL1m) 및/또는 복수의 제2 신호선들(SL21-SL2m)은 일정하게 이격되어 행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동일 행에 배열된 화소들(PX)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소부(10)에는 발광제어신호를 화소(PX)에 전달하는 복수의 발광제어선들 및 다른 신호선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신호선들(SL11-SL1m)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 도 5 참조)일 수 있고, 복수의 제2 신호선들(SL21-SL2m)은 초기화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 도 5 참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신호선들(SL11-SL1m)은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 도 9 참조)일 수 있고, 복수의 제2 신호선들(SL21-SL2m)은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 도 9 참조)일 수 있다.
주사 구동부(30)는 화소부(10)의 복수의 주사선들(GL1-GLn)에 연결되고, 제1 제어신호(CS1)에 따라 주사신호를 주사선에 인가하고, 주사선에 연결되는 화소(PX)의 트랜지스터가 턴-온된다. 주사 구동부(30)는 표시 모드 및 감지 모드에서 각각 주사신호를 화소부(10)로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주사 구동부(30)는 감지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주사선들로 동시에 주사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패널구동 및 출력부(50)는 화소부(10)의 복수의 제2 신호선들(SL21-SL2m)에 연결된다. 패널구동 및 출력부(50)는 표시 모드에서 복수의 제2 신호선들(SL21-SL2m)로 제2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감지 모드에서 복수의 제2 신호선들(SL21-SL2m)로 감지 입력신호를 공급한다. 패널구동 및 출력부(50)는 복수의 제2 신호선들(SL21-SL2m)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신호선들, 예를 들어 화소부(1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제2 신호선들(SL21-SL2m)로 감지 입력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패널구동 및 감지부(70)는 화소부(10)의 복수의 제1 신호선들(SL11-SL1m)에 연결된다. 패널구동 및 감지부(70)는 표시 모드에서 복수의 제1 신호선들(SL11-SL1m)로 제1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감지 모드에서 복수의 제1 신호선들(SL11-SL1m)을 통해 화소부(10)로부터 감지 출력신호를 리드 아웃할 수 있다. 패널구동 및 감지부(70)는 복수의 제1 신호선들(SL11-SL1m)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신호선들, 예를 들어 화소부(1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된 제1 신호선들(SL11-SL1m)을 통해 감지 출력신호를 리드 아웃할 수 있다. 감지 출력신호는 표시장치(100)에 대한 외부의 가압, 터치, 및 표시장치(100)의 변형 등에 의한 압력 센서의 저항 변화를 감지하는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90)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 및 입력 제어신호를 제공받는다. 입력 제어신호에는 예를 들어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메인 클럭(MCLK) 등이 있다. 제어부(90)는 입력 제어신호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 및 제1 내지 제3 제어신호(CS1, CS2, CS3)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제1 제어신호(CS1)를 주사 구동부(30)로 전달한다. 제어부(90)는 제2 제어신호(CS2)를 생성하여 패널구동 및 출력부(50)로 전달한다. 제어부(90)는 제3 제어신호(CS3)를 생성하여 패널구동 및 감지부(70)로 전달한다.
제어부(90)는 구동 모드를 판단하고, 주사 구동부(30), 패널구동 및 출력부(50), 패널구동 및 감지부(70)의 표시 모드와 감지 모드 간의 스위칭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감지 모드에서 주사 구동부(30)가 주사신호를 동시에 공급할 주사선의 개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화소부(10)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감지 모드에서 패널구동 및 출력부(50)가 복수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만 감지 입력신호를 공급하고, 패널구동 및 감지부(70)가 복수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해서만 감지 출력신호를 리드 아웃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30), 패널구동 및 출력부(50), 패널구동 및 감지부(70), 및 제어부(90)는 각각 별개의 집적 회로 칩 또는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형성되어 화소부(10)가 형성된 기판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연성인쇄회로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위에 장착되거나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기판에 부착되거나, 기판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표시장치(100')는 표시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1 주사 구동부(30a) 및 감지 모드에서 동작하는 제2 주사 구동부(30b)가 별개로 구비된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100)와 차이가 있다. 그 외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주사 구동부(30a)는 화소부(10)의 복수의 주사선들(GL1-GLn)에 연결된다. 제1 주사 구동부(30a)는 표시 모드에서 제1 제어신호(CS1)에 따라 주사신호를 주사선에 인가하고, 주사선에 연결되는 화소(PX)의 트랜지스터가 턴-온된다. 제1 주사 구동부(30a)는 표시 모드에서 주사신호를 화소부(10)로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제2 주사 구동부(30b)는 화소부(10)의 복수의 주사선들(GL1-GLn)에 연결된다. 제2 주사 구동부(30b)는 감지 모드에서 제4 제어신호(CS4)에 따라 주사신호를 주사선에 인가하고, 주사선에 연결되는 화소(PX)의 트랜지스터가 턴-온된다. 제2 주사 구동부(30b)는 감지 모드에서 주사신호를 화소부(10)로 순차적으로 인가하며, 이때 하나 이상의 주사선들로 동시에 주사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화소(PX)의 구동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 프레임(frame)의 마지막 주사선에 주사신호가 인가되어 데이터가 출력된 후, 다음 프레임의 첫 번째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인가되어 데이터가 출력되기 전까지의 일정 기간 동안을 블랭크(Blank) 구간이라고 하고, 그 외 구간은 액티브(Acitve) 구간이라 한다. 블랭크 구간은 액티브 구간의 앞에 위치하거나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PX)는 한 프레임의 블랭크 구간에 감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 프레임의 액티브 구간, 즉 표시 구간(DT)에 표시 모드로 동작하고, 블랭크 구간, 즉 표시 구간(DT)에 후속하는 감지 구간(ST)에 감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프레임의 표시 구간(DT) 앞에 감지 구간(ST)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 구간(DT)에 데이터 신호(Data)와 주사신호(G1 내지 Gn)는 수직 동기신호(Vsync)에 동기되고, 주사신호(G1 내지 Gn)는 제1 라인부터 제n 라인으로 순차 출력된다.
