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123A - 폼상 화장료 - Google Patents

폼상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123A
KR20170083123A KR1020177016011A KR20177016011A KR20170083123A KR 20170083123 A KR20170083123 A KR 20170083123A KR 1020177016011 A KR1020177016011 A KR 1020177016011A KR 20177016011 A KR20177016011 A KR 20177016011A KR 20170083123 A KR20170083123 A KR 20170083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owder
mass
stock solution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6857B1 (ko
Inventor
다쿠야 야마시나
마사키 마츠오
마사노리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만다무
Publication of KR2017008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8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액과 분사제가 에어졸 용기에 충전된 폼상(狀) 화장료로서, 상기 원액이, 실리콘 피복 실리카 및 실리카 피복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포함하고, 상기 원액 중의 상기 분체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상인, 폼상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이 곱고 매끄러운 거품질이며 또한 거품의 안정성도 뛰어난 거품을 공급할 수 있는 폼상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끈적임을 발생시키지 않고, 보송보송한 감을 부여할 수 있는 폼상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폼상 화장료{FOAMY COSMETIC MATERIAL}
본 발명은 폼상(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보송보송한 감을 부여하기 위해 파우더 배합 제품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파우더 배합 제품은 파우더 타입, 워터 타입, 젤 타입, 스프레이 타입 등 다방면에 걸쳐 있다. 이러한 타입의 제품은, 도포 시에 흩날림, 넘치기 쉬움 등 때문에 로스가 생긴다는 문제나, 배합되는 계면활성제에 의한 끈적임이 생긴다는 문제 등이 있었으므로, 효율적으로 충분한 보송보송한 감을 부여하는 것이 어려웠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및 파우더를 함유하는 수성 원액과 액화 가스를 함유하고, 수성 원액과 액화 가스가 유화한 유화형 에어졸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서는 에어졸 조성물을 거품(폼)의 상태로 토출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13-11279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폼을 형성하기 위해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계면활성제가 필수가 되며, 그에 따른 끈적임의 문제가 남아 있었다. 한편, 계면활성제의 양을 적게 하면, 거품이 형성되지 않거나, 형성된 거품의 형상이 단시간에 변화해 버리는 일이 있기 때문에, 단지 계면활성제의 양을 적게 한다는 수단은 채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결이 곱고 매끄러운 거품질(泡質)의 거품을 형성하고, 또한 형성된 거품의 형상이 단시간에 변화하지 않는, 즉, 거품의 안정성(소위 「거품 유지」. 보다 자세하게는 거품의 경시(經時) 안정성임.)이 뛰어난 거품을 공급할 수 있는 폼상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끈적임이 생기지 않고, 보송보송한 감을 부여할 수 있는 폼상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원액과 분사제가 에어졸 용기에 충전된 폼상 화장료로서,
상기 원액이, 실리콘 피복 실리카 및 실리카 피복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粉體)를 포함하고,
상기 원액 중의 상기 분체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상인, 폼상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이 곱고 매끄러운 거품질이고 또한 거품의 안정성도 뛰어난 거품을 공급할 수 있는 폼상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끈적임을 일으키지 않고, 보송보송한 감을 부여할 수 있는 폼상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폼상 화장료는, 원액과 분사제가 에어졸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폼상 화장료는, 사용 시, 즉 에어졸 용기로부터 토출될 때에, 또는 대상에 부착한 후에 거품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폼상 화장료에 있어서는, 원액이, 실리콘 피복 실리카 및 실리카 피복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1종 이상의 분체)를 포함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실리콘 피복 실리카 및 실리카 피복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분체 A」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분체 A를 이용함으로써, 원액과 분사제가 특히 효과적으로 피커링 에멀전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졸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함으로써, 결이 곱고 매끄러운 거품질이며 안정성이 뛰어난 거품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분체 A를 비교적 다량으로 배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체 A가 용기 중에서 케이킹하기 어려워져 보존 안정성이 향상한다. 이하, 본 발명의 폼상 화장료의 각 구성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원액은 분체 A 및 매체를 적어도 함유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원액은, 에어졸 용기에 충전된 성분 중, 분사제 이외의 모든 성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원액은 매체에 불용인 분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분체 A로는, 실리콘 피복 실리카 및 실리카 피복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분체를 들 수 있다. 분체 A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실리콘 피복 실리카는, 실리카(무수 규산) 분체를 실리콘 화합물로 피복한 분체이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리카 피복 실리콘은, 실리콘 분체를 실리카(무수 규산)로 피복한 분체이다. 상기 실리콘 분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가교형 메틸폴리실록산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분체 A는, 거품의 안정성(거품 유지)이나 제조 안정성을 향상하는 관점에서, 추가로 다가 알코올로 피복된 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체 A는, 다가 알코올로 피복된 실리콘 피복 실리카, 및, 다가 알코올로 피복된 실리카 피복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1종 이상의 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피복 실리카나 실리카 피복 실리콘을 다가 알코올로 추가로 피복함으로써, 분체가 갖는 소수성이 어느 정도 약해져, 친수성·소수성의 밸런스가 보다 적정한 것이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데, 거품의 안정성이 향상한다. 또한, 다가 알코올로 피복된 분체를 사용하는 것은, 매체, 예를 들면, 물과 분체 A가 혼합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제조 안정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3-부틸렌글리콜(1,3-BG) 등을 들 수 있다. 분체 A는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
원액 100 질량% 중의 분체 A의 함유량은, 거품 형성성이나 보송보송한 감의 부여라는 관점에서, 5.0 질량% 이상이고, 7.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며, 10.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백탁(白浮)(도포·건조 후에 화장료가 석출되어 하얗게 보이는 현상)의 방지라는 관점에서, 상기 함유량은 20.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5.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원액 중에 2종 이상의 분체 A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분체 A의 함유량」은, 원액 중의 모든 종류의 분체 A의 함유량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분체 A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보송보송한 감의 부여라는 관점에서, 0.5㎛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한 한편, 에어졸 용기 중에서의 О/W 에멀전 입자의 입경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되는데, 거품이 한층 더 작고, 결이 고와지는 관점에서, 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별도 규정이 없는 한, 분체 A의 입경은 체적 평균(즉, 체적 평균지름)이다.
원액에는 분체 A를 용해 또는 분산시키기 위한 매체가 포함된다. 매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 에탄올,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1,2-데칸디올,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원액 100 질량% 중의 매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95.0 질량%가 바람직하고, 30.0∼93.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50.0∼90.0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매체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원액에는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원액에 계면활성제(특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兩性)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또는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극소량이어도 에어졸 폼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 점이 본 발명의 특징의 하나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공지의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고급 지방산염, 알킬벤젠술폰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α-술포지방산 에스테르염, 모노알킬 인산에스테르염, 아실-L-글루타민산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지방산모노 또는 디알칸올아미드, 폴리옥시알킬렌형 블록폴리머,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제 4 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카르보베타인계, 술포베타인계, 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 히드록시베타인계, 지방산 아미드베타인계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원액 중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끈적임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적은 쪽이 바람직하다. 특히, 원액 100 질량% 중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 및 양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합계량이 0.5 질량% 미만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5 질량% 이하이다. 한편, 그 바람직한 하한치는 0 질량%이다. 이들 3자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을 적게 함으로써, 상기의 효과에 더하여, 폼상 화장료를 피부에 적용했을 때에, 땀 등에 의해 파포(破泡)하거나 유효 성분 등이 피부로부터 흘러 내리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는 효과도 이루어진다. 이것은, 이들 3자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을 적게 함으로써, 땀 등의 수분의 부착에 의한 재유화가 억제됨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원액 100 질량% 중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0.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하이며, 예를 들면, 0.01∼0.5 질량%(특히, 0.05∼0.2 질량%)여도 된다. 상기 함유량의 하한치는 0 질량%여도 된다. 원액 중에 2종 이상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원액 중의 모든 종류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원액에는, 셀룰로오스계 수용성 고분자 및 천연검계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고분자(1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고분자가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거품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체 A의 함유량이 소량(예를 들면, 12.0 질량% 이하)인 경우에는, 거품의 안정성이 비교적 낮아지는 경향에 있기 때문에, 백탁을 한층 더 저감시키기 위해, 분체 A의 함유량을 저감하는 경우에는, 수용성 고분자를 첨가하는 것이 특히 유효하다.