감지 구간(ST)에는 화소(PX)에 데이터 신호(Data)는 인가되지 않고, 감지 출력신호(Tx)가 인가된다. 주사신호(G1 내지 Gn)는 제1 라인부터 제n 라인으로 순차 출력되며, 이때 복수의 라인들로 동시에 주사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세 개 라인들 마다 주사신호가 동시에 인가되고 있다. 복수의 주사선들을 그룹으로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감지 구간의 감지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PX)는 한 프레임(frame) 단위로 표시 구간(DT)에 표시 모드로 동작하고, 감지 구간(ST)에 감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PX)는 홀수 프레임(odd frame)에서 표시 모드로 동작하고, 짝수 프레임(even frame)에서 감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화소(PX)는 홀수 프레임(odd frame)에서 감지 모드로 동작하고, 짝수 프레임(even frame)에서 표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표시 구간(DT)에 데이터 신호(Data)와 주사신호(G1 내지 Gn)는 수직 동기신호(Vsync)에 동기되고, 주사신호(G1 내지 Gn)는 제1 라인부터 제n 라인으로 순차 출력된다.
감지 구간(ST)에는 화소(PX)에 데이터 신호(Data)는 인가되지 않고, 감지 출력신호(Tx)가 인가된다. 주사신호(G1 내지 Gn)는 제1 라인부터 제n 라인으로 순차 출력되며, 이때 복수의 라인들로 동시에 주사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세 개 라인들 마다 주사신호가 동시에 인가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일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n번째 주사선(GLn)과 m번째 데이터선(DLm)에 연결된 화소(PX1)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1)는 화소회로(PC) 및 발광소자(OLED)를 포함한다.
발광소자(OLED)는 화소회로(PC)에 연결된 제1 전극과 제2 전원전압(ELVSS)을 공급하는 전원에 연결된 제2 전극을 구비한다. 발광소자(OLED)는 화소회로(PC)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로 발광한다.
화소회로(PC)는 제1 내지 제5 트랜지스터(T1 내지 T5), 제1 및 제2 커패시터(C1 및 C2)를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n번째 화소 행에 대응하는 주사선인 제1 주사선(GL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데이터선(DLm)에 연결된 제1 전극,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n번째 화소 행 이전의 n-1번째 화소 행에 대응하는 주사선인 제2 주사선(GLn-1)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초기화 신호(Vsus)를 전달하는 초기화선(ILm)에 연결된 제1 전극,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데이터선(DLm)은 제1 신호선(SL1)이고, 초기화선(ILm)은 제2 신호선(SL2)일 수 있다. 또는 데이터선(DLm)은 제2 신호선(SL2)이고, 초기화선(ILm)은 제1 신호선(SL1)일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2 노드(N2)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전원전압(ELVDD)을 전달하는 전원선(ELVDDL)에 연결된 제1 전극, 제3 노드(N3)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2 전극은 제5 트랜지스터(T5)를 통해 발광소자(OLED)의 제1 전극에 연결된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제2 주사선(GLn-1)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제3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발광 제어선(EL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발광소자(OLED)의 제1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커패시터(C1)는 제1 노드(N1)와 전원선(ELVDDL) 사이에 연결된다. 제1 커패시터(C1)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2 커패시터(C2)는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연결된다. 제2 커패시터(C2)는 제3 트랜지스터(T3)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화소회로(PC)는 표시 모드에서 제1 내지 제5 트랜지스터(T1 내지 T5), 제1 및 제2 커패시터(C1 및 C2)의 동작에 의해 발광소자(OLED)의 발광을 위한 구동전류를 생성한다. 화소회로(PC)는 감지 모드에서 한 쌍의 신호선, 예를 들어 초기화선(ILm)과 데이터선(DLm) 사이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로 구성된 압력 센서(SEN)로 동작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화소(PX1)의 제1 트랜지스터(T1), 제3 트랜지스터(T3) 및 발광소자(OLED)가 기판(110) 상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활성층(210a), 게이트 전극(212a), 제1 전극(214a) 및 제2 전극(216a)을 포함한다. 제1 전극(214a) 및 제2 전극(216a)은 각각 활성층(210a)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연결된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활성층(210b), 게이트 전극(212b), 제1 전극(214b) 및 제2 전극(216b)을 포함한다. 제1 전극(214b) 및 제2 전극(216b)은 각각 활성층(210b)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연결된다.
활성층(210a, 210b)은 버퍼층(111) 상에 배치된다. 활성층(210a, 210b)은 폴리 실리콘을 포함하고, 가압에 의해 저항이 변하는 압저항층이다.
활성층(210a, 210b)과 게이트 전극(212a, 212b) 사이에 제1 절연막(113)이 배치된다. 게이트 전극(212a, 212b)와 제1 전극(214a, 214b) 및 제2 전극(216a, 216b) 사이에 제2 절연막(115)이 배치된다. 제1 전극(214a, 214b) 및 제2 전극(216a, 216b) 상에 제3 절연막(117)이 배치된다.
발광소자(OLED)는 제3 절연막(117) 상에 배치되고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2 전극(216b)에 연결된 제1 전극(310), 제1 전극(310)에 대향하는 제2 전극(314), 및 제1 전극(310)과 제2 전극(314) 사이의 유기층(312)을 포함한다. 유기층(312)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표시장치가 고해상도로 갈수록 화소회로를 구성하는 소자 및 화소회로에 연결된 배선들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화소부(10)에 별도의 터치 센서, 압력 센서 등을 삽입할 공간이 부족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5 트랜지스터(T1 내지 T5)는 활성층이 압저항 특성을 갖는 폴리 실리콘을 포함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Silicon, LTPS) 트랜지스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내지 제5 트랜지스터(T1 내지 T5)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해 화소회로(PC)에 구동전류와 별개의 감지전류가 생성되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여 화소회로(PC)가 표시 모드 구동과 독립적으로 감지 모드 구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패널구동 및 출력부와 패널구동 및 감지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제1 신호선들(SL11-SL1m)은 데이터 신호(Data)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이고, 복수의 제2 신호선들(SL21-SL2m)은 초기화 신호(Vsus)를 전달하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이다.
패널구동 및 출력부(50A)는 제1 스위칭부(501), 감지 입력신호(Tx)를 전달하는 제1 입력선(503) 및 초기화 신호(Vsus)를 전달하는 제2 입력선(505)을 포함한다.
제1 스위칭부(501)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제1 입력선(503)과 제2 입력선(505)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각 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501)는 제어부(90)로부터의 제2 제어신호(CS2)에 포함된 스위치 제어신호(SWCS)에 의해 각 스위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501)는 표시 모드에서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제2 입력선(505)에 연결하고, 감지 모드에서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제1 입력선(503)에 연결한다. 감지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01)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 중 일부 초기화선들만을 제1 입력선(503)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입력선(503)은 감지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01)를 통해 화소부(10)의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에 연결된다. 제1 입력선(503)은 감지 입력신호(Tx)를 화소부(10)의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로 인가한다.
제2 입력선(505)은 표시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01)를 통해 화소부(10)의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에 연결된다. 제2 입력선(505)은 초기화 신호(Vsus)를 화소부(10)의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로 인가한다.
감지 입력신호(Tx) 및 초기화 신호(Vsus)는 전압 변환부(6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전압 변환부(60)는 제어부(9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압 변환부(60)는 패널구동 및 출력부(50A)에 구비될 수 있다. 감지 입력신호(Tx)와 초기화 신호(Vsus)는 서로 동일한 레벨의 전압 또는 상이한 레벨의 전압일 수 있다.
패널구동 및 감지부(70A)는 제2 스위칭부(701), 감지부(703) 및 데이터 구동부(705)을 포함한다.
제2 스위칭부(70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감지부(703) 및 데이터 구동부(705)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각 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스위칭부(701)는 제어부(90)로부터의 제3 제어신호(CS3)에 포함된 스위치 제어신호(SWCS)에 의해 각 스위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2 스위칭부(701)는 표시 모드에서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데이터 구동부(705)에 연결하고, 감지 모드에서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감지부(703)에 연결한다. 감지 모드에서 제2 스위칭부(70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중 일부 데이터선들만을 감지부(703)에 연결할 수 있다.
감지부(703)는 감지 모드에서 제2 스위칭부(701)를 통해 화소부(10)의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에 연결된다. 감지부(703)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통해 화소부(10)로부터 감지 출력신호(Rx)를 수신한다. 감지부(703)는 제어부(90)로부터의 제3 제어신호(CS3)에 포함된 감지 제어신호(SCS)에 의해 화소(PX)가 감지 모드로 동작할 때 화소(PX)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회로이다. 감지부(703)에서 감지한 전류는 화소(PX)에 형성된 전류 경로를 따라 배치된 트랜지스터의 압저항층의 저항 값에 대응한다. 감지부(703)는 감지 출력신호(Rx)로부터 압저항층의 저항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표시장치에의 가압(예를 들어, 터치, 변형 등) 여부 및 가압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703)는 측정된 압저항층의 저항 변화를 제어부(90)로 전달하고, 제어부(90)가 표시장치에의 가압 여부 및 가압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화소(PX1)의 경우 압력 센서(SEN)를 구성하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활성층의 저항 변화를 기초로 표시장치에의 가압 여부 및 가압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703)는 단수 또는 복수의 증폭 회로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노이즈 제거 회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705)는 표시 모드에서 제2 스위칭부(701)를 통해 화소부(10)의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에 연결된다. 데이터 구동부(705)는 제어부(90)로부터의 제3 제어신호(CS3)에 포함된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의해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통해 화소(PX)로 데이터 신호(Data)를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705)는 제어부(90)로부터 입력되는 계조를 가지는 입력 영상 데이터(DATA)를 전압 또는 전류 형태의 데이터 신호(Data)로 변환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감지 입력신호(Tx)를 선택적으로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로 인가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지 입력신호(Tx)를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로 일괄 인가하는 경우, 제1 스위칭부(501)를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화 신호(Vsus)가 인가되는 동안 감지 입력신호(Tx)는 인가되지 않고, 감지 입력신호(Tx)가 인가되는 동안 초기화 신호(Vsus)가 인가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8a는 표시 모드에서 도 5에 도시된 화소(PX1)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감지 모드에서 도 5에 도시된 화소(PX1)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a를 함께 참조하면, 표시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01)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제2 입력선(505)에 연결하고, 제2 스위칭부(70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데이터 구동부(705)에 연결한다.
화소(PX1)는 한 프레임 동안 초기화 및 문턱전압 보상 구간, 데이터 기입 구간, 발광 구간으로 구동한다.
초기화 및 문턱전압 보상 구간에, 제2 주사선(GLn-1)으로부터 주사신호(Gn-1)가 전달되면, 제2 트랜지스터(T2)와 제4 트랜지스터(T4)가 턴온된다. 제4 트랜지스터(T4)의 턴온에 의해 제3 트랜지스터(T3)가 다이오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초기화선(ILm)으로부터의 초기화 신호(Vsus)가 제1 노드(N1)로 인가되고, 제2 커패시터(C2)에는 제3 트랜지스터(T3)의 문턱전압에 대응하는 보상 전압이 저장된다.