셀룰로오스계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천연검계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면, 잔탄검, 젤라틴, 구아검, 카라기난, 펙틴, 로커스트빈검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원액 100 질량% 중의 수용성 고분자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거품의 안정성이 한층 더 향상하는 관점에서, 0.0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끈적임을 한층 더 저감하는 관점에서, 수용성 고분자의 양은, 원액 100 질량% 중의 0.3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2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원액 중에 2종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함유량」은, 원액 중의 모든 종류의 수용성 고분자의 함유량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원액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체 A, 매체, 계면활성제나 수용성 고분자 이외의 성분(기타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향료; 시클로펜타실록산, 하이드로겐디메티콘, 카프릴릴메티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메티콘 등의 실리콘유;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에틸헥실, 2-에틸헥산산세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톨, 말티톨 등의 당 알코올; 페녹시에탄올, 옥톡시글리세린, 메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멘톨, 멘틸글리세릴에테르, 캄퍼, 페퍼민트유 등의 냉감제; 글리시리진산디칼륨, 글리시리진산스테아릴 등의 항염증제; 작약, 모란피, 비파, 알로에 등의 식물 추출 엑기스;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트리클로산, 염화벤잘코늄 등의 살균제; 파라페놀술폰산아연,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백반 등의 제한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증점성 고분자;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의 산화 방지제; 메톡시계피산 옥틸, 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온산 옥틸,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안식향산 헥실,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틸트리아존, 파라메톡시계피산 2-에틸헥실 등의 자외선 흡수제; 에데트산염 등의 킬레이트제; 알부틴, 아스코르빈산 등의 미백제; 실리카, 탈크, 나일론 파우더 등의 분체 등을 포함해도 된다.
분사제로는, 공지의 분사제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공기, 질소, 탄산가스, 아산화질소 등의 가스(특히, 압축가스);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 디메틸에테르(DME: Dimethyl ether), 이소펜탄, 플루오로카본 등의 액화가스 등을 들 수 있다. 분사제는, 1종만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에어졸 용기로는, 공지 관용의 용기를 들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졸 용기 내에 있어서, 원액과 분사제의 합계량 100 질량% 중의, 분사제의 함유량은, 토출물의 액화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1.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50.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0.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2종류 이상의 분사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분사제의 함유량」은 모든 종류의 분사제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폼상 화장료는 기존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액을 에어졸 용기에 충전하고, 에어졸용 밸브에 의해 용기를 클린치한 후, 규정량의 분사제를 스템으로부터 용기 내로 충전하고, 분사 버튼을 장착한다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폼상 화장료의 에어졸 용기의 내압은, 분사제의 충전량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5℃에 있어서, 상기 내압은 0.10∼0.50MPa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0.39MPa이다.
본 발명의 폼상 화장료는, 예를 들면 바디 파우더, 데오도란트제, 스킨 케어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합량(함유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를 나타낸다. 또, 배합 성분은 모두 순분(純分)으로 환산하여 배합량을 기재했다.
시험예 1
정제수 160g 및 표 1에 기재한 각 분체 40g을, 디스퍼믹서(DM)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10분간 혼합하여 원액 1∼8을 조제했다.
각 원액, 및 분사제로서의 액화석유가스(LPG)를, 원액과 LPG의 질량비가, 원액:LPG=96:4가 되도록 에어졸 용기(용량: 약 100ml)에 충전하여 각 폼상 화장료를 제조했다.