데이터 기입 구간에, 제1 주사선(GLn)으로부터 주사신호(Gn)가 인가되면, 제1 트랜지스터(T1)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제1 노드(N1)로 데이터 신호(Data)가 인가되고, 제1 커패시터(C1)에는 데이터 신호(Data)에 대응하는 전압이 저장된다.
발광 구간에, 발광 제어선(ELn)으로 발광 제어신호(EMn)가 인가되면, 제5 트랜지스터(T5)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제1 전원전압(ELVDD)을 공급하는 전원선(ELVDDL)으로부터 제3 트랜지스터(T3) 및 제5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는 제1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제1 전류 경로에 구동전류(Ioled)가 흐르게 된다. 발광소자(OLED)는 구동전류(Ioled)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도 7 및 도 8b를 함께 참조하면, 감지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01)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제1 입력선(503)에 연결하고, 제2 스위칭부(70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감지부(703)에 연결한다.
감지 모드에서, 화소(PX1)는 화소(PX)에 연결된 한 쌍의 신호선들을 각각 송신단과 수신단으로 하고,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LTPS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 압력 센서로 동작한다. 송신단으로 감지 입력신호(Tx)가 입력되면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에는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제2 전류 경로를 흐르는 감지전류(Isen)가 수신단에서 감지 출력신호(Rx)로 출력된다. 도 8b의 실시예는 송신단을 초기화선(ILm)으로 하고, 수신단을 데이터선(DLm)으로 하는 압력 센서가 구현된 예이다.
감지 모드에서, 제1 주사선(GLn) 및 제2 주사선(GLn-1)으로부터 주사신호(Gn)가 인가되면,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가 턴온된다. 그리고, 초기화선(ILm)으로부터 감지 입력신호(Tx)가 인가되어, 초기화선(ILm)으로부터 제2 트랜지스터(T2) 및 제1 트랜지스터(T1)를 경유하는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제2 전류 경로를 흐르는 감지전류(Isen)에 대응하는 감지 출력신호(Rx)가 데이터선(DLm)을 통해 감지부(703)로 출력된다.
화소(PX1)의 표시 모드 및 감지 모드 동작 타이밍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패널구동 및 출력부와 패널구동 및 감지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제1 신호선들(SL11-SL1m)은 초기화 신호(Vsus)를 전달하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이고, 복수의 제2 신호선들(SL21-SL2m)은 데이터 신호(Data)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이다.
패널구동 및 출력부(50B)는 제1 스위칭부(511), 감지 입력신호(Tx)를 전달하는 제1 입력선(513) 및 데이터 구동부(515)을 포함한다.
제1 스위칭부(51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제1 입력선(513) 및 데이터 구동부(515)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각 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511)는 제어부(90)로부터의 제2 제어신호(CS2)에 포함된 스위치 제어신호(SWCS)에 의해 각 스위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스위칭부(511)는 표시 모드에서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데이터 구동부(515)에 연결하고, 감지 모드에서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제1 입력선(513)에 연결한다. 감지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1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 중 일부의 데이터선들만을 제1 입력선(513)에 연결할 수 있다.
제1 입력선(513)은 감지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11)를 통해 화소부(10)의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에 연결된다. 제1 입력선(513)은 감지 입력신호(Tx)를 화소부(10)의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로 인가한다. 감지 입력신호(Tx)는 전압 변환부(6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전압 변환부(60)는 제어부(9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압 변환부(60)는 패널구동 및 출력부(50B)에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515)는 표시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11)를 통해 화소부(10)의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에 연결된다. 데이터 구동부(705)는 제어부(90)로부터의 제3 제어신호(CS3)에 포함된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의해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통해 화소(PX)로 데이터 신호(Data)를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705)는 제어부(90)로부터 입력되는 계조를 가지는 입력 영상 데이터(DATA)를 전압 또는 전류 형태의 데이터 신호(Data)로 변환한다.
패널구동 및 감지부(70B)는 제2 스위칭부(711), 감지부(713) 및 초기화 신호(Vsus)를 전달하는 제2 입력선(715)을 포함한다.
제2 스위칭부(711)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감지부(713) 및 제2 입력선(715)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한다. 각 스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스위칭부(711)는 제어부(90)로부터의 제3 제어신호(CS3)에 포함된 스위치 제어신호(SWCS)에 의해 표시 모드에서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제2 입력선(715)에 연결하고, 감지 모드에서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감지부(713)에 연결한다. 감지 모드에서 제2 스위칭부(71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중 일부의 데이터선들만을 감지부(713)에 연결할 수 있다.
감지부(713)는 감지 모드에서 제2 스위칭부(711)를 통해 화소부(10)의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에 연결된다. 감지부(713)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통해 화소부(10)로부터 감지 출력신호(Rx)를 수신한다. 감지부(713)는 제어부(90)로부터의 제3 제어신호(CS3)에 포함된 감지 제어신호(SCS)에 의해 화소(PX)가 감지 모드로 동작할 때 화소(PX)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회로이다. 감지부(713)에서 감지한 전류는 화소(PX)에 형성된 전류 경로를 따라 배치된 트랜지스터의 압저항층의 저항 값에 대응한다. 감지부(713)는 감지 출력신호(Rx)로부터 압저항층의 저항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표시장치에의 가압(예를 들어, 터치, 변형 등) 여부 및 가압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713)는 측정된 압저항층의 저항 변화를 제어부(90)로 전달하고, 제어부(90)가 표시장치에의 가압 여부 및 가압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화소(PX1)의 경우 압력 센서(SEN)를 구성하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활성층의 저항 변화를 기초로 표시장치에의 가압 여부 및 가압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713)는 단수 또는 복수의 증폭 회로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노이즈 제거 회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입력선(715)은 표시 모드에서 제2 스위칭부(711)를 통해 화소부(10)의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에 연결된다. 제2 입력선(715)은 초기화 신호(Vsus)를 화소부(10)의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로 인가한다. 초기화 신호(Vsus)는 전압 변환부(6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전압 변환부(60)는 제어부(9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압 변환부(60)는 패널구동 및 감지부(70B)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감지 모드에서 도 5의 화소(PX1)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모드에서 화소(PX1)의 구동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도 9 및 도 8a를 함께 참조하면, 표시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1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데이터 구동부(515)에 연결하고, 제2 스위칭부(711)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제2 입력선(715)에 연결한다.
화소(PX1)는 한 프레임 동안 초기화 및 문턱전압 보상 구간, 데이터 기입 구간, 발광 구간으로 구동한다. 구동의 상세한 설명은 도 8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감지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1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제1 입력선(513)에 연결하고, 제2 스위칭부(711)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감지부(713)에 연결한다.
감지 모드에서, 화소(PX1)는 화소(PX)에 연결된 한 쌍의 신호선들을 각각 송신단과 수신단으로 하고,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LTPS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 압력 센서로 동작한다. 송신단으로 감지 입력신호(Tx)가 입력되면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에는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제2 전류 경로를 흐르는 감지전류(Isen)가 수신단에서 감지 출력신호(Rx)로 출력된다. 도 10의 실시예는 송신단을 데이터선(DLm)으로 하고, 수신단을 초기화선(ILm)으로 하는 압력 센서가 구현된 예이다.
감지 모드에서, 제1 주사선(GLn) 및 제2 주사선(GLn-1)으로부터 주사신호(Gn)가 인가되면,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가 턴온된다. 그리고, 데이터선(DLm)으로부터 감지 입력신호(Tx)가 인가되어, 데이터선(DLm)으로부터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를 경유하는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제2 전류 경로를 흐르는 감지전류(Isen)에 대응하는 감지 출력신호(Rx)가 초기화선(ILm)을 통해 감지부(713)로 출력된다.
화소(PX1)의 표시 모드 및 감지 모드 동작 타이밍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일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n번째 주사선(GLn)과 m번째 데이터선(DLm)에 연결된 화소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화소(PX2)는 도 5에 도시된 화소(PX1)의 화소회로(PC)에 제6 트랜지스터(T6)가 추가되었으며, 그 외 회로소자는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화소(PX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화소(PX2)는 화소회로(PC) 및 발광소자(OLED)를 포함한다.
화소회로(PC)는 제1 내지 제6 트랜지스터(T1 내지 T6), 제1 및 제2 커패시터(C1 및 C2)를 포함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게이트 전극 제어신호(CK)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제1 커패시터(C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노드(N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시분할 구동으로 화소의 구동 모드를 표시 모드와 감지 모드로 분리하더라도 압력 센서 구동을 위해 화소회로로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화소회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하는 제1 커패시터(C1)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모드로 화소가 구동할 때 구동전류가 변화하여 영상 화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감지 모드에서 압력 센서를 화소회로로부터 분리하는 제6 트랜지스터(T6)를 제2 전류 경로 상의 제1 노드(N1)와 제1 커패시터(C1) 사이에 삽입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표시 모드에서 턴온되고, 감지 모드에서 턴오프된다.
도 11에 도시된 화소(PX2)의 표시 모드 및 감지 모드에서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일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n번째 주사선(GLn)과 m번째 데이터선(DLm)에 연결된 화소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화소(PX3)는 화소회로(PC) 및 발광소자(OLED)를 포함한다.
발광소자(OLED)는 화소회로(PC)에 연결된 제1 전극과 제2 전원전압(ELVSS)을 공급하는 전원에 연결된 제2 전극을 구비한다. 발광소자(OLED)는 화소회로(PC)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류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로 발광한다.
화소회로(PC)는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M1 내지 M7),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M1)는 n번째 화소 행에 대응하는 주사선인 제1 주사선(GL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데이터선(DLm)에 연결된 제1 전극, 제1 노드(Q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2 트랜지스터(M2)는 n번째 화소 행 이전의 n-1번째 화소 행에 대응하는 주사선인 제2 주사선(GLn-1)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초기화 신호(VINT)를 전달하는 초기화선(ILm)에 연결된 제1 전극, 제2 노드(Q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데이터선(DLm)은 제1 신호선(SL1)이고, 초기화선(ILm)은 제2 신호선(SL2)일 수 있다. 또는 데이터선(DLm)은 제2 신호선(SL2)이고, 초기화선(ILm)은 제1 신호선(SL1)일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M3)는 제2 노드(Q2)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노드(Q1)에 연결된 제1 전극, 제3 노드(Q3)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3 트랜지스터(M3)의 제2 전극은 제6 트랜지스터(M6)를 통해 발광소자(OLED)의 제1 전극에 연결된다.
제4 트랜지스터(M4)는 제1 주사선(GL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3 트랜지스터(M3)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제3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5 트랜지스터(M5)는 발광 제어선(EL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전원선(ELVDDL)에 연결된 제1 전극, 제1 노드(Q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6 트랜지스터(M6)는 발광 제어선(EL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3 노드(Q3)에 연결된 제1 전극, 발광소자(OLED)의 제1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7 트랜지스터(M7)는 바이패스 제어선(GBL)과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6 트랜지스터(M6)의 제2 전극 및 발광소자(OLED)의 제1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초기화선(ILm)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바이패스 제어선(GBL)은 제2 주사선(GLn-1) 또는 n+1번째 화소 행의 주사선(GLn+1)일 수 있다.