이어서, 각 폼상 화장료를 상온 상압하, 20cm의 상하 폭으로 5회 흔들고, 그 직후, 검은 플라스틱판 상에 거품을 약 1g 토출했다. 이어서, 형성된 거품 상태를 관찰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거품의 형성 상태의 평가 기준)
○(양호): 거품이 형성되고, 1분 경과 후에도 거품의 형상이 변화하지 않으며, 수분의 방출도 확인되지 않았음.
×(불량): 거품이 형성되지 않았거나, 또는, 거품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었지만, 토출 직후부터 수분을 방출하고, 1분 후에는 거품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지 않았음.
[표 1]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원액 4∼5, 즉, 분체가 실리콘 피복 실리카(원액 4) 또는 실리카 피복 실리콘(원액 5)인 원액을 이용한 폼상 화장료에 있어서는, 원액 중에 계면활성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아도 거품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원액 4 및 원액 5를 이용한 폼상 화장료에 있어서는, 모두, 결이 곱고 매끄러운 뛰어난 거품질의 거품이 형성되었다. 또한, 원액 4 및 원액 5를 이용한 폼상 화장료에 있어서 형성된 거품은, 1분 경과 후에도 거품의 형상이 유지되고 있어, 경시 안정성이 뛰어난, 소위 거품 유지가 좋은 거품이었다.
또한 표 1에 있어서의 각 분체의 평균 입경은 체적 평균에 의거하는 값이다.
실시예 1∼4, 비교예 1
표 2에 기재한 처방에 따라, 각 성분을 디스퍼믹서(DM)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10분간 혼합하여 원액(약 200g)을 조제했다.
원액 및 분사제로서의 LPG를, 원액과 LPG의 질량비가, 원액:LPG=96:4가 되도록 에어졸 용기(용량: 약 100ml)에 충전하여 각 폼상 화장료를 제조했다.
또한 표 2에 있어서의 원액 중의 각 성분의 합계량은 100 질량%이다.
실시예 5∼8, 비교예 2
표 2에 기재한 처방에 따라, 각 성분을 스터러를 이용하여 15분간 혼합하여 원액(약 200g)을 조제했다.
원액 및 분사제로서의 LPG를, 원액과 LPG의 질량비가, 원액:LPG=96:4가 되도록 에어졸 용기(용량: 약 100ml)에 충전하여 각 폼상 화장료를 제조했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2에서 얻어진 각 폼상 화장료를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기재했다.
(1) 거품질, 거품의 안정성
각 폼상 화장료를, 상온 상압하, 20cm의 상하 폭으로 5회 흔들고, 그 직후, 검은 플라스틱판 상에 거품을 약 1g 토출했다. 이어서, 형성된 거품의 거품질 및 거품의 안정성을 관찰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했다.
(거품질의 평가 기준)
◎(우수): 매우 결이 곱고 매끄러움
○(양호): 결이 곱고 매끄러움
△(사용 가능): 결이 약간 거침
×(불량): 결이 매우 거칠고 꺼진 거품, 또는, 거품이 형성되지 않음
(거품의 안정성의 평가 기준)
◎(우수): 토출 후 3분 경과해도 거품질이 변화하지 않았음.
○(양호): 토출 후 1분 경과해도 거품질이 변화하지 않았음.
△(사용 가능): 토출 후 1분 경과 후에, 수분의 방출은 보이기는 하지만 거품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었음.
×(불량): 거품이 형성되지 않았거나, 또는, 토출 직후부터 수분을 방출하여 토출 후 1분 경과 후에는 거품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지 않았음.
(2) 보송보송한 감
각 폼상 화장료를, 상온 상압하, 20cm의 상하 폭으로 5회 흔들고, 그 직후, 손등 상에 거품을 약 0.3g 토출하여 손으로 문질러 발랐다. 그 때의 보송보송한 감을, 이하의 기준에 의거하여 관능 평가했다.
또한 보송보송한 감이란, 마찰이 낮고, 미끄러짐이 좋으며, 또한, 끈적임이 없고 마른 감촉을 의미한다.
(보송보송한 감의 평가 기준)
◎(우수): 매우 강하게 보송보송한 감을 느낌.
○(양호): 강하게 보송보송한 감을 느낌.
△(사용 가능): 조금 보송보송한 감을 느낌.
×(불량): 보송보송한 감을 느끼지 않았음.
[표 2]
Figure pct00002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폼상 화장료(실시예)는, 결이 곱고 매끄러운 거품을 형성하고, 또한 거품의 안정성도 우수했다. 또, 끈적임이 없어, 도포함으로써, 보송보송한 감을 얻을 수 있는 화장료였다. 한편, 분체의 함유량이 5 질량% 미만(비교예)에서는, 거품질 및 거품의 안정성이 저하했다.
또한, 상기 (2)의 평가 후에 있어서, 실시예의 어느 경우에도, 폼상 화장료를 도포한 손등에, 끈적임은 느껴지지 않았다.
또, 상기 (2)의 평가 후에 있어서, 실시예 1, 5, 6에 있어서는, 폼상 화장료를 도포한 손등에는 전혀 또는 거의 백탁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2, 3, 7에 있어서는, 백탁은 어느 정도 보이기는 하지만, 분체는 피부에 밀착하고 있어, 도포면에 닿아도 흩날림은 생기지 않는 수준이었다. 한편, 실시예 4, 8에 있어서는, 도포면에 닿으면 분체가 흩날리는 강한 백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6의 폼상 화장료의 원액 약 40g을, 용량(100ml)의 유리병에 넣어 5℃, 25℃, 40℃의 각각의 조건 하에서 보존했다. 그 결과, 어느 조건 하에서도, 2개월 경과해도 분체의 침강 및 케이킹이 생기지 않고, 뛰어난 보존 안정성이었다.
상기의 시험예 및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가교폴리스티렌(아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상품명: 간츠펄 GS-1105M)
실리콘(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 고도가이샤, 상품명: 토스펄 2000B*)
나일론 분말(ナイロン末)(아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상품명: 간츠펄 GPA-550)
실리콘 피복 실리카(미요시 가세이사, 상품명: SI-SB300)
실리카 피복 실리콘(도레이 다우사, 상품명: DOW CORNING 9701 COSMETIC POWDER)
실리카(닛키 쇼쿠바이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사, 상품명: 실리카마이크로비드 P-1500M)
탈크(니폰 타루크 가부시키가이샤, 상품명: 탈크MS)
우레탄(도시키 피그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상품명: PLASTIC POWDER D-800)
1,3BG, 실리카 피복 실리콘(도레이 다우사, 상품명: DOW CORNING EP 9801)
잔탄검(DSP고교후드&케미컬사, 상품명: 에코검T)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니폰소다사, 상품명: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폼상 화장료의 처방예를 나타낸다. 또한, 함유량은 질량%이다.
처방예 1(보습 화장료)
<원액>
1,3BG, 실리카 피복 실리콘 10.0 질량%
농글리세린 3.0 질량%
1,3-부틸렌글리콜 3.0 질량%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0.1 질량%
정제수 잔부
합계 100.0 질량%
<분사제>
LPG 100.0 질량%
원액:분사제(질량비)=90:10
처방예 2(데오도란트제)
<원액>
실리콘 피복 실리카 10.0 질량%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0.05 질량%
파라페놀술폰산아연 0.1 질량%
염화벤잘코늄 0.1 질량%
정제수 잔부
합계 100.0 질량%
<분사제>
LPG 100.0 질량%
원액:분사제(질량비)=95:5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폼상 화장료는, 예를 들면 바디 파우더, 데오도란트제, 스킨케어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원액과 분사제가 에어졸 용기에 충전된 폼상 화장료로서,
    상기 원액이, 실리콘 피복 실리카 및 실리카 피복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를 포함하고,
    상기 원액 중의 상기 분체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상인, 폼상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가 다가 알코올로 추가로 피복된 분체인, 폼상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액 중의 상기 분체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상, 20.0 질량% 이하인, 폼상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액이, 셀룰로오스계 수용성 고분자 및 천연검계 수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고분자를 추가로 함유하는, 폼상 화장료.
KR1020177016011A 2015-03-30 2016-02-02 폼상 화장료 KR101906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8423 2015-03-30
JP2015068423 2015-03-30
PCT/JP2016/053081 WO2016157995A1 (ja) 2015-03-30 2016-02-02 フォーム状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123A true KR20170083123A (ko) 2017-07-17
KR101906857B1 KR101906857B1 (ko) 2018-10-11

Family

ID=5700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011A KR101906857B1 (ko) 2015-03-30 2016-02-02 폼상 화장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69923B2 (ko)
KR (1) KR101906857B1 (ko)
CN (1) CN107106424A (ko)
WO (1) WO20161579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392A1 (ja) * 2017-09-25 2019-03-28 株式会社マンダム フォーム状皮膚洗浄料
JP7427486B2 (ja) * 2020-03-23 2024-02-05 株式会社マンダム フォーム状皮膚洗浄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6633B2 (ja) * 1993-02-26 2003-05-12 花王株式会社 泡状エアゾール化粧料
GB0121178D0 (en) * 2001-08-31 2001-10-24 Unilever Plc Foaming aerosol cosmetic compositions
JP2010006738A (ja) * 2008-06-26 2010-01-14 Daizo:Kk 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
US10258547B2 (en) * 2009-01-29 2019-04-16 L'oreal Cosmetic foam compositions comprising UV sunscreens and mineral fillers
JP5789411B2 (ja) * 2011-05-11 2015-10-07 日本コルマー株式会社 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
JP2013095835A (ja) * 2011-10-31 2013-05-20 Dow Corning Toray Co Ltd 長鎖アミド変性シリコーン・アミノ変性シリコーン共重合体及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7995A1 (ja) 2016-10-06
JP6369923B2 (ja) 2018-08-08
CN107106424A (zh) 2017-08-29
JPWO2016157995A1 (ja) 2017-08-24
KR101906857B1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8746B2 (en) Cleansing composition for pump foamer comprising soap and propylene glycol
WO2018221420A1 (ja) フォーム状皮膚洗浄料
JP2003286130A (ja) 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
KR100953144B1 (ko) 이산화탄소를 분사제로 사용하는 폼타입의 마사지 무스 팩화장료 조성물
JP5554005B2 (ja) 泡沫状皮膚塗布剤
US20060264344A1 (en) Mild foaming cleansing composition
KR101906857B1 (ko) 폼상 화장료
JP5801525B2 (ja) 液状洗浄剤組成物
JP4971713B2 (ja) エアゾール組成物および該エアゾール組成物を含むエアゾール製品
GB2481183A (en) Post-foaming cleansing composition
KR100460949B1 (ko) 에어로졸 타입의 클렌징 폼 조성물
JP6554394B2 (ja) 化粧料
JP2011084490A (ja) 泡沫状皮膚塗布剤
CN100548263C (zh) 气雾洁齿剂
JP3936289B2 (ja) エアゾール組成物
JP2003081763A (ja) エアゾール組成物および発泡性エアゾール製品
EP3393447B1 (en) A sprayable ge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3650542B2 (ja) エアゾール組成物
US10413488B2 (en) Aerosol oil foam compositions comprising a triglyceride-based oil and surfactant
JP7356155B2 (ja) 泡沫状エアゾール温感皮膚洗浄用組成物
JP7418920B2 (ja) エアゾール型除毛剤
JP7326076B2 (ja) エアゾール組成物
JP2020158402A (ja) 抗シワ用エアゾール組成物
JP2024060928A (ja) 粉体含有皮膚洗浄剤およびフォーム状皮膚洗浄料
JP2024064854A (ja) フォーム状皮膚洗浄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