커패시터(C)는 제2 노드(Q2)와 전원선(ELVDDL) 사이에 연결된다. 커패시터(C)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화소회로(PC)는 표시 모드에서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M1 내지 M7) 및 커패시터(C)의 동작에 의해 발광소자(OLED)의 발광을 위한 구동전류를 생성한다. 화소회로(PC)는 감지 모드에서 한 쌍의 신호선, 예를 들어 초기화선(ILm)과 데이터선(DLm) 사이에 연결된 제1 내지 제4 트랜지스터(M1 내지 M4)로 구성된 압력 센서(SEN)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M1 내지 M7)는 활성층이 압저항 특성을 갖는 폴리 실리콘을 포함하는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Silicon, LTPS) 트랜지스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내지 제7 트랜지스터(M1 내지 M7)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해 화소회로(PC)에 구동전류와 별개의 감지전류가 생성되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여 화소회로(PC)가 표시 모드 구동과 독립적으로 감지 모드 구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13a는 표시 모드에서 도 12에 도시된 화소(PX3)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b 및 도 13c는 감지 모드에서 도 12에 도시된 화소(PX3)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실시예의 경우, 표시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01)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제2 입력선(505)에 연결하고, 제2 스위칭부(70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데이터 구동부(705)에 연결한다.
도 9의 실시예의 경우, 표시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1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데이터 구동부(515)에 연결하고, 제2 스위칭부(711)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제2 입력선(715)에 연결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도 7 또는 도 9의 실시예의 표시 모드에서, 화소(PX3)는 한 프레임 동안 초기화 구간, 데이터 기입 구간, 발광 구간으로 구동한다.
초기화 구간에, 제2 주사선(GLn-1)으로부터 주사신호(Gn-1)가 전달되면, 제2 트랜지스터(M2)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초기화선(ILm)으로부터의 초기화 신호(VINT)가 제2 노드(Q2)로 인가되어 제3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극이 초기화된다.
데이터 기입 구간에, 제1 주사선(GLn)으로부터 주사신호(Gn)가 인가되면, 제1 트랜지스터(M1)와 제4 트랜지스터(M4)가 턴온된다. 제4 트랜지스터(M4)의 턴온에 의해 제3 트랜지스터(M3)가 다이오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노드(Q1)로 데이터 신호(Data)가 인가되고, 데이터 신호(Data)에 제3 트랜지스터(M3)의 문턱전압이 보상된 보상 전압이 제3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다. 커패시터(C)에는 양단 전압 차에 대응하는 전하가 저장된다.
발광 구간에, 발광 제어선(ELn)으로부터 공급되는 발광 제어신호(EMn)가 인가되면, 제5 트랜지스터(M5) 및 제6 트랜지스터(M6)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제1 전원전압(ELVDD)을 공급하는 전원선(ELVDDL)으로부터 제5 트랜지스터(M5), 제3 트랜지스터(M3) 및 제6 트랜지스터(M6)를 경유하는 제1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제1 전류 경로에 구동전류(Ioled)가 흐르게 된다. 발광소자(OLED)는 구동전류(Ioled)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한편, 화소(PX3)는 제2 주사선(GLn-1)으로부터의 주사신호(Gn-1)와 동시에 또는 n+1번째 화소 행의 주사선(GLn+1)으로부터의 주사신호(Gn+1)와 동시에 바이패스 제어신호(GB)를 인가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7 트랜지스터(M7)가 턴온되어, 발광소자(OLED)의 제1 전극이 초기화 전압(VINT)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의 감지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01)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제1 입력선(503)에 연결하고, 제2 스위칭부(70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감지부(703)에 연결한다.
도 13b를 함께 참조하면, 감지 모드에서, 화소(PX3)는 화소(PX3)에 연결된 한 쌍의 신호선들을 각각 송신단과 수신단으로 하고,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LTPS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 압력 센서로 동작한다. 송신단으로 감지 입력신호(Tx)가 입력되면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에는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제2 전류 경로를 흐르는 감지전류(Isen)가 수신단에서 감지 출력신호(Rx)로 출력된다. 도 13b의 실시예는 송신단을 초기화선(ILm)으로 하고, 수신단을 데이터선(DLm)으로 하는 압력 센서가 구현된 예이다.
감지 모드에서, 제1 주사선(GLn) 및 제2 주사선(GLn-1)으로부터 주사신호(Gn)가 동시에 인가되면, 제1 트랜지스터(M1), 제2 트랜지스터(M2) 및 제3 트랜지스터(M3)가 턴온된다. 그리고, 초기화선(ILm)으로부터 감지 입력신호(Tx)가 인가되어, 초기화선(ILm)으로부터 제2 트랜지스터(M2), 제4 트랜지스터(M4), 제3 트랜지스터(M3), 및 제1 트랜지스터(M1)를 경유하는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제2 전류 경로를 흐르는 감지전류(Isen)에 대응하는 감지 출력신호(Rx)가 데이터선(DLm)을 통해 감지부(703)로 출력된다.
도 9의 실시예의 감지 모드에서, 제1 스위칭부(511)는 복수의 데이터선들(DL1-DLm)을 제1 입력선(513)에 연결하고, 제2 스위칭부(711)는 복수의 초기화선들(IL1-ILm)을 감지부(713)에 연결한다.
도 13c를 함께 참조하면, 감지 모드에서, 화소(PX3)는 화소(PX3)에 연결된 한 쌍의 신호선들을 각각 송신단과 수신단으로 하고,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LTPS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 압력 센서로 동작한다. 송신단으로 감지 입력신호(Tx)가 입력되면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에는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제2 전류 경로를 흐르는 감지전류(Isen)가 수신단에서 감지 출력신호(Rx)로 출력된다. 도 13c의 실시예는 송신단을 데이터선(DLm)으로 하고, 수신단을 초기화선(ILm)으로 하는 압력 센서가 구현된 예이다.
감지 모드에서, 제1 주사선(GLn) 및 제2 주사선(GLn-1)으로부터 주사신호(Gn)가 인가되면, 제1 트랜지스터(M1), 제2 트랜지스터(M2) 및 제3 트랜지스터(M3)가 턴온된다. 그리고, 데이터선(DLm)으로부터 감지 입력신호(Tx)가 인가되어, 데이터선(DLm)으로부터 제1 트랜지스터(M1), 제3 트랜지스터(M3), 제4 트랜지스터(M4), 및 제2 트랜지스터(M2)를 경유하는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제2 전류 경로를 흐르는 감지전류(Isen)에 대응하는 감지 출력신호(Rx)가 초기화선(DLm)을 통해 감지부(713)로 출력된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일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n번째 주사선(GLn)과 m번째 데이터선(DLm)에 연결된 화소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화소(PX4)는 도 12에 도시된 화소(PX3)의 화소회로(PC)에 제8 트랜지스터(M8)가 추가되었으며, 그 외 회로소자는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화소(PX3)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화소(PX4)는 화소회로(PC) 및 발광소자(OLED)를 포함한다.
화소회로(PC)는 제1 내지 제8 트랜지스터(M1 내지 M8), 및 커패시터(C)를 포함한다.
제8 트랜지스터(M8)는 게이트 전극 제어신호(CK)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커패시터(C)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노드(Q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시분할 구동으로 화소의 구동 모드를 표시 모드와 감지 모드로 분리하더라도 압력 센서 구동을 위해 화소회로로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화소회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하는 커패시터(C)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 모드로 화소가 구동할 때 구동전류가 변화하여 영상 화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감지 모드에서 압력 센서를 화소회로로부터 분리하는 제8 트랜지스터(M8)를 제2 전류 경로 상의 제2 노드(Q2)와 커패시터(C) 사이에 삽입한다. 제8 트랜지스터(M8)는 표시 모드에서 턴온되고, 감지 모드에서 턴오프된다.
도 14에 도시된 화소(PX4)의 표시 모드 및 감지 모드에서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별도의 센서를 화소에 삽입하지 않고, 화소의 화소회로를 구성하는 폴리 실리콘 기반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소정 타이밍에 화소를 압력 센서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추가에 의한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압력 센서는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의한 차폐(shielding) 효과에 의해 정전기 노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소회로 내 복수의 트랜지스터들 중 특정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에 동시에 주사신호를 인가하여 턴온시키고, 트랜지스터의 채널(소스/드레인 간)에 흐르는 전류가 선형인 구간에서의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화소를 압력 센서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데이터선(DL)과 초기화선(IL) 사이에 감지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는 압력 센서를 구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 구조에 따라 화소회로에 전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한 쌍의 신호선들 사이의 폴리 실리콘 기반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압력 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한 쌍의 신호선들 중 하나는 송신단으로 기능하고 나머지 하나는 수신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Claims (20)

  1. 표시 모드와 감지 모드로 동작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드에서 화소회로에 제1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감지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제1 신호선;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제2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로부터의 감지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제2 신호선; 및
    상기 화소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영상 표시를 위한 제1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의 압저항층의 저항 측정을 위한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저항층은 폴리 실리콘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선은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초기화하는 신호를 인가하는 초기화선 및 상기 화소회로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선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초기화선 및 상기 데이터선 중 나머지 하나인,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회로는,
    상기 제1 신호선 및 제1 주사선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신호선 및 제2 주사선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제1 주사선과 상기 제2 주사선으로 동시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에 의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에 상기 제2 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주사선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신호선에 연결된 제1 전극, 제1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된 압저항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주사선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신호선에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된 압저항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회로는,
    상기 제2 전류 경로의 일 노드와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저장하는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표시 모드에서 턴온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턴오프되는 제3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회로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사이에, 상기 제1 주사선 또는 상기 제2 주사선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제1 주사선과 상기 제2 주사선으로 동시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에 의해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와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상기 제1 신호선과 상기 제2 신호선 사이에 상기 제2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주사선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신호선에 연결된 제1 전극, 제1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된 압저항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주사선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신호선에 연결된 제1 전극, 제2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된 압저항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트랜지스터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된 압저항층을 포함하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주사선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연결된 압저항층을 포함하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드는 한 프레임의 블랭크 구간에 수행되는,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드와 상기 감지 모드는 각각 짝수 프레임과 홀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에서 수행되고, 상기 표시 모드와 상기 감지 모드는 교대로 수행되는,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드 및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화소회로에 연결된 주사선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주사 구동부;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상기 제1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제1 신호선으로 상기 감지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패널구동 및 출력부; 및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제2 신호선으로 상기 제2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제2 신호선으로부터 상기 감지 출력신호를 리드 아웃하여 상기 제2 전류 경로의 압저항층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패널구동 및 감지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구동부는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주사선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1 주사 구동부; 및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주사선으로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제2 주사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선은 초기화 신호를 인가하는 초기화선이고, 상기 제2 신호선은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선이고,
    상기 패널구동 및 출력부는,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초기화선을 상기 초기화 신호를 공급하는 제1 입력선에 연결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초기화선을 상기 감지 입력신호를 공급하는 제2 입력선에 연결하는 제1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구동 및 감지부는,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선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선을 통해 상기 감지 출력신호를 리드아웃하는 감지부; 및
    구동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선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감지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선은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선이고, 상기 제2 신호선은 초기화 신호를 인가하는 초기화선이고,
    상기 패널구동 및 출력부는,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선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선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연결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선을 상기 감지 입력신호를 공급하는 제1 입력선에 연결하는 제1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구동 및 감지부는,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초기화선을 통해 상기 감지 출력신호를 리드아웃하는 감지부; 및
    상기 표시 모드에서 상기 초기화선을 상기 초기화 신호를 공급하는 제2 입력선에 연결하고,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초기화선을 상기 감지부에 연결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드에서, 상기 주사 구동부는 복수의 주사선들로 동시에 주사신호를 인가하는, 표시장치.
  16. 각각이 압저항층을 갖는 화소회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이 행렬로 배열된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표시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화소들 각각이 데이터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화소회로에 형성된 제1 전류 경로를 따라 생성된 상기 데이터신호에 대응하는 구동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단계; 및
    감지 모드에서, 일정 영역에 배열된 화소들 각각이 감지 입력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화소회로에 연결된 한 쌍의 신호선들 사이에 형성된 제2 전류 경로를 따라 생성된 상기 압저항층의 저항에 대응하는 감지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출력신호를 수신한 감지부가 상기 감지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압저항층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드에서, 복수의 행들에 배열된 화소들로 동시에 주사신호가 인가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모드는 한 프레임의 블랭크 구간에 수행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드와 상기 감지 모드는 각각 짝수 프레임과 홀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에서 수행되고, 상기 표시 모드와 상기 감지 모드는 교대로 수행되는,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60002784A 2016-01-08 2016-01-08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474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784A KR102474202B1 (ko) 2016-01-08 2016-01-08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US15/236,839 US10001873B2 (en) 2016-01-08 2016-08-15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784A KR102474202B1 (ko) 2016-01-08 2016-01-08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695A true KR20170083695A (ko) 2017-07-19
KR102474202B1 KR102474202B1 (ko) 2022-12-06

Family

ID=5927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784A KR102474202B1 (ko) 2016-01-08 2016-01-08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01873B2 (ko)
KR (1) KR102474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5662B2 (en) 2020-05-29 2022-04-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4913B2 (en) * 2016-04-15 2019-10-15 Lg Display Co., Ltd. Driving circuit, touch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ouch display apparatus
JP6802009B2 (ja) * 2016-08-29 2020-12-16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圧力検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07256101B (zh) * 2017-06-30 2020-05-1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387793B1 (ko) * 2017-09-13 2022-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485163B1 (ko) * 2018-02-12 2023-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423286B1 (en) * 2018-03-09 2019-09-24 Int Tech Co., Ltd. Circuit for fingerprint sensing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circuit
KR20210085077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20210100785A (ko) 2020-02-06 2021-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1073941B1 (en) * 2020-04-27 2021-07-27 Himax Technologies Limited Driv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TWI775561B (zh) * 2021-08-11 2022-08-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KR20230071861A (ko) * 2021-11-15 2023-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139915A (ko) 2022-03-25 2023-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1295A (ja) * 2007-10-18 2011-01-06 フリースケー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ッチパネル検出回路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20120025923A (ko) * 2010-09-08 2012-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63772A (ko) * 2010-12-08 2012-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노이즈 보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999B1 (ko) * 2006-06-13 2013-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76434B1 (ko) 2007-07-20 2014-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시스템
KR101551447B1 (ko) 2009-04-27 2015-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5198608B2 (ja) 2010-03-18 2013-05-15 韓国標準科学研究院 半導体ストレインゲージ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な力または圧力センサアレイ、そのフレキシブルな力または圧力センサアレイの製造方法、及びそのフレキシブルな力または圧力センサアレイを用いた力または圧力測定方法
US9146635B2 (en) * 2011-04-15 2015-09-29 Sharp Kabushiki Kaisha Touch panel equippe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me
KR102008779B1 (ko) * 2012-10-22 2019-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004924B1 (ko) 2012-12-09 2019-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인식 방법
KR20140139261A (ko) 2013-05-27 2014-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84711B1 (ko) * 2013-10-10 2020-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구동방법
KR102285393B1 (ko) * 2015-03-13 2021-08-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4777955B (zh) * 2015-05-08 2018-02-1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的驱动电路和触控面板
KR102411075B1 (ko) * 2015-08-24 2022-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1295A (ja) * 2007-10-18 2011-01-06 フリースケー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ッチパネル検出回路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20120025923A (ko) * 2010-09-08 2012-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63772A (ko) * 2010-12-08 2012-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의 노이즈 보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5662B2 (en) 2020-05-29 2022-04-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01873B2 (en) 2018-06-19
KR102474202B1 (ko) 2022-12-06
US20170199616A1 (en)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202B1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US10185431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0055057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1100900B2 (en) Foldabl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0168849A1 (zh)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US11003265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1036665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8628501B (zh) 适配于触摸感测的电流驱动的显示面板以及面板显示装置
US20210200354A1 (en) Touch display device, data driving circuit, and touch sensing method
CN110428776B (zh) 像素电路及检测方法、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09491531B (zh) 集成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180003701A (ko) 터치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JP2009008799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TWI770713B (zh) 顯示裝置及驅動顯示裝置的方法
KR20160094835A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210074065A (ko) 표시 장치
EP3789993B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same
KR2017001022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구비된 구동 tft의 문턱전압 센싱방법
EP4116962A1 (en)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81718B1 (ko) 표시 장치
US20240127728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est pixel
EP4174840A1 (en) Display device
US20240038168A1 (en) Sensing circuit, display device including sensing circuit, and method of driving sensing circuit
KR20230173537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이종 센싱 동작 방법
KR20220083215A (ko) 터